KR20100086596A - 유비쿼터스망을 이용한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유비쿼터스망을 이용한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6596A
KR20100086596A KR1020090005895A KR20090005895A KR20100086596A KR 20100086596 A KR20100086596 A KR 20100086596A KR 1020090005895 A KR1020090005895 A KR 1020090005895A KR 20090005895 A KR20090005895 A KR 20090005895A KR 20100086596 A KR20100086596 A KR 201000865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healthcare
ubiquitous network
emerg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5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25578B1 (ko
Inventor
남승훈
김응환
김형환
류기원
김동억
안시훈
소재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트컴퓨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트컴퓨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트컴퓨터
Priority to KR1020090005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5578B1/ko
Priority to PCT/KR2009/006798 priority patent/WO2010085033A2/ko
Publication of KR20100086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65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55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55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24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by using sensing means generating electric signals, i.e. ECG sig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50Connection management for emergency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ard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athology (AREA)
  • Econom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arketing (AREA)
  • Biophys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헬스 케어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특정 지역에서 다수의 사용자들에 대해 유비쿼터스망을 이용한 위치, 건강상태 및 운동량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위치정보, 건강상태 및 운동량에 근거하여 응급상황을 미연에 방지하고, 응급상황 발생 시 빠르게 대처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망을 이용한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헬스 케어 서비스 시스템은 사용자 신체에 부착되어 상기 사용자의 다수의 생체 신호들 및 운동량을 측정한 후, 상기 생체 신호들 및 운동량 정보 및 자신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제1헬스케어 정보를 송신하는 사용자 단말들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포함하는 소정의 긴급상황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및 긴급상황에 대한 메시지를 표시하여 경보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과, 다수의 라우터 노드들이 셀을 형성하는 유비쿼터스망으로 연결되어 유비쿼터스망 영역을 형성하며, 자신의 위치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1헬스케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정보의 수신 시 상기 자신의 위치정보와 상기 헬스케어 정보 및 상기 유비쿼터스망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측정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제2헬스케어 정보를 송신하는 상기 노드인 고정 게이트웨이들과, 상기 제2헬스케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2헬스케어에 포함된 위치정보에 의한 사용자 단말의 위치, 생체 신호들 및 운동량을 저장/관리 하고, 상기 사용자가 긴급상황에 있는지를 판단하고 긴급상황이면 상기 긴급상황 메시지를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정합제어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헬스, 케어, 유비쿼터스, 지그비, 위치, 긴급상황

Description

유비쿼터스망을 이용한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HEALTH CARE SERVICE SYSTEM AND METHOD USING UBIQUITOUS NETWORK}
본 발명은 헬스 케어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특정 지역에서 다수의 사용자들에 대해 유비쿼터스망을 이용한 위치, 건강상태 및 운동량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위치정보, 건강상태 및 운동량에 근거하여 응급상황을 미연에 방지하고, 응급상황 발생 시 빠르게 대처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망을 이용한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세계적으로 급속한 고령화가 진행됨에 따라 다양한 헬스케어 사업들이 호황을 맞고 있다. 우리나라도 세계의 다른 나라들과 다르지 않게 고령화가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의료, 식품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헬스케어 사업들이 부각 받고 있다.
특히, 전자 및 IT분야에서도 다양한 고령 친화형 헬스케어 기기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러한 기술 중 하나가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모니터링 기술이다.
통상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모니터링 기술로는 모바일 헬스케어, 홈 헬스케어 등이 있다. 모바일 헬스케어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혈압, 맥박 및 피검사 등을 수행하고, 이를 전문기관(예: 병원)으로 전송하여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언제 어디서나 검사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모바일 헬스케어의 경우, 사용자가 직접 모바일기기를 이용하여 생체 신호를 측정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고령자들은 모바일기기를 다루는데 서툴러 실질적으로 모바일기기를 직접 사용하여 생체 신호를 측정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모바일 헬스케어는 어디서나 맥박, 혈압 또는 피검사 등과 같이 하나의 특정 생체 신호만을 측정할 수 있을 뿐 다양한 생체 신호들을 복합적으로 측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해 모바일 헬스케어는 측정된 특정 생체 신호에 의해 사용자가 응급상태에 있는지 판단하기 어렵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응급상황에 놓였을 경우 대처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공보 "10-2007-62215"(이하 "선행특허"라 함)와 같은 홈 헬스케어 시스템은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측정된 생체 신호 데이터를 무선 또는 유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휴대폰 또는 PC에 전송하여 외부의 전문기관(예: 병원, 보건소)에 전송하고, 전문기관은 이를 저장, 관리하며, 관리 중 측정된 생체 신호 데이터에 의해 응급상황으로 판단되는 경우 119등에 응급구호 요청을 수행한다.
상기 선행특허의 홈 헬스케어 시스템은 상기 모바일 헬스케어에 비해 복합적인 생체 신호들을 측정하고, 운동량을 측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응급상황을 판단하고, 응급상황 시 119 및 외부 보호자 등에 응급구호 요청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응급상황에 빠르게 대처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그러나 상기 홈 헬스케어 시스템의 경우 생체 신호들을 서로 다른 다수의 기기들로부터 수신하여야 하므로, 다수의 사용자가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 식별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홈 헬스케어 시스템은 사용자 식별이 가능하다 할지라도 사용자가 홈 내에서 이동 중이거나 기기를 이용하고 있지 않을 경우에는 사용자의 신체 상태를 알 수 없으므로 지속적인 관리를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홈 헬스케어 시스템은 사용자가 생체 신호를 측정할 의지가 있고 생체 신호 측정 기기들의 사용에 능숙할 경우에만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고, 사용자가 노령자이거나 의지가 없는 경우에는 효율성이 없고, 응급상황의 판단 및 대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홈 헬스케어 시스템은 단순히 생체 신호와 운동량만을 측정하고, 생체 신호에 대한 응급여부만을 판단하므로, 응급상황을 사전에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모바일 헬스케어는 단순히 생체신호만 측정할 뿐 생체신호에 따른 응급상황 판단 시 사용자가 모바일의 긴급구조(SOS) 키를 누르기 전까지는 사용자의 위치를 모름으로 사용자가 긴급구조 키를 누를 수 없는 상황에서는 사용자의 위치를 알 수 없으므로 응급상황 시 신속 대응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용자가 긴급구조 키를 누른다고 할지라도 사용자가 실내에 있는 경우, 종래 모바일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센터는 셀 영역이 넓은 모바일 기지국들을 이용한 삼각 측정법에 의해 위치를 추정하므로 위치가 불명확하여 응급상황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홈 헬스케어 시스템은 사용자의 위치를 추적할 수 없으므로 응급상황 시 신속 대응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사용자들 각각의 유비쿼터스망을 이용한 위치, 건강상태 및 운동량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위치정보, 건강상태 및 운동량에 근거하여 응급상황을 미연에 방지하고, 응급상황 발생 시 빠르게 대처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망을 이용한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위치한 장소에 따라 적절한 건강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망을 이용한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유비쿼터스망을 이용한 헬스케 어 서비스 시스템은; 사용자 신체에 부착되어 상기 사용자의 다수의 생체 신호들 및 운동량을 측정한 후, 상기 생체 신호들 및 운동량 정보 및 자신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제1헬스케어 정보를 송신하는 사용자 단말들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포함하는 소정의 긴급상황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및 긴급상황에 대한 메시지를 표시하여 경보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과, 다수의 라우터 노드들이 셀을 형성하는 유비쿼터스망으로 연결되어 유비쿼터스망 영역을 형성하며, 자신의 위치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1헬스케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정보의 수신 시 상기 자신의 위치정보와 상기 헬스케어 정보 및 상기 유비쿼터스망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측정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제2헬스케어 정보를 송신하는 상기 노드인 고정 게이트웨이들과, 상기 제2헬스케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2헬스케어에 포함된 위치정보에 의한 사용자 단말의 위치, 생체 신호들 및 운동량을 저장/관리하고, 상기 사용자가 긴급상황에 있는지를 판단하고 긴급상황이면 상기 긴급상황 메시지를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정합제어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비쿼터스망을 형성하는 고정 게이트웨이는 지그비(Zigbee) 프로토콜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지그비 무선 송수신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합제어 서버가, 상기 제2헬스케어 정보를 유무선망으로 더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들 각각에 대한 식별정보 및 상기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 건강상태별 운동요법 및 식이요법 정보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제2헬스케어 정보를 수신 받아 상기 사용자 단말들의 사용자들에 대한 건강상 태 및 운동량에 따른 식이요법/운동요법 및 건강 추이를 웹사이트를 통해 제공하는 헬스케어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리자 단말이 상기 유비쿼터스망 내에서 상기 고정 게이트웨이를 통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인 것을 한다.
상기 관리자 단말이 유무선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전문기관의 단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합제어 서버가 상기 긴급상황 발생 시 유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긴급상황이 발생한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에 대한 외부 보호자의 보호자 단말로 상기 위치 및 긴급상황을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위치정보 및 긴급상황 메시지가 단문메시지서비스(SMS)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서비스(MMS)로 통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위치정보 및 긴급상황 메시지가 헬스케어 서버에 연결되는 자동응답시스템(ARS)을 통해 음성으로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하여 사용자의 생체 신호들 및 운동량을 측정하여 출력하는 헬스케어 측정부와, 상기 식별정보 상기 측정된 생체 신호들 및 운동량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식별정보와 생체 신호 및 운동량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1헬스케어 정보를 무선으로 상기 고정 게이트웨이로 송신하는 무선통신부와, 생체 신호 측정 및 운동량 측정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헬스케어 측정부를 제어하여 생체 신호들 및 운동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 후, 상기 제1헬스케어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헬스케어 측정부는, 맥박을 측정하는 맥박 측정기와, 심전도를 측정하는 심전도 측정기와, 피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피도 온도 측정기와, 외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외부온도 측정기와, 상기 사용자의 운동량을 측정하는 운동량 측정기와, 전기 전도도를 측정하는 전기 전도도 측정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운동량 측정기는, 상기 사용자의 이동속도를 측정하는 가속도 측정기와, 걸음의 숫자를 카운트하는 만보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운동량에 의해 소모된 칼로리를 계산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한 후, 상기 제1헬스케어 정보에 상기 칼로리 정보를 더 포함하여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합제어 서버는, 제2헬스케어 정보로부터 정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2헬스케어 정보의 사용자 단말 위치에 대응하는 영역을 판단하고, 판단된 영역에 대한 안내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안내 메시지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음성데이터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음성처리부를 더 구비하되, 상기 정합제어 서버는 상기 안내 메시지를 음성데이터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안내 메시지를 수신 받아 상기 음성처리부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영역이 식당이고, 상기 안내 메시지가 식이요법에 대한 정보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유비쿼터스망을 이용한 헬스케어 서비스 방법은; 사용자 단말이 사용자 신체에 부착되어 상기 사용자의 다수의 생체 신호들 및 운동량을 측정한 후, 상기 생체 신호들 및 운동량 정보 및 자신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제1헬스케어 정보를 송신하는 제1과정과, 상기 고정 게이트웨이가 상기 제1헬스케어 정보를 수신하고, 자신의 위치정보와 상기 정보 및 유비쿼터스망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측정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제2헬스케어 정보를 송신하는 제2과정과, 정합제어 서버가 상기 제2헬스케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2헬스케어에 포함된 생체 신호들 및 운동량 정보에 의해 상기 사용자가 긴급상황에 있는지를 판단하고 긴급상황이면 상기 긴급상황 메시지를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제3과정과, 상기 관리자 단말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포함하는 상기 긴급상황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및 긴급상황에 대한 메시지를 표시하여 경보하는 제4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손목형 사용자 단말을 사용하므로 써 사용자의 다양한 생체 신호들 및 운동량을 지속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이에 따라 응급상황의 발생을 빠르게 인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비쿼터스망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추적하므로 써 응급상황 발생 시 빠르게 대처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유비쿼터스망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추적하고 추적된 위치의 영역정보에 근거하여 사용자의 건강상태 및 운동량에 따른 운동요법/식이요법 등을 알려줌으로써 지속적으로 건강관리를 수행할 수 있고, 응급상황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비쿼터스망을 이용한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비쿼터스망을 이용한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은 다수의 사용자 단말(100)과 다수의 고정 게이트웨이(210)와 정합제어 서버(300)와 관리자 단말(250, 600)로 구성된다.
사용자 단말(100)은 자신의 고유한 식별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 또는 정합제어 서버(300)로부터의 헬스케어 측정 요청에 의한 헬스케어 측정 이벤트 발생 시 사용자의 다양한 생체 신호들 및 운동량 및 운동량에 따른 칼로리 소모량 등을 측정하여 저장한다. 여기서 생체 신호란 심박(맥박), 심전도, 전기전도도, 피부온도 및 실내/외부 온도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하였다. 그리고 상기 운동량은 가속도, 걸음 횟수 등에 의해 계산된다. 상기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의 신체에 항시 접속할 수 있도록 손목 시계형 등으 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생체 신호들 및 운동량이 계산되면 사용자 단말(100)은 측정된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식별정보와 상기 측정된 정보를 포함하는 제1헬스케어 정보를 생성하여 무선으로 송신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로부터 응급구호 요청을 받아 호출정보를 무선으로 송신한다. 상기 호출정보는 독립적으로 송신될 수도 있고, 상기 제1헬스케어 정보에 포함되어 송신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고정 게이트웨이(210)들을 이용하여 자신의 위치를 측정하여 저장할 수도 있고, 상기 고정 게이트웨이(210)에 의해 계산된 위치정보를 수신 받아 저장할 수도 있다.
고정 게이트웨이(210)는 자신의 고유 식별정보 및 자신의 위치정보(좌표정보: 이하 "제1위치정보"라 함)를 가지고 있으며, 일정 반경을 가지는 셀 영역(201) 내의 사용자 단말(100)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이러한 다수의 고정 게이트웨이(210)들은 무선으로 상호 연결되어 유비쿼터스망을 형성한다. 이러한 유비쿼터스망에 의해 유비쿼터스망 영역(202)이 형성되고, 상기 유비쿼터스망 영역(202)은 실버타운, 병원 및 학교 등과 같은 장소에 형성될 수 있다. 고정 게이트웨이(210)는 자신의 제1위치와 인접한 고정 게이트웨이(210)들의 제1위치정보에 근거하여 블라인드 노드인 상기 사용자 단말(100)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를 계한다. 또한, 고정 게이트웨이(210)는 사용자 단말(100)이 자신의 위치를 계산할 수 있도록 사용자 단말(100)로 상기 제1위치정보를 송신하도록 할 수도 있다. 고정 게이트웨이(210)는 실내에서는 셀 영역을 고려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 게이트웨이(210)는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단 말(100)로부터 제1헬스케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정보를 포함하여 제2헬스케어 정보를 생성한 후 정합제어 서버(300)로 송신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 측정 방법으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00)이 위치를 알고 있는 적어도 3개 이상의 고정 게이트웨이(21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수신신호전계강도(RSSI)를 이용하여 삼각법에 의해 계산하는 방법과, 고정 게이트웨이(210)가 상기 사용자 단말(100)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 인접한 적어도 둘 이상의 고정 게이트웨이(210)로부터 각각의 위치정보와 사용자 단말(100)과의 수신신호전계강도를 수신 받아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를 계산하는 방법과, 고정 게이트웨이(210)가 커버하는 셀 반경이 작은 경우, 상기 고정 게이트웨이(210)의 위치를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로 간주하는 방법 등이 있다.
정합제어 서버(300)는 사용자들 각각에 대한 사용자 정보들, 각 사용자들에 할당된 사용자 단말(100)의 식별정보, 고정 게이트웨이(210)의 식별정보 및 제1위치정보 및 제2위치정보(예: 1층 화장실, 1번 방, 매점, 헬스클럽, 식당 등) 및 사용자별로 제2위치정보에 대한 건강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사용자들 각각의 위치, 생체 신호들 및 운동량을 저장/관리하고, 사용자 단말(100) 센싱 제어, 생체 신호 또는 호출정보에 의한 응급상황 판단 및 응급상황에 따른 응급상황 경보 기능, 사용자 위치에 대한 건강정보 안내 및 유비쿼터스망 상의 에러 발생 시 에러 리포팅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정합제어 서버(300)는 사용자의 의지와 상관없이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생체 신호들 및 운동량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 제어 명령들을 구비 하고 있으며, 관리자에 의해 요청이 발생하면 해당 센서 제어 명령을 고정 게이트웨이(210)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로 송신한다.
정합제어 서버(300)는 긴급상황 발생 시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위치정보 및 긴급상황의 구체적인 내용을 포함하는 긴급상황 메시지를 관리자 단말(250 and 600)로 송신한다. 또한, 정합제어 서버(300)는 긴급상황 발생 시 긴급상황 메시지를 유무선망(550)을 통해 해당 사용자의 보호자 단말(700)로 송신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긴급상황 메시지는 단문메시지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SMS)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서비스(Multimedia Message Service: MMS)로 송신될 수도 있다.
또한, 정합제어 서버(300)는 고정 게이트웨이(210)들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100)이 유비쿼터스망 영역(202)을 벗어나는지를 검사하고, 벗어나는 경우 서버 관리자, 관리자 단말로 통보한다.
그리고 정합제어 서버(300)는 측정된 각 사용자의 위치정보에 따라 건강정보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위치가 헬스클럽인 것으로 판단되면, "오늘 운동량은 러닝머신을 4Km/H로 10분 동안 운동하세요" 등과 같은 텍스트 메시지 또는 음성 메시지를 포함하는 안내메시지를, 식당인 경우 "오늘은 채소류를 드시고 육류를 드시지 마세요" 또는 "오늘의 식단은 무엇입니다" 등의 텍스트 메시지 또는 음성 메시지를 해당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한다. 상기 정합제어 서버(300)는 상기 건강정보를 측정된 생체 신호에 따라 주기적으로 갱신하기 위해 생체 신호의 측정치들에 따른 건강정보 DB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리자 단말은 유비쿼터스망 영역(예: 실버타운) 내에 있는 관리자 단말(250)일 수도 있고, 유무선통신망(550)을 통해 연결되는 원격지의 전문기관(예: 병원, 소방서(119), 경찰서)의 단말이 될 수 있다. 유비쿼터스망 영역에 있는 관리자 단말(250)은 고정 게이트웨이(21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PDA, 휴대폰 또는 콘솔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전문기관의 관리자 단말(600)은 컴퓨터(601), 유선전화기(602) 등이 될 수 있다. 전문기관의 관리자 단말(600)이 유선전화기(602)인 경우 ARS 시스템(500)을 통해 상기 긴급상황 메시지를 음성으로 변환한 후 전송한다.
본 발명에 따른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은 헬스케어 서버(400)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헬스케어 서버(400)는 유비쿼터스망(202) 내에 거주하는 사용자들에 대한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사용자들에게 지급된 사용자 단말(100)의 고유 식별번호를 저장 및 관리하고, 정합제어 서버(300)로부터 수신되는 헬스케어 정보를 해당 사용자별로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410)를 구비하며, 사용자별로 상기 헬스케어 정보를 분석하여 건강 추세, 위치추적에 따른 사용자의 행동 경로, 사용자 감성 정보 및 사용자별 운동요법/식이요법 정보 등과 같은 다양한 맞춤형 콘텐츠들을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410)에 저장하여 관리한다. 또한 헬스케어 서버(400)는 상기한 데이터들을 등록된 사용자 및 사용자의 보호자가 유무선망(550)의 인터넷망을 통해 언제 어디서나 볼 수 있도록 웹사이트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설명에서는 정합제어 서버(300)가 사용자 단말의 위치 추적, 긴급상황 판단 및 건강정보 제공 등을 수행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상기 헬스케어 서 버(400)가 정합제어 서버(300)로부터 제2헬스케어 정보를 수신 받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건물 내에서의 고정 게이트웨이(210)의 구성 및 위치 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건물의 1개 층에서의 고정 게이트웨이(210)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2에서 1번 내지 3번 방과 같은 작은 방에는 시스템 구축 비용을 고려하여 한 개의 고정 게이트웨이(21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이는 방이란 특성 상 공간이 한정되어 방에서는 한눈에 사용자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경우 사용자 단말(100)이 송신한 신호를 수신한 고정 게이트웨이(210)의 위치가 사용자의 위치가 된다. 그러나 인접한 방에 설치된 고정 게이트웨이(210)가 상기 사용자 단말(100)이 송신한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런 경우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가 2개의 방 모두로 판단될 수도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100)이 위치한 방에 설치된 고정 게이트웨이(210)는 상기 사용자 단말(100)이 자신이 설치된 위치에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인접한 고정 게이트웨이(210)들과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있는지를 확인하고 있는 경우 인접한 고정 게이트웨이(210)에서의 신호전계강도보다 더 큰지를 판단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를 결정한다.
그러나 4번 방과 같이 방이 커 화장실 등과 같은 별도의 공간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정확한 위치를 추정하기 위해 복수개의 고정 게이트웨이(210)들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100)이 송신한 신호를 수신한 적어도 3 개 이상의 고정 게이트웨이(210)가 필요하며, 각 고정 게이트웨이(210)들간의 수신신호전계강도를 이용하여 삼각 측정법에 의해 위치를 계산한다. 삼각 측정법은 유비쿼터스 영역 내의 운동장 및 산책로와 같은 넓은 외부 공간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들이 복도, 계단 및 엘리베이터 등을 통해 이동 중인 경우에도 긴급상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도 2와 같이 복도(5), 엘리베이터(6) 및 계단(7) 등에도 고정 게이트웨이(21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사용자 단말(100)은 제어부(110)와 제1저장부(120)와 제2저장부(130)와 입력부(140)와 표시부(150)와 헬스케어 측정부(160)와 무선통신부(170)와 음성 처리부(180)를 포함한다.
제1저장부(120)는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영역과, 상기 제어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영역으로 구성된다.
제2저장부(130)는 사용자 단말(100)의 고유 식별정보 및 측정된 생체신호 및 운동량 정보를 저장한다.
입력부(140)는 응급키, 헬스케어 측정키, 전원키 및 스크롤키 등과 같은 키들을 구비하고, 사용자에 의해 눌린 키에 대한 키신호를 제어부(110)로 출력한다.
표시부(150)는 제어부(110)의 제어를 받아 측정된 헬스케어 정보들을 표시하고, 무선통신부(170)를 통해 수신되는 안내메시지에 포함된 건강정보 및 사용자 단 말의 동작 모드 등의 정보를 표시한다.
헬스케어 측정부(160)는 맥박 측정기(161), 심전도 측정기(166), 전기전도도(167), 피부온도 측정기(163), 외부 온도 측정기(164) 및 운동량을 측정하기 위한 가속도 측정기(165) 및 걸음 횟수 측정기(만보기)(162)로 구성된다.
맥박 측정기(161)는 사용자의 맥박을 측정하여 제어부(110)로 출력한다. 상기 맥박 측정기(161)는 사용자 신체에 착용된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 피부와 닿은 부분, 특히 동맥이 있는 피부와 닿는 부분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심전도 측정기(166) 및 전기전도도 측정기(167)는 사용자의 심전도 및 전기전도도를 측정하여 제어부(110)로 출력한다.
피부온도 측정기(163)는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하여 제어부(110)로 출력한다.
외부온도 측정기(164)는 사용자의 주변 환경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실내, 실외 등의 실온을 측정하여 제어부(110)로 출력한다.
걸음 걸이 횟수 측정기(162: 또는 만보계라 함)는 사용자의 걸음 횟수를 카운팅하여 제어부(110)로 출력한다.
가속도 측정기(165)는 사용자의 순간 가속도에 의한 이동속도를 측정하여 제어부(110)로 출력한다.
무선통신부(170)는 상기 제어부(110)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프로토콜에 따라 무선으로 송신하고, 상기 프로토콜에 따라 수신되는 신호를 데이터로 변환하여 제어부(110)로 출력한다. 상기 무선통신부(170)는 고정 게이트웨이(210)의 무선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도록 구성된다. 무선통신부(170)는 지그비 무선통신, UWB 무선통신 또는 블루투스 무선통신 등의 프로토콜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장치가 될 수 있으며, 저전력 및 낮은 제조 단가를 가지는 지그비 무선통신 프로토콜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제어부(110)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입력부(140)로부터 헬스케어 측정키의 눌림에 의한 키신호 또는 무선통신부(170)를 통한 정합제어 서버(300)로부터의 센싱 명령에 의한 헬스케어 측정 이벤트가 발생하면 헬스케어 측정부(160)를 제어하여 생체신호 및 운동량을 측정한다. 상기 운동량은 걸음 걸이 횟수 측정기(162) 및 가속도 측정기(165)로부터 걸음걸이 횟수 및 이동속도 정보에 의해 계산된다. 생체신호들 및 운동량이 측정되면 제어부(10)는 측정된 생체신호 및 운동량 정보와 사용자 단말(100)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제1헬스케어 정보를 생성하고 무선통신부(170)를 통해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고정 게이트웨이(210)를 통해 정합제어 서버(300)로 송신한다.
또한, 제어부(110)는 입력부(140)로부터 응급키에 대한 키신호가 입력하면 응급 상황임을 알리기 위한 호출정보를 무선통신부(170)를 통해 정합제어 서버(300)로 송신한다. 이때, 제어부(110)는 상기 응급키에 의한 키신호를 헬스케어 측정 이벤트로 간주하고 헬스케어 측정부(160)를 통해 생체신호들 및 운동량을 측정하여 호출정보와 함께 정합제어 서버(300)로 송신하도록 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1헬스케어 정보에 호출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한다.
또한 제어부(110)는 정합제어 서버(300)로부터 입력하는 안내 메시지가 음성데이터인 경우 음성처리부(180)를 통해 음성신호로 변환하고, 스피커를 통해 음성 으로 출력한다.
상기에서는 사용자 식별을 위해 사용자 단말(100)의 고유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였다. 그러나 사용자 단말(100)에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무선주파수식별(Radio Frequency Identify: RFID) 태그를 구비하고, 고정 게이트웨이(210)에 상기 RFID 태그로부터 정보를 읽기 위한 RFID 리더기를 구비하여 사용자 정보를 읽을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비쿼터스망을 이용한 헬스케어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철차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관리자 단말(100)은 헬스케어 측정 이벤트가 발생하면 헬스케어 측정부(160)를 통해 생체신호 및 운동량을 측정하고, 자신의 고유 식별정보, 생체신호 및 운동량 정보를 포함하는 제1헬스케어 정보 메시지를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고정 게이트웨이(210)로 송신한다(S411) 상기 헬스케어 측정 이벤트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0)의 입력부(140)의 헬스케어 측정키 또는 응급키를 누르거나 정합 제어 서버(300)로부터 센싱 명령이 입력하는 경우 발생한다. 또한, 사용자가 입력부(140)의 응급키를 누른 경우, 상기 제1헬스케어 정보 메시지에는 상기 응급키에 대한 응급정보가 더 포함된다.
제1헬스케어 정보 메시지를 수신한 고정 게이트웨이(210)는 자신의 위치를 측정하고(S413), 상기 제1헬스케어 정보에 위치정보를 포함한 제2헬스케어 정보 메시지를 생성하여 정합제어 서버(300)로 송신한다(S415).
정합제어 서버(300)는 제2헬스케어 정보 메시지가 수신되면 헬스케어 정보로 부터 긴급상황인지 정상 상황인지를 판단한다(S417). 상기 긴급상황은 응급상황 및 지역 이탈 상황으로 구분되며, 응급상황은 상기 헬스케어 정보의 생체 신호 정보들의 분석에 의한 응급상황 및 사용자의 응급키 입력에 의한 응급상황으로 구분된다. 예를 들어, 생체신호 및 운동량 정보를 근거로 한 긴급상황은 하기 표 1과 같이 사용자 긴급상황에 따라 다수의 레벨로 구분될 수 있다.
사용자 응급 상황 구분 응급레벨 근거 정보
1 심장마비 1 맥박/체온/실내온/운동량
2 사용자에 의한 호출 1 호출정보
3 고열 발생 2 맥박/체온/실내온/운동량
4 저체온 2 맥박/체온/실내온/운동량
5 맥박변화율 2 누적 맥박/체온/실내온/운동량
6 체온변화율 2 누적 맥박/체온/실내온/운동량
7 실내/실외에 오래 거주 3 위치정보/운동량
8 대기온도 적정 범위 초과 3 위치정보/실내온도
9 위치 이탈 3 위치정보/운동량
10 야간 침소 이탈 4 위치정보/운동량
그리고 지역 이탈 상황은 사용자 영역 이탈과 유비쿼터스망 영역 이탈 상황으로 구분된다. 즉, 사용자 영역 이탈은 유비쿼터스망 영역 내에서 사용자에게 할당된 영역(예: 실버타운의 사용자 방)으로 정해진 시간대에 일정 시간 이상 사용자 영역을 벗어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이고, 유비쿼터스망 영역 이탈은 사용자 단말(100)이 유비쿼터스망 영역, 예를 들면, 실버타운, 병원 등을 이탈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이다. 상기 지역 이탈 상황 판단은 도 5 및 도 6에서 상세한다.
긴급상황으로 판단되면 정합제어 서버(300)는 상기 표 1과 사용자 응급 상황에 대해 사용자가 직접 수행할 수 있는 응급처치 요령 정보를 포함한 긴급 안내메시지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고 상기 긴급상황 메시지를 응급상황 레벨에 따라 관리자 단말(250) 및/또는 전문기관의 관리자 단말(600) 및 헬스케어 서버(400)로 송신한다(S419, S421). 예를 들어, 심장마비 긴급상황이면 정합제어 서버(300)는 관리자 단말(250)과 전문기관의 관리자 단말(600) 모두로 긴급상황 메시지를 송신하고, 사용자 호출이면 관리자 단말(250)로만 긴급 상황 메시지를 송신한다. 상기 긴급상황 메시지에 송신 후, 관리자 단말(250)로부터 긴급 상황 메시지가 수신되면 정합제어 서버(300)는 전문기관의 관리자 단말(600)로 긴급상황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정상 상황이면 정합제어 서버(300)는 상기 S419, S421에서 위치정보를 판단하고, 해당 사용자에 대한 상기 위치정보의 위치에 대한 안내 메시지가 있는지를 검사한 후, 상기 위치에 대한 안내메시지가 있으면 사용자 단말(100)로 안내 메시지를 송신하고, 제2헬스케어 정보 메시지를 헬스케어 서버(400)로 전송한다. 상기 안내 메시지는 식당, 헬스장 등의 위치에 대한 식이요법 및 건강요법 등의 메시지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제2헬스케어 정보 메시지를 수신한 헬스케어 서버(400)는 상기 제2헬스케어 정보를 분석하여 해당 사용자에 대한 건강상태정보를 갱신하며, 건강상태에 따른 식이요법 및 건강요법 등을 갱신한다.
또한, 정합제어 서버(300)는 상기 긴급상황이 발생한 사용자의 보호자에게 긴급상황 메시지를 통보한다(S425). 상기 긴급상황 메시지는 SMS 메시지로 송신될 수도 있고, ARS(500)를 통한 음성 메시지로 송신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비쿼터스망을 이용한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의 정합제어 서버에서의 사용자 영역 이탈 판단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정합제어 서버(300)는 임의의 고정 게이트웨이(210)로부터 임의의 사용자 단말(100)의 헬스케어정보, 즉 제2헬스케어 정보 메시지가 수신되는지를 검사한다(S411).
제2헬스케어 정보 메시지가 수신되면 정합제어 서버(300)는 제2헬스케어 정보 메시지로부터 위치정보를 검출하고(S413), 검출된 위치가 사용자 영역인지를 판단한다(S415). 상기 사용자 영역은 도 2에서의 사용자가 거주하는 방 등이 될 수 있다.
판단 결과, 검출된 위치가 사용자 영역이 아니면 정합제어 서버(300)는 현재 시각이 취침시각인지를 판단하고(S417), 취침시간이면 해당 고정 게이트웨이(210)로 더 짧은 간격으로 위치정보를 송신할 것을 요청한다(S419).
상기 위치정보 송신 후, 정합제어 서버(300)는 위치정보가 수신되는지를 검사하고(S421), 위치정보가 수신되면 사용자 영역으로 돌아왔는지를 판단한다(S422).
판단 결과, 사용자가 자신의 사용자 영역으로 돌아오지 않았으면, 정합제어 서버(300)는 사용자 영역을 일정 시간 이상 벗어났는지를 판단하고(S423), 일정 시간 벗어났으면 사용자 영역 이탈로 판단하고 긴급상황을 경보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영역 이탈 상황 판단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도 6을 참조하면, 우선, 정합제어 서버(300)는 임의의 고정 게이트웨이(210)로부터 임의의 사용자 단말(100)의 헬스케어정보, 즉 제2헬스케어 정보 메시지가 수신되는지를 검사한다(S511).
제2헬스케어 정보 메시지가 수신되면 정합제어 서버(300)는 위치정보를 검출하고(S513), 상기 제2헬스케어 정보 메시지를 송신한 사용자 단말(100), 즉 사용자가 유비쿼터스망 영역(202)의 경계에 있는지를 판단한다(S515).
판단 결과, 유비쿼터스망 영역(202)의 경계에 사용자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정합제어 서버(300)는 더 짧은 간격으로 위치정보를 송신할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고정 게이트웨이(210)들로 송신한다(S517). 다시 말하면, 정합제어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이 유비쿼터스망 영역(202)의 경계 지역에 설치된 고정 게이트웨이(210)에 위치가 등록되어 있으면 더 짧은 간격으로 위치정보를 송신할 것을 요청한다.
상기 요청 후, 정합제어 서버(300)는 상기 사용자 단말(100)에 대한 위치정보가 일정 시간 내에 수신되는지를 검사한다(S519, S521).
상기 시간 내에 위치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정합제어 서버(300)는 상기 사용자 단말(100)이 유비쿼터스망 영역(202)을 이탈한 것으로 추정하고, 긴급상황으로 판단하여 긴급상황 경보를 발생한다(S523).
상기 도 6에서는 사용자가 유비쿼터스망 영역(202)의 경계에 있을 경우, 고정 게이트웨이(210)가 더 짧은 간격으로 위치정보를 송신하도록 하여 상기 영역을 벗어나는지를 판단하였다. 이는 사용자 단말(100)이 헬스케어 측정을 수행하는 시간 간격이 클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의 위치를 놓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처음부터 고정 게이트웨이(210)가 헬스케어 정보와 별도로 위치정보를 송신하도록 하여 이탈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고, 제2헬스케어 정보 메시지만으로 이탈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전형적인 바람직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임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에 의한 실시가 이하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비쿼터스망을 이용한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비쿼터스망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비쿼터스망을 이용한 헬스케어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절차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비쿼터스망을 이용한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의 정합제어 서버에서의 사용자 영역 이탈 판단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비쿼터스망을 이용한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의 정합제어 서버에서의 유비쿼터스망 영역 이탈 판단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사용자 단말 201: 셀 영역
202: 유비쿼터스망 영역 210 : 고정 게이트웨이
250, 600: 관리자 단말 300: 정합제어 서버
400: 헬스케어 서버

Claims (26)

  1. 사용자 신체에 부착되어 상기 사용자의 다수의 생체 신호들 및 운동량을 측정한 후, 상기 생체 신호들 및 운동량 정보 및 자신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제1헬스케어 정보를 송신하는 사용자 단말들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포함하는 소정의 긴급상황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및 긴급상황에 대한 메시지를 표시하여 경보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과,
    다수의 라우터 노드들이 셀을 형성하는 유비쿼터스망으로 연결되어 유비쿼터스망 영역을 형성하며, 자신의 위치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1헬스케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정보의 수신 시 상기 자신의 위치정보와 상기 헬스케어 정보 및 상기 유비쿼터스망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측정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제2헬스케어 정보를 송신하는 상기 노드인 고정 게이트웨이들과,
    상기 제2헬스케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2헬스케어에 포함된 위치정보에 의한 사용자 단말의 위치, 생체 신호들 및 운동량을 저장/관리하고, 상기 사용자가 긴급상황에 있는지를 판단하고 긴급상황이면 상기 긴급상황 메시지를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정합제어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망을 이용한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비쿼터스망을 형성하는 고정 게이트웨이는 지그비(Zigbee) 프로토콜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지그비 무선 송수신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망을 이용한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합제어 서버가, 상기 제2헬스케어 정보를 유무선망으로 더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들 각각에 대한 식별정보 및 상기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 건강상태별 운동요법 및 식이요법 정보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제2헬스케어 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사용자 단말들의 사용자들에 대한 건강상태 및 운동량에 따른 식이요법/운동요법 및 건강 추이를 웹사이트를 통해 제공하는 헬스케어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망을 이용한 렐스케어 서비스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단말이 상기 유비쿼터스망 내에서 상기 고정 게이트웨이를 통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망을 이용한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단말이 유무선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전문기관의 단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망을 이용한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합제어 서버가 상기 긴급상황 발생 시 유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긴급상황이 발생한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에 대한 외부 보호자의 보호자 단말로 상기 위치 및 긴급상황을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망을 이용한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 및 긴급상황 메시지가 단문메시지서비스(SMS)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MMS)로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망을 이용한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 및 긴급상황 메시지가 헬스케어 서버에 연결되는 자동응답시스템(ARS)을 통해 음성으로 통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망을 이용한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하여 사용자의 생체 신호들 및 운동량을 측정하여 출력하는 헬스케어 측정부와,
    상기 식별정보 상기 측정된 생체 신호들 및 운동량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식별정보와 생체 신호 및 운동량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1헬스케어 정 보를 무선으로 상기 고정 게이트웨이로 송신하는 무선통신부와,
    생체 신호 측정 및 운동량 측정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헬스케어 측정부를 제어하여 생체 신호들 및 운동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 후, 상기 제1헬스케어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망을 이용한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헬스케어 측정부는,
    맥박을 측정하는 맥박 측정기와,
    심전도를 측정하는 심전도 측정기와,
    피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피도 온도 측정기와,
    외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외부온도 측정기와,
    상기 사용자의 운동량을 측정하는 운동량 측정기와,
    전기 전도도를 측정하는 전기 전도도 측정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망을 이용한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운동량에 의해 소모된 칼로리를 계산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한 후, 상기 제1헬스케어 정보에 상기 칼로리 정보를 더 포함하여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망을 이용한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합제어 서버는,
    제2헬스케어 정보로부터 정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2헬스케어 정보의 사용자 단말 위치에 대응하는 영역을 판단하고, 판단된 영역에 대한 안내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안내 메시지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망을 이용한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음성데이터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음성처리부를 더 구비하되,
    상기 정합제어 서버는 상기 안내 메시지를 음성데이터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안내 메시지를 수신받아 상기 음성처리부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망을 이용한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이 식당이고, 상기 안내 메시지가 식이요법에 대한 정보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망을 이용한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상황 정보가 사용자의 긴급상황 정도에 따라 단계별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망을 이용한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합제어 서버는,
    제2헬스케어 정보의 위치정보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이 미리 정해진 시간대에 사용자 영역을 일정 시간 동안 벗어나는지를 모니터링하고, 일정 시간 이상 상기 사용자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긴급상황으로 판단하여 긴급상황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망을 이용한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합제어 서버는,
    제2헬스케어 정보의 위치정보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이 유비쿼터스망 영역의 경계에 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경계에 있으면 더 짧은 간격으로 위치정보를 송신할 것을 고정 게이트웨이로 요청하고, 일정 시간 이상 위치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긴급상황으로 판단하여 긴급상황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망을 이용한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비쿼터스망 영역이, 실버타운, 학교 또는 병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망을 이용한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
  19. 사용자 단말이 사용자 신체에 부착되어 상기 사용자의 다수의 생체 신호들 및 운동량을 측정한 후, 상기 생체 신호들 및 운동량 정보 및 자신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제1헬스케어 정보를 송신하는 제1과정과,
    상기 고정 게이트웨이가 상기 제1헬스케어 정보를 수신하고, 자신의 위치정보와 상기 정보 및 유비쿼터스망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측정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제2헬스케어 정보를 송신하는 제2과정과,
    정합제어 서버가 상기 제2헬스케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2헬스케어에 포함된 생체 신호들 및 운동량 정보에 의해 상기 사용자가 긴급상황에 있는지를 판단하고 긴급상황이면 상기 긴급상황 메시지를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제3과정과,
    상기 관리자 단말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포함하는 상기 긴급상황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및 긴급상황에 대한 메시지를 표시하여 경보하는 제4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망을 이용한 헬스케어 서비스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정합제어 서버가 상기 긴급상황 발생 시 유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긴급상황이 발생한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에 대한 외부 보호자의 보호자 단말로 상기 위치 및 긴급상황을 통지하는 제6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망을 이용한 헬스케어 서비스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 및 긴급상황은 단문메시지서비스(SMS) 또는 멀티미디어메시지(MMS)로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망을 이용한 헬스케어 서비스 방법.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 및 긴급상황 메시지는 헬스케어 서버에 연결되는 자동응답방법(ARS)을 통해 음성으로 통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망을 이용한 헬스케어 서비스 방법.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운동량에 의해 소모된 칼로리를 계산하여 상기 제1헬스케어 정보에 상기 칼로리 정보를 더 포함하여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망을 이용한 헬스케어 서비스 방법.
  24.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상황 정보가 사용자의 긴급상황 정도에 따라 단계별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망을 이용한 헬스케어 서비스 방법.
  25.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정합제어 서버는,
    제2헬스케어 정보의 위치정보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이 미리 정해진 시간대에 사용자 영역을 일정 시간 동안 벗어나는지를 모니터링하고, 일정 시간 이상 상기 사용자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긴급상황으로 판단하여 긴급상황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망을 이용한 헬스케어 서비스 방법.
  26.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정합제어 서버는,
    제2헬스케어 정보의 위치정보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이 유비쿼터스망 영역의 경계에 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경계에 있으면 더 짧은 간격으로 위치정보를 송신할 것을 고정 게이트웨이로 요청하고, 일정 시간 이상 위치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긴급상황으로 판단하여 긴급상황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망을 이용한 헬스케어 서비스 방법.
KR1020090005895A 2009-01-23 2009-01-23 유비쿼터스망을 이용한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0255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5895A KR101025578B1 (ko) 2009-01-23 2009-01-23 유비쿼터스망을 이용한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CT/KR2009/006798 WO2010085033A2 (ko) 2009-01-23 2009-11-18 유비쿼터스망을 이용한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5895A KR101025578B1 (ko) 2009-01-23 2009-01-23 유비쿼터스망을 이용한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6596A true KR20100086596A (ko) 2010-08-02
KR101025578B1 KR101025578B1 (ko) 2011-03-28

Family

ID=42356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5895A KR101025578B1 (ko) 2009-01-23 2009-01-23 유비쿼터스망을 이용한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25578B1 (ko)
WO (1) WO2010085033A2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TO20110160A1 (it) * 2011-02-24 2012-08-25 Sisvel Technology Srl Procedimento e sistema di localizzazione indoor per terminali mobili in una rete di telecomunicazione mobile cellulare e relativo terminale mobile.
KR101462639B1 (ko) * 2013-05-10 2014-12-01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소방관 위치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150100789A (ko) * 2012-12-18 2015-09-02 릴리 브루스 코니 보안 헬스케어 관리 및 통신 시스템
KR101633588B1 (ko) * 2015-07-24 2016-06-29 전성훈 웨어러블 헬스케어 안전벨트
US9930703B2 (en) 2015-05-07 2018-03-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operating method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KR102560262B1 (ko) * 2023-01-02 2023-07-27 주식회사 애스크밀리언스 돌봄 노인 건강 모니터링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1316599B2 (en) 2010-10-12 2018-09-20 Smith & Nephew, Inc. Medical device
CN102932385B (zh) * 2011-08-09 2017-10-1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泛在终端的业务处理方法及装置
KR101412610B1 (ko) 2012-05-21 2014-06-27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건강 관리 스마트 시스템
AU2014236701B2 (en) 2013-03-14 2018-07-19 Smith & Nephew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pplying reduced pressure therapy
US9737649B2 (en) 2013-03-14 2017-08-22 Smith & Nephew,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pplying reduced pressure therapy
US10155070B2 (en) 2013-08-13 2018-12-18 Smith & Nephew,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pplying reduced pressure therapy
KR101624958B1 (ko) * 2014-10-23 2016-05-27 주식회사 케이에스에너지세이빙 사회 안전망 신호 중계장치, 방법 및 그 시스템
WO2017062042A1 (en) 2015-10-07 2017-04-13 Smith & Nephew,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pplying reduced pressure therapy
JP2019514591A (ja) 2016-05-13 2019-06-06 スミス アンド ネフュ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陰圧創傷療法システムにおける自動化創傷結合検出
WO2018064077A2 (en) 2016-09-29 2018-04-05 Smith & Nephew, Inc. Construction and protection of components in 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systems
KR101893022B1 (ko) * 2016-12-08 2018-08-30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대기가 불필요한 맞춤형 프리미엄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JP7063912B2 (ja) 2017-03-07 2022-05-09 スミス アンド ネフュ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アンテナを含む減圧療法システム及び方法
WO2019014141A1 (en) 2017-07-10 2019-01-17 Smith & Nephew,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ACTING DIRECTLY WITH A COMMUNICATION MODULE OF A WOUND PROCESSING APPARATUS
GB201820668D0 (en) 2018-12-19 2019-01-30 Smith & Nephew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elivering prescribed wound therapy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8178B2 (ja) * 1995-05-30 2001-02-26 京セラ株式会社 医療情報無線伝送システム
KR20050102321A (ko) * 2004-04-21 2005-10-26 정창진 건강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KR20060045404A (ko) * 2004-09-01 2006-05-17 주식회사 케이티 유비쿼터스 네트워킹 기술 기반하에 온/오프라인 서비스를연계한 헬스케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09713B1 (ko) * 2005-12-12 2012-12-07 (주)휴비딕 홈 헬스 케어 시스템
KR100883744B1 (ko) * 2006-05-24 2009-02-13 주식회사 케이티 Wpan을 기반으로 하는 홈 헬스 케어 시스템
KR100813166B1 (ko) * 2006-08-07 2008-03-17 남승리 건강 상태 관리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914633B1 (ko) * 2007-07-03 2009-09-02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환자 맞춤형 건강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TO20110160A1 (it) * 2011-02-24 2012-08-25 Sisvel Technology Srl Procedimento e sistema di localizzazione indoor per terminali mobili in una rete di telecomunicazione mobile cellulare e relativo terminale mobile.
WO2012114304A1 (en) * 2011-02-24 2012-08-30 Sisvel Technology S.R.L. Indoor locating mobile terminals in a mobile cellular telecommunication network
US10136264B2 (en) 2011-02-24 2018-11-20 Sisvel Technology S.R.L. Indoor locating mobile terminals in a mobile cellular telecommunication network
KR20150100789A (ko) * 2012-12-18 2015-09-02 릴리 브루스 코니 보안 헬스케어 관리 및 통신 시스템
KR101462639B1 (ko) * 2013-05-10 2014-12-01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소방관 위치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US9930703B2 (en) 2015-05-07 2018-03-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operating method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KR101633588B1 (ko) * 2015-07-24 2016-06-29 전성훈 웨어러블 헬스케어 안전벨트
KR102560262B1 (ko) * 2023-01-02 2023-07-27 주식회사 애스크밀리언스 돌봄 노인 건강 모니터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5578B1 (ko) 2011-03-28
WO2010085033A2 (ko) 2010-07-29
WO2010085033A9 (ko) 2010-11-04
WO2010085033A3 (ko) 2010-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5578B1 (ko) 유비쿼터스망을 이용한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813166B1 (ko) 건강 상태 관리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방법
US10433788B2 (en) Earpiece life monitor with capability of automatic notification system and method
US9384651B2 (en) Clinic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Lv et al. iCare: a mobile health monitoring system for the elderly
Huo et al. An elderly health care system using wireless sensor networks at home
US10223894B2 (en) Monitor worn by user for providing hygiene habits indication
Bhagchandani et al. IoT based heart monitoring and alerting system with cloud computing and managing the traffic for an ambulance in India
JP5877528B2 (ja) 自動通報システム
US20160260310A1 (en) Remote monitoring system
KR101897236B1 (ko) 스마트밴드를 이용한 실시간 사고예방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스마트밴드
KR102268429B1 (ko) 스마트 밴드형 체온계를 이용한 실시간 체온측정 및 위치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질병 진단이 가능한 체온 정보 시스템
Scanaill et al. Long-term telemonitoring of mobility trends of elderly people using SMS messaging
WO2016006536A1 (ja) 遠隔健康管理システム
KR20080109371A (ko) 응급 구조구난 시스템
CN106408872A (zh) 一种医院护理智能呼叫系统
KR20070050549A (ko) 휴대폰을 이용한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KR20170121617A (ko) 사물인터넷 기반 독거노인 관리 시스템
KR101894906B1 (ko) 헬프트리거를 소지한 실버 세대를 위한 개인응급 응답시스템
US20170249823A1 (en) System for Tracking Wellness and Scheduling of Caregiving
Mwangi et al. An IoT-alert system for chronic asthma patients
KR101997225B1 (ko) 노약자 안심케어 시스템
US9349268B2 (en) TNT-medical alert system
US20240122482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the State of Health of a Person
Rohankumar et al. A smart health care eco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