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3580A - 독립적으로 구동하는 터치스크린과 모니터를 이용한 모바일기기 구동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독립적으로 구동하는 터치스크린과 모니터를 이용한 모바일기기 구동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3580A
KR20100083580A KR1020090003037A KR20090003037A KR20100083580A KR 20100083580 A KR20100083580 A KR 20100083580A KR 1020090003037 A KR1020090003037 A KR 1020090003037A KR 20090003037 A KR20090003037 A KR 20090003037A KR 20100083580 A KR20100083580 A KR 201000835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device
monitor
touch screen
position information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3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관선
Original Assignee
정관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관선 filed Critical 정관선
Priority to KR1020090003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83580A/ko
Publication of KR20100083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35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2Automatically-operated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니터를 이용한 모바일기기 구동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고, 전면에 객체를 이용하여 접촉시 압력에 의해 커서가 움직이며, 압력의 인식에 따른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디지털화하여 전송하는 터치스크린; 상기 터치스크린으로부터 수신한 디지털화된 위치정보를 수신하며, 수신된 위치정보에 따라 제어되고, 해당 제어에 따라 생성된 그래픽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며, 전송하는 모바일기기; 및 상기 터치스크린와 동일한 크기의 화면을 형성되며, 상기 모바일기기으로부터 그래픽 신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를 포함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에 의해, 동일한 크기의 별도의 장치인 모니터와 터치스크린를 이용해 모바일기기의 작은 창을 커다란 모니터로 볼 수 있으며, 모바일기기보다 크기가 큰 터치스크린로 모바일기기을 작동할 수 있으므로, 잘못된 입력으로 인한 모바일기기의 오작동의 우려를 예방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모니터, 모바일기기, 구동

Description

독립적으로 구동하는 터치스크린과 모니터를 이용한 모바일기기 구동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Driving mobile device using Monitor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모바일기기 구동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모니터와 모니터 전방에 설치된 터치스크린을 통해 모바일기기을 구동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바일기기라 함은 휴대가 가능한 핸드폰이나 스마트폰, 노트북,PMP, MP3, 카메라 등과 같은 제품들을 통칭하며, 이러한 모바일 기기는 디지털기술의 발전과 함께 음성통화 서비스뿐만 아니라 화상 등을 제공하며, 특히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다양한 데이터 통신 서비스 및 인터넷, 멀티미디어 등과 같은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대개 모바일기기는 화면이 작아 터치스크린을 구비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오동작이나 잘못된 입력의 사례들이 종종 발생한다.
특히 최근에는 터치스크린이 대세가 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비용의 절감 때문에 터치스크린을 사용하지 못하는 모바일기기도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독립적으로 구동하는 터치스크린과 모니터를 입출력장치로 사용하여 모바일기기을 구동하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 모바일기기 구동 시스템은, 모바일기기와 연결되기 위한 입력인터페이스를 구비하며, 모니터의 화면넓이와 동일한 넓이를 가지며 모니터와 독립적으로 구동가능한 터치스크린과; 상기 터치스크린에 입력인터페이스에 의해 연결되어 터치스크린에서 발생한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위치정보에 따라 제어되고, 해당 제어에 따라 생성된 출력신호를 모니터로 전송하기 위한 모바일기기와; 상기 모바일 기기와 연결되기 위한 출력인터페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모바일기기로 부터 송신된 출력신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모니터로 구성되어 진다.
상기 터치스크린은, 평판 모양의 다수의 센서로 형성되며, 객체를 이용하여 접촉하면, 움직임에 따른 위치정보를 입력받아 출력하는 입력부; 모바일기기로 상기 디지털화된 위치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입력인터페이스; 및 상기 입력부로 부터 출력된 위치정보를 인식하며, 상기 위치정보를 입력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디지털 화된 위치정보를 전송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를 이용한 모바일기기 구동 방법은, 터치스크린의 특정좌표 또는 아이콘이 선택되는 선택단계; 상기 터치스크린를 통해 선택된 상기 특정좌표 또는 아이콘과 매칭되는 위치정보를 디지털화하여 입력인터페이스를 통해 모바일기기로 전송하는 제1 전송단계; 상기 전송된 위치정보에 따라 제어되며, 해당 제어에 따라 그래픽화된 화면을 출력하며, 출력과 동시에 그래픽화된 화면을 출력인터페이스를 통해 모니터로 전송하는 제2 전송단계; 및 상기 모니터는 상기 그래픽화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종(異種) 기기의 큰 모니터를 출력장치로 사용함으로 모바일기기의 작은 화면을 크게 볼 수 있으며, 또 보다 넓은 크기의 터치스크린을 입력장치로 사용함으로서 잘못된 입력을 방지하고 입력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하지 못하는 모바일기기라 할지라도 이종(異種) 기기의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모바일기기를 작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 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는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니터를 이용한 모바일기기 구동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2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모니터를 이용한 모바일기기 구동 시스템은 모니터(100), 터치스크린(200), 모바일기기(300)을 포함할 수 있다.
모니터(100)는 모바일기기(30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하며, 모바일기기(300)와는 별도로 분리되어 전원을 공급받는다.
상기 모니터(100)는 네비게이션장치,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컴퓨터 모니터, 랩톱 컴퓨터의 모니터, TV 수상기 등이 될 수 있으며, 다양한 크기로 화면이 형성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200)는 모니터(100)와 분리되어 형성되거나 모니터(100)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투명한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터치스크린(200)는 모니터(100)와 별도로 형성되며, 모니터(100)의 화면크기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모니터(100)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스크린(200)는 전면에 손가락이나 펜 등을 이용해 접촉하면 압력에 의해 커서가 움직이며, 압력의 인식에 따른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디지털화하여 모바일기기(300)으로 전송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터치스크린(200)은 입력부(240), 제어부(230), 입력인터페이스(2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240)는 평판 모양의 센서일 수 있으며, 사용자가 입력부(240)에 손가락이나 펜을 이용해 특정부위에 접촉하면 압력에 의해 지정된 포인터(예컨대, 커서)가 제어부(230)와의 연동에 따라 움직이고, 움직임에 따른 위치정보(x좌표, y좌표)를 제어부(230)가 인식한다.
상기 제어부(230)는 마이크로프로세서(CPU: Central Processing Unit 또는 MPU: Micro Processor Unit)가 내장되고, 입력인터페이스(210)를 통해 모바일기기으로 디지털화된 위치정보(x좌표, y좌표)를 전달한다.
한편, 터치스크린(200)의 작동법은 두 가지 매트릭스(matrix)법(미국 특허 5,305,017 참조) 또는 전기용량 새기 방법에 의할 수 있다.
모바일기기(300)는 터치스크린(200)의 입력인터페이스(210)를 통해 수신한 위치정보(x좌표, y좌표)를 수신하며, 수신된 위치정보에 따라 제어된다.
한편, 모바일기기(300)는 수신된 위치정보의 제어에 따라 생성된 그래픽 신호를 모니터(100)로 전송하면, 모니터(100)는 입력된 그래픽 신호를 디스플레이시킨다.
이에 따라, 모바일기기(300)의 작은 창을 커다란 모니터(100)로 볼 수 있게 되며, 커다란 터치스크린(200)으로 모바일기기(300)을 작동하게 되어 입력이 용이하고, 잘못된 입력으로 인한 모바일기기(300)에 대한 오작동의 우려가 적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를 이용한 모바일기기 구동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며,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터치스크린(200)의 특정좌표 또는 아이콘을 선택한다(S10).
터치스크린(200)를 통해 입력된 특정좌표와 매칭되는 위치정보(x축, y축)는 디지털화되어 입력인터페이스(210)를 통해 모바일기기(300)으로 전송된다(S20).
모바일기기(300)으로 입력된 위치정보에 따라 모바일기기(300)이 제어되며, 해당 제어에 따라 그래픽화된 화면이 모바일기기(300)의 표시창(미도시)에 의해 출력된다. 또한, 출력과 동시에 그래픽화된 화면이 모니터(100)로 전송된다(S30).
단계(S30)의 전송에 따라, 모니터(100)는 그래픽화된 화면을 디스플레이 한다(S40).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사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내용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를 이용한 모바일기기 구동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를 이용한 모바일기기 구동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모니터 200: 터치스크린
210: 입력인터페이스 230: 제어부
240: 입력부 300: 모바일기기
310: 출력인터페이스

Claims (3)

  1. 모바일기기와 연결되기 위한 입력인터페이스를 구비하며, 모니터의 화면넓이와 동일한 넓이를 가지며 모니터와 독립적으로 구동가능한 터치스크린과; 상기 터치스크린에 입력인터페이스에 의해 연결되어 터치스크린에서 발생한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위치정보에 따라 제어되고, 해당 제어에 따라 생성된 출력신호를 모니터로 전송하기 위한 모바일기기와; 상기 모바일 기기와 연결되기 위한 출력인터페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모바일기기로부터 송신된 출력신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모니터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를 이용한 모바일기기 구동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은 평판 모양의 다수의 센서로 형성되며, 객체를 이용하여 접촉하면 움직임에 따른 위치정보를 입력받아 출력하는 입력부; 모바일기기로 상기 디지털화된 위치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입력인터페이스; 및 상기 입력부로부터 출력된 위치정보를 인식하며, 상기 위치정보를 입력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디지털화된 위치정보를 전송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를 이용한 모바일기기 구동 시스템.
  3. 터치스크린의 특정좌표 또는 아이콘이 선택되는 선택단계;
    상기 터치스크린를 통해 선택된 상기 특정좌표 또는 아이콘과 매칭되는 위치정보를 디지털화하여 입력인터페이스를 통해 모바일기기로 전송하는 제1전송단계;
    상기 전송된 위치정보에 따라 제어되고, 해당 제어에 따라 그래픽화된 화면을 출력하며, 출력과 동시에 그래픽화된 화면을 출력인터페이스를 통해 모니터로 전송하는 제2전송단계; 및
    상기 모니터는 상기 그래픽화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를 이용한 모바일기기 구동 방법.
KR1020090003037A 2009-01-14 2009-01-14 독립적으로 구동하는 터치스크린과 모니터를 이용한 모바일기기 구동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0835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3037A KR20100083580A (ko) 2009-01-14 2009-01-14 독립적으로 구동하는 터치스크린과 모니터를 이용한 모바일기기 구동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3037A KR20100083580A (ko) 2009-01-14 2009-01-14 독립적으로 구동하는 터치스크린과 모니터를 이용한 모바일기기 구동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3580A true KR20100083580A (ko) 2010-07-22

Family

ID=42643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3037A KR20100083580A (ko) 2009-01-14 2009-01-14 독립적으로 구동하는 터치스크린과 모니터를 이용한 모바일기기 구동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8358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9873B1 (ko) * 2011-05-25 2018-07-18 오준수 이동식 단말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9873B1 (ko) * 2011-05-25 2018-07-18 오준수 이동식 단말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49224B2 (en) Selective rejection of touch contacts in an edge region of a touch surface
US9400581B2 (en) Touch-sensitive button with two levels
EP2711825B1 (en) System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for use by portable and other devices
US20120019488A1 (en) Stylus for a touchscreen display
US20140035851A1 (en) Method for controlling user input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JP2015005173A (ja) タッチ・スクリーンを備える携帯式情報端末および入力方法
TW201337717A (zh) 可觸控式電子裝置
KR20140019530A (ko) 멀티 터치 핑거 제스처를 이용하는 사용자 인터렉션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17025528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mobile terminal
EP2731001A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hanging an object according to a bending state
US20150009136A1 (en) Operation input device and input operation processing method
KR20140105354A (ko) 터치 감응 유저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KR102476607B1 (ko) 좌표 측정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00083580A (ko) 독립적으로 구동하는 터치스크린과 모니터를 이용한 모바일기기 구동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61786B1 (ko)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단말을 이용한 마우스 기능의 제공 방법 및 장치
AU2013205165B2 (en) Interpreting touch contacts on a touch surface
AU2015271962B2 (en) Interpreting touch contacts on a touch surface
EP2778857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ouch-sensitive keyboard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KR20150054451A (ko) 셋톱박스 시스템 및 셋톱박스 리모컨 기능 제공 방법
KR101919515B1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단말에서 데이터 입력 방법 및 장치
KR20140040346A (ko) 내외부 입력 구분에 따른 입력 처리가 가능한 이동 단말 및 그 방법
KR20120134476A (ko) 움직임 감지장치를 이용한 e-mail 내용 표시 방법 및 장치
KR20130119709A (ko) 사용자 제스쳐를 검출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단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