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2523A -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2523A
KR20100082523A KR1020090001861A KR20090001861A KR20100082523A KR 20100082523 A KR20100082523 A KR 20100082523A KR 1020090001861 A KR1020090001861 A KR 1020090001861A KR 20090001861 A KR20090001861 A KR 20090001861A KR 20100082523 A KR20100082523 A KR 201000825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ress
value
address range
indoor
indoor uni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1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0849B1 (ko
Inventor
정운성
신진철
이승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018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0849B1/ko
Publication of KR20100082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25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0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08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4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using one central controller connected to several sub-contro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0Address allocation
    • H04L61/5046Resolving address allocation conflicts; Testing of addres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23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multiple indoor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 개 실내기의 어드레스를 고속으로 설정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은 하나의 실외기에 복수 개의 실내기가 연결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실외기는 상기 복수 개의 실내기에 어드레스 범위값을 전송하고, 상기 복수 개의 실내기는 상기 어드레스 범위값 중 임의의 값을 랜덤으로 선택하여 실내기 자신의 어드레스를 설정하며, 어드레스 설정 중 오류응답이 발생한 실내기의 어드레스만 다시 설정함으로서 어드레싱에 걸리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CONTROL METHOD OF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공기조화기를 업데이트하기 전에 어드레스를 부여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난방 또는 냉방을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장치로서, 실내기 및 실외기 상호간에 냉매를 순환시켜 액체상태의 냉매가 기화할 때에 주위의 열을 흡수하며 액화할 때에 그 열을 방출하는 특성에 의하여 난방 또는 냉방운전을 수행한다.
통상의 공기조화기는 하나의 실외기에 하나의 실내기를 연결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최근에는 하나의 실외기에 복수의 실내기를 연결하여 학교나 회사, 그리고 초고층 고급아파트와 같이 다수의 독립된 공간으로 구성된 건물에 대하여 냉난방을 수행하는 멀티형 시스템 공기조화기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멀티형 시스템 공기조화기는 하나의 실외기에 복수의 실내기를 연결하며, 실외기에는 중앙제어기를 연결하여 시스템 에어컨의 운전명령을 입력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시스템 공기조화기의 운전명령이 입력되면 실외기와 실내기에 각각 마련된 소프트웨어의 동작에 따라 운전 제어를 수행한다.
시스템 공기조화기의 운전 제어를 위한 실외기와 실내기 소프트웨어는 실외기와 실내기내에 탑재된 메모리에 저장되며, 메모리에 저장된 소프트웨어를 시스템 공기조화기의 사용자 요구 및 설치환경 등의 변화에 맞게 업데이트를 해야한다.
한편, 건물 내에 설치된 다수의 실내기와 실외기들을 업데이트하기 위해서는 건물내에 얼마나 많은 수의 실내외기가 있는지 알아내야 하며, 이를 위해 실내외기에 어드레스를 부여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복수 개 실내기의 어드레스를 고속으로 설정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은 하나의 실외기에 복수 개의 실내기가 연결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실외기는 상기 복수 개의 실내기에 어드레스 범위값을 전송하고, 상기 복수 개의 실내기는 상기 어드레스 범위값 중 임의의 값을 랜덤으로 선택하여 실내기 자신의 어드레스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어드레스 범위값을 전송하는 것은, 상기 실외기에서 상기 복수 개의 실내기에 상기 어드레스 범위값을 동시에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어드레스 범위값 중 임의의 값을 랜덤으로 선택하는 것은, 상기 실내기에 어드레스 범위값이 전송되면 상기 실내기는 자신의 어드레스값을 초기화한 후 상기 어드레스 범위값 중 임의의 값을 랜덤으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내기 자신의 어드레스를 설정하는 것은, 상기 실외기에서 상기 어드레스 범위값 중 임의의 값을 호출하면, 상기 호출된 임의의 값을 선택한 실내기가 응답하며, 상기 응답한 실내기의 어드레스는 상기 호출된 임의의 값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어드레스 범위값 중 임의의 값을 호출하는 것은, 상기 어드레스 범위값 중 가장 작은 값부터 가장 큰 값까지 순차적으로 호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응답한 실내기의 어드레스가 상기 호출된 임의의 값으로 설정되는 것은, 상기 실내기의 오류응답이 없을 때 상기 실내기의 어드레스가 호출된 임의의 값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호출된 임의의 값을 동일하게 선택한 실내기가 복수 개이면, 상기 응답한 실내기의 어드레스는 상기 호출된 임의의 값으로 정해지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호출된 임의의 값을 선택한 실내기가 없으면, 상기 실외기는 상기 어드레스 범위값 중 호출된 임의의 값과 다른 값을 호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외기는 상기 실내기의 응답 중 오류응답이 있는지 확인하고, 상기 오류응답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오류응답한 실내기에 상기 어드레스 범위값과 다른 어드레스 범위값을 전송하고, 상기 오류응답한 실내기는 상기 다른 어드레스 범위값 중 임의의 값을 랜덤으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외기는 상기 어드레스 범위값을 모두 호출하고 나면, 상기 복수 개의 실내기에 어드레스가 모두 설정되었는지 확인하고, 상기 복수 개의 실내기에 어드레스가 모두 설정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어드레스가 설정되지 않은 실내기에 상기 어드레스 범위값과 다른 어드레스 범위값을 전송하고, 상기 실내기는 상기 다른 어드레스 범위값 중 임의의 값을 랜덤으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은 하나의 실외기에 복수 개의 실내기가 연결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실외기는 상기 복수 개의 실내기에 어드레스 범위값을 전송하고, 상기 복수 개의 실내기는 상기 어드레스 범위값 중 임의의 값을 랜덤으로 선택하여 실내기 자신의 어드레스로 설정하며, 상기 설정된 실내기의 어드레스가 중복되면, 중복된 실내기의 어드레스를 다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내기 자신의 어드레스를 설정하는 것은, 상기 실외기에서 상기 어드레스 범위값 중 임의의 값을 호출하면, 상기 호출된 임의의 값을 선택한 실내기가 응답하며, 상기 응답한 실내기의 어드레스는 상기 호출된 임의의 값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설정된 실내기의 어드레스가 중복되는 것은, 상기 실외기가 호출한 임의의 값을 선택한 실내기가 복수 개 존재하여 복수의 응답이 발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복된 실내기의 어드레스를 다시 설정하는 것은, 상기 어드레스 범위값과 다른 어드레스 범위값을 전송하고, 상기 어드레스가 중복된 실내기는 상기 다른 어드레스 범위값 중 임의의 값을 랜덤으로 선택하여 어드레스를 다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어드레스 범위값 중 임의의 값을 랜덤으로 선택하여 실내기 자신의 어드레스로 설정하고, 어드레스 설정 중 오류응답이 발생한 실내기의 어드레스만 다시 설정함으로서 어드레싱에 걸리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실내기들(104a~104h)과 단일의 실외기(102)는 냉매관(108)을 통해 연결되어 하나의 냉매 사이클을 이룬다. 또, 실외기(102)와 실내기들(104a~104h)은 하나의 통신 라인(106)을 통해 공통으로 연결되는 멀티포인트 통신 구조를 갖고 실외기(102)의 주도하에 통신이 이루어진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외기(102)는 제어부(10), 통신부(20) 및 메모리(30)를 포함하고, 복수의 실내기(104a~104h)는 각각 제어부(40), 통신부(50) 및 메모리(60)를 포함하며, 실내기(104a~104h)의 설치 수(예를 들면, N개)만큼 복수 개로 공용 통신선에 연결되어 실외기(102)와 통신한다.
실외기(102)의 제어부(10)는 실내기(104a~104h)에 전송할 어드레스 범위값을 설정하며, 설정된 어드레스 범위값 중 임의의 값을 호출하여 실내기(104a~104h)의 어드레스를 설정하게 된다.
즉, 실외기(102)의 제어부(10)는 복수 개의 실내기(104a~104h)에 일정 범위의 어드레스 범위값(예를 들면,X1~XN)을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실외기(102)로부터 어드레스 범위값을 전송받은 실내기(104a~104h)는 그 범위내에서 랜덤으로 임의의 값을 선택하며, 실외기의 제어부(10)가 상술한 어드레스 범위값 중 가장 작은 값(X1)부터 가장 큰 값(XN)까지 순차적으로 호출하면, 호출된 어드레스 값을 선택 한 실내기가 응답하게 되며, 응답한 실내기의 어드레스를 호출된 값으로 설정하게 되는 것이다.
다만, 실외기(102)의 제어부(10)는 상술한 과정에서 호출된 어드레스 값을 선택한 실내기(104a~104h)가 복수 개이면, 동일한 어드레스 값을 선택한 실내기(104a~104h)의 어드레스는 확정하지 않으며, 다음 순서의 어드레스를 호출함으로서, 나머지 실내기(104a~104h)의 주소를 확정하도록 제어한다.
이후로, 동일한 어드레스 값을 선택한 실내기(104a~104h)는 이전에 전송한 어드레스 범위값과 다른 어드레스 범위값을 전송받으며, 그 범위 내에서 임의의 어드레스값을 랜덤으로 선택하여 자신의 어드레스를 다시 선택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은 복수 개의 실내기(104a~104h)에 어드레스가 모두 설정될 때까지 반복된다.
실외기(102)의 통신부(20)는 통신선을 통해 실내기(104a~104h)에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회로이다. 즉, 실외기(102)의 제어부(10)에서 실내기(104a~104h)에 전송할 어드레스 범위값을 확정하면, 그 정보를 전달받아 복수 개의 실내기(104a~104h)에 동시에 전송하게 된다. 또한, 실외기(102)의 제어부(10)에서 어드레스 범위 값 중 임의의 값을 호출하면, 호출된 어드레스 값을 선택한 실내기(104a~104h)에서 응답하게 되는데, 이 응답에 대한 정보를 실내기(104a~104h)로부터 전송받아 실외기(102)의 제어부(10)에 전송하게 된다.
실외기(102)의 메모리(30)는 ROM, FLASH ROM 또는 OTP로 구성된 영구기억장치로, 실외기(102)의 운전을 제어하기 위한 실외기 제어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운전 제어 소프트웨어)와,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업데이 트관리소프트웨어 등 실외기(102)의 모든 소프트웨어를 저장한다. 또한, 실내기(104a~104h)에 전송한 어드레스범위값을 저장하고 있으며, 실외기(102)의 제어부(10)는 메모리(30)에 저장된 어드레스 범위값 중 가장 작은 값부터 가장 큰 값까지 순차적으로 실내기(104a~104h)에 호출한다.
실내기(104a~104h)의 제어부(40)는 실내기(104a~104h)의 모든 소프트웨어를 관장하며 실내기(104a~104h)의 제반동작을 제어하는 MCU(Micro Control Unit)이다. 또한, 실내기(104a~104h)의 제어부(40)는 실외기(102)로부터 어드레스 범위값이 전송되면, 그 범위내에서 실내기(104a~104h) 자신의 어드레스로 사용할 임의의 값을 랜덤으로 선택하게 된다. 이후, 실외기(102)로부터 임의의 어드레스값에 대한 호출명령이 오면, 실내기(104a~104h) 자신이 선택한 어드레스값과 동일한지 확인하고, 그 값이 동일한 것으로 확인되면 실외기(102)에 응답함으로서 어드레스를 설정하게 된다.
실내기(104a~104h)의 통신부(50)는 통신선을 통해 실외기(102)에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회로이다. 즉, 실외기(102)의 통신부(20)로부터 전송되는 어드레스 범위값을 수신하거나, 실외기(102)의 호출에 대한 응답신호를 보낼 수 있다.
실내기(104a~104h)의 메모리(60)는 실내기(104a~104h)의 운전을 제어하기 위한 실내기 제어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운전 제어 소프트웨어)와,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업데이트관리소프트웨어 등 실외기(102)의 모든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고 있다. 또한, 실내기(104a~104h)의 메모리(60)는 기존에 설 정된 어드레스값을 저장하고 있으며, 실외기(102)로부터 전송된 어드레스 범위값 중 랜덤으로 임의의 어드레스값이 설정되면, 기존에 설정된 어드레스값은 삭제되며 새롭게 설정된 어드레스값을 저장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어드레스 설정방법에 대한 타이밍 차트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외기(102)에서 복수 개의 실내기(104a~104h)에 어드레스 범위값(예를들면,X1~XN)을 송신하면(200), 복수 개의 실내기(104a~104h)는 전송받은 어드레스 범위값 중 임의의 값을 랜덤으로 선택한다. 즉, 실외기(102)에서 어드레스 설정 준비 명령을 하고, 어드레스 범위값을 복수 개의 실내기(104a~104h)에 동시에 전송하면, 복수 개의 실내기(104a~104h)는 메모리(60)에 저장되어 있던 기존의 어드레스를 초기화한 후, 전송된 범위(예를들면,X1~XN)내에서 랜덤하게 임의의 어드레스값을 선택한다.(210)
다음으로, 실외기(102)는 실내기(104a~104h)가 자신의 어드레스를 초기화한 후, 임의의 어드레스값을 선택할 수 있도록 일정 시간을 대기하며,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어드레스 범위값(예를들면,X1~XN) 중 가장 작은 값(X1)부터 가장 큰 값(XN)까지 순차적으로 호출한다. 즉, 실외기(102)는 실내기(104a~104h)에 y호출신호를 전송하는데, y값은 어드레스 범위값(예를들면,X1~XN) 중 하나의 값을 의미하며, y호출신호는 어드레스 범위값(예를들면,X1~XN) 중 가장 작은 값(X1)부터 가장 큰 값(XN)까지 순차적으로 호출하는 신호를 의미한다.(220)
다음으로, 실내기(104a~104h)는 어드레스 범위값 중 랜덤하게 선택한 임의의 값이 실외기(102)가 호출한 y값과 동일하면 응답한다. 즉, 실내기(104a~104h)는 실외기에서 호출한 y값과 임의로 선택한 어드레스값이 동일한지 비교하고, 동일하면 실외기(102)에 y응답신호를 보낸다.(230,240) 한편, 실외기(102)에서 호출한 y값과 실내기(104a~104h)에서 선택한 어드레스값이 동일하지 않으면 무응답을 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4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실외기(102)는 y응답신호를 받으면 그 신호의 정확성을 확인하고, 신호가 정확한 것으로 확인되면 응답한 실내기(104a~104h 중 하나)에 y확정신호를 전송한다. 여기서 실외기(102)가 신호의 정확성을 확인하는 것은 실내기(104a~104h 중 하나)의 응답이 오류응답인지 확인하는 것이며, 오류응답은 실내기(104a~104h)에서 전송되는 데이터에 오류가 있는 응답으로서, 깨진 패킷이 전송되거나 호출한 y값과 다른 y응답신호가 전송되면 오류응답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250,260)
다음으로, 실외기(102)의 호출에 응답한 실내기(104a~104h 중 하나)는 y확정신호를 전송받으면 랜덤으로 선택한 어드레스 즉, 응답한 y값을 자신의 어드레스로 확정하게 된다.(270)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어드레스 설정방법에 대한 타이밍 차트이며, 도 3과 동일한 단계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병기한다.
도 3에서는 실외기(102)의 y호출신호에 대해 y와 동일한 어드레스값을 선택한 실내기(104a~104h 중 하나)가 존재하여 y응답신호를 전송하였지만, 도 4에서는 y호출신호에 대해 y와 동일한 어드레스값을 선택한 실내기가 존재하지 않아 y응답 신호가 없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외기(102)에서 복수 개의 실내기(104a~104h)에 어드레스 범위값(예를들면,X1~XN)을 동시에 송신하면(200), 복수 개의 실내기(104a~104h)는 전송받은 어드레스 범위값(예를들면,X1~XN) 중 임의의 값을 랜덤으로 선택하고(210), 실외기(102)는 실내기(104a~104h)가 자신의 어드레스를 초기화한 후, 임의의 어드레스값을 선택할 수 있도록 일정 시간을 대기하며,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어드레스 범위값 중 가장 작은 값부터 가장 큰 값까지 순차적으로 호출하는 y호출신호를 전송한다(220).
다음으로, 실내기(104a~104h)에서 랜덤으로 선택한 어드레스가 실외기(102)가 호출하는 y와 동일하지 않으면, 실내기(104a~104h)는 무응답을 하게 된다(230',240').
이 때, 실외기(102)는 y호출신호에 대해 일정 시간동안 실내기(104a~104h)의 응답이 없으면, 호출한 y와 동일한 어드레스를 선택한 실내기(104a~104h)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다음 순서의 y값을 호출하는 y호출신호를 전송한다.(280')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어드레스 설정방법에 대한 타이밍 차트이며, 도 3과 동일한 단계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병기한다.
도 3에서는 실외기(102)의 y호출신호에 대해 하나의 실내기(104a~104h 중 하나)만이 응답한 것을 설명하는 구성이나, 도 5에서는 y호출신호에 대해 복수 개의 실내기(104a~104h 중 2개 이상)가 동시에 응답한 경우를 처리하는 구성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외기(102)에서 복수 개의 실내기(104a~104h)에 어드레스 범위값(예를들면,X1~XN)을 동시에 전송하면(200), 복수 개의 실내기(104a~104h)는 전송받은 어드레스 범위값 중 임의의 값을 랜덤으로 선택한다(210).
다음으로, 실외기(102)는 실내기(104a~104h)가 자신의 어드레스를 초기화한 후, 임의의 어드레스값을 선택할 수 있도록 일정 시간을 대기하며,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어드레스 범위값(예를들면,X1~XN) 중 가장 작은 값(X1)부터 가장 큰 값(XN)까지 순차적으로 호출한다. 즉, y호출신호를 전송한다(220).
다음으로, 실내기(104a~104h)는 어드레스 범위값 중 랜덤하게 선택한 임의의 값이 실외기(102)가 호출한 y값과 동일하면 y응답신호를 전송한다(230,240).
이 때, 복수 개의 실내기(104a~104h 중 2개이상)에서 랜덤으로 선택한 어드레스값이 동일하면 복수 개의 y응답신호가 발생하게 되며, 복수 개의 y응답신호는 시간차에 의해 데이터가 깨지게 된다. 이로 인해, 실외기(102)는 깨진 패킷을 전송받게 되므로 호출에 응답한 실내기들(104a~104h 중 2개이상)의 주소를 확정하지 않고, 다음 순서의 y값을 호출하여 다른 실내기(104a~104h)의 어드레스를 설정하는 단계를 진행한다(280'').
이 때, 동일한 y값에 대해 응답한 복수 개의 실내기(104a~104h 중 2개이상)들은 나머지 실내기들(104a~104h)의 어드레스 설정이 완료되면, 상술한 어드레스 범위값(예를들면,X1~XN)과 다른 어드레스 범위값(예를들면,XN+1~XM)을 전송받고, 그 범위 내에서 임의의 값을 다시 선택하여 어드레스를 다시 설정하게 되며, 이 과 정은 실내기(104a~104h)에 어드레스가 모두 설정될 때까지 반복되며, 도 6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어드레스 설정방법에 대한 타이밍 차트이며, 도 3과 동일한 단계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병기한다.
실외기(102)에서 복수 개의 실내기(104a~104h)에 어드레스 범위값(예를들면,X1~XN)을 전송하면(200), 복수 개의 실내기(104a~104h)는 전송받은 어드레스 범위값 중 임의의 값을 랜덤으로 선택한다.(210)
다음으로, 실외기(102)는 실내기(104a~104h)가 자신의 어드레스를 초기화한 후, 임의의 어드레스값을 선택할 수 있도록 일정 시간을 대기하며,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어드레스 범위값(예를들면,X1~XN) 중 가장 작은 값(X1)부터 가장 큰 값(XN)까지 순차적으로 호출한다. 즉, Y호출신호를 전송한다(220).
다음으로, 실내기(104a~104h)는 어드레스 범위값 중 랜덤하게 선택한 임의의 값이 실외기(102)가 호출한 y값과 동일하면 y응답신호를 전송한다(230,240).
다음으로, 실외기(102)는 y응답신호를 수신하면 그 신호의 정확성을 확인하고, 신호가 정확한 것으로 확인되면 응답한 실내기(104a~104h 중 하나)에 y확정신호를 전송한다.(250,260)
다음으로, 실외기(102)의 호출에 응답한 실내기(104a~104h 중 하나)는 y확정신호를 전송받으면 랜덤으로 선택한 어드레스 즉, 응답한 y값을 자신의 어드레스로 확정하게 된다.(270)
다음으로, 실외기(102)는 전송한 y값이 어드레스 범위값 중 가장 큰 값(예를 들면, XN)에 도달하였는지 확인하고, 전송된 y값이 어드레스 범위값 중 가장 큰 값에 도달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다음 순서의 y값을 호출하는 y호출신호를 전송한다(275,280).
한편, 도 6에서는 y호출신호를 전송하는 경우를 도 3에서와 같이 임의의 실내기의 어드레스를 확정한 경우(280)로 설명하였지만, 도 4에서와 같이 y호출신호에 대해 일정시간 동안 실내기(104a~104h)의 응답이 없는 경우(280'), 도 5에서와 같이 y호출신호에 대해 복수 개의 실내기(104a~104h)의 응답이 있는 경우(28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실외기(102)가 전송한 어드레스 범위값의 가장 큰 값(예를 들면, XN)까지 y호출신호를 전송하여 실내기(104a~104h)의 어드레스를 설정하고 나면, y응답신호 중 오류응답이 1회 이상 있었는지 확인한다.(290)
다음으로, 실외기(102)의 호출에 대한 실내기(104a~104h)의 응답신호에 오류응답이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면 새로운 어드레스 범위값(예를들면,XN+1~XM)을 설정하여 어드레스가 정해지지 않은 실내기(104a~104h)에 전송한다.(340)
이후, 상술한 과정을 계속적으로 반복하여 실내기(104a~104h)에 어드레스가 모두 설정되게 한다.
다음으로, 실외기(102)의 제어부(10)는 상술한 과정에 의해 오류응답없이 실내기(104a~104h)에 모두 어드레스가 설정된 것으로 판단되면 실내기(104a~104h)에 누락확인신호를 전송한다(300). 실내기(104a~104h)는 누락확인신호를 전송받으면, 실내기(104a~104h) 자신의 어드레스가 확정되었는지 확인하고, 어드레스가 확정되 지 않은 실내기(104a~104h)는 누락응답신호를 실외기(102)에 전송한다.(310,320)
다음으로, 실외기(102)는 누락확인신호를 실내기(104a~104h)에 전송한 후 일정시간 동안 누락응답신호가 있는지 확인하고, 누락응답신호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새로운 어드레스 범위값(예를들면, XM+1~Xo)을 설정하여 실내기에 전송하며, 어드레스가 확정되지 않은 실내기(104a~104h)는 상술한 과정에 의해 어드레스를 확정하게 된다.(330,340)
한편, 실외기(102)의 누락확인신호에 대해 일정 시간 동안 실내기(104a~104h)의 누락응답신호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면, 실외기(102)는 실내기(104a~104h)의 어드레싱 작업을 종료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제어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어드레스 설정방법에 대한 타이밍 차트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어드레스 설정방법에 대한 타이밍 차트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어드레스 설정방법에 대한 타이밍 차트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어드레스 설정방법에 대한 타이밍 차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실외기의 제어부 20 : 실외기의 통신부
30 : 실외기의 메모리 40 : 실내기의 제어부
50 : 실내기의 통신부 60 : 실내기의 메모리
102 : 실외기 104 : 실내기

Claims (14)

  1. 하나의 실외기에 복수 개의 실내기가 연결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실외기는 상기 복수 개의 실내기에 어드레스 범위값을 전송하고,
    상기 복수 개의 실내기는 상기 어드레스 범위값 중 임의의 값을 랜덤으로 선택하여 실내기 자신의 어드레스를 설정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 범위값을 전송하는 것은,
    상기 실외기에서 상기 복수 개의 실내기에 상기 어드레스 범위값을 동시에 전송하는 것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 범위값 중 임의의 값을 랜덤으로 선택하는 것은,
    상기 실내기에 어드레스 범위값이 전송되면 상기 실내기는 자신의 어드레스값을 초기화한 후 상기 어드레스 범위값 중 임의의 값을 랜덤으로 선택하는 것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 자신의 어드레스를 설정하는 것은,
    상기 실외기에서 상기 어드레스 범위값 중 임의의 값을 호출하면, 상기 호출된 임의의 값을 선택한 실내기가 응답하며,
    상기 응답한 실내기의 어드레스는 상기 호출된 임의의 값으로 설정되는 것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 범위값 중 임의의 값을 호출하는 것은,
    상기 어드레스 범위값 중 가장 작은 값부터 가장 큰 값까지 순차적으로 호출하는 것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한 실내기의 어드레스가 상기 호출된 임의의 값으로 설정되는 것은,
    상기 실내기의 오류응답이 없을 때 상기 실내기의 어드레스가 호출된 임의의 값으로 설정되는 것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된 임의의 값을 동일하게 선택한 실내기가 복수 개이면,
    상기 응답한 실내기의 어드레스는 상기 호출된 임의의 값으로 정해지지 않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된 임의의 값을 선택한 실내기가 없으면,
    상기 실외기는 상기 어드레스 범위값 중 호출된 임의의 값과 다른 값을 호출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기는 상기 실내기의 응답 중 오류응답이 있는지 확인하고,
    상기 오류응답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오류응답한 실내기에 상기 어드레스 범위값과 다른 어드레스 범위값을 전송하고,
    상기 오류응답한 실내기는 상기 다른 어드레스 범위값 중 임의의 값을 랜덤으로 선택하여 어드레스를 다시 설정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기는 상기 어드레스 범위값을 모두 호출하고 나면,
    상기 복수 개의 실내기에 어드레스가 모두 설정되었는지 확인하고,
    상기 복수 개의 실내기에 어드레스가 모두 설정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어드레스가 설정되지 않은 실내기에 상기 어드레스 범위값과 다른 어드레스 범위값을 전송하고,
    상기 어드레스가 설정되지 않은 실내기는 상기 다른 어드레스 범위값 중 임의의 값을 랜덤으로 선택하여 어드레스를 다시 설정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1. 하나의 실외기에 복수 개의 실내기가 연결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실외기는 상기 복수 개의 실내기에 어드레스 범위값을 전송하고,
    상기 복수 개의 실내기는 상기 어드레스 범위값 중 임의의 값을 랜덤으로 선택하여 실내기 자신의 어드레스로 설정하며,
    상기 설정된 실내기의 어드레스가 중복되면, 중복된 실내기의 어드레스를 다시 설정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 자신의 어드레스를 설정하는 것은,
    상기 실외기에서 상기 어드레스 범위값 중 임의의 값을 호출하면, 상기 호출된 임의의 값을 선택한 실내기가 응답하며,
    상기 응답한 실내기의 어드레스는 상기 호출된 임의의 값으로 설정되는 것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실내기의 어드레스가 중복되는 것은,
    상기 실외기가 호출한 임의의 값을 선택한 실내기가 복수 개 존재하여 복수의 응답이 발생하는 것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중복된 실내기의 어드레스를 다시 설정하는 것은,
    상기 어드레스 범위값과 다른 어드레스 범위값을 전송하고,
    상기 어드레스가 중복된 실내기는 상기 다른 어드레스 범위값 중 임의의 값을 랜덤으로 선택하여 어드레스를 다시 설정하는 것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1020090001861A 2009-01-09 2009-01-09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1016108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1861A KR101610849B1 (ko) 2009-01-09 2009-01-09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1861A KR101610849B1 (ko) 2009-01-09 2009-01-09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2523A true KR20100082523A (ko) 2010-07-19
KR101610849B1 KR101610849B1 (ko) 2016-04-08

Family

ID=42642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1861A KR101610849B1 (ko) 2009-01-09 2009-01-09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08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9744B1 (ko) * 2017-03-17 2019-0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1895B1 (ko) * 2002-01-10 2004-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품 주소 설정방법
JP2008096080A (ja) * 2006-10-16 2008-04-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におけるアドレス設定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0849B1 (ko) 2016-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46189B2 (ja) エアコンの中央制御システム及びその動作方法
CN1791108B (zh) 多型空调机及其分组单元控制方法
CN110762604B (zh) 室内机及其与线控器的配对方法、装置、存储介质及空调
US20210156584A1 (en) Data Sending Method, Multi-Connected System,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11397175A (zh) 具有多种控制方式的控制设备、控制方法及空调机组
CN101551153B (zh) 多联式空调系统和多联式空调系统自动定址方法
US11874004B2 (en) Ventilation control device and ventilation system
KR100791928B1 (ko) 시스템 에어컨의 통신에러 진단방법
US20100256787A1 (en) Building equipment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708256B2 (ja) 空気調和装置のアドレス設定装置
JP2011242030A (ja) 空調制御装置
JP2009097829A (ja) 空気調和装置の集中制御システム
KR20100082523A (ko)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US20220333793A1 (en) OUTDOOR UNIT, AIR-CONDITIONING SYSTEM, AND RECORDING MEDIUM (as amended)
KR100916665B1 (ko)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3465222B2 (ja) 空調システム
CN107101342B (zh) 一种空调控制方法、装置及系统
JP2018056725A (ja) 通信システム、通信システムに用いるマスター機およびスレーブ機、ならびに通信システム内のアドレス割り当て方法
KR20050026593A (ko)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
KR101290729B1 (ko) 공기조화시스템 및 그 옵션설정방법
US20210289352A1 (en) Bluetooth mesh network system and provision method having quick provisioning mechanism
KR100529949B1 (ko) 에어컨의 중앙제어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JP3164934B2 (ja) 空気調和機のアドレス設定装置
KR100712922B1 (ko) 네트워크 통합시스템
JP7433089B2 (ja) 通信システム、管理装置、管理対象機器及び運転情報の取得周期決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