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8727A - 셀프 피어싱 리벳장치용 모듈 실린더 - Google Patents

셀프 피어싱 리벳장치용 모듈 실린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8727A
KR20100078727A KR1020080137070A KR20080137070A KR20100078727A KR 20100078727 A KR20100078727 A KR 20100078727A KR 1020080137070 A KR1020080137070 A KR 1020080137070A KR 20080137070 A KR20080137070 A KR 20080137070A KR 20100078727 A KR20100078727 A KR 201000787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pressure
rod
valve
passag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7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7257B1 (ko
Inventor
이문용
박병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to KR1020080137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7257B1/ko
Publication of KR20100078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87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7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72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15/00Riveting
    • B21J15/02Riveting procedures
    • B21J15/025Setting self-piercing riv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15/00Riveting
    • B21J15/10Riveting machines
    • B21J15/16Drives for riveting machines; Transmission means therefor
    • B21J15/18Drives for riveting machines; Transmission means therefor operated by air pressure or other gas pressure, e.g. explosion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15/00Riveting
    • B21J15/10Riveting machines
    • B21J15/28Control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rive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preceding subgroups

Abstract

본 발명은 리벳이 작동 유압력에 의해 상부 모재를 관통한 후, 하부 모재에 압입되는 과정에, 상기 하부 모재에 압입되는 시점의 높은 응력(변형력)에 대응하여 상기 작동 유압력과 함께 레귤레이팅 밸브를 통하여 정밀하게 제어되어 추가적으로 제공되는 제어압에 의해 상기 하부 모재에 대하여 리벳이 압입되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인 셀프 피어싱 작동을 유도하는 셀프 피어싱 장치용 모듈 실린더를 제공한다.
셀프 피어싱 장치, 모듈 실린더, 앤빌, 레귤레이팅 밸브

Description

셀프 피어싱 리벳장치용 모듈 실린더{MODULE CYLINDER IN SELF-PIERCING RIVET SYSTEM}
본 발명은 셀프 피어싱 리벳장치용 모듈 실린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작동 유압력에 의해 리벳을 상부 모재과 하부 모재에 관통 압입하여 접합하기 위한 가압력을 제공하는 셀프 피어싱 리벳장치용 모듈 실린더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동차 산업에서는 환경문제에 따른 연비의 향상을 위해 알루미늄 합금과 플라스틱 재료의 사용을 통하여 경량화를 추진중이며, 작업환경과 제품검사의 개선을 위해 점용접을 교체할 수 있는 접합방법에 대한 고찰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와 같은 기대에 맞는 접합방식으로서 셀프 피어싱 리벳장치(self-piercing rivet systemr)가 한 예이다.
상기 셀프 피어싱 리벳장치는 종래의 리벳팅이 강판 등의 모재에 리벳 접합용 구멍을 가공하여 모재 들을 접합하는데 반해, 유압력으로 리벳을 압입하여 모재와 리벳을 소성변형에 의해 접합되도록 하는 리벳팅이며, 최근의 자동차업계에서 많이 채택을 하고 있는 접합방식이다.
이러한 셀프 피어싱 리벳 접합은 점용접과 다른 리벳팅에 비해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첫째, 리벳 자체가 상판을 관통하여 그 선단이 하판과 함께 확장되면서 상판과 하판의 접합이 이루어짐으로 종전의 리벳팅 작업 시, 상판에 설치하는 구멍이 셀프 피어싱 리벳 접합에서는 불필요하다.
둘째, 이종재료와의 접합이 가능하다. 즉, 플라스틱, 고무, 알루미늄과 강판을 접합할 수 있으며, 알루미늄과 고장력 강판과의 접합도 가능하다.
셋째, 작업환경이 깨끗하다. 즉, 점용접 시, 발생하는 소음과 불꽃, 연기 등이 발생하지 않아 쾌적한 작업환경을 만들 수 있다.
넷째, 접합 사이클이 단시간 내에 진행된다. 즉, 상판의 리벳팅용 구멍에 리벳을 정위치시키는 작업이 생략되고, 리벳의 체결시간이 1초 정도로 매우 짧아서 단시간 내에 리벳팅 접합 사이클을 끝낼 수 있다.
이러한 셀프 피어싱 리벳장치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C형 프레임(1)이 구비되고, 리벳(L)에 가압력을 제공하는 모듈 실린더(3)가 상기 프레임(1)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모듈 실린더(3)에 대응하여 프레임(1)의 하측에는 앤빌 하우징(11) 내에 탄성 지지되는 앤빌 다이(13)로 구성된 앤빌유닛(5)이 설치된다.
상기 모듈 실린더(3)는 내부에 유압실(21)을 형성하여 피스톤 로드(23)가 하향 설치되는 실린더 하우징(25)이 구비되고, 상기 실린더 하우징(25)의 하단에는 상기 피스톤 로드(23)를 안내하기 위한 로드 하우징(27)이 설치된다.
즉, 상기 모듈 실린더(3)는 상기 프레임(1)의 상측에 상기 로드 하우징(27)이 끼워져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로드 하우징(27)의 내부에는 로드 가이더(29)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상기 로드 가이더(29)의 중심에는 상기 피스톤 로드(23)의 선단부가 끼워져 피스톤 로드(23)의 스트로크 작동을 안내하게 된다.
또한, 상기 로드 하우징(27)의 내부에는 상기 피스톤 로드(23) 상의 리테이너(31)와 상기 로드 가이더(29)의 상단 사이에 리턴 스프링(33)이 개재된다.
즉, 상기 리턴 스프링(33)은 상기 피스톤 로드(23)의 선단부 상에 끼워진 상태로, 그 상단이 피스톤 로드(23) 상에 설치된 리테이너(31)에 지지되고, 그 하단은 상기 로드 가이더(29)의 상단면에 지지되어 피스톤 로드(23)에 대하여 상기 로드 가이더(29)에 복원력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 로드(23)의 하단에는 앤빌 푸셔(35)가 장착되고, 상기 로드 가이더(29)의 하단에는 리벳(L)을 걸도록 죠(37; Jaw)가 설치되며, 상기 죠(37)의 하단에는 상기 리벳(L)을 안내하는 리셉태클(39; Receptacle)이 장착된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을 갖는 셀프 피어싱 리벳장치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최초 상기 죠(37)의 내부로 리벳(L)이 공급되고, 접합할 2장의 강판(10)이 상기 모듈 실린더(3)와 앤빌 다이(13) 사이로 위치되면, 상기 모듈 실린더(3)의 상부 유압 공급구(P1)를 통하여 유압이 공급되어 피스톤 로드(23)를 전진 구동시키게 된다.
그러면, 상기 피스톤 로드(23)는 리턴 스프링(33)에 의해 지지되는 로드 가이더(29)와 함께 하강하게 되며, 이에 따라 로드 가이더(29) 선단의 리셉태클(39) 이 앤빌 다이(13)와 함께, 2장의 강판(10)을 먼저 클램핑한다.
이러한 상태로, 상기 모듈 실린더(3)의 피스톤 로드(23)가 유압에 의해 계속해서 전진 구동하면, 상기 앤빌 푸셔(35)가 리벳(L)을 접합할 강판(10)에 대하여 가압하여 압입시키게 된다.
즉, 상기 리벳(L)은 상부 모재인 상판(7)을 관통하여 하부 모재인 하판(9)에 대해서 압입되면서 앤빌 다이(13)의 성형골(41)을 따라 침투되며, 이로써 상기 2장의 강판(10)은 앤빌 다이(13)의 성형골(41)의 형상을 따라 리벳(L)의 선단이 반지름 방향으로 확장 변형되어 접합을 이루게 된다.
이후, 상기 모듈 실린더(3)는 하부 유압 공급구(P2)를 통하여 유압이 공급되어 피스톤 로드(23)를 다시 후진 구동하여 원위치로 복원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셀프 피어싱 리벳장치는 리벳(L)이 작동 유압력에 의해 상부 모재인 상판(7)을 관통한 후, 하부 모재인 하판(9)에 압입되는 과정 중에, 상기 하판(9)에 압입되는 시점의 높은 응력(변형력)에 대응하도록 필요이상으로 높은 유압을 사용하여야 하며, 이에 따라 리벳(L)이 하판(9)에 압입되는 중에 불균일하고 높은 가압력에 의해 하판(9) 상에 크랙을 발생시키는 등, 접합부 강도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리벳이 작동 유압력에 의해 상부 모재를 관통한 후, 하부 모재에 압입되는 과정에, 상기 하부 모재에 압입되는 시점의 높은 응력(변형력)에 대응하여 상기 작동 유압력과 함께 레귤레이팅 밸브를 통하여 정밀하게 제어되어 추가적으로 제공되는 제어압에 의해 상기 하부 모재에 대하여 리벳이 압입되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인 셀프 피어싱 작동을 유도하는 셀프 피어싱 리벳장치용 모듈 실린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셀프 피어싱 리벳장치용 모듈 실린더는 내부에 유압실을 형성하여 피스톤 로드가 하향 설치되는 실린더 하우징과, 상기 실린더 하우징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피스톤 로드를 안내하는 로드 하우징과, 상기 피스톤 로드의 선단부가 끼워진 상태로 상기 로드 하우징의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로드 가이더와, 상기 피스톤 로드 상의 리테이너와 상기 로드 가이더의 상단 사이에 개재되는 리턴 스프링과, 상기 피스톤 로드 하단에 장착되는 앤빌 푸셔와, 상기 로드 가이더의 하단에 설치되는 죠와, 상기 죠의 하단에 장착되는 리셉태클을 포함하는 셀프 피어싱 리벳장치용 모듈 실린더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로드의 내부 중심을 따라 그 상단으로부터 일정구간 관통 형성되어 제어 유압실을 형성하는 로드 가이드 홀; 상기 로드 가이드 홀에 슬라이드 가 능하게 삽입된 상태로, 상기 실린더 하우징의 내측 상면에 상단이 고정 설치되며, 내부에는 관통된 제어압 유로를 형성하는 레귤레이팅 로드; 상기 실린더 하우징의 상부에 내측에 구성되어 상부 유압 공급구와 연결되는 제어압 입력통로와, 상기 레귤레이팅 로드의 제어압 유로와 연결되는 제어압 출력통로에 각각 연결되어 설정압 이상의 작동 유압이 제어압 입력통로로 공급되면, 이를 제어압 출력통로와 연결된 상기 레귤레이팅 로드 상의 제어압 유로를 통하여 상기 제어 유압실에 제어압으로 공급하는 레귤레이팅 밸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압 출력통로는 상기 상부 유압 공급구와 제어압 리턴통로로 연결되고, 상기 제어압 리턴통로 상에는 상기 상부 유압 공급구로부터 제어압 출력통로로 유압흐름을 차단하는 체크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레귤레이팅 밸브는 밸브 하우징과; 상기 밸브 하우징의 내부에 2개의 랜드를 가지며 설치되는 밸브 스풀; 상기 밸브 스풀을 일방향으로 지지하는 밸브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밸브 하우징의 외측에는 상기 밸브 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캡이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밸브 스풀은 초기에 제어압 입력통로와 제어압 출력통로 사이에 제1랜드가 위치되고, 상기 제어압 출력통로의 외측으로 제2랜드가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셀프 피어싱 리벳장치용 모듈 실린더에 의 하면, 리벳이 작동 유압력에 의해 상부 모재를 관통한 후, 하부 모재에 압입되는 과정에, 상기 하부 모재에 압입되는 시점의 높은 응력(변형력)에 대응하여 상기 작동 유압력과 함께 레귤레이팅 밸브를 통하여 정밀하게 제어되어 추가적으로 제공되는 제어압에 의해 상기 하부 모재에 대하여 리벳이 압입되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인 셀프 피어싱 작동을 유도한다.
즉, 상기 리벳이 작동 유압력에 의해 상부 모재인 상판을 관통한 후, 하부 모재인 하판에 압입되는 과정 중에, 상기 하판에 압입되는 시점의 높은 응력(변형력)에 대응하여 상기 레귤레이팅 밸브를 통하여 정밀하게 제어된 제어압을 사용함으로써, 불필요하게 높은 유압을 작동 유압으로 설정할 필요가 없으며, 이로 인해 리벳이 하판에 압입되는 중에 균일하고 안정적인 가압력을 제공받도록 하여 하판 상에 크랙을 발생시키는 등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듈 실린더의 단면 구성도이다.
단,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함에 있어, 종래 기술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적용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른 모듈 실린더가 적용되는 셀프 피어싱 리벳장치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C형 프레임(1)이 구비되고, 리벳(L)에 가압력을 제공하는 모듈 실린더(3)가 상기 프레임(1)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모듈 실린더(3)에 대응하여 프레임(1)의 하측에는 앤빌 하우징(11) 내에 탄성 지지되는 앤빌 다이(13)로 구성된 앤빌유닛(5)이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모듈 실린더(3)는 내부에 유압실(21)을 형성하여 피스톤 로드(23)가 하향 설치되는 실린더 하우징(25)이 구비되고, 상기 실린더 하우징(25)의 하단에는 상기 피스톤 로드(23)를 안내하기 위한 로드 하우징(27)이 설치된다.
즉, 상기 모듈 실린더(3)는 상기 프레임(1)의 상측에 상기 로드 하우징(27)이 끼워져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로드 하우징(27)의 내부에는 로드 가이더(29)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상기 로드 가이더(29)의 중심에는 상기 피스톤 로드(23)의 선단부가 끼워져 피스톤 로드(23)의 스트로크 작동을 안내하게 된다.
또한, 상기 로드 하우징(27)의 내부에는 상기 피스톤 로드(23) 상의 리테이너(31)와 상기 로드 가이더(29)의 상단 사이에 리턴 스프링(33)이 개재된다.
즉, 상기 리턴 스프링(33)은 상기 피스톤 로드(23)의 선단부 상에 끼워진 상태로, 그 상단이 피스톤 로드(23) 상에 설치된 리테이너(31)에 지지되고, 그 하단은 상기 로드 가이더(29)의 상단면에 지지되어 피스톤 로드(23)에 대하여 상기 로드 가이더(29)에 복원력을 제공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피스톤 로드(23)에는 그 내부 중심을 따라 그 상단으로부터 일정구간 관통되어 로드 가이드 홀(51)이 형성된다.
상기 로드 가이드 홀(51)에는 레귤레이팅 로드(53)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 입되어 설치되는데, 상기 레귤레이팅 로드(53)는 그 상단이 상기 실린더 하우징(25)의 내측 상면에 고정 설치되고, 그 내부에는 관통된 제어압 유로(55)를 형성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레귤레이팅 로드(53)는 상기 로드 가이드 홀(51)에 삽입된 상태로, 이 로드 가이드 홀(51) 내부에 제어 유압실(57)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 하우징(25)의 상부에는 레귤레이팅 밸브(60)가 구성된다.
상기 레귤레이팅 밸브(60)는 그 일측이 제어압 입력통로(L1)를 통하여 상부 유압 공급구(P1)와 연결되고, 상기 레귤레이팅 밸브(60)의 타측이 제어압 출력통로(L2)를 통하여 상기 레귤레이팅 로드(53)의 제어압 유로(55)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어압 출력통로(L2)는 상기 상부 유압 공급구(P1)와 제어압 리턴통로(L3)로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한 제어압 입력통로(L1)와 제어압 출력통로(L2) 및 제어압 리턴통로(L3)는 모두 상기 실린더 하우징(5)의 상부 내측에 통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어압 리턴통로(L3) 상에는 상기 상부 유압 공급구(P1)로부터 제어압 출력통로(L2)로 유압흐름을 차단하는 체크밸브(CV)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한 레귤레이팅 밸브(60)의 구체적인 구성은 상기 실린더 하우징(25) 상부에 일체로 밸브 하우징(61)이 형성되고, 상기 밸브 하우징(61)의 내부에는 2개의 랜드(63,65)를 갖는 밸브 스풀(67)이 설치되며, 상기 밸브 스풀(67)을 일방향으로 지지하는 밸브 스프링(69)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밸브 스풀(67)은 초기에 상기한 제어압 입력통로(L1)와 제어압 출력통로(L2) 사이에 제1랜드(63)가 위치되고, 상기 제어압 출력통로(L2)의 외측으로 제2랜드(65)가 위치되어 설치된다.
또한, 상기 레귤레이팅 밸브(60)는 상기 밸브 하우징(61)의 외측에 상기 밸브 스프링(69)의 탄성력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캡(71)이 장착된다.
이러한 레귤레이팅 밸브(60)는 설정압 이상의 작동 유압이 제어압 입력통로(L1)로 공급되면, 상기 밸브 스풀(67)을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제어압 출력통로(L2)와 연결된 상기 레귤레이팅 로드(53) 상의 제어압 유로(55)를 통하여 상기 제어 유압실(57)에 제어압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그리고 상기 피스톤 로드(23)의 하단에는 앤빌 푸셔(35)가 장착되고, 상기 로드 가이더(29)의 하단에는 리벳(L)을 걸도록 죠(37; Jaw)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죠(37)의 하단에는 상기 리벳(L)을 안내하는 리셉태클(39; Receptacle)이 장착된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을 갖는 셀프 피어싱 리벳장치의 모듈 실린더(3)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최초 상기 죠(37)의 내부로 리벳(L)이 공급되고, 접합할 2장의 강판(10)이 상기 모듈 실린더(3)와 앤빌 다이(13) 사이로 위치되면, 상기 모듈 실린더(3)의 상부 유압 공급구(P1)를 통하여 유압이 공급되어 피스톤 로드(23)를 전진 구동시키게 된다.
그러면, 상기 피스톤 로드(23)는 리턴 스프링(33)에 의해 지지되는 로드 가이더(29)와 함께 하강하게 되며, 이에 따라 로드 가이더(29) 선단의 리셉태클(39) 이 앤빌 다이(13)와 함께, 2장의 강판(10)을 먼저 클램핑한다.
이러한 상태로, 상기 모듈 실린더(3)의 피스톤 로드(23)가 유압에 의해 계속해서 전진 구동하면, 상기 앤빌 푸셔(35)가 리벳(L)을 접합할 강판(10)에 대하여 가압하게 된다.
이때, 상기 리벳(L)이 작동 유압력에 의해 상부 모재인 상판(7)을 관통한 후에는, 하부 모재인 하판(9)에 압입되는 과정 중에, 상기 하판(9)에 압입되는 시점의 높은 응력(변형력)을 받게 된다.
즉, 상기 리벳(L)이 상부 모재인 상판(7)을 관통한 후, 하부 모재인 하판(9)에 압입되는 과정에서 받는 응력으로 인해 상기 유압실(21) 내부에는 더욱 높은 유압이 형성되며, 이러한 유압은 상기 레귤레이팅 밸브(60)에 작용하여 상기 밸브 스프링(69)을 압축시키면서 밸브 스풀(67)을 밀도록 작동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레귤레이팅 밸브(60)는 상기 제어압 출력통로(L2)를 열게 되어 상기 상부 유압 공급구(P1), 제어압 입력통로(L1), 제어압 출력통로(L2) 및 제어압 유로(55)를 통하여 상기 제어 유압실(57)에 설정압 이상의 제어압을 공급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피스톤 로드(23)는 상기 작동 유압력과 함께 레귤레이팅 밸브(60)를 통하여 정밀하게 제어되어 추가적으로 제공되는 제어압에 의해 상기 리벳(L)을 하판(9)에 대하여 압입함으로써, 상기 하판(9)과 리벳(L)이 앤빌 다이(13)의 성형골(41)을 따라 침투되며, 이로써 상기 2장의 강판(10)은 앤빌 다이(13)의 성형골(41)의 형상을 따라 리벳(L)의 선단이 반지름 방향으로 확장 변형되어 접합 을 이루게 된다.
이후, 상기 모듈 실린더(3)는,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유압 공급구(P2)를 통하여 유압이 공급되어 피스톤 로드(23)를 다시 후진 구동하여 원위치로 복원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 유압실(57)에 공급된 유압은 제어압 유로(55)와 제어압 출력통로(L2)와 상기 제어압 리턴통로(L3) 상의 체크밸브(CV)를 통과하여 상부 유압 공급구(P1)로 배출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모듈 실린더가 적용된 셀프 피어싱 리벳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모듈 실린더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듈 실린더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듈 실린더의 단계별 작동 상태도이다.

Claims (9)

  1. 내부에 유압실을 형성하여 피스톤 로드가 하향 설치되는 실린더 하우징과, 상기 실린더 하우징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피스톤 로드를 안내하는 로드 하우징과, 상기 피스톤 로드의 선단부가 끼워진 상태로 상기 로드 하우징의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로드 가이더와, 상기 피스톤 로드 상의 리테이너와 상기 로드 가이더의 상단 사이에 개재되는 리턴 스프링과, 상기 피스톤 로드 하단에 장착되는 앤빌 푸셔와, 상기 로드 가이더의 하단에 설치되는 죠와, 상기 죠의 하단에 장착되는 리셉태클을 포함하는 셀프 피어싱 리벳장치용 모듈 실린더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로드의 내부 중심을 따라 그 상단으로부터 일정구간 관통 형성되어 제어 유압실을 형성하는 로드 가이드 홀;
    상기 로드 가이드 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된 상태로, 상기 실린더 하우징의 내측 상면에 상단이 고정 설치되며, 내부에는 관통된 제어압 유로를 형성하는 레귤레이팅 로드;
    상기 실린더 하우징의 상부에 내측에 구성되어 상부 유압 공급구와 연결되는 제어압 입력통로와, 상기 레귤레이팅 로드의 제어압 유로와 연결되는 제어압 출력통로에 각각 연결되어 설정압 이상의 작동 유압이 제어압 입력통로로 공급되면, 이를 제어압 출력통로와 연결된 상기 레귤레이팅 로드 상의 제어압 유로를 통하여 상기 제어 유압실에 제어압으로 공급하는 레귤레이팅 밸브;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피어싱 리벳장치용 모듈 실린더.
  2. 제1항에서,
    상기 제어압 출력통로는
    상기 상부 유압 공급구와 제어압 리턴통로로 연결되고, 상기 제어압 리턴통로 상에는 상기 상부 유압 공급구로부터 제어압 출력통로로 유압흐름을 차단하는 체크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피어싱 리벳장치용 모듈 실린더.
  3. 제1항에서,
    상기 레귤레이팅 밸브는
    밸브 하우징;
    상기 밸브 하우징의 내부에 2개의 랜드를 가지며 설치되는 밸브 스풀;
    상기 밸브 스풀을 일방향으로 지지하는 밸브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피어싱 리벳장치용 모듈 실린더.
  4. 제3항에서,
    상기 밸브 하우징의 외측에는
    상기 밸브 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캡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피어싱 리벳장치용 모듈 실린더.
  5. 제3항에서,
    상기 밸브 스풀은
    초기에 제어압 입력통로와 제어압 출력통로 사이에 제1랜드가 위치되고, 상기 제어압 출력통로의 외측으로 제2랜드가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피어싱 리벳장치용 모듈 실린더.
  6. 내부에 유압실을 형성하여 피스톤 로드가 하향 설치되는 실린더 하우징과, 상기 실린더 하우징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피스톤 로드를 안내하는 로드 하우징과, 상기 피스톤 로드의 선단부가 끼워진 상태로 상기 로드 하우징의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로드 가이더와, 상기 피스톤 로드 상의 리테이너와 상기 로드 가이더의 상단 사이에 개재되는 리턴 스프링과, 상기 피스톤 로드 하단에 장착되는 앤빌 푸셔와, 상기 로드 가이더의 하단에 설치되는 죠와, 상기 죠의 하단에 장착되는 리셉태클을 포함하는 셀프 피어싱 리벳장치용 모듈 실린더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로드의 내부 중심을 따라 그 상단으로부터 일정구간 관통 형성되어 제어 유압실을 형성하는 로드 가이드 홀;
    상기 로드 가이드 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된 상태로, 상기 실린더 하우징의 내측 상면에 상단이 고정 설치되며, 내부에는 관통된 제어압 유로를 형성하는 레귤레이팅 로드;
    상기 실린더 하우징의 상부에 내측에 구성되어 설정압 이상의 작동 유압이 공급되면, 밸브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밸브 스풀이 작동하여 상기 레귤레이팅 로드 상의 제어압 유로를 통하여 상기 제어 유압실에 제어압으로 공급하는 레귤레이 팅 밸브;
    상기 실린더 하우징의 상부 내측에서 상기 상부 유압 공급구와 상기 레귤레이팅 밸브의 일측을 연결하는 제어압 입력통로;
    상기 실린더 하우징의 상부 내측에서 상기 레귤레이팅 로드의 제어압 유로와 상기 레귤레이팅 밸브의 타측을 연결하는 제어압 출력통로;
    상기 제어압 출력통로와 상기 상부 유압 공급구를 연결하는 제어압 리턴통로;
    상기 제어압 리턴통로 상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상부 유압 공급구로부터 제어압 출력통로로 유압흐름을 차단하는 체크밸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피어싱 리벳장치용 모듈 실린더.
  7. 제6항에서,
    상기 레귤레이팅 밸브는
    밸브 하우징;
    상기 밸브 하우징의 내부에 2개의 랜드를 가지며 설치되는 밸브 스풀;
    상기 밸브 스풀을 일방향으로 지지하는 밸브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피어싱 리벳장치용 모듈 실린더.
  8. 제7항에서,
    상기 밸브 하우징의 외측에는
    상기 밸브 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캡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피어싱 리벳장치용 모듈 실린더.
  9. 제7항에서,
    상기 밸브 스풀은
    초기에 제어압 입력통로와 제어압 출력통로 사이에 제1랜드가 위치되고, 상기 제어압 출력통로의 외측으로 제2랜드가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피어싱 리벳장치용 모듈 실린더.
KR1020080137070A 2008-12-30 2008-12-30 셀프 피어싱 리벳장치용 모듈 실린더 KR1010172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7070A KR101017257B1 (ko) 2008-12-30 2008-12-30 셀프 피어싱 리벳장치용 모듈 실린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7070A KR101017257B1 (ko) 2008-12-30 2008-12-30 셀프 피어싱 리벳장치용 모듈 실린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8727A true KR20100078727A (ko) 2010-07-08
KR101017257B1 KR101017257B1 (ko) 2011-02-28

Family

ID=42639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7070A KR101017257B1 (ko) 2008-12-30 2008-12-30 셀프 피어싱 리벳장치용 모듈 실린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725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7680A (ko) * 2012-12-31 2014-07-0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스턴튜브 재킹업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80707A (ko) * 2018-12-27 2020-07-07 (주)탑아이엔디 차체 조립 지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64923A (zh) * 2014-12-31 2015-04-29 东莞以利沙五金制品有限公司 T型法兰及其制造方法
KR101923470B1 (ko) * 2018-10-08 2018-11-29 배본로 리벳팅 머신 및 이를 이용한 리벳팅 공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226517D0 (en) * 1992-12-19 1993-02-10 Henrob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efl-piercing riveting
GB9923266D0 (en) * 1999-10-02 1999-12-08 Textron Fastening Syst Ltd Riveting apparatus
KR200349914Y1 (ko) 2004-01-30 2004-05-17 (주)마이크로 갤럭시 유압 부스터를 장착한 리벳팅 머신
DE102005031917A1 (de) 2004-09-24 2006-04-13 Böllhoff Verbindungstechnik GmbH Verfahren zum Fügen und Vorrichtung zum Betätigen eines Fügewerkzeug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7680A (ko) * 2012-12-31 2014-07-0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스턴튜브 재킹업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80707A (ko) * 2018-12-27 2020-07-07 (주)탑아이엔디 차체 조립 지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7257B1 (ko) 2011-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55074B2 (ja) 締結工具を使った接合方法及び締結工具の操作用装置
US6543115B1 (en) Process and device for joining by punching and riveting
US9283612B2 (en) Method and tool for clinching thick plates and use of the tool or of the clinching apparatus or of the clinching appliance
KR101819902B1 (ko) 셀프 피어싱 리벳 장치 및 그의 리벳 공급유닛
KR101017257B1 (ko) 셀프 피어싱 리벳장치용 모듈 실린더
KR101689572B1 (ko) 셀프 피어싱 리벳
KR20180022498A (ko) 진동 저항 요소 용접방법
US6398096B1 (en) Hydraulic drive mechanism for a joining tool
KR20180076183A (ko) 셀프 피어싱 리벳 및 이를 이용한 접합방법
KR20110131826A (ko) 셀프 피어싱 리벳장치
JP6391702B2 (ja) 接合あるいは機能要素の設置装置
KR101505910B1 (ko) 셀프 피어싱 리벳 장치
JP2017121644A (ja) プレス成形装置、及びプレス成形方法
KR101075805B1 (ko) 셀프 피어싱 리벳장치용 모듈 실린더
KR20130069204A (ko) 셀프 피어싱 리벳
KR101543244B1 (ko) 리벳 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셀프 피어싱 리벳 시스템
US6041493A (en) Riveting tool
KR101211543B1 (ko) 리벳팅장치의 가압구 가이드구조
KR20160080364A (ko) 셀프 피어싱 리벳, 및 이를 이용한 접합방법
KR102063043B1 (ko) 셀프 피어싱 리벳 장치
KR20150079289A (ko) 리벳 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셀프 피어싱 리벳 시스템
KR102081744B1 (ko) 하이브리드 접합장치 및 그를 이용한 접합구조체의 제조방법
KR102081742B1 (ko) 하이브리드 접합장치 및 그를 이용한 접합구조체의 제조방법
KR20160012607A (ko) 셀프 피어싱 리벳을 이용한 접합방법
KR102539842B1 (ko) 이종 접합용 패스너 압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