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4404A - 데이터베이스 응용 프로그램 소스 생성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데이터베이스 응용 프로그램 소스 생성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4404A
KR20100084404A KR1020090003874A KR20090003874A KR20100084404A KR 20100084404 A KR20100084404 A KR 20100084404A KR 1020090003874 A KR1020090003874 A KR 1020090003874A KR 20090003874 A KR20090003874 A KR 20090003874A KR 20100084404 A KR20100084404 A KR 201000844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umn
information
sql
database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3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20234B1 (ko
Inventor
정해영
Original Assignee
정해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해영 filed Critical 정해영
Priority to KR1020090003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0234B1/ko
Publication of KR20100084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44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0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02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9/00Other apparatus for handling dough or dough pieces
    • A21C9/08Depositing, arranging and conveying apparatus for handling pieces, e.g. sheets of doug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데이터베이스 응용 프로그램 소스 생성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데이터베이스의 응용 프로그램 소스를 생성하는 방법은, 입력되는 SQL 구문을 데이터베이스에 실행하는 단계; 실행의 결과에 따른 컬럼메타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컬럼메타정보를 이용하여 프로그램 소스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개발자들의 반복되는 코딩작업의 량을 획기적으로 줄여 줄임으로써 개발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류발생율을 최소화 시키며 궁극적으로 웹프로젝트 비용과 기간의 단축을 가져옴으로써 생산성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소스코드, 응용프로그램, 데이터베이스, SQL, 웹페이지

Description

데이터베이스 응용 프로그램 소스 생성 방법 및 장치{Method of creating application program source for database and device thereof}
본 발명은 데이터베이스 응용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에 대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는 응용 프로그램의 소스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등의 발달로 방대한 양의 정보가 제공되고 있는 요즘, 대부분의 정보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Database)로 관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데이터베이스는 새로운 데이터의 삽입, 삭제, 갱신을 수행하여 가장 최근의 정확한 데이터를 유지하며, 여러 사용자가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 항목(Data Item) 또는 필드(Field)를 나타내는 애트리뷰트(Attribute) 및 실질적인 데이터 즉 레코드(Record)와 동일한 개념을 가지는 튜플들(Tuples)로 구성된 테이블(Table) 또는 하나 이상의 테이블에 따른 논리적인 테이블인 뷰(View)의 저장단위로 데이터가 저장된다.
사용자 입장에서는 데이터베이스 내의 물리적인 주소나 위치를 알 필요 없이 해당 데이터에 대한 제목, 순번 등의 여러 항목을 이용하여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 다. 통상 데이터베이스는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라는 소프트웨어 시스템에 의해 관리된다.
DBMS는 사용자들이 사용하는 웹페이지 등의 응용 프로그램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중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모든 응용 프로그램들이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도록 여러 응용 프로그램들이 사용하는 데이터를 하나의 장소에 모아 종합적으로 유지하고 관리해 주는 소프트웨어 시스템이다. 즉, 응용 프로그램들이 원하는 데이터를 검색하거나, 변경하여 언제나 일관성 있는 결과를 응용 프로그램에게 정확하게 제공해 주는 종합적인 데이터 관리 시스템이다. 대표적인 DBMS로는 MySQL, MSSQL, Oracle 등이 있고, 모두 표준 SQL 문법(ANSI SQL)을 따르며 독자적인 문법도 함께 제공하고 있다.
DBMS를 통해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검색하고, 새로운 데이터를 쓰거나 제거하는 데이터 연산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상기한 SQL 등의 데이터베이스 언어를 사용해야 한다. 일반 사용자들은 SQL과 같은 언어에 대한 지식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도 1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임의의 테이블과 해당 테이블에 대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는 웹페이지 형태로 구현된 응용 프로그램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학생 테이블은 "학번", "이름", 및 "담당교수" 로 구성된 애트리뷰트 즉 컬럼(column)을 갖는다.
도면에는 상기한 학생 테이블에 검색연산(SELECT) 즉 임의의 데이터에 대한 조회를 수행할 수 있는 웹페이지 형태의 응용프로그램(100)이 예시되어 있다.
상기한 응용 프로그램은 HTML, XML과 같은 웹프로그램 언어를 이용하여 웹페이지 형태로 출력되도록 생성될 수 있으며, 특히 검색창에 이름을 입력하면 데이터베이스의 학생 테이블에서 해당 이름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정보를 검색하도록 하는 데이터베이스 연산(SELECT) 프로그램이 SQL 등의 데이터베이스 언어로 설정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응용 프로그램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데이터베이스 연산을 위한 프로그램 소스를 작성하여야 하는데, 종래에는 프로그램 개발자들이 일일이 해당 프로그램 소스를 작성하였다.
상기한 데이터 검색을 위한 연산 외에도, 데이터 삽입을 위한 INSERT, 삭제를 위한 DELETE, 갱신을 위한 UPDATE 등의 다양한 데이터베이스 연산이 있는데, 하나의 테이블을 이용하더라도 상기한 각 연산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을 모두 생성해야 하므로, 프로그램 개발자는 각각의 프로그램 소스를 모두 작성해야 하며 이는 작업의 효율성을 저하시킨다.
다시 말해, 현재의 대부분의 응용 프로그램(인트라넷 및 HTML을 사용하는 모든 웹기반프로그램)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테이블단위의 CRUD(Create, Read, Update, Delete)를 기본 단위(컴포넌트)로 작업이 이루어지며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 단위로 데이터처리 클래스인 DTO(Data Transfer Object)를 각각 생성하고 테이터 처리 및 운반에 사용한다. DTO는 테이블의 각 컬럼과 명칭 및 데이터형태를 같게 만들고 사용자 뷰페이지(view page)에서부터 데이터를 처리하는 DAO(Data Access Object)까지 전달하게 된다. 이때 프로그램 개발자는 사용자화면 에서 받은 각종정보를 DTO에 일일이 컬럼명에 맞춰 삽입하는 단계를 거치며 DAO에서 데이터베이스에 값을 전달할 때도 저장된 DTO의 각 컬럼을 SQL의 파라메터에 일일이 매핑 시키는 작업을 하게 된다.
이는 반복적인 작업이며 규칙적인 작업이나 프로그램 작업자의 시간과 집중력을 소모시키며 실수를 유발하게 되어 개발시의 작업효율을 떨어뜨리게 된다. 이러한 모든 작업을 수행하는 실제 작업행위는 테이블에 데이터를 직접 넣는 게 아니라 데이터베이스 구조화 질의어인 SQL을 사용하게 된다.
또한 현재 기본으로 사용되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구조상 종속테이블이 만들어 지게 되어 하나의 테이블에 복수개의 다른 테이블이 연결되는 상하 트리구조를 이루게 되는데 이때도 프로그램 개발자는 View화면에 다른 테이블의 List화면을 삽입하는 작업을 별도로 수행을 하게 된다.
즉, 상기한 예에서는 하나의 테이블에 따른 응용 프로그램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현재까지 개발되고 널리 상업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는 각 테이블이 각각 독립적일 수도 있으나 서로 관계(Relation)를 이룰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데이터와 데이터 간에도 관계(Relation)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생 테이블의 교수 컬럼에 있는 데이터들은 다른 테이블(예를 들어, 교수 테이블)의 이름 컬럼과 관계를 맺을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주소" 라는 컬럼을 갖는 데이터를 검색하고자 할 경우, 주소에는 직장 주소, 집주소, 이메일 주소 등 서로 다른 테이블에 존재하는 다양한 데이터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저장단위로 프로그램 소스를 생성하는 것뿐만 아니라,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의 경우 복수의 테이블이 서로 관계를 맺고 있는 경우가 있을 수 있으므로 복수의 테이블에 따른 프로그램 소스를 보다 용이하게 생성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개발자가 일일이 코딩하지 않고 자동으로 데이터베이스 응용 프로그램을 위한 프로그램 소스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테이블 및 뷰 단위의 저장단위에 따른 프로그램 소스뿐만 아니라, SQL을 이용하여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와 같이 관계를 갖는 복수의 테이블 또는 뷰에 상응하는 프로그램 소스를 편리하게 생성하기 위한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데이터베이스의 응용 프로그램 소스를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a)입력되는 SQL 구문을 데이터베이스에 실행하는 단계; (b)상기 실행의 결과에 따른 컬럼메타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c)상기 컬럼메타정보를 이용하여 프로그램 소스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응용 프로그램 소스 생성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SQL 구문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되거나,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스키마 정보 또는 UML 데이터로부터 취득된 테이블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 (b)는, 상기 SQL 구문이 조회용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SQL 구문이 조회용인 경우에만 상기 SQL 구문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실행 하고, 상기 SQL이 조회용이 아닌 경우 상기 컬럼메타정보로써 상기 SQL 구문으로부터 SQL 파라메타를 파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 (c)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컬럼메터정보에 따른 컬럼 중 화면에 노출될 컬럼 및 명칭을 포함하는 출력컬럼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컬럼정보 및 상기 컬럼메타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 소스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 소스의 생성은, 상기 컬럼메타정보에 상응하도록 데이터 처리를 위한 클래스 정보인 DAO(Data Access Object) 및 DTO(Data Transfer Object)를 위한 소스코드와, 상기 컬럼메타정보 및 상기 출력컬럼정보에 상응하는 하나 이상의 뷰페이지(view page)에 따른 소스코드를 각각 생성하여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베이스의 응용 프로그램 소스를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또는 UML 데이터로부터 테이블 정보를 취득하여 SQL 구문을 생성하는 단계; 사용자가 상기 SQL 구문을 수정하거나, 화면에 표시될 출력컬럼정보를 설정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SQL 구문을 데이터베이스에 실행한 결과에 따른 컬럼메타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컬럼메타정보 및 상기 출력컬럼정보를 이용하여 프로그램 소스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응용 프로그램 소스 생성 방법 및 그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베이스의 응용 프로그램 소스를 생성하는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SQL 구문을 입력받거나, 사용자가 출력컬럼정보를 설정하도록 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입력되는 SQL 구문을 데이터베이스에 실행하는 SQL 실행부; 상기 실행의 결과에 따른 컬럼메타정보를 추출하는 컬럼정보 인식부; 및 상기 컬럼메타정보를 이용하여 프로그램 소스를 생성하는 소스 생성부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응용 프로그램 소스 생성 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스키마 정보 또는 UML 데이터로부터 취득된 테이블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SQL 구문을 생성하는 SQL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스 생성부는, 상기 컬럼메타정보에 상응하도록 데이터 처리를 위한 클래스 정보인 DAO(Data Access Object) 및 DTO(Data Transfer Object)를 위한 소스코드와, 상기 컬럼메타정보 및 상기 출력컬럼정보에 상응하는 하나 이상의 뷰페이지(view page)에 따른 소스코드를 각각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데이터베이스의 응용 프로그램 소스를 생성하는 개발 보조툴로서 개발자들의 응용 프로그램 제작에 따른 작업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여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개발자들의 반복되는 코딩작업량을 획기적으로 줄여 줄임으로써 개발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류발생율을 최소화 시키며 궁극적으로 웹프로젝트 비용과 기간의 단축을 가져옴으로써 생산성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응용 프로그램을 위한 클래스 코드 및 뷰페이지의 소스코드를 자동으로 생성함으로써, 모든 프로젝트의 결과물이 통일된 표준 양식을 따르게 되어 프로젝트 참여자간의 소스코드 생성 타입의 차이로 인한 정보소통의 어려움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게 되어 향후 유지보수의 유리함도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응용 프로그램을 위한 연산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소스를 생성하는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소스생성 장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 SQL 생성부(30), 소스코드 생성부(50) 및 출력부(70)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는 사용자(즉, 프로그램 개발자일 수 있음)로부터 SQL 구문을 입력 받거나, 화면에 출력될 컬럼정보(이하 "출력컬럼정보"라 칭함)의 설정을 위한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는 SQL 생성부(30)에 의해 생성된 SQL 구문을 사용자가 수정하여 소스코드 생성부(50)로 입력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SQL 생성부(30)는 하나 이상의 SQL 구문을 생성하도록 기능한다. SQL 생성부(30)는 데이터베이스의 스키마(schema)를 데이터베이스 또는 UML(unified modeling language) 데이터로부터 취득하여 그에 상응하는 SQL 구문들을 생성한다. UML은 요구분석, 시스템설계, 시스템 구현 등의 시스템 개발 과정에서, 개발자간의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하기 위하여 표준화한 모델링 언어이다.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로는 주로 테이블 정보(테이블 명칭 등), 각 테이블의 컬럼정보(각 컬럼의 명칭 및 속성 등)가 있을 수 있다. SQL 생성부(30)가 SQL 구문을 생성하는 상세한 과정은 관련 도면(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소스코드 생성부(5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거나, SQL 생성부(30)로부터 입력되는 SQL 구문을 이용하여 응용 프로그램의 소스코드를 생성하도록 기능한다. 소스코드 생성부(50)는 입력된 SQL 구문을 분석하여 SQL 파라메타를 추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생성하고자 하는 프로그램 소스의 컬럼메타정보를 인식하여 프로그램 소스를 생성한다.
소스코드 생성부(50)의 SQL 파싱부(51)는 입력된 SQL 구문을 분석하여 SQL 파라메타를 추출하도록 기능한다. 또한, SQL 파싱부(51)는 해당 SQL 구문이 조회 용(SELECT)인지, 저장용(Insert) 또는 변경용(Update)인지를 구별한다.
SQL 실행부(53)는 SQL 파싱부(51)에 의해 분석된 결과를 바탕으로 해당 SQL 구문을 데이터베이스에 실행하도록 기능한다. 해당 SQL 구문의 실행 결과에 따른 컬럼메타정보를 이용하여 프로그램 소스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SQL 구문이 조회용인 경우에만 해당 SQL 구문을 데이터베이스에 실행한다. 왜냐하면, 저장용 또는 변경용의 경우 SQL 구문에 컬럼메타정보(컬럼명)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해당 컬럼메타정보를 프로그램 소스 생성에 그대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컬럼정보 인식부(55)는 SQL 파싱부(51)의 분석 결과 또는 SQL 실행부(53)에 따른 실행 결과로부터 SQL 구문에 따른 컬럼메타정보를 인식하도록 기능하며, 해당 인식된 컬럼메타정보는 소스 생성부(57)에 의한 프로그램 소스 생성에 이용된다.
소스 생성부(57)에 의해 생성되는 프로그램 소스는 데이터 처리를 위한 클래스(Class) 정보 및 뷰페이지 정보로 분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는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인 경우를 가정하기로 하며, 이에 따라 생성되는 응용 프로그램도 객체지향 프로그램언어인 ASP.NET 기반의 웹페이지인 경우를 가정한다.
따라서, 응용 프로그램은 클래스(class)를 지원하며, 이에 따라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른 데이터 처리 정보(메쏘드(method) 등)를 클래스로 관리할 수 있다. 따라서 소스 생성부(57)는 프로그램 소스로서 DTO, DAO 등의 클래스 코드와 목 록(List), 보기(View), 쓰기(Write), 삭제 또는 갱신할 수 있는 변경(Update) 등을 위한 각 뷰페이지에 따른 각각의 소스코드를 생성한다.
여기서, 뷰페이지에 따른 소스코드는 데이터베이스 연산을 위한 SQL XML과 화면 출력 방식(예를 들어 노출되는 컬럼명의 위치 및 글자 크기 등)을 위한 페이지 코드로 구분될 수 있다. 즉, 실질적으로 응용 프로그램이 작동할 때 호출되는 SQL 구문을 가지는 XML파일이 SQL XML이며, 페이지 코드는 해당 응용 프로그램이 웹페이지와 같이 표시되도록 하는 정보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페이지 코드는 HTML일 수 있다. 물론 SQL XML과 페이지 코드의 내용을 모두 포함하도록 하나의 파일이 생성될 수도 있으나, 차후 해당 웹페이지의 수정 작업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각각 별도의 파일로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SQL XML이 페이지 코드를 포함하여 하나의 파일에 따른 소스코드가 생성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출력부(70)는 소스 생성부(57)에 의해 생성된 클래스 정보 및 뷰페이지 정보 등의 프로그램 소스를 출력하며, 출력된 프로그램 소스는 구비된 저장매체에 저장되거나 타 장치(해당 프로그램 소스를 사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설치된 장치 등)로 제공될 수 있다.
이하, 소스코드 생성부(50)가 입력되는 SQL 구문을 이용하여 프로그램 소스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 소스의 생성 과정을 개략적으 로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 소스 생성을 위해 입력되는 SQL 구문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프로그램 소스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는데 있어, 본 실시예에 따른 처리 주체는 소스생성 장치, 특히 소스코드 생성부(50)이며 설명의 편의상 주어는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 7을 참조하면, SQL의 주석문으로 현재 만들고자 하는 화면단위의 각종정보(검색컬럼, 소트컬럼명, 노출될 한글컬럼명)등을 저장하게 되고 이를 프로그램 소스를 생성하는데 사용한다. 이러한 정보들은 일차적으로 SQL 생성부(30)에 의해 자동으로 생성될 수 있으나, 실제 프로젝트에서는 테이블을 조인(join)하거나 테이블간의 연산이 포함되는 SQL 등의 경우 그대로 사용할 수 없는 경우가 생기게 된다. 이때 프로그램 개발자는 SQL 생성부(30)에 의해 생성된 또는 직접 작성한 SQL 구문을 수정하거나 설정함으로써 실제 프로젝트에서 필요한 데이터 구조로 변경을 하게 되고 이렇게 변경된 정보가 실제 프로그램 소스의 생성에 사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SQL 구문을 이용하여 프로그램 소스를 생성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 또는 SQL 생성부(30)를 통해 SQL 구문을 입력 받으면(s310), 입력된 SQL 구문을 분석 즉 파싱(parsing)하여 SQL 파라메타를 추출한다(s320). SQL 파라메타의 추출은 전체 SQL 구문을 스페이스 공간(Space), 인용부호, 탭(Tab), 줄바꿈문자, 등호부등호(<,>,=) 등으로 토큰처리하여 단어 단위로 분할한 후 추출된 단어의 시작문자가 '@'인 것들을 추출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추출된 SQL 파라메타에 특정값(예를 들어, 빈문자열 또는 “O”등)을 할당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실행한다(s330). 즉 해당 SQL 구문을 데이터베이스의 DBMS로 전달하여 DBMS로부터 해당 SQL에 따른 데이터베이스의 실행 결과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다.
SQL 파라메타에 상기한 바와 같은 빈문자열 또는“0”같은 값을 넣고 실행하는 이유는, SQL 구문에 따른 실행 결과값들은 사용할 필요가 없으며 단지 결과값의 필드 정보 즉 컬럼메타정보만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검색 즉 SELECT절의 경우 “*” 문자를 입력하면 조건부(FROM)에 따른 모든 컬럼정보들이 결과값으로 나오기 때문에 SQL 파라메타에 임의의 값을 넣고 실행하더라도 SQL 구문의 조건에 맞는 모든 컬럼메타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따라서 SQL의 실행 결과에서 컬럼메타정보를 추출하고(s340), 추출된 컬럼메타정보를 이용하여 프로그램 소스를 생성한다(s350).
이하, 사용자가 화면에 출력될 출력컬럼정보를 설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기능이 추가된 프로그램 소스 생성의 상세 과정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프로그램 소스 생성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컬럼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웹페이지와 같은 응용 프로그램에 따른 프로그램 소스를 생성하는데 있어서 다음과 같이 크게 세가지 단계로 구분될 수 있다. 첫째는 SQL 구문에 따른 컬럼메타정보 추출과정, 둘째는 화면에 출력될 즉 각각의 뷰페이지(List, View, Write, Update, Delete 등)에 들어갈 출력컬럼정보의 설정과정, 셋째는 추출된 컬럼메타정보와 출력컬럼정보를 이용하여 프로그램 소스를 생성하는 소스코드 생성과정이다.
도 4를 참조하면, s410 내지 s440은 SQL 구문을 이용한 컬럼메타정보 추출과정이며, s450 및 s460은 출력컬럼정보 설정과정이며, s470은 컬럼메타정보와 출력컬럼정보를 이용하여 프로그램 소스를 생성하는 과정이다.
각 과정을 살펴보면, 입력된 SQL 구문을 분석하여(s410) 해당 SQL 구문이 조회용(즉, SELECT절)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420).
SQL 구문이 조회용이 아닌 삽입용 또는 변경용인 경우 해당 SQL 파라메터의 명칭을 컬럼메타정보로 이용한다(s435). INSERT절을 예로 들면, SQL의 INSERT절은 "INSERT [INTO] {table_name | view_name}[(column_list)]"의 구조를 갖는데, SQL 구문 내에 SQL 파라메타로 컬럼리스트(column_list)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해당 컬럼리스트를 이용하여 컬럼명에 따른 컬럼메타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만일 SQL 구문이 조회용 즉 SELECT절인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특정값을 SQL 파라메타에 넣고 SQL을 데이터베이스에 실행하고(s340), SQL의 실행 결과에서 컬럼메타정보를 추출한다(s440).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SQL 구문을 이용하여 추출한 컬럼메타정보를 "추출컬럼정보" 라 칭하기로 한다.
이후, 사용자가 출력컬럼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제공한다(s450).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사용자는 화면에 표시되는 컬럼의 명칭을 설정(참조번호 510)할 수 있으며, 또한 추출컬럼정보에 따른 컬럼 중 화면에 노출시키고자 하는 컬럼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UI를 통해 사용자는 각 뷰페이지(List, View, Write, Update) 중 생성하고자 하는 뷰페이지를 선택(참조번호 520)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웹페이지의 인터페이스상에서 많이 사용하는 검색컬럼의 선정, 목록(List) 출력시의 소트(Sort) 컬럼도 설정할 수 있으며, 웹페이지 상에서 각 컬럼이 표현되는 형태도 설정할 수 있다. 웹페이지에서 표현되는 형태는 Lable형태(단순출력형태), TextBox형태(문자 입력창), Radio버튼, Select박스, 달력 지정창, 파일업로드창 등이 있다.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입력정보를 바탕으로 상기한 바와 같은 다양한 출력컬럼정보가 설정되며(s460), 설정된 출력컬럼정보와 함께 상기 추출컬럼정보를 이용하여 소스코드 즉 SQL XML을 생성한다. 출력컬럼정보와 추출컬럼정보를 서로 비교하고, 서로 일치되는 컬럼이 화면에 노출되도록 하는 소스코드를 생성한다. 이해의 편의를 위해 하나의 예를 들면, 추출컬럼정보의 컬럼리스트가 {a,b,c,d}이고, 출력컬럼정보에 따른 컬럼리스트가 {a,c}인 경우, 서로 일치하는“a,c”컬럼만이 화면에 노출되는 웹페이지가 생성되도록 하는 소스코드가 생성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SQL 구문에 따른 컬럼메타정보를 먼저 추출한 이후, 출력컬럼정보를 설정하는 경우를 예로 들었으나, 출력컬럼정보를 먼저 설정하고 SQL 구문에 따른 컬럼메타정보를 추출하여 소스코드를 생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만일 출력컬럼정보에는 존재하는 컬럼이 추출컬럼정보에는 존재하지 않는 경우 에는 추출컬럼정보의 추출이 잘못된 것일 수 있으므로 개발자는 해당 SQL 구문을 수정해야 함을 인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SQL 구문을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SQL 생성부(30)는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 정보(테이블 명, 컬럼명 및 컬럼 속성 등)를 수집한다(610). 테이블 정보는 데이터베이스로 문의하여 취득한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통해 수집할 수 있으며, 특히 UML 데이터로부터 취득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UML은 요구분석, 시스템설계, 시스템 구현 등의 시스템 개발 과정에서, 개발자간의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하기 위하여 표준화한 모델링 언어이다. 즉, SQL 생성부(30)는 데이터베이스 개발 과정에서 설계된 테이블 구조 정보를 갖는 UML 데이터로부터 테이블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SQL 생성부(30)는 수집한 테이블 정보의 컬럼메타정보를 추출하고(s620), 추출한 컬럼메타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테이블의 컬럼을 검색하거나 특정 컬럼에 임의의 값을 넣거나 삭제하는 등의 연산을 수행하는 SQL 구문을 생성한다(s630). 생성된 SQL 구문은 차후 상기한 바와 같은 프로그램 소스를 생성하기 위해 테이블 정보와 함께 저장된다(s640).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이때 프로그램 개발자는 SQL 생성부(30)에 의해 만들어진 또는 개발자가 직접 작성한 SQL 구문을 수정하거나 설정함으로써 실제 프로젝트에서 필요한 구조로 변경을 할 수 있다. 이렇게 변경된 정보가 실제 소스코드 생성시에 사용되어 프로그램 작업자가 직접 작성한 소스코드와 유사한 소스코드 가 자동으로 생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출컬럼정보를 이용하여 소스코드를 생성하는 과정을 상세히 도시한 흐름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SQL 구문을 이용하여 컬럼메타정보를 추출하고, 노출될 컬럼, 생성하고자 하는 뷰페이지 등의 출력컬럼정보의 설정이 완료되면, 해당 컬럼메타정보 및 출력컬럼정보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 처리클래스인 DTO, DAO 등의 클래스 코드와 출력컬럼정보에 따른 하나 이상의 뷰페이지 코드를 생성함으로써, 프로그램 소스의 생성과정을 수행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추출컬럼정보 및 출력컬럼정보를 이용하여 프로그램 소스를 생성하는 과정은 DAO 생성, DTO 생성 및 뷰페이지 생성의 3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우선 DAO 코드를 생성한다(s810). 일반적으로 DAO는 테이블당 한 개가 만들어지고, 그 안에 CRUD 메소드가 채워지는 형식이다. 즉, SQL 구문에 따른 추출컬럼정보에 상응하는 DAO가 생성이 된다. 기본적인 DAO가 이미 생성되어 있는 상태인 경우, 해당 기본 DAO 코드의 컬럼정보에 상기한 추출컬럼정보가 매핑되어 최초 입력된 SQL 구문에 따른 DAO 코드가 생성되는 것이다.
DAO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자면, DAO는 DTO 객체를 만들어 편집 및 조작을 한다. DAO는 DTO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기도 하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레코드를 조회(SELECT)하여 DTO 객체로 변경해 가져오기도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DAO는 각 뷰페이지에 따른 Insert, delete, update, select등의 데이터 처리를 주 목적으로 한다.
DAO의 생성과정을 설명하자면,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사용자가 클래스명과 메소드명 및 저장경로 등을 설정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된다. 설정된 경로에 설정된 클래스명과 동일한 클래스가 이미 존재하는 경우 해당 클래스 내에 상기 설정된 메소드명으로 DAO 파일을 생성할 수 있으며, 이미 동일한 명칭의 메소드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해당 파일에 덮어씌여질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기본 DAO 코드를 이용하는 방식과 같이, 메소드를 생성할 때 해당클래스의 부모클래스로부터 기본형의 클래스를 읽어와서 메소드명을 지정한 후 저장할 수 있다.
기본형의 경우에는 페이징 처리가 있는 게시판의 List형, 페이징 없이 모든 데이터가 출력되는 ListAll형, View형, Update/Insert/Delete형이 있다.
다음은 ListAll형과 View형의 부모클래스를 예시한 것이다.
// List
public BTBox List(BTBox pBox)
{
Open();
defaultDao.SetConnection(btConn);
BTBox rBox = defaultDao.List(pBox);
Close(); // 명시적으로 Close시킬것!!
return rBox;
}
// View
public IBTBaseTo View(IBTBaseTo to)
{
Open();
defaultDao.SetConnection(btConn);
IBTBaseTo rTo = defaultDao.View(to);
Close(); // 명시적으로 Close시킬것!!
return rTo;
}
그리고, 생성하고자 하는 각 뷰페이지에 따른 컬럼 정보를 상기한 기본형에 매핑하여 DAO 코드를 생성한다. 즉, 각 DAO에 따라 생성될 SQL XML에서 상기 설정된 메소드명을 키(Key)로 사용하는 컬럼이 존재하는지 검사하고, 만일 존재하면 상기한 메소드에 따른 내용으로 덮어쓰고 없으면 맨 마지막에 새롭게 추가를 한다.
정리하자면, 기본 클래스를 이용하여 생성될 SQL XML의 실질적인 데이터 처 리를 위한 클래스인 DAO 코드가 생성되는 것이며, 각 DAO 코드에 따른 SQL XML이 생성되는 것이다.
다음은 SQL XML 소스코드의 예시이다.
<!-- [BTGenStart:Write (등록)] -->
<sql key='Write'>
<![CDATA[
-- AdminFaq.Write (등록) --
INSERT INTO BT_FAQ (
CATEGORY, TITLE, CONTENT, READ_CNT, REG_DATE
) VALUES (
@category, @title, @content, 0, getdate()
)
]]>
</sql>
<!-- [BTGenEnd:Write] -->
<!-- [BTGenStart:View (내용)] -->
<sql key='View'>
<![CDATA[
-- AdminFaq.View (내용) --
SELECT
FAQ_SEQ, CATEGORY, TITLE, CONTENT, READ_CNT, CONVERT(VARCHAR, REG_DATE, 102) REG_DATE
, CONVERT(VARCHAR, EDIT_DATE, 102) EDIT_DATE
FROM BT_FAQ
WHERE
FAQ_SEQ= @FAQ_SEQ
]]>
</sql>
<!-- [BTGenEnd:View] -->
정리하면, 추출컬럼정보 및/또는 출력컬럼정보를 이용하여 프로그램 소스코드인 SQL XML이 생성되는데, 해당 SQL XML마다 그 데이터 처리를 위한 DAO가 생성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DTO 파일을 생성한다(s820). DTO는 실질적인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클래스 정보로 일종의 테이블 형태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해당 테이블의 컬럼을 추출컬럼정보를 이용하여 매핑함으로써 DTO가 생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DAO를 생성한 이후 DTO를 생성하는 경우를 예로 들었으나, 실질적으로는 동시에 생성될 수 있으며 또는 DTO를 우선하여 생성할 수도 있음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DTO 파일의 경우에는 무조건 새로 생성되는 파일로 덮어쓰기할 수 있다. 다음은 DTO 소스코드의 예시이다.
/// <summary>
/// BT_CI_BI 테이블의 ORDER_SEQ 컬럼에 매핑
/// </summary>
public int OrderSeq
{
get { return orderSeq; }
set { orderSeq = value; }
}
/// <summary>
/// BT_CI_BI 테이블의 CONTENT 컬럼에 매핑
/// </summary>
public string Content
{
get { return content; }
set { content = value; }
}
/// <summary>
/// 선언된 변수 목록을 리턴한다.
/// 리턴값: DB 필드명, Property명
/// </summary>
public Hashtable GetElement()
{
Hashtable ele = new Hashtable();
ele.Add("ORDER_SEQ", "OrderSeq");
ele.Add("CONTENT", "Content");
ele.Add("FILE_NAME", "FileName");
ele.Add("PAYMENT", "Payment");
return ele;
}
다음으로, 각 뷰페이지를 위한 소스코드를 생성한다(s830).
뷰페이지들의 경우(S24)에는 먼저 주키(PK : Primary Key)컬럼을 추출하고 이를 각 페이지들을 연결시키는 파라메터 정보로 사용한다. 예를 들어 List에서 View페이지를 호출할 때 이 View페이지의 주키컬럼 정보를 이용하여 View페이지 호출 URL에 파라메터 형태로 값을 전달하게 되고 View페이지는 주키컬럼 정보를 기반으로 URL의 GET방식으로 파라메터를 인식하여 화면에 출력하도록 한다. 삭제나 수정페이지로의 연결도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SQL XML의 각 구문에 따른 컬럼에 주키컬럼을 필수컬럼으로 지정하여 각 뷰페이지를 생성하게 된다. 이때 출력컬럼정보를 기반으로 컬럼명을 지정하고 이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출력하는 코드를 뷰페이지별로 각각 생성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광자기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임의의 테이블과 해당 테이블에 대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는 웹페이지 형태로 구현된 응용 프로그램을 예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응용 프로그램을 위한 연산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소스를 생성하는 장치의 기능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 소스의 생성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프로그램 소스 생성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컬럼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SQL 구문을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 소스 생성을 위해 입력되는 SQL 구문을 도시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출컬럼정보를 이용하여 소스코드를 생성하는 과정을 상세히 도시한 흐름도.

Claims (10)

  1. 데이터베이스의 응용 프로그램 소스를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a)입력되는 SQL 구문을 데이터베이스에 실행하는 단계;
    (b)상기 실행의 결과에 따른 컬럼메타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c)상기 컬럼메타정보를 이용하여 프로그램 소스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응용 프로그램 소스 생성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SQL 구문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되거나,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스키마 정보 또는 UML 데이터로부터 취득된 테이블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베이스 응용 프로그램 소스 생성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상기 SQL 구문이 조회용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SQL 구문이 조회용인 경우에만 상기 SQL 구문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실행하고, 상기 SQL이 조회용이 아닌 경우 상기 컬럼메타정보로써 상기 SQL 구문으로부터 SQL 파라메타를 파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베이스 응용 프로그램 소스 생성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컬럼메터정보에 따른 컬럼 중 화면에 노출될 컬럼 및 명칭을 포함하는 출력컬럼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컬럼정보 및 상기 컬럼메타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 소스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베이스 응용 프로그램 소스 생성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소스의 생성은, 상기 컬럼메타정보에 상응하도록 데이터 처리를 위한 클래스 정보인 DAO(Data Access Object) 및 DTO(Data Transfer Object)를 위한 소스코드와, 상기 컬럼메타정보 및 상기 출력컬럼정보에 상응하는 하나 이상의 뷰페이지(view page)에 따른 소스코드를 각각 생성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베이스 응용 프로그램 소스 생성 방법.
  6. 데이터베이스의 응용 프로그램 소스를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또는 UML 데이터로부터 테이블 정보를 취득하여 SQL 구문을 생성하는 단계;
    사용자가 상기 SQL 구문을 수정하거나, 화면에 표시될 출력컬럼정보를 설정 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SQL 구문을 데이터베이스에 실행한 결과에 따른 컬럼메타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컬럼메타정보 및 상기 출력컬럼정보를 이용하여 프로그램 소스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응용 프로그램 소스 생성 방법.
  7. 제1항 내지 6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들의 조합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디지털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8. 데이터베이스의 응용 프로그램 소스를 생성하는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SQL 구문을 입력받거나, 사용자가 출력컬럼정보를 설정하도록 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입력되는 SQL 구문을 데이터베이스에 실행하는 SQL 실행부;
    상기 실행의 결과에 따른 컬럼메타정보를 추출하는 컬럼정보 인식부; 및
    상기 컬럼메타정보를 이용하여 프로그램 소스를 생성하는 소스 생성부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응용 프로그램 소스 생성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스키마 정보 또는 UML 데이터로부터 취득된 테이블 정 보를 이용하여 상기 SQL 구문을 생성하는 SQL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응용 프로그램 소스 생성 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생성부는, 상기 컬럼메타정보에 상응하도록 데이터 처리를 위한 클래스 정보인 DAO(Data Access Object) 및 DTO(Data Transfer Object)를 위한 소스코드와, 상기 컬럼메타정보 및 상기 출력컬럼정보에 상응하는 하나 이상의 뷰페이지(view page)에 따른 소스코드를 각각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베이스 응용 프로그램 소스 생성 장치.
KR1020090003874A 2009-01-16 2009-01-16 데이터베이스 응용 프로그램 소스 생성 방법 및 장치 KR1010202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3874A KR101020234B1 (ko) 2009-01-16 2009-01-16 데이터베이스 응용 프로그램 소스 생성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3874A KR101020234B1 (ko) 2009-01-16 2009-01-16 데이터베이스 응용 프로그램 소스 생성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4404A true KR20100084404A (ko) 2010-07-26
KR101020234B1 KR101020234B1 (ko) 2011-03-08

Family

ID=42643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3874A KR101020234B1 (ko) 2009-01-16 2009-01-16 데이터베이스 응용 프로그램 소스 생성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02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1079B1 (ko) * 2011-09-08 2014-01-14 (주)이맥스 데이터베이스와 연동되는 프로그램을 제어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6983B1 (ko) * 2002-07-24 2005-06-23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Metasql 컴포넌트를 이용한 sql 쿼리의 관리방법 및 시스템
KR100505111B1 (ko) * 2002-10-02 2005-07-29 가림정보기술(주) 데이터베이스 연산용 프로그램 소스 생성 장치 및 그방법과 이를 이용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KR20070064224A (ko) * 2005-12-15 2007-06-20 (주)파슨텍 소규모 단말 환경에서 임베딩을 통하여 구축한 db 관리시스템 및 그 db 관리 방법
KR20080001845A (ko) * 2006-06-30 2008-01-04 류근호 인터넷에서의 검색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1079B1 (ko) * 2011-09-08 2014-01-14 (주)이맥스 데이터베이스와 연동되는 프로그램을 제어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0234B1 (ko) 2011-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934062B (zh) 一种查询elasticsearch的实现方法及系统
US6643633B2 (en) Storing fragmented XML data into a relational database by decomposing XML documents with application specific mappings
US7290012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passing data between an extensible markup language document and a hierarchical database
US7945590B2 (en) Programmability for binding data
KR101401171B1 (ko) 정보 재사용 방법, 정보 제공 방법, 편집 가능한 문서, 및 문서 편집 시스템
US20030105745A1 (en) Text-file based relational database
CN109840256B (zh) 一种基于业务实体的查询实现方法
US20080250394A1 (en) Synchronizing external documentation with code development
US7720885B2 (en) Generating a word-processing document from database content
JP2002297602A (ja) 構造化文書検索方法および構造化文書検索装置および構造化文書管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02297605A (ja) 構造化文書検索方法および構造化文書検索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CN112347123A (zh) 数据血缘的分析方法、装置和服务器
Liu et al. An XML-enabled data extraction toolkit for web sources
JP3914081B2 (ja) アクセス権限設定方法および構造化文書管理システム
KR101020234B1 (ko) 데이터베이스 응용 프로그램 소스 생성 방법 및 장치
CN108509187B (zh) 一种自动生成软件平台mib功能代码的方法及系统
CN113221528B (zh) 基于openEHR模型的临床数据质量评估规则的自动生成与执行方法
JP3842572B2 (ja) 構造化文書管理方法および構造化文書管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Faiz et al. OD2WD: From Open Data to Wikidata through Patterns.
JP3842576B2 (ja) 構造化文書編集方法及び構造化文書編集システム
JP3842574B2 (ja) 情報抽出方法および構造化文書管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3288365A (ja) 付加情報管理方法及び付加情報管理システム
JP3842575B2 (ja) 構造化文書検索方法、構造化文書管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11221846B (zh) 一种sql语句的自动翻译方法及装置
KR100904890B1 (ko) 임베디드 멀티미디어 기기에 적합한 mpeg-7메타-데이터 저장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