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4086A - 변압기의 절연유탱크 폭발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변압기의 절연유탱크 폭발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4086A
KR20100084086A KR1020090003529A KR20090003529A KR20100084086A KR 20100084086 A KR20100084086 A KR 20100084086A KR 1020090003529 A KR1020090003529 A KR 1020090003529A KR 20090003529 A KR20090003529 A KR 20090003529A KR 20100084086 A KR20100084086 A KR 201000840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ng oil
discharge hole
cover
tank
explo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3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7172B1 (ko
Inventor
김영훈
Original Assignee
(주)엔티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엔티전기 filed Critical (주)엔티전기
Priority to KR1020090003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7172B1/ko
Publication of KR20100084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40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7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71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07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using hinge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4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6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deformation of parts; Snap action moun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5/00Planar light sources
    • F21Y2105/10Planar light sources comprising a two-dimensional array of point-like light-genera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30Semiconductor lamps, e.g. solid state lamps [SSL] light emitting diodes [LED] or organic LED [O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ousings And Mounting Of Transform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절연유탱크 폭발 방지장치는, 변압기의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는 절연유탱크의 폭발을 방지하기 위한 절연유탱크 폭발 방지장치에 있어서, 절연유탱크 내부의 절연유를 하우징의 상측벽에 형성된 절연유배출공으로 배출시키는 절연유배출관; 상기 절연유배출공을 폐쇄하도록 결합되며, 절연유배출관으로부터 배출되는 절연유의 압력이 설정치 이상인 경우 파열되는 파열막; 상기 하우징의 상측벽 외측면으로부터 상향 연장되어 상기 절연유배출공 주변을 둘러싸는 절연유받이벽; 상기 절연유받이벽으로 둘러싸인 부위를 덮는 덮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절연유탱크 폭발 방지장치를 이용하면, 절연유탱크의 내부 압력이 상승되었을 때 절연유탱크 외부로 배출되는 절연유를 절연유받이벽 안쪽에 저장할 수 있으므로, 배출된 절연유를 회수하여 재사용함으로써 절연유 낭비 및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변압기, 절연유, 폭발, 배출, 덮개, 필터

Description

변압기의 절연유탱크 폭발 방지장치{Device for preventing the explosion of oil-tank using in transformer}
본 발명은 변압기의 절연유탱크가 과열에 의해 폭발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절연유탱크 과열 시 배출되는 유증기와 절연유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절연유탱크 폭발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냉방부하 및 컴퓨터 등 전기이용 정보처리시설과 편의시설 증가로 전기 사용량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과부하상태 지역 및 부하편중현상 심화지역의 확대로 나타나고 있다. 이로 인하여, 계통말단에 위치한 주상 및 지상변압기가 담당하는 부하량은 불규칙하게 증대되고, 지상변압기에는 과부하현상에 의한 열화와 외부환경에 의한 열화등에 의하여 잦은 절연 파괴가 발생한다.
또한 통상적으로 송배전선로에 사용되는 변압기는 용량이나 전압에 따라 그 구조를 달리하나 주요한 부분은 전선과 철심이며, 이것을 탱크 내부에 넣고 절연유를 가득 채우는데, 이 절연유는 전선의 절연물에 습기나 먼지가 들어가서 절연내력 을 저하시키는 것을 방지하고, 철심이나 전선에서 발생하는 열을 기름의 대류나 복사에 의해 방열시키기 위함이다.
이때, 변압기에 구비되는 절연유탱크는 과열 시 내부 압력 상승에 의해 폭발 위험이 있는바, 절연유탱크 과열 시 절연유탱크 내부의 절연유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절연유탱크 폭발 방지구조가 제안된 바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절연유탱크 폭발 방지구조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절연유탱크 폭발 방지구조가 구비된 변압기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압기는 일반적으로, 변압장비(14)와, 변압장비(14)를 감싸는 하우징(12)과, 하우징(12)의 상면 내측에 장착되는 절연유탱크(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절연유탱크(16)의 폭발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절연유탱크(16) 내부의 절연유를 하우징(12) 외부(도 1에서는 하우징(12)의 상측)로 배출시키기 위한 절연유배출관(12)이 절연유탱크(16)에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절연유배출관(12)은 절연유가 배출되는 측단이 하우징(12)의 상측벽에 형성되는 절연유배출공(13)과 연통되도록 장착되며, 상기 절연유배출공(13)은 절연유배출관(20)을 통해 배출되는 절연유의 압력이 설정치 이상이 되는 경우에 파열되도록 구성되는 파열캡(30)으로 폐쇄되어 있다.
따라서 절연유탱크(16) 내부의 압력이 기준치 이내인 경우에는 상기 절연유배출공(13)이 파열캡(30)으로 폐쇄되어 있으므로, 절연유가 절연유배출관(20)을 통 해 외부로 배출되지 아니하다가, 절연유탱크(16)의 폭발이 우려될만큼 절연유탱크(16)의 내부 압력이 상승하는 경우 절연유배출관(20)을 통해 배출되고자 하는 절연유 압력에 의해 파열캡(30)이 파열되어 절연유배출공(13)이 개방되고, 이에 따라 절연유가 하우징(12) 상측벽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절연유가 배출되면 절연유탱크(16)의 내부 압력이 급격하게 저하되는바, 상기 절연유탱크(16)는 폭발되지 아니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절연유탱크 폭발 방지구조는, 절연유탱크(16)의 폭발 위험이 있는 경우 절연유가 하우징(12) 외부로 배출되는바, 절연유가 그대로 버려지는 결과를 낳게 되어 절연유의 낭비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배출된 절연유에 의해 환경이 오염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절연유탱크의 내부 압력이 상승되었을 때 절연유탱크 외부로 배출되는 절연유를 저장함으로써, 절연유의 낭비 및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절연유탱크 폭발 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절연유탱크 폭발 방지장치는,
변압기의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는 절연유탱크의 폭발을 방지하기 위한 절연유탱크 폭발 방지장치에 있어서,
절연유탱크 내부의 절연유를 하우징의 상측벽에 형성된 절연유배출공으로 배출시키는 절연유배출관;
상기 절연유배출공을 폐쇄하도록 결합되며, 절연유배출관으로부터 배출되는 절연유의 압력이 설정치 이상인 경우 파열되는 파열막;
상기 하우징의 상측벽 외측면으로부터 상향 연장되어 상기 절연유배출공 주변을 둘러싸는 절연유받이벽;
상기 절연유받이벽으로 둘러싸인 부위를 덮는 덮개;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절연유배출공을 통해 배출된 절연유가 상기 절연유배출공으로 다시 유입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절연유배출공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며 상향 연장되는 유입방지턱을 더 포함한다.
상기 덮개는, 가장자리 부위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체결나사에 의해 상기 절연유받이벽과 결합되는 측벽을 구비하며,
상기 덮개의 측벽에는 상기 체결나사가 관통되는 부위에 상하로 길이를 갖는 슬롯이 형성되어, 상기 덮개가 상기 절연유받이벽과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덮개의 저면은 상기 절연유받이벽의 상단과 이격되며,
상기 덮개의 저면과 상기 절연유받이벽의 상단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절연유받이벽 외부로의 절연유 배출을 방지하는 필터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절연유탱크 폭발 방지장치를 이용하면, 절연유탱크의 내부 압력이 상승되었을 때 절연유탱크 외부로 배출되는 절연유를 절연유받이벽 안쪽에 저장할 수 있으므로, 배출된 절연유를 회수하여 재사용함으로써 절연유 낭비 및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절연유탱크 폭발 방지장치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절연유탱크 폭발 방지장치가 적용된 변압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절연유탱크 폭발 방지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도 4는 절연유가 배출될 때 본 발명에 의한 절연유탱크 폭발 방지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절연유탱크 폭발 방지장치는 변압기의 하우징(12) 내부에 장착되는 절연유탱크(16)의 폭발을 방지하기 위한 절연유탱크 폭발 방지장치로서, 절 연유탱크(16) 내부의 절연유를 하우징(12)의 상측벽에 형성된 절연유배출공(13)으로 배출시키는 절연유배출관(100)과, 상기 절연유배출공(13)을 폐쇄하도록 결합되며 절연유배출관(100)으로부터 배출되는 절연유의 압력이 설정치 이상인 경우 파열되는 파열막(110)과, 상기 하우징(12)의 상측벽 외측면으로부터 상향 연장되어 상기 절연유배출공(13) 주변을 둘러싸는 절연유받이벽(200)과, 상기 절연유받이벽(200)으로 둘러싸인 부위를 덮는 덮개(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절연유배출관(100)과 파열막(110)은,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절연유탱크(16) 폭발 방지구조에 적용되었던 절연유배출관(20) 및 파열캡(30)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종래의 절연유탱크(16) 폭발 방지구조에 적용되는 파열캡(30)은 하우징(12)의 상측벽에 착탈 가능한 캡 구조인데 비해, 본 발명에 의한 절연유탱크 폭발 방지장치에 적용되는 파열막(110)은 단순히 절연유배출공(13)을 막는 플레이트 또흔 시트 형상이라는 점에 미차가 있으나, 상기 파열캡(30)과 파열막(110)은 그 형상에 있어서만 미차가 있을 뿐 절연유의 압력이 설정치 이상이 되는 경우 절연유배출공(13)이 개방되도록 파열된다는 기능 및 효과에 있어서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에 포함되는 파열막(110)은 종래기술에서 언급된 파열캡(30)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절연유탱크 폭발 방지장치는, 절연유배출관(100) 및 절연유배출공(13)을 통해 하우징(12)의 상측벽 외부로 배출되는 절연유를 저장할 수 있도록 절연유받이벽(200)과 덮개(300)를 구비한다는 점에 가장 큰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절연유받이벽(200)과 덮개(300)가 구비되면, 절연유탱크(16)의 내부압력이 기준치 이상으로 상승되어 절연유배출관(100) 및 절연유배출공(13)을 통해 절연유가 하우징(12)의 상측벽 외부로 배출되더라도 절연유받이벽(200)이 형성하는 공간 내에 고여 있게 되므로, 사용자는 절연유받이벽(200)이 형성하는 공간 내에 고인 절연유(I)를 회수 및 처리하여 재사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절연유탱크 폭발 방지장치를 이용하면, 절연유 낭비 및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절연유가 배출된 이후 절연유탱크(16)의 내부압력이 강하되면 상기 절연유배출공(13)을 통해 배출되었던 절연유(I)가 상기 절연유배출공(13)을 통해 다시 절연유탱크(16)로 유입될 수 있는데, 절연유배출공(13)을 통해 배출된 절연유는 덮개(300)의 천장면이나 절연유받이벽(200)의 내측면, 하우징(12) 상측벽의 외측면과 접촉되는 과정에서 먼지나 이물질이 혼합되어 오염되므로, 오염된 상태 그대로 절연유탱크(16)로 재유입되면 절연유탱크(16) 및 변전기의 고장이 유발된다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절연유탱크 폭발 방지장치는, 절연유배출공(13)을 통해 배출된 절연유(I)가 상기 절연유배출공(13)으로 다시 유입되지 아니하도록, 상 기 절연유배출공(13)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며 상향 연장되는 유입방지턱(400)을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이 유입방지턱(400)이 추가로 구비되면 한번 배출되었던 절연유(I)가 다시 절연유탱크(16)로 유입되지 아니하므로, 오염된 절연유 사용에 의한 절연유탱크(16) 및 변압기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절연유배출공(13)으로 절연유가 배출되는 과정에서는 절연유만 배출되는 것이 아니라 고압의 유증기까지 배출되므로, 절연유받이벽(200)과 덮개(300)가 이루는 공간(이하 '절연유 저장공간'이라 약칭함) 내의 압력이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기 덮개(300)가 절연유받이벽(200)에 고정 결합되면 절연유 저장공간 내의 압력 상승이 누적됨에 따라 각 구성요소의 파손 및 손상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덮개(300)는, 가장자리 부위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체결나사(320)에 의해 상기 절연유받이벽(200)과 결합되는 측벽을 구비하며, 상기 덮개(300)의 측벽에는 상기 체결나사(320)가 관통되는 부위에 상하로 길이를 갖는 슬롯(310)이 형성되어, 상기 덮개(300)가 상기 절연유받이벽(200)과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덮개(300)가 절연유받이벽(200)과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면, 절연유 저장공간 내의 압력이 상승하는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300)가 상측으로 들어 올려져 덮개(300)의 측벽 하단부가 하우징(12)의 상측벽으로부터 이격되므로, 유증기가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절연유 저장공간 내의 압력이 떨어지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절연유받이벽(200) 일측에 압축공기 공급수단(18)이 구비되어 있어, 상기 덮개(300)가 절연유받이벽(200) 및 압축공기 공급수단(18)의 측벽에 형성된 체결공(210)을 관통하는 체결나사(320)로 결합되고 있지만, 압축공기 공급수단(18)이 절연유받이벽(200) 일측에 위치하지 아니하는 경우 상기 덮개(300)는 절연유받이벽(200)에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덮개(300)의 측벽 하단부와 하우징(12)의 상측벽 사이의 공간으로 절연유가 배출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덮개(300)의 저면과 상기 절연유받이벽(200)의 상단 사이에 필터(500)가 추가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필터(500)는 절연유는 통과하지 못하고 유증기만 통과할 수 있는 재질로 제작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상기 덮개(300)가 최대한 상승되더라도 상기 필터(500)가 파손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필터(500)의 상하 길이는 여유 있게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절연유탱크 폭발 방지구조가 구비된 변압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절연유탱크 폭발 방지장치가 적용된 변압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절연유탱크 폭발 방지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절연유가 배출될 때 본 발명에 의한 절연유탱크 폭발 방지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절연유배출관 110 : 파열막
200 : 절연유받이턱 300 : 덮개
310 : 슬롯 320 : 체결나사
400 : 유입방지턱 500 : 필터

Claims (4)

  1. 변압기의 하우징(12) 내부에 장착되는 절연유탱크(16)의 폭발을 방지하기 위한 절연유탱크 폭발 방지장치에 있어서,
    절연유탱크(16) 내부의 절연유를 하우징(12)의 상측벽에 형성된 절연유배출공(13)으로 배출시키는 절연유배출관(100);
    상기 절연유배출공(13)을 폐쇄하도록 결합되며, 절연유배출관(100)으로부터 배출되는 절연유의 압력이 설정치 이상인 경우 파열되는 파열막(110);
    상기 하우징(12)의 상측벽 외측면으로부터 상향 연장되어 상기 절연유배출공(13) 주변을 둘러싸는 절연유받이벽(200);
    상기 절연유받이벽(200)으로 둘러싸인 부위를 덮는 덮개(3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유탱크 폭발 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유배출공(13)을 통해 배출된 절연유가 상기 절연유배출공(13)으로 다시 유입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절연유배출공(13)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며 상향 연장되는 유입방지턱(4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유탱크 폭발 방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300)는, 가장자리 부위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체결나사(320)에 의해 상기 절연유받이벽(200)과 결합되는 측벽을 구비하며,
    상기 덮개(300)의 측벽에는 상기 체결나사(320)가 관통되는 부위에 상하로 길이를 갖는 슬롯(310)이 형성되어, 상기 덮개(300)가 상기 절연유받이벽(200)과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유탱크 폭발 방지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300)의 저면은 상기 절연유받이벽(200)의 상단과 이격되며,
    상기 덮개(300)의 저면과 상기 절연유받이벽(200)의 상단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절연유받이벽(200) 외부로의 절연유 배출을 방지하는 필터(5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유탱크 폭발 방지장치.
KR1020090003529A 2009-01-15 2009-01-15 변압기의 절연유탱크 폭발 방지장치 KR1010471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3529A KR101047172B1 (ko) 2009-01-15 2009-01-15 변압기의 절연유탱크 폭발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3529A KR101047172B1 (ko) 2009-01-15 2009-01-15 변압기의 절연유탱크 폭발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4086A true KR20100084086A (ko) 2010-07-23
KR101047172B1 KR101047172B1 (ko) 2011-07-07

Family

ID=42643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3529A KR101047172B1 (ko) 2009-01-15 2009-01-15 변압기의 절연유탱크 폭발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717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9921B1 (ko) * 2010-11-19 2012-05-30 대영종합산기(주) 변압기 방출안전장치
KR101315840B1 (ko) * 2013-03-21 2013-10-08 (주)에이스전력 변전소 병렬 커패시터용 보호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1638B1 (ko) 2015-06-22 2015-10-20 (주)국제전기 변압기 폭발 및 파손예방 감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05253A1 (en) * 2002-05-03 2004-01-08 Martin Timothy A. Liquid barrier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KR200296641Y1 (ko) * 2002-09-03 2002-11-29 동아전기 주식회사 저손실형 패드 변압기
KR100779872B1 (ko) 2006-05-23 2007-11-27 주식회사 효성 변압기용 파열방지시스템
KR100787472B1 (ko) 2007-07-11 2007-12-21 대보전력기술 주식회사 지상변압기에서의 순간압력저감장치 설치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9921B1 (ko) * 2010-11-19 2012-05-30 대영종합산기(주) 변압기 방출안전장치
KR101315840B1 (ko) * 2013-03-21 2013-10-08 (주)에이스전력 변전소 병렬 커패시터용 보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7172B1 (ko) 2011-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8105B1 (ko) 전기 변압기의 폭발 방지 장치
US9297362B2 (en) Switchgear for an offshore wind turbine
US7902950B2 (en) System for preventing rupture of transformer tank
CN103313560A (zh) 用于收容电气设备的防爆安全壳
KR101047172B1 (ko) 변압기의 절연유탱크 폭발 방지장치
US9054363B2 (en) Degassing system for an accumulator, and accumulator having a degassing system
KR200443694Y1 (ko) 주상변압기용 방출안전장치
KR101759277B1 (ko) 변전용 변압기의 고정장치
KR200475876Y1 (ko) 주상변압기용 밀폐장치
FI112291B (fi) Muuntaja
KR101561638B1 (ko) 변압기 폭발 및 파손예방 감지장치
KR200296641Y1 (ko) 저손실형 패드 변압기
JP2016525283A (ja) 高電圧装置のためのバースト装置
KR102147685B1 (ko) 전력기기용 가스 절연 개폐장치용 소염 배기장치
KR100899417B1 (ko) 주상변압기용 방출안전장치를 주상변압기의 핸들 홀에 설치하는 방법
KR20140037623A (ko) 변압기용 외함
KR100887719B1 (ko) 변압기의 방출안전장치를 위한 친환경 누출방지용 커버를 구비한 상부커버 및 이 누출방지용 커버를 구비한 상부커버의 교체방법
JP7128655B2 (ja) 油入静止誘導機器
RU169333U1 (ru) Конденсатор связи взрывобезопасный
JP7018524B2 (ja) 破裂型油導流板を備えた電気設備
IE910846A1 (en) Transformer
JP7302346B2 (ja) 静止誘導電器及び静止誘導電器の気泡除去方法
KR0118890Y1 (ko) 변압기용 핸드홀 커버
KR102644731B1 (ko) 습도 유지 기능이 구비된 29kV 가스절연 개폐기 시스템
RU2815732C2 (ru) Защитный корпус с взрывозащитой вида &#34;взрывонепроницаемая оболочка&#34;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