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1029A -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에서 키맵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에서 키맵 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1029A
KR20100081029A KR1020090000287A KR20090000287A KR20100081029A KR 20100081029 A KR20100081029 A KR 20100081029A KR 1020090000287 A KR1020090000287 A KR 1020090000287A KR 20090000287 A KR20090000287 A KR 20090000287A KR 20100081029 A KR20100081029 A KR 201000810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map
detected
display
displayed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0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수
서재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002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81029A/ko
Publication of KR20100081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10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에서 키맵 표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문서 작성 모드시, 전체 키맵 중 일부분에 해당하는 제1 키맵을 표시하는 과정;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감지되는 터치 이벤트에 따라 상기 전체 키맵에 포함된 제2 키맵으로 변경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갖는다.
휴대 단말기, 터치 스크린, 키맵,

Description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에서 키맵 표시 방법{MOBILE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AND METHOD FOR DISPLAYING KEY MAP THEREOF}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에서 키맵 표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에서 터치 스크린을 통해 감지되는 접촉 및 해제에 따라 키맵를 표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터치 스크린은 표시부와 입력부가 하나의 장치로 구현된 것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특히 터치 스크린은 휴대 단말기와 같은 소형 단말기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서 문자 또는 숫자를 입력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은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첫번째로 터치의 움직임을 문자 또는 숫자로 인식하는 방법이다. 그러기 위해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는 사용자가 자유롭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문자 입력 영역과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문자가 인식되면, 인식된 문자를 표시할 수 있는 문자 표시 영역이 구분된다. 그러나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문자를 감지하는 방법은 사용자마다 문자를 필기하는 형태에 차 이가 있어 문자를 인식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두번째로 각각의 문자가 매핑된 키맵을 표시하고, 표시된 키맵을 통해 선택되는 문자를 표시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문자를 인식하는 방법보다 좀 더 정확하게 문자가 입력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는 일반적으로 작은 화면을 가지고 있으므로, 휴대 단말기에 표시되는 키맵도 작게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손가락 등으로 키맵에 표시된 문자를 선택하는 경우 원하는 문자가 아닌 다른 문자를 선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키맵에 매핑되는 문자들이 작게 표시됨으로,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를 찾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에서 키맵을 표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맵 표시 방법은 문서 작성 모드시, 전체 키맵 중 일부분에 해당하는 제1 키맵을 표시하는 과정;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감지되는 터치 이벤트에 따라 상기 전체 키맵에 포함된 제2 키맵으로 변경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감지되는 터치 이벤트에 따라 전체 키맵에 포함되는 제1 키맵 또는 제2 키맵을 표시하고, 상기 제1 키맵 또는 제2 키맵을 통해 선택되는 문자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와 상기 터치 이벤트를 감지하는 터치 센서로 구성된 터치 스크린; 문서 작성 모드시,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1 키맵을 표시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감지되는 상기 터치 이벤트에 따라 상기 제2 키맵으로 변경하는 제어부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서 키맵이 표시부의 크기에 맞게 일부분만 표시된다. 키맵에 매핑된 문자들 중에서 일부분의 문자들만 표시됨으로써 사용자는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를 용이하게 찾을 수 있다. 그리고 키 맵이 표시부의 크기에 맞게 일부분만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는 터치 스크린을 통해 감지되는 접촉 및 해제에 따라 키맵을 이동시켜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의 공간적 한계성을 극복할 수 있다.
'문서 작성 모드'는 휴대 단말기에서 문자 또는 숫자 등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작성하는 모드를 의미한다. 여기서 문서 작성 모드는 메시지 작성 모드, 메모 기능, 일정 관리 기능 등과 같이 문자 또는 숫자를 입력할 수 있는 모드를 모두 포함한다. 그리고 문자는 한글의 자음 및 모음 또는 영어의 알파벳과 같이 각 나라별 언어에 해당하는 기본 문자, 특수 문자 및 숫자가 포함될 수 있다.
'키맵'은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의 키패드이다. 여기서 키맵은 적어도 하나의 문자가 매핑되는 키들로 구성된다. 그리고 키맵을 구성하는 키들은 다양한 형식으로 배열될 수 있다. 키맵을 구성하는 키들이 배열되는 형식 중에서 대표적인 예로 쿼티(qwerty) 형식이 될 수 있다. 여기서 키맵은 쿼티 형식으로 키가 배열된 키맵을 가정하여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체 키맵'은 휴대 단말기에서 표시될 수 있는 모든 문자들이 각각 매핑된 키들로 구성된 키맵을 의미한다.
'제1 키맵'은 전체 키맵 중에서 표시부의 키맵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일부분의 키맵을 의미한다.
'제2 키맵'은 전체 키맵 중에서 표시부의 키맵 표시 영역에 표시되지 않는 나머지 키맵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는 표시부(120)와 터치 센서(130)로 구성되는 터치 스크린(110), 제어부(140), 저장부(150)로 구성된다.
터치 스크린(110)에 구비되는 표시부(120)는 제어부(140)의 제어 하에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상태 및 동작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표시한다. 여기서 문서 작성 모드가 수행될 때, 표시부(120)는 제어부(140)의 제어 하에 문자 표시 영역 및 키맵 표시 영역으로 구분되어 문자 및 키맵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문자 표시 영역은 키맵을 통해 선택되는 문자를 표시할 수 있는 영역이다. 그리고 키맵 표시 영역은 각각의 문자가 매핑된 키들이 배열된 키맵을 표시할 수 있는 영역이다. 키맵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키맵으로 전체 키맵 중에서 일부분의 키맵만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키맵은 쿼티 형식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키맵에 키가 배열되는 형식은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문자들의 순서대로 키가 배열된 형식이 될 수 있고, 휴대 단말기에서 자주 사용되는 3*4 키패드 형식 또는 4*3 키패드 형식 등과 같은 형식이 될 수 있다. 그리고 감지되는 접촉 및 해제에 따라 변경되는 키맵을 설명하기 위해 키맵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일부분의 키맵은 제1 키맵, 전체 키맵 중에서 제1 키맵을 제외한 나머지 키맵 다시 말해 키맵 표시 영역에 표시되지 않는 키맵은 제2 키맵이라 칭한다.
표시부(120)는 제어부(140)의 제어 하에 키맵 표시 영역에서 감지되는 접촉 및 해제에 따라 키맵을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부(120)는 제어부(140)의 제어 하에 키맵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키맵을 반투명하게 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표시부(120)는 제어부(140)의 제어 하에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키맵에 매핑된 문자를 문자 표시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부(120)에서 키맵을 표시하는 방법은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터치 센서(130)는 표시부(120)에 부착되며,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와 같은 입력 도구가 터치 스크린(110)의 표면에 접촉되었다가 해제되는 터치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 이벤트는 적어도 세 가지 종류로 판단될 수 있다. 즉 터치 이벤트는 감지된 접촉이 이동한 후 해제, 접촉이 일정 시간 유지되었다가 해제, 접촉 및 해제로 판단될 수 있다. 그리고 터치 센서(130)는 접촉이 감지된 영역에 해당하는 좌표와 해제가 감지된 영역에 해당하는 좌표를 확인하고, 확인된 좌표를 제어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렇게 전달된 접촉이 감지된 영역과 해제가 감지된 영역의 좌표를 이용하여 제어부(140)는 입력 도구의 이동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휴대 단말기를 구성하는 구성들의 전반적인 상태 및 동작을 제어한다. 여기서 문서 작성 모드시 제어부(140)는 터치 스크린(110)을 통해 키맵 표시 영역에서 감지되는 접촉 및 해제에 따라 키맵을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사용자에 의해 문서 작성 모드가 선택되면, 제어부(140)는 표시부(120)를 제어하여 제1 키맵을 키맵 표시 영역에 표시한다. 그리고 키맵 표시 영역에서 접촉 및 해제가 감지되면, 제어부(140)는 감지된 접촉 및 해제에 따라 제1 키맵을 제2 키맵으로 변경하여 키맵 표시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40)는 표시부(120)를 제어하여 키맵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키맵을 반투명하게 표시할 수 있다.
키맵 표시 영역에 접촉이 감지된 다음, 접촉이 이동했다가 해제되면, 제어부(140)는 터치 스크린(110)을 통해 감지된 접촉의 이동 방향을 확인한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확인된 이동 방향에 따라 표시부(120)의 키맵 표시 영역에 표시된 제1 키맵을 제2 키맵으로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는 키맵 표시 영역에 표시된 제1 키맵을 제2 키맵으로 변경하기 위한 적어도 두 개의 키맵 변경 키가 표시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40)는 터치 스크린(110)을 통해 선택되는 키맵 변경 키에 따라 제1 키맵을 제2 키맵으로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접촉이 감지된 영역과 해제가 감지된 영역 간의 거리에 따라 표시부에 표시되는 제1 키맵과 제2 키맵의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제어부(140)는 접촉이 감지된 영역과 해제가 감지된 영역의 좌표를 이용하여 이동 거리를 산출한다. 제어부(140)는 산출된 이동 거리만큼 제1 키맵의 일부분을 이동시킨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제2 키맵의 일부분을 산출된 이동 거리만큼 추출하여 키맵 표시 영역에 표시한다.
그리고 키맵 표시 영역에서 접촉이 일정 시간 이상으로 유지된 다음 해제되면, 제어부(140)는 표시부(120)를 제어하여 제1 키맵과 제2 키맵을 순차적으로 키맵 표시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일정 시간은 특정 문자를 선택하기 위해 감지되는 해제와 구분하기 위해 설정되는 시간으로 2초 또는 3초가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 키맵과 제2 키맵이 순차적으로 키맵 표시 영역에 표시될 때, 제어부(140)는 표시부(120)를 제어하여 제1 키맵과 제2 키맵이 일정한 방향 및 속도에 따라 회전하는 것처럼 표시할 수 있다. 이렇게 제1 키맵과 제2 키맵이 순차적으로 키맵 표시 영역에 표시됨에 따라 사용자는 전체 키맵에 매핑되는 문자들을 하나하나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키맵 표시 영역에 매핑된 문자가 선택되면, 선택된 문자를 문자 표시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키맵 표시 영역에서 접촉이 감지된 다음 바로 해제가 감지되면, 제어부(140)는 터치 스크린(110)을 통해 접촉이 감지된 영역 및 그 영역에 매핑된 문자를 확인한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접촉이 감지된 영역에 매핑된 문자를 문자 표시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저장부(150)는 휴대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기능과 관련된 응용 프로그램과 기능이 수행될 때 발생되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저장부(150)는 터치 스크린(110)에 표시되는 키맵을 저장한다.
이러한 구성들 외에도 휴대 단말기는 휴대 단말기 및 기지국 간의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통신부,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부,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디엠비(DMB) 수신부, 인터넷망과 통신하여 인터넷 기능을 수행하는 인 터넷 수신부 등 휴대 단말기에서 수행될 수 있는 기능에 따라 다양한 구성들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터치 스크린(110)을 통해 감지되는 접촉 및 해제에 따라 키맵을 변경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했다. 다음으로 터치 스크린(110)을 통해 감지되는 접촉 및 해제에 따라 키맵을 표시하는 화면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키맵을 표시한 화면을 예시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표시부(120)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자 표시 영역(121)과 키맵 표시 영역(123)으로 구분된다. 문자 표시 영역(121)은 키맵을 통해 선택되는 문자가 표시되는 영역이다.
키맵 표시 영역(123)은 적어도 하나의 문자가 매핑된 키맵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키맵 표시 영역(123)에 표시되는 키맵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 가변 키맵 및 숫자 또는 특수 문자와 같은 문자의 종류를 변경할 수 있는 문자 변경 키, 띄어쓰기를 선택할 수 있는 스페이스키, 사용자의 입력을 위한 리턴(return)키가 표시된 고정 키맵(129) 등이 될 수 있다. 가변 키맵은 제1 키맵(125)과 제2 키맵(127)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키맵(125)은 문자와 매핑된 전체 키맵 중에서 키맵 표시 영역(123)에 표시되는 일부분의 키맵을 칭한다. 그리고 키맵 표시 영역(123)에 표시되지 않았지만, 전체 키맵 중에서 제1 키맵(125)을 제외한 나머지 키맵을 제2 키맵(127)이라 칭한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쿼티 형식으로 구성되는 키맵을 예를 든다. 쿼티 형식으로 구성되는 키맵 은 26개의 문자에 해당하는 키가 배열된다. 이중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키맵 표시 영역(123)에 표시된 11개의 키는 제1 키맵(125), 11개의 키를 제외한 나머지 15개의 키는 제2 키맵(127)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키맵(127)은 제1 키맵(125)의 양쪽으로 나누어진 영역이 될 수도 있고, 제1 키맵(125)의 오른쪽 영역 또는 왼쪽 영역이 될 수도 있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 키맵 표시 영역(123)에는 키맵을 변경하여 표시하기 위한 키맵 변경 키가 표시될 수 있다. 이때 키맵 변경 키는 적어도 하나가 표시될 수 있으며, 전체 키맵 중에서 제1 키맵(125)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들에 따라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키맵에서 가운데에 위치한 키맵이 키맵 표시 영역(123)에 표시되었다면, 키맵 변경키는 전체 키맵에서 왼쪽에 위치한 키맵을 선택할 수 있는 제1 키맵 변경 키와 전체 키맵에서 오른쪽에 위치한 키맵을 선택할 수 있는 제2 키맵 변경 키가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해 키맵 변경 키가 선택되면, 제어부(140)는 선택된 키맵 변경 키에 해당하는 제2 키맵(127)을 키맵 표시 영역(123)에 표시할 수 있다.
또는 키맵 표시 영역(123)에는 스크롤 바가 표시될 수 있다. 스크롤 바는 전체 키맵 중에서 제1 키맵(125)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들이 위치한 방향에 따라 상하, 좌우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키맵 중에서 가운데에 위치한 키맵이 키맵 표시 영역(123)에 표시되었다면, 스크롤 바는 좌우로 표시될 수 있다. 좌우로 표시된 스크롤 바의 이동에 따라 제2 키맵(127)이 선택되어 표시될 수 있다.
다음으로 터치 스크린(110)을 통해 감지되는 접촉 및 해제에 따라 키맵을 변경하는 방법에 대하여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a 및 도 3b는 본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접촉 및 해제에 의해 키맵을 변경하는 화면을 예시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쿼티 형식으로 구성된 키맵 중에서 가운데에 위치한 키맵이 제1 키맵(125)로 키맵 표시 영역(123)에 표시되었다고 가정한다. 여기서 키맵 표시 영역(123)에 표시되는 일부분의 키맵을 제1 키맵(125)로, 키맵 표시 영역(123)에 표시되지 않았지만, 전체 키맵 중에서 제1 키맵(125)을 제외한 나머지 키맵을 제2 키맵(127)이라 한다. 키맵 표시 영역(123)에 표시된 제1 키맵(125)을 변경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도 3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키맵 표시 영역(123)에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와 같은 입력 도구를 접촉시킨다. 그리고 사용자가 입력도구를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이동시킨다.
제어부(140)는 터치 스크린(110)을 통해 감지되는 접촉의 이동 방향에 따라 도 3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키맵을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제어부(140)는 터치 스크린(110)을 통해 키맵 표시 영역(123)에 입력 도구의 접촉이 감지되었음을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터치 스크린(110)을 통해 접촉이 이동하는 방향인 왼쪽에서 오른쪽을 감지한다. 그러면 제어부(140)는 키맵 표시 영역(123)에 표시되었던 제1 키맵(125)을 전체 키맵 중에서 왼쪽에 위치한 제2 키맵(127)을 도 3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한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어부(140)는 접촉이 감지된 영역과 해 제가 감지된 영역 간의 거리에 따라 표시부에 표시되는 제1 키맵(125)과 제2 키맵(127)의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제어부(140)는 접촉이 감지된 영역과 해제가 감지된 영역의 좌표를 이용하여 이동 거리를 산출한다. 제어부(140)는 산출된 이동 거리만큼 제1 키맵(125)의 일부분을 이동시킨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제2 키맵(127)의 일부분을 산출된 이동 거리만큼 추출하여 키맵 표시 영역에 표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키맵을 변경하는 화면을 예시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터치 스크린(110)을 통해 감지되는 접촉이 일정 시간 유지된 다음 해제되면, 키맵 표시 영역(123)에 표시되었던 제1 키맵(125)을 제2 키맵(127)로 순차적으로 표시한다. 여기서 키맵 표시 영역(123)에 표시되는 일부분의 키맵을 제1 키맵(125)로, 키맵 표시 영역(123)에 표시되지 않았지만, 전체 키맵 중에서 제1 키맵(125)을 제외한 나머지 키맵을 제2 키맵(127)이라 한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사용자에 의해 키맵 표시 영역(123)에 입력 도구가 접촉된다. 그리고 일정 시간 이상으로 접촉이 유지된 다음, 해제했다면, 제어부(140)는 터치 스크린(110)을 통해 접촉이 일정 시간 이상으로 유지되었다가 해제되었음을 감지한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키맵(125)의 일부분과 제2 키맵(127)의 일부분을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면서 키맵 표시 영역(123)에 표시한다. 여기서 제어부(140)는 제1 키맵(125)의 일부분과 제2 키맵(127)의 일부분이 일정 방향과 일정 속도로 회전하는 것과 같이 표시할 있다. 이 렇게 제1 키맵(125)의 일부분과 제2 키맵(127)의 일부분이 순차적으로 표시됨에 따라 사용자는 키맵에 매핑된 문자들이 무엇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키맵(125)과 제2 키맵(127)이 순차적으로 표시되는 중에도 사용자는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를 선택할 수도 있다. 여기서 일정 시간 이상으로 접촉이 유지되면, 제1 키맵(125)의 일부분과 제2 키맵(127)의 일부분이 순차적으로 이동되면서 표시된다고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키맵 회전과 같은 메뉴 또는 기능키 등이 구비된 경우라면, 접촉의 유지 여부가 아닌 메뉴 또는 기능키의 선택으로 제1 키맵(125)과 제2 키맵(127)이 순차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5는 본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키맵을 표시하는 화면을 예시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140)는 키맵 표시 영역(123)에 표시되는 제1 키맵(125)을 반투명하게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은 문자 표시 영역(123)에 키맵 표시 영역(123)을 오버레이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는 키맵 표시 영역(123)에서 감지되는 접촉 및 해제에 따라 제1 키맵(125)이 제2 키맵(127)으로 변경될 때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이에 따라 제어부(140)는 문자 표시 영역(121)에 표시되는 문자들과 제1 키맵(125)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전체 키맵 중에서 키맵 표시 영역(123)에 표시되는 일부분의 키맵을 제1 키맵(125)로, 키맵 표시 영역(123)에 표시되지 않았지만, 전체 키맵 중에서 제1 키맵(125)을 제외한 나머지 키맵을 제2 키맵(127)이라 한다.
다음으로 감지되는 터치에 따라 키맵을 변경하여 표시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 명한다. 도 6은 본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맵을 표시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문서 작성 모드를 선택하면, 제어부(140)는 610단계에서 휴대 단말기의 모드를 문서 작성 모드로 전환한다. 여기서 문서 작성 모드는 문자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생성하는 모드이다. 예를 들어 문서 작성 모드는 메시지를 작성하여 전송할 수 있는 메시지 작성 모드, 문서를 작성할 수 있는 문서 작성 모드 또는 파일이나 데이터를 저장할 시 파일 이름을 설정할 수 있는 파일 저장 모드 등이 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40)는 615단계에서 표시부(120)에 적어도 하나의 문자가 매핑된 제1 키맵(125)을 표시한다. 여기서 제1 키맵(125)은 키맵 표시 영역(123)의 크기에 따라 표시되는 전체 키맵 중에서 일부분의 키맵을 의미한다.
제어부(140)는 620단계에서 터치 스크린(110)을 통해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와 같은 입력 도구의 접촉이 감지되는지 판단한다. 만약 터치 스크린(110)을 통해 접촉이 감지되면, 제어부(140)는 625단계에서 접촉의 이동이 감지되는지 판단한다. 여기서 접촉의 이동을 감지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터치 스크린(110)의 표면에 입력 도구의 접촉이 감지되면, 터치 스크린(110)은 접촉이 감지된 영역의 좌표를 확인하여 제어부(140)로 전달한다. 그리고 접촉이 이동되면, 터치 스크린(110)은 접촉의 이동에 따라 감지되는 영역들에 해당하는 좌표를 제어부(140)로 전달한다. 그러면 제어부(140)는 터치 스크린(110)으로부터 전달되는 좌표를 이용하여 접촉의 이동 여부 및 이동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접촉의 이동이 감지되면, 제어부(140)는 630단계에서 접촉의 이동 방향을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640단계에서 터치 스크린(110)을 통해 접촉이 해제되는지 판단한다. 만약 접촉이 해제되면, 제어부(140)는 640단계에서 이동 방향에 따른 제2 키맵(127)을 표시한다. 여기서 제2 키맵(127)은 전체 키맵 중에서 615단계에서 전체 키맵 중에서 키맵 표시 영역(123)에 표시되지 않았던 나머지 키맵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쿼티 형식의 키맵에서 가운데 영역의 키맵이 제1 키맵(125)으로 키맵 표시 영역(123)에 표시되었다고 가정한다. 그러면 제2 키맵(127)은 쿼티 형식의 키맵에서 가운데 영역을 제외한 왼쪽 영역 및 오른쪽 영역이 된다. 그리고 터치 스크린(110)을 통해 감지된 접촉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이동되었다면, 제어부(140)는 제2 키맵(127) 중에서 전체 키맵을 기준으로 왼쪽에 위치하던 키맵을 키맵 표시 영역(123)에 표시한다. 만약 이동 방향이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이동되었다면, 제어부(140)는 제2 키맵(127) 중에서 전체 키맵을 기준으로 하여 오른쪽에 위치하던 키맵을 키맵 표시 영역(123)에 표시한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어부(140)는 접촉이 감지된 영역과 해제가 감지된 영역 간의 거리에 따라 표시부에 표시되는 제1 키맵(125)과 제2 키맵(127)의 범위를 결정하여 키맵 표시 영역(123)에 표시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제어부(140)는 접촉이 감지된 영역과 해제가 감지된 영역의 좌표를 이용하여 이동 거리를 산출한다. 제어부(140)는 산출된 이동 거리만큼 제1 키맵(125)의 일부분을 이동시킨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제2 키맵(127)의 일부분을 산출된 이동 거리만큼 추출하여 키맵 표시 영 역에 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40)는 650단계에서 문서 작성 모드 종료가 선택되는지 판단한다. 만약 문서 작성 모드 종료가 선택되지 않으면, 제어부(140)는 620단계부터 재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40)는 터치 스크린(110)을 통해 감지되는 접촉 및 해제에 따라 키맵을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625단계에서 접촉의 이동이 감지되지 않으면, 제어부(140)는 660단계에서 일정 시간 이상으로 접촉이 유지되는지 판단한다. 일정 시간 이상 접촉이 유지된 다음 해제가 감지되면, 제어부(140)는 665단계에서 키맵 표시 영역(123)에 제1 키맵(125)과 제2 키맵(127)을 순차적으로 표시한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제어부(140)는 제1 키맵(125)을 휴대 단말기의 전면을 기준으로 오른쪽으로 이동시키고, 전체 키맵 중에서 기준으로 왼쪽에 위치했던 제2 키맵(127)을 키맵 표시 영역(123)에 표시한다. 이때 제어부(140)는 표시부(120)를 제어하여 제1 키맵(125)과 제2 키맵(127)을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면서 키맵 표시 영역(123)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키맵이 일정 속도로 회전하는 것처럼 보일 수 있으며, 이러한 효과에 통해 사용자는 전체 키맵에 매핑된 모든 문자들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670단계에서 터치 스크린(110)을 통해 접촉 및 해제가 감지되는지 판단한다. 만약 접촉 및 해제가 감지되면, 제어부(140)는 터치 스크린(110)을 통해 접촉 및 해제가 감지된 영역의 좌표를 확인한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680단계에서 접촉이 감지된 영역에 매핑된 문자를 확인하고, 확인된 문자를 문자 표시 영역(121)에 표시한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650단계로 돌아가 문 서 작성 모드 종료가 선택되는지 판단한다.
반면에 660단계에서 일정 시간 이상으로 접촉이 유지되지 않으면, 제어부(140)는690단계에서 터치 스크린(110)을 통해 해제가 감지되는지 판단한다. 만약 터치 스크린(110)을 통해 해제가 감지되면, 제어부(140)는 680단계에서 접촉이 감지되었던 영역에 매핑된 문자를 문자 표시 영역(121)에 표시한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650단계로 돌아가 문서 작성 모드 종료가 선택되는지 판단한다. 문서 작성 모드 종료가 선택되지 않으면, 제어부(140)는 620단계부터 재수행한다. 이러한 과정들이 반복적으로 수행되면서, 제어부(140)는 터치 스크린(110)을 통해 감지되는 접촉 및 해제에 따라 키맵을 변경하여 키맵 표시 영역(123)에 표시하거나, 접촉이 감지된 영역에 매핑된 문자를 문자 표시 영역(121)에 표시할 수 있다.
지금까지는 터치 스크린(110)을 통해 감지되는 접촉 및 해제에 따라 키맵을 변경하여 표시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키맵 표시 영역(123)에 표시된 제1 키맵(125)을 제2 키맵(127)으로 변경하기 위해 적어도 두 개의 키맵 변경 키가 표시되어 있다면, 제어부(140)는 터치 스크린(110)을 통해 키맵 변경 키에 접촉 및 해제가 감지되는지 판단한다. 키맵 변경 키에 접촉 및 해제가 감지되면, 제어부(140)는 접촉 및 해제가 감지된 키맵 변경 키에 해당하는 키맵을 키맵 표시 영역(123)에 표시할 수 있다. 또는 키맵 표시 영역(123)에 키맵을 변경하기 위한 슬라이드 바가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슬라이드 바에 접촉 및 감지되면, 제어부(140)는 슬라이드 바에서 감지되는 접촉의 이동 거리에 따라 키맵을 이동시켜 표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키맵을 표시한 화면을 예시한 화면 예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접촉 및 해제에 의해 키맵을 변경하는 화면을 예시한 화면 예시도.
도 4는 본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키맵을 변경하는 화면을 예시한 화면 예시도.
도 5는 본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키맵을 표시하는 화면을 예시한 화면 예시도.
도 6은 본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맵을 표시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Claims (14)

  1.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키맵 표시 방법에 있어서,
    문서 작성 모드시, 전체 키맵 중 일부분에 해당하는 제1 키맵을 표시하는 과정;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감지되는 터치 이벤트에 따라 상기 전체 키맵에 포함된 제2 키맵으로 변경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키맵 표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키맵으로 변경하여 표시하는 과정은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접촉이 감지되면, 상기 접촉이 이동되는지 판단하는 과정;
    상기 접촉이 이동되면, 상기 이동에 따른 방향을 확인하는 과정;
    상기 해제가 감지되면, 상기 확인된 이동 방향에 해당하는 상기 제2 키맵을 표시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키맵 표시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키맵으로 변경하여 표시하는 과정은
    상기 접촉이 이동한 거리를 확인하는 과정;
    상기 확인된 이동 거리에 따라 표시될 상기 제1 키맵과 제2 키맵의 범위를 결정하는 과정;
    상기 결정된 범위에 따라 상기 제1 키맵의 일부분과 상기 제2 키맵의 일부분 을 표시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키맵 표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키맵으로 변경하여 표시하는 과정은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감지된 접촉이 일정 시간 이상으로 유지되는지 판단하는 과정;
    상기 일정 시간 이상으로 상기 접촉이 유지되면, 상기 제1 키맵과 상기 제2 키맵을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면서 표시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키맵 표시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키맵으로 변경하여 표시하는 과정은
    상기 접촉이 상기 일정 시간 이상으로 유지되지 않으면, 상기 해제가 감지되는지 판단하는 과정;
    상기 해제가 감지되면, 상기 접촉이 감지된 영역에 매핑된 문자를 문자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키맵 표시 방법.
  6. 제1항 내지 제4항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키맵 또는 상기 제2 키맵을 반투명하게 표시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키맵 표시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키맵으로 변경하여 표시하는 과정은
    적어도 하나의 키맵 변경 키를 표시하는 과정;
    상기 표시된 키맵 변경 키 중 선택되는 키맵 변경 키에 따라 상기 제1 키맵을 상기 제2 키맵으로 변경하여 표시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키맵 표시 방법.
  8. 감지되는 터치 이벤트에 따라 전체 키맵에 포함되는 제1 키맵 또는 제2 키맵을 표시하고, 상기 제1 키맵 또는 제2 키맵을 통해 선택되는 문자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와 상기 터치 이벤트를 감지하는 터치 센서로 구성된 터치 스크린;
    문서 작성 모드시,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1 키맵을 표시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감지되는 상기 터치 이벤트에 따라 상기 제2 키맵으로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감지되는 접촉이 이동되는지 판단하고, 상기 접촉이 이동되면, 상기 이동에 따른 방향을 확인하고, 상기 해제가 감지되면, 상기 확인된 이동 방향에 해당하는 제2 키맵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촉이 이동한 거리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이동 거리에 따라 표시될 상기 제1 키맵과 제2 키맵의 범위를 결정하여, 상기 결정된 범위에 따라 상기 제1 키맵과 상기 제2 키맵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감지되는 접촉이 일정 시간 이상으로 유지되는지 판단하고, 상기 일정 시간 이상으로 상기 접촉이 유지되면, 상기 제1 키맵과 상기 제2 키맵을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표시부에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감지되는 상기 접촉이 상기 일정 시간 이상으로 유지되지 않고, 상기 해제가 감지되면, 상기 접촉이 감지된 영역에 매핑된 문자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3. 제8항 내지 제12항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키맵 또는 상기 제2 키맵을 반투명하게 상기 표시부에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키맵 변경 키를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키맵 변경 키 중 선택되는 키맵 변경 키에 따라 상기 제1 키맵을 상기 제2 키맵으로 변경하여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090000287A 2009-01-05 2009-01-05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에서 키맵 표시 방법 KR201000810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0287A KR20100081029A (ko) 2009-01-05 2009-01-05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에서 키맵 표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0287A KR20100081029A (ko) 2009-01-05 2009-01-05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에서 키맵 표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1029A true KR20100081029A (ko) 2010-07-14

Family

ID=42641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0287A KR20100081029A (ko) 2009-01-05 2009-01-05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에서 키맵 표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8102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6203B1 (ko) 지문 인식 센서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 장치 및 방법
WO2010099835A1 (en) Improved text input
EP2128750A2 (en) Mobile terminal and character input method
EP3190482B1 (en) Electronic device, character input module and method for selecting characters thereof
KR101061512B1 (ko)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에서키패드 설정 방법
EP2506122B1 (en) Character entry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KR10080262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20100045522A (ko) 개체들을 관련시키는 방법 및 장치
CN101419526A (zh) 使用手持移动通信设备的触摸屏进行文本选择
WO2007084078A1 (en) A keyboard for a mobile phone or othe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CN102812415A (zh) 具有触摸面板功能的移动终端及其输入方法
KR20110104620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KR20110042893A (ko)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1434495B1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 및 그 문자 입력 방법
KR101671797B1 (ko) 핸드헬드 장치 및 그 입력방법
KR101744124B1 (ko) 문자 출력 영역에서 입력과 출력의 듀얼 기능을 하는 문자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JP2009099057A (ja) 移動体端末装置及び文字入力方法
KR20130042675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점자 입력을 위한 장치 및 방법
JP2014167712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0675089B1 (ko) 이동단말기의 움직임을 이용한 문자입력방법
KR20100081029A (ko)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에서 키맵 표시 방법
KR101261227B1 (ko) 가상 키보드 입력 장치 및 그의 데이터 입력 방법
KR20090087177A (ko)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KR20080024341A (ko) 터치 패드를 이용한 정보 입력 기능을 갖는 단말기와 그방법
KR101399150B1 (ko)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