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3431A - Cooker - Google Patents

Cook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3431A
KR20100083431A KR1020090002795A KR20090002795A KR20100083431A KR 20100083431 A KR20100083431 A KR 20100083431A KR 1020090002795 A KR1020090002795 A KR 1020090002795A KR 20090002795 A KR20090002795 A KR 20090002795A KR 20100083431 A KR20100083431 A KR 201000834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cavity
cooking chamber
door
heating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27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45745B1 (en
Inventor
변준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02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5745B1/en
Publication of KR20100083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343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5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574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1/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stoves or ranges, e.g. each having a different kind of energy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2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using microwa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Abstract

PURPOSE: A cooker is provided to efficiently cool a door by cooling an oven door of an oven through airflow formed by a cooling fan. CONSTITUTION: A cooker comprises a first cavity(110), a first heating source, a second cavity, a second heating source, a door, and a cooling fan. The first cavity comprises a first cooking chamber. The first heating source offers heat for heating the cooking material in the first cooking chamber. The second cavity is combined with the first cavity and comprises a second cooking chamber. The second heating source offers heat for heating the cooking material in the second cooking chamber. The door selectively opens and closes the second cooking chamber. The cooling fan forms air flow for cooling the door.

Description

조리기기{Cooker}Cooker {Cooker}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별개의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조리부가 구비되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king applian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oking appliance having a plurality of cooking units for cooking separate foods.

조리기기는 음식물을 조리하는 가전기기이다. 이와 같은 조리기기는 히터 또는/및 마그네트론과 같은 가열원에서 발생되는 히터열 또는/및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가열함으로써 음식물을 조리한다. The cooking appliance is a home appliance for cooking food. Such a cooking apparatus cooks food by heating food using heater heat or microwaves generated from a heating source such as a heater or / and a magnetron.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조리기기는 하나의 조리공간에서 하나의 종류의 음식물의 조리만 이루어진다. 따라서 다양한 종류의 음식물의 조리가 불가능해지는 단점이 발생한다.However, th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only cooks one kind of food in one cooking space. Therefor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cooking of various kinds of food is impossible.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종류의 음식물의 조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oking apparatus configured to enable the cooking of various kinds of food.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조리기기는, 제1조리실이 구비되는 제1캐비티; 상기 제1조리실에서의 조리물의 가열을 위한 열을 제공하는 제1가열원; 상기 제1캐비티에 결합되고, 제2조리실이 구비되는 제2캐비티; 상기 제2조리실에서의 조리물의 가열을 위한 열을 제공하는 제2가열원; 상기 제2조리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도어의 냉각을 위한 에어플로를 형성하는 냉각팬; 을 포함한다.Coo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first cavity is provided with a first cooking room; A first heating source providing heat for heating the food in the first cooking chamber; A second cavity coupled to the first cavity and having a second cooking chamber; A second heating source providing heat for heating the food in the second cooking chamber; A door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second cooking compartment; And a cooling fan forming an air flow for cooling the door. .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조리기기는, 제1조리실이 구비되는 제1캐비티, 상기 제1조리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1도어, 상기 제1조리실에서의 조리물의 가열을 위한 제1가열원, 및 상기 제1가열원의 냉각을 위한 냉각팬을 포함하는 제1조리부; 및 상기 제1조리부에 결합되고, 제2조리실이 구비되는 제2캐비티, 상기 제2캐비티의 전면에 구비되는 프론트패널, 상기 제2조리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2도어, 및 상기 제2조리실에서의 조리물의 가열을 위한 제2가열원을 포함하는 제2조리부; 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팬에 의하여 형성되는 에어플로는, 상기 제1가열원을 냉각시킨 상태에서 상기 프론트패널의 내부를 유동하여 상기 제2도어를 냉각 시킨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oking apparatus includes a first cavity including a first cooking chamber, a first door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first cooking chamber, and a first heating source for heating food in the first cooking chamber. A first cooking unit including a cooling fan for cooling the first heating source; And a second cavity coupled to the first cooking unit and having a second cooking chamber, a front panel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cavity, a second door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second cooking chamber, and the second cooking chamber. A second cooking unit including a second heating source for heating the food of the food; Includes, the air flow is formed by the cooling fan, the inside of the front panel in the state in which the first heating source is cooled to cool the second door.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에 의하면, 다양한 종류의 음식물을 동시 또는 각각 조리할 수 있고, 도어의 냉각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kinds of foods can be cooked simultaneously or separately, a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door is cooled efficiently.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1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first embodiment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1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구성하는 제2캐비티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구성하는 제2캐비티의 저면을 보인 저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구성하는 제2캐비티의 요부를 보인 종단면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cavity constituting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irst 4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a bottom of a second cavity constituting an embodiment, and FIG. 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main portion of a second cavity constitut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조리기기는, 전자레인지(100), 상기 전자레인지(100)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오븐(200), 및 적어도 상기 전자레인지(100) 의 상면과 상기 전자레인지(100) 또는 상기 전자레인지(100) 및 오븐(200)의 양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케이스(30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cooking apparatus includes a microwave oven 100, an oven 200 selectively coupled to the microwave oven 100, and at least an upper surface of the microwave oven 100 and the microwave oven 100 or the like. It includes an outer case 300 for forming the appearance of both sides of the microwave oven 100 and the oven 200.

상기 전자레인지(100)의 캐비티(110)(이하에서는 '제1캐비티'라 칭함)의 내부에는 조리실(111)(이하에서는 '제1조리실'이라 칭함)이 구비된다. 상기 제1조리실(111)은 음식물의 조리가 이루어지는 곳이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전자레인지(100)에는 상기 제1조리실(111)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전자레인지 도어가 구비된다.A cooking chamber 111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rst cooking chamber”) is provided inside the cavity 11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rst cavity”) of the microwave oven 100. The first cooking chamber 111 is where food is cooked.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the microwave oven 100 is provided with a microwave oven door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first cooking chamber 111.

그리고 상기 제1캐비티(110)의 일측에는 전장실(113)이 구비된다. 상기 전장실(113)에는 상기 제1조리실(111)에서의 음식물의 조리를 위한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진시키는 다수개의 전장부품(미도시) 및 상기 전장부품의 냉각을 위한 냉각팬(미도시)이 설치된다. 상기 냉각팬은 상기 전자레인지(100) 또는 오븐(200) 중 적어도 하나가 동작되면 구동된다. In addition, an electric field chamber 113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first cavity 110. The electrical equipment room 113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electrical components (not shown) for oscillating the microwave for cooking food in the first cooking chamber 111 and a cooling fan (not shown) for cooling the electrical components. do. The cooling fan is driven when at least one of the microwave oven 100 or the oven 200 is operated.

상기 제1캐비티(110)의 후면에는 다수개의 흡입구(115)가 구비된다. 상기 흡입구(115)는 상기 냉각팬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전자레인지(100)의 외부인 실내의 공기가 상기 전자레인지(100)의 내부,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전장실(113)의 내부로 흡입되는 입구역할을 한다.A plurality of suction ports 115 ar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cavity 110. The suction port 115 sucks the air in the room, which is outside the microwave oven 100, into the microwave oven 100, more specifically, the interior of the electric compartment 113 by the driving of the cooling fan. Enter the area of entry.

상기 제1조리실(111)의 양측면에 해당하는 상기 제1캐비티(110)의 양측면에는 각각 공기유입부(117)와 공기배출부(119)가 형성된다. 상기 공기유입부(117)는, 상기 전장실(113)과 마주보는 상기 제1조리실(111)의 일측면에 해당하는 상기 제1캐비티(110)의 일측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유입부(117)는, 상기 냉각팬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전장실(113)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의 일부가 상기 제1조리실(111)의 내부로 유입되는 입구역할을 한다. 상기 공기배출부(119)는, 상기 공기유입부(117)의 반대편, 즉 상기 전장실(113)로부터 가장 이격되는 상기 제1조리실(111)의 타측면에 해당하는 상기 제1캐비티(110)의 타측면에 형성된다. 상기 공기배출부(119)는 상기 공기유입부(117)를 통하여 상기 제1조리실(111)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제1조리실(111)의 외부로 배출되는 출구역할을 한다.Air inlets 117 and air outlets 119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cavity 110 corresponding to both sides of the first cooking chamber 111, respectively. The air inlet 117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cavity 110 corresponding to one side of the first cooking chamber 111 facing the electric chamber 113. In addition, the air inlet 117 is configured to enter an area in which a part of the air sucked into the interior of the electric compartment 113 by the driving of the cooling fan flows into the interior of the first cooking chamber 111. The air discharge part 119 is opposite to the air inlet part 117, that is, the first cavity 110 corresponding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cooking chamber 111 spaced most apart from the electric chamber 113. It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The air discharge unit 119 serves as an outlet through which the air introduced into the first cooking chamber 111 through the air inlet 117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cooking chamber 111.

상기 제1캐비티(110)의 하부에는 베이스플레이트(120)가 구비된다. 상기 베 이스플레이트(120)는 실질적으로 상기 제1캐비티(110)의 저면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20)에는 다수개의 연통공(121)이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20)의 연통공(121)은 상기 냉각팬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전장부품을 냉각시킨 공기 및 상기 제1조리실(111)을 순환한 공기가 상기 오븐(200)의 내부로 유입되는 입구역할을 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20)의 연통공(121)은 상기 공기배출부(119)의 하방에 해당하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20)의 일단부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20)의 상면에는 다수개의 루버(123)가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20)의 루버(123)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20)의 연통공(121)의 후단부에 인접하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20)의 상면에서 전방을 향하여 소정의 각도로 상향경사지게 연장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20)의 루버(123)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20)의 연통공(121)을 통하여 상기 오븐(2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A base plate 120 is provided below the first cavity 110. The base plate 120 substantially forms a bottom surface of the first cavity 110. In addition,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holes 121 are formed in the base plate 120. The communication hole 121 of the base plate 120 is the air to cool the electrical components and the air circulated through the first cooking chamber 111 is introduced into the oven 200 by the drive of the cooling fan. Enter the area of entry. The communication hole 121 of the base plate 120 is formed at one end of the base plate 120 corresponding to the lower side of the air discharge unit 119. In addition, a plurality of louvers 123 are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120. The louver 123 of the base plate 120 extends upwardly at a predetermined angle toward the fron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120 adjacent to the rear end of the communication hole 121 of the base plate 120. . The louver 123 of the base plate 120 serves to guide the air introduced into the oven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121 of the base plate 120.

한편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오븐(200)의 캐비티(210)(이하에서는 '제2캐비티'라 칭함)에는 조리실(211)(이하에서는 '제2조리실'이라 칭함)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2캐비티(210)는 어퍼플레이트(212), 이너패널(213) 및 아웃터패널(216)을 포함한다. 1 and 2, a cavity 21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econd cavity”) of the oven 200 is provided with a cooking chamber 211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econd cooking compartment”). . The second cavity 210 includes an upper plate 212, an inner panel 213, and an outer panel 216.

상기 어퍼플레이트(212)는 상기 제2조리실(211)의 천정면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이너패널(213)은, 상기 제2조리실(211)의 양측면을 형성하는 2개의 사이드플레이트(214) 및 상기 제2조리실(211)의 후면을 형성하는 리어레이트(215)를 포함한다. 상기 이너패널(213)은 전체적으로 전방을 향하여 개구되는 U자형상으로 형 성된다. 또한 상기 아웃터패널(216)은, 전체적으로 상방을 향하여 개구되는 U자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아웃터패널(215)은 상기 제2캐비티(20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프론트플레이트(217), 상기 제2캐비티(210)의 후면 외관을 형성하는 백플레이트(218) 및 상기 제2캐비티(200)의 저면 외관을 형성하는 바텀플레이트(219)를 포함한다. The upper plate 212 forms a ceiling surface of the second cooking chamber 211. The inner panel 213 includes two side plates 214 forming both side surfaces of the second cooking chamber 211 and a rear rate 215 forming a rear surface of the second cooking chamber 211. The inner panel 213 is formed in a U shape that is open toward the front as a whole. In addition, the outer panel 216 is formed in a U-shape which is opened upwardly as a whole. The outer panel 215 may include a front plate 217 for forming a front exterior of the second cavity 200, a back plate 218 for forming a rear exterior of the second cavity 210, and the second cavity ( And a bottom plate 219 forming a bottom appearance of the bottom surface 200.

상기 프론트플레이트(217)에는 입출개구(217A)가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플레이트(217)의 입출개구(217A)는 후술할 트레이(240)가 입출되는 곳이다. 상기 프론트플레이트(217)의 입출개구(217A)는 상기 프론트플레이트(217)의 일부가 장방형으로 절개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프론트플레이트(217)에는 연통공(217B)이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플레이트(217)의 연통공(217B)은 상기 오븐(2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후술할 프론트패널(220)의 내부로 유입되는 입구역할을 한다. 상기 프론트플레이트(217)의 연통공(217B)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20)의 연통공(121)의 하방에 해당하는 상기 프론트플레이트(217)의 일단부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플레이트(217)의 전면에는 다수개의 루버(217C)가 구비된다. 상기 프론트플레이트(217)의 루버(217C)는 상기 프론트플레이트(217)의 연통공(217B)을 통하여 상기 제2캐비티(2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프론트플레이트(217)의 루버(217C)는 상기 프론트플레이트(217)의 연통공(217A)의 상단부에 해당하는 상기 프론트플레이트(217)의 전면에서 상방을 향하여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연장된다.The front plate 217 is formed with an opening and closing opening 217A. The entry / exit opening 217A of the front plate 217 is where the tray 240 to be described later enters and exits. The entrance and exit opening 217A of the front plate 217 is formed by cutting a portion of the front plate 217 in a rectangular shape. In addition, the front plate 217 has a communication hole 217B is formed. The communication hole 217B of the front plate 217 serves as an entrance area into which the air introduced into the oven 200 flows into the inside of the front panel 220 to be described later. The communication hole 217B of the front plate 217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front plate 217 corresponding to the lower side of the communication hole 121 of the base plate 120. A plurality of louvers 217C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plate 217. The louver 217C of the front plate 217 serves to guide the air introduced into the second cavity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217B of the front plate 217. The louver 217C of the front plate 217 extends inclined upward at a predetermined angle upward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plate 217 corresponding to the upper end of the communication hole 217A of the front plate 217.

그리고 상기 프론트플레이트(217)의 전면에는 프론트패널(220)이 구비된다. 상기 프론트패널(220)은, 상기 오븐(200)의 전면 하부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프론트패널(220)은 상기 프론트플레이트(217)에 대응하는 납작한 육면체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패널(220)에는 상기 프론트플레이트(217)의 입출개구(217A)에 대응하는 입출개구(220A)가 형성된다.The front panel 220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plate 217. The front panel 220 forms a front lower exterior of the oven 200. The front panel 220 is formed in a flat hexahedr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front plate 217. The front panel 220 is provided with an entry and exit opening 220A corresponding to an entry and exit opening 217A of the front plate 217.

또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프론트패널(220)의 입출개구(220A)의 상면에 해당하는 상기 프론트패널(220)의 내측 테두리 상면에는 다수개의 배출공(220B)이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패널(220)의 배출공(220B)은 상기 프론트플레이트(217)의 연통공(217B)을 통하여 상기 프론트패널(220)의 내부,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프론트플레이트(217)의 전면과 상기 프론트패널(220)의 내면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배출되는 출구역할을 한다. 상기 프론트패널(220)의 배출공(220B)을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는 일종의 에어커튼의 역할을 한다. 3 and 4,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220B are formed on the inner edge upper surface of the front panel 220 correspond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entrance / exit opening 220A of the front panel 220. The discharge hole 220B of the front panel 220 is inside the front panel 220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217B of the front plate 217, more specifically,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plate 217. It serves as an outlet through which the air flowing into the space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panel 220 is discharged.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hole 220B of the front panel 220 serves as a kind of air curtain.

한편 상기 제2조리실(211)은 오븐도어(230)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상기 오븐도어(230)를 서랍식으로 상기 제2조리실(211)을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상기 오븐도어(230)의 전면에는 상기 오븐도어(230)를 여닫기 위하여 사용자가 파지하는 도어핸들(231)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전자레인지 도어 및 제2오븐도어(230)가 각각 상기 제1조리실(111) 또는 제2조리실(211)을 차폐한 상태에서, 상기 전자레인지 도어의 전면과 상기 오븐도어(230)의 전면은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상기 전자레인지 도어의 전면과 상기 오븐도어(230)의 전면은 동일한 재질 및 색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오븐도어(230)가 상기 제2조리실(211)을 차폐한 상태에서, 상기 오븐도 어(230)의 상면은 상기 프론트패널(220)의 입출개구(220A)의 상면에 인접되게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오븐도어(230)는 상기 프론트패널(220)의 배출공(220B)으로 배출되는 공기에 의하여 냉각될 수 있게 된다. Meanwhile, the second cooking chamber 211 is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by the oven door 230. The second door 211 is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in a drawer type oven door 230. The front surface of the oven door 230 is provided with a door handle 231 that the user grips to open and close the oven door 230. In addition, the microwave oven door and the second oven door 230 shield the first cooking chamber 111 or the second cooking chamber 211, respectively, the front surface of the microwave oven door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oven door 230. Is preferably located on the same plane. More preferably, at least the front surface of the microwave oven door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oven door 230 ar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nd color. In the state where the oven door 230 shields the second cooking chamber 211, the upper surface of the oven door 230 is positioned to be adjacen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entrance / exit opening 220A of the front panel 220. . Therefore, the oven door 230 may be cooled by the air discharged to the discharge hole 220B of the front panel 220.

그리고 상기 제2조리실(211)에는 트레이(240)가 출납가능하게 설치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트레이(240)는 상기 오븐도어(230)의 여닫힘에 연동하여 상기 제2조리실(211)의 내외부로 출납된다. 상기 트레이(240)는 장방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240)의 상면에는 음식물이 안착된다. 상기 트레이(240)의 상면에 안착되는 음식물, 즉 상기 제2조리실(211)에서 조리되는 음식물로는 피자를 예를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피자는 원형의 납작한 빵의 상면에 치즈 및 토마토나 버섯, 소시지와 같은 각종 토핑을 뿌린 상태에서 상기 치즈가 녹을 때까지 가열하여 조리된다. In addition, the tray 240 is installed in the second cooking chamber 211 to be withdrawn. Substantially, the tray 240 is withdrawn in and out of the second cooking chamber 211 in conjunction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oven door 230. The tray 240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nd the food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ray 240. For example, pizza may be used as food to b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ray 240, that is, food to be cooked in the second cooking chamber 211. In general, the pizza is cooked by heating until the cheese is melted in a state of sprinkling various toppings such as cheese, tomatoes, mushrooms and sausag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lat flat bread.

그리고 상기 오븐(200)에는 2개의 레일어셈블리(250)가 구비된다. 상기 레일어셈블리는 상기 오븐도어(230)의 여닫힘 및 상기 트레이(240)의 출납을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레일어셈블리(250)는 고정레일(251) 및 이동레일(253)을 포함한다. In addition, two rail assemblies 250 are provided in the oven 200. The rail assembly is to guide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oven door 230 and withdrawal of the tray 240. The rail assembly 250 includes a fixed rail 251 and a moving rail 253.

상기 고정레일(251)은 상기 제2조리실(211)의 양측면에 전후방으로 길게 설치된다. 즉 상기 고정레일(251)이 상기 제2조리실(211)의 양측면에 해당하는 상기 사이드플레이트(214)의 서로 마주보는 내면에 각각 상기 조리실(211)의 전후방으로 길게 고정된다. The fixed rail 251 is installed long in the front and rear on both sides of the second cooking chamber 211. That is, the fixing rail 251 is fixed to the front and rear of the cooking chamber 211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plate 214 corresponding to both sides of the second cooking chamber 211, respectively.

상기 이동레일(253)은, 상기 제2조리실(211)의 전후방으로 길게 설치되어 상 기 고정레일(251)을 따라서 상기 고정레일(251)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이동레일(253)은 상기 고정레일(251)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는, 사용조건에 따라서 상기 이동레일(253)을 상기 고정레일(251)을 따라서 슬라이딩시키거나 상기 고정레일(251)로부터 완전하게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이동레일(253)의 전단은 상기 오븐도어(230)의 이면 양측단부에 각각 고정된다. The movable rail 253 is installed long in the front and rear of the second cooking chamber 211 is slidably installed along the fixed rail 25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ed rail 251. The movable rail 253 is detachably installed on the fixed rail 251. This is to allow the movable rail 253 to slide along the fixed rail 251 or to be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fixed rail 251 according to a use condition. And the front end of the moving rail 253 is fixed to both side ends of the rear surface of the oven door 230, respectively.

한편 상기 이동레일(253)의 서로 마주보는 내면에는 상기 지지리브(255)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지지리브(255)는 후술할 트레이지지부재(260)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지지리브(255)는 상기 이동레일(253)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이동레일(253)의 내면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On the other hand, the support ribs 255 are provided on inner surfaces of the movable rails 253 facing each other. The support rib 255 is for supporting the tray support member 26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support rib 255 is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vable rail 253 and extends in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ovable rail 253.

그리고 상기 지지리브(255)에는 고정홀(256)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홀(256)은 트레이지지부재(260)를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고정홀(256)은 상기 지지리브(255)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다.A fixing hole 256 is formed in the support rib 255. The fixing hole 256 is for fixing the tray support member 260. The fixing hole 256 is formed by cutting a portion of the support rib 255.

또한 상기 지지리브(255)에는 트레이지지부재(260)가 결합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트레이지지부재(260)의 저면 양측단부가 상기 지지리브(255)의 상면에 지지될 것이다. 상기 트레이지지부재(260)는 대략 상기 제2조리실(211)의 횡단면에 대응하는 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트레이지지부재(260)의 상면에는 상기 트레이트레이(240)가 안착된다. In addition, the tray support member 260 is coupled to the support rib 255. In more detail, both ends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tray support member 260 may be supported on the top surface of the support rib 255. The tray support member 260 is formed in a plate shape corresponding to a cross section of the second cooking chamber 211. The tray tray 240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ray support member 260.

상기 트레이지지부재(260)의 저면 양측단부에는 고정부(261)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고정부(261)는, 상기 지지리브(255)에 안착된 상기 트레이지지부재(260) 가 상기 지지리브(255)에 대하여 임의로 유동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홀(256)에 삽입되는 곳이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지지부재(260)의 전후단부에는 지지부(269)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부(269)는 상기 트레이지지부재(260)의 상면에 안착된 상기 트레이(240)가 상기 트레이지지부재(260)에 대하여 임의로 유동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지지부(269)에는 상기 트레이(240)의 전후단부가 각각 밀착될 것이다.Fixing parts 261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bottom of the tray support member 260, respectively. The fixing part 261 is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256 in order to prevent the tray supporting member 260 mounted on the supporting rib 255 from being arbitrarily flowed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rib 255. This is where it becomes. In addition, support portions 269 are provided at front and rear ends of the tray support member 260. The support part 269 is to prevent the tray 240, which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ray support member 260, from flowing arbitrarily with respect to the tray support member 260.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tray 240 will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support 269.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트레이지지부재(260)가 다수개의 와이어에 의하여 그릴형상으로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트레이지지부재(260)가 장방형의 프레임와이어(261) 및 상기 프레임와이어(261)의 전후단부에 그 양단부가 각각 고정되는 다수개의 이너와이어(263)를 포함한다. 따라서 후술할 오븐히터(270)의 동작에 의한 히터열이, 상기 트레이지지부재(260)에 의하여 간섭받지 않고, 즉 상기 트레이지지부재(260)를 형성하는 상기 프레임와이어(261) 및 이너와이어(263)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상기 트레이(240), 즉 상기 트레이(240)에 안착된 음식물로 전달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tray support member 260 is formed in a grill shape by a plurality of wires. In more detail, the tray support member 260 includes a rectangular frame wire 261 and a plurality of inner wires 263 having both ends fixed to front and rear ends of the frame wire 261. Therefore, the heater wire by the operation of the oven heater 270 to be described later is not interfered by the tray support member 260, that is, the frame wire 261 and the inner wire forming the tray support member 260 ( Through the gap between the 263 is delivered to the tray 240, that is, the food seated on the tray 240.

또한 상기 고정부(261)는, 상기 프레임와이어(261)의 중앙부 일부가 하방으로 밴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너와이어(263)가 전체적으로 상방을 향하여 개구되는 ㄷ자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양단부가 상기 프레임와이어(261)의 전후단부에 각각 고정됨으로써, 실질적으로 상기 프레임와이어(261)의 전후단부가 상기 지지부(269)를 형성하게 될 것이다. In addition, the fixing portion 261 may be formed by bending a portion of the center portion of the frame wire 261 downward. In addition, the inner wire 263 is formed in a U-shape which is generally opened upward, and both ends thereof are respectively fixed to front and rear ends of the frame wire 261, so that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frame wire 261 are substantially Support 269 will be formed.

그리고 상기 오븐(200)에는 오븐히터(270)가 구비된다. 상기 오븐히터(270) 는 상기 바텀플레이트(218)의 상면에 인접하는 상기 제2조리실(211)의 하부에 위치된다. 상기 오븐히터(270)는, 상기 트레이(240)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2조리실(211)의 내부에 위치되는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열을 발생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오븐히터(270)로 전체적으로 사형을 이루도록 다수회 밴딩되는 시즈히터가 사용된다. 그러나 상기 오븐히터(270)의 종류 및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oven 200 is provided with an oven heater 270. The oven heater 270 is positioned below the second cooking chamber 211 adjacent to the top surface of the bottom plate 218. The oven heater 270 generates a heater heat for heating food placed in the second cooking chamber 211 in a state seated on the tray 240. In this embodiment, a sheath heater which is bent a plurality of times so as to form an overall shape by using the oven heater 270 is used. However, the type and shape of the oven heater 270 is not limited thereto.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오븐(200)의 저면에는 4개의 레그(280)(290)가 구비된다. 상기 레그(280)(290)는 상기 조리기기가 설치되는 바닥면에 안착되어 상기 조리기기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레그(280)(290) 중 상대적으로 상기 조리기기의 저면, 즉 상기 오븐(200)의 저면 전단부 양측 모서리에 구비되는 것을 전도방지레그(280), 상기 오븐(200)의 저면 후단부 양측 모서리에 구비되는 것을 지지레그(290)라 칭한다.3 and 4, four legs 280 and 290 are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oven 200. The legs 280 and 290 are seated on the bottom surface on which the cooker is installed to support the cooker. The legs 280 and 290 are provided at both bottom edges of the cooking appliance, that is, at both side edges of the front end of the bottom of the oven 200, and fall prevention legs 280 and both ends of the bottom end of the bottom of the oven 200. The one provided at the edge is referred to as the support leg 290.

상기 전도방지레그(280)는 실질적으로 상기 프론트패널(220)에 일체로 성형된다. 예를 들면, 상기 프론트패널(220)을 사출성형하는 과정에서, 상기 전도방지레그(280)가 상기 프론트패널(220)과 일체로 성형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전도방지레그(280)는 상기 프론트패널(220)의 저면 양측 모서리에서 후방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전도방지레그(280)의 전단부는 적어도 상기 바텀플레이트(219)의 전단부에 비하여 전방에 위치된다. 즉 상기 전도방지레그(280)는 실질적으로 상기 조리기기의 저면 전단부에 최대한 인접되게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도방지레그(280)의 후단부는 상기 바텀플레이트(219)의 저면 전단부 양측 모서리에 인접되 게 위치된다. The fall prevention leg 280 is substantially formed integrally with the front panel 220. For example, in the process of injection molding the front panel 220, the fall prevention leg 280 may be molded integrally with the front panel 220. The fall prevention leg 280 extends rearward from both side edges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front panel 220. Accordingly, the front end of the fall prevention leg 280 is located at least in front of the front end of the bottom plate 219. That is, the fall prevention leg 280 may be substantially positioned as close as possible to the front end of the bottom of the cooking appliance. In addition, the rear end of the fall prevention leg 280 is positioned adjacent to both edges of the front end of the bottom plate 219.

상기 지지레그(290)는 상기 바텀플레이트(219)의 후단부 양측 모서리에 설치된다. 상기 지지레그(290)는, 예를 들면, 상기 조리기기가 설치되는 바닥면과 소정의 마찰력을 기대할 수 있는 고무재질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지지레그(290)는 상기 바텀플레이트(219)와 별개로 제작되어 상기 바텀플레이트(219)의 저면 후단부 양측 모서리에 별도의 체결구나 접착제 등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The support leg 290 is installed at both edges of the rear end of the bottom plate 219. The support leg 290, for example, may be molded of a rubber material that can expect a predetermined friction force with the bottom surface on which the cooking appliance is installed. The support leg 290 may be manufactured separately from the bottom plate 219, and may be fixed to a side of the bottom end of the bottom plate 219 by separate fasteners or adhesives.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아웃케이스(300)는 상기 전자레인지(100)의 상면과 양측면 및 상기 오븐(200)의 양측면을 형성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아웃케이스(300)는, 상기 전자레인지(100)의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탑플레이트(310) 및 상기 전자레인지(100) 및 오븐(200)의 양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2개의 레터럴플레이트(32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레터럴플레이트(320)의 상하높이는, 상기 전자레인지(100)의 길이 및 상기 오븐(200)의 상하높이를 합에 대응하는 값으로 결정된다.Referring back to FIG. 1, the outer case 300 forms an upper surface and both sides of the microwave oven 100 and both sides of the oven 200. In more detail, the outer case 300 includes two top plates 310 forming the top appearance of the microwave oven 100 and two sides appearance of the microwave oven 100 and the oven 200. A lateral plate 320 is included. In this case, the vertical height of the lateral plate 320 is determined as a value corresponding to the sum of the length of the microwave oven 100 and the vertical height of the oven 200.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1실시예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1실시예에서의 공기의 유동을 보인 종단면도이다.5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flow of air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조리기기를 사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해서는, 먼저 제1 또는 제2조리실(111)(211)의 내부에 음식물을 안착시키고, 전자레인지 도어 또는 오븐도어(230)를 닫아서 제1 또는 제2조리실(111)(211)을 차폐한다. 그리고 컨트롤부(미도시)를 조작하면, 전자레인지의 가열원 또는 오븐의 가열원인 오븐히터(270)가 동작되어 상기 제1 또는 제2조리실(111)(211)의 내부에 안착된 음식물이 가열되어 조리된다. In order to cook food using a cooking apparatus, food is first placed in the first or second cooking chambers 111 and 211, and the first or second cooking chamber is closed by closing the microwave door or the oven door 230. 111) to shield 211. When the control unit (not shown) is operated, the oven heater 270, which is a heating source of the microwave oven or a heating source of the oven, is operated to heat food placed in the first or second cooking chamber 111, 211. It is cooked.

한편 상기 전자레인지의 동작, 즉 상기 전자레인지의 가열원의 동작여부와 무관하게 상기 오븐히터(270)가 동작되면, 냉각팬이 구동된다. 상기 냉각팬이 구동되면, 제1캐비티(110)의 흡입구(115)를 실내의 공기가 상기 제1캐비티(110)의 내부,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전장실(113)의 내부로 흡입된다. Meanwhile, the cooling fan is driven when the oven heater 270 is operated regardless of the operation of the microwave oven, that is, whether the heating source of the microwave oven is operated. When the cooling fan is driven, the air in the room is sucked into the suction port 115 of the first cavity 110 into the interior of the first cavity 110, more specifically, into the electric compartment 113.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냉각팬이 계속하여 구동하면, 상기 전장실(113)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베이스플레이트(120)의 연통공(121) 및 프론트플레이트(217)의 연통공(217B)을 통하여 프론트패널(220)의 내부로 유동된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패널(220)의 내부로 유동된 공기가 프론트패널(220)의 배출공(220B)을 통하여 배출되면서, 오븐도어(230)를 냉각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오븐도어(230)가 열변형되거나 사용자가 상기 제2조리실(211)을 개폐하기 위하여 상기 오븐도어(230)를 파지하는 과정에서 부상을 입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Next, referring to FIG. 5, when the cooling fan continues to drive, the air sucked into the interior of the electric compartment 113 communicates with the communication hole 121 of the base plate 120 and the front plate 217. It flows into the inside of the front panel 220 through the ball 217B. In addition, the air flowing into the front panel 220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hole 220B of the front panel 220, thereby cooling the oven door 230. Therefore, the oven door 230 may be thermally deformed or a user may be injured while holding the oven door 230 to open and close the second cooking chamber 211.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2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second embodiment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2실시예의 요부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구성요소 중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5의 도면부호를 원용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6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main parts of a second embodiment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mo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embodiment, reference numerals of FIGS. 1 to 5 are used,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프론트패널(220)의 배출공(220C)이 프론트패널(220)의 입출개구(220A)의 일측면에 대응하는 프론트패널(220)의 내측 테두 리 일측면에 각각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론트패널(220)의 배출공(220C)이, 프론트플레이트(217)의 연통공(217B)에 인접하는 상기 프론트패널(220)의 내측 테두리 일측면에 구비된다. 따라서 오븐도어(230)의 상하면이 상기 프론트패널(220)의 배출공(220C)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에 의하여 냉각될 수 있게 된다.Referring to FIG. 6,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outlet hole 220C of the front panel 220 is an inner edge of the front panel 220 corresponding to one side of the entry and exit opening 220A of the front panel 220. It is provided on each side. Preferably, the discharge hole 220C of the front panel 22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inner edge of the front panel 220 adjacent to the communication hole 217B of the front plate 217. Therefore,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oven door 230 may be cooled by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hole 220C of the front panel 220.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프론트플레이트(217)의 루버(217C)는 삭제된다. 이는 상기 프론트플레이트(217)의 연통공(217B)을 통하여 상기 프론트패널(220)의 내부로 유동되는 공기가 상기 프론트플레이트(217)의 연통공(217B)에 수평방향로 인접하는 상기 프론트패널(220)의 배출공(220C)을 통하여 배출되기 때문이다. 물론 상기 프론트플레이트(217)의 연통공(217B)을 통하여 상기 프론트패널(220)의 내부로 유동되는 공기를 수평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루버가 구비되어도 무방하다.However, in this embodiment, the louver 217C of the front plate 217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deleted. This means that the air flowing into the front panel 220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217B of the front plate 217 is horizontally adjacent to the front panel (217B) of the communication hole 217B of the front plate 217. This is because it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hole 220C of 220. Of course, a louver may be provided for guiding the air flowing into the front panel 22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217B of the front plate 217.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Within the scope of the basic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as many other modifications ar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ased on the appended claims. .

상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프론트패널의 배출공이 상기 프론트패널의 입출개구의 상면 또는 일측면에 대응하는 상기 프론트패널의 내측 테두리 상면 또는 일측면에 구비되지만, 상기 프론트패널의 배출공의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프론트패널의 배출공은, 상기 프론트패널의 내측 테두리 상하면 또는 상하면 및 일측면 등 다양하게 위치될 수 있다.In the above embodiments, the discharge hole of the front panel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r one side of the inner edge of the front panel corresponding to the top surface or one side of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front panel, the position of the discharge hole of the front panel It is not limited to this. For example, the discharge hole of the front panel may be located in various ways, such as the upper and lower or upper and lower sides and one side of the inner edge of the front panel.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expected.

먼저 본 발명에서는, 전자레인지와 오븐이 스크류에 의하여 간단하게 결합되고, 하나의 아웃케이스가 양자의 외관을 형성한다. 따라서 하나의 전자레인지의 캐비티를 일반적인 전자레인지와 복합적인 조리기기에 모두 사용할 수 있게 된다.Firs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icrowave oven and the oven are simply coupled by a screw, and one outcase forms the appearance of both. Therefore, the cavity of one microwave oven can be used in both a conventional microwave oven and a complex cooking appliance.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자레인지와 오븐과 같은, 2개의 조리부에서 각각 서로 다른 종류의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보다 다양한 음식물을 보다 신속하게 조리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ok different kinds of food in each of two cooking units, such as a microwave oven and an oven. Therefore, more various foods can be cooked more quickly.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오븐의 오븐도어가 상기 전자레인지의 전장부품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팬에 의하여 형성되는 에어플로에 의하여 냉각된다. 따라서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상기 오븐도어를 냉각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ven door of the oven is cooled by an air flow formed by a cooling fan for cooling the electric parts of the microwave oven. Therefore, the oven door can be cooled in a simpler configuration.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1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구성하는 제2캐비티를 보인 분해사시도.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cavity constituting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구성하는 제2캐비티의 저면을 보인 저면사시도.Figure 3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ottom of the second cavity constituting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구성하는 제2캐비티의 요부를 보인 종단면도.Figure 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a second cavity constituting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1실시예에서의 공기의 유동을 보인 종단면도.Figure 5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flow of air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2실시예의 요부를 보인 종단면도.6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main parts of a second embodiment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7)

제1조리실이 구비되는 제1캐비티; A first cavity having a first cooking chamber; 상기 제1조리실에서의 조리물의 가열을 위한 열을 제공하는 제1가열원; A first heating source providing heat for heating the food in the first cooking chamber; 상기 제1캐비티에 결합되고, 제2조리실이 구비되는 제2캐비티; A second cavity coupled to the first cavity and having a second cooking chamber; 상기 제2조리실에서의 조리물의 가열을 위한 열을 제공하는 제2가열원; A second heating source providing heat for heating the food in the second cooking chamber; 상기 제2조리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 및 A door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second cooking compartment; And 상기 도어의 냉각을 위한 에어플로를 형성하는 냉각팬; 을 포함하는 조리기기.A cooling fan forming an air flow for cooling the door; Cooking apparatus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냉각팬에 의하여 형성되는 에어플로는 상기 제1가열원을 냉각시킨 상태에서 상기 도어를 냉각시키는 조리기기.The airflow formed by the cooling fan cools the door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heating source is cooled.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냉각팬에 의하여 형성되는 에어플로는 상기 제1조리실의 내부를 통과한 상태에서 상기 도어를 냉각시키는 조리기기.And an air flow formed by the cooling fan cools the door while passing through the interior of the first cooking chamber.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냉각팬에 의하여 형성되는 에어플로는, 상기 제2캐비티의 전면을 형성 하는 전면부재에 형성되는 배출공을 통하여 상기 도어를 향하여 배출되는 조리기기.The air flow formed by the cooling fan is discharged toward the door through the discharge hole formed in the front member forming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cavity.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및 제2캐비티는 상하로 적층되고, The first and second cavities are stacked up and down, 상기 냉각팬은 상기 제1가열원이 설치되는 상기 제1캐비티의 전장실에 설치되는 조리기기.The cooling fan is installed in the electrical equipment room of the first cavity in which the first heating source is installed.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도어는 상기 제2조리실을 서랍식으로 개폐하는 조리기기.The door is a cooking applianc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econd cooking compartment in the drawer type. 제1조리실이 구비되는 제1캐비티, 상기 제1조리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1도어, 상기 제1조리실에서의 조리물의 가열을 위한 제1가열원, 및 상기 제1가열원의 냉각을 위한 냉각팬을 포함하는 제1조리부; 및 A first cavity having a first cooking chamber, a first door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first cooking chamber, a first heating source for heating food in the first cooking chamber, and cooling for cooling the first heating source. A first cooking unit including a fan; And 상기 제1조리부에 결합되고, 제2조리실이 구비되는 제2캐비티, 상기 제2캐비티의 전면에 구비되는 프론트패널, 상기 제2조리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2도어, 및 상기 제2조리실에서의 조리물의 가열을 위한 제2가열원을 포함하는 제2조리부; 를 포함하고, A second cavity coupled to the first cooking unit and provided with a second cooking chamber, a front panel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cavity, a second door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second cooking chamber, and the second cooking chamber A second cooking unit including a second heating source for heating the food; Including, 상기 냉각팬에 의하여 형성되는 에어플로는, 상기 제1가열원을 냉각시킨 상태에서 상기 프론트패널의 내부를 유동하여 상기 제2도어를 냉각시키는 조리기기.The air flow formed by the cooling fan, the cooking apparatus for cooling the second door by flowing the inside of the front panel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heating source is cooled. 제 7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냉각팬에 의하여 형성되는 에어플로는, 상기 제1가열원을 냉각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조리실을 통과하여 상기 프론트패널의 내부로 유동되는 조리기기.The air flow formed by the cooling fan is passed through the first cooking chamber in the state of cooling the first heating source flows into the inside of the front panel. 제 7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냉각팬이 구동하면, 상기 제1캐비티의 후면에 형성되는 흡입구를 통하여 상기 제1캐비티의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는 조리기기.When the cooling fan is driven, the air is sucked into the interior of the first cavity through the suction port formed in the rear of the first cavity. 제 9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냉각팬이 구동하면, 상기 제1캐비티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가 상기 제1캐비티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연통공을 통하여 상기 제2캐비티의 내부로 유동되는 조리기기.When the cooling fan is driven, the air sucked into the interior of the first cavity flows into the interior of the second cavity through a communication hole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cavity. 제 10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냉각팬이 구동하면, 상기 제2캐비티의 내부로 유동된 공기가 상기 제2캐비티의 전면에 형성되는 연통공을 통하여 상기 컨트롤패널의 내부로 유동되는 조리기기.When the cooling fan is driven, the air flows into the second cavity flows into the control panel through a communication hole formed in the front of the second cavity. 제 7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제2도어는, 상기 프론트패널에 형성되는 입출개구를 통하여 상기 제2조리실을 서랍식으로 개폐하는 조리기기.The second door is a cooking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econd cooking chamber drawer-type through the entry and exit opening formed in the front panel. 제 12 항에 있어서, 13. 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제2도어는, 상기 입출개구의 테두리에 해당하는 상기 프론트패널의 내측 테두리 상하면과 양측면 중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는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에어플로에 의하여 냉각되는 조리기기.The second door is cooled by the air flow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upper and lower and inner side of the inner edge of the front panel corresponding to the edge of the entrance and exit opening. 제 7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제1가열원은, 상기 제1조리실의 내부로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는 고주파가열원이고, The first heating source is a high frequency heating source for irradiating microwaves into the interior of the first cooking chamber, 상기 제2가열원은, 상기 제2조리실의 내부로 히터열을 전달하는 히터인 조리기기.The second heating source is a cooking device which is a heater for transmitting the heater heat to the interior of the second cooking chamber. 제 7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제1 및 제2조리부는 상하로 적층되는 조리기기. The first and second cooking units are stacked up and down. 제 15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5, 적어도 상기 제1 및 제2조리부의 양측면 외관은 동일한 부재에 의하여 형성되는 조리기기.At least both side appearances of the first and second cooking units are formed by the same member. 제 15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제1 및 제2조리부의 양측면 외관 및 상기 제1조리부의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The cooking appliance further comprises an outer case forming both the outer appearance of the first and second cooking portion and the outer appearanc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oking portion.
KR1020090002795A 2009-01-13 2009-01-13 Cooker KR10154574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2795A KR101545745B1 (en) 2009-01-13 2009-01-13 Cook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2795A KR101545745B1 (en) 2009-01-13 2009-01-13 Cook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3431A true KR20100083431A (en) 2010-07-22
KR101545745B1 KR101545745B1 (en) 2015-08-19

Family

ID=42643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2795A KR101545745B1 (en) 2009-01-13 2009-01-13 Cook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5745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5745B1 (en) 2015-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0879B1 (en) A vent grill
KR102656201B1 (en) Cooking Appliance
US9115903B2 (en) Oven door
EP3309463B1 (en) Oven
KR20140012476A (en) Oven
EP3853529B1 (en) Oven
KR20180028691A (en) Cooking Appliance
KR101276498B1 (en) Drawer unit and electric oven comprising the same
KR101537407B1 (en) A cooker
US10371392B2 (en) Cooking appliance
CN110214469B (en) Apparatus and system for solid state oven electronics cooling
EP2235445B1 (en) A microwave oven
EP1649220B1 (en) Air flow system in an oven
KR20080021937A (en) Cooking device
KR100986480B1 (en) A cooker
KR101445873B1 (en) A cooker
KR101545745B1 (en) Cooker
KR20070059394A (en) Electric oven
KR20090099946A (en) A cooker
KR101411156B1 (en) A cooker
KR101460357B1 (en) A cooker
KR101645038B1 (en) A built-in type cooker
KR20190037993A (en) Cooking apparatus
KR20090050479A (en) A cooker
KR20090050483A (en) A coo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