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3614A - 사용자의 검색의도를 기초로 한 의도검색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의 검색의도를 기초로 한 의도검색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3614A
KR20100083614A KR1020090003081A KR20090003081A KR20100083614A KR 20100083614 A KR20100083614 A KR 20100083614A KR 1020090003081 A KR1020090003081 A KR 1020090003081A KR 20090003081 A KR20090003081 A KR 20090003081A KR 20100083614 A KR20100083614 A KR 201000836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rch
intention
user
word
search wo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3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의진
Original Assignee
오의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의진 filed Critical 오의진
Priority to KR1020090003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83614A/ko
Publication of KR20100083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36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3Querying
    • G06F16/332Query formulation
    • G06F16/3322Query formulation using system sugges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1Indexing; Web crawling techniques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검색의도를 기초로 한 의도검색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검색창에 기재한 검색어를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인터넷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서버에서 실시간으로 입력받는 단계(S11);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검색어에 대응하는 의도검색어의 유무를 파악하는 단계(S12); 상기 검색어에 대응하는 의도검색어가 있는 경우, 상기 의도검색어에 관련된 관련문구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의도검색 테이블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S13); 상기 의도검색 테이블에 제시된 관련문구 중 사용자의 검색의도에 대응하는 관련문구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이 있는 경우, 상기 관련문구에 대한 검색을 개시하는 단계(S26); 및 상기 관련문구에 대한 검색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S27);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검색의도를 추측하여 검색어와 관련된 관련문구를 제시함으로써, 한번에 정확한 검색을 실행할 수 있어 검색시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의도, 검색, 관련문구, 검색어, 검색엔진, 상관관계, 상위개념

Description

사용자의 검색의도를 기초로 한 의도검색방법{INTENSION SEARCH METHOD BASED ON SEARCH INTENSION OF USER}
본 발명은 사용자의 검색의도를 기초로 한 의도검색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검색의도를 파악하여 검색어와 관련된 관련문구를 제시함과 아울러, 검색결과로 직접 검색어와 관련된 내용을 표시하는 사용자의 검색의도를 기초로 한 의도검색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은 정보의 바다라고 한다. 그만큼 인터넷을 통하여 얻을 수 있는 정보의 양은 무궁무진하다. 그러나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대신에, 그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정확한 검색어를 입력하여야 하지만, 상기 정보에 대한 정확하거나 최소한 지식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정보를 얻기 위한 근접한 검색어를 입력하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많은 사용자는 수차례의 검색어 입력과정을 시행해야 하고, 검색어를 적절하게 입력하였다 하더라도, 검색결과에서 의도하는 내용을 찾기 위해 많은 시간을 소비해야 한다.
즉, 현재의 검색시스템에서는, 웹페이지에서 검색어가 기재된 문장만을 표시하거나 검색어를 포함하는 홈페이지 주소를 제공한다. 그러나 이러한 검색결과만으 로는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찾기 위해 다시 한번 해당 웹페이지를 방문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다.
더구나 정보가 있는 웹사이트에 방문해서도 실제 정보가 기재된 웹페이지를 찾지 못해 상당한 시간을 소비하거나, 찾지 못해 상기 웹사이트를 빠져 나오는 경우도 많이 있다.
한편, 검색어를 입력할 때에 검색의 편의를 위하여 검색어를 일부만 입력하여도 검색창 하단에 일부의 검색어를 포함한 검색어가 표시되는 방법이 개발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에서는, 일부의 검색어를 포함하고 그 검색어와 관련된 검색어만을 제시할 뿐만 아니라, 대체로 사용자가 알고 있는 검색어에 대한 예시로서 단순히 타이핑 횟수를 줄이는 효과만을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검색의도를 추측하여 검색어와 관련된 관련문구를 제시하는 사용자의 검색의도를 기초로 한 의도검색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를 표준화하고 상기 검색어와 표준화된 관련문구와 대응시켜 저장함으로써 차후 다른 사용자의 검색어 입력시 저장된 자료를 활용할 수 있는 사용자의 검색의도를 기초로 한 의도검색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검색결과로 표, 그림 또는 텍스트 형태로 제공하여 사용자가 바로 의도하는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사용자의 검색의도를 기초로 한 의도검색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제1발명은 사용자의 검색의도를 기초로 한 의도검색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검색창에 기재한 검색어를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인터넷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서버에서 실시간으로 입력받는 단계(S11);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검색어에 대응하는 의도검색어의 유무를 파악하는 단계(S12); 상기 검색어에 대응하는 의도검색어가 있는 경우, 상기 의도검색어에 관련된 관련문구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의도 검색 테이블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S13); 상기 의도검색 테이블에 제시된 관련문구 중 사용자의 검색의도에 대응하는 관련문구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이 있는 경우, 상기 관련문구에 대한 검색을 개시하는 단계(S26); 및 상기 관련문구에 대한 검색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S27);를 포함한다.
제2발명은, 제1발명에서, 상기 의도검색어의 유무 파악단계(S12)에서는, 상기 검색어에 대한 의도검색어가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상기 검색어에 대응하는 다른 검색어의 입력을 요청하는 단계(S1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발명은, 제2발명에서, 상기 다른 검색어 요청단계(S14)에서는, 다른 검색어가 입력되지 않고 검색이 진행되는 경우에는, 해당 검색어에 대해 검색을 개시하는 단계(S15); 상기 검색어에 따른 검색결과를 제공하는 단계(S16); 상기 검색결과가 의도한 검색결과인지 확인하는 단계(S17); 및 의도한 검색결과인 경우, 상기 검색어를 의도검색어로 추가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S1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4발명은, 제3발명에서, 상기 검색개시단계(S26)에서는, 제시된 의도검색 테이블에 의도한 관련문구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연달아 입력하는 검색어를 입력받아 의도검색어를 추출하는 단계(S22);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연달아 입력된 검색어에 대한 의도검색어의 유무를 파악하는 단계(S23); 및 상기 의도검색어에 관련된 관련문구를 의도검색테이블로 제공하는 단계(S2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5발명은, 제4발명에서, 상기 검색개시 단계(S26)에서는, 사용자가 관련문구를 선택하면,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를 관련문구와 대응시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S2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6발명은, 제1발명 내지 제5발명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의도검색 테이블에 제시되는 관련문구는,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와 관련되고, 검색하고자 하는 분야 또는 목적에 해당하는 문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7발명은, 제1발명 내지 제5발명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검색개시 단계(S26)는, 상기 관련문구에 대한 검색결과 또는 상기 관련문구에 연관된 웹페이지 주소를 저장한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관련문구에 대해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8발명은, 제7발명에서, 검색된 자료가 데이터베이스에서 참고된 것일 경우는 그 자료를 그대로 활용하여 출력하고, 웹페이지에서 검색된 자료에서는 텍스트와 그림을 판독하여 의도하는 상기 관련문구와 관련된 텍스트와 그림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검색의도를 기초로 한 의도검색방법에 의하면, 사용자의 검색의도를 추측하여 검색어와 관련된 관련문구를 제시함으로써, 한번에 정확한 검색을 실행할 수 있어 검색시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를 표준화하고 상기 검색어와 표준화된 관련문구와 대응시켜 저장함으로써 차후 다른 사용자의 검색어 입력 시 저장된 자료를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인터넷을 통한 정보검색에 익숙치 않은 사용자가 입력하는 검색어에 대해서도 신속하고 정확한 관련문구를 제시할 수 있어 검색의도에 따른 검색 정확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하면, 관련문구를 문장형태로 저장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1~2개의 검색어만 입력하여도 문장형태로 사용자의 검색의도에 대응하는 문장을 제시하여 검색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검색결과로 표, 그림 또는 텍스트 형태로 제공하여 사용자가 바로 의도하는 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 검색결과로 제공된 링크에 일일이 접속하여 정보를 찾아야 하는 불편이 해소되는 잇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검색의도를 기초로 한 의도검색방법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더불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검색의도를 기초로 한 의도검색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의도검색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베이스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서 검색어와 의도검색어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의도검색방법의 구체적인 구현형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특히 도 8a 내지 도 8g는 도 7에 표시된 검색결과에 대해 A~G를 부여하여 각각 확대하여 표시한 것이고, 도 10a 내지 도 10g는 도 9에 표시된 검색결 과에 대해 A~G를 부여하여 각각 확대하여 표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도검색방법은 사용자단말기(10)에서 검색어를 입력하는 일반적인 단계로부터 개시된다. 이때 사용자단말기(10)는 인터넷을 통해 서버(30)에 연결되어 있어야 하고, 상기 검색어는 웹브라우져를 통해 서버(30)에서 제공하는 사용자인터페이스(20) 상에서 입력되어야 한다.
사용자가 검색어를 입력하면, 서버(30)에서는 입력되는 검색어를 실시간으로 전송받아(단계 S11) 의도검색어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50)를 참조하여 입력된 검색어와 동일한 의도검색어가 데이터베이스(50)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조회한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도검색어와 관련문구가 서로 관련되어 저장되어 있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떤 검색어를 어느 의도검색어로 파악할지에 대한 관계가 저장되어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대전'이라는 의도검색어에 대해서는 '대전 맛집', '대전 유적지', '대전도시정보', '대전 도시명 유래', '대전 외국어 표기' 등과 같은 관련문구가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다. 그리고 어떤 검색어에 대해 의도검색어로 할지에 대해서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전', '대전광역시', '대전직할시', '대전시', '충청남도 도청 소재지', '충청도에 있는 광역시'라는 검색어가 상기 의도검색어인 '대전'에 연결되는 방식으로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대전', '대전시', '대전광역시' 등과 같은 검색어를 입력하면,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의도검색어인 '대전'을 확인하고, 상기 '대전'에 대한 의도검색어에 대한 관련문구를 추출하게 된다(단계 S12).
그리고 데이터베이스(50)에 저장된 검색어가 입력되면, 상기 서버(30)에서는 상기 의도검색어에 따른 관련문구를 사용자 인터페이스(20)에 표시하는 방식으로 사용자단말기(10)로 전송한다. 즉, 전송된 의도검색어에 따른 관련문구는 사용자 인터페이스(20) 상에서 검색창 하단에 생성된 의도검색 테이블에 표시된다. 이러한 의도검색 테이블은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를 포함하면서 사용자가 검색하고자 하는 분야 또는 목적에 해당하는 문구를 제시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의도검색 테이블은 사용자가 현재 입력한 검색어를 통해 이전에 검색한 결과 중에서 가장 많은 사용자가 검색한 검색결과를 관련문구로 표현하여 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검색창에 '대전'이라고 입력하면, 서버(30)에서는 데이터베이스(50)에 '대전'에 관한 의도검색어의 유무를 파악한다. 만일 '대전'이라는 의도검색어가 데이터베이스(50)에 있다면, 상기 '대전'에 관한 관련문구를 사용자가 가장 많이 검색한 순서로 정리하여 도 6에 도시된 의도검색 테이블 형태로 사용자에게 제시한다. 예를 들면, '대전'에 관한 관련문구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전 맛집', '대전 유적지', '대전도시정보', '대전 도시명 유래', '대전 외국어 표기' 등이 될 수 있다(단계 S13).
그런데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에 대해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한 결과, 상기 검색어에 대응하는 의도검색어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의도검색어에 관련된 관련문구를 제시할 수가 없다. 이 경우에는, 상기 검색어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지 않은 신규의 검색어일 수도 있고,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단어가 아니거나 잘못된 표현 일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검색어에 대응하는 다른 검색어를 입력하여 줄 것을 사용자에게 요청한다. 즉, 상기 입력한 검색어와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다른 단어를 검색어로 입력하도록 유도한다.
이때 다른 검색어에 대한 입력은 검색창 하단이나 의도검색 테이블 하단에 마련된 별도의 입력창에서 수행될 수 있다. 즉, 최초의 검색어에 대해 의도검색어가 존재하지 않으면, 검색창 하단에 '상기 검색어와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다른 단어를 입력하여 주십시오'라는 안내문구와 함께 입력창이 표시될 수 있다. 또는 최초의 검색어에 대해 의도검색 테이블이 제시되었으나, 상기 의도검색 테이블에 제시된 관련문구가 사용자의 검색의도와 맞지 않으면, 상기 의도검색 테이블 하단에 마련된 입력창에 다른 검색어를 입력할 수도 있다(단계 S14).
만일 사용자가 다른 검색어를 입력한다면,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검색어를 입력받는 단계(단계 S11)로부터 상기 검색어에 대한 의도검색어 유무 파악 등을 다시 개시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이를 무시하고 검색을 진행하는 경우에는, 현재까지 입력된 검색어를 토대로 검색이 이루어진다(단계 S15). 그리고 검색결과도 종전의 방식에서와 마찬가지로 제공된다(단계 S16).
이렇게 제공된 검색결과가 사용자가 의도한 결과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한다. 이는 사용자에게 검색결과의 일치 여부를 질의하여 확인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고 확실하다(단계 S17). 만일 사용자가 검색결과의 일치를 확인해 주면, 상기 검색어 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지 않은 검색어이므로, 상기 검색어를 의도검색어, 관련문구 또는 상기 의도검색어에 연결된 검색어로서 데이터베이스에 추가한다(단계 S18).
예를 들면,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가 '어데'인 경우, 상기 검색어가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지 않으면, 사용자에게 다른 검색어를 요청한다. 이때 사용자가 '어디' 또는 '장소'라고 입력한다면, 상기 '어디' 또는 '장소'는 의도검색어인 '장소'와 연결되므로, 상기 '어데'는,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도검색어인 '장소'에 연결되는 검색어로서 추가된다.
또는 사용자가 '어데'라고 입력한 후에 다른 검색어의 요청을 무시하고 검색을 진행하여, 장소에 관한 검색결과를 얻고 이러한 검색결과가 의도한 결과와 일치한다고 확인하여 주면, 상기 '어데'는 의도검색어인 '장소'에 연결되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
한편, 의도한 검색결과의 확인에서 사용자가 의도한 검색결과가 아니라고 하면, 새로운 검색어를 입력할 수 있는 검색창이 표시되고, 상기 검색창에 대한 검색어의 입력시에,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의도검색어의 유무파악으로부터 다시 개시된다(단계 S19).
다시 의도검색 테이블이 제시된 시점으로 돌아가서, 사용자는 의도검색 테이블에서 사용자의 의도와 일치하는 검색어가 있으면(단계 S20), 해당 검색어를 클릭함으로써 해당 검색어에 따른 자료를 얻을 수 있다(단계 S21). 예를 들면, 사용자 가 '대전도시정보'를 클릭했다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전에 관한 도시정보가 상세히 표시되는 내용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여기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대전도시정보'는 별도의 데이터베이스(50)에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고,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검색엔진(40)을 통해 대전도시정보를 알 수 있는 웹페이지를 검색하여 그 결과를 출력할 수도 있다. 특히, 사용자가 의도한 정보가 실시간으로 확인이 필요한 정보라면, 데이터베이스(50)에는 해당 검색어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웹페이지에 대한 정보만이 저장되어 있고, 검색엔진(40)이 이를 참고하여 신속하게 정보를 획득하여 보여주는 형태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사용자가 의도하는 정보가 의도검색 테이블에 표시되지 않는다면, 사용자는 계속하여 검색어를 입력하게 된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대전에서 비몽이라는 영화가 상영되는 극장을 알고 싶어 하는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의도검색 테이블을 통해 바로 알 수 없으므로, 검색어를 추가적으로 입력한다(단계 S22).
이와 같이 검색어를 다수개로 입력하는 경우, 서버(30)에서는 상기 검색어를 전송받아 표준화하게 된다. 이는 사용자가 의도하는 바가 동일하더라도 사용자마다 입력하는 검색어는 서로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이를 표준화시키기 위함이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대전에서 비몽이라는 영화가 상영되는 극장'을 알고 싶다고 하여 반드시 그와 같이 입력하는 것은 아니다. 즉, 사용자에 따라서는 '대전 비몽 영화 어디서 하죠?'라고 입력할 수도 있다.
이때 표준화시키는 방법은, '비몽'이 영화 '비몽'을 의미하는 것인지, '비몽 사몽'을 의미하는 것인지를 파악하여야 하고, '어디서'는 '장소'를 의미하는 것인지를 파악하여야 한다. 즉, 입력된 검색어에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함과 아울러, 상관관계, 상위개념, 품사 및 형태소를 파악하여 상기 검색어에 의한 실제 사용자의 의도가 무엇인지를 추측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어디서'는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소'라는 의도검색어로 바로 연결될 수 있지만, 둘 이상의 의미로 판단될 수 있는 '비몽'과 같은 검색어는 사용자가 어떤 의도로 상기 검색어를 입력하였는지의 의도를 추측하여야 한다.
이러한 경우 서버(30)는 의도검색부(60)에서 의도검색 알고리즘을 통해 사용자의 의도를 추측한다. 이때 상기 의도검색 알고리즘으로는 의도검색방법으로 알려진 상관관계 파악, 상위개념 파악, 품사 파악 및 형태소 파악을 처리하는 자연어 처리 및 의도추론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문맥관계에서 사용자의 의도에 따른 의도검색어로 '대전', '비몽', '장소'가 확인되었다면(단계 S23), 상기 의도검색어를 포함하는 관련문구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의도검색테이블로 제공한다(단계 S24). 예를 들면, 관련문구로는, '대전에서의 영화 비몽의 상영장소', '대전에서의 영화 비몽의 촬영장소' 등을 들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자신의 검색의도에 부합하는 '대전에서의 영화 비몽의 상영장소'를 선택하면(단계 S21), 그에 대한 검색이 개시된다(단계 S26).
그리고 서버(30)에서는 사용자가 처음 입력한 내용(대전 비몽 영화 어디서 하죠?)을 표준화된 의도 내용(대전에서 비몽이라는 영화가 상영되는 극장)과 대응 시켜 데이터베이스(50)에 저장한다(단계 S25). 또한 표준화된 의도 내용에 따른 정보를 데이터베이스(50)를 참고하거나 검색엔진(40)을 통해 수집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그런데 만일 사용자가 '대전 비몽 영화 어데'라고 입력하면, '어데'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검색어가 아니므로, 사용자에게 '어데'와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다른 검색어를 입력하여 줄 것을 요청한다(단계 S14). 이에 대해 사용자가 '어디'라고 입력하면,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어디'는 의도검색어인 '장소'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의도가 파악된다.
이때 상기 '어데'라는 검색어에 대응하는 의도검색어가 없다 하더라도 의도검색 테이블에는 '대전 비몽 영화'에 대한 관련문구가 표시된다. 그리고 여기에 '대전 비몽 영화 상영장소'라는 관련문구가 표시되는 경우, 사용자는 상기 관련문구를 선택함으로써 검색을 개시할 수 있다.
또는 만일 사용자가 다른 검색어를 입력하지 않고 검색한다면, 사용자가 입력한 '대전 비몽 영화 어데'라는 검색어를 토대로 검색이 개시된다. 이는 상기 4개의 검색어를 모두 포함하는 검색결과를 우선 제공하고, 다음으로 3개의 검색어를 포함하는 검색결과를 제공하는 순으로 검색결과가 제공된다.
그리고 이러한 검색결과에 대한 확인 및 처리는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동일하다(단계 S15~S18).
한편, 데이터베이스(50)에는 각 극장의 홈페이지에서 영화 상영정보가 표시 되는 웹페이지에 대한 주소가 저장되어 있고, 검색엔진(40)은 이를 참조하여 검색한다.
그리고 사용자에게 검색된 결과를 제공할 때, 데이터베이스(50)에서 추출한 내용은, 사용자가 보기 편하도록 편집되어 있어 그대로 활용하여도 무방하지만, 웹페이지에서 검색된 자료는 그대로 제공하기 곤란한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현재의 검색시스템에서는, 웹페이지에서 검색어가 기재된 문장만을 표시하거나 검색어를 포함하는 홈페이지 주소를 제공한다. 그러나 이러한 검색결과만으로는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찾기 위해 다시 한번 해당 웹페이지를 방문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검색엔진(40)이 방문한 웹페이지에서 텍스트와 그림을 판독하여 의도하는 특정 검색어가 포함된 텍스트와 그림을 출력하는 형태로 검색결과의 제공이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대전에서 비몽이라는 영화가 상영되는 극장'에 대한 검색결과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영화 '비몽'에 대한 공식 홈페이지의 주소, 대전 인근에서 비몽을 상영하는 극장과 상영시간 및 연락처가 표시되고, 영화 '비몽'에 대한 설명이 제공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검색 의도에 맞는 검색결과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현재의 의도를 충족하기 위한 정보를 검색결과에서 바로 획득할 수 있다. 아울러, 검색결과 이외에 해당 검색어와 관련된 추가적인 정보를 얻고 싶으면, 상기 검색결과에 링크를 클릭하여 더 많은 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단계 S27).
이상에서 설명한 검색어에 대한 관련문구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고, 관련문구에 대해서는 찾는 빈도에 따라 순위가 정해진다. 따라서 이후의 검색에서는 검색어에 대한 관련문구를 제시할 때 정해진 순위에 따라 관련문구가 의도검색 테이블에 제시된다.
아울러, 다수의 검색어로 이루어진 문장도 관련문구로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 따라서 어느 시점에 '대전에서의 비몽 영화의 상영장소'에 대한 검색이 증가하면, 사용자가 검색창에 '대전'이라는 단어만 입력하여도, 관련문구로서 의도검색 테이블에 '대전 비몽 영화 상영장소'가 제공될 수 있다(단계 S27).
이상에서 본 발명을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검색의도를 기초로 한 의도검색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의도검색방법에 대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베이스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서 검색어와 의도검색어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의도검색방법의 구체적인 구현형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Claims (8)

  1. 사용자가 검색창에 기재한 검색어를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인터넷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서버에서 실시간으로 입력받는 단계(S11);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검색어에 대응하는 의도검색어의 유무를 파악하는 단계(S12);
    상기 검색어에 대응하는 의도검색어가 있는 경우, 상기 의도검색어에 관련된 관련문구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의도검색 테이블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S13);
    상기 의도검색 테이블에 제시된 관련문구 중 사용자의 검색의도에 대응하는 관련문구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이 있는 경우, 상기 관련문구에 대한 검색을 개시하는 단계(S26); 및
    상기 관련문구에 대한 검색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S2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검색의도를 기초로 한 의도검색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도검색어의 유무 파악단계(S12)에서는,
    상기 검색어에 대한 의도검색어가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상기 검색어에 대응하는 다른 검색어의 입력을 요청하는 단계(S1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검색의도를 기초로 한 의도검색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검색어 요청단계(S14)에서는,
    다른 검색어가 입력되지 않고 검색이 진행되는 경우에는, 해당 검색어에 대해 검색을 개시하는 단계(S15);
    상기 검색어에 따른 검색결과를 제공하는 단계(S16);
    상기 검색결과가 의도한 검색결과인지 확인하는 단계(S17); 및
    의도한 검색결과인 경우, 상기 검색어를 의도검색어로 추가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S1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검색의도를 기초로 한 의도검색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개시단계(S26)에서는,
    제시된 의도검색 테이블에 의도한 관련문구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연달아 입력하는 검색어를 입력받아 의도검색어를 추출하는 단계(S22);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연달아 입력된 검색어에 대한 의도검색어의 유무를 파악하는 단계(S23); 및
    상기 의도검색어에 관련된 관련문구를 의도검색테이블로 제공하는 단계(S2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검색의도를 기초로 한 의도검색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개시 단계(S26)에서는,
    사용자가 관련문구를 선택하면,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를 관련문구와 대응시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S2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검색의도를 기초로 한 의도검색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의도검색 테이블에 제시되는 관련문구는,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와 관련되고, 검색하고자 하는 분야 또는 목적에 해당하는 문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검색의도를 기초로 한 의도검색방법.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개시 단계(S26)는, 상기 관련문구에 대한 검색결과 또는 상기 관련문구에 연관된 웹페이지 주소를 저장한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관련문구에 대해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검색의도를 기초로 한 의도검색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검색된 자료가 데이터베이스에서 참고된 것일 경우는 그 자료를 그대로 활용하여 출력하고, 웹페이지에서 검색된 자료에서는 텍스트와 그림을 판독하여 의도하 는 상기 관련문구와 관련된 텍스트와 그림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검색의도를 기초로 한 의도검색방법.
KR1020090003081A 2009-01-14 2009-01-14 사용자의 검색의도를 기초로 한 의도검색방법 KR201000836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3081A KR20100083614A (ko) 2009-01-14 2009-01-14 사용자의 검색의도를 기초로 한 의도검색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3081A KR20100083614A (ko) 2009-01-14 2009-01-14 사용자의 검색의도를 기초로 한 의도검색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3614A true KR20100083614A (ko) 2010-07-22

Family

ID=42643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3081A KR20100083614A (ko) 2009-01-14 2009-01-14 사용자의 검색의도를 기초로 한 의도검색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8361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2254B1 (ko) * 2011-08-31 2013-06-13 주식회사 다음커뮤니케이션 검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의 동일의도 검색어 생성 방법
WO2013157712A1 (ko) * 2012-04-17 2013-10-24 Park Suk-Il 정보검색장치 및 정보검색방법,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CN106874467A (zh) * 2017-02-15 2017-06-20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用于提供搜索结果的方法和装置
WO2019112223A1 (ko) * 2017-12-08 2019-06-13 빈닷컴 주식회사 전자 문서 검색 방법 및 그 서버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2254B1 (ko) * 2011-08-31 2013-06-13 주식회사 다음커뮤니케이션 검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의 동일의도 검색어 생성 방법
WO2013157712A1 (ko) * 2012-04-17 2013-10-24 Park Suk-Il 정보검색장치 및 정보검색방법,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CN106874467A (zh) * 2017-02-15 2017-06-20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用于提供搜索结果的方法和装置
WO2018149115A1 (zh) * 2017-02-15 2018-08-23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用于提供搜索结果的方法和装置
CN106874467B (zh) * 2017-02-15 2019-12-06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用于提供搜索结果的方法和装置
US11669579B2 (en) 2017-02-15 2023-06-06 Baidu Online Network Technology (Beijing)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arch results
WO2019112223A1 (ko) * 2017-12-08 2019-06-13 빈닷컴 주식회사 전자 문서 검색 방법 및 그 서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64892B2 (ja) 多言語情報検索
CN110825835B (zh) 从先前会话检索情境
US9323848B2 (en) Search system using search subdomain and hints to subdomains in search query statements and sponsored results on a subdomain-by-subdomain basis
RU2628200C2 (ru) Обеспечение руководства тематическим поиском
JP4638439B2 (ja) ウェブ検索の個人化
US8484014B2 (en) Retrieval using a generalized sentence collocation
RU2641221C2 (ru) Предложения поисковых запросов, частично основанные на предшествующем поиске, и поиск, основанный на таких предложениях
US20080294619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generation of search suggestions based on recent operator behavior
US20080071739A1 (en) Using anchor text to provide context
JP4962945B2 (ja) ブックマーク・タグ設定装置
KR20130132757A (ko) 예측 쿼리 제안 캐싱
US20180365318A1 (en) Semantic analysis of search results to generate snippets responsive to receipt of a query
KR20100083614A (ko) 사용자의 검색의도를 기초로 한 의도검색방법
EP1160686A2 (en) A method of searching the internet and an internet search engine
JP4909946B2 (ja) クエリ置換検索サーバ、検索方法及びプログラム
Stacey et al. Effective information retrieval from the internet: an advanced user’s guide
KR100906809B1 (ko) 키워드 검색 방법
JP4860439B2 (ja) 質問文の自動生成システム
JP2010086210A (ja) 情報量に応じたページを優先的に表示する検索方法、プログラム及びサーバ
JP2005234772A (ja) 文書管理装置および方法
KR20130024127A (ko) 검색엔진용 키워드 추출 시스템 및 추출 방법
JP2009134467A (ja) 検索装置、検索方法、及び検索プログラム
JP5530334B2 (ja) 情報検索装置、及び情報検索プログラム
KR20020015100A (ko) 웹 브라우저를 이용한 정보 검색 시스템
KR100931693B1 (ko) 키워드 검색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