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3118A - 약물 담지 미립구의 제조방법 및 장치와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전립선 비대증 치료용 제제 - Google Patents

약물 담지 미립구의 제조방법 및 장치와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전립선 비대증 치료용 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3118A
KR20100083118A KR1020100063863A KR20100063863A KR20100083118A KR 20100083118 A KR20100083118 A KR 20100083118A KR 1020100063863 A KR1020100063863 A KR 1020100063863A KR 20100063863 A KR20100063863 A KR 20100063863A KR 20100083118 A KR20100083118 A KR 201000831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g
microspheres
poly
chamber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3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좌용호
안국환
이학종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63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83118A/ko
Publication of KR20100083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31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2Aerosols; Foams
    • A61K9/124Aerosols; Foams characterised by the propella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56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e.g. an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meric molecule
    • A61K47/59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e.g. an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meric molecule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ureas or polyurethanes
    • A61K47/593Polyesters, e.g. PLGA or polylactide-co-glycol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56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e.g. an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meric molecule
    • A61K47/6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e.g. an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meric molecule the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being a polysaccharide or a derivative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69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 A61K47/6905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the form being a colloid or an emul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5/00Nanobiotechnology or nanomedicine, e.g. protein engineering or drug delive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약물 담지 미립구의 제조방법 및 장치와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전립선 비대증 치료용 제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에어로졸 입자로 분무 후 건조하여 제조하는 약물 담지 미립구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와, 상기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알파-차단제 담지 미립구를 포함하는 전립선 비대증 치료용 제제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을 통해 약물 담지 미립구의 물성 제어를 하여 직접환부에 주사 주입을 이용한 국부적인 선택치료에 효과적인 약물 전달체의 제조가 가능해지며, 이를 통해 제조된 알파-차단제 담지 미립구는 전립성 비대증의 치료에 서방성 제제로 효과적으로 사용된다.

Description

약물 담지 미립구의 제조방법 및 장치와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전립선 비대증 치료용 제제{FABRICATION METHOD OF DRUG LOADING MICROCARRIER, APPARATUS THEREFOR, AND AGENT FOR TREATMENT OF BENIGN PROSTATIC HYPERTROPHY THEREBY}
본 발명은 물성 제어가 용이하여 직접환부에 주사 주입을 이용한 국부적인 선택치료에 효과적인 약물 전달체의 제조가 가능한 약물 담지 미립구의 제조방법 및 장치와, 이를 통해 제조된 알파 차단제 담지 미립구는 전립성 비대증의 치료에 서방성 제제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전립선 비대증 치료용 제제에 관한 것이다.
전립선 비대증 (Benign Prostatic Hypertrophy;BPH)은 전립선 비대와 하부요도 증상이 특징인 안드로젠 (남성호르몬) 의존성 질환이다.
전립선 비대증의 원인은 유전적 인자, 체질, 영양, 동맥경화, 인종간 차이 등 여러가지로 거론되고 있으나 명확히 규정되지 않고 있다. 다만 내분비기능이 저하되는 고령자에게 많이 발생하는 점 등에 비춰볼 때 남성 호르몬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게 유력한 학설이다. 백인이 동양인 보다 흔하며 채식보다는 육식이나 우유섭취가 많은 남자에서 빈도가 높다. 동반질환으로는 당뇨병, 고혈압이나 심질환자에서 빈도가 높고 간경화증에서는 낮다.
전립선 비대증의 유병율은 연령과 밀접한 관계가 있어서 61세 이상 70세 미만의 연령층 남성의 경우, BPH 유병율은 70% 이상의 높은 유병율을 보인다.
특히 최근에 50대 이상의 노령인구의 증가율은 27.7%로 일반 인구증가율 3.8%보다 자그마치 7.3배나 높은 인구증가율을 보이고 있어 (2000년 11월, 통계청자료), 앞으로 한국사회도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노인성 질환의 대표적인 질환인 전립선 질환의 유병율도 폭발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현재 시행되고 있는 전립선 비대증의 치료는 수술법, 비 침습적인 치료법 및 약물 요법이 있다.
수술법에는 경요도 전립선 절제술 (Transurethral Resection of Prostate; TURP)이 있다. 상기 수술법은 하반신마취나 전신마취하에 전립선 절제경이라는 내시경을 환자의 요도를 통해 방광과 전립선 요도에 삽입한 후 요도는 물론 방광내부와 비대된 전립선을 확인한 후 루프형 전기칼로 요도를 막고 있는 비대된 전립선 조직을 마치 목수가 대패로 나무를 깎아내듯이 전립선 조직을 제거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수술법은 전립선 비대증에 대한 치료 중 가장 효과를 확신할 수 있는 방법이지만 수술의 합병증 등의 위험이 있다.
또 다른 수술법에는 개복 전립선 절제술 (Open prostatectomy)이 있다. 이 수술법은 전립선비대가 아주 심해 짧은 시간 내에 경요도절제술로 제거하기 어려운 경우와 방광게실이나 방광결석, 심한 요도협착이 있는 일부의 환자에서 시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방법 역시 수술에 따른 위험성과 부담이 있다.
비 침습적인 치료법은 국소적인 전립선 비대증 치료법으로 풍선확장술 (Balloon dilation), 전립선부요도 스텐트유치 (Prostatic stents-temporary/permanent), 열치료법 (Thermotherapy), 전기기화술(Electrovaporization), 경요도적침소작술(Transurethral needle ablation : TUNA), 고강도집속형초음파술(High intensity focused ultrasound : HIFU) 등이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장기적인 추적 결과가 많지 않아 인정을 받지 못하는 부분이 있다.
약물 치료법은 전립선 근육을 이완시키는 약물 (알파-차단제; α-adrenergic blockers)과 전립선 크기를 줄이는 약물 (5-alpha reductase inhibitor)이 있고, 각각 혹은 2가지를 병용해서 복용하여 전립선 비대증을 치료한다.
알파-차단제의 경우 프라조신 (prazocin), 테라조신 (terazocin), 독사조신 (doxazocin), 알푸조신 (Alfuzosin) 등이 있으며, 전립선 평활근에 선택적으로 α1a수용체를 억제하는 탐술로신 (tamsulosin)도 사용되고 있으며, 5-α환원요소 억제제의 경우 약제로는 피나스테라이드 (finasteride)와 두타스테라이드 (dutasteride)가 있다.
이렇게 전립선 비대증의 치료 방법이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환자의 상태 (전립선, 방광상태, 증상정도, 나이 등)와 선호도에 따라 결정을 하게 되는데 크게 4가지이며 환자의 상태변화에 따라 그때그때 가장 적절한 방법을 선택한다. 최근에는 효과적인 약제의 개발로, 현재까지는 경구 약물치료가 가장 보편화 되어 있어 전체 전립선 치료의 약 80% 이상을 차지한다.
경구 약물치료의 경우 최소한 1일 1회 이상 평생 약물을 투여해야 하므로 불편하고, 경구투여로 전립선뿐만 아니라 온 몸 전체에 약물의 영향이 미쳐서 우리가 원하지 않는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
일예로 대표적인 전립선 비대증의 치료제인 테라조신 (terazocin)을 투여하면 전립선 비대증에 의한 증상은 좋아지지만 알파 차단제이므로 저혈압이 부작용으로 올 수 있으며 심혈관 질환이 많은 노년층에서는 치명적인 부작용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약물치료의 단점의 극복을 위한 대안으로 약물 담지 생분해성 미립구(micro/nano sphere)를 환부에 직접 투여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약물전달시스템 (Drug Delivery System; DDS)이란 기존 의약품의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효능 및 효과를 극대화시켜 필요한 양의 약물을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설계한 제형이다.
최근 생분해성 고분자 미립구를 이용한 약물전달 실험이 다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생분해성 폴리머 미립구 약물전달 시스템은 약물투여량을 원하는 기간 동안에 정량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부작용을 줄이고 약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약물 전달체의 경우, 인체 내에 약물 전달체를 투여하여 특정부위 및 세포와 화학적인 반응을 통하여 약물이 방출되도록 설계된 것 (표적지향성)이 대부분을 차지하며 이 경우 약물 전달체의 표면수식 및 수식된 화합물의 인체안전성 등이 우선적으로 해결되어야 한다.
기존 약물 전달체의 제조는 현탁중합, 유화중합, 분산중합, 침전중합 등의 방법을 통해 단량체로부터 제조하거나, 현탁가교, 응집/상분리, 용매증발/추출, 분무건조 등을 통해 고분자 자체로부터 제조하는 방법이 있다.
많은 선행연구가 이루어진 O/W 유화용매 증발방법과 분무건조방법이 있지만 제조과정 중에 일어나는 약물 전달체의 강한 응집이나 불균일한 형상, 나노레벨의 크기 제어와 균일한 입도분포를 얻기가 어려워 일정기간동안 지속적인 약물 투여량 조절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는 약물전달시스템의 설계에 있어 경구를 통한 약물치료에서 오는 단점(약물의 효능의 약화와 부작용)을 개선 할 수 있고, 수식제 없이 직접환부에 주사 주입을 이용한 국부적인 선택치료에 효과적인 약물 전달체를 제조하여, 각종 질병, 특히 전립성 비대증의 치료를 위한 제제를 제조하고자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발명은 미립구로부터 방출되는 약물의 특성을 조절하여 효과적인 약물전달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는 약물 담지 미립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균일한 형상의 미립구를 제조하고 물성을 제어하여 효과적인 약물전달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는 약물 담지 미립구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립선 비대증 치료에 효과적인 알파-차단제 담지 미립구를 포함하는 전립선 비대증 치료용 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S1) 생분해성 고분자, 약물, 및 용매를 포함하는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S2) 상기 용액을 분무장치를 이용하여 에어로졸 입자로 분무하는 단계;
S3) 캐리어 가스로 상기 분무된 에어로졸을 미리 가열된 챔버로 이송하여 건조하는 단계; 및
S4) 상기 건조 후 얻은 미립구를 포집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약물 담지 미립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분무장치로는 초음파 진동자가 구비된 초음파 분무장치를 이용하거나, 전압기가 구비된 전기-수력학적 분무장치를 이용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생분해성 고분자, 약물, 및 용매를 포함하는 용매를 공급하기 위한 용액 공급부;
상기 용액 공급부와 연결되며 용액을 에어로졸 입자로 분무하기 위한 분무 장치;
상기 분무장치의 타측과 연결되고, 이로부터 분무된 에어로졸을 챔버로 이송시키기 위한 캐리어 가스가 충전된 캐리어가스 공급부;
상기 분무된 에어로졸이 이송되는 챔버;
상기 챔버를 둘러싸며 에어로졸을 건조하기 위해 온도센서 및 온도제어기가 장착된 가열기; 및
상기 건조에 의해 생성된 미립구를 포집하기 위한 포집 필터 및 펌프가 구비된 포집기;
를 구비한 약물 담지 미립구의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분무장치는 초음파 진동자가 구비된 초음파 분무기 또는 전압기가 구비된 전기-수력학적 분무기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알파-차단제 코어; 및 상기 알파-차단제 코어를 둘러싸며 형성된 생분해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알파-차단제 담지 미립구를 포함하는 전립선 비대증 치료용 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약물 담지 미립구는 서브 마이크로에서 나노 레벨에 이르는 미응집의 균일한 입도 분포를 가지며, 약물 방출 속도의 제어가 용이하여 기존의 경구나 경정맥을 통한 약물 투여가 아닌 주사 주입을 이용한 국부적인 선택 치료 제제로 적용 가능하다. 또한 이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는 상기 약물 담지 미립구의 물성 제어가 용이하여 대량 생산을 가능케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약물 담지 미립구의 제조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약물 담지 미립구의 제조를 위한 장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초음파 분무장치가 구비된 약물 담지 미립구의 제조를 위한 장치를 보여주는 모식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전기-수력학적 분무장치가 구비된 약물 담지 미립구의 제조를 위한 장치를 보여주는 모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알파-차단제 담지 미립구를 사용하여 전립선 비대증을 치료하는 것을 보여주는 모식도.
도 6의 (a)는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테라조신 담지 미립구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이고, (b)는 실시예 2에서 제조된 테라조신 담지 미립구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
도 7의 (a)는 키토산의 FT-IR 스펙트럼이고, (b)는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테라조신 담지 미립구, (c)는 테라조신의 FT-IR 스펙트럼이다.
도 8의 (a)는 실시예 3에서 제조된 테라조신 담지 미립구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이고, (b)는 실시예 4에서 제조된 테라조신 담지 미립구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이고, (c)는 실시예 5에서 제조된 테라조신 담지 미립구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
도 9의 (a)는 실시예 6에서 제조된 테라조신 담지 미립구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이고, (b)는 실시예 3에서 제조된 테라조신 담지 미립구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이고, (c)는 실시예 7에서 제조된 테라조신 담지 미립구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
도 10은 실시예 4∼7의 테라조신 담지 미립구의 시간에 따른 테라조신 방출 정도를 보여주는 그래프.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약물 담지 미립구의 제조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먼저, 단계 S1)에서는 생분해성 고분자, 약물, 및 용매를 포함하는 용액을 제조한다.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생체 내에서 분해가 가능한 고분자면 가능하다. 대표적으로,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로는 키토산, 알부민, 젤라틴, 콜라겐, 피브리노겐, 폴리락티드(polylactides:PLA), 폴리(D,L)락티드(PDLLA), 폴리글리콜리드(polyglycolides:PGA), 폴리β-히드록시 부틸산(poly β-hydroxy butyric acid; PHB),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폴리언하이드라이드(polyanhydrides), 폴리오르토에스테르(polyorthoesters), 폴리락티드-코-글리콜리드(poly(lactide-co-glycolides:PLGA), 폴리에틸렌글리콜(PEG), 폴리 β-히드록시 부틸산(poly β-hydroxy butyric acid:PHB), 폴리언하이드라이드, 폴리우레탄, 폴리(부틸산), 폴리(발레릴 산), 폴리발레로락톤, 폴리하이드록시 부티레이트, 폴리하이드록시 발러레이트, 및 폴리(락티드-코-카프로락톤)(poly(lactide-co-caprolactone:PLCL) 등과 그 유도체, 그리고 이들의 공중합체 및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약물은 본 발명에서 한정하지 않으며, 인간을 포함하는 동물에게 투여시 유익한 예방 및 치료 특성을 나타내는 화합물을 말하며, 공지된 바의 모든 약물이 가능하며, 일예로 하기 표 1에 나타낸 것이 사용가능하다.
진통소염제 인도메타신, 아스피린, 디클로페낙 나트륨, 케토프로펜, 이부프로펜, 메페남산, 아줄렌, 페나세틴, 이소프로필안티피린, 아세트아미노펜, 벤즈아닥, 페닐부타존, 플루페남산, 나트륨 살리실레이트, 살리실아미드, 사자피린 및 에토돌락
스테로이드 항염증제 덱사메타손, 하이드로코르티존, 프레드니솔론 및 트리암시놀론
항궤양제 에카베트 나트륨, 엔프로스틸, 술피리드, 세트락세이트 하이드로클로라이드, 게파르네이트, 이르소글라딘 말리에이트, 시메티딘, 라니티딘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파모티딘, 니자티딘 및 록사티딘 아세테이트 하이드로클로라이드
관혈관확장제 니페디핀, 이소소르비드 디나이트레이트, 딜티아젬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트라피딜, 디피리다몰, 딜라제프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베라파밀, 니카르디핀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및 베라팔리밀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말초혈관확장제 이펜프로딜 타르트레이트, 시네파시드 말리에이트, 시클란델레이트, 신나리딘 및 펜톡시필린
항생제 암피실린, 아목시실린, 세팔렉신, 에리트로마이신 에틸 숙시네이트, 바캄피실린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미노시클린하이드로클로라이드, 클로람페니콜, 테트라시클린, 에리트로마이신, 세프타지딤, 세푸록심 나트륨, 아스폭시실린 및 리키페남 아콕실 하이드레이트
합성항균제 날리딕스산, 피로미드산, 피페미드산 트리히드레이트, 에톡사신, 시녹사신, 오플록사신, 노르플록사신, 시프로플록사신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술파메톡사졸-트리메토프림, 베네타민, 세파클로르,시프로플록사신, 클라리트로마이신, 클로파지민, 클록사실린, 데메클로사이클린, 데옥시사이클린, 에리트로마이신, 에티온아미드, 이미페넴, 날리딕산, 니트로푸란토인, 페니실린, 리팜피신, 스피라마이신, 설파벤자미드, 설파세타미드, 설파디아진, 설파독신, 설파푸라졸, 설파메라진, 설파메톡사졸, 설파피리딘, 테트라사이클린, 트리메토프림
항경련제 프로판텔린 브로미드, 아트로핀 술페이트, 옥시트로퓸 브로미드, 티메피듐 브로미드, 스코폴라민 부틸브로미드, 트로스퓸 클로라이드, 부트로퓸 브로미드, N-메틸스코폴라민 메틸술페이트 및 메틸옥타트로핀 브로미드
강심제 도파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도부타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도카르파민, 데노파민, 카페인,디고신, 디기톡신 및 우비데카레논
전립선 비대증 치료제 테라조신, 프라조신, 독사조신, 알푸조신, 피나스테라이드, 두타스테라이드
근이완제 클로페네신 카르바메이트, 톨페리손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에페리손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티자니딘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메페네신, 클로르족사존, 펜프로바메이트, 메토카르바몰, 클로르메자논, 피리디놀 메실레이트, 아플로쿠알론, 바클로펜, 단트롤렌 나트륨
정신안정제 옥사졸람, 디아제팜, 클로티아제팜, 메다제팜, 테마제팜, 플루디아제팜, 메프로바메이트, 니트라제팜, 클로르디아제폭시드, 술피리드, 클로카프라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조테핀, 클로르프로마진, 할로페리돌
항부정맥제 프로카인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디이소피라미드 포스페이트, 시벤졸린 숙시네이트,아즈말린, 퀴니딘 술페이트, 아프리딘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프로파페논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멕실레틴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및 아즈밀리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당뇨병치료제 아세토헥사미드, 클로르프로파미드, 글리벤클라미드, 글리클라지드, 글리피지드, 톨라자미드, 톨부타미드
항고혈압제 암로디핀, 베니디핀, 다로디핀, 디아족시드, 딜리타젬, 펠로디핀, 구아나벤즈, 이스라디핀, 메틸도파, 미녹시딜, 니카르디핀, 니페디핀, 니모디핀, 페녹시벤자민, 프라조신, 레세르핀, 테라조신
항종양제 및 면역억제제 아미노글루테티미드, 암사크린, 아자티오프린, 부설판, 클로람부실, 사이클로스포린, 다카르바진, 에스트라무스틴, 에토포시드, 피나스테리드, 로무스틴, 멜팔란, 메르캅토푸린, 메토트렉세이트, 미토마이신, 미토탄,미토잔트론, 프로카바진, 랄록시펜, 타목시펜, 테스톨락톤
심근 수축제 암리논, 디지톡신, 디족신, 에녹시몬, 라나토시드 C, 메디곡신
성 호르몬 클로미펜, 공액 에스트로겐, 다나졸, 에스트라디올, 에티닐로에스트라디올, 메드로게스톤, 메드록시프로게스테론 아세테이트, 메스트란올, 메틸테스토스테론, 노르에티스테론, 노르게스티메이트, 노르게스트렐, 프로게스테론, 스타노졸올, 스티보에스트롤, 세스토스테론, 티볼론
폴리펩티드 장호르몬(GH), 성장호르몬 방출 펩티드 (GHRP), 성장호르몬 방출 인자 (GRF), 상피 성장 인자, 인터페론, 인슐린, 소마토스타틴, 봄베신, 칼시토닌, 칼시토닌 유전자 관련 펩티드 (CGRP), 아밀린, 파라티로이드 호르몬 (PTH), 파라티로이드 호르몬-관련 펩티드 (PTHrp), 가스트린, 가스트린 방출 펩티드 (GRP), 흑세포 자극 호르몬 (MSH), 아드레노코르티코트로픽 호르몬(ACTH), 황체형성화 호르몬(LH), 황체형성화 호르몬-방출 호르몬(LH-RH), 시토키나제, 소르빈, 콜레시스토키닌(CCK), 글루카곤, 글루카곤형 펩티드(GLP), 가스트린, 엔케팔린, 뉴로메딘, 엔도텔린, 기질 P, 뉴로펩티드 Y (NPY), 펩티드 YY (PYY), 혈관작용성 내장 펩티드(vasoactive intestinal peptide, VIP), 뇌하수체 아데닐레이트 사이클라제 활성화 폴리펩티드 (PACAP), 브라디키닌, 티로트로핀 방출 호르몬 (TRH), 탁솔
상기 용매는 물;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2-메톡시에탄올 및 이소프로판올을 포함하는 알코올; 헥산, 시클로헥산,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클로로에탄, 트리클로로에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및 사염화탄소를 포함하는 탄화수소; 이소프로필 에테르, 메틸 아세테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및 부틸 아세테이트를 포함하는 에스테르; 벤젠, 톨루엔, 및 자이렌을 포함하는 방향족 탄화수소; 아세톤, 트리클로로에틸렌, 및 1,1,1-트리클로로에탄을 포함하는 케톤; 아세토니트릴, 이소프로필 에테르 및 디옥산을 포함하는 에테르;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 가능하다.
이때 추가로 생분해성 고분자의 약물 방출 속도 및 시간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용액에 더해 가교제를 첨가한다. 이러한 가교제는 생분해성 고분자를 가교화하고, 그 내부에 약물을 포집하여 미립구 내부의 약물 방출 속도 및 시간을 조절한다.
상기 가교제로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공지된 바의 가교제, 대표적으로 포름알데하이드, 글루타르알데히드, N-히드록시숙신이미드, 1-에틸-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EDC),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 가능하다.
상기 가교제 외에 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가능한 모든 첨가제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생분해성 고분자, 약물, 및 용매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미립구 제조를 위한 용액을 제조한다.
다만 이때 미립구를 제조하는데 있어 생분해성 고분자, 약물, 및 용매의 조성은 미립구로부터 방출되는 약물의 특성에 영향을 주므로 이러한 영향을 주는 변수를 바탕으로 약물 전달 시스템의 설계가 이루어져야 한다.
상기 인자는 생분해성 고분자의 종류, 농도, 및 분자량과 가교제의 종류 및 농도, 가교밀도 등에 영향을 받는다. 일예로 가교밀도가 증가하면 약물 방출 속도는 감소하고, 고분자의 분자량이 증가하면 약물 방출 속도가 감소한다. 이러한 기술은 이 분야에서 이미 공지된 사항으로, 상기 인자의 적절한 선택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적절히 선택되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2)에서는 상기 용액을 분무장치를 이용하여 수 마이크론 크기의 에어로졸 입자로 분무한다.
상기 분무된 에어로졸은 약물, 생분해성 고분자 및 용매가 혼합되어 있으며, 후속의 건조를 통해 내부에 약물을 포집하고, 이를 생분해성 고분자가 둘러싸게 된다.
상기 에어로졸의 크기는 1∼10 ㎛으로, 후속의 건조 과정을 통해 구형의 미립구를 제조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에어로졸로부터 하나의 미립구가 제조되므로, 비교적 균일한 크기의 미립구를 제조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기로 응집이 발생하지 않은 나노 수준의 미립구의 제조가 가능해진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에어로졸 입자를 제조하기 위해 하부에 초음파 진동자가 구비된 초음파 분무장치 또는 전압기가 구비된 전기-수력학적 분무장치를 사용하여, 보다 균일한 입자 크기를 가지는 미립구를 제조한다.
또한 에어로졸 내 약물과 생분해성 고분자의 혼합비를 조절하여 미립구의 약물 방출 속도 등을 조절한다. 만약 초음파 분무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미립구의 입자 크기는 초음파 진동자의 주파수와 용액의 밀도가 클수록, 용액의 표면 장력과 용액 내 생분해성 고분자의 농도가 낮을수록 작아진다. 또한 전기-수력학적 분무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인가되는 전압과 농도에 큰 영향을 받는다.
다음으로, 단계 S3)에서는 캐리어 가스로 상기 분무된 에어로졸을 미리 가열된 챔버로 이송하여 건조한다.
상기 캐리어 가스는 공기, 산소, 질소, 아르곤, 헬륨 및 이들의 혼합 기체가 가능하다.
상기 챔버 내 온도는 에어로졸 내 용매를 충분히 제거할 수 있는 온도로 조절하며, 바람직하기로 두 개 이상의 가열기를 구비하여 챔버 내 온도 구배를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건조 온도는 용매의 종류에 따라 다르며, 50∼300 ℃의 범위를 가지며, 바람직하기로 온도 구배를 주어 건조한다.
일예로, 물을 용매로 사용하는 경우 챔버 앞 영역을 100℃로 조절하고, 중간 이후 영역은 140℃로 조절하여 수행하는 것이 용매의 제거에 훨씬 탁월하다.
다음으로, 단계 S4)에서는 상기 건조를 통해 제조된 약물 담지 미립구를 포집한다.
상기 제조된 약물 담지 미립구는 구형의 입자 형태를 가지며, 입자 크기가 100 내지 1000 nm 범위의 크기를 갖는다.
이렇게 제조된 미립구는 비경구 전달용으로, 경피, 근육내, 복강내, 비강내, 직장내, 안구내, 전립선내 및 폐내 등의 기관 내로 투여할 수 있다. 또한 경구전달용으로는, 정제, 캡슐, 또는 수용액 형태로 투여할 수 있다.
이렇게 제조된 미립구는 근육내, 피하내 또는 기관내 주사 또는 충진, 콧구멍, 직장 또는 자궁에 적용하기 위한 점막투과 전달계, 또는 경구 제제 (예:캡슐 (예:경질 또는 연질), 과립, 분말 등과 같은 고체 제제, 또는 시럽, 에멀션, 현탁액등과 같은 액체 제제) 로서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약물 담지 미립구는 의약 분야에서 알려진 바와 같이, 환자에 투여되는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표면적, 투여 약물, 성별, 시간, 투여경로, 및 건강상태 등 여러 가지 인자에 따라 결정되며, 동시에 다른 약물과 같이 투여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제조방법은 다핵을 담지한 미립구의 제조; 고혈압제나 항생제등 적절한 두 가지 이상의 약물을 담지한 미립구를 제조함으로써 효과적인 약물전달 시스템을 쉽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미응집의 미립구는 일차적으로 약물을 보호하고 다른 재료와 복합화가 용이하기 때문에 다양한 분야에 응용이 가능한 잇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약물 담지 미립구는 표적 지향성 약물전달 시스템의 설계에 따라 다른 작용기를 붙이거나 다른 고분자와의 결합이 용이하므로 체내에 삽입되는 생체재료나 의료용 장비의 약물 담지된 코팅재료로의 이용이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약물 담지 미립구의 제조를 위한 장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장치는 크게 분무영역(A)과, 건조영역(B)과, 포집영역(C)의 세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분무영역(A)은 에어로졸 입자를 제조하기 위해 하부에 초음파 진동자가 구비된 초음파 분무장치 또는 전압기가 구비된 전기-수력학적 분무장치가 사용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초음파 분무장치가 구비된 약물 담지 미립구의 제조를 위한 장치를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분무영역(A)의 하부에 초음파 진동자(130)가 구비된 초음파 분무기(100)를 구비한다.
상기 초음파 진동자(130)는 용매에 따라 최적화된 주파수로 진동할 수 있도록 저주파에서부터 고주파 범위까지 진동 가능한 것을 구비한다.
용액 공급부(110)는 상기 초음파 분무기(100)의 일측과 연결되며, 미립구 제조를 위해 균일하게 혼합된 용액-고분자, 약물, 및 용매를 포함하는-을 포함한다.
상기 용액 공급부(110)는 일정 속도로 초음파 분무기(100) 내부로 공급되며, 이때 용액의 속도를 적절히 제어하여 미립구의 입자 크기 등의 물성을 제어한다.
캐리어 가스 공급부(120)는 초음파 분무기(100)로 분무된 에어로졸을 건조를 위한 챔버(210) 내부로 이송하기 위한 기체로, 초음파 분무기(100)의 타측에 연결된다.
상기 초음파 분무에 의해 분무된 에어로졸은 건조영역(B)으로 이송된다.
상기 건조영역(B)은 상기 분무된 에어로졸이 이송되어 건조가 수행되는 챔버(210)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챔버(210)는 건조시 온도 구배를 주기 위해 챔버(210) 주위를 적어도 2개 이상의 가열기(220)로 둘러싼다.
상기 가열기(220)는 에어로졸 내 잔류하는 용매를 충분히 제거하고, 생분해성 고분자의 가교가 충분히 수행할 수 있을 정도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챔버(210) 내부에 온도센서(230)를 장착하고, 상기 챔버(210)의 일측에 온도 제어기(240)를 장착한다.
상기 챔버(210) 내 온도는 에어로졸이 도입되는 입구 영역의 온도 보다 미립구로 전환되어 포집되는 포집 영역(C) 근처인 출구의 온도를 높게 설계하며, 이들의 차이가 100℃를 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온도 차이는 미립구의 물성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용매 제거 온도보다 필요 이상으로 높은 온도로 건조하는 경우 미립구 간의 응집이 일어나 불규칙한 표면을 가지는 거대 미립구가 제조된다.
상기 챔버(210)를 거쳐 건조된 미립구는 포집영역(C)으로 이송된다.
상기 포집영역(C)은 미립구를 포집하기 위한 포집 필터(310) 및 펌프(320)가 구비된 포집기(300)를 포함한다.
상기 포집 필터(310)를 통해 건조시 제거되는 용매를 비롯하여 불순물들을 제거하여 고순도의 미립구만을 회수가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약물 담지 미립구는 상기 초음파 분사외에 전기-수력학적 분사방법을 이용하여 에어로졸 입자를 얻는다.
전기수력학적 분사현상(EHDA;Electro-Hydrodynamic Atomization 또는 Electrospraying)은 분사용액이 담겨있는 모세관과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는 전극판의 사이에 고전압차의 전기장을 형성하여 모세관의 선단으로부터 고하전을 갖는 초미세입자를 발생시키는 장치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전기-수력학적 분무장치가 구비된 약물 담지 미립구의 제조를 위한 장치를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이때 전기-수력학적 분무기(101) 이외의 장치는 도 3에서 언급한 바를 따른다.
도 4를 참조하면, 분무영역(A)의 하부에 용액을 분무하기 위한 노즐(102), 에어로졸 입자가 이송되는 반응관(103), 상기 노즐에 전압차를 인가하기 위한 전압기(104)가 구비된 전기-수력학적 분무기(101)를 구비한다.
상기 노즐(102)은 용액 공급부(110)와 연결되고, 미립자 제조를 위한 용액을 분사하기 위한 별도의 펌프(미도시)와 연결된다.
상기 반응관(103)은 일련의 전기회로를 구비하여 상기 노즐(102)과 같은 극성의 전압을 인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용액 공급부(110)로부터 용액이 공급되며, 노즐(102)을 통해 용액에 분무되면 전압기(104)로부터 고전압을 인가하여 에어로졸 입자가 전하를 띠도록 한다. 상기 전압의 조절 의해 다양한 입자의 크기를 가지는 미립구를 제조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약물로 전립선 비대증에 효과적인 알파-차단제 담지 미립구를 제조한다.
상기 알파-차단제 담지 미립구는 알파-차단제 코어; 및 상기 코어를 생분해성 고분자가 둘러싼 구조를 가지며, 전립선 비대증을 치료하기 위한 제제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기 알파-차단제는 전립선 내 평활근의 수축을 통해 전립선 비대증을 치료하는 약물 중 하나이다.
전립선 비대증은 전립선 평활근의 증식으로 발생하며, 전립선 피막과 방광출구에서의 평활근 긴장도가 증가한다. 이러한 평활근 긴장도 증가에는 알파-1 아드레날린성 수용체가 주 역할을 하며, 이러한 알파-수용체를 차단하여 전립선 비대증을 치료한다.
이러한 알파-차단제는 공지된 바의 모든 약물이 가능하며, 대표적으로 프라조신 (prazocin), 테라조신 (terazocin), 독사조신 (doxazocin), 알푸조신 (Alfuzosin)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 가능하고, 바람직하기로는 테라조신을 사용한다.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는 전술한 바의 고분자가 가능하며, 바람직하기로 키토산, 폴리(D,L)락티드(PDLLA)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1종을 사용한다.
상기 제제는 통상의 경구 및 비경구 제제가 가능하나, 바람직하기로 물에 분산시켜 주사로 주입하는 주사액제로 사용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제제는 표적지향적 약물전달 시스템으로, 기존의 경구 투여, 정맥 주사 등의 투여방법이 아닌, 최근의 발전된 의학 영상 유도 장치를 이용하여 새로운 투약 방법을 이용하여 환부에 주사액제로 제제하여 직접 투여된다.
상기 주사액제는 종래 경구 약물치료 및 수술적인 방법에 비하여 전립선 비대증 환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초음파를 유도하여 환부에 직접 적용함에 따라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직접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알파-차단제 담지 미립구를 사용하여 전립선 비대증을 치료하는 것을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전립선 비대증 환자의 환부에 경직장 전립선 초음파 (Transrectal Ultrasound; TRUS) 유도 하에 시술을 통하여 비대해진 전립선에 주사로 직접 약물 투여한다.
상기 투여된 약물은 환부 주위에 존재하게 되며, 알파-차단제 중 하나인 테라조신을 둘러싼 키토산이 생분해되어 테라조신을 방출하여 환부에 직접 침투하고, 상기 직접 침투된 테라조신에 의해 전립선 비대증이 치료된다.
이러한 알파-차단제 담지 미립구의 제조는 도 3 또는 도 4에 도시한 장치를 이용하여 제조가 가능하다.
상기 알파-차단제 담지 미립구는 알파-차단제, 생분해성 고분자, 및 용매를 혼합한 후 에어로졸 입자로 분무하는 단계; 및
캐리어 가스로 상기 분무된 에어로졸을 미리 가열된 챔버로 이송하여 건조하는 단계를 거쳐 제조한다.
이때 추가로 가교제를 사용하여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를 가교화하여 알파-차단제의 방출 속도 및 시간을 조절한다.
상기 알파-차단제, 및 생분해성 고분자의 함량은 약물 방출 속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므로, 이러한 속도를 조절하여 한정한다. 일예로, 알파-차단제는 전체 용액 조성 내 0.1∼50 중량%, 및 생분해성 고분자 50∼99.9 중량%로 사용하고, 추가로 가교제를 사용하는 경우 0.01∼10 중량%로 사용한다.
또한 생분해성 고분자의 분자량 또한 약물 방출 속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며, 가교화 정도를 고려하여 중량평균분자량(Mw)이 10,000∼400,000 Da이 되도록 한다. 이러한 생분해성 고분자는 전술한 바의 고분자가 가능하며, 바람직하기로 키토산을 사용한다.
상기 가교제는 전술한 바의 가교제가 가능하며, 바람직하기로 글루타알데하이드를 사용한다.
이때 용매의 함량은 100 중량%를 만족시키는 잔부로 사용하며, 분무를 통해 미립구를 충분히 형성할 수 있도록 적절한 점도를 가지는 용액을 제조할 수 있는 함량으로 사용한다. 이러한 용매는 전술한 바의 용매가 가능하며, 바람직하기로 인체에 무해한 물을 사용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조된 용액을 일정 속도로 분무장치에 주입하여 챔버로 분사한다.
이때 분무장치로 초음파 분무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물이 분무되기 가장 적합한 주파수인 1.67 MHz로 주파수로 초음파 진동자를 조절한다.
또한 분무장치로 전기-수력학적 분무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전압을 1kv∼50kv로 조절하여 에어로졸 입자의 크기 및 건조 후 미립구의 입자 크기를 조절한다.
상기 분사된 에어로졸 입자는 0.1∼10 ㎛의 크기를 가지며, 캐리어 가스를 통해 챔버 내로 이송된다.
이때 챔버는 90∼160℃로 가열하며, 바람직하기로 챔버 내 입구 근처의 온도는 물의 B.P 근처인 90∼140℃로 조절하고, 출구 근처의 온도는 100∼160℃로 조절한다.
상기 챔버 내에서 에어로졸 내 물이 제거되고, 가교제를 사용하는 경우 가교제의 가교 반응이 수행되어 알파-차단제 담지 미립구가 제조된다.
상기 제조된 미립구는 포집 필터를 통해 포집되며, 반응 중 발생하는 불순물이나 부산물(가스 등)은 포집 필터를 거쳐 제거된다.
이렇게 제조된 미립구는 구형의 입자를 보이며, 입자 크기가 균일하며, 0.1∼10 ㎛, 바람직하기로 0.1∼5 ㎛의 크기를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 실시예 1)
도 2에 도시한 장치를 이용하여 전립선 비대증에 효과적인 약물인 테라조신(Terazocin) 0.4 g, 키토산(Mw=10,000) 0.2 g, 물 400 ml에 용해시켜 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용액을 1.67 MHz의 초음파가 진동하고 있는 초음파 분무 장치에 주입하여 N2 가스로 1.0ℓ/min의 속도로 챔버 내로 이송하였다. 이때 챔버 입구 영역은 100 ℃로 고정하고, 챔버 출구 영역은 140 ℃로 조절하였다.
상기 온도 구배가 있는 챔버를 통과하여 건조된 미립구를 포집필터를 통해 포집하여 테라조신 담지 미립구를 제조하였다.
( 실시예 2)
가교제 글루타알데하이드 2 ml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테라조신 담지 미립구를 제조하였다.
( 실시예 3)
테라조신을 메탄올에 0.5 %(w/v)로 용해시키고, 폴리(D,L)락티드(PDLLA)를 아세톤이 0.25 %(w/v)로 용해시키고, 상기 각각의 용액을 테라조신/PDLLA의 중량비가 1/8이 되도록 혼합하였다. 얻어진 용액을 초음파 분사 장치에 주입하여 Ar 가스로 0.8ℓ/min의 속도로 챔버 내로 이송하였다. 이때 챔버 입구 영역은 100 ℃로 고정하고, 챔버 출구 영역은 120 ℃로 조절하였다.
상기 온도 구배가 있는 챔버를 통과하여 건조된 미립구를 포집필터를 통해 포집하여 테라조신 담지 미립구를 제조하였다.
( 실시예 4)
PDLLA를 아세톤에 0.5%(w/v) 농도로 조절하여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테라조신 담지 미립구를 제조하였다.
( 실시예 5)
PDLLA를 아세톤에 1.0%(w/v) 농도로 조절하여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테라조신 담지 미립구를 제조하였다.
( 실시예 6)
테라조신/PDLLA의 중량비가 1:4가 되도록 조절하여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테라조신 담지 미립구를 제조하였다.
( 실시예 7)
테라조신/PDLLA의 중량비가 1:2가 되도록 조절하여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테라조신 담지 미립구를 제조하였다.
( 실험예 1) 테라조신 담지 미립구의 입자 형상 분석
상기 실시예 1 및 2에서 제조된 테라조신 담지 미립구의 형상을 알아보기 위해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도 6은 (a)는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테라조신 담지 미립구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이고, (b)는 실시예 2에서 제조된 테라조신 담지 미립구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테라조신 담지 미립구는 구형을 가지며, 표면이 매끄러운 형태를 가지며, 응집이 발생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다만, (b)에서 입자의 변형이 약간 일어났는데, 이는 가교제에 의해 최적의 공정 조건이 (a)와 상이한 것에 기인한다.
( 실험예 2) 테라조신 담지 미립구의 FT - IR 분석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테라조신 담지 미립구의 테라조신 담지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FT-IR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도 7의 (a)는 키토산의 FT-IR 스펙트럼이고, (b)는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테라조신 담지 미립구, (c)는 테라조신의 FT-IR 스펙트럼이다.
키토산의 1630 cm-1의 N-H 굽힘 피크와 테라조신의 1630 cm-1의 신축 피크가 겹치는 것을 제외하고 키토산과 테라조신의 나머지 특성피크가 테라조신이 함유된 키토산 미립구에 나타난 것으로 볼 때, 상호간 화학반응이나 조성의 변화가 없는 것으로 생각된다.
( 실험예 3) 생분해성 고분자의 농도에 따른 미립구의 입자 크기 분석
상기 실시예 3∼5에서 제조된 테라조신 담지 미립구의 형상을 알아보기 위해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도 8의 (a)는 실시예 3에서 제조된 테라조신 담지 미립구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이고, (b)는 실시예 4에서 제조된 테라조신 담지 미립구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이고, (c)는 실시예 5에서 제조된 테라조신 담지 미립구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이다. 이때, 테라조신/PDLLA의 중량비는 동일하며 (a)에서 (c)로 갈수록 생분해성 고분자의 농도가 증가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생분해성 고분자 용액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입자가 커짐을 알 수 있다.
( 실험예 4) 테라조신 / PDLLA 의 중량비에 따른 미립구의 입자 크기 분석
상기 실시예 3, 6∼7에서 제조된 테라조신 담지 미립구의 형상을 알아보기 위해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도 9의 (a)는 실시예 6에서 제조된 테라조신 담지 미립구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이고, (b)는 실시예 3에서 제조된 테라조신 담지 미립구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이고, (c)는 실시예 7에서 제조된 테라조신 담지 미립구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이다. 이때 생분해성 고분자의 농도는 동일하여 (a)에서 (c)로 갈수록 테라조신/PDLLA의 중량비는 증가한다.
도 9를 참조하면, (a) 내지 (c)의 미립구 모두 비슷한 크기를 보여, 테라조신/PDLLA의 중량비는 미립구의 입자 크기에는 영향을 거의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 실험예 5) 테라조신 담지 미립구의 약물 방출 분석
상기 실시예 4∼7의 테라조신 담지 미립구의 약물 방출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in vitro 방식으로 50일 동안 방출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얻어진 결과를 도 8에 나타내었다.
도 10은 실시예 4∼7의 테라조신 담지 미립구의 시간에 따른 테라조신 방출 정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시험 시작 9시간 이후 49%(실시예 4), 59%(실시예 5), 34%(실시예 6) 및 67%(실시예 7)을 보였으며, 이어, 49일 이후에서는 최소 60%에서 최대 84%로 방출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생분해성 고분자의 농도, 입자 크기 등에 의해 약물 방출 정도를 조절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물 담지 미립구의 제조는 서방성 제제에 바람직하게 적용된다.

Claims (9)

  1. S1) 키토산, 알부민, 젤라틴, 콜라겐, 및 피브리노겐을 포함하는 천연 고분자; 폴리락티드(polylactides:PLA), 폴리(D,L)락티드(PDLLA), 폴리글리콜리드(polyglycolides:PGA), 폴리β-히드록시 부틸산(poly β-hydroxy butyric acid:PHB),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폴리언하이드라이드(polyanhydrides), 폴리오르토에스테르(polyorthoesters), 폴리β-히드록시 부틸산(poly β-hydroxy butyric acid:PHB), 폴리(락티드-코-글리콜리드)(poly(lactide-co-glycolides:PLGA), 및 폴리(락티드-코-카프로락톤)(poly(lactide-co-caprolactone:PLCL)을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계 고분자;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의 생분해성 고분자, 약물, 및 용매를 포함하는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S2) 상기 용액을 분무장치를 이용하여 직경이 0.1∼10㎛인 에어로졸 입자로 분무하는 단계;
    S3) 캐리어 가스로 상기 분무된 에어로졸을 미리 가열된 챔버로 이송하여 건조하는 단계, 이때 상기 건조는 챔버 입구보다 출구의 온도를 높게 조절하여 온도 구배를 가지며, 챔버 입구 온도 90∼140℃, 출구 온도 100∼160℃ 범위로 조절하고,
    S4) 상기 건조 후 얻은 미립구를 포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약물 담지 미립구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물;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2-메톡시에탄올 및 이소프로판올을 포함하는 알코올; 헥산, 시클로헥산,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클로로에탄, 트리클로로에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및 사염화탄소를 포함하는 탄화수소; 이소프로필 에테르, 메틸 아세테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및 부틸 아세테이트를 포함하는 에스테르; 벤젠, 톨루엔, 및 자이렌을 포함하는 방향족 탄화수소; 아세톤, 트리클로로에틸렌, 및 1,1,1-트리클로로에탄을 포함하는 케톤; 아세토니트릴, 이소프로필 에테르 및 디옥산을 포함하는 에테르;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인 것인 약물 담지 미립구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은 추가로 포름알데하이드, 글루타르알데히드, N-히드록시숙신이미드, 1-에틸-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EDC),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의 가교제를 포함하는 것인 약물 담지 미립구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무장치로는 초음파 진동자가 구비된 초음파 분무장치를 이용하거나, 전압기가 구비된 전기-수력학적 분무장치를 이용하는 것인 약물 담지 미립구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가스는 공기, 산소, 질소, 아르곤, 헬륨 및 이들의 혼합 기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인 것인 약물 담지 미립구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는 50∼300 ℃인 것인 약물 담지 미립구의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 담지 미립구는 구형이며, 입자 크기가 0.1∼10 ㎛인 것인 약물 담지 미립구의 제조방법.
  8. 키토산, 알부민, 젤라틴, 콜라겐, 및 피브리노겐을 포함하는 천연 고분자; 폴리락티드, 폴리(D,L)락티드, 폴리글리콜리드, 폴리β-히드록시 부틸산, 폴리카프로락톤, 폴리언하이드라이드, 폴리오르토에스테르, 폴리β-히드록시 부틸산, 폴리(락티드-코-글리콜리드), 및 폴리(락티드-코-카프로락톤)을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계 고분자;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의 생분해성 고분자와, 약물 및 용매를 포함하는 용액을 공급하기 위한 용액 공급부;
    상기 용액 공급부와 연결되며 용액을 에어로졸 입자로 분무하기 위한 분무 장치;
    상기 분무장치의 타측과 연결되고, 이로부터 분무된 에어로졸을 챔버로 이송시키기 위한 캐리어 가스가 충전된 캐리어가스 공급부;
    상기 분무된 에어로졸이 이송되는 챔버;
    상기 챔버를 둘러싸며 에어로졸을 건조하기 위해 온도센서 및 온도제어기가 장착된 가열기; 이때 상기 챔버의 입구보다 출구의 온도를 높게 설계하여 챔버 입구 온도 90∼140℃, 출구 온도 100∼160℃ 범위 내에서 챔버 내부가 온도 구배를 갖도록 가열기를 2개 이상 장착하고,
    상기 건조에 의해 생성된 미립구를 포집하기 위한 포집 필터 및 펌프가 구비된 포집기;를 구비한 약물 담지 미립구의 제조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분무장치는 초음파 진동자가 구비된 초음파 분무기 또는 전압기가 구비된 전기-수력학적 분무기인 것인 약물 담지 미립구의 제조장치.
KR1020100063863A 2010-07-02 2010-07-02 약물 담지 미립구의 제조방법 및 장치와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전립선 비대증 치료용 제제 KR201000831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3863A KR20100083118A (ko) 2010-07-02 2010-07-02 약물 담지 미립구의 제조방법 및 장치와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전립선 비대증 치료용 제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3863A KR20100083118A (ko) 2010-07-02 2010-07-02 약물 담지 미립구의 제조방법 및 장치와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전립선 비대증 치료용 제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4497A Division KR101005003B1 (ko) 2007-09-18 2007-09-18 약물 담지 미립구의 제조방법 및 장치와 이를 이용하여제조된 전립선 비대증 치료용 제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3118A true KR20100083118A (ko) 2010-07-21

Family

ID=42642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3863A KR20100083118A (ko) 2010-07-02 2010-07-02 약물 담지 미립구의 제조방법 및 장치와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전립선 비대증 치료용 제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8311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22251A (zh) * 2015-04-23 2015-06-24 福建师范大学 一种壳聚糖基多孔微球的制备方法
WO2018147660A1 (ko) * 2017-02-09 2018-08-16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정신질환 또는 중추신경계 질환 치료용 약물전달 제형
KR102628021B1 (ko) * 2023-11-13 2024-01-19 최민준 유기물 분해제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22251A (zh) * 2015-04-23 2015-06-24 福建师范大学 一种壳聚糖基多孔微球的制备方法
WO2018147660A1 (ko) * 2017-02-09 2018-08-16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정신질환 또는 중추신경계 질환 치료용 약물전달 제형
US11337929B2 (en) 2017-02-09 2022-05-24 Ajou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Drug delivery formulation for treating mental illness or central nervous system disorder
KR102628021B1 (ko) * 2023-11-13 2024-01-19 최민준 유기물 분해제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043167A1 (zh) 一种可快速植入型缓释微针贴片及其制备方法
EP2015737B1 (en) A process of preparing microspheres for sustained release having improved dispersibility and syringeability
ES2200375T3 (es) Metodos para fabricar preparaciones de liberacion controlada basadas en polimero.
US8071119B2 (en) Controlled release implantable dispensing device and method
Siepmann et al. Microparticles used as drug delivery systems
US20110177297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solid microstructure and solid microstructure manufactured based on same
ES2374623T3 (es) Método de preparación de una formulación mista de microesferas de liberación controlada mediante un proceso continuo de una etapa.
US20020111603A1 (en) Device for local administration of solid or semi-solid formulations and delayed-release formulations for proposal parental administration and preparation process
NZ336074A (en) Solid or semi-solid formulation for placement at a precise deposition site formulated for local effect
KR20090094811A (ko) 새로운 형태의 주입형 데포조성물 및 이를 조제하기 위한 방법
JP2008525436A (ja) 放出制御組成物
US8329863B2 (en) Gonadotropin releasing hormone antagonists
US20180214507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LONG TERM RELEASE OF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GnRH) ANTAGONISTS
US20070275082A1 (en) Preparation Method for Sustained Release Microspheres Using a Dual-Feed Nozzle
US20070122487A1 (en) (Poly(acryloyl-hydroxyethyl starch)-plga composition microspheres
KR20100083118A (ko) 약물 담지 미립구의 제조방법 및 장치와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전립선 비대증 치료용 제제
KR101005003B1 (ko) 약물 담지 미립구의 제조방법 및 장치와 이를 이용하여제조된 전립선 비대증 치료용 제제
CA2759807C (en) Controlled release dispensing device
JP6238401B2 (ja) 生理活性ペプチド徐放性微粒子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8038461A1 (ko) C18:1, c18:1(oh) 또는 c18:2의 장쇄 지방산이 포함된 오일류를 포함한 방출억제제를 적용한 서방출성 마이크로스피어 및 이의 제조방법
US20040224000A1 (en) Implants for non-radioactive brachytherapy of hormonal-insensitive cancers
KR20030081179A (ko) Lhrh 동족체를 함유하는 서방성 미립구의 제조방법
KR102412628B1 (ko) 전기분무 기술을 이용한 루프롤라이드 함유 서방성 미립구의 제조방법
RU2789057C2 (ru) КОМПОЗИЦИИ И СПОСОБЫ ДЛИТЕЛЬНОГО ВЫСВОБОЖДЕНИЯ АНТАГОНИСТОВ ГОНАДОТРОПИН-ВЫСВОБОЖДАЮЩЕГО ГОРМОНА (GnRH)
Rothen-Weinhold et al. Controlled and/or prolonged parental delivery of peptides from the hypothalmic pituitary ax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10725

Effective date: 20120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