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3711A - Vending machine - Google Patents

Vending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3711A
KR20100083711A KR1020100000359A KR20100000359A KR20100083711A KR 20100083711 A KR20100083711 A KR 20100083711A KR 1020100000359 A KR1020100000359 A KR 1020100000359A KR 20100000359 A KR20100000359 A KR 20100000359A KR 20100083711 A KR20100083711 A KR 201000837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k
vending machine
product
goods
colum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03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타케시 카사이
노리히로 우에다
유키 오노
케이이치 나카지마
타츠오 무라야마
Original Assignee
후지 덴키 리테일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 덴키 리테일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 덴키 리테일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83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371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28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the magazines are inclined
    • G07F11/3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the magazines are inclined two or magazines having a common delivery chut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46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 G07F11/5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th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being rotatably mounted
    • G07F11/5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th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being rotatably mounted about horizontal ax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PURPOSE: A vending machine capable of enabling a user to check commodity contained in inside is provided to enable a user to check goods stacked on the top of a column. CONSTITUTION: If a rack(32) is drawn to a preset stop position, a temporary stopping unit temporarily makes the rack stop by being linked with the rack. A stop unit for a while separates the rack from the stop member. The rack is sent to the withdrawal position. The rack is stopped.

Description

자동 판매기{VENDING MACHINE}Vending Machine {VENDING MACHINE}

본 발명은, 내부에 수납한 상품을 외부에서 시인 가능한 자동 판매기로서, 좌우 방향으로 복수열, 상하 방향으로 복수단의 칼럼을 구비한 자동 판매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nding machine that can visually recognize goods stored therein from outside, and has a vending machine having a plurality of columns in a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columns in an up and down direction.

내부에 수납한 상품을 외부에서 시인 가능한 자동 판매기가 알려져 있다. 이 자동 판매기는, 앞면이 개구한 상자형상의 본체 캐비닛과, 본체 캐비닛의 앞면 개구를 폐색하는 바깥문(外扉)을 구비하고 있다. 본체 캐비닛의 내부는, 칸막이판에 의해, 약 8할을 차지하는 상방역과, 약 2할을 차지한 하방역으로 구획되고, 약 8할을 차지하는 상방역이 상품 수용실을 구성하고, 약 2할을 차지하는 하방역이 기계실을 구성하고 있다. 상품 수용실에는, 상품 수납 래크가 수용되어 있다. 상품 수납 래크는, 좌우 방향으로 복수열, 상하 방향으로 복수단의 칼럼을 배열하여 구축한 것으로, 칼럼마다 전방으로에 인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칼럼은, 상품을 전후 일렬로 나열하여 수납하게 되어 있고, 상품을 수납(보충)하는 경우에는, 칼럼을 전방으로 인출하게 되어 있다.A vending machine that can visually recognize goods stored inside is known. This vending machine is provided with the box-shaped main body cabinet which opened the front surface, and the outer door which closes the front opening of a main body cabinet. The inside of the main body cabinet is partitioned into an upper station occupying about 80% and a lower station occupying about 20% by a partition plate, and the upper station occupying about 80% constitutes a goods storage room, The lower station occupies makes up the machine room. The goods storage rack is accommodated in the goods storage room. The merchandise storage rack is constructed by arranging a plurality of columns in a plurality of row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an up and down direction, and is able to draw out each column forward. The column is arranged to store the goods in a front and rear line, and when the goods are stored (supplemented), the column is pulled forward.

상품 수납 래크의 전방역에는, 버킷을 좌우 방향(X방향) 및 상하 방향(Y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지정된 칼럼으로부터 상품을 수취하고, 반출 위치에 반송하는 버킷 장치가 배설되어 있다. 버킷 장치의 전방에는, 속문(內扉)이 마련되어 있다. 속문은, 상품 수용실의 앞면 개구를 폐색하는 문이고, 칼럼에 수납한 상품을 외부에서 시인할 수 있도록, 유리판을 테두리체에 감입하여 구성하고 있다. 속문에는, 상품 반출구가 마련되어 있고, 반출 위치에 이동한 버킷으로부터 상품 반출구를 향하여 상품이 반출되도록 되어 있다. 상품 반출구는, 반출구 플래퍼에 의해 폐색되어 있고, 버킷으로부터 상품 반출구에 반출된 상품이 반출구 플래퍼를 밀어 열음에 의해, 상품 반출구가 개방되도록 되어 있다.In the front area | region of a goods storage rack, the bucket apparatus which moves a bucket to a left-right direction (X direction) and an up-down direction (Y direction), receives a product from a designated column, and conveys it to an unloading position is arrange | positioned. A front door is provided in front of the bucket device. The inner door is a door that closes the front opening of the product storage chamber, and the glass plate is inserted into the frame so that the product stored in the column can be visually recognized from the outside. The inner door is provided with a product outlet and the product is carried out from the bucket moved to the delivery position toward the product outlet. The product outlet is closed by the outlet flapper, and the product outlet is opened by opening the product outlet flapper by pushing the product carried out from the bucket to the product outlet.

바깥문에는, 유리판이 감입하고 있고, 유리판, 속문(유리판)을 통하고 칼럼에 수납한 상품을 외부에서 시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바깥문에는, 상품 취출구가 마련되어 있다. 상품 취출구는, 상품 반출구에서 반출된 상품을 취출하기 위한 것으로, 상품 반출구보다도 하방이 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상품 취출구는, 취출구 플래퍼에 의해 폐색되어 있고, 이용자가 외부에서 취출구 플래퍼를 밀어 열음에 의해, 상품 취출구가 개방되도록 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 참조).A glass plate is enclosed in the outer door, and the product accommodated in the column can be visually recognize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glass plate and the inner door (glass plate). Moreover, the product outlet is provided in the outer door. The product outlet is for taking out the goods carried out from the product outlet, and is provided in a position below the product outlet. The product outlet is closed by the outlet flapper, and the product outlet is opened by the user pushing open the outlet flapper from the outside (for example, refer patent document 1).

특허문헌1 : 일본 특개평10-302140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302140

그런데, 상술한 자동 판매기는, 칼럼마다 전방으로 인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상품을 칼럼에 보충하는 오퍼레이터의 눈의 높이에 위치한 칼럼이 한번에 나오는 일이 없고, 상처를 입지는 않았다.By the way, since the above-mentioned vending machine is able to pull out for every column forward, the column located at the height of the operator's eye which replenishes a product to a column does not come out at once, and was not injured.

그러나, 칼럼마다 전방으로 인출할 수 있도록 하면, 칼럼을 인출 가능하게 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비용이 늘어나고, 비용 저감을 도모하는데 장애가 되어 있다.However, if the column can be pulled out forward for each column, the column can be pulled out, and thus the cost increases, which hinders the cost reduction.

본 발명은, 상기 실정을 감안하여, 상품을 칼럼에 보충하는 오퍼레이터에게 위험을 미치는 일 없이, 동일 높이의 칼럼을 일괄하여 인출할 수 있는 자동 판매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nding machine capable of collectively drawing out columns of the same height without causing a risk to an operator who replenishes the product with a column.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청구항 제 1항에 관한 자동 판매기는, 좌우 방향으로 복수열, 상하 방향으로 복수단, 배열된 칼럼중, 좌우 방향으로 배열된 칼럼을 래크에 탑재하고, 같은 높이의 칼럼을 수납 위치로부터 미리 정한 취출 위치에 일괄하여 인출할 수 있도록 구성한 자동 판매기에 있어서, 래크가 미리 정한 일시정지 위치까지 인출된 경우에 래크와 계합함에 의해, 래크를 일시정지시키는 일시정지 수단과, 해당 일시정지 수단으로부터 래크를 이탈시켜서, 인출 위치까지 인출된 경우에 래크와 계합함에 의해, 래크를 정지시키는 정지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vending machine according to claim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racks arrang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mong columns arranged in a plurality of rows in a left and right direction, a plurality of steps in an up and down direction, In a vending machine configured to draw out a column of the same height from a storage position to a predetermined take-out position collectively, when the rack is withdrawn to a predetermined pause position, the pausing stops the rack by engaging the rack. And a stop means for stopping the rack by releasing the rack from the pause means and engaging the rack when the rack is detached from the temporary stop means.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제 2항에 관한 자동 판매기는, 상기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 수단은, 래크가 인출 위치까지 인출된 경우에 인출된 앞쪽이 내려가도록 크게 기울어져서 래크를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vending machine according to claim 2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op means stops the rack by tilting so as to lower the forward side when the rack is withdrawn to the withdrawal position. It is characterized by.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제 3항에 관한 자동 판매기는, 상기 청구항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일시정지 수단은, 래크가 일시정지 위치까지 인출된 경우에 인출된 앞쪽이 내려가도록 작게 기울어져서 래크를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vending machine according to claim 3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ausing means is small so that the front drawn out is lowered when the rack is drawn out to the pause position. It is characterized by tilting and stopping the rack.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제 4항에 관한 자동 판매기는, 상기 청구항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래크는, 전연(前緣)보다도 전방으로 돌출하는 손잡이를 수용 가능하게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vending machine according to claim 4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rack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rack is provided so as to accommodate a handle that protrudes forward from the leading edge. It is characterized by.

본 발명에 관한 자동 판매기는, 래크가 미리 정한 일시정지 위치까지 인출된 경우에 래크를 일시정지시키고, 그 후, 미리 정한 인출 위치까지 인출된 경우에 래크를 정지시키기 때문에, 래크는 2단계로 나누어서 인출되게 된다. 따라서 래크를 인출하면 동일 높이의 칼럼이 일괄하여 인출되게 되지만, 2단계로 나누어서 인출되기 때문에, 오퍼레이터는 충분히 주의(注意)를 기울일 수 있고, 위험이 미치는 일은 없다.The ven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tops the rack when the rack is withdrawn to a predetermined pause position, and then stops the rack when the rack is withdrawn to a predetermined withdrawal position, so that the rack is divided into two stages. Will be withdrawn. Therefore, when the rack is taken out, columns of the same height are drawn out in a batch, but are drawn out in two stages, so that the operator can pay enough attention and there is no risk.

또한, 래크가 일시정지 위치까지 인출된 경우에 인출된 앞쪽이 내려가도록 작게 기울고, 래크가 인출 위치까지 인출된 경우에 인출된 앞쪽이 내려가도록 크게 기울어지기 때문에, 오퍼레이터의 눈의 높이보다도 높은 위치의 칼럼에 수납된 상품을 볼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rack is withdrawn to the pause position, the inclined front is inclined so as to descend, and when the rack is withdrawn to the withdrawal position, the drawn front is inclined so as to descend. You can see the goods stored in the column.

또한, 전연보다도 전방에 손잡이를 돌출시키면, 작은 힘으로 래크를 들어올릴 수 있고, 작은 힘으로 래크를 수납 위치에 수납시킬 수 있다.Further, if the handle is protruded in front of the leading edge, the rack can be lifted with a small force, and the rack can be stored in the storage position with a small for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인 자동 판매기의 외관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자동 판매기의 바깥문을 개방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최상단에 탑재한 상품 수납 래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상품 수납 래크를 인출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한 상품 수납 래크를 더욱 인출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손잡이를 인출한 최상단의 상품 수납 래크를 도시하는 사시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front view which shows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vending machine which is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uter door of the vending machine shown in FIG. 1 is opened.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roduct storage rack mounted at the top;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product storage rack shown in FIG. 3 is taken out.
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product storage rack shown in FIG. 3 is further drawn out. FIG.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uppermost product storage rack with the handle pulled out.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한 자동 판매기의 알맞는 실시의 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Below, with reference to an accompanying drawing, preferred embodiment of the vending machine concerning this invention is described in detail. In addition,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is embodimen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인 자동 판매기의 외관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자동 판매기의 바깥문을 개방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여기서 설명하는 자동 판매기는, 내부에 수납한 상품을 외부에서 시인 가능한 자동 판매기이고,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앞면이 개구한 상자형상의 본체 캐비닛(1)과, 본체 캐비닛(1)의 앞면 개구를 폐색하는 바깥문(2)을 구비하고 있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front view which shows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vending machine which is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state which opened the outer door of the vending machine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1, the vending machine described here is a vending machine which can visually recognize the goods accommodated inside, and as shown in FIG. 2, the box-shaped main body cabinet 1 which opened the front surface, The outer door 2 which closes the front opening of the main body cabinet 1 is provided.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 캐비닛(1)의 내부는, 칸막이판(11)에 의해, 약 8할을 차지하는 상방역과 약 2할을 차지하는 하방역으로 구획되고, 약 8할을 차지하는 상방역이 상품 수용실(12)을 구성하고, 약 2할을 차지하는 하방역이 기계실(13)을 구성하고 있다.As shown in FIG. 2, the interior of the main body cabinet 1 is partitioned into an upper region occupying about 80 percent and a lower region occupying about 20 percent by the partition plate 11, and occupies about 80 percent. Insulation prevention forms the goods storage chamber 12, and the lower region occupying about 20% comprises the machine room 13. As shown in FIG.

상품 수용실(12)에는, 상품 수납 래크(3)가 수납되어 있다. 상품 수납 래크(3)는, 좌우 방향으로 복수열(예를 들면, 도 2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7열), 상하 방향으로 복수단(예를 들면, 도 2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8단)의 칼럼(31)을 배열하여 구축한 것으로,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인 상품 수납 래크(3)는, 단마다 좌우 방향으로 배열된 칼럼(31)을 하나의 래크(32)에 탑재하고, 같은 높이의 칼럼(31)을 수납 위치(도 3에 가리키는 위치)로부터 미리 정한 인출 위치로 일괄하여 인출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The product storage rack 3 is accommodated in the product storage chamber 12. The product storage rack 3 has a plurality of rows (for example, 7 column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2)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a plurality of stages (for example, 8 example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2)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column 31 of () is arranged and constructed, and as shown in FIG. 3, the goods storage rack 3 which is this embodiment is one rack ( 32, the column 31 of the same height can be collectively taken out from the storage position (position shown in FIG. 3) to a predetermined extraction position.

래크(32)는, 좌우 방향으로 배열된 칼럼(31)이 탑재된 저판부(도시 생략)와, 저판부의 양측연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재된 측판부(322)를 갖고 있다. 이 측판부(322)의 하부중 앞측 3분의2가 되는 부분에는, 계단형상으로 접어넣어진 단부(323)가 형성해 있다. 또한, 측판부(322)의 후단부 상방에는, 가이드 롤러(33)가 회전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The rack 32 has a bottom plate portion (not shown) on which the columns 31 arrang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re mounted, and a side plate portion 322 extending upward from both side edges of the bottom plate portion. In the lower part of the side plate part 322 which becomes a two-thirds front side, the edge part 323 folded in the step shape is formed. The guide roller 33 is rotatably attached above the rear end of the side plate portion 322.

한편, 상품 수용실(12)의 내벽부에는, 가이드 레일(14)과 가이드 롤러(15)가 부착되어 있다. 가이드 레일(14)은, 래크(32)의 측판부(322)에 부착된 가이드 롤러(33)를 수용하고, 수용한 가이드 롤러(33)를 가이드한 것으로, 앞으로 내려가게 2도의 경사를 갖도록 부착되어 있다. 가이드 롤러(15)는, 래크(32)의 측판부(322)에 형성된 단부(323)를 가이드하는 것으로, 회전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래크(32)는, 가이드 레일(14)과 가이드 롤러(15)에 가이드 되고, 2도의 경사를 갖고서 상품 수용실(12)의 전방으로 인출되도록 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guide rail 14 and the guide roller 15 are attached to the inner wall part of the goods storage chamber 12. The guide rail 14 accommodates the guide roller 33 attached to the side plate part 322 of the rack 32, and guides the accommodated guide roller 33, and is attached so that it may have a 2 degree inclination to descend forward. It is. The guide roller 15 guides the edge part 323 formed in the side plate part 322 of the rack 32, and is rotatably attached. Therefore, the rack 32 is guided by the guide rail 14 and the guide roller 15, and is led out to the front of the goods storage chamber 12 with the inclination of 2 degree | times.

또한, 오퍼레이터의 눈의 높이보다도 상방이 되는 최상단의 래크(32)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미리 정한 일시정지 위치까지 인출되면 일시정지하고, 그 후,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미리 정한 인출 위치까지 인출되면 정지하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the uppermost rack 32 that is above the height of the operator's eyes stops when drawn to a predetermined pause position, and then, as shown in FIG. 5, It stops when it pulls out to a predetermined extraction position.

구체적으로는, 상품 수용실(12)의 내벽부에 최상단의 래크(32)에 대응하여 가이드 플레이트(16R, 16L)가 부착되어 있다. 가이드 플레이트(16R, 16L)는, 가이드 레일(14)에 연속하도록 부착되어 있고, 래크(32)를 인출하면, 가이드 롤러(33)는, 가이드 레일(14)로부터 가이드 플레이트(16R, 16L)에 주고 받아지고, 래크(32)를 밀어넣으면, 가이드 롤러(33)는, 가이드 플레이트(16R, 16L)로부터 가이드 레일(14)에 주고 받아지도록 되어 있다. 가이드 플레이트(16R, 16L)에는, 가이드 롤러(33)를 가이드하는 돌편(突片)이 마련되어 있고, 일시정지 위치에서 가이드 롤러(33)가 계합하는 일시정지 오목부(일시정지 수단)(161)와, 인출 위치에서 가이드 롤러(33)가 계합하는 정지 오목부(정지 수단)(162)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래크(32)가 미리 정한 일시정지 위치까지 인출되면, 가이드 롤러(33)가 일시정지 오목부(161)에 계합함에 의해,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래크(32)를 일시정지시키게 된다. 이 때, 래크(32)는, 단부(323)가 가이드 롤러(15)에 지지됨과 함께 가이드 롤러(33)가 일시정지 오목부(161)에 지지되고, 인출된 앞쪽이 내려가도록 작게(약 5도) 기울어져서 정지하게 된다. 그 후, 가이드 롤러(33)를 일시정지 오목부(161)로부터 이탈시켜서, 래크(32)가 미리 정한 인출 위치까지 인출되면, 가이드 롤러(33)가 정지 오목부(162)에 계합함에 의해, 래크(32)를 정지시키게 된다. 이 때, 래크(32)는, 단부(323)가 가이드 롤러(15)에 지지됨과 함께 가이드 롤러(33)가 정지 오목부(162)에 지지되고, 인출된 앞쪽이 내려가도록 크게(약 25도) 기울어져서 정지하게 된다.Specifically, guide plates 16R and 16L are attached to the inner wall portion of the product storage chamber 12 in correspondence with the rack 32 at the uppermost end. The guide plates 16R and 16L are attached to the guide rail 14 continuously, and when the rack 32 is pulled out, the guide roller 33 moves from the guide rail 14 to the guide plates 16R and 16L. When the rack 32 is pushed in and received, the guide roller 33 is sent to the guide rail 14 from the guide plates 16R and 16L. The guide plate 16R, 16L is provided with the projection piece which guides the guide roller 33, and the temporary recessed part (pause means) 161 which the guide roller 33 engages in a pause position. And a stop recess (stop means) 162 to which the guide roller 33 engages at the pulled out position. Accordingly, when the rack 32 is pulled out to a predetermined pause position, the guide roller 33 engages the pause recess 161, thereby stopping the rack 32 as shown in FIG. 4. . At this time, the rack 32 is small (about 5) so that the end 323 is supported by the guide roller 15, the guide roller 33 is supported by the temporary recess 161, and the drawn front is lowered. It will stop at an angle. Thereafter, the guide roller 33 is detached from the temporary recessed portion 161, and when the rack 32 is drawn out to a predetermined extraction position, the guide roller 33 engages the stop recessed portion 162. The rack 32 is stopped. At this time, the rack 32 is large (about 25 degrees) so that the end 323 is supported by the guide roller 15, the guide roller 33 is supported by the stop recess 162, and the drawn front is lowered. ) Tilted to stop.

또한, 최상단의 래크(32)에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연보다도 전방으로 돌출하는 손잡이(34)가 부착되어 있다. 손잡이(34)는, 인출 위치에서 크게 기울어져서 정지한 래크(32)를 작은 힘으로 들어올리기 위한 것으로, 래크(32)의 저판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인출 위치에서 손잡이(34)를 인출된 앞쪽으로 회동시키면, 손잡이(34)는 래크(32)의 전연보다도 전방으로 돌출하고, 좌우 방향으로 배열된 칼럼(31)에 상품을 만재한 래크(32)라 하여도 작은 힘(예를 들면, 50N)으로 들어올릴 수 있도록 되어 있다.Moreover, as shown in FIG. 6, the handle 34 which protrudes ahead of a leading edge is attached to the rack 32 of the uppermost stage. The handle 34 is for lifting the rack 32 which has been tilted greatly at the pulled out position with a small force and is rotatably attached to the bottom plate of the rack 32. Then, when the handle 34 is rotated forward from the pulled out position, the handle 34 protrudes forward than the leading edge of the rack 32, and the rack which is loaded with goods in the column 31 arrang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 Even if it is 32, it can be lifted by a small force (for example, 50N).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품 수납 래크(3)의 전방역에는, 버킷(4)을 좌우 방향(X방향) 및 상하 방향(Y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지정된 칼럼(31)으로부터 상품을 수취하고, 상품 반송 위치에 반송하는 버킷 장치(도시 생략)가 배설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 the bucket 4 is moved to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X direction) and the up and down direction (Y direction) in the front region of the product storage rack 3, and the goods are received from the designated column 31. And the bucket apparatus (not shown) which conveys to a goods conveyance position is arrange | positioned.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버킷 장치의 전방에는, 속문(5)이 마련되어 있다. 속문(5)은, 상품 수용실(12)의 앞면 개구를 폐색하는 문이고, 바깥문(2)과 속문(5)의 이중 구조로 함에 의해, 에너지 절약을 실현하고 있다. 속문(5)은, 칼럼(31)에 수납한 상품을 외부에서 시인할 수 있도록, 유리판(51)을 테두리체(52)에 감입하여 구성하고 있다.As shown in FIG. 2, the front door 5 is provided in front of the bucket apparatus. The inner door 5 is a door which closes the front opening of the goods storage chamber 12, and realizes energy saving by setting it as the double structure of the outer door 2 and the inner door 5. As shown in FIG. The inner door 5 is formed by inserting the glass plate 51 into the frame 52 so that the product accommodated in the column 31 can be visually recognized.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속문(5)의 우측, 높이 방향 약 3분의1의 위치에는, 상품 반출구(53)가 마련되어 있다. 상품 반출구(53)는, 상품 수용실(12)의 내부로부터 외부에 상품을 반출하기 위한 사각형 구멍이고, 반출 위치에 이동한 버킷(4)으로부터 상품 반출구(53)를 향하여 상품이 반출되도록 되어 있다. 상품 반출구(53)는, 반출구 플래퍼(54)에 의해 폐색되어 있고, 버킷(4)으로부터 상품 반출구(53)에 반출된 상품이 반출구 플래퍼(54)를 밀어 열음에 의해, 상품 반출구(53)가 개방되도록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 the goods discharge opening 53 is provided in the position of the right side of the inner door 5, and about 1/3 of a height direction. The goods discharge opening 53 is a rectangular hole for carrying goods from the inside of the goods storage chamber 12 to the outside, and the goods are carried out toward the goods discharge opening 53 from the bucket 4 which moved to a carrying out position. It is. The goods discharge opening 53 is closed by the delivery outlet flapper 54, and the goods carried out from the bucket 4 to the goods discharge opening 53 push the opening outlet flapper 54, and open the goods half. The outlet 53 is to be opened.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바깥문(2)에는, 유리판(21)이 감입되어 있고, 유리판(21), 속문(유리판(51))(5)을 통하여 칼럼(31)에 수납한 상품을 외부에서 시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the glass plate 21 is enclosed in the outer door 2, and the goods accommodated in the column 31 through the glass plate 21 and the inner door (glass plate 51) 5 are stored. It can be recognized from the outside.

또한,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바깥문(2)의 중간 정도에는 상품 취출구(22)가 마련되어 있다. 상품 취출구(22)는, 상품 반출구(53)로부터 반출된 상품을 취출하기 위한 사각형 구멍이고, 상품 반출구(53)보다도 하방이 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상품 취출구(22)는, 취출구 플래퍼(23)에 의해 폐색되어 있고, 이용자가 외부에서 취출구 플래퍼(23)를 밀어 열음에 의해, 상품 취출구(22)가 개방되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 the product outlet 22 is provided in the middle of the outer door 2. The product outlet 22 is a rectangular hole for taking out the goods carried out from the product outlet 53, and is provided in the position below the product outlet 53. The product outlet 22 is closed by the outlet flapper 23, and the product outlet 22 is opened by the user pushing the ejector flapper 23 open from the outside.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인 자동 판매기에 있어서, 상품을 보충하는 경우에는, 바깥문(2), 속문(5)의 순번대로 문을 개방하고, 래크(32)를 인출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에, 보충한 상품이 수납된 칼럼(31)이 탑재되어 있는 래크(32)를 수납 위치로부터 인출 위치로 인출하고, 상품을 보충하게 된다.In the ven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hen replenishing the product, the door is opened in the order of the outer door 2 and the inner door 5 so that the rack 32 can be taken out. Next, the rack 32 on which the column 31 in which the replenished product is stored is mounted is taken out from the storage position to the withdrawal position to replenish the product.

여기서, 최상단의 래크(32)를 인출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미리 정한 정지 위치에서, 가이드 롤러(33)가 일시정지 오목부(161)에 계합함에 의해, 래크(32)가 일시정지한다. 이 때, 래크(32)는, 작게(약 5도) 기울어져서 정지하기 때문에, 이 상태에서 상품을 보충하여도 좋다.Here, when the uppermost rack 32 is taken out, as mentioned above, the rack 32 pauses by engaging the guide roller 33 to the temporary recessed part 161 in the predetermined stop position. At this time, since the rack 32 is inclined to stop small (about 5 degrees), the product may be replenished in this state.

한편, 키가 작은 오퍼레이터가 상품을 보충하는 경우나, 꽉 차게 될 때까지 상품을 보충하는 경우에는, 가이드 롤러(33)를 일시정지 오목부(161)로부터 이탈시켜서, 래크(32)를 더욱 인출하면 좋다. 래크(32)를 더욱 인출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미리 정한 정지 위치에서, 가이드 롤러(33)가 정지 오목부(162)에 계합함에 의해, 래크(32)가 정지한다. 이 때, 래크(32)는, 크게(약 25도) 기울어져서 정지한다. 이 때문에, 키가 작은 오퍼레이터라도, 칼럼(31)에 꽉 차게 될 때까지 상품을 보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horter operator replenishes the product or when replenishes the product until it becomes full, the guide roller 33 is detached from the temporary recessed portion 161 to further pull out the rack 32. Do it. If the rack 32 is further pulled out, as described above, the rack 32 stops by engaging the stop roller 162 with the guide roller 33 at the predetermined stop position. At this time, the rack 32 is inclined greatly (about 25 degrees) and stops. For this reason, even a short operator can replenish goods until it fills the column 31.

상품의 보충을 종료한 후는, 래크(32)를 들어올리고, 래크(32)를 인출 위치로부터 수납 위치에 수납하게 된다. 좌우 방향으로 배열된 칼럼(31)에 상품을 만재하고, 래크(32)가 무거운 경우에는, 손잡이(34)를 인출한 앞쪽으로 회동시켜서, 손잡이(34)를 래크(32)의 전연보다도 돌출시키고, 손잡이(34)를 들어올림 조작하면, 작은 힘으로 래크(32)를 들어올릴 수 있다.After the replenishment of the product is finished, the rack 32 is lifted up and the rack 32 is stored in the storage position from the withdrawal position. When the goods are loaded in the column 31 arranged in the left-right direction, and the rack 32 is heavy, the handle 34 is rotated forward and pulled out so that the handle 34 protrudes from the leading edge of the rack 32. When the handle 34 is lifted and operated, the rack 32 can be lifted with a small force.

그리고, 래크(32)를 수납 위치에 수납한 후는, 속문(5), 바깥문(2)의 순번대로 문을 폐색한다.After storing the rack 32 in the storage position, the door is closed in the order of the inner door 5 and the outer door 2.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인 자동 판매기에 의하면, 최상단의 래크(32)는, 미리 정한 일시정지 위치까지 인출된 경우에 일시정지하고, 그 후, 미리 정한 인출 위치까지 인출된 경우에 정지하기 때문에, 래크(32)는 2단계로 나누어서 인출되게 된다. 따라서 최상단의 래크(32)도 칼럼(31)이 일괄하여 인출되게 되지만, 2단계로 나누어서 인출되기 때문에, 오퍼레이터는 충분히 주의를 기울일 수 있고, 위험이 미치는 일은 없다.According to the ven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rack 32 at the uppermost end pauses when it is drawn to a predetermined pause position, and then stops when it is drawn to a predetermined draw position. Thus, the rack 32 is drawn out in two stages. Therefore, although the column 32 is taken out collectively with the rack 32 of the upper end, since it is pulled out in two steps, an operator can pay full attention and there is no danger.

또한, 최상단의 래크(32)는, 일시정지 위치까지 인출된 경우에 인출된 앞쪽이 내려가도록 작게 기울고, 인출 위치까지 인출된 경우에 인출된 앞쪽이 내려가도록 크게 기울어지기 때문에, 키가 작은 오퍼레이터라도 칼럼(31)에 꽉 차게 될 때까지 상품을 보충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uppermost rack 32 is inclined small so that the drawn front descends when drawn out to the pause position, and inclined large so that the drawn front descends when drawn out to the pulled out position, even a small operator The product can be replenished until the column 31 is full.

또한, 손잡이(34)를 래크(32)의 전연보다도 전방으로 회동시키고, 손잡이(34)를 들어올림 조작하면, 작은 힘으로 래크(32)를 들어올릴 수 있고, 작은 힘으로 래크(32)를 수납할 수 있다.Further, when the handle 34 is rotated forward than the leading edge of the rack 32 and the handle 34 is lifted up, the rack 32 can be lifted with a small force, and the rack 32 is lifted with a small force. I can receive it.

1 : 본체 캐비닛 11 : 칸막이판
12 : 상품 수용실 13 : 기계실
14 : 가이드 레일 15 : 가이드 롤러
16R, 16L : 가이드 플레이트 161 : 일시정지 오목부
162 : 정지 오목부 2 : 바깥문
21 : 유리판 22 : 상품 취출구
23 : 출구 플래퍼 3 : 상품 수납 래크
31 : 칼럼 32 : 래크
322 : 측판부 323 : 단부
33 : 가이드 롤러 34 : 손잡이
4 : 버킷 5 : 속문
51 : 유리판 52 : 테두리체
53 : 상품 반출구 54 : 반출구 플래퍼
1: body cabinet 11: partition plate
12: goods storage room 13: machine room
14: guide rail 15: guide roller
16R, 16L: guide plate 161: pause recess
162: stop recess 2: outer door
21: glass plate 22: product outlet
23: Exit flapper 3: rack storage
31: column 32: rack
322: side plate portion 323: end
33: guide roller 34: handle
4: bucket 5: inner language
51: glass plate 52: frame
53: product outlet 54: outlet flapper

Claims (4)

좌우 방향으로 복수열, 상하 방향으로 복수단 배열된 칼럼 중, 좌우 방향으로 배열된 칼럼을 래크에 탑재하고, 같은 높이의 칼럼을 수납 위치로부터 미리 정한 인출 위치로 일괄하여 인출할 수 있도록 구성한 자동 판매기에 있어서,
래크가 미리 정한 일시정지 위치까지 인출된 경우에 래크와 계합하는 것에 의해 래크를 일시정지시키는 일시정지 수단과,
상기 일시정지 수단으로부터 래크를 이탈시켜, 인출 위치까지 인출된 경우에 래크와 계합하는 것에 의해, 래크를 정지시키는 정지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
A vending machine configured to mount columns arrang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mong racks arranged in a plurality of rows in a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columns in an up and down direction in a rack, and to pull out the same height columns from the storage position to a predetermined withdrawal position. To
Pause means for pausing the rack by engaging the rack when the rack is drawn out to a predetermined pause position;
And a stop means for stopping the rack by disengaging the rack from the temporary stop means and engaging the rack when the rack is pulled out to the withdrawal posi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 수단은, 래크가 인출 위치까지 인출된 경우에 인출된 앞쪽이 내려가도록 크게 기울어져서 래크를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
The method of claim 1,
And said stop means stops the rack by tilting it so as to lower the forward side when the rack is withdrawn to the withdrawal position.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일시정지 수단은, 래크가 일시정지 위치까지 인출된 경우에 인출된 앞쪽이 내려가도록 작게 기울어져서 래크를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nd the pausing means is configured to stop the rack by tilting it so that the drawn front is lowered when the rack is withdrawn to the pause position.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래크는 전연보다도 전방으로 돌출하는 손잡이를 수용 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rack is a vend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handle is provided so as to accommodate the protruding forward than the leading edge.
KR1020100000359A 2009-01-13 2010-01-05 Vending machine KR20100083711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005096 2009-01-13
JP2009005096A JP5282579B2 (en) 2009-01-13 2009-01-13 vending machi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3711A true KR20100083711A (en) 2010-07-22

Family

ID=42581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0359A KR20100083711A (en) 2009-01-13 2010-01-05 Vending machine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282579B2 (en)
KR (1) KR20100083711A (en)
SG (1) SG163485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03342A (en) * 2012-12-27 2014-07-02 鸿富锦精密工业(武汉)有限公司 Automatic vending machin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03345A (en) * 2012-12-29 2014-07-02 鸿富锦精密工业(武汉)有限公司 Vending machine cabinet
CN103824383B (en) * 2014-02-24 2016-03-23 杭州以勒自动售货机制造有限公司 Container type automatic vending machine
CN109147173B (en) * 2018-08-20 2020-10-09 福建九天达信息科技股份有限公司 Self-service selling service terminal of wrist strap type IC card and use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0079U (en) * 1993-03-08 1994-09-30 グローリー工業株式会社 vending machine
JP4042697B2 (en) * 2004-01-14 2008-02-06 富士電機リテイ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Storage device
JP4888234B2 (en) * 2007-06-04 2012-02-29 富士電機リテイ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Vending machine product storage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03342A (en) * 2012-12-27 2014-07-02 鸿富锦精密工业(武汉)有限公司 Automatic vend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282579B2 (en) 2013-09-04
JP2010165065A (en) 2010-07-29
SG163485A1 (en) 2010-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83711A (en) Vending machine
CN108064400B (en) Storing ware and automatic vending machine
JP5495057B2 (en) Battery processing equipment
KR101048952B1 (en) Product storing column of vending machine
KR20200044495A (en) Refrigerator
JPH04137194A (en) Automatic vending machine
JP6234789B2 (en) Container supply device
KR100962092B1 (en) Plate glass custody device
JP4835619B2 (en) vending machine
CN114269651A (en) Tablet packing machine
WO2004091273A1 (en) Tray parts feeder
KR102586889B1 (en) Refrigerator
KR101115768B1 (en) Vending Machine
US20140131376A1 (en) Device for delivering by launch products from a vending machine
US10997812B2 (en) Machine for filling cash boxes and device for receiving and moving a cash box for such a machine
JP6955966B2 (en) Goods loading / unloading device
CN218471371U (en) Lifting type storage output mechanism of vending machine
RU140773U1 (en) TRADE AUTOMATIC SYSTEM WITH EXACT POSITIONING SYSTEM
JP6978281B2 (en) Book storage device
JP6478795B2 (en) Money handling device
ES2968366T3 (en) Ejector system for dispensing machine and method of use thereof
IT201900001049A1 (en) AUTOMATIC DISTRIBUTOR OF ARTICLES
JP3725237B2 (en) Medicine cabinet
JP2019130164A (en) Cassette, and article supply device
JP6234790B2 (en) Container suppl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