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6164A - 미토콘드리아 표적 도메인 단백질 및 이를 암호화하는 유전자 - Google Patents

미토콘드리아 표적 도메인 단백질 및 이를 암호화하는 유전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6164A
KR20100086164A KR1020090005382A KR20090005382A KR20100086164A KR 20100086164 A KR20100086164 A KR 20100086164A KR 1020090005382 A KR1020090005382 A KR 1020090005382A KR 20090005382 A KR20090005382 A KR 20090005382A KR 20100086164 A KR20100086164 A KR 201000861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if1
mitochondria
protein
dna
a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5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5806B1 (ko
Inventor
송민호
김성중
박기철
유민정
Original Assignee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05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5806B1/ko
Publication of KR20100086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61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5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58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4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 C07K14/4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from mamm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62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 protein, peptide or polyamino aci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Zo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Toxicology (AREA)
  • Biophysic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백질을 세포내에서 미토콘드리아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미토콘드리아의 기능과 안정성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서열번호 5의 도메인 단백질 및 이를 암호화하는 유전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도메인 단백질은 CRIF1 또는 이종 단백질과 융합된 형태로 CRIF1 또는 이종 단백질을 미토콘드리아로 이동시키는 표적서열로 작용하므로, 미토콘드리아의 기능이상을 동반하는 신경 및 근육 퇴행성 질환, 대사성증후군, 암등에 약리적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화학물질, 단백질 또는 유전자 포함)을 미토콘드리아에서 직접 작용할 수 있도록 한다.
미토콘드리아, 표적 서열, 도메인 단백질

Description

미토콘드리아 표적 도메인 단백질 및 이를 암호화하는 유전자{Mitochondrial targeting domain protein and DNA encoding it}
본 발명은 단백질을 세포내에서 미토콘드리아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미토콘드리아의 기능과 안정성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도메인 단백질 및 이를 암호화하는 유전자에 관한 것이다.
미토콘드리아는 세포질에 그물망 형태로 존재하면서, 지속적인 융합과 분열을 반복하며 세포 호흡을 통하여 세포의 생존에 필요한 에너지를 생산하는 세포내 소기관이다. 미토콘드리아는 세포내 에너지 대사의 중추이므로 미토콘드리아의 기능 이상은 다양한 질병을 유발한다. 미토콘드리아의 기능 이상에 의해 발생하는 질병으로는 파킨슨병, 헌팅턴병과 같이 노화에 따라 흔하게 발생 할 수 있는 발병률이 높은 질병이 있고, Barth syndrome, Leigh syndrome, MELAS syndrome과 같은 발병률이 낮은 희귀 질병 등이 있다. 또한 최근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미토콘드리아의 이상은 대사성증후군인 제2형 당뇨의 발병원인일 가능성이 있음이 확인되었 다. 미토콘드리아의 기능 이상에 의해 발생하는 이러한 질환들은 세포의 에너지공급 체계에 이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대부분 근 질환과 뇌질환을 동반한다.
세포 에너지 생산에 필수적인 미토콘드리아의 호흡기능은 미토콘드리아의 내막에 존재하는 호흡복합체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미토콘드리아 내막의 호흡 복합체는 다섯 종류(I-V)가 있으며 각 복합체는 특이적 기질로부터 전자를 전달 받아 최종적으로 산소에 전자를 전달한다.
미토콘드리아를 구성하고 있는 단백질은 약 1500종으로 미토콘드리아는 세포내 다른 소기관들과 달리 자신의 고유한 유전정보를 가지고 있다. 즉, 미토콘드리아는 핵에 존재하며 세포의 모든 유전정보를 담고 있는 게놈 DNA(genomic DNA) 이외에 메트릭스에 자신의 고유한 유전정보를 미토콘드리아 DNA(mtDNA) 형태로 가지고 있다. mtDNA의 크기는 약 1600kbp이며 그 안에 미토콘드리아 호흡 복합체를 구성하는 13종의 단백질을 암호화 하고 있다. 미토콘드리아 호흡 복합체는 genomic DNA와 mtDNA의 두 유전물질로부터 만들어진 단백질들에 의해 구성되어지므로 다른 세포소기관보다 복잡한 조절기작에 의해 그 형성과정이 조절되어진다.
또한 미토콘드리아와 핵 사이의 신호전달이 미토콘드리아의 형성과 기능 조절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이며 그 매개체 역할을 할 수 있는 단백질에 대한 연구가 요청된다.
따라서 미토콘드리아의 기능 및 안정성을 조절하는 것에 의해 약리적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화학물질, 단백질 또는 유전자 포함)을 미토콘드리아 표적 도메인 단백질 또는 이를 암호화하는 유전자와 융합하는 것에 의해 미토콘드리아로 이동시 킬 수 있다면 그 활성이 보다 배가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CR6 Interacting Factor 1(CRIF 1) 단백질은 CR6(Gadd45gamma) 단백질과 결합하는 단백질이다. CRIF1 유전자는 암화 과정에서 발현이 증가하는 특성을 갖는다. 즉, CRIF1의 mRNA는 정상 인체로부터 얻은 말포혈액 단핵세포(PBMC)에서는 그 발현이 관측되지 않는데 비해, 아데노바이러스에 의해 암화된 태아 신장 세포주, 전립선암 세포주, 자궁경부암 세포주, 섬유육종 세포주, 융모암 세포주, 인간의 혈액암 세포주, HL-60, K-562, Jurkat, MOLT-4 등에서 그 발현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등록특허 제439489호에서는 CRIF1 유전자의 이러한 특성을 이용한 암 진단용 키트가 게시되어 있다. CRIF1과 암의 관계는 CRIF1의 핵에서의 역할과 관련이 있으나, CRIF1의 미토콘드리아에서의 기능은 전혀 보고된 바가 없다.
본 발명자들은 CRIF1이 미토콘드리아의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함을 발견하고 면밀한 연구를 수행한 결과 이러한 기능이 CRIF1 중 미토콘드리아 표적 도메인 단백질과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특정 단백질을 세포내에서 미토콘드리아로 이동시켜 머물게 함으로써 미토콘드리아의 기능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도메인 단백질 및 이를 암호화하는 유전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서열번호 5로 표시되는 도메인 단백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병의 도메인 단백질은 CRIF1 단백질의 N-말단에 존재하는 도메인 단백질로서 CRIF1 단백질 뿐 아니라 이종 단백질과 결합된 경우에도 이종 단백질을 미토콘드리아로 효과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도메인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유전자에 관한 것이다. 상기 유전자는 DNA, RNA 또는 PNA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도메인 단백질은 CRIF1 또는 이종 단백질과 융합된 형태로 CRIF1 또는 이종 단백질을 미토콘드리아로 이동시키는 표적서열로 작용하므로, 미토콘드리아의 기능이상을 동반하는 신경 및 근육 퇴행성 질환, 대사성증후군, 암등에 약리적 활성을 나타내는 물질(화학물질, 단백질 또는 유전자 포함)을 미토콘드리아에서 직접 작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내용과 범위를 쉽게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거나 변경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러한 예 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안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는 당연할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 세포 내 CRIF1의 분포
1) 소프트웨어에 의한 분석
222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는 CRIF1이 미토콘드리아에 존재할 가능성을 Target P, PSORTII 및 MitoProtII의 소프트웨어를 통해 각각 분석하였다. 표 1은 각 소프트웨어를 사용한 분석 결과로서 CRIF1이 미토콘드리아에 존재할 가능성이 매우 높음을 보여주고 있다.
Figure 112009004237447-PAT00001
2) 세포 내 CRIF1의 위치 관찰
CRIF1의 C-말단에 GFP를 부착한 후 세포에 이입한 다음 CRIF1-GFP 단백의 세포내 위치를 파악해 보았다. CRIF1-GFP 단백질을 발현하는 벡터는 다음의 방법을 이용하여 제작하였다. 먼저 CRIF1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DNA 서열의 N-말단과 C-말단에 제한효소인 XhoI과 EcoRI이 인식할 수 있는 염기서열이 연결되도록 서열번호 2 및 3의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서열번호 1의 CRIF1 전장 DNA로부터 PCR에 의해 증폭하고 XhoI과 EcoRI (TOYOBO)으로 절단하여 CRIF1 삽입서열을 얻었다. 상기 CRIF1 전장 DNA는 HeLa 세포주로부터 추출한 RNA를 EX-Taq (TkKaRa)을 이용하여 RT-PCR법으로 만든 뒤 pGEM T-Easy vector (Promega)에 이입하였다.
서열번호 2 : ACTCGAGATGGCGGCGTCCGTG (Forward)
서열번호 3 : CCCCGTGGGTCGAGGGCTTAAGT (Reverse)
pEGFP-N1(BD Biosciences Clontech) 또한 제한효소 XhoI과 EcoRI으로 절단한 뒤 위에서 얻은 CRIF1 삽입서열과 함께 연결효소인 Ligase (TOYOBO)를 넣고 16℃에서 4시간 동안 ligation 시켰다. 완성된 CRIF1-GFP 벡터를 DH-5α 숙주세포(Real Biotech Corporation)로 형질전환하였다. 이를 kanamycin 배지(Sigma)에 도말하여 37℃에서 배양하고 콜로니로부터 플라즈미드 DNA를 추출하였다.
CRIF1-GFP의 발현은 HeLa 세포주에 CRIF1-GFP를 transfection시켜 확인하였다. CRIF1-GFP transfection은 CRIF1-GFP 벡터를 OPTI MEM (GIBCO)에 섞은 후 PLUS Reagent(invitrogen)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15분간 반응시켰다. 별도로 OPTI MEM에 Lipofectamine Reagent(invitrogen)을 첨가한 후 실온에서 15분간 반응시키고 위의 PLUS 반응액과 혼합하여 15분간 추가로 반응시켰다. HeLa 세포주의 배양액을 OPTI MEM으로 교환하고 상기 혼합 반응액을 세포에 처리한 뒤 3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3시간 후에 배양액을 DMEM 배양액(10% fetal bovine serum, 2 mM 글루타민, 비필수 아미노산, 100 units/ml 페니실린 및 100 μg/ml 스트렙토마이신 포함)으로 교환하여 Transfection된 HeLa 세포주를 5% CO2와 37℃조건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한 세포의 관찰 45분 전에 미토콘드리아를 염색하는 MitoTracker Red CMXRos(invitrogen) 50nM로 45분 동안 염색하고 4% paraformaldehyde로 고정하였다. 고정 후 PBS로 세차례 세척하고 MOUNTING MEDIUM(SIGMA)을 이용하여 mounting 한 후 공초점 현미경으로 관찰하고 그 결과를 도 1 및 도 2에 도시하였다. 도 1 및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CRIF1은 일부 세포에서(20%)는 핵에 존재하나 대부분 세포(80%)에서는 미토콘드리아에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세포소기관 별로 분획을 나누어 CRIF1의 세포내 위치를 확인 해 보았다. 세포소기관의 분획은 상기 방법에 따라 배양한 세포를 수확하여 PBS로 세척 후 분획용 완충용액 (250mM sucrose, 10mM KCl, 1.5mM MgCl2, 1mM Na-EDTA, 1mM Na-EGTA, 1mM dithiothreitol, 0.1mM phenylmethylsulfonylfluoride, 10mM Tris-HCl, pH7.4, 각 SIGMA)와 proteinase inhibitor cocktail (Roche)을 넣고 균질기에 넣어 80회 분쇄하였다. 분쇄되지 않은 세포를 제거하기 위해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30 x g로 5분간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을 수확하였다. 수확한 상층액을 이용하여 미토콘드리아 분획과 핵 분획을 각각 80 x g에서 10분, 6,000 x g에서 20분 간 원심분리하여 획득하였고 미토콘드리아 분획은 20,000 x g로 한번 더 원심분리 하여 세포질 분획을 제거하였다. 획득한 각각의 분획은 RIPA 버퍼를 이용하여 용해시켰다. 용해된 세포 용해물을 얼음에 넣은 채 20초씩 두 번 초음파분쇄 하였고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4℃에서 13200rpm으로 10분간 침전 시킨 후 상층액을 분리하여 Bradford (BIO-RAD)법으로 정량하였다. 이후 3X SDS 샘플버퍼를 첨가하여 100℃에서 5분간 끓인 후 폴리아크릴아마이드 겔에서 전기영동하였다. 전기영동을 한 겔을 니트로셀룰로오스막(Amersham Bioscience)에 이전 후 5% 탈지우유에서 1시간 동안 블로킹하였다. 이후 각각의 분획 지표인 1차 항체 VDAC (Cell Signaling), tubulin(SIGMA), ORC2(BD Bioscience)를 이용하여 4℃에서 over night하여 반응시켰다. 1차 항체와 반응시킨 후 TBS/T로 10분씩 3회 세척하였고 다시 마우스와 래빗 2차 항체(CELL SIGNALING)와 1-3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2차 항체와 반응시킨 후 TBS/T로 10분 씩 3회 세척하였고 ECL 용액 (iNtRON)을 이용하여 x-선 감광 필름(FUJIFILM)에 검출하였다. 세포 분획이 정확히 나누어진 것을 각 분획 마커로 확인 한 후 CRIF1의 위치를 확인 해 본 결과 CRIF1은 역시 핵과 미토콘드리아에 존재함이 확인되었다 (도 3).
실시예 2 : CRIF1 중 미토콘드리아 표적 서열의 예측
CRIF1에 MTS 서열이 존재하는 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MitoProt II program을 이용하여 서열번호 4의 CRIF1 단백질 서열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CRIF1 서열의 N-말단에 존재하는 1-35번 서열(MAASVRQARS LLGVAATLAP GSRGYRARPP PRRRP; 서열번호 5)이 90.16%의 확률로 MTS임을 예측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 미토콘드리아 표적 서열의 기능 확인
(1) 벡터의 제조
CRIF1의 도메인 단백질 중 미토콘드리아 표적 서열로 작용하는 것으로 예측되는 N-말단의 1-35 도메인 단백질의 기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먼저 GFP을 CRIF1의 N-말단에 삽입한 GFP-CRIF1, C-말단에 삽입한 CRIF1-GFP, CRIF1에 존재하는 MTS만을 GFP에 결합시킨 CRIF1 MTS-GFP, MTS를 탈락시킨 CRIF1(delta MTS)-GFP 벡터를 각각 제조하였다.
각 벡터의 구체적인 제조 방법은 하기와 같다.
1) GFP-CRIF1
먼저 CRIF1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DNA 서열의 N-말단과 C-말단에 제한효소인 XhoI과 EcoRI이 인식할 수 있는 염기서열이 각각 연결되도록 서열번호 6 및 7의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서열번호 1의 CRIF1 전장 DNA로부터 PCR에 의해 증폭하고 EcoRI과 BamHI(New England Biolads)으로 절단하여 CRIF1 삽입서열을 얻었다.
서열번호 6 : AGAATTCATGGCGGCGTCCGTG (Forward)
서열번호 7 : GGATCCTCAGGAGCTGGGTGCCCC (Reverse)
pEGFP-C2 (BD Bioscience)또한 제한효소 EcoRI과 BamHI으로 절단한 뒤 연결효소인 Ligase (Roche)를 넣고 삽입서열과 함께 16℃에서 overnight하여 상기 CRIF1 DNA와 ligation 시켰다. 완성된 GFP-CRIF1 벡터를 DH-5α 숙주세포(Real Biotech Corporation)로 형질전환 시킨 뒤 이를 kanamycin 배지(Sigma)에 도말하여 37℃에서 배양 하고 콜로니로부터 플라즈미드 DNA를 추출하였다.
2) CRIF1-GFP
실시예 1의 2)에 기재된 방법에 의하여 CRIF1-GFP 플라즈미드 DNA를 추출하였다.
3) CRIF1 MTS-GFP
먼저 서열번호 8의 CRIF1의 MTS 도메인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DNA 서열(서열번호 1의 1~105 bp)의 N-말단과 C-말단에 제한효소인 XhoI과 EcoRI이 인식할 수 있는 염기서열이 연결되도록 서열번호 9 및 10의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서열번호 1의 CRIF1 전장 DNA로부터 PCR에 의해 증폭하고 XhoI과 EcoRI (TOYOBO)으로 절단하여 MTS 삽입서열을 얻었다.
서열번호 9 : CCGCTCGAGATG GCGGC GTCCGTGC (Forward)
서열번호 10 : CCGGAATTCGCGGCCTGCGGCGCG (Reverse)
pEGFP-N1 (BD Biosciences Clontech) 또한 제한효소 XhoI과 EcoRI으로 절단한 뒤 연결효소인 Ligase(TOYOBO)를 넣고 MTS 삽입서열과 함께 16℃에서 4시간 동안 ligation 시켰다. 완성된 CRIF1 MTS-GFP 벡터를 DH-5α 숙주세포(Real Biotech Corporation)로 형질전환하였다. 이를 kanamycin 배지(Sigma)에 도말하여 37℃에서 배양 하고 콜로니로부터 플라즈미드 DNA를 추출하였다.
4) CRIF1(△MTS)-GFP
먼저 CRIF1의 MTS 도메인이 정상적인 역할을 하지 못하도록 1~15번이 절단된 CRIF1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DNA 서열의 N-말단과 C-말단에 제한효소인 XhoI과 EcoRI이 인식할 수 있는 염기서열이 연결되도록 서열번호 11 및 12의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서열번호 1의 CRIF1 전장 DNA로부터 PCR에 의해 증폭하고 XhoI과 EcoRI (TOYOBO)으로 절단하여 CRIF1(△MTS) 삽입서열을 얻었다.
서열번호 11 : CCGCTCGAGAT GGCGACCCTGGCCC (Forward)
서열번호 12 : CCGGAATTCGGGAGCTGGGTGCCCCA (Reverse)
pEGFP-N1 (BD Biosciences Clontech) 또한 제한효소 XhoI과 EcoRI으로 절단한 뒤 연결효소인 Ligase(TOYOBO)를 넣고 CRIF1(△MTS) 삽입서열과 함께 16℃에서 4시간 동안 ligation 시켰다. 완성된 CRIF1(△MTS)-GFP 벡터를 DH-5α 숙주세포(Real Biotech Corporation)로 형질전환하였다. 이를 kanamycin 배지(Sigma)에 도말하여 37℃에서 배양 하고 콜로니로부터 플라즈미드 DNA를 추출하였다.
(2) 각 벡터에 의한 단백질의 분포 확인
(1)에서 얻은 각 벡터들을 HeLa 세포주에 transfection한 후 배양하였다. 세포 관찰 45분 전에 미토콘드리아를 염색하는 MitoTracker Red CMXRos (invitrogen)를 50nM로 염색한 후 세 차례 PBS로 세척하였다. MOUNTING MEDIUM(SIGMA)을 이용하여 mounting 한 후 공초점 현미경으로 관찰하고 그 결과를 도 4에 도시하였다. 도 5는 소기관 별 각 단백질의 분포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4 및 도 5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CRIF1-GFP 및 CRIF1 MTS-GFP는 미토콘드리아에 80%이상이 존재하는 데 반하여, GFP-CRIF1과 CRIF1(△MTS)-GFP은 거의 대부분이 핵에 존재하였다. 이로부터 MTS가 CRIP 및 이종 단백질을 미토콘드리아로 이동시키는 미토콘드리아 표적서열로 작용하며, MTS가 N-말단에 존재할 경우에만 미토콘드리아 표적서열로서의 기능을 발휘함을 알 수 있었다.
도 1은 CRIF1이 미토콘드리아에 주로 존재하는 것을 보여주는 사진.
도 2는 CRIF1이 미토콘드리아에 주로 존재하는 것을 보여주는 그래프.
도 3은 세포내 소기관에서 CRIF1의 분포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 4는 서열번호 1의 도메인 단백질이 미토콘드리아 표적서열임을 보여주는 사진.
도 5는 서열번호 1의 도메인 단백질이 미토콘드리아 표적서열임을 보여주는 그래프.
<110> The Industry & Academic Cooperation i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IAC) <120> Mitochondrial targeting domain protein and DNA encoding it <160> 12 <170> KopatentIn 1.71 <210> 1 <211> 666 <212> DNA <213> DNA encoding CRIF1 protein <400> 1 atggcggcgt ccgtgcgaca ggcacgcagc ctactaggtg tggcggcgac cctggccccg 60 ggttcccgtg gctaccgggc gcggccgccc ccgcgccgca ggccgggacc ccggtggcca 120 gaccccgagg acctcctgac cccgcggtgg cagctgggac cgcgctacgc ggctaagcag 180 ttcgcgcgtt acggcgccgc ctccggggtg gtccccggtt cgttatggcc gtcgccggag 240 cagctgcggg agctggaggc cgaagaacgc gaatggtacc cgagcctggc gaccatgcag 300 gagtcgctgc gggtgaagca gctggccgaa gagcagaagc gtcgggagag ggagcagcac 360 atcgcagagt gcatggccaa gatgccacag atgattgtga actggcagca gcagcagcgg 420 gagaactggg agaaggccca ggctgacaag gagaggaggg cccgactgca ggctgaggcc 480 caggagctcc tgggctacca ggtggaccca aggagtgccc gcttccagga gctgctccag 540 gacctagaga agaaggagcg caagcgcctc aaggaggaaa aacagaaacg gaagaaggag 600 gcgcgagctg ctgcattggc tgcagctgtg gctcaagacc cagcagcctc tggggcaccc 660 agctcc 666 <210> 2 <211> 22 <212> DNA <213> forward primer <400> 2 actcgagatg gcggcgtccg tg 22 <210> 3 <211> 23 <212> DNA <213> reverse primer <400> 3 ccccgtgggt cgagggctta agt 23 <210> 4 <211> 222 <212> PRT <213> CRIF1 <400> 4 Met Ala Ala Ser Val Arg Gln Ala Arg Ser Leu Leu Gly Val Ala Ala 1 5 10 15 Thr Leu Ala Pro Gly Ser Arg Gly Tyr Arg Ala Arg Pro Pro Pro Arg 20 25 30 Arg Arg Pro Gly Pro Arg Trp Pro Asp Pro Glu Asp Leu Leu Thr Pro 35 40 45 Arg Trp Gln Leu Gly Pro Arg Tyr Ala Ala Lys Gln Phe Ala Arg Tyr 50 55 60 Gly Ala Ala Ser Gly Val Val Pro Gly Ser Leu Trp Pro Ser Pro Glu 65 70 75 80 Gln Leu Arg Glu Leu Glu Ala Glu Glu Arg Glu Trp Tyr Pro Ser Leu 85 90 95 Ala Thr Met Gln Glu Ser Leu Arg Val Lys Gln Leu Ala Glu Glu Gln 100 105 110 Lys Arg Arg Glu Arg Glu Gln His Ile Ala Glu Cys Met Ala Lys Met 115 120 125 Pro Gln Met Ile Val Asn Trp Gln Gln Gln Gln Arg Glu Asn Trp Glu 130 135 140 Lys Ala Gln Ala Asp Lys Glu Arg Arg Ala Arg Leu Gln Ala Glu Ala 145 150 155 160 Gln Glu Leu Leu Gly Tyr Gln Val Asp Pro Arg Ser Ala Arg Phe Gln 165 170 175 Glu Leu Leu Gln Asp Leu Glu Lys Lys Glu Arg Lys Arg Leu Lys Glu 180 185 190 Glu Lys Gln Lys Arg Lys Lys Glu Ala Arg Ala Ala Ala Leu Ala Ala 195 200 205 Ala Val Ala Gln Asp Pro Ala Ala Ser Gly Ala Pro Ser Ser 210 215 220 <210> 5 <211> 35 <212> PRT <213> MTS domain protein <400> 5 Met Ala Ala Ser Val Arg Gln Ala Arg Ser Leu Leu Gly Val Ala Ala 1 5 10 15 Thr Leu Ala Pro Gly Ser Arg Gly Tyr Arg Ala Arg Pro Pro Pro Arg 20 25 30 Arg Arg Pro 35 <210> 6 <211> 22 <212> DNA <213> forward primer <400> 6 agaattcatg gcggcgtccg tg 22 <210> 7 <211> 24 <212> DNA <213> reverse primer <400> 7 ggatcctcag gagctgggtg cccc 24 <210> 8 <211> 105 <212> DNA <213> DNA encoding MTS domain protein <400> 8 atggcggcgt ccgtgcgaca ggcacgcagc ctactaggtg tggcggcgac cctggccccg 60 ggttcccgtg gctaccgggc gcggccgccc ccgcgccgca ggccg 105 <210> 9 <211> 25 <212> DNA <213> forward primer <400> 9 ccgctcgaga tggcggcgtc cgtgc 25 <210> 10 <211> 24 <212> DNA <213> reverse primer <400> 10 ccggaattcg cggcctgcgg cgcg 24 <210> 11 <211> 25 <212> DNA <213> forward primer <400> 11 ccgctcgaga tggcgaccct ggccc 25 <210> 12 <211> 26 <212> DNA <213> reverse primer <400> 12 ccggaattcg ggagctgggt gcccca 26

Claims (4)

  1. 서열번호 5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토콘드리아 표적 도메인 단백질.
  2. 제 1 항에 의한 도메인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유전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자는 DNA, RNA 또는 PN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자.
  4. 제 2 항에 있어서,
    유전자의 서열이 서열번호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자.
KR1020090005382A 2009-01-22 2009-01-22 미토콘드리아 표적 도메인 단백질 및 이를 암호화하는 유전자 KR1010658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5382A KR101065806B1 (ko) 2009-01-22 2009-01-22 미토콘드리아 표적 도메인 단백질 및 이를 암호화하는 유전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5382A KR101065806B1 (ko) 2009-01-22 2009-01-22 미토콘드리아 표적 도메인 단백질 및 이를 암호화하는 유전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6164A true KR20100086164A (ko) 2010-07-30
KR101065806B1 KR101065806B1 (ko) 2011-09-19

Family

ID=42644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5382A KR101065806B1 (ko) 2009-01-22 2009-01-22 미토콘드리아 표적 도메인 단백질 및 이를 암호화하는 유전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58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3152B1 (ko) * 2012-08-31 2015-03-1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미토콘드리아 타겟팅 펩타이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9489B1 (ko) 2000-02-24 2004-07-09 주식회사 삼양제넥스 시알6 단백질과 결합하는 단백질의 유전자 및 그것의아미노산 서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3152B1 (ko) * 2012-08-31 2015-03-1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미토콘드리아 타겟팅 펩타이드
US9540421B2 (en) 2012-08-31 2017-01-10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Group Of Kyung Hee University Mitochondria targeting pepti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5806B1 (ko) 2011-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51896B2 (ja) p38/JTV−1を有効成分とする癌治療用薬学的組成物及び癌治療用薬学的組成物のスクリーニング方法
KR102578891B1 (ko) 항염증 활성을 갖는 펩티드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Tasciotti et al. Transcellular transfer of active HSV-1 thymidine kinase mediated by an 11-amino-acid peptide from HIV-1 Tat
KR20160142372A (ko) 항-nme 항체
JP2020023501A (ja) 皮膚の色素沈着を減少する組成物及び方法
KR101161923B1 (ko) Atap 펩티드, 상기 펩티드를 엔코딩하는 핵산 및 이들과 관련된 사용 방법
AU2024201112A1 (en) Composition comprising VGLL1 peptide for treatment of cancer
JP2001517943A (ja) ヒト膵炎関連タンパク質、pap−2
JP2007509616A (ja) アポトーシスを調節する方法および組成物
KR101065806B1 (ko) 미토콘드리아 표적 도메인 단백질 및 이를 암호화하는 유전자
JPWO2006070804A1 (ja) テロメレース活性阻害方法および阻害剤
US20170327802A1 (en) Anti-Inflammatory Peptides and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US20100111913A1 (en) Method of enhancing migration of neural precursor cells
JP4283531B2 (ja) マスト細胞の細胞死誘発剤
KR101469247B1 (ko) 미토콘드리아 활성을 조절하는 세포증식 억제 단백질 및 그의 용도
JP4634302B2 (ja) テトラヒドロ葉酸合成酵素遺伝子
KR102330387B1 (ko) 호메오단백질의 세포외 분비능 조절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세포외 분비능이 조절된 호메오단백질 변이체
KR20110130627A (ko) 항암용 조성물
KR100898866B1 (ko) 원 종양유전자 단백질 dek를 이용하여 세포사멸을유도하는 조성물 및 방법 및 dek를 발현하는 형질전환초파리
Dunkelberg et al. LZ-FYVE: a novel developmental stage-specific leucine zipper, FYVE-finger protein
EP1503780B1 (en) Androgen-regulated pmepa1 gene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to inhibit cancer cell growth
US11060087B2 (en) Synthetic promoters for high throughput screening and gene modulation
KR102063324B1 (ko) 암 세포 증식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암 세포 증식 방법
KR101478395B1 (ko) 세포사멸을 유도하는 방법 및 그 조성물
WO2005090580A1 (ja) 非ヒト動物モデルにおける転写活性測定方法、細胞数の測定方法及び腫瘍体積の測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