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4389A - 영어학습 시스템 - Google Patents

영어학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4389A
KR20100084389A KR1020090003857A KR20090003857A KR20100084389A KR 20100084389 A KR20100084389 A KR 20100084389A KR 1020090003857 A KR1020090003857 A KR 1020090003857A KR 20090003857 A KR20090003857 A KR 20090003857A KR 20100084389 A KR20100084389 A KR 201000843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lish
learning
character
database
sent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3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9176B1 (ko
Inventor
이성호
Original Assignee
이성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호 filed Critical 이성호
Priority to KR1020090003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9176B1/ko
Publication of KR20100084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43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9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91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rketing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어의 품사를 쉽게 익히도록 하며, 국어로 된 우리말을 영어의 어순에 따라서 영작하는 연습을 하기 위한 영어학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영어 학습을 지원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정보가 입력된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영어학습과 관련된 학습 콘텐츠가 저장된 학습 데이터베이스, 상기 영어학습 및 영어성분을 구성하는 품사별로 이미지화한 캐릭터들이 저장된 캐릭터 데이터베이스, 상기 캐릭터 데이터베이스에 구비된 캐릭터들로 제작된 에니메이션이 저장된 에니메이션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학습 데이터베이스는 국어문장과, 상기 국어문장을 의문사, 주어, 서술어, 주격보어, 목적어, 목적격보어, 부사어 등이 이루는 영어의 어순에 따라 형성된 영어문장을 구성하는 문장요소에 대응하는 의미군별로 구획되어 구성되도록 하고, 상기 국어문장의 구획된 의미군에 대응하여 영어의 어순에 해당하는 숫자기입이 가능하도록 한 마킹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학습 시스템을 제공한다.
영어, 어순, 데이터베이스, 캐릭터, 영어학습 시스템

Description

영어학습 시스템{System For Studying English}
본 발명은 영어학습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품사의 성질을 자연스럽게 터득하며 우리말의 어순을 영어의 어순으로 자연스럽게 변경하는 학습이 가능한 영어학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어는 국제적으로 정치, 경제, 문화 등 여러 가지 분야에서 가장 많이 쓰이고 있는 언어이므로, 세계화의 시대적 상황에 부응하기 위해서는 이론적인 영어 학습보다는 의사소통 중심으로 영어 학습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현재 우리 나라의 영어교육방법은 독해 위주의 학습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이 교육방법으로는 자신이 습득한 영어표현들을 회화나 영작영역에서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주로 문자로 인쇄된 책자로 학습하고 있어서 외국인의 발음을 듣는데 어려움이 많고, 이로 인하여 영어교육을 몇 년간 받은 사람이라 할지라도 외국인과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단어나 문장의 테스트 장치는 독해력이나 단어 학습에는 도움을 주지만 외국어 학습에 있어 가장 중요한 실전적인 회화문의 구사 및 청취 이해에는 거 의 도움을 주지 못한다.
우리는 우리말인 국어의 경우에는 읽자마자 읽는 순서대로 바로 이해하고, 듣자마자 듣는 순서대로 바로 알아듣고, 생각하자마자 생각하는 순서대로 바로 말이 되어 입에서 나간다.
그런데, 우리말을 영어로 표현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표현하고자 하는 우리말의 문장에 해당하는 단어를 모두 알고 있어도 쉽게 영작이나 말을 할 수가 없다.
이는, 우리말은 주어, 목적어, 서술어의 순서로 배열되는 형태를 이루고 있으나, 영어의 경우 주어, 서술어, 목적어 등과 같이 배열되는 등 말의 어순이 다르기 때문이며, 작게는 영어를 구성하는 품사 등의 성질 및 형태도 우리말과 많은 차이를 보이기 때문이다.
이로 인하여 어릴 때부터 또는 장기간의 미국에 살다 온 사람들의 경우와 같이 영어로 완벽하게 생각하고 표현하는 연습을 하지 못한 사람들의 경우에는 쉽게 우리말로 된 문장을 영어 어순에 맞는 문장으로 바꾸질 못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에는 인터넷 등을 통하여 다양한 영어학습들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 실제로 시도되고 있고, 개발되고 있는 많은 수의 영어학습용 프로그램들도 실제 영작 및 회화를 하기 위한 기초단계인 우리말을 영문으로 자연스럽게 바꾸는 연습을 제대로 할 수는 없었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해, 사용자가 인터넷을 통하여 영어학습을 하면서 영어를 이루는 다양한 품사들의 성격과 함께 영어식 어순에 대한 사고를 자연스럽게 익히 도록 하면서, 또한 이러한 학습을 시각적 효과를 이용하여 자연스럽게 체득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 및 제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영어문장을 구성하는 품사 각각의 기능 및 성격을 보다 쉽게 파악할 수 있는 영어학습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둘째, 영작을 할 때 보다 과학적인고 체계적인 연습을 통하여 학습이 가능한 영어학습 시스템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영어 학습을 지원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정보가 입력된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영어학습과 관련된 학습 콘텐츠가 저장된 학습 데이터베이스, 상기 영어학습 및 영어성분을 구성하는 품사별로 이미지화한 캐릭터들이 저장된 캐릭터 데이터베이스, 상기 캐릭터 데이터베이스에 구비된 캐릭터들로 제작된 에니메이션이 저장된 에니메이션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학습 데이터베이스는 국어문장과, 상기 국어문장을 의문사, 주어, 서술어, 주격보어, 목적어, 목적격보어, 부사어 등이 이루는 영어의 어순에 따라 형성된 영어문장을 구성하는 문장요소에 대응하는 의미군별로 구획되어 구성되도록 하고, 상기 국어문장의 구획된 의미군에 대응하여 영어의 어순에 해당하는 숫자기입이 가능하도록 한 마킹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학습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국어문장은 상기 영어어순에 따라서 배치된 영어문장의 문장요소에 대응하는 의미군별로 미리 사선에 의하여 구획되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킹부는 상기 의미군 각각마다 영어의 어순에 해당하는 숫자기입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의문사, 주어, 서술어, 주격보어, 목적어, 목적격보어, 부사어 등이 영어의 어순에 따라 배치된 기본문장틀이 더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영어어순에 따라 배치된 문장요소별로 미리 어순에 따른 고유의 기호가 부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어어순에 따라 배치된 문장요소별로 미리 어순에 따라 부여되는 고유의 기호는 숫자(number)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캐릭터 데이터베이스에 구비되는 캐릭터는 영어의 문장성분을 구성하는 8품사마다 각각 대응하여 이미지화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8품사에 대응하는 각각의 캐릭터들과 연관되어 상기 품사와 결합 또는 품사의 변형을 암시할 수 있는 보조캐릭터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캐릭터는 표시되는 영어문장에 있어서 대응되는 문장성분의 8품사 주위로 선택적으로 표시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캐릭터는 표시되는 영어문장에 있어서 대응되는 문장성분의 8품사 주위로 선택적으로 표시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사용자의 정보가 입력된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영어학습과 관련된 학습 콘텐츠가 저장된 학습 데이터베이스, 상기 영어학습 및 영어성분을 구 성하는 품사별로 이미지화한 캐릭터들이 저장된 캐릭터 데이터베이스, 상기 캐릭터 데이터베이스에 구비된 캐릭터들로 구성된 에니메이션이 저장된 에니메이션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된 영어학습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가 유효한 가입자인지를 인증하는 단계; 및 상기 인증이 완료된 사용자가 영어학습과 에니메이션 중 한가지를 선택하는 메뉴선택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영어학습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메뉴선택단계 후에는 사용자가 직접 선택한 캐릭터로 제작된 에니메이션이 제공되도록 하는 캐릭터 선택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직접 선택한 캐릭터가 동시에 제공 가능한 영어학습이 진행되도록 하는 캐릭터 선택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가 직접 선택한 캐릭터로 학습이 진행되는 경우, 학습의 성취도를 시각적으로 알아볼 수 있도록 캐릭터의 모습이 변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캐릭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캐릭터를 변경하여 입력할 수 있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캐릭터 변경을 하기 위한 가입자 인증단계; 및 변경되는 캐릭터를 입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변경되는 캐릭터를 입력하여 저장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비용입금단계 및 입금된 비용 확인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영어 학습을 지원하는 영어학습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정보가 입력된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영어학습과 관련된 학습 콘텐츠가 저장된 학습 데이터베이스, 상기 영어학습 및 영어성분을 구성하는 품사별로 이미지화한 캐릭터들이 저장된 캐릭터 데이터베이스, 상기 캐릭터 데이터베이스에 구비된 캐릭터들로 구성된 에니메이션이 저장된 에니메이션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학습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캐릭터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에니메이션 데이터베이스는 서로 연결되어 실행되되, 학습 데이터베이스에 구비된 영어 학습 중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에니메이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에니메이션 중 관련된 부분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학습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영어학습 시스템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말로 된 글을 영어의 문장요소에 해당하는 의미군별로 번호를 붙여가면서 영작연습을 함으로써, 자연스럽게 우리말을 영작으로 변형하는데 필요한 감각을 키울 수 있는 학습효과가 있다.
둘째, 영어의 문장성분을 이루는 품사를 각각 캐릭터로 나타냄으로써 어린이들이나 영어를 처음배우는 어른들도 쉽게 각각의 8품사에 대한 성격을 익힐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셋째, 특히 상기 8품사를 이용하여 전개되는 에니메이션을 통하여 학습자에게 내용을 전달할 수 있게 되고, 일부 품사의 변형 형태도 소개가 가능하게 되어, 품사를 이루는 단어 각각에 대한 감각을 보다 쉽게 터득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넷째, 학습자의 성취도에 따라서 캐릭터가 변화되도록 하여 학습에 흥미를 불러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기본적인 사상은 영작 시에 영어문장을 이루는 문장요소에 대응하도록 우리말을 의미군으로 나눈 후, 상기 나누어진 우리말을 이루는 의미군들을 영어문장을 이루는 문장요소가 이루는 어순에 따라서 자연스럽게 재배치시키는 연습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영어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는 학습 시스템을 제공하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영어학습 시스템을 이루는 주요 구성요소들간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은 사용자의 정보가 입력된 사용자 데이터베이스(210), 영어학습과 관련된 학습 데이터베이스(240), 상기 영어학습을 위한 캐릭터 데이터베이스(220), 상기 캐릭터 데이터베이스(220)에 구비된 캐릭터들로 구성된 에니메이션 데이터베이스(230)를 포함하여 구성된 영어학습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들은 전송서버(250)와 유, 무선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유, 무선네트워크(260)를 통하여 개인 PC 또는 핸드폰 등과 같은 단말 기(270,280,29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영어학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210)는 사용자의 인증정보, 가입정보 및 접속 시간대와 접속기간 등을 포함하는 이용현황 정보와 관련된 데이터들이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캐릭터 데이터베이스(220)는 영어의 문장성분을 이루는 품사에 대응하는 다양한 형태의 캐릭터들이 저장된다.
또한, 상기 에니메이션 데이터베이스(230)는 상기 품사별로 대응되는 캐릭터들로 만들어진 에니메이션이 저장된다.
한편, 상기 학습 데이터베이스(240)는 국어문장과, 상기 국어문장을 의문사, 주어, 서술어, 주격보어, 목적어, 목적격보어, 부사어 등이 영어의 어순에 따라 형성된 영어문장을 구성하는 문장요소에 대응하는 의미군별로 구획되어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국어문장의 구획되어 표시된 의미군에 대응하여 영어의 어순에 해당하는 숫자기입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마킹부를 포함하여 저장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캐릭터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되는 캐릭터들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 영어학습 시스템에 사용되는 캐릭터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영어의 8품사에 각각 대응하는 캐릭터(10,20)가 캐릭터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된 상태로 구비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8품사가 본 발명 영어학습 시스템에 있어서의 활용방법을 대표적인 몇 개의 품사만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영어를 이루는 문장 성분으로서는 명사(Noun), 대명사(Pronoun), 동사(Verb), 형용사(Adjective), 부사(Adverd), 전치사(Preposition), 접속사(Conjunction) 및 감탄사(Interjection)와 같이 총 8개의 품사가 구비되어 있음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은 영어학습에 도움이 되도록 영어의 문장 성분을 이루는 8품사를 다양한 형태의 캐릭터로 구성하여 상기 캐릭터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된다.
상기 도 2에서는 일예로서 다양한 동물을 활용하여 각각의 품사를 나타낸 것이며, 이는 다른 형태의 이미지가 사용되는 캐릭터일 수도 있다.
먼저, 첨부된 도 2에서는, 명사로서 다양한 동물 중 쥐를 캐릭터로 사용하고 있다.
즉, 쥐를 이용한 캐릭터에 명사(Noun)의 앞 글자인 "N(18)"을 붙이고, 쥐를 보면 명사를 나타내는 캐릭터로 인식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명사를 나타내는 캐릭터(10)인 쥐에는 다시 소정의 보조캐릭터(11,12,13)가 붙어있는 형태로 사용함으로써, 명사의 변형 및 추가가 가능하다는 것과 어떻게 어떤 성분이 변형 및 추가가 되는지를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즉, 쥐에 시계를 붙인 형태를 띠도록 하고 상기 시계에 ('S)를 붙임으로써 명사를 소유격의 형태로 변형이 가능함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명사를 나타내는 캐릭터(10)에 부정관사를 나타내는 "A"를 모자(11)로 서, 정관사를 나타내는 "T"를 명사로 사용되는 캐릭터가 활용하는 물품(13)으로서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일반적으로 명사에는 자동적으로 관사가 붙는다는 것을 학습자에게 시각적으로 터득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동사를 나타내는 캐릭터(20)에는 다른 모양의 동물을 사용하고 동사를 나타내는 마크 "V(28)"와 함께 동사의 다른 변형형태나 "have" 동사와 같이 사용된다는 것을 나타내는 보조캐릭터(21)를 붙임으로써 학습자가 흥미를 가지고 캐릭터를 보면서 쉽게 동사의 변형형태를 예측 및 체득할 수 있도록 한다.
그 외에도, 대명사, 형용사 등도 다양한 캐릭터를 활용하여 품사의 활용예를 나타낼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 영어학습 시스템에서는 상기와 같은 캐릭터들을 이용하여 각각의 품사를 설명하는 에니메이션이 구비된다.
즉, 에니메이션이 전개되는 과정에서 각각의 품사의 활용예가 설명되도록 한 것이며, 이와 같은 에니메이션은 에니메이션 데이터베이스(230)에 저장된다.
일예로서, 첨부된 도 3은 대명사를 나타내는 캐릭터(30)와 명사를 나타내는 캐릭터(10)가 에니메이션으로 표현된 것의 일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술한 이유와 같이 일반 명사에는 관사가 붙으며, 대명사에는 관사가 붙지 않는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도 4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데이터베이스들을 구비한 영어학습 시스템에 있어서, 우리말을 영어로 변형시키는 연습을 위한 기본적인 영어학습형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시된 것과 같은 영어학습 콘텐츠가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기의 모니터 등에 표시된다.
영어는 영어문장을 구성하는 문장요소들이 특유의 순서를 가지고 배열되어 있는 언어이다.
즉, 영어의 문장요소를 크게 나누면 주어, 서술어, 주격보어, 목적어, 목적격보어, 부사어 등의 문장요소로 나누어지며, 상기 주어, 서술어 등의 문장요소들은 일정한 규칙하에 그 순서가 정해진 형태로 배열되어 영어문장을 이루게 된다.
첨부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어학습 시스템에 있어서 학습 데이터베이스(210)는 영작 연습을 위한 국어문장(121)과, 상기 국어문장(121)이 영문의 문장요소에 대응되는 의미군으로 구획되도록 한 후 상기 구획된 의미군별로 숫자 등을 기입하도록 한 마킹부(131)와, 그리고 마킹된 국어문장의 의미군을 다시 영어의 어순에 맞게 재배치시켜 표시되도록 한 영작문기입란(141)으로 구성된다.
즉, 우리말을 영어문장의 문장요소인 주어, 서술어, 주격보어, 목적어, 목적격보어, 부사어에 각각 대응되는 부분으로 구획하고 하는데, 이때 구획된 부분이 시각적으로 확실히 구별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는, 도시된 것처럼 사선에 의하여 국어문장(121)을 의미군별로 시각적으로 구획되어 표시되도록 할 수 있으며, 따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다수개의 칸으로 구성된 테이블로 구성한 후 상기 테이블의 각 칸마다 국어문장이 의미군별로 구비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마킹부(131)는 국어문장의 구획된 의미군마다 번호 등을 기입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도시된 것처럼, 구획된 우리말의 의미군 각각마다 블랭크(blank) 형식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보다 체계적인 학습을 위하여 미리 기본문장틀(111)이 상기 영작용 학습부(200) 주위로 배치되도록 하여, 영작 연습 시 상기 기본문장틀(111)을 참고하여 영작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기본문장틀(111)은 영작되는 영문의 형식 등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로 제시될 수 있으나, 첨부된 도면에서는 그 중 일 형태로서, 다수개의 칸(101)으로 구성된 테이블로 구성한 후, 주어, 서술어 등 영어문장을 구성하는 문장요소(113)를 나타내고 작성될 영어문장에서 상기 문장요소(113)들이 배치되는 순서를 숫자(111)를 통하여 학습자에게 설명되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숫자는 미리 상기 영어어순에 따라 배치된 문장요소별로 미리 고유의 숫자가 부여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주어는 1, 서술어는 2와 같이 처음부터 고유의 숫자가 정해지도록 한 것이다. 이 경우, 첨부된 도 5에서와 같이, 문장의 종류에 따라서 주어 앞에 의문사 등이 오는 경우에는 따로 고유의 숫자, 예를 들어 wh1, 등과 같은 숫자를 부여할 수도 있으며, 숫자 이외의 다른 기호 등을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특히, 본 발명 영어학습 시스템에서는 상기 고유의 숫자가 처음부터 문장요소에 대응하여 정하여 지도록 하고, 학습자는 영어의 문장요소에 대응하는 우리말의 의미군을 파악한 후, 우리말의 의미군별로 영어의 문장요소에 대응하는 미리 정 해진 숫자를 기입 후, 숫자의 순서에 따라서 재배치하여 전체 영어문장을 완성하게 된다.
이 경우,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학습자는 상기 기본문장틀(111)을 보지 않고서도 영어문장을 구성하는 주어, 서술어 등 문장요소가 배열되는 어순을 자연스럽게 습득할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영어학습 시스템을 이용 영작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학습자는 "그것은 지방의 관습이다" 라는 국어문장을 영작하는 연습을 하는 경우, 미리 제공된 본 발명 영어학습부의 국어문장(121)으로 제시된 "그것은/ 지방의 관습/ 이다."를 보고서 영어의 문장요소에 대응되는 우리말의 의미군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이때 영어문장의 문장요소인 주어, 서술어 등에 대응하는 우리말의 의미군을 파악하기 위한 기초지식 또는 선행학습이 필요할 것이다.
다음으로는, 상기 의미군을 기본문장틀(111)을 보면서 영어에 있어서 해당 문장요소 중 어떤 것에 대응되는지를 파악하는 단계를 거치게 된다.
그리고 나서, 상기 파악된 국어문장의 의미군의 하부에 구비된 마킹부(131)에 대응되는 영어문장에 있어서 문장요소의 숫자를 기입하고, 기입된 숫자에 따라 우리말의 의미군들을 배열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우리말의 의미군을 이루는 "그것은" 은 영어의 "it"이 되고, "지방의 관습"은 "a local custom"이 되며, "이다"는 be동사 중 하나인 "is"가 된 다.
즉, 이와 같이 의미군별로 영작된 문장요소를 다시 마킹부(131)에 마킹된 숫자의 순서대로 배열하게 되면, 최종 영작된 "It is a local custom."로 이루어진 영문이 완성된다.
이때, 상기 국어문장(121), 마킹부(131)와 영작문 기입란(141)은 상기 마킹부(131)와 영작문 기입란(141)에 미리 답을 이루는 결과가 제시되도록 하고, 도시된 것처럼, 그 후에는 상기 마킹부(131)와 함께 빈칸으로 남겨 놓아 학습자가 직접 키보드 등을 이용 번호를 입력하고, 의미군에 따른 영어문구가 표시되거나 또는 영작도 직접 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번호를 잘못 입력하거나 하는 경우에는 오답을 알리는 표시나 음향이 출력됨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영어학습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의문문을 이루는 우리말을 또한 의문문의 영어로 변형시키는 연습을 하기 위한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영어학습의 다른 형태에 있어서 구비되는 기본문장틀(122)은 의문사를 이용하여 의문문으로의 영작연습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 경우에도, 국어문장(122)과 마킹부(132), 그리고 최종 영작되는 영작문 기입란(142)으로 이루어진 영어학습 시스템이 구비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있어서의 영어학습용 기본문장틀(112)은, 첨부된 도 4에서와 마찬가지로, 다수개의 칸으로 이루어진 테이블에 각각의 문장성분의 명칭 을 기입하여 놓으며, 의문사, 기능서술어, 주어, 의미서술어, 주격보어 등의 순서로 문장요소가 구비된다.
여기서 기능서술어는 be동사나 조동사를 나타내는 것이며, 의미서술어는 원형동사 또는 동사가 사용되지 않는 것을 나타낸다.
도 5에서와 같은 의문문을 영작하는 방법을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무엇이 너를 행복하게 만드니?"라는 국어문장(122)을 영작하기 위해서 예문에서는 "무엇이/너를/행복하게/만드니" 와 같이 시각적으로 영어의 문장요소에 대응되도록 우리말이 의미군으로 구획되어 있다.
다음으로는 구획된 의미군에 대응하는 마킹부(142)에 기본문장틀(112)의 문장요소에 대응하는 번호를 부여하게 된다.
의문문의 경우에도 영어문장의 문장성분 별로 캐릭터가 표시된 캐릭터표시부(152)가 나타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부여된 번호를 토대로 의미군을 각각 영어로 변환 후 배열하면 "What makes you happy?"와 같이 최종 영어문장이 완성된다.
상기에서는 일반적인 평서문과 의문문을 두 가지 만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그 외의 다른 형태의 영어문장도 물론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약간의 변형을 가져오게 되는 다른 형태의 영어문장의 경우에도 상술한 형태와 같은 기본문장틀과 상기와 같은 문장들 및 캐릭터가 저장된 학습 데이터베이스가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캐릭터 데이터베이스 및 학습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본 발명 영어학습 시스템이 인터넷 등에서 운영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 영어학습 시스템이 운영되는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사용자는 소유하고 있는 단말기(270,280,290) 등을 통하여 가입자 인증단계를 거친다(S10).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로서는 여러 형태가 제한 없이 채택 가능하다.
도 6에서는 그 중 몇 가지의 형태로서, 개인용 PC(270), 핸드폰(280) 그리고 다른 형태의 디스플레이장치(290)를 나타낸 것이며, 그 외에 게임용 단말기일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가입자 인증 단계(S10)는 따로 구비된 사용자 관리모듈(미도시)을 통하여 사용자가 등록이 되어있는 사용자인지를 판단하여 등록이 되지 않았다면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가입자 정보를 전송받아 사용자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하여 사용자를 등록한다.
반대로, 사용자가 이미 등록이 되어 있는 상태라면 사용자 관리모듈은 사용자 데이터베이스(210)에 이미 저장된 인증정보와 비교하여 정당한 사용자인지의 인정여부를 판단한다.
이러한 사용자의 등록 및 인증방법은 공개된 기술임과 동시에 실제 다수의 형태로 실시되고 있는 기술이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은 가입자 인증단계(S10)를 거친 후에는 실제 영어학습을 위한 문제를 풀 것인지 또는 그 전에 에니메이션 등을 보면서 영어의 어순 또는 품사를 위한 공부를 할 지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선택단계를 거치게 된다(S20).
여기서, 사용자는 품사를 공부하는 에니메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를 선택하거나, 또는 영어학습을 하기 위한 문제 실행단계를 선택할 수 있다.
모니터 상에 상기 메뉴선택단계가 표시되고,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단말기 상에서 버튼 또는 터치스크린 등을 조작하는 방식으로 상기 선택과정이 이루어질 것이다.
여기서, 상기 에니메이션 실행을 선택한 경우에는 에니메이션이 실행되기 전에 에니메이션의 주인공이 되는 캐릭터를 미리 선택하는 단계를 거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S30).
즉, 에니메이션에 등장하는 캐릭터로서는 상술한 동물들 이외의 유명한 다른 에니메이션에 등장하는 캐릭터들 또는 따로 유명한 연예인들로 구성할 수 있는데, 어린이와 같은 사용자의 경우 친숙한 캐릭터들을 선택하고, 선택된 캐릭터들로 구성된 에니메이션을 보도록 함으로써 학습효과를 보다 극대화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캐릭터 선택 단계를 거친 후에는 선택된 캐릭터들로 구성된 에니메이션이 실행되는 단계를 거치게 된다(S40).
한편, 상기 메뉴선택단계(S20)에서 영어학습을 위한 문제실행단계를 선택한 경우에는, 사용자의 단말기로 상기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은 기본문장틀(111,112), 한글문장(121,122), 마킹부(131,132), 영작문기입란(141,142), 또는 캐릭터표시부(151,152) 등이 표시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기본문장틀, 한글문장, 마킹부, 영작용 기입란, 캐릭터표시부가 동시에 모두 표시될 필요는 없다.
즉, 초보자인 경우에는 모두 표시되도록 하여 학습효과를 높이도록 할 수 있으나, 나중에는 한글문장과 마킹부 그리고 영작용 기입란만이 표시되도록 한 후, 필요시에만 따로 기본문장틀(111,112)과 캐릭터표시부(151,152) 등이 나타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품사가 어떤 성질을 나타내는 것인지 잘 모르는 경우에는 관련된 품사가 등장하는 에니메이션 부분이 실행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나아가, 학습자의 영어실력이 증대될 수록 캐릭터가 성장하는 것처럼 보이게 할 수도 있다. 즉, 처음에는 어린 동물들로 이루어진 캐릭터들로 영어학습이 진행되도록 하고, 영어실력이 증가될 수록 성장한 동물들의 캐릭터가 사용되도록 하여 학습효과를 높일 수도 있다.
이러한 다양한 학습효과를 높이기 위한 실시예들은 학습자의 성취도 등을 미리 고려하여 상기와 같은 학습 시스템들은 선택적으로 적절히 적용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사용자로서는 학습자 이외에 운영자 또는 따로 영어학습을 위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사람 또는 회사가 될 수도 있다.
그 중 일예로서 도 7은 본 발명 영어학습 시스템이 운영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첨부된 도 7에서는, 캐릭터를 따로 별개의 사람 또는 회사가 본 발명 영어학습 시스템을 운영하는 사람 또는 회사에게 비용을 지불하고 제공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경우는 캐릭터를 직접적으로 마케팅 또는 광고수단으로 하기 위하여 이용될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캐릭터를 입력하는 사람이 가입자 인증단계를 거치게 된다(S15).
그리고, 메뉴선택단계를 거치게 된다(S25). 여기서, 사용자는 에니메이션 실행 또는 문제실행을 선택하지 않고 캐릭터 변경을 위한 항목을 선택하게 된다(S35). 그리고, 입력하고자 하는 캐릭터를 입력하는 단계를 거치게 된다(S45).
다음으로는 비용입금 단계를 거친 후(S55), 입금이 확인되면(S65) 캐릭터가 변경되고(S75), 실제 영어학습을 하는 사용자들은 변경된 캐릭터를 선택하여 학습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우리말로 된 글을 영어의 문장요소에 해당하는 의미군별로 번호를 붙여가면서 영작연습을 함으로써, 자연스럽게 우리말을 영작으로 변형하는데 필요한 감각을 키울 수 있는 학습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특히, 영어의 문장성분을 이루는 품사를 각각 캐릭터로 나타냄으로써 어린이들이나 영어를 처음배우는 어른들도 쉽게 각각의 8품사에 대한 성격을 익힐 수 있게 되며, 상기 8품사를 이용한 에니메이션을 통하여 학습자에게 내용을 전달할 수 있게 되고, 일부 품사의 변형 형태도 소개가 가능하게 되어, 품사를 이루는 단어 각각에 대한 감각을 보다 쉽게 터득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 영어학습 시스템을 이루는 주요 구성요소들간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 영어학습 시스템에 사용되는 캐릭터 들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있어서 영어의 문장 성분을 이루는 8품사 중 일부가 에니메이션으로 표현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있어서 우리말을 영어로 변형시키는 연습을 위한 기본적인 영어학습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있어서 우리말을 영어로 변형시키는 연습을 위한 다른 문장의 영어학습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 영어학습 시스템이 운영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 및
도 7은 본 발명 영어학습 시스템이 운영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명사를 나타내는 캐릭터 20: 동사를 나타내는 캐릭터
11,12,13,21: 보조캐릭터 111,112: 기본 문장틀
121,122: 국어문장 131,132: 마킹부
141,142: 영작문기입란 151,152: 캐릭터표시부
210: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220: 캐릭터 데이터베이스
230: 에니메이션 데이터베이스 240: 학습 데이터베이스
250: 학습제공서버 260: 유,무선 네트워크
270,280,290: 사용자 단말기

Claims (18)

  1.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영어 학습을 지원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정보가 입력된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영어학습과 관련된 학습 콘텐츠가 저장된 학습 데이터베이스, 상기 영어학습 및 영어성분을 구성하는 품사별로 이미지화한 캐릭터들이 저장된 캐릭터 데이터베이스, 상기 캐릭터 데이터베이스에 구비된 캐릭터들로 제작된 에니메이션이 저장된 에니메이션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학습 데이터베이스는 국어문장과, 상기 국어문장을 의문사, 주어, 서술어, 주격보어, 목적어, 목적격보어, 부사어 등이 이루는 영어의 어순에 따라 형성된 영어문장을 구성하는 문장요소에 대응하는 의미군별로 구획되어 구성되도록 하고, 상기 국어문장의 구획된 의미군에 대응하여 영어의 어순에 해당하는 숫자기입이 가능하도록 한 마킹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학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국어문장은,
    상기 영어어순에 따라서 배치된 영어문장의 문장요소에 대응하는 의미군별로 미리 사선에 의하여 구획되어 표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학습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킹부는,
    상기 의미군 각각마다 영어의 어순에 해당하는 숫자기입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학습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의문사, 주어, 서술어, 주격보어, 목적어, 목적격보어, 부사어 등이 영어의 어순에 따라 배치된 기본문장틀이 더 표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학습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어어순에 따라 배치된 문장요소별로 미리 어순에 따른 고유의 기호가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학습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영어어순에 따라 배치된 문장요소별로 미리 어순에 따라 부여되는 고유의 기호는 숫자(numb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학습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릭터 데이터베이스에 구비되는 캐릭터는,
    영어의 문장성분을 구성하는 8품사마다 각각 대응하여 이미지화 표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학습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8품사에 대응하는 각각의 캐릭터들과 연관되어 상기 품사와 결합 또는 품사의 변형을 암시할 수 있는 보조캐릭터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학습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캐릭터는,
    표시되는 영어문장에 있어서 대응되는 문장성분의 8품사 주위로 선택적으로 표시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학습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캐릭터는,
    표시되는 영어문장에 있어서 대응되는 문장성분의 8품사 주위로 선택적으로 표시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학습 시스템.
  11. 사용자의 정보가 입력된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영어학습과 관련된 학습 콘텐츠가 저장된 학습 데이터베이스, 상기 영어학습 및 영어성분을 구성하는 품사별로 이미지화한 캐릭터들이 저장된 캐릭터 데이터베이스, 상기 캐릭터 데이터베이스에 구비된 캐릭터들로 구성된 에니메이션이 저장된 에니메이션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된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가 유효한 가입자인지를 인증하는 단계; 및
    상기 인증이 완료된 사용자가 영어학습과 에니메이션 중 한가지를 선택하는 메뉴선택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된 영어학습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선택단계 후에는,
    사용자가 직접 선택한 캐릭터로 제작된 에니메이션이 제공되도록 하는 캐릭터 선택단계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학습 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직접 선택한 캐릭터가 동시에 제공 가능한 영어학습이 진행되도록 하는 캐릭터 선택단계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학습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직접 선택한 캐릭터로 학습이 진행되는 경우,
    학습의 성취도를 시각적으로 알아볼 수 있도록 캐릭터의 모습이 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학습 시스템.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릭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캐릭터를 변경하여 입력할 수 있는 단계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학습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캐릭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캐릭터를 변경하기 위하여는,
    캐릭터 변경을 하기 위한 가입자 인증단계; 및
    변경되는 캐릭터를 입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학습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되는 캐릭터를 입력하여 저장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비용입금단계 및 입금된 비용 확인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학습 시스템.
  18.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영어 학습을 지원하는 영어학습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정보가 입력된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영어학습과 관련된 학습 콘텐츠가 저장된 학습 데이터베이스, 상기 영어학습 및 영어성분을 구성하는 품사별로 이미지화한 캐릭터들이 저장된 캐릭터 데이터베이스, 상기 캐릭터 데이터베이스에 구비된 캐릭터들로 구성된 에니메이션이 저장된 에니메이션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학습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캐릭터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에니메이션 데이터베이스는 서로 연결되어 실행되되,
    학습 데이터베이스에 구비된 영어 학습 중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에니메이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에니메이션 중 관련된 부분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학습 시스템.
KR1020090003857A 2009-01-16 2009-01-16 영어학습 시스템 KR1016091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3857A KR101609176B1 (ko) 2009-01-16 2009-01-16 영어학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3857A KR101609176B1 (ko) 2009-01-16 2009-01-16 영어학습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4389A true KR20100084389A (ko) 2010-07-26
KR101609176B1 KR101609176B1 (ko) 2016-04-06

Family

ID=42643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3857A KR101609176B1 (ko) 2009-01-16 2009-01-16 영어학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917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8790B1 (ko) * 2011-09-06 2012-05-24 주식회사 스마트앤에듀 외국어 문장 학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학습 방법
KR101302875B1 (ko) * 2011-09-28 2013-09-05 손민석 기호처리를 통해 문장구조 인식이 용이한 영어문장 직독직해 학습시스템
KR101308035B1 (ko) * 2011-08-19 2013-09-13 윤혁희 어학학습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313268B1 (ko) * 2011-10-12 2013-09-30 정철 영어문장의 구성원리를 이용한 영어 말하기 능력 향상을 위한 영어학습교재
KR101405893B1 (ko) * 2012-08-28 2014-06-17 공병섭 단말기를 이용한 영어문장의 분석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24914A (ko) 2019-08-26 2021-03-08 옥순연 모바일 영어학습 서비스 제공서버의 모바일 영어학습 서비스 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2954B1 (ko) * 2019-04-10 2020-05-20 박광준 영어 학습 제공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3971A (ja) * 1999-10-14 2001-07-06 Tadatoshi Okubo 外国語学習教材及び外国語学習器具並びに外国語学習装置及び外国語学習プログラム記憶媒体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8035B1 (ko) * 2011-08-19 2013-09-13 윤혁희 어학학습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148790B1 (ko) * 2011-09-06 2012-05-24 주식회사 스마트앤에듀 외국어 문장 학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학습 방법
WO2013036051A2 (ko) * 2011-09-06 2013-03-14 주식회사 스마트앤에듀 외국어 문장 학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학습 방법
WO2013036051A3 (ko) * 2011-09-06 2013-05-02 주식회사 스마트앤에듀 외국어 문장 학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학습 방법
KR101302875B1 (ko) * 2011-09-28 2013-09-05 손민석 기호처리를 통해 문장구조 인식이 용이한 영어문장 직독직해 학습시스템
KR101313268B1 (ko) * 2011-10-12 2013-09-30 정철 영어문장의 구성원리를 이용한 영어 말하기 능력 향상을 위한 영어학습교재
KR101405893B1 (ko) * 2012-08-28 2014-06-17 공병섭 단말기를 이용한 영어문장의 분석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24914A (ko) 2019-08-26 2021-03-08 옥순연 모바일 영어학습 서비스 제공서버의 모바일 영어학습 서비스 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9176B1 (ko) 2016-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owan The teacher's grammar of English with answers: A course book and reference guide
Johnson et al. Encyclopedic dictionary of applied linguistics
Luke The social construction of literacy in the primary school
Liontas Developing idiomatic competence in the ESOL classroom: A pragmatic account
US20070112554A1 (en) System of interactive dictionary
Park Learner‐generated noticing of written L2 input: What do learners notice and why?
KR101609176B1 (ko) 영어학습 시스템
Zaki Corpus‐based teaching in the Arabic classroom: Theoretical and practical perspectives
Levine Syntactic analysis: An HPSG-based approach
Chou Task-supported language teaching to enhance young EFL adolescent learners’ comprehension and production of English phrasal verbs in Taiwan
Curzan Linguistics matters: Resistance and relevance in teacher education
Raish The measurement of the complexity, accuracy, and fluency of written Arabic
Habibullaevna Modern strategies in teaching vocabulary of modern English
Soh Teaching Chinese language in Singapore: Concerns and visions
Rapti A study of classroom concordancing in the Greek context: Data-driven grammar teaching and adolescent EFL learners
Machfud et al. A survey on Islamic mobile applications for children
Pietropaolo Perception, usage and productivity of variable morphological rules: investigations on the Italian subjunctive
Stefanova et al. A CORPUS-BASED STUDY OF ADVERBS OF FREQUENCY IN EFL STUDENTS’WRITING: A CASE OF DISTANCE LEARNING
KR101976714B1 (ko) 그래머 앤 리딩 영어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Liew Sin (gapore En) glish oracy education
Kledecka-Nadera Application of computer-assisted language learning in the development of reading comprehension skills
Ünlü Loading, distribution, and repetition patterns of the 2000 high frequency words of General English in an EFL course book
Tipprachaban Interference Problems in English-Thai Translation: A Study of Thai Translation Students
Yoon Writing like speaking: spoken register features in Korean EFL learners’ argumentative writing
Mo et al. Not All Unaccusatives Are Acquired Equal: Between-Verb Variations in Chinese Learners’ Acquisition of English Alternating Unaccusativ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