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1400A - 메모리 카드 리더 소켓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 Google Patents

메모리 카드 리더 소켓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1400A
KR20100081400A KR1020090000624A KR20090000624A KR20100081400A KR 20100081400 A KR20100081400 A KR 20100081400A KR 1020090000624 A KR1020090000624 A KR 1020090000624A KR 20090000624 A KR20090000624 A KR 20090000624A KR 20100081400 A KR20100081400 A KR 201000814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ry card
card reader
socket
portable terminal
upp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0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준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Priority to KR1020090000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81400A/ko
Publication of KR20100081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14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16Mechanical arrangements for accommodating identification devices, e.g. cards or chips; with connectors for programming identification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n electrical connector modu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되는 외장 메모리 카드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메모리 카드 리더 소켓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가 개시된다. 휴대용 단말기는 상부 케이스 및 상부 케이스와 힌지를 통해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하부 케이스를 포함하되, 하부 케이스는 일측면에 메모리 카드가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 리더의 착탈을 위한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메모리 카드 리더 소켓이 설치된다. 따라서, 메모리 카드가 장착된 메모리 카드 리더를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탈거한 후 외부 장치에 곧바로 연결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메모리 카드의 이용 편의성이 향상된다.
휴대용 단말기, 카드 리더, T-Flash, USB, 메모리

Description

메모리 카드 리더 소켓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Portable Terminal Having Socket for Memory Card Reader}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장 메모리 카드가 장착되는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는 메모리 카드 리더 소켓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이동통신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포터블 게임기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는 프로세서 기술의 급속한 발전 및 메모리의 대용량화에 따라 점점 더 많은 기능 및 어플리케이션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된 어플리케이션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외장 메모리 카드가 절실하게 필요하게 되었고, 이와 같은 요구를 반영하여 최근의 휴대용 단말기에는 메모리 카드를 착탈할 수 있는 소켓이 구비되고 있다.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의 종류에는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SDHC(Secure Digital High Capacity), XD, MMC(MultiMedia Card), T-flash(MicroSD) 등이 있고, 휴대용 단말기의 종류 및 외형적인 크기에 따라 장착되는 메모리의 종류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PDA와 같이 비교적 외형이 큰 휴대용 단말기의 경우에는 CF 또는 SD 메모리 카드가 장착될 수 있고, 이동통신 단말기와 같이 비교적 외형이 작은 경우에는 T-flash 메모리가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이를 위해 이동 통신 단말기에는 T-flash 메모리 카드를 장착할 수 있는 소켓이 구를 장착할 수 있는 소켓을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되는 T-flash 메모리 카드를 컴퓨터 등과 같은 다른 장치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T-flash 메모리 카드를 이동통신 단말기의 소켓으로부터 탈거한 후 SD 메모리 카드 형태의 카드 어댑터에 장착하고, 다시 SD 메모리 카드 형태의 카드 어댑터를 USB를 통해 연결할 수 있는 메모리 카드 리더에 장착한 후 메모리 카드 리더를 컴퓨터에 구비된 USB 소켓에 연결해서 사용해야 한다.
따라서, T-flash 메모리 카드에 저장된 데이터를 다른 장치에 복사하거나 다른 장치로부터 T-flash 메모리 카드에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서는 SD 메모리 카드 형태의 카드 어댑터 및 USB 연결 형태의 메모리 카드 리더를 구비하여야 하고, 상기한 바와 같은 연결 방식을 통해 외부 장치에 연결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이 매우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되는 외장 메모리 카드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메모리 카드 리더 소켓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메모리 카드 리더 소켓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는 상부 케이스 및 상기 상부 케이스와 힌지를 통해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하부 케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하부 케이스는 일측면에 메모리 카드가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 리더의 착탈을 위한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메모리 카드 리더 소켓이 설치된다. 상기 메모리 카드 리더 소켓에는 상기 메모리 카드 리더가 장착될 때 미리 설정된 거리 이상 상기 상부 케이스의 내부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톱퍼(stopper)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카드 리드 소켓은 상기 USB 인터페이스 규격에 상응하고 상기 메모리 카드 리더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접속 단자핀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카드 리더는 USB 인터페이스 규격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접속단자가 형성된 상부 하우징 및 상기 상부 하우징과 대향하여 결합하고, 상기 상부 하우징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는 하부 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상부 하우징의 저면에는 장착된 메모리 카드와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회로기판이 설치되고, 상기 회로기판의 저면에는 상기 장착된 메모리 카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접속단자핀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하우징의 후단부에는 상기 메모리 카드 리더를 상기 메모리 카드 리더 소켓으로부터 탈거 하기 위한 외력이 가해지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메모리 카드 리더 소켓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 따르면, 메모리 카드가 탈착될 수 있는 USB 인터페이스 규격의 메모리 카드 리더를 탈착하기 위한 메모리 카드 리더 소켓이 휴대용 단말기의 케이스에 형성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된 메모리 카드를 별도의 메모리 카드 어댑터 및 USB 방식의 메모리 카드 리더에 장착한 후 외부 장치에 연결하지 않고도 메모리 카드가 장착된 메모리 카드 리더를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탈거한 후 외부 장치에 곧바로 연결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메모리 카드의 이용 편의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 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외장형 메모리 카드는 T-flash 메모리 카드가 사용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카드 리더 소켓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본체부(100)와 슬라이드부(200)로 구성될 수 있고, 본체부(100)와 슬라이드부(200)는 슬라이드 힌지(미도시)를 통해 기계적으로 결합되어 슬라이드부(200)가 본체부(100)를 기준으로 슬라이드 업(slide up) 또는 슬라이드 다운(slide down)되는 슬라이드 방식의 개폐 방식을 가질 수 있다.
본체부(100)의 상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키를 포함하는 키패드(101) 및 마이크(103)가 설치되고, 본체부의 일측면에는 이어폰 단자(105) 및 멀티태스킹 버튼(107)이 설치된다.
또한, 본체부(100)의 일측면에는 메모리 카드 리더(memory card reader)(300)를 탈착하기 위한 메모리 카드 리더 소켓(150)이 구비된다. 여기서 메모리 카드 리더(300)는 메모리 카드(400)(예를 들면, T-flash)를 탈착할 수 있는 메모리 카드 소켓을 구비하고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를 구비하여 USB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와 데이터 또는 컴퓨터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
슬라이드부(200)는 상면에 LCD 또는 OLED 방식의 디스플레이 장치(201)와, 스피커(203), 카메라(205) 및 보조 키패드(207) 등이 설치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I-I'선을 따라 절단한 면을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메모리 카드 리더 소켓에 메모리 카드 리더가 장착된 경우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본체부는 상부 하우징(110) 및 하부 하우징(120)이 결합하여 본체부 케이스를 형성하고, 상부 하우징과 하우 하우징 사이에는 메모리 카드 리더(300)가 장착될 수 있는 메모리 카드 리더 소켓(150)이 형성된다.
또한, 상부 하우징(110) 및 하부 하우징(120)이 결합하는 일측면에는 메모리 카드 리더 소켓(150)의 개구부(151)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151)를 구성하는 상부 하우징(110)에는 안내홈(111)이 형성되어 메모리 카드 리더 소켓(150)에 장착된 메모리 카드 리더(300)를 탈거할 때 사용자가 메모리 카드 리더(300)의 헤드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체부(100)의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 사이에는 메인 인쇄회로기 판(Printed Circuits Board)(113)이 설치되고 메인 인쇄회로기판(113)에는 메모리 카드 리더(300)에 설치된 전기접속단자(3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전기접속단자(311)와 동일한 개수의 전기접속단자핀(155)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전기접속단자핀(155) 및 전기접속단자핀이 설치된 메인인쇄회로기판(113)은 USB 인터페이스 규격에 적합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메모리 카드 리더 소켓(150)에는 스톱퍼(stopper)(153)가 설치되어 메모리 카드 리더(300)가 메모리 카드 리터 소켓(150)에 장착되는 경우 사용자가 제공한 외력에 의해 메모리 카드 리더(300)가 미리 지정된 거리 이상 본체부 케이스의 내부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상기 스톱퍼는 메인 인쇄회로기판(113)의 하면에 설치될 수도 있고, 본체부(100)의 상부 하우징(110) 또는 하부 하우징(120)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카드 리더 소켓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서는 메모리 카드 소켓(도 4의 350 참조)이 구비된 메모리 카드 리더(300)를 탈착할 수 있는 메모리 카드 리더 소켓(110)을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하여 메모리 카드(400)를 다른 장치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에서와 같이 메모리 카드만을 탈거하여 별도의 메모리 카드 어댑터 및 USB 방식의 메모리 카드 리더에 장착한 후 외부 장치에 연결하지 않고 메모리 카드(400)가 장착된 메모리 카드 리더(300)를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탈거한 후 외부 장치에 곧바로 연결할 수 있게 함으로써 메모리 카드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카드 리더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 3의 (a)는 메모리 카드 리더의 상면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3의 (b)는 메모리 카드가 장착된 메모리 카드 리더의 하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메모리 카드 리더(300)의 상부 하우징(310)의 선단부에는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된 전기접속단자핀(155)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복수의 전기 접속 단자(311)이 설치된다. 또한, 전기 접속 단자(311)는 휴대용 단말기 뿐만 아니라 USB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모든 외부 장치와 호환될 수 있도록 USB 인터페이스 규격을 만족하도록 설치된다.
메모리 카드 리더(300)의 상부 하우징(310)의 후단부에는 깊이 방향으로 소정 깊이의 홈(313)이 형성되어 메모리 카드 리더 소켓(150)으로부터 메모리 카드 리더(300)를 탈거하는 경우 사용자가 상기 홈(313)에 손톱 등을 삽입하여 용이하게 외력을 가할 수 있도록 한다.
메모리 카드 리더(300)의 길이 방향 일 측면에는 메모리 카드(400)를 탈착할 수 있는 메모리 카드 소켓(350)이 형성된다.
또한, 메모리 카드 리더(300)의 하부 하우징(330)의 후단부는 상부 하우징(310) 보다 소정 길이만큼 짧게 형성되어 메모리 카드 리더(300)로부터 메모리 카드(400)의 탈착을 용이하게 하고, 사용자가 메모리 카드(400)의 탈착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메모리 카드 리더의 II-II'선을 따라 절단한 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메모리 카드 리더(300)는 상부 하우징(310)과 하우 하우징(330)이 결합되어 케이스를 구성하고, 케이스의 내부에는 메모리 카드 소켓(350)이 마련되어 외장 메모리 카드(400)가 탈착될 수 있도록 한다.
메모리 카드 리더(300)의 상부 하우징(310)의 저면부에는 회로기판(320)이 설치되고 회로 기판(320)은 상부 하우징(310)의 선단부에 설치된 전기접속단자(3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회로 기판(320)의 하면에는 메모리 카드(400)에 설치된 전기접속단자(4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전기접속단자핀(321)이 설치된다.
메모리 카드(400)는 예를 들어 T-flash(또는 MicroSD)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고, 메모리 카드(400)의 두부에는 걸림턱(410)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걸림턱(410)에 외력을 가하여 메모리 카드 리더(300)로부터 메모리 카드(400)을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카드 리더 소켓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본체부(500)와 폴더부(600)로 구성될 수 있고, 본체부(500)와 폴더부(600)는 회전 힌지(550)를 통해 기계적으로 결합되어 폴더부(600)가 회전 힌지(550)를 기준으로 미 리 설정된 각도 만큼 회동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가 개폐되는 폴더형 휴대용 단말기로 구성될 수 있다.
본체부(500)의 상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키를 포함하는 키패드(501) 및 마이크(503)가 설치되고, 본체부의 일측면에는 멀티태스킹 버튼(505)이 설치된다.
또한, 본체부(500)의 일측면에는 메모리 카드 리더(memory card reader)(300)를 탈착하기 위한 메모리 카드 리더 소켓(540)이 구비된다. 여기서 메모리 카드 리더(300)는 메모리 카드(400)(예를 들면, T-flash)를 탈착할 수 있는 메모리 카드 소켓을 구비하고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를 구비하여 USB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와 데이터 또는 컴퓨터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
슬라이드부(600)는 LCD 또는 OLED 방식의 디스플레이 장치(601)와, 스피커(603)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카드 리더 소켓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I-I'선을 따라 절단한 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카드 리더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메모리 카드 리더의 II-II'선을 따라 절단한 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카드 리더 소켓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본체부 150 : 메모리 카드 리더 소켓
153 : 스톱퍼 155 : 전기접속단자핀
200 : 슬라이드부 300 : 메모리 카드 리더
400 : 메모리 카드

Claims (5)

  1. 외장 메모리 카드가 장착되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부 케이스; 및
    상기 상부 케이스와 힌지를 통해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하부 케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하부 케이스는
    일측면에 메모리 카드가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 리더의 착탈을 위한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메모리 카드 리더 소켓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카드 리더 소켓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카드 리더 소켓에는
    상기 메모리 카드 리더가 장착될 때 미리 설정된 거리 이상 상기 상부 케이스의 내부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톱퍼(stopper)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카드 리더 소켓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카드 리드 소켓은
    상기 USB 인터페이스 규격에 상응하고 상기 메모리 카드 리더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접속 단자핀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카드 리더 소켓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카드 리더는
    USB 인터페이스 규격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접속단자가 형성된 상부 하우징; 및
    상기 상부 하우징과 대향하여 결합하고, 상기 상부 하우징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는 하부 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상부 하우징의 저면에는 장착된 메모리 카드와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회로기판이 설치되고, 상기 회로기판의 저면에는 상기 장착된 메모리 카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접속단자핀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카드 리더 소켓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의 후단부에는
    상기 메모리 카드 리더를 상기 메모리 카드 리더 소켓으로부터 탈거하기 위한 외력이 가해지는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카드 리더 소켓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1020090000624A 2009-01-06 2009-01-06 메모리 카드 리더 소켓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201000814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0624A KR20100081400A (ko) 2009-01-06 2009-01-06 메모리 카드 리더 소켓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0624A KR20100081400A (ko) 2009-01-06 2009-01-06 메모리 카드 리더 소켓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1400A true KR20100081400A (ko) 2010-07-15

Family

ID=42641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0624A KR20100081400A (ko) 2009-01-06 2009-01-06 메모리 카드 리더 소켓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8140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71238B2 (en) Card-type peripheral device
US8339792B1 (en) Detachable adapter and handheld device
US7104814B1 (en) Electronic device with sheath structure
US7307849B2 (en) Flash memory disk
US20120079197A1 (en) Card-reading device and method for using the card-reading device to access memory card
US9609098B2 (en) Button-type connector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20130179610A1 (en) Usb device with pass-through hub connection
US7354285B1 (en) Card insertion structure of electronic device
US7804683B2 (en) Electronic device component eject mechanism
JPWO2003073246A1 (ja) 電子機器、及び、当該電子機器の機能を拡張する機能拡張装置
JP4811369B2 (ja) 携帯電子機器
KR200469127Y1 (ko) 휴대폰 케이스
KR101107247B1 (ko) 휴대용메모리장치가 결합된 휴대단말기용 젠더장치
CN1893287B (zh) 芯片卡固持结构
JP5035347B2 (ja) 電子機器
KR101581113B1 (ko) 모바일 기기의 외부 인터페이스 보조 장치
KR20100081400A (ko) 메모리 카드 리더 소켓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US7042715B2 (en) Information product with a rotational mechanism
CN101931148B (zh) 连接器插座与手持电子装置
CN101872920B (zh) 电子装置及其接口保护盖的固定结构
KR20070045755A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저장장치
JP3158244U (ja) カードリーダー機能を備えたusbケーブル
TWI458207B (zh) 資料存儲裝置
US20120140393A1 (en) Protective case
KR200447703Y1 (ko) 분리형 터치펜이 결합된 휴대단말기용 변환젠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