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9529A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9529A
KR20100079529A KR1020080138051A KR20080138051A KR20100079529A KR 20100079529 A KR20100079529 A KR 20100079529A KR 1020080138051 A KR1020080138051 A KR 1020080138051A KR 20080138051 A KR20080138051 A KR 20080138051A KR 20100079529 A KR20100079529 A KR 201000795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dioxide
air
main body
filter
in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8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47354B1 (ko
Inventor
김호중
김경환
한성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38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7354B1/ko
Publication of KR20100079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95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7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73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산화탄소를 제거할 수 있는 필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실내의 이산화탄소를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공기조화기, 실내기, 필터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실내기{Indoor unit of air-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압축-응축-팽창-증발로 이루어지는 냉매사이클을 수행하여, 실내를 냉난방하는 장치이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냉매와 실내 공기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실내기 및, 냉매와 실외 공기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실외기를 포함한다. 상기 실내기에는 냉매와 실내 공기의 열교환을 위한 실내열교환기와, 상기 실내 공기를 송풍시키는 팬과, 상기 팬을 회전시키는 모터가 포함된다. 상기 실외기에는 냉매와 실외 공기의 열교환을 위한 실외열교환기와, 상기 실외 공기를 송풍시키는 팬과, 상기 팬을 회전시키는 모터와, 상기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부와, 상기 냉매의 유동 방향을 변경시키는 사방밸브가 포함된다.
그리고, 실내의 냉방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실내열교환기는 증발수단, 상기 실외열교환기는 응축수단이 된다. 실내의 난방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실내열교환기는 응축수단, 상기 실외열교환기는 증발수단이 된다. 상기 냉난방 운전의 전환은 상기 사방밸브에 의해 냉매의 유동 방향이 변경됨으로써 수행된다.
본 발명은 실내 공기를 정화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실내 공기의 정화 성능을 최적화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안되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실내 공기의 흡입을 위한 흡입구와 상기 흡입된 공기의 토출을 위한 토출구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실내공기와 냉매 간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열교환기;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실내 공기를 강제 유동시키는 송풍팬; 상기 실내 공기에 포함된 이산화탄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열교환기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이산화탄소와 반응하는 이산화탄소필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는, 실내 공기가 흡입되기 위한 흡입구 및 상기 흡입된 공기가 토출되기 위한 토출구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실내 공기의 유동을 위하여,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송풍팬; 상기 실내 공기와 냉매 간의 열교환 을 위하여,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열교환기; 실내의 이산화탄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는 이산화탄소필터가 포함되고, 상기 이산화탄소필터와 상기 이산화탄소와의 반응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상기 이산화탄소필터로 유체가 공급된다.
본 발명에 의한 또 다른 실시예는, 내부로 실내 공기가 흡입되기 위한 흡입구와, 흡입구로 흡입된 공기가 토출되기 위한 토출구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실내 공기와 냉매 간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열교환기;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실내 공기를 송풍시키는 송풍팬;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흡입구를 통하여 흡입되는 실내 공기의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프리필터; 및 상기 실내 공기에 포함된 이산화탄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열교환기와 상기 프리필터의 사이에 위치되는 이산화탄소필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또 다른 실시예는, 내부로 실내 공기가 흡입되기 위한 흡입구 및 흡입구로 상기 흡입된 공기가 토출되기 위한 토출구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실내 공기의 강제 유동을 위하여,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송풍팬;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실내 공기와 냉매 간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에서 발생되는 응축수가 집수되기 위한 집수부; 및 상기 실내 공기에 포함된 이산화탄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집수부에 설치되며, 이산화탄소와 반응하는 필터;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의하면, 상기 실내 기로 흡입되는 실내 공기는 이산화탄소를 제거할 수 있는 필터를 통과하게 된다. 상기 필터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실내 공기에 포함된 이산화탄소가 제거되므로, 실내 공기는 더욱 깨끗해질 수 있다. 즉, 실내 공기가 정화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는 상기 실내기 내부에서 비교적 습한 환경에 노출되게 되므로, 상기 필터에 의하여 이산화탄소가 제거되는 성능은 더욱 최적화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더욱 쾌적한 환경에서, 상기 실내기를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서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서 실시예의 종단면도이며, 도 3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서 실시예의 부분절개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실내기의 본체(1)는, 전체적인 프레임(frame)을 이루고 후면외관을 형성하는 메인샤시(11)과, 상기 메인샤시(11)의 전방에 구비되어 전면외관을 형성하는 전면프레임(12)을 포함한다. 상기 메인샤시(11)와 전면프레임(12)의 사이에는 이하에서 설명할 다수개의 부품이 장착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전면프레임(12)의 상면에는, 실내 공기가 상기 본체(1) 내부로 흡입되기 위한 흡입구(121)가 형성된다. 상기 흡입구(121)에는, 상기 본체(1)의 내부로 비교적 큰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흡입그릴(13)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전면프레임(12)의 하단부에는, 상기 본체(1) 내부로 흡입된 공기가 토출되기 위한 토출구(122)가 형성된다. 상기 토출구(122)에는, 상기 토출구(122)를 통하여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루버(123) 및 베인(124)이 설치된다. 상기 루버(123) 및 베인(124)은, 상기 토출되는 공기의 상하 및 좌우 유동 방향을 안내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이때, 상기 루버(123) 및 베인(124)의 일측에는, 상기 루버(123) 및 베인(124)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메인샤시(11)와 전면프레임(12)의 사이에는, 상기 본체(1) 내부로 흡입된 실내 공기와 냉매 간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열교환기(14)와, 상기 실내 공기를 강제유동시키기 위한 송풍팬(15)이 구비된다. 상기 열교환기(14)는, 상기 본체(1) 내부로 흡입된 실내 공기가 전부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 내부의 전단으로부터 후단까지 걸쳐 위치된다. 상기 송풍팬(15)은, 상기 열교환기(14)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송풍팬(15)을 통하여 상기 토출구(122)로 유동하도록 하는 횡류팬으로써, 상기 열교환기(14)와 토출구(122)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본체(1)의 내부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송풍팬(15)의 일측에는, 상기 송풍팬(15)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기(14)의 일측에는, 상기 열교환기(14)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가 지속적으로 순환되기 위한 냉매 배관이 연결된다. 또한, 상기 열교환기(14)의 하방에는, 상기 열교환기(14)의 내부에서 냉매가 증발되는 경우에 발생되는 응축수가 집수되기 위한 집수부(142)가 설치된다. 상기 집수부(142)는, 상하방향으로 상기 열교환기(14)와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는 지점에 위치되고, 일측에는 상기 집 수된 응축수가 배출되기 위한 응축수배수홀(14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집수부(142)의 바닥면은, 상기 집수된 응축수가 상기 응축수배수홀(143)을 향하여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응축수배수홀(143)을 향하여 전체적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집수부(142)의 바닥면에는, 상기 집수된 응축수가 상기 응축수배수홀(143)을 향하여 유동하기 위한 유로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전면프레임(12)의 전방은 전면패널(16)에 의하여 차폐된다. 이때, 상기 전면패널(16)은 상기 전면프레임(12)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전면패널(16)과 전면프레임(12)의 틈새를 통하여 실내 공기가 유입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전면패널(16)은 하단부를 중심축으로 전방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흡입그릴(13)의 하방에 해당하는 상기 본체(1)의 내부에는, 상기 흡입구(121)를 통하여 흡입된 실내 공기에 포함된 상대적으로 작은 이물질를 걸러내기 위한 프리필터(17)가 설치된다. 상기 프리필터(17)는 탄성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상기 전면프레임(12)의 전면으로부터 상기 메인샤시(11)의 후명 상단부에 이르는 부분을 덮는다.
또한, 상기 프리필터(17)와 열교환기(14)의 사이에는, 상기 흡입구(121)를 통하여 흡입된 실내 공기에 포함된 이산화탄소를 걸러내기 위한 이산화탄소필터(18)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이산화탄소필터(18)는, 상기 열교환기(14)를 기준으로 상기 열교환기(14)에 인접한 흡입 측에 위치된다. 상기 이산화탄소필터(18)는, 전체적으로는 측방향으로 길게 배치된다. 이때, 상기 이산화탄소필터(18)는, 후술할 필터고정부(125)에 착탈가능한 다수개의 모듈로써 구비된다. 물론, 상기 이산화탄소필터(18)는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세히, 상기 이산화탄소필터(18)에는 고체염기성촉매가 포함된다. 상기 고체염기성촉매는, 수산화나트륨(NaOH) 및 수산화칼슘(Ca(OH)2)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체염기성촉매는, 균일한 직경을 가지는 구 형상인 다수개의 입자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전면프레임(12)에는, 상기 이산화탄소필터(18)가 고정되기 위한 필터고정부(125)가 구비된다. 상기 필터고정부(125)는, 하단에는 상기 이산화탄소필터(18)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가 구비되고, 상단에는 상기 이산화탄소필터(18)가 전방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부가 구비되며, 전체적으로는 상기 이산화탄소필터(18)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다만, 상기 필터고정부(125)가 상기 열교환기(14)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이산화탄소필터(18)가 상기 필터고정부(125)에 고정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본체(1)의 내부에는, 상기 열교환기(14)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상기 이산화탄소필터(18)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부(191)와, 상기 응축수를 상기 응축수배수홀(143)로부터 상기 공급부(191)로 강제유동시키기 위한 펌프(192)와, 상기 공급부(191), 펌프(192) 및 응축수배수홀(143)을 연결하는 응축수배관(193)이 구비된다.
보다 상세히, 상기 공급부(191)는, 대략 측방향으로 긴 막대형상으로 상기 이산화탄소필터(18)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이산화탄소필터(18)의 상방 에 위치된다. 또한, 상기 공급부(191)에는, 상기 이산화탄소필터(18)와 대응되도록 다수개의 스프레이부(194)가 구비된다. 상기 다수개의 스프레이부(194)는, 상기 응축수가 상기 이산화탄소필터(18)에 분무될 수 있도록, 각각 다수개의 토출공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공급부(191) 자체에 다수개의 토출공이 형성되어, 상기 토출공에서 상기 응축수가 낙하하거나 분무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공급부(191)는, 상기 응축수가 상기 공급부(191)를 따라 균일하게 토출될 수 있도록, 상기 응축수배관(193)이 연결되는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로 갈수록 내부 단면적이 감소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펌프(192)는, 상기 응축수배관(193) 상에서 상기 공급부(191)와 응축수배수홀(143)의 사이에 설치된다. 다만, 상기 이산화탄소필터(18)가 상기 응축수배수홀(143)에 비하여 낮게 위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펌프(192)는 불필요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중력에 의하여 자연적으로 유동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이산화탄소필터(18)에는, 이산화탄소가 제거됨에 따라 점차적으로 증가되는 생성물과 반응하여 색을 변화시키는 발색제가 더 포함된다. 이때, 상기 생성물의 양이 증가할수록, 상기 발색제와의 반응에 의한 색의 변화는 더욱 뚜렷해진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서 실시예의 작용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실내기가 작동되면, 송풍팬(15)의 회전으로 인해 실내 공기가 흡입구(121)를 통하여 상기 실내기의 본체(1) 내부로 흡입된다. 그리 고, 상기 흡입된 공기가 프리필터(17)를 통과하면서, 상기 흡입된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이 걸러지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흡입된 공기의 적어도 일부가 이산화탄소필터(18)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흡입된 공기에 포함된 이산화탄소가 제거된다. 더욱 상세히, 상기 이산화탄소필터(18)에 포함되는 고체염기성촉매에 이산화탄소가 접촉되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화학 반응이 일어나게 된다.
CO2 + H2O -> H2CO3
H2CO3 + 2NaOH -> Na2CO3 + 2H2O
Na2CO3 + Ca(OH)2 -> CaCO3 + 2NaOH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이산화탄소는 염기성촉매와 반응하여 고정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체염기성촉매는, 균일한 직경을 가지는 구 형상인, 다수개의 입자로 구비되므로, 상기 입자들 사이에는 공극이 형성된다. 상기 이산화탄소필터(18)로 흡입되는 공기가 상기 공극을 통하여 유동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입자들의 직경이 균일한 경우에는,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단위 부피당 상기 공극의 비율이 최대가 되므로, 상기 공기가 상기 이산화탄소필터(18)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받게 되는 유동 저항은 최소화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화학 반응은, 상기 고체염기성촉매와 공기가 접촉되는 면적이 넓을 수록 더욱 활발해진다. 그런데, 상기 고체염기성촉매는, 다수개의 입자로 구 비되므로, 일체로 구비되는 경우에 비하여 더욱 넓은 표면적을 가지게 된다. 즉, 공기와 접촉되는 면적이 더욱 넓어지므로, 이산화탄소 제거 성능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학 반응은 수분(H2O)이 많을 수록 더욱 활발해진다. 그런데, 상기 이산화탄소필터(18)가 위치되는, 상기 열교환기(14)의 흡입측에 해당하는 지점은, 상기 본체(1) 내부에서 상대적으로 습도가 높은 곳에 해당한다. 그 이유는, 상기 열교환기(14)로 유입되기 직전의 공기는 점차적으로 그 온도가 낮아져, 포화수증기량도 함께 감소됨에 따라서, 반대로 상대 습도는 점차적으로 높아지기 때문이다. 즉, 상기 열교환기(14)로 유입되기 직전의 공기는, 포화수증기량을 넘어서는 잉여수증기가 응결되기 직전의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열교환기(14)를 기준으로 인접한 흡입측에 해당하는 지점은, 상대적으로 습도가 높은 지점이 된다. 그러므로, 상기 이산화탄소필터(18)는, 상기 열교환기(14)의 흡입측에 위치됨으로써, 다른 곳에 위치되는 경우에 비하여, 더욱 많은 이산화탄소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이산화탄소필터(18)가 상기 열교환기(14)를 기준으로 상기 열교환기(14)에 인접한 흡입측에 위치됨으로써, 상기 실내기의 이산화탄소 제거 성능은 최적화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이산화탄소필터(18)는, 사용하는 시간이 오래 될수록 고체염기성촉매와 이산화탄소의 반응에 의한 생성물(CaCO3)의 양이 점점 증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생성물(CaCO3)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상기 이산화탄소필터(18)에 포함되 는 발색제에 의하여, 상기 이산화탄소필터(18)의 색이 점차적으로 변화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생성물(CaCO3)의 양이 기설정된 양에 이를 때에, 상기 이산화탄소필터(18)는 특정 색을 띠게 된다. 여기서, 상기 특정 색은, 상기 발색제 및 생성물의 종류에 따라, 빨간색, 검은색 등 다양한 색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이산화탄소필터(18)의 사용 시간을 짐작하고, 교체 시기를 인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이산화탄소필터(18)를 처음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이산화탄소필터(18)는 사용전 본래의 색을 띤다. 그런데, 상기 이산화탄소필터(18)의 사용 시간이 증가될수록 상기 이산화탄소필터(18)의 색은 점차적으로 상기 특정 색과 가까워지게 되고, 결국 특정 색으로 변화된 경우에는 이를 통해 사용자는 상기 이산화탄소필터(18)의 교체 시기가 되었음을 인지하고 교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산화탄소필터(18)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열교환기(14) 및 송풍팬(15)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토출구(122)를 통하여 실내로 다시 토출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서 제2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이산화탄소필터의 위치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서 제2실시예의 종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이산화탄소필터(28)는 집수부(242)에 고정된다. 보다 상세히, 상기 집수부(242)의 전단 상부에는, 상기 이산화탄소필터(28)가 고정되기 위한 필터고정부(225)가 구비된다. 상기 필터고정부(225)는, 상기 이산화탄소필터(28)의 일부분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이산화탄소필터(28)의 일부분과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산화탄소의 일부분이 삽입 수용된 상태로, 상기 이산화탄소필터(28)는 상기 필터고정부(225)에 고정되게 된다.
한편, 상기 실내기의 흡입구(221) 중, 전면에 형성되는 흡입구(221)를 통하여 본체(1)의 내부로 흡입되는 실내 공기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이산화탄소필터(28)를 통과하게 된다. 그래서, 상기 이산화탄소필터(28)에 의해, 상기 실내 공기에 포함된 이산화탄소가 제거되게 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이산화탄소필터(18)가 상기 집수부(142)에 인접한 지점에 위치되므로, 상기 이산화탄소필터(18)는 습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산화탄소필터(18)에 의한 이산화탄소 제거 효과가 더욱 증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고체염기성촉매는 상기 수산화나트륨(NaOH), 수산화칼슘(Ca(OH)2) 이외에도, 이산화탄소를 제거할 수 있는 다양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체염기성촉매는 구 형상의 입자가 아닌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서 제1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서 제1실시예의 종단면도.
도 3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서 제1실시예의 부분절개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서 제2실시예의 종단면도.

Claims (13)

  1. 실내 공기의 흡입을 위한 흡입구와 상기 흡입된 공기의 토출을 위한 토출구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실내공기와 냉매 간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열교환기;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실내 공기를 강제 유동시키는 송풍팬;
    상기 실내 공기에 포함된 이산화탄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열교환기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이산화탄소와 반응하는 이산화탄소필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탄소필터에는, 수산화나트륨 및 수산화칼슘을 함유하는 고체 염기성 촉매가 포함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탄소필터에는, 이산화탄소와 상기 고체 염기성 촉매의 반응에 의한 생성물과 반응하여 상기 이산화탄소필터의 색을 변화시키는 발색제가 구비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물의 양이 기설정된 양에 이를 때에, 상기 이산화탄소필터의 색은 특정 색으로 변화되고,
    상기 생성물의 양이 증가될수록, 상기 이산화탄소필터의 색은 상기 특정색과 점차적으로 가까워지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5. 실내 공기가 흡입되기 위한 흡입구 및 상기 흡입된 공기가 토출되기 위한 토출구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실내 공기의 유동을 위하여,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송풍팬;
    상기 실내 공기와 냉매 간의 열교환을 위하여,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열교환기;
    실내의 이산화탄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는 이산화탄소필터가 포함되고,
    상기 이산화탄소필터와 상기 이산화탄소와의 반응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상기 이산화탄소필터로 유체가 공급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는, 상기 열교환기에서 발생된 응축수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는, 분사하는 스프레이 타입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의 하방에는, 상기 응축수가 집수되기 위한 집수부가 구비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측에는, 상기 집수부와 공급부를 연결하는 응축수배관이 제공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0. 내부로 실내 공기가 흡입되기 위한 흡입구와, 흡입구로 흡입된 공기가 토출되기 위한 토출구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실내 공기와 냉매 간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열교환기;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실내 공기를 송풍시키는 송풍팬;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흡입구를 통하여 흡입되는 실내 공기의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프리필터; 및
    상기 실내 공기에 포함된 이산화탄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열교환기와 상기 프리필터의 사이에 위치되는 이산화탄소필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탄소필터는, 상기 열교환기와 인접한 위치에 제공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2. 내부로 실내 공기가 흡입되기 위한 흡입구 및 흡입구로 상기 흡입된 공기가 토출되기 위한 토출구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실내 공기의 강제 유동을 위하여,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송풍팬;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실내 공기와 냉매 간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에서 발생되는 응축수가 집수되기 위한 집수부; 및
    상기 실내 공기에 포함된 이산화탄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집수부에 설치되며, 이산화탄소와 반응하는 필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부에는, 상기 필터가 고정되기 위한 필터고정부가 구비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0080138051A 2008-12-31 2008-12-31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5473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8051A KR101547354B1 (ko) 2008-12-31 2008-12-31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8051A KR101547354B1 (ko) 2008-12-31 2008-12-31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9529A true KR20100079529A (ko) 2010-07-08
KR101547354B1 KR101547354B1 (ko) 2015-08-25

Family

ID=42640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8051A KR101547354B1 (ko) 2008-12-31 2008-12-31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735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00310A (zh) * 2017-04-26 2018-11-1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器室内机的升降装置及空调器室内机
KR20230046524A (ko) * 2021-09-30 2023-04-06 조영기 수산화리튬 분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20031207A (fi) * 2003-05-13 2005-02-08 Hydrocell Ltd Oy Suodatusmenetelmä ja suodatinlait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00310A (zh) * 2017-04-26 2018-11-1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器室内机的升降装置及空调器室内机
KR20230046524A (ko) * 2021-09-30 2023-04-06 조영기 수산화리튬 분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7354B1 (ko) 2015-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239847C (zh) 空调装置
KR100628058B1 (ko) 전열교환기 및 이를 이용한 환기시스템
US20060230713A1 (en) Wet type air cleaner
CN104864497A (zh) 空调柜机
KR101917819B1 (ko) 냉-난방 및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제습기
KR100953198B1 (ko) 공기조화기
CN104949201A (zh) 空调柜机
JP2000317248A (ja) ガス不純物の除去システム
CN204717856U (zh) 空调柜机
KR20100079529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210463265U (zh) 空气净化模块及空调室内机
KR20110061084A (ko) 제습형 공기청정기
KR20100128772A (ko) 공기조화기
CN100588879C (zh) 空调系统
CN104929977A (zh) 离心风轮
CN216048108U (zh) 一种智慧档案库房的环境管理装置
JP2006090572A (ja) 空気調和機
CN213955430U (zh) 一种用于多联机中央空调的立式明装风机盘管
CN106322478B (zh) 烟机空调室内机及烟机空调
CN204783827U (zh) 离心风轮
CN208765133U (zh) 一种新风空调
CN201688670U (zh) 金属丝在线除湿装置
KR20100033594A (ko) 물을 이용한 공기 조화 장치
KR20080070140A (ko) 이동식 공기조화기
CN204629764U (zh) 空调柜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