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4047A - 브라우저 화면이동 처리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브라우저 화면이동 처리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4047A
KR20100084047A KR1020090003450A KR20090003450A KR20100084047A KR 20100084047 A KR20100084047 A KR 20100084047A KR 1020090003450 A KR1020090003450 A KR 1020090003450A KR 20090003450 A KR20090003450 A KR 20090003450A KR 20100084047 A KR20100084047 A KR 201000840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browser
soft keys
displayed
so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3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진
윤용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090003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84047A/ko
Publication of KR201000840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40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3Interaction with page-structured environments, e.g. book metaph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Abstract

본 발명은 브라우저 메인화면에 화면이동 소프트 키를 활성화시켜 화면의 빠른 이동이 가능하도록 해주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화면상에 표시된 아이콘(1)의 선택 이벤트 발생시 다수의 소프트 키(2)를 화면상에 표시하는 단계(S101); 및 상기 다수의 소프트 키(2) 가운데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 이벤트 발생시 브라우저에 표시된 웹 페이지 상의 대응 위치로 이동하는 단계(102);로 이루어지는 것에 특징이 있다.
이동통신단말기, 브라우저 화면, 소프트 키, 화면이동, 터치스크린,

Description

브라우저 화면이동 처리방법 및 그 장치{APPARATUS AND METHOD OF SCROLLING BROWSER SCREEN}
본 발명은 브라우저 메인화면에 화면이동 소프트 키(Soft Key)를 활성화시켜 화면의 빠른 이동이 가능하도록 해주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이동통신과 무선인터넷이 통합되면서, PC(Personal Computer) 중심의 네트워크 환경이 점차 이동단말의 네트워크 환경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현대인들은 이동단말을 통해 시간과 장소의 제약없이 언제 어디서나 무선인터넷에 접속하여 웹 서핑(Web Surfing), 메일 송수신, 인터넷 게임 등과 같은 다양한 콘텐츠를 즐길 수 있게 되었다.
그런데, 기존의 웹 컨텐츠(Web Contents)는 PC 모니터에 적합하도록 진화되어 왔고, 이로 인해 사용자들은 이미 넓은 PC 화면을 통한 웹 컨텐츠 브라우징에 익숙해져 있다. 이러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이동단말은 휴대성의 간편화를 위해 디스플레이 화면을 최소화할 수밖에 없었고, 이러한 브라우징 화면의 제약은 기존의 웹 화면을 제어하는데에 많은 불편함을 제공하는 단점으로 작용하였다.
이러한 상황 가운데 개발된 것이 바로 터치스크린 화면이다. 이때, 사용자가 브라우저 화면을 이동시키고자할 경우, 예컨대 화면 처음(Home), 페이지 업(Page Up), 페이지 다운(Page Down), 화면 끝(End) 등과 같은 이동메뉴를 실행시키고자할 경우에는 이동단말의 브라우저 화면상에 손가락으로 터치하여 스크롤시키므로, 화면을 이동시키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하지만, 상술한 종래의 화면이동방식에 의하면, 액정의 좁은 화면에서 사용자가 손을 이용해 화면의 처음과 끝, 중간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상당히 어려울 뿐만 아니라, 페이지 업(Page up), 페이지 다운(Page Down)의 기능 또한 사용상의 불편함이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술한 단점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이동단말은 화면 이동기능의 구현을 위해 특정 하드 키를 배치시킬 수도 없는 상황인데, 그 이유는 종래의 이동단말의 경우 하드 키가 부족할 뿐만 아니라, 브라우저의 화면 내에 화면 이동키를 배치시킬 경우 화면의 상당부분을 가리게 되어 브라우저 화면이 더 작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기 때문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브라우저 화면 내에 별도의 아이콘을 두고, 상기 아이콘의 선택에 따라 화면 상에 표시되거나 숨겨지는 다수의 화면이동 소프트 키를 구현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웹 페이지 상의 대응 위치로 손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해주어 편리성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고자 하는 본 발명의 브라우저 화면이동 처리방법은, 화면상에 표시된 아이콘의 선택 이벤트 발생시 다수의 소프트 키를 화면상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다수의 소프트 키 가운데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 이벤트 발생시 브라우저에 표시된 웹 페이지 상의 대응 위치로 이동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고자 하는 본 발명의 브라우저 화면이동 처리장치는,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한 브라우저;
터치 입력을 받는 터치스크린; 및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된 아이콘의 선택 이벤트 발생시 다수의 소프트 키를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하되, 어느 하나의 소프트 키에 대한 선택 이벤트 발생 시 상기 브라우저가 접속중인 웹 페이지 상의 대응위치로 이동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브라우저 화면 내에 별도의 아이콘을 두고, 상기 아이콘의 선택에 따라 화면 상에 표시되거나 숨겨지는 다수의 화면이동 소프트 키를 구현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웹 페이지 상의 대응 위치로 손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해주어 편리성을 제공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브라우저 화면이동 처리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브라우저 화면이동 처리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기능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브라우저 화면이동 처리장치는 브라우저(Browser)(100), 터치스크린(200) 및 제어부(30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브라우저(100)는 인터넷의 웹 사이트(Wep Site)에 접속하여 웹 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터치스크린(200)에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터치스크린(200)에는 도 3과 같이 해당 사이트의 웹 페이지가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상기 터치스크린(200)은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다른 막대 도구를 사용해 화면을 터치하면 이에 대한 터치 입력을 받아 상기 제어부(300)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해 다수의 화면이동용 소프트 키(2)를 화면 상에 표시하거나, 숨기는데에 사용되는 아이콘(1)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터치스크린(200)의 우측 끝단에 구현한다. 물론, 상기 아이콘(1)의 화면상의 위치는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지만, 사용자의 편리성을 고려하여 상기 터치스크린(200)의 일측 끝단에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사용자가 브라우저 화면을 바라볼 때, 상기 아이콘(1)이나, 또는 다수의 소프트 키(2)가 화면의 중앙 부분에 위치할 경우 브라우징시 사용자의 시야를 가릴 수 있기 때문에 일측 끝단에 배치시키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아이콘(1)이나 다수의 소프트 키(2)를 우측 끝단에 표시하는 이유는 오른손 잡이의 경우 오른손 엄지나 검지로 용이하게 터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아이콘(1)은 브라우저 화면상에 소정 픽셀수 이하의 크기로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이동단말의 화면 사이즈(Size)를 고려한 결과이다.
도 3의 (a)는 상기 다수의 소프트 키(2)가 화면상에 활성화되지 않은 상태를 보여준다. 이때, 도 2의 (a)에 도시된 것처럼, 사용자가 상기 아이콘(1)을 터치하여 누르면, 상기 제어부(300)는 그 아이콘(1) 터치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터치스크린(200)의 브라우저 화면상에 도 3의 (b)처럼 다수의 소프트 키(2)를 디스플레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300)는 도 4와 같이 상기 터치스크린(200) 상에 다수의 소프트 키(2)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어느 하나의 소프트 키(2)가 선택되면, 이에 해당하는 웹 페이지 상의 대응위치로 위치이동시킨다.
도 4에 도시된 예에 의하면 상기 다수의 소프트 키(2)는 우측에 위에서 부터 아래로 4개가 표시된다. 각 소프트 키(2)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터치하기에 적당한 크기로 표시된다. 한편, 도 4의 예에서는 맨 위쪽의 소프트 키가 선택되면 웹 페이지의 1/4 지점으로, 두번째 키가 선택되면 2/4 지점으로, 세번째 키가 선택되면 3/4 지점으로 그리고 마지막 키가 선택되면 4/4 지점으로 이동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도 4의 소프트 키(2)의 배열은 하나의 예시에 불과할 뿐, 상기 소프트 키(2)의 개수나 이동위치는 얼마든지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화면상에 표시되는 웹 페이지의 길이가 아주 긴 경우, 상기 제어부(200)는 이에 비례하여 보다 많은 개수의 소프트 키를 표시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소프트 키가 6개인 경우 각각 1/6, 2/6 ... 6/6 위치로 이동하도록 처리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사용자의 손가락 크기와 단말기 자체의 크기를 감안하면 소프트 키는 세로로 4개 정도가 표시되는 것이 적당한데 이때 맨 위에서부터 맨 앞으로(Home), 페이지 업(Page Up), 페이지 다운(Page Down), 맨 끝으로(End)와 같은 기능을 처리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맨 위의 소프트 키가 선택되면 웹 페이지의 맨 앞으로, 두번째 소프트 키가 선택되면 현재 화면에서 위쪽으로 한 페이지만큼 스크롤, 세번째 소프트 키가 선택되면 현재 화면에서 아래쪽으로 한 페이지만큼 스크롤, 네번째 키가 눌러지면 맨 끝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아이콘(1)의 선택 이벤트는 커서 키를 누르는 것이 아니라 터치스크린(200)을 통해 아이콘(1)이 터치된 경우 발생하며, 상기 다수의 소프트 키(2)의 선택 이벤트 역시 터치스크린(200)을 통해 소프트 키(2)가 터치된 경우에 발생 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300)는 도 3의 (b)와 같이 상기 다수의 소프트 키(2)가 터치스크린(200) 상에 표시된 이후, 다시 사용자에 의해 소프트 키(2) 이외의 영역이 터치되면 상기 다수의 소프트 키(2)를 터치스크린(200) 상에서 숨긴다. 이때, 소프트 키(2) 이외의 영역으로 도 3의 (b) 우측 끝단에 표시된 아이콘(1)으로 한정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아이콘(1)이 다시 터치되면 소프트 키(2) 숨김 기능을 수행된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장치를 이용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우저 화면이동 처리방법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하되, 상기의 장치부분의 설명과 중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우선, 사용자가 상기 터치스크린(200)에 디스플레이된 웹 페이지를 보면서 상기 아이콘(1)을 터치하면 화면상에 표시된 아이콘(1)의 선택 이벤트가 발생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터치스크린(200)으로부터 아이콘(1)의 선택신호를 입력받아, 웹 페이지의 화면 상에 도 3의 (b)와 같은 다수의 소프트 키(2)를 표시한다(S101).
또한, 사용자가 도 3의 (b) 또는 도 4와 같은 상기 다수의 소프트 키(2) 가운데 어느 하나를 터치하면, 상기 터치스크린(200)은 이에 상응한 선택신호를 상기 제어부(300)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300)는 사용자가 터치한 소프트 키(2)에 상응하는 웹 페이지 상의 대응 위치로 스크롤기능을 수행한다(S202). 이때, 상기 다수의 소프트 키(2)는 도 3의 (b)에 도시된 것처럼 세로로 표시되되, 어느 하나의 선택 이벤트 발생시 브라우저에 표시된 웹 페이지 상의 해당 소프트 키(2)의 상대적 위치에 대응하는 상대적 위치로 이동하는 것이다.
즉, 도 4의 예에서처럼 세로로 표시된 상기 다수의 소프트 키(2) 가운데 맨 위쪽의 소프트 키가 선택되면 웹 페이지의 1/4 지점으로, 두번째 키가 선택되면 2/4 지점으로, 세번째 키가 선택되면 3/4 지점으로 그리고 마지막 키가 선택되면 4/4 지점으로 이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위치이동 메뉴를 마친 후, 사용자가 상기 터치스크린(200) 화면 가운데 상기 소프트 키(2) 이외의 영역을 터치하면, 상기 제어부(300)는 도 3의 (a)와 같이 소프트 키들(2)을 화면에서 숨긴다(S103).
이상 다수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우저 화면이동 처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기능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우저 화면이동 처리방법을 나타낸 동작 플로우챠트,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면 시나리오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활성화된 화면이동 소프트키를 확대해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브라우저 200 : 터치스크린
300 : 제어부

Claims (14)

  1. 화면상에 표시된 아이콘의 선택 이벤트 발생시 다수의 소프트 키를 화면상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다수의 소프트 키 가운데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 이벤트 발생시 브라우저에 표시된 웹 페이지 상의 대응 위치로 이동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브라우저 화면이동 처리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소프트 키는 세로로 표시되되, 어느 하나의 선택 이벤트 발생시 브라우저에 표시된 웹 페이지 상의 해당 소프트 키의 상대적 위치에 대응하는 상대적 위치로 이동하는 브라우저 화면이동 처리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 키 이외의 영역에 대한 터치시 소프트 키를 화면에서 숨기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브라우저 화면이동 처리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소프트 키 가운데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 이벤트 발생시 브라우저에 표시된 웹 페이지 상에서 화면 처음(Home), 화면 끝(End), 페이지 업(Page Up), 페이지 다운(Page Down) 기능 가운데 어느 하나가 수행되는 브라우저 화면이동 처리방법.
  5.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한 브라우저;
    터치 입력을 받는 터치스크린; 및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된 아이콘의 선택 이벤트 발생시 다수의 소프트 키를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하되, 어느 하나의 소프트 키에 대한 선택 이벤트 발생시 상기 브라우저가 접속중인 웹 페이지 상의 대응위치로 이동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브라우저 화면이동 처리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수의 소프트 키 가운데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 이벤트 발생시 상기 브라우저가 접속중인 웹 페이지 상 해당 소프트 키의 상대적 위치에 대응하는 상대적 위치로 이동시키는 브라우저 화면이동 처리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은 소정 픽셀수 이하의 크기로 표시되는 브라우저 화면이동 처리장치.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 키의 개수는 웹 페이지의 길이에 비례하여 늘어나는 브라우저 화면이동 처리장치.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 및 상기 다수의 소프트 키는 터치스크린 일측 끝단에 표시되는 브라우저 화면이동 처리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 및 상기 다수의 소프트 키는 터치스크린 우측 끝단에 표시되는 브라우저 화면이동 처리장치.
  11.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 선택 이벤트는 터치스크린을 통해 아이콘이 터치된 경우 발생하는 브라우저 화면이동 처리장치.
  12.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 키의 선택 이벤트는 터치스크린을 통해 소프트 키가 터치된 경우에 발생하는 브라우저 화면이동 처리장치.
  13.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수의 소프트 키가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된 이후, 소프트 키 이외의 영역이 터치되면 상기 다수의 소프트 키를 터치스크린 상에서 숨기는 브라우저 화면이동 처리장치.
  14.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소프트 키는 세로로 4개가 표시되며, 상기 제어부는 각 소프트 키에 대한 선택 이벤트 발생시 위에서부터 차례로 웹 페이지에 접속한 브라우저 상 에서 화면 처음(Home), 페이지 업(Page Up), 페이지 다운(Page Down), 화면 끝(End)으로 이동시키는 브라우저 화면이동 처리장치.
KR1020090003450A 2009-01-15 2009-01-15 브라우저 화면이동 처리방법 및 그 장치 KR201000840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3450A KR20100084047A (ko) 2009-01-15 2009-01-15 브라우저 화면이동 처리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3450A KR20100084047A (ko) 2009-01-15 2009-01-15 브라우저 화면이동 처리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4047A true KR20100084047A (ko) 2010-07-23

Family

ID=42643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3450A KR20100084047A (ko) 2009-01-15 2009-01-15 브라우저 화면이동 처리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8404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0016409A1 (ja) 入力装置、入力方法、及び入力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8775966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with dual mode rear TouchPad
JP5691464B2 (ja) 情報処理装置
KR101979666B1 (ko) 표시부에 출력되는 입력 영역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JP5334330B2 (ja) 携帯端末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KR101589994B1 (ko) 입력 방법, 입력 장치 및 단말 장치
JP6157885B2 (ja) 携帯端末装置の表示制御方法
JP5759660B2 (ja) タッチ・スクリーンを備える携帯式情報端末および入力方法
JP5906984B2 (ja) 表示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100020034A1 (en) Mobile device having backpanel touchpad
EP2282257B1 (en) Display apparatus, information input method and program
US2010025362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ouch screen user interface for handheld electric devices Part II
JP5304577B2 (ja) 携帯情報端末および表示制御方法
US20150185953A1 (en) Optimization ope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erminal interface
CN102169411A (zh) 触屏终端的多窗口切换方法和装置
WO2014075470A1 (zh) 一种终端及终端屏幕显示信息控制方法
US20120297339A1 (en)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control program
JP5254399B2 (ja) 表示装置、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2735951A1 (en) Method for processing documents by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and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JP6102474B2 (ja) 表示装置、入力制御方法、及び入力制御プログラム
JP2004151987A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20160019762A (ko) 터치 스크린 한손 제어 방법
WO2013047182A1 (ja) 携帯型電子機器、タッチ操作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015183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WO2017101403A1 (zh) 一种手持设备桌面展示逻辑控制设备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