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6348A - 회의시스템 제공방법 및 회의시스템용 통신장치 - Google Patents

회의시스템 제공방법 및 회의시스템용 통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6348A
KR20100086348A KR1020090005668A KR20090005668A KR20100086348A KR 20100086348 A KR20100086348 A KR 20100086348A KR 1020090005668 A KR1020090005668 A KR 1020090005668A KR 20090005668 A KR20090005668 A KR 20090005668A KR 20100086348 A KR20100086348 A KR 201000863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onference
business card
communication
re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5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전
전정호
Original Assignee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05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86348A/ko
Publication of KR201000863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63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7Communication arrangements, e.g. identifying the communication as a video-communication, intermediate storage of th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2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local intradevice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7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interrog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 H04N2007/145Handheld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회의시스템 제공방법 및 회의시스템용 통신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회의시스템 제공방법은 사용자의 통신장치가 명함장치로부터 명함주의 명함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통신장치가 상기 사용자로부터 회의 레코딩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회의 레코딩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통신장치는 상기 사용자와 상기 명함주의 회의에 관련된 음성정보 또는 동영상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레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회의시스템 제공방법 및 회의시스템용 통신장치{Method for providing conference system and communication terminal for the conference system}
본 발명은 회의시스템 제공방법 및 회의시스템용 통신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통신장치(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회의의 내용을 간략히 레코딩(recording)하고, 언제 어디서나 레코딩된 회의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사람들은 사회활동 또는 업무와 관련하여 많은 사람들로부터 명함을 받거나 줌으로써 자신을 소개한다. 주고받는 명함에는 명함주인(이하, '명함주')의 개인적인 연락처뿐만 아니라 직업, 직장, 심지어는 학력 등이 기재되어 있을 수 있다. 이처럼 명함을 이용하여 사람들은 자신을 소개하고 알리며 자신에게 연락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곤 한다. 이처럼 명함을 주고받는 문화는 널리 퍼져 있고, 받은 명함을 분류하기 위한 명함분류장치까지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전자태그와 같이 간단한 정보를 저렴한 가격으로 기록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 및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예컨대, RFID 태그에는 각종 정보를 저장하고 RFID 리더장치로 RFID 태그에 기록된 정보를 읽을 수 있는 방법이 널리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장치들의 개발 및 개선에 따라 앞으로는 명함도 명함정보를 저장하는 전자태그를 이용한 전자명함으로 대체될 여지가 있다.
한편, 사람들은 사회활동 또는 업무와 관련하여 많은 회의를 하곤 한다. 그리고 사람들은 회의의 내용을 회의가 마치고 나서도 다시 복기할 필요성을 많이 느낀다. 종래에는 이를 위해 별도의 녹음기(녹음장치)를 사용하여 회의의 진행중에 오고 갔던 음성 정보등을 녹음하여, 나중에 이를 활용하곤 하였다. 하지만 종래에 방법은 별도의 녹음기가 필요하고, 녹음된 음성 정보가 언제 어디서 누구와 진행한 회의에 관련된 정보인지를 일일히 수작업으로 분류하여 보관하였다. 또한, 녹음된 정보를 특정 저장장치(예컨대, 카세트 테이프 또는 컴퓨터 등)에 저장하여 두었으므로 상기 저장장치를 보유하고 있거나, 상기 저장장치가 있는 곳에 가야지만 녹음된 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를 레코딩할 수 있는 통신장치와 전자 명함을 이용하여 회의의 진행에 관련된 정보를 레코딩할 수 있고, 레코딩 된 정보들을 전자 명함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분류하여 언제 어디서나 레코딩 된 정보에 접근하여 레코딩된 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방법 및 그 장치가 요구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전자명함 및 사용자가 보편적으로 휴대하고 다니는 통신장치를 이용해 별도의 레코딩 장치가 없이도 회의의 내용을 레코딩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레코딩 된 내용을 명함정보 즉, 명함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레코딩 된 정보가 소정의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망에 존재하는 저장장치에 저장이 되도록 하여, 사용자는 통신망에만 접근하면 언제 어디서든 상기 레코딩 된 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회의시스템 제공방법은 사용자의 통신장치가 명함장치로부터 명함주의 명함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통신장치가 상기 사용자로부터 회의 레코딩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회의 레코딩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통신장치는 상기 사용자와 상기 명함주의 회의에 관련된 음성정보 또는 동영상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레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회의시스템 제공방법은 상기 통신장치가 레코딩된 상기 음성정보 또는 상기 동영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명함정보를 포함하는 회의기록정보를 회의정보 저장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의시스템 제공방법은 상기 회의정보 저장장치가 상기 사용자에 대한 정보, 상기 명함정보의 적어도 일부 또는 회의기록정보에 상응하는 시간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회의기록정보를 분류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의시스템 제공방법은 상기 회의정보 저장장치에 접속가능한 데이터 처리장치로부터 상기 회의정보 저장장치가 회의기록정보 전송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상기 회의기록정보 전송요청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음성정보 또는 상기 동영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데이터 처리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의시스템 제공방법은 상기 회의정보 저장장치가 상기 데이터 처리장치로부터의 회의기록리스트 전송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명함정보 중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회의기록정보에 상응하는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회의기록리스트를 상기 데이터 처리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회의정보 저장장치는 전송된 상기 회의기록리스트에 기초하여 상기 회의기록정보 전송요청신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명함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통신장치가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명함장치로부터 상기 명함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통신장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단말기일 수 있다.
상기 명함장치는 NFC 단말기 또는 RFID 태그를 포함하는 명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의시스템 제공방법은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회의시스템용 통신장치는 명함주의 명함정보를 포함하는 명함장치로부터 상기 명함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 상기 명함주와 사용자의 회의에 관련된 음성정보 또는 동영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레코딩하기 위한 레코딩 모듈, 및 제어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회의 레코딩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회의 레코딩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음성정보 또는 상기 동영상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레코딩하도록 상기 레코딩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회의시스템용 통신장치는 레코딩된 상기 음성정보 또는 상기 동영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명함정보를 포함하는 회의기록정보를 회의정보 저장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은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명함장치로부터 상기 명함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회의시스템 제공방법 및 회의시스템용 통신장치는 사용자가 보편적으로 휴대하고 다니는 통신장치를 이용해 별도의 레코딩 장치가 없이도 회의의 내용을 간편히 레코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레코딩 된 내용을 명함정보를 이용하여 레코딩된 정보를 사용자가 일일히 수작업으로 분류할 필요가 없어, 회의가 많은 사용자도 간편히 회의별로 레코딩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레코딩 된 정보는 통신망을 통해 언제 어디서든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므로, 정보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는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를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도 있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직접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지 않고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상기 데이터가 전송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회의시스템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데이터 흐름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회의시스템은 명함장치(100, 100-1), 통신장치(200), 및 회의정보 저장장치(300)를 포함한다. 상기 회의시스템은 데이터 처리장치(40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명함장치(100, 100-1)는 적어도 명함정보를 저장하는 모든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태그를 부착한 종이명함(100) 또는 RFID 태그 기능을 갖는 무선단말기(100-1) 등이 상기 명함장치(100, 100-1)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명함장치(100, 100-1)의 구현 예는 상기 통신장치(200)와 상기 명함장치(100, 100-1)의 통신방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명함정보라 함은 명함주의 성명, 주소, 연락처(예컨대, 모바일 번호, 사무실 번호, 또는 팩스 번호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직업, 직장, 직급 등에 대한 정보들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장치(200)와 상기 명함장치(100, 100-1)는 비접촉식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명함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통신장치(200)와 상기 명함장치(100, 100-1)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시스템(태그 및 리더장치), 블루투스(bluetooth),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에서 정의되는 적외선 데이터 통신 등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RFID 시스템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명함을 이용한 회의시스템 제공방법은 사용자의 통신장치(200)가 명함장치(100, 100-1)로부터 명함주의 명함정보를 수신한다(S100).
또한, 상기 통신장치(200)는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수신된 명함정보 중에서 사용자가 필요한 정보만을 상기 통신장치(200)가 저장하거나, 필요한 정보를 더 입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상기 통신장치(200)로 상기 명함장치(100, 100-1)를 태깅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통신장치(200)에는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이 자동으로 로딩(실행)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에는 수신된 명함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된 명함정보를 수정할 수 있는 소정의 UI(User Interface)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UI를 통해 명함 정보 중 필요한 정보만을 추출하거나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더 추가할 수 있다(S110).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통신장치(200)가 상기 명함장치(100, 100-1)를 태깅한 시간에 대한 정보를 자동으로 상기 명함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
예컨대, 명함장치(100)는 RFID 태그를 부착한 명함일 수 있다. 상기 RFID 태그는 어떻게 동력을 공급받는가에 따라 수동적 태그(passive tag), 반능동적 태그(semi-active tag) 및 능동적 태그(Active tag)로 구분되는데, 이는 배터리 등에 의해 내부적으로 동력을 공급받는지, 또는 외부의 RF 신호에 의해 유발되는지에 따라 달라진다. 본 발명에서 상기 RFID 태그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할 수 있으며 명함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면 수동적 태그, 반능동적 태그, 또는 능동적 태그 중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 가능하다.
상기 통신장치(200)는 RFID 리더장치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통신장치(200)는 무선단말기에 종래의 RFID 리더기를 부착하거나 RFID 리더 기능을 가지는 모든 모바일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상기 통신장치(200)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단말기일 수 있다.
NFC 통신이라 함은, 근접 무선 통신 기술로서, 약 20cm 내외의 거리에서 디바이스 간의 통신을 할 수 있는 기술을 의미한다. 상기 NFC 통신은 자기장 유도를 이용하여 가능하게 되는데, 주로 13.56MHz의 RF(Radio Frequency) 대역을 사용하며, 최근에는 424kbits/s 의 통신속도를 낼 수도 있다.
NFC 단말기는 이러한 NFC 통신기술을 이용하는 단말기를 말하는데, 주로 모바일 디바이스(특히, NFC 기능을 갖춘 핸드폰, PDA 등)일 수 있다. 상기 NFC 단말 기는 주로 3가지의 유형으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상기 NFC 단말기는 비접촉식 카드와 같은 카드 에뮬레이션 모드, RFID 태그 등의 리더기로 사용될 수 있는 리더 모드, 또는 둘 이상의 NFC 단말기간의 통신이 가능한 P2P 모드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명함장치(100-1)와 통신장치(200) 모두 NFC 단말기 일 수도 있으며 이때 상기 명함장치(100-1)와 통신장치(200)는 P2P 모드로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NFC 단말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NFC 포럼에 널리 공지되어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통신장치(200)는 상기 명함정보를 상기 명함장치(100 또는 100-1)로부터 수신하면, 사용자가 상기 명함정보에 상응하는 명함주와 회의를 할 것인지 여부 또는 회의를 하더라도 레코딩을 할지 여부 등을 확인하기 위해 소정의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통신장치(200)가 녹음(또는 동영상 녹화)기능을 갖는 경우라면, 상기 통신장치(200)는 상기 통신장치(20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화 내용을 녹음(녹화)하시겠습니까?"라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러면, 디스플레이된 메시지에 응답하여 사용자는 회의 레코딩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S110). 상기 회의 레코딩 신호는 상기 메시지와 더불어 디스플레이 되는 "예"라는 버튼을 선택함으로써 상기 통신장치(200)에 입력될 수 있다.
상기 회의 레코딩 신호가 입력되면(S110), 상기 통신장치(200)는 회의 내용을 레코딩 즉, 녹음 또는 녹화할 수 있다(S120). 예컨대, 상기 통신장치(200)가 녹음 기능 만을 갖는 경우라면, 회의에서 진행되는 음성정보가 잘 녹음될 수 있도록 상기 통신장치(200)가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통신장치(200)가 녹화 기능을 갖는 경우라면, 필요한 동영상정보를 녹화할 수 있는 위치에 상기 통신장치(200)가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코딩된 정보는 상기 명함정보와 함께 상기 통신장치(200)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레코딩된 정보 및 상기 명함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회의기록정보로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통신장치(200)에 저장된 상기 회의기록정보는 명함정보에 의해 분류되어 저장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언제든지 명함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장치(200)에 저장된 상기 레코딩된 정보를 검색하여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의기록정보에는 상기 회의기록정보에 상응하는 시간 정보 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회의기록정보에 상응하는 시간 정보는 통신장치(200)가 상기 명함장치(100 또는 100-1)로부터 명함정보를 수신한 시간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 상기 시간정보는 레코딩이 시작된 시간에 대한 정보 또는 레코딩이 끝난 시간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결국, 상기 시간정보는 상기 회의에 관련된 시간을 나타낼 수 있는 시간정보이면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 상기 시간정보가 상기 회의기록정보에 포함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명함정보 뿐만 아니라 시간에 대한 정보에 따라 회의기록정보를 검색하여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회의시스템 제공방법에 의하면, 상기 통신장치(200)에 회의기록정보가 자동으로 저장되어 분류되는 것 뿐만 아니라, 유무선 통신망에 존재할 수 있는 회의정보 저장장치(300)에 자동으로 저장되어 분류되는 기술적 사상을 더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언제든지 상기 회의정보 저장 장치(300)에 접속만하면 자신이 레코딩한 회의기록정보를 명함주, 시간정보, 또는 자신의 정보를 이용하여 검색하고, 검색된 정보를 상기 회의정보 저장장치(300)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통신장치(200)에 저장되는 회의기록정보는 상기 회의정보 저장장치(300)로 전송될 수 있다(S130). 그러면 전송된 상기 회의기록정보는 상기 회의정보 저장장치(300)에 저장될 수 있다. 저장된 상기 회의기록정보는 상기 명함정보의 적어도 일부 또는 회의기록정보에 상응하는 시간정보 중 적어도 일부에 기초하여 분류되어 저장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회의정보 저장장치(300)에는 상기 사용자에 대한 계정 또는 저장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통신장치(200)로부터 상기 회의기록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회의정보 저장장치(300)는 상기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더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에 대한 정보는 예컨대, 통신장치의 단말기 번호, 전화번호, 또는 사용자의 식별정보(주민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의정보 저장장치(300)는 상기 사용자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회의기록정보를 상기 사용자에 상응하는 상기 계정 또는 상기 저장공간에 저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회의정보 저장장치(300)는 상기 회의기록정보를 분류하기 위해 상기 회의기록정보에 저장된 명함정보를 이용할 수도 있으며, 회의기록정보에 상응하는 시간정보를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컨대, 상기 회의기록정보에 상기 시간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회의기록정보에 상응하는 시간정보는 상기 회의정보 저장장치(300)가 상기 회의기록정보를 수신한 시간이 상기 회의기록정보에 상응하는 시간정보가 될 수 있다.
그 후, 사용자는 데이터 처리장치(400)를 이용하여 상기 회의정보 저장장 치(300)에 접속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처리장치(400)는 상기 통신장치(200)일 수도 있으며, 별도의 장치일 수도 있다. 상기 데이터 처리장치(400)는 유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회의정보 저장장치(300)에 접속할 수 있으며, 상기 회의정보 저장장치(300)와 소정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장치이면 그 종류와 형태에 구애되지 않을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데이터 처리장치(400)는 컴퓨터, PDA, 노트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처리장치(400)는 상기 회의정보 저장장치(300)에 접속하여 소정의 회의기록리스트 전송요청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140). 상기 회의기록리스트 전송요청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회의정보 저장장치(300)는 회의기록리스트를 상기 데이터 처리장치(400)로 전송할 수 있다(S150). 상기 회의기록리스트에는 상기 명함정보 중 적어도 일부 및/또는 상기 회의기록정보에 상응하는 시간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회의기록리스트에 포함된 정보들을 보고 자신이 원한느 회의기록정보를 전송요청할 수 있다(S160).
상기 회의정보 저장장치(300)가 상기 회의기록정보의 전송요청을 수신하면(S160), 상기 회의정보 저장장치(300)는 상기 회의기록정보에 상응하는 레코딩 된 정보 즉, 녹음된 영상정보 및/또는 녹화된 동영상 정보를 상기 데이터 처리장치(400)로 전송할 수 있다. 물론 상기 회의정보 저장장치(300)는 상기 명함정보 중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시간정보를 상기 데이터 처리장치(400)로 더 전송할 수도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회의시스템 제공방법에 의하면 사용자는 자신이 보편적으로 휴대하고 있는 통신장치(200)를 통해 간단히 회의와 관련된 정보를 레코딩할 수 있으며, 레코딩된 정보는 자동으로 분류될 수 있다. 또한, 레코딩된 정보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회의정보 저장장치(300)로 전송되어, 언제 어디서든 상기 회의정보 저장장치(300)에 접속만 하면 레코딩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회의시스템 제공방법을 위한 회의시스템용 통신장치의 개략적인 기능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회의시스템용 통신장치(200)는 제어모듈(210), 통신모듈(220), 및 레코딩 모듈(2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장치(200)의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기능 및 논리적으로 분리될 수 있음을 나타나기 위해 별도로 도면에 표시한 것이며, 물리적으로 반드시 별도의 구성요소이거나 별도의 코드로 구현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통신장치(200)에 포함된 소정의 모듈이라 함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상기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모듈은 소정의 코드와 상기 소정의 코드가 수행되기 위한 하드웨어 리소스의 논리적인 단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연결된 코드를 의미하거나, 한 종류의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님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에게는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1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통신장치(200)의 소정의 다른 구성요소들(예컨대, 통신모듈(220), 레코딩 모듈(230) 등) 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210)은 도 1에서 설명한 상기 통신장치(200)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통신장치(200)의 일련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통신모듈(220)은 명함주의 명함정보를 포함하는 명함장치(100 또는 100-1)부터 상기 명함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통신장치(200)은 상기 통신장치(200)의 본연의 통신모듈(미도시)과는 별도의 통신모듈일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통신장치(200)가 CDMA 통신을 수행하는 모바일 단말기라면, 상기 통신모듈(220)은 상기 CDMA 통신을 위한 통신모듈(미도시)과는 별개의 근거리 무선통신(예컨대, NFC 통신)을 위한 통신모듈(220)일 수 있다.
상기 레코딩 모듈(230)은 상기 명함주와 사용자의 회의에 관련된 음성정보 또는 동영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레코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레코딩 모듈(230)은 종래의 녹음기능을 위한 소정의 녹음모듈(미도시) 및/또는 동영상 녹화기능을 위한 녹화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녹음 모듈(미도시) 및 상기 녹화모듈(미도시)의 구성은 널리 공지되어 있으며, 상기 녹음 모듈(미도시) 및/또는 상기 녹화모듈(미도시)의 구성은 본 발명의 본질적인 기술적 사상은 아니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제어모듈(210)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회의 레코딩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회의 레코딩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음성정보 또는 상기 동영상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레코딩하도록 상기 레코딩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레코딩된 상기 음성정보 또는 상기 동영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명함정보를 포함하는 회의기 록정보를 회의정보 저장장치(40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회의시스템 제공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회의시스템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데이터 흐름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회의시스템 제공방법을 위한 회의시스템용 통신장치의 개략적인 기능 블록도를 나타낸다.

Claims (12)

  1. 사용자의 통신장치가 명함장치로부터 명함주의 명함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통신장치가 상기 사용자로부터 회의 레코딩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회의 레코딩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통신장치는 상기 사용자와 상기 명함주의 회의에 관련된 음성정보 또는 동영상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레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회의시스템 제공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의시스템 제공방법은,
    상기 통신장치가 레코딩된 상기 음성정보 또는 상기 동영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명함정보를 포함하는 회의기록정보를 회의정보 저장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회의시스템 제공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의시스템 제공방법은,
    상기 회의정보 저장장치가 상기 사용자에 대한 정보, 상기 명함정보의 적어도 일부 또는 회의기록정보에 상응하는 시간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회의기록정보를 분류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회의시스템 제공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회의시스템 제공방법은,
    상기 회의정보 저장장치에 접속가능한 데이터 처리장치로부터 상기 회의정보 저장장치가 회의기록정보 전송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상기 회의기록정보 전송요청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음성정보 또는 상기 동영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데이터 처리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회의시스템 제공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회의시스템 제공방법은,
    상기 회의정보 저장장치가 상기 데이터 처리장치로부터의 회의기록리스트 전송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명함정보 중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회의기록정보에 상응하는 시간정보를 포함하는 회의기록리스트를 상기 데이터 처리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회의정보 저장장치는 전송된 상기 회의기록리스트에 기초하여 상기 회의기록정보 전송요청신를 수신하는 회의시스템 제공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명함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통신장치가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명함장치로부터 상기 명함정보를 수신하는 회의시스템 제공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장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단말기인 전자명함을 이용한 회의시스템 제공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명함장치는,
    NFC 단말기 또는 RFID 태그를 포함하는 명함 중 적어도 하나인 회의시스템 제공방법.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10. 명함주의 명함정보를 포함하는 명함장치로부터 상기 명함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
    상기 명함주와 사용자의 회의에 관련된 음성정보 또는 동영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레코딩하기 위한 레코딩 모듈; 및
    제어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회의 레코딩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회의 레코딩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음성정보 또는 상기 동영상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레코딩하도록 상기 레코딩 모듈을 제어하는 회의시스템용 통신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회의시스템용 통신장치는,
    레코딩된 상기 음성정보 또는 상기 동영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명함정보를 포함하는 회의기록정보를 회의정보 저장장치로 전송하는 회의시스템용 통신 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명함장치로부터 상기 명함정보를 수신하는 회의시스템용 통신장치.
KR1020090005668A 2009-01-22 2009-01-22 회의시스템 제공방법 및 회의시스템용 통신장치 KR201000863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5668A KR20100086348A (ko) 2009-01-22 2009-01-22 회의시스템 제공방법 및 회의시스템용 통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5668A KR20100086348A (ko) 2009-01-22 2009-01-22 회의시스템 제공방법 및 회의시스템용 통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6348A true KR20100086348A (ko) 2010-07-30

Family

ID=42644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5668A KR20100086348A (ko) 2009-01-22 2009-01-22 회의시스템 제공방법 및 회의시스템용 통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8634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2279A (ko) 2014-07-23 2016-02-03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회의 지원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2279A (ko) 2014-07-23 2016-02-03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회의 지원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67641B1 (en) Creation And Management Of Near Field Communications Tags
CN102404444B (zh) 移动终端、电子系统以及使用其传送和接收数据的方法
KR101389208B1 (ko) 전자 장치에서 데이터 통신
JP6193859B2 (ja) Rfidカードの管理方法及び端末
US772873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difying RFID tag data in portable terminal
JP5271703B2 (ja) コンテクスト・センシティブなデータ処理方法
EP2779668A2 (en) Configuration method of a multimedia system
US2020020499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mmunication device, server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2011008048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data transmission method
KR20090119270A (ko) 전자명함을 이용한 sns 서비스 제공방법
KR20100086348A (ko) 회의시스템 제공방법 및 회의시스템용 통신장치
KR101471305B1 (ko) 모바일 결제 상황 자동 레코딩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모바일 단말기
CN106452511A (zh) 基于近场通讯技术的自助游讲解系统及实现方法
KR101014267B1 (ko) 동적 보험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505995B1 (ko) Nfc 지능형 순번 대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번호표 발급방법.
US960069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data transmission/reception in a terminal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CN105095931A (zh) 基于近场通信的读卡方法和装置
US7757008B2 (en) Module-based oper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ortable device
CN106094207B (zh) 虚拟现实系统和虚拟现实眼镜的权限管理方法
KR20060108803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차량 승차시 기능수행방법
WO2017049495A1 (zh) 一种获取用户信息的方法及智能手环
KR20190030818A (ko) 스마트 네임텍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0948966B1 (ko) 무선 태그들을 통합하고 관리하는 장치 및 그 방법
CN108322522A (zh) 基于移动终端的文件共享方法、移动终端及存储介质
KR20150117841A (ko) 사용자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