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3387A - 지하 매설관 보수용 황토 모르타르 조성물 - Google Patents

지하 매설관 보수용 황토 모르타르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3387A
KR20100083387A KR1020090002735A KR20090002735A KR20100083387A KR 20100083387 A KR20100083387 A KR 20100083387A KR 1020090002735 A KR1020090002735 A KR 1020090002735A KR 20090002735 A KR20090002735 A KR 20090002735A KR 20100083387 A KR20100083387 A KR 201000833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mposition
mortar composition
buried pipe
oc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2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관태
Original Assignee
김관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관태 filed Critical 김관태
Priority to KR10200900027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83387A/ko
Publication of KR201000833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3387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10Clay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06Quartz; Sand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20Mica; Vermiculit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4Waste materials; Refuse from metallurgical processes
    • C04B18/141Slag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accelerators, shrinkage compensating agents
    • C04B22/08Acids or salts thereof
    • C04B22/14Acids or salts thereof containing sulfur in the anion, e.g. sulfides
    • C04B22/142Sulfates
    • C04B22/143Calcium-sulf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C04B28/04Portland c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30Water reducers, plasticisers, air-entrainers, flow improvers
    • C04B2103/302Water reduc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70Grouts, e.g. injection mixtures for cables for prestressed concrete

Abstract

본 발명은 황토 15-45 중량%, 운모 8-15 중량%, 규사 10-25 중량%, 고화제 12-20 중량%, 감수제 1-4 중량%, 고강도 및 초속경 혼합재 9-11 중량%, 및 첨가제 9-13 중량%를 포함하는 지하 매설관 보수용 황토 모르타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항균 작용 및 탈취작용 등이 우수하고 압축강도, 부착강도, 휨강도 및 내약품성 등의 물성이 증가되어 미장 시공 또는 뿜어 칠하는 시공(뿜칠 시공) 등으로 지하 매설관(특히, 상하수관)의 보수, 갱생 및 일반 구조물 보수용으로도 적용할 수 있다.
매설관, 상하수관, 황토, 모르타르, 뿜어 칠함

Description

지하 매설관 보수용 황토 모르타르 조성물{An Loess Mortar Composition for Repairing an Underground pipe}
본 발명은 상하수관을 포함하는 지하 매설관 보수용 황토 모르타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수관로는 매설 후 시간이 지날수록 관 내외 압력 변동으로 인하여 관내 도복장이 탈리되고, 그로 인하여 부식이 진행되어 관내에 스케일이 침적되면서 관로의 수명을 단축시킬 뿐 아니라 핀홀(pinhole)에 의한 누수 발생 및 두꺼운 물때 층을 이루는 슬라임(slime)등으로 인하여 관 통수능력 저하 및 수질 저하를 야기시키게 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하수관을 설치하여 장기간 사용하면 낡고 오래된 하수관로 내부가 심하게 열화되어 균열이나 부분 박리가 발생하는 등의 결함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하수관로를 흐르는 폐수가 유출되어 주변의 지하수로 유입되거나 상수관로로 유입되는 등의 환경문제가 대두된다.
그리하여 종래 상하수도관의 보수를 위해 관 내부에 균열이나 부분박리가 발생한 부위에 주로 에폭시나 각종수지 재료를 이용하여 보수를 행하고 있다.
상기 에폭시나 각종수지 보수 재료와 같은 유기계 보수 재료는 압축강도가 100-600 Kg/㎠ 및 휨강도가 200-400 g/㎠ 정도로 높고 경화가 빠르며 단시간에 강도(2시간에 경화, 재령3일에 표준강도 50-70%, 재령7일에 표준강도)를 얻을 수 있고, 접착력이 우수하여 내마모성과 내압축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유기계 보수 재료들은 시멘트 모르타르에 비하여 대형장비를 사용하여야 하며 80-100℃ 이상에서는 사용할 수 없을 정도로 내열성이 약하여 품질 관리가 까다롭기 때문에 시공성이 나쁘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하수관로는 주로 콘크리트로 제작된 프리캐스트흄관으로 이루어지므로 유기계의 보수 재료를 사용하면 하수관로와 보수재료사이의 서로 다른 물성 차이에 의해 접착계면사이에서의 거동차이 등으로 계면균열이 발생하거나 보수재료가 탈락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되어, 지상의 교통수단 등으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 하중으로 인한 간접 피로하중을 받는 하수관에 있어서는 그 내부의 접착면에서 그 문제점이 더욱 많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시멘트 모르타르에 의한 미장이나 보수는 콘크리트에서 나오는 독성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항균 작용 및 탈취작용 등이 우수하고 압축강도, 부착강도, 휨강도 및 내약품성 등의 물성이 증가되어 미장 시공 또는 뿜어 칠하는 시공(뿜칠 시공)등으로 지하 매설관(특히, 상하수관)의 보수, 갱생 및 일반 구조물 보수용으로도 적용할 수 있는 지하 매설관 보수용 황토 모르타르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황토 15-45 중량%, 운모 8-15 중량%, 규사 10-25 중량%, 고화제 12-20 중량%, 감수제 1-4 중량%, 고강도 및 초속경 혼합재 9-11 중량%, 및 첨가제 9-13 중량%를 포함하는 지하 매설관 보수용 황토 모르타르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하수관을 포함하는 지하 매설관 보수용 황토 모르타르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노력하였다. 그 결과, 황토, 운모, 규사 및 고화제를 지하 매설관의 특성에 따라 특정 배합비로 황토 모르타르 조성물을 제조하면, 조성물의 강도, 내약품성 및 항균성 등이 증가되어 지하 매설관 보수에 이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지하 매설관 보수용 황토 모르타르 조성물이 상수관의 보수에 이용되는 경우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황토 30-45 중량%, 운모 8-12 중량%, 규사 10-20 중량%, 고화제 12-16 중량%, 감수제 3-4 중량%, 고강도 및 초속경 혼합재 9-11 중량%, 및 첨가제 11-13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지하 매설관 보수용 황토 모르타르 조성물이 하수관의 보수에 이용되는 경우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황토 18-29 중량%, 운모 13-15 중량%, 규사 20-25 중량%, 고화제 17-20 중량%, 감수제 1-2 중량%, 고강도 및 초속경 혼합재 9-10 중량%, 및 첨가제 9-1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지하 매설관 보수용 황토 모르타르 조성물에 포함되는 황토는 친환경 소재로서 상하수관 내 상하수의 항균작용, 제독작용, 탈취기능 및 원적외선 음이온 방출 등으로 인한 바이오 기능을 가지고, 상수도에서 사용하는 염소성분의 저감, 방충 및 이끼류 등을 제거함으로써 오염된 수질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는 보수용 친환경 소재이다.
황토는 주로 가는 모래로 되어 있으며 다량의 탄산칼슘을 가지고 있다. 이 탄산칼슘에 의해 쉽게 부서지지 않는 점력을 지니고 물을 가하면 찰흙으로 변한다. 황토의 성분에는 석영, 장석, 운모 및 방해석 등이 있어서 이들 물질이 철분과 함께 산화작용을 받아 여러 가지 색깔을 띠게 된다. 황토의 분해력, 자정력, 생명성 및 많이 알려진 약용성 그리고 황토에서 내 뿜는 원적외선 등으로 황토를 원료로 한 원적외선 세라믹스 건축, 항균, 방충, 공기정화 및 탈취 등의 다양한 친환경 적인 성질을 갖고 있다.
또한, 다양한 약성요소가 포함되어 제독작용, 항균작용 및 탈취작용 등으로 특히, 상하수관로용 뿜어 칠하는 시공(뿜칠 시공)용 모르타르 원료로 사용함에 있어, 상기 황토의 성질 및 약성요소들은 관로를 갱생하고 관로상의 상하수를 정화하는데 친환경적인 필수 요소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황토 함량이 15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황토의 성질 및 약성 요소의 효과가 미약하여 상하수 정화력이 미약한 문제점이 있고, 45 중량% 초과한 경우에는 조성물에 포함되는 다른 성분의 함량이 감소하여 조성물 전체의 효과가 감소하는 단점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조성물이 상수관로 보수에 이용되는 경우에는 황토의 함량이 30-45 중량%이고 하수관로 보수에 이용되는 경우에는 황토의 함량이 18-29 중량%이다. 이는 상하수의 특성을 고려하여 다른 성분 특히 고화제에 포함되는 내황산염 시멘트의 함량을 고려하여 황토의 함량을 채택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황토 모르타르 조성물에 포함되는 운모는 게르마늄으로 이루어져 산소공급 작용, 면역력강화, 인터페론생성, 엔돌핀 생성촉진 작용, 통증제거작용 또는 산성체질을 알카리화하는 등 많은 유용한 작용들을 이용하여 찜질방 등에서 활용되고 사용되고 있는 물질이며, 특히 해독성이 강하여 황토와 함께 상호 상승작용으로 해독작용이 증진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다.
황토와 해독작용에 있어 상승효과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운모는 8-15 중량% 포함되고,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조성물이 상수관의 보수에 이용되는 경우에는 운모의 함량이 8-12 중량%이고 하수관의 보수에 이용되는 경우에는 운모의 함량이 13-15 중량%이다.
또한, 본 발명의 황토 모르타르 조성물에 포함되는 규사(Si02)는 가격이 저렴하고 단단하며 불활성, 탄력성 및 패각상 깨짐면 등의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둥근모양의 입자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구현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규사는 천연규사 또는 인조규사를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천연규사는 석영을 함유하고 있는 암석이 풍화되어 형성된 것으로 모암이 풍화되어 점토분이 물에 씻기어 없어져 석영립만 잔류한 잔류규사(산규사)와 석영립이 하천수에 휩쓸려 비중의 차이로 퇴적되어 형성된 퇴적규사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고화제는 고화제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내황산염 시멘트 30-55 중량%, 고로슬래그 35-50 중량% 및 자연 석고 10-3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내황산염 시멘트(V종)는 KS L 5201의 5종(내황산염) 포틀렌드시멘트의 규격을 만족하는 제품으로서 알루미나 화합물의 함량이 낮기 때문에 내 황산염에 대한 저항성이 매우 우수하며 알카리 함량이 낮고 수화열이 낮아 해수, 폐수 등 산성용 액에 의한 침해반응이 일어날 우려가 있는 원자력, 화력발전소, 해안구조물, 화학약품 생산공장 또는 폐수처리장 등의 공사에 폭넓게 사용되고 있는 시멘트이다.
또한, 초기강도는 보통시멘트에 비하여 약간 떨어지나 90일 이후의 장기 재령에서의 강도는 보통시멘트와 비슷하다.
내황산염 시멘트 함량이 30-55 중량%인 경우에 황산염에 대한 저항성 및 장기 강도의 측면에서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조성물이 상수관의 보수에 이용되는 경우에는 독성 등의 안전성을 위해 하수관로 보수에 이용되는 경우보다 저함량으로 30-40 중량%를 포함될 수 있고, 하수관의 보수에 이용되는 경우에는 45-55 중량%로 포함된다.
또한, 고화제로 이용되는 고로슬래그는 철강제조 공정에서 철의 원료인 철광석 등으로부터 철을 분리하고 남은 암석 성분으로 시멘트나 건설토목용 재료로 활용되는 친환경적인 재료이다. 고로슬래그는 철광석 코크스 석회석 등을 고로(용광로)에서 용해된 슬래그를 냉각한 것으로 암반암석과 같으며 시멘트와 유사하다. 고로슬래그는 자체적으로는 반응성이 없지만 시멘트와 혼합하면, 시멘트 수화시 발생하는 수산화칼슘과 슬래그 중의 SiO2 및 Al3O3와 반응하여 수화생성물을 생성함으로써 강도를 발현하게 된다.
따라서, 시멘트가 수화된 후 그 수화물과 슬래그가 재차 반응하여 강도를 발현하게 됨으로써 보통시멘트에 비하여 경화속도가 매우 느리고 초기강도가 낮은 단 점이 있으나, 수화발열량이 적고 재령 6개월 이상의 장기강도는 높은 시멘트이다.
고로슬래그 함량이 35-50 중량%인 경우에 장기 강도의 측면에서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조성물이 상수관의 보수에 이용되는 경우에는 고로슬래그는 고화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40-50 중량%를 포함될 수 있고, 하수관의 보수에 이용되는 경우에는 35-40 중량%로 포함된다.
또한, 고화제로 이용되는 자연석고는 천연무수 석고(CaSO4)로서 수화 촉진제로 크렉방지용으로 사용한다. 석고는 백색으로 분자량 136.14 및 물 18.5℃에서 용해도 0.209 값을 가진다. 자연석고는 10-30 중량%로 포함되어 본 발명의 조성물의 강도를 증가시키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수관의 보수에 이용되는 경우에는 자연석고는 고화제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27 중량%를 포함될 수 있고, 하수관의 보수에 이용되는 경우에는 10-1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감수제(減水濟)는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감수제를 포함하나, 바람직하게는 고성능의 감수제, 고성능의 AE 감수제 또는 유도제를 사용할 수 있다.
감수제는 일반적으로 나프탈렌형, 멜라민형, 폴리카르복실산형 및 아미노 술폰산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나프탈렌형으로 Mighty 2000 WH(Kao Coropration 제), Denka FT-500 또는 Denka FT-80(제품명, Denki Kagaku Kogyo K.K 제조)를 들 수 있고, 멜라민형으로 Mermento F-10(제품명, Showa Denko K. K. 제 조) 또는 Sicament 1000H (제품명, Nippon Sica K. K. 제조)를 들 수 있고, 폴리카르복실산형으로 Darlex super 100PHX 또는 Darlex super 200(제품명, Denka Grace K. K. 제조), 또는 Reobuild SP-8HS(제품명, NMB K. K. 제조)를 들 수 있으며, 아미노술폰산형으로서 Paric FP-100U(제품명, Fujisawa Pharmceu ical Co., Ltd, 제조)를 들 수 있다.
또한, 유사한 감수제는 다른 회사 (Nippon Zeon K. K., KobeZairyo K.K., Nippon paper Mills co., Ltd.,Takemoto Yushi K.K., Fukui Chemical Industries Co., Ltd. 및 Dai-ichi Kogyo Seiyaku K. K.)에서 상업적으로 구입하여 이용 가능하다.
또한, 고강도 및 초속경용 혼화재는 초속경성(3시간만에 보통시멘트의 7일강도 실현)으로 저온에서도 우수한 강도를 발현하여 도로, 교량 또는 활주로 등 긴급보수공사나 한중콘크리트공사 주조물 재료용 공장 바닥 또는 기계 기초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하수관의 특성과 목적에 부합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고강도 및 초속경용 혼화제는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9-11 중량%로 포함됨으로써, 휨강도 특성을 개선하고 부착강도를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첨가제는 팽창재, 콘크리트 섬유 보강재, 방수제, 증점제, 수중불분리성 혼화제 및 소포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최소 1 종 이상 선택될 수 있다.
첨가제로 팽창재는 본 발명의 지하 매설관 보수용 황토 모르타르 조성물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하여 초기 팽창력을 활성화한 CSA(Calcium Sulfur Aluminate)계 팽창메카니즘을 이용하고 화학적 팽창력을 도입하여 본 발명 조성물의 건조수축균열방지 및 수밀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무기질계 팽창재이며, 바람직하게는 (주)케미우스코리아에 상업적으로 구입한 DENKA #10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콘크리트 섬유 보강재는 콘크리트 1m3에 약 850만개 이상의 섬유를 불규칙하게 분포시켜서 콘크리트 조직 상호간의 결합력을 증대시킴으로서 균열방지는 물론 외부의 충격, 마모, 부식 및 동해 등의 열화요인에 대한 저항성을 증대시키는 PP화이버(Polypropylene Fiber), 콘크리트 보강섬유 중 목재 섬유를 이용한 셀룰로스 화이버(제품명, UltraFiber-500) 및 콘크리트와 모르타르 속에서 분산성능이 우수하며 보강성능이 뛰어나며, 동시에 시멘트 매트릭스와의 접착성이 높고 내알칼리성, 내구성 및 인장강도와 인장탄성 등의 특성이 뛰어난 폴리비닐알콜(PVA, Poly Vinyl Alcohol) 섬유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방수제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흡수성과 투수성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외부의 물이 상하수관을 포함하는 지하 매설관 내로 침투하지 못하게 하며 내화학성을 높일 수 있는 것으로서, 예컨대 염화칼슘, 규산소다, 유산염, 실리카질 미분말, 질코늄 화합물 등의 무기계, 지방산염, 아스팔트 에멀존, 파라핀 에멀존, 합성수지 에멀존, 고무 라텍스, 수용성 수지, 폴리머아크릴 수지, 스테아린산계 등의 유기질계의 방수제 중 그 어떤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 중에서 선택하여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바람직하게는 폴리머아크릴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증점제는 규사 또는 시멘트 등과 혼합되어 점성을 증가시켜 서로 뭉쳐지게하여 재료의 분리를 방지하고, 윤활성, 미장성, 응집성 부여에 의한 작업성을 개선할 수 있는 것이라면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증점제를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셀롤로오즈계, 아크릴계 및 전분계 증점제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지하 매설관 보수용 황토 모르타르 조성물은 상하수관로 내의 환경이 물과 접촉될 기회가 많으므로 수중불분리성 혼화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수중불분리성 혼화제로는 멜라민계 또는 폴리카르복시계 등에서 선택하여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첨가제로서 소포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소포제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황토, 운모, 규사 및 고화제 등을 혼합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기포를 억제하거나 제거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라면 당업계에 공지된 어떠한 종류의 소포제라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지하 매설관 보수용 황토 모르타르 조성물의 시공은 미장 시공 또는 뿜어 칠하는 시공(뿜칠 시공) 등으로 할 수 있으며, 특히 뿜어 칠하는 시공(뿜칠 시공)의 경우 본 발명자가 개발하여 출원한 특허출원 제2008-0031866호의 지하 매설관 내 자주식 전단면 굴착장치를 이용하여 지하 매설관 내부의 굳은 퇴적물, 모르타르, 돌출 가지관, 나무 뿌리 및 매설관 연결부의 어긋난 단차 부분 등의 지장물을 제거 한 다음, 본 발명자가 개발하여 출원한 특허출원 제2008-0031867호의 지하 매설관 내 자주식 전단면 보수장치 및 보수공법을 이용하여 상하수관을 포함하는 지하 매설관 내주면에 본 발명의 황토 모르타르 조성물을 높은 압력으로 일정한 두께로 분사하고, 분사된 본 발명의 황토 모르타르 조성물의 표면을 1,2차에 걸쳐서 매끄럽게 미장하며, 부착된 카메라를 통해 매설관의 내부상황을 확인하면서 단위당 모르타르 조성물의 분사량과 보수장치의 전진속도를 조절하여 매설관 내부의 모르타르 조성물의 두께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지하 매설관 보수용 황토 모르타르 조성물은 황토, 운모, 규사, 고화제, 감수제, 고강도 및 초속경 혼합재, 및 첨가제를 포함하여, 항균 작용 및 탈취작용 등이 우수하고 압축강도, 부착강도, 휨강도 및 내약품성 등의 물성이 증가되어 미장 시공 또는 뿜어 칠하는 시공(뿜칠 시공) 등으로 지하 매설관(특히, 상하수관)의 보수, 갱생 및 일반 구조물 보수용으로도 적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 지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내지 5
다음 표 1과 같은 성분 및 조성으로 상온(20℃±3℃)에서 5분간 혼합하여 지하 매설관 황토 모르타르 조성물을 제조하였고 실시예 1 및 2는 하수관 보수용 그리고 실시예 3 내지 5는 상수관 보수용 황토 모르타를 조성물로 제조하였다:
조성(중량%)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황토 20 25 30 35 40
운모 15 15 10 10 10
규사 25 20 20 15 10
고화제 내황산염 시멘트 10 10 5 5 6
고로슬래그 7 7 6 6 8
자연 석고 2 3 4 3 2
AE 감수제 1 2 3 4 3
고강도 및 초속경 혼합재
(Rapido-CSA 103, (주)케미우스코리아)
10 9 11 9 10
첨가제 10 9 11 13 11
합계 100 100 100 100 100
시험예 1
상기와 같이 제조한 실시예 1 내지 5에 대하여 압축강도, 부착강도, 휨강도, 길이변화율 및 중성화 저항성 등의 여러 항목에 걸쳐 시험하여 다음 표 2와 같이 정리하였다:
(1) 물성시험
압축강도, 부착강도, 휨강도, 길이변화율 및 중성화 저항성은 각각 KS F 4042에 규정에 맞추어 측정하고, 내약품성은 실시예 1 내지 5의 시료를 각각 5% H2SO4 및 10% Na2SO4 용액 속에 침지한 상태로 28일간 방치한 다음 압축강도를 측정하였다.
(2) 항균시험
또한, 항균시험은 실시예 1 내지 5의 시료를 대기 중에 방치한 상태에서 24시간 경과 후 각각 대장균과 녹농균의 감소율(%)을 측정하였다.
시험항목 품질기준
(KSF4042)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물성시험 압축강도
(kg/㎠)
재령 28일 204이상 443 520 432 425 405
부착강도
(kg/㎠)
재령 28일 10이상 25 32 27 24 22
휨강도
(kg/㎠)
재령 28일 61이상 66 74 67 62 64
길이변화율
(%)
재령 28일 ±0.15이내 0.12 0.05 0.08 0.09 0.1
중성화 저항성(mm) 재령 28일 2.0이하 1.2 1.0 1.4 1.3 1.7
내 약품성
(kg/㎠)
5%H2SO4 -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10%Na2SO4 -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항균시험(%) 대장균 91 94 92 93 90
녹농균 85 91 89 86 87
항곰팡이 시험 4주 후 발생없음 발생없음 발생없음 발생없음 발생없음
탈취율(%) 60분 후 85 93 84 87 85
상기 표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5의 지하 매설관 보수용 황토 모르타르 조성물은 KS F 4042에 의한 품질 기준을 만족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상기 실시예 1 내지 5의 지하 매설관 황토 모르타르 조성물은 일반 시멘트 모르타르 보다 높은 부착강도를 지니고 있고, 습윤 양생시에는 그 접착성이 월등히 좋게 나타나므로 상하수관 내부와 같이 일정량의 수분이 존재하는 환경에서도 부착강도가 더욱 좋아진다.
특히, 상수관 보다 하수관으로 통수되는 생활하수의 화학적 영향으로부터 종래 하수관 보수용 모르타르는 안정성에 문제가 있었지만 본 발명에 따른 지하 매설관 보수용 모르타르는 내산성과 내황산성의 시험조건인 5% H2SO4, 10% Na2SO4 용액속에 침지한 결과 아무런 이상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하수관으로 통수되는 일반 생활하수에 의한 화학적 요인으로부터 안전성 및 안정성을 확보함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5에 따른 본 발명의 지하 매설관 보수용 황토 모르타를 조성물은 압축 강도 및 휨강도 모두 KS F 4042 품질 기준을 만족하고 있으므로, 화학적 오염 물질로 인하여 열화된 지하 매설관의 강성을 높여주는 보수재료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감당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황토 모르타를 조성물은 무기질계 재료들을 포함하고 있어, 열팽창계수가 매우 작아 고온의 하수가 통과되는 경우에도 변형이 거의 발생하지 않아 매우 안전하며 비가연성으로 인한 화재에 대해서도 안전하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Claims (8)

  1. 황토 15-45 중량%, 운모 8-15 중량%, 규사 10-25 중량%, 고화제 12-20 중량%, 감수제 1-4 중량%, 고강도 및 초속경 혼합재 9-11 중량%, 및 첨가제 9-13 중량%를 포함하는 지하 매설관 보수용 황토 모르타르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황토 30-45 중량%, 운모 8-12 중량%, 규사 10-20 중량%, 고화제 12-16 중량%, 감수제 3-4 중량%, 고강도 및 초속경 혼합재 9-11 중량%, 및 첨가제 11-13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지하 매설관은 상수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매설관 보수용 황토 모르타르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황토 18-29 중량%, 운모 13-15 중량%, 규사 20-25 중량%, 고화제 17-20 중량%, 감수제 1-2 중량%, 고강도 및 초속경 혼합재 9-10 중량%, 및 첨가제 9-10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지하 매설관은 하수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매설관 보수용 황토 모르타르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규사는 천연규사 또는 인조규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매설관 보수용 황토 모르타르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화제는 고화제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내황산염 시멘트 30-55 중량%, 고로슬래그 35-50 중량% 및 자연 석고 10-30 중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매설관 보수용 황토 모르타르 조성물.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화제는 고화제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내황산염 시멘트 30-40 중량%, 고로슬래그 40-50 중량% 및 자연 석고 10-27 중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매설관 보수용 황토 모르타르 조성물.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화제는 고화제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내황산염 시멘트 45-55 중량%, 고로슬래그 35-40 중량% 및 자연 석고 10-15 중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매설관 보수용 황토 모르타르 조성물.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팽창재, 콘크리트 섬유 보강재, 방수제, 증점제, 수중불분리성 혼화제 및 소포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최소 1 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매설관 보수용 황토 모르타르 조성물.
KR1020090002735A 2009-01-13 2009-01-13 지하 매설관 보수용 황토 모르타르 조성물 KR201000833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2735A KR20100083387A (ko) 2009-01-13 2009-01-13 지하 매설관 보수용 황토 모르타르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2735A KR20100083387A (ko) 2009-01-13 2009-01-13 지하 매설관 보수용 황토 모르타르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3387A true KR20100083387A (ko) 2010-07-22

Family

ID=42643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2735A KR20100083387A (ko) 2009-01-13 2009-01-13 지하 매설관 보수용 황토 모르타르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8338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73711A (zh) * 2011-02-28 2011-09-07 武汉钢铁(集团)公司 一种高掺量矿渣自流平砂浆
KR101281986B1 (ko) * 2010-12-13 2013-07-03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친환경 황토 모르타르
KR101400483B1 (ko) * 2013-02-21 2014-06-19 안상표 블록 조성물
KR101466823B1 (ko) * 2014-07-03 2014-11-28 (주)노블씨엔티 흡수 제어형 모르타르용 혼화재와 이를 이용한 흡수 제어형 모르타르 조성물, 그리고 그 모르타르 조성물을 이용한 콘크리트 단면보수공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1986B1 (ko) * 2010-12-13 2013-07-03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친환경 황토 모르타르
CN102173711A (zh) * 2011-02-28 2011-09-07 武汉钢铁(集团)公司 一种高掺量矿渣自流平砂浆
KR101400483B1 (ko) * 2013-02-21 2014-06-19 안상표 블록 조성물
KR101466823B1 (ko) * 2014-07-03 2014-11-28 (주)노블씨엔티 흡수 제어형 모르타르용 혼화재와 이를 이용한 흡수 제어형 모르타르 조성물, 그리고 그 모르타르 조성물을 이용한 콘크리트 단면보수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2164B1 (ko) 구조물 보수·보강용 자기 치유성 친환경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의 보수·보강 방법
KR102148187B1 (ko) 고강도 및 고내구성을 갖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 보수ㆍ보강용 기능성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유지 보수ㆍ보강 시공방법
KR101691845B1 (ko) 코코스 섬유를 혼입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친환경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
KR101720037B1 (ko) 수중불분리 무수축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법
KR101446245B1 (ko) 내구성이 우수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칼라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
KR101825152B1 (ko) 내식성이 우수하고 기능성을 가지는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단면 보수 공법
KR101911316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용 환경친화형 칼라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
KR101959437B1 (ko) 친환경 단면 보수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단면보수공법
KR102274310B1 (ko) 장기 내구성 증진을 위한 친환경성 폴리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단면 보수 보강 공법
KR101743042B1 (ko) 경량 및 친환경 폴리머 시멘트 단면복구 모르타르 조성물
KR101311699B1 (ko) 내산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
KR101831709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경량 모르타르 보수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
KR101921929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기능성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 방법
KR100792015B1 (ko) 강도 및 내구성이 증진된 자기충전성 모르타르 조성물
KR101900248B1 (ko) 내환경성 개질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
KR101923493B1 (ko) 공기연행제를 이용한 콘크리트 단면 보수용 모르타르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단면 보수 및 보강 시공방법
KR101997905B1 (ko) 플루오르 조성물 모르타르와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단면보수 및 표면보호 시공방법
KR101999713B1 (ko) 폴리우레아 조성물 모르타르와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단면보수 및 표면보호 시공방법
KR102041976B1 (ko) 지오폴리머 및 유기 폴리머를 이용한 내산 및 구체 방수 특성을 향상시킨 콘크리트 보수 보강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173957B1 (ko) 내산 기능을 가진 미생물과 고황산염 시멘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용 수중 불분리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914474B1 (ko) 조기 강도 발현형 긴급 보수용 상온 속경성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 방법
KR101864293B1 (ko) 강도 및 내구성이 우수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용 유무기 복합 조성물, 이를 이용한 보강 섬유 메쉬의 제조방법 및 보강 섬유 메쉬와 보수보강용 시멘트 모르타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공법
KR102323780B1 (ko) 서냉 슬래그 분말을 활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용 친환경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 공법
KR102322804B1 (ko) 내구성, 내화학성 및 부착성 향상을 위한 친환경성 폴리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단면 보수 보강 공법
KR101598073B1 (ko) 재활용 소재를 이용한 친환경 경관석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