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6335A -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 Google Patents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6335A
KR20100086335A KR1020090005644A KR20090005644A KR20100086335A KR 20100086335 A KR20100086335 A KR 20100086335A KR 1020090005644 A KR1020090005644 A KR 1020090005644A KR 20090005644 A KR20090005644 A KR 20090005644A KR 20100086335 A KR20100086335 A KR 201000863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ture
dental implant
alveolar bone
screw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5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유성
Original Assignee
(주)수민합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수민합금 filed Critical (주)수민합금
Priority to KR1020090005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86335A/ko
Publication of KR20100086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63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61C8/0024Self-screwing with self-boring cutting ed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8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n additional scre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37Details of the shape
    • A61C2008/0046Textured surface, e.g. roughness, microstruc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부에 환홈이 형성되므로 픽스츄어의 기본적인 기능인 치조골과의 결합성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하면이 피부에 닿는 면적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반구형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므로 환자의 입장에서 보다 안전한 시술을 받을 수 있도록 한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외주연에 형성된 나사부의 나사골 사이로 달라붙는 조골 세포의 골유착에 의해서 치조골에 단단히 고정됨과 동시에 하부 외주연에 형성된 환홈 사이로 유착되는 조골 세포에 의해서 치조골에 더욱 단단히 고정되므로 픽스츄어의 기본적인 기능인 치조골과의 결합성이 더욱 향상되며, 하면이 반구형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피부와의 닿는 면적이 최소화되므로 시술시 신경절단 및 그에 따른 고통을 줄일 수 있어 환자의 입장에서 보다 안전한 시술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픽스츄어, 어버트먼트, 인공치아

Description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Implant fixture for dentistry}
본 발명은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부에 환홈이 형성되므로 픽스츄어의 기본적인 기능인 치조골과의 결합성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하면이 피부에 닿는 면적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반구형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므로 환자의 입장에서 보다 안전한 시술을 받을 수 있도록 한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는 어버트먼트와 더불어 인공치아를 시술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2004-0024622호 및 특허공개번호 제2009-0002387호 등에 소개되어 있다. 이러한, 픽스츄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 외주연에는 치조골에 나사 결합되기 위한 나사부(12)가 형성되어 있고, 상면 가운데 부분에는 일정 깊이로 파여서 형성된 결합홈(14)과 다각홈(16) 및 나사결합공(18)이 상부에서부터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면은 길이방향의 중심축과 직교하는 평면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도면에는 픽스츄어(10)의 상면에 다각홈(16)이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 으나 통상 픽스츄어(10)는 상면의 형상에 따라 두 종류의 나뉜다. 즉, 픽스츄어(10)의 상면 형상에 따라 다각홈(16)이 형성된 "인터널 테이퍼 타입(Internal Taper Type)"과 미도시 하였으나 다각돌출부가 형성된 "익스터널 헥사곤 타입(External Hexagon Type)"으로 나뉘며, 여기서는 대표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인터널 테이퍼 타입"의 픽스츄어(10)를 도시한 것이다.
결국, 어떤 타입을 가지던 종래의 픽스츄어(10)는 도 2의 "a"와 같이 사용된다. 우선, 잇몸(30)의 표피를 필요한 길이로 절개하여 약간 벌린 다음, 환자의 턱뼈에 픽스츄어(10)의 직경보다 약간 작은 직경의 안내 축공을 의료용 드릴로 뚫고 그 안내 축공의 내주벽에 상기 픽스츄어(10)를 나사 결합방식으로 결합하게 된다. 즉, 픽스츄어(10)의 하면을 잇몸(30)에 형성된 축공에 위치시키고, 인터널 테이퍼 타입의 경우에는 상면에 형성된 다각홈(16)으로, 익스터널 헥사곤 타입의 경우에는 다각돌출부에 공구(20)를 결합하여 회전시켜서 환자의 치조골(40)에 결합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일정시간 경과 후 픽스츄어(10)가 치조골(40)에 단단히 고정되면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스츄어(10)의 상부에 어버트먼트(60)를 위치시키고, 나사결합공(18)으로 결합되는 고정나사(50)를 매개로 어버트먼트(60)를 픽스츄어(10)에 결합하게 된다. 그리고, 어버트먼트(60)에 인공치아(70)를 다시 고정시킴으로써 시술을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사용되는 픽스츄어(10)는 외주연에 형성된 나사부(12)의 나사골 사이로 달라붙는 조골 세포의 골유착에 의해서 치조골(40)에 단단히 고정되는데, 그 하부에는 나사부(12)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단순히 테이퍼져 있으므로 장시간 사용하다보면 하부가 흔들리는 문제가 간혹 발생되었다.
이 뿐만 아니라, 종래의 픽스츄어(10)의 가장 큰 단점은 도 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픽스츄어(10)의 하면이 평면 형상을 가지므로 나사 결합방식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그 하면에 닿는 부분의 피부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면을 축으로 회전방향으로 말려들게 되는 것이다.
만약, 픽스츄어(10)의 시술시 그 하면에 치조골(40) 바닥면에 구비되어 있는 신경이 닿게 되면 말려들면서 절단되는 큰 문제가 발생될 수 있는 것이다. 결국, 종래의 픽스츄어(10)는 그 시술 후 결합력이 다소 저하되는 단점과 함께 시술시 환자의 입장에서 안전함이 다소 떨어지는 단점을 지니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기본적인 기능인 치조골과의 결합성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환자의 입장에서 보다 안전한 시술을 받을 수 있도록 한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주연에는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면 가운데 부분에는 다각돌출부 혹은 다각홈이 형성되며, 고정나사가 결합되는 나사결합공이 형성되어져 치조골에 식립되는 것으로, 인공치아를 고정하는 어버트먼트를 결합하는데 사용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에 있어서, 상기 픽스츄어의 하면은 식립시 피부에 닿는 면적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반구형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픽스츄어의 하부 외주연에는 치조골을 이루는 조골 세포의 골유착을 유도하는 틈새를 제공하는 환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픽스츄어의 하부에는 나사 결합이 잘되도록 길이 방향으로 일부 절개된 에치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에 의하면, 외주연에 형성된 나사부의 나사골 사이로 달라붙는 조골 세포의 골유착에 의해서 치조골에 단단히 고정됨과 동시에 하부 외주연에 형성된 환홈 사이로 유착되는 조골 세포에 의해서 치조골에 더욱 단단히 고정되므로 픽스츄어의 기본적인 기능인 치조골과의 결합성이 더욱 향상되며, 하면이 반구형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피부와의 닿는 면적이 최소화되므로 시술시 신경절단 및 그에 따른 고통을 줄일 수 있어 환자의 입장에서 보다 안전한 시술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일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종래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였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의 "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b"는 "a"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사시도이다.
도 3의 "a"와 "b"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Fixture)(100)를 살펴보면, 외주연에는 나사부(11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 가운데 부분에는 어버트먼트(여기서는 미도시)(60)의 하부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홈(112)이 일정 깊이로 파여져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홈(112) 바닥에서 하면으로 일정 깊이 더 파여져 형성된 다각홈(114)과 나사결합공(116)이 순차적으로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다각홈(114)이 형성된 즉, 종래기술에서 언급한 인터널 테이퍼 타입(Internal Taper Type) 대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각돌출부(130)를 형성하여 익스터널 헥사곤 타입(External Hexagon Type)의 픽스츄어(100')를 형성할 수 있음을 인지하여야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픽스츄어(100)의 구성은 종래에도 이미 제안되어 있는 것이므로 별도의 상술은 생략하기로 하며, 하기에서는 본 발명만이 가지는 특징에 대해서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즉, 어떤 타입(인터널 테이퍼 타입, 익스터널 헥사곤 타입)이던 픽스츄어(100,100')의 하면은 반구형 형상으로 돌출 형성됨을 알 수 있는데, 이는 종래의 평면 타입의 하면에서 발생되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제안된 것으로, 즉 피부와 닿는 면적을 최소화하여 회전시 피부가 하면을 축으로 회전되면서 말려드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제안된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픽스츄어(100)의 하부는 하면으로 갈수록 협소해지는 경사를 가지되 하부 즉, 나사부(110)의 하측 끝단과 하면 사이 외주연에는 치조골을 이루는 조골 세포의 골유착을 유도하는 틈새를 제공하는 환홈(12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픽스츄어(100)의 하부에는 나사 결합이 잘되도록 길이 방향으로 일부 절개된 에치부(118)가 추가로 형성된다는 것이다.
이제, 하기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픽스츄어(100)를 환자에게 시술하는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픽스츄어의 시술 과정을 도시한 개략적 종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픽스츄어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 종단면도이다.
우선, 미도시 하였으나 잇몸(30)의 표피를 필요한 길이로 절개하여 약간 벌린 다음, 환자의 턱뼈에 픽스츄어(100)의 직경보다 약간 작은 직경의 안내 축공을 의료용 드릴로 뚫게 된다.
그런 다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스츄어(100)의 하면을 잇몸(30)에 형성된 축공으로 위치시키고, 인터널 테이퍼 타입의 경우에는 상면에 형성된 다각홈(114)으로, 익스터널 헥사곤 타입의 경우에는 다각돌출부(130)에 공구(20)를 결합하여 회전시켜서 환자의 치조골(40)에 결합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픽스츄어(100)의 하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에치부(118)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회전시 더욱 원활하게 치조골 내부로 회전 식립(植立)될 것이다.
그리고, 일정시간 경과 후 픽스츄어(100)가 치조골(40)에 단단히 고정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스츄어(100)의 상부에 어버트먼트(60)를 위치시키고, 나사결합공(116)으로 결합되는 고정나사(50)를 매개로 어버트먼트(60)를 픽스츄어(100)에 단단히 결합하게 된다. 그리고, 어버트먼트(60)에 인공치아(70)를 다시 고정시킴으로써 시술을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사용되는 픽스츄어(100)는 외주연에 형성된 나사부(110)의 나사골 사이로 달라붙는 조골 세포의 골유착에 의해서 치조골(40)에 단단히 고정됨과 동시에 하부 외주연에 형성된 환홈(120) 사이로 유착되는 조골 세포에 의해서 치조골(40)에 더욱 단단히 고정되므로 픽스츄어(100)의 기본적인 기능인 치조골(40)과의 결합성이 더욱 향상되는 것이다.
무엇보다도, 상기 픽스츄어(100)를 치조골(40)에 식립시키기 위해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픽스츄어(100)가 치조골(40)에 형성된 축공의 바닥면에 닿게 되면 그 하면이 반구형 형상을 가지므로 피부(치조골에 형성된 축공의 바닥면)와 닿는 면적이 최소화되어 종래와 달리 피부가 픽스츄어(100)의 하면을 축으로 회전되면서 말려드는 현상이 최소화 될 것이다. 따라서, 치조골(40) 바닥면에 있는 신경이 회전 되는 픽스츄어(100)의 하면에 닿게 되더라도 종래와 달리 쉽게 말려들지 않게 되므로 절단되는 현상을 방지 즉,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픽스츄어(100)의 하부 확대도에 도시된 기준선(g)을 살펴보면 반구형 형상으로 형성된 하면이 닿는 면적을 확인할 수 있는데, 종래의 평면 형상의 하면과는 닿는 면적 자체가 큰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결국, 픽스츄어(100)의 하면이 반구형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피부와의 닿는 면적이 최소화되므로 시술시 신경절단 및 그에 따른 고통을 줄일 수 있어 환자의 입장에서 보다 안전한 시술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데 큰 특징이 있는 것이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개설하였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특징과 장점들이 이하에서 상술될 것이다. 개시된 본 발명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발명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개시된 발명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한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픽스츄어의 개략적 종단면도.
도 2의 "a"는 종래의 픽스츄어의 시술 과정을 보인 개략적 종단면도이고, "b"는 종래의 픽스츄어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 종단면도이며, "c"는 종래의 픽스츄어의 작동을 보인 개략적 평면도.
도 3의 "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b"는 "a"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픽스츄어의 시술 과정을 도시한 개략적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픽스츄어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종래의 픽스츄어 12 : 나사부
14 : 결합홈 16 : 다각홈
18 : 나사결합공 20 : 공구
30 : 잇몸 40 : 치조골
50 : 고정나사 60 : 어버트먼트
70 : 인공치아 100,100' : 본 발명의 픽스츄어
110 : 나사부 112 : 결합홈
114 : 다각홈 116 : 나사결합공
118 : 에치부 120 : 환홈
130 : 다각돌출부

Claims (3)

  1. 외주연에는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면 가운데 부분에는 다각돌출부 혹은 다각홈이 형성되며, 고정나사가 결합되는 나사결합공이 형성되어져 치조골에 식립되는 것으로, 인공치아를 고정하는 어버트먼트를 결합하는데 사용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에 있어서,
    상기 픽스츄어의 하면은 식립시 피부에 닿는 면적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반구형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픽스츄어의 하부 외주연에는 치조골을 이루는 조골 세포의 골유착을 유도하는 틈새를 제공하는 환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픽스츄어의 하부에는 나사 결합이 잘되도록 길이 방향으로 일부 절개된 에치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KR1020090005644A 2009-01-22 2009-01-22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KR201000863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5644A KR20100086335A (ko) 2009-01-22 2009-01-22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5644A KR20100086335A (ko) 2009-01-22 2009-01-22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6335A true KR20100086335A (ko) 2010-07-30

Family

ID=42644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5644A KR20100086335A (ko) 2009-01-22 2009-01-22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8633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3966B1 (ko) * 2012-09-12 2013-08-0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임플란트 픽스처
KR20230089463A (ko) 2021-12-13 2023-06-20 이종규 동물용 임플란트 조립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3966B1 (ko) * 2012-09-12 2013-08-0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임플란트 픽스처
WO2014042343A1 (ko) * 2012-09-12 2014-03-2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임플란트 픽스처
KR20230089463A (ko) 2021-12-13 2023-06-20 이종규 동물용 임플란트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47020B2 (en) Drill set for dental screw implant fixture with self-tap
JP7289877B2 (ja) 歯科インプラント、歯科インプラントのための埋入ツール、ならびに歯科インプラントと埋入ツールの組み合わせ
EP2148631B1 (en) Dental implant
EP3203926B1 (en) Angular dental abutment assembly
JP4658970B2 (ja) 球関節のボール領域における表面置換のためのプロテーゼ
CN103550003B (zh) 易取出的种植体装置及其旋出工具
JP2015527114A (ja) アバットメントシステム及び歯科方法
RU2637612C2 (ru) Набор для зубного имплантата
JP2013031555A (ja) 歯科用インプラント
CN203609529U (zh) 一种易取出的种植体装置及其旋出工具
KR100779227B1 (ko) 치과용 임플란트
US11185393B2 (en) Dental implant for implantation facilitation and stabilization
WO2011036655A1 (en) Medical drill system and method for using thereof
KR20100086335A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US20130157223A1 (en) Implant dentaire
JP2010137052A (ja) 歯インプラントの結合ねじの、ねじ基部を除去する器具
KR100807289B1 (ko) 임플란트 조립체
US11395716B2 (en) System of a guide piece and milling cutter
KR100929258B1 (ko) 의료용 탭핑기구
KR101123508B1 (ko) 외과용 핸드드릴
ES2911750T3 (es) Implante dental monofásico
KR20130049847A (ko) 중간부와 하부의 파지구조 매식구성을 갖는 임프란트 픽스쳐
JP2009233179A (ja) 人工歯根及びインプラント
KR20050078806A (ko) 임시 임플란트
KR101620530B1 (ko) 임플란트용 픽스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