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8703A - 위젯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위젯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8703A
KR20100078703A KR1020080137038A KR20080137038A KR20100078703A KR 20100078703 A KR20100078703 A KR 20100078703A KR 1020080137038 A KR1020080137038 A KR 1020080137038A KR 20080137038 A KR20080137038 A KR 20080137038A KR 20100078703 A KR20100078703 A KR 201000787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dget
mode
user
receiving terminal
broadcast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7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62675B1 (ko
Inventor
이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Priority to KR1020080137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2675B1/ko
Publication of KR20100078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87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2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26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젯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대기모드, 동작모드 및 위젯 전용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실행을 위한 조건을 유지하는 단계-상기 위젯 전용모드는 위젯 어플리케이션만이 전용으로 실행되는 상태임-, 미리 설정된 사용자의 키 입력 또는 미리 설정된 시간의 도래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위젯 전용모드로의 전환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대기모드를 기반으로 위젯을 실행하여 사용자에게 빠른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며, 방송 수신 단말의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대기모드, 동작모드, 위젯 전용모드, 키 신호, 시간, 전용

Description

위젯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widget service}
본 발명은 위젯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방송 수신 단말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면서 사용자가 빠르게 위젯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위젯(widget)은 개인용 컴퓨터에서 웹브라우저를 대신하는 개인화된 프로그램으로서, 웹브라우저의 구동 여부에 관계 없이 날씨, 시간, 달력, 계산기 등과 같은 소정 정보를 제공하거나 또는 특정 서버에 접속하여 검색 등을 요청할 수 있도록 하는 작은 사이즈의 응용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개인용 컴퓨터에서 위젯은 웹 서비스 프로바이더에 따라 클립 또는 가젯(gadget) 또는 패널(panel)이라는 다양한 용어로 대체되어 사용되고 있다.
위젯은 컨텐츠를 제공하는 포털 사이트 등을 방문하지 않고도 다양한 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조합으로 화면상에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이동통신 단말 및 방송 서비스에까지 확장되고 있다.
과거 방송 서비스는 아날로그 방식으로 제공되었으나 비디오 압축 기술, 네 트워크 전송 기술 및 방송 수신 단말에서의 처리 성능 향상으로 고화질의 디지털 방송 서비스가 가능해지고 있다.
이처럼 방송 서비스의 디지털 방식으로의 전환에 따라 방송 수신 단말에도 위젯 서비스가 제공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날씨, 운세, 뉴스, 증권, 이메일, 쇼핑, 뱅킹, 전화 서비스 및 인터넷 검색과 같이 단지 방송을 시청하는 것뿐만 아니라 가입자의 요청에 따라 방송과 직접, 간접적으로 관련된 데이터(부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위젯 서비스가 가능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텔레비전과 같은 방송 수신 단말 상에서도 양방향 어플리케이션이라는 형태로 방송 프로그램 제작사, 방송사 및 네트워크 운영사가 제공하는 서비스가 존재한다.
하지만, 방송 수신 단말은 전원이 공급된 후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라 바로 실시간 방송이나 주문형 비디오를 제공하며, 작업이 사용되지 않는 공간이 없고 개인용 컴퓨터 또는 이동통신 단말처럼 작업 시작 이전 상태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양방향 어플리케이션을 개인용 컴퓨터나 이동통신 단말에서처럼 노출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여전히 사용자들은 빠르고 간편하게 원하는 정보를 확인하고자 하는 욕구를 가지고 있으나, 현재 양방향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방송 수신 단말을 켜고, 방송 신호 수신 등의 일반적인 시작 과정을 개시한 후에 다단계 뎁스를 갖는 메뉴를 선택하는 등의 복잡한 절차를 거쳐 실행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방송 서비스에서도 위젯 서비스가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되나, 현재까지 제안되고 있는 위젯 서비스는 사용자의 진정한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방송 수신 단말의 상태 변화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도 1과 같은 모드에서 위젯 실행 상태로의 전환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방송 수신 단말은 크게 대기모드(100) 및 동작모드(102)를 포함한다.
대기모드(100)는 사용자의 키 입력 등을 대기하는 상태이며, 사용자가 전원 키(POWER KEY), 채널 업다운 키(CH +/- KEY) 및 번호 키(NUMBER KEY)를 입력하는 경우에 대기모드(100)에서 동작모드(102)로 전환된다.
동작모드(102)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이전에 시청했던 채널과 같이 디폴트(default)로 설정된 채널에서 제공되는 실시간 영상 또는 주문형 비디오를 재생하는 상태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위젯 서비스는 방송 수신 단말이 일단 동작모드(102)로 진입한 후에 제공된다.
방송 수신 단말이 대기모드(100)에서 소정 채널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재생하는 동작모드(102)로 전환된 이후, 사용자가 위젯 키(WIDGET KEY) 또는 위젯 메뉴 키(WIDGET MENU SELECTION)를 입력하는 경우에 위젯 모드(200)로의 전환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위젯 키는 이전에 설정된 소정 위젯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기 위 한 키이고, 위젯 메뉴 키는 사용자가 복수의 위젯 중 하나의 선택 또는 선택된 위젯을 화면상에 배치하기 위한 키이다.
종래기술에 따르면, 일단 방송 수신 단말이 동작모드로 진입한 이후에 위젯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다.
디지털 방송 서비스에서는 채널 튜닝 및 튜닝된 채널에서 제공된 신호의 디코딩 과정 등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아날로그 방식과는 달리 채널 시청을 위한 많은 대기 시간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위젯 서비스만의 이용을 원하는 경우에도 방송 수신 단말의 동작모드로의 전환까지 대기해야 하기 때문에 많은 대기 시간을 요구하는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방송 수신 단말의 동작모드에서는 방송 수신 단말에 포함된 모든 부품, 예를 들어, 튜너, 디코더 및 외부 입력단자 처리 부품 등에 전원이 공급되어야 한다.
따라서 종래기술에 따르면 사용자가 채널 시청이 아닌 위젯 서비스만의 선택적 이용을 원하더라도 방송 수신 단말의 부품 전체에 전원이 공급되어야 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전력 소모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가 빠르게 위젯 서비스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위젯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위젯 서비스와 관련하여 방송 수신 단말의 전력 소모가 최소화될 수 있는 위젯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송 수신 단말에서 위젯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a) 대기모드, 동작모드 및 위젯 전용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실행을 위한 조건을 유지하는 단계-상기 위젯 전용모드는 위젯 어플리케이션만이 전용으로 실행되는 상태임-; (b) 미리 설정된 사용자의 키 입력 또는 미리 설정된 시간의 도래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c)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위젯 전용모드로의 전환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젯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한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위젯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송 수신 단말 장치에 있어서, 대기모드, 동작모드 및 위젯 전용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실행을 위한 조건을 유지하면서, 미리 설정된 사용자의 키 입력 또는 미리 설정된 시간의 도 래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위젯 전용모드로의 전환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모드 전환 판단부; 및 상기 위젯 전용모드로의 전환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위젯 어플리케이션만을 전용으로 실행하는 위젯 실행부를 포함하는 방송 수신 단말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동작모드로의 전환 없이 위젯 서비스의 이용을 지원하기 때문에 빠른 위젯 서비스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동작모드로의 전환 없이 사용자에게 위젯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방송 수신 단말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위젯 전용모드에서는 화면에 동영상이 출력되지 않는 상태이기 때문에 화면 전체를 통해 위젯을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위젯 서비스 이용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 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 번호에 상관없이 동일한 수단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위젯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시스템은 헤드엔드(300) 및 데이터 서버(302)를 포함할 수 있으며, 헤드엔드(300) 및 데이터 서버(302)는 네트워크를 통해 방송 수신 단말(304)과 연결된다.
여기서 헤드엔드(300)와 방송 수신 단말(304)은 지상파망, 위성망, 케이블망 및 인터넷을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데이터 서버(302) 및 방송 수신 단말(304)은 리턴망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헤드엔드(300)는 방송 프로그램 및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방송 신호를 방송 수신 단말(304)로 전송한다.
헤드엔드(300)는 다양한 채널의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비디오, 오디오 신호를 미리 설정된 포맷으로 변환하여 방송 수신 단말(304)로 전송한다.
또한, 헤드엔드(300)는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스케줄링 기능, 가입자 이외에 다른 사용자가 접근하지 못하도록 제한 수신을 위한 전송 스트림의 스크램블링을 수행한다.
데이터 서버(302)는 리턴망을 통해 방송 수신 단말(304)과 연결되며, 방송 수신 단말(304)에서 실행되는 위젯 어플리케이션이 갱신된 정보를 요청하는 경우, 갱신된 정보를 방송 수신 단말(304)로 전송한다.
방송 수신 단말(304)은 헤드엔드(300)의 전송 스트림을 수신 처리하여 방송 프로그램 재생하거나 또는 데이터를 해석하여 출력하는 텔레비전 또는 셋탑박스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됨이 없이 하기에서와 같이 위젯 어플리케이션만이 전용으로 실행 가능한 단말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수신 단말(304)의 상태는 대기모드(310) 및 동작모드(312)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대기모드(310)는 사용자의 키 입력 등을 대기하는 상태이며, 사용자가 전원 키(POWER KEY), 채널 업다운 키(CH +/- KEY) 및 번호 키(NUMBER KEY)를 입력하는 경우에 대기모드(310)에서 동작모드(312)로 전환된다.
동작모드(312)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이전에 시청했던 채널과 같이 디폴트(default)로 설정된 채널에서 제공되는 실시간 영상 또는 주문형 비디오를 재생하는 상태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송 수신 단말(304)에서 대기모드(310) 및 동작모드(312)외에 위젯 전용모드(314)가 추가적으로 정의된다.
여기서, 위젯 전용모드(314)는 동작모드(312)에서의 튜닝 및 디코딩과 같은 과정 없이 위젯 어플리케이션만이 전용으로 실행되는 상태이다.
위젯 서비스는 위젯 엔진 및 위젯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된다.
위젯 엔진에 의해 소정 위젯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며, 위젯 어플리케이션은 화면 상에 소정 정보 또는 검색과 같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위젯 인터페이스 를 출력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위젯 어플리케이션은 날씨, 달력, 시간, 앨범, 계산기, 메모장, 사전, 뉴스, 교통 정보, 프로그램 추천, 일반 검색, 증권, 운세, 뉴스, 이메일, 메시지 전송 등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위젯 전용모드(314)는 방송 수신 단말(304)이 동작모드(312)로 진입하지 않고도 대기모드(310)에서 사용자의 키 입력(WIDGET) 또는 미리 설정된 시간의 도래(TIMER AUTO START)와 같은 소정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바로 위젯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상태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위젯 전용모드(314)는 채널 시청 서비스 제공 없이 위젯 서비스만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개인용 컴퓨터 또는 이동통신 단말의 소정 작업 시작 전에 위젯 어플리케이션이 출력된 상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대기모드(310)에서 소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위젯 전용모드(314)로의 전환이 이루어지며, 이처럼 동작모드(312)로의 전환 없이 위젯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기 때문에 빠른 위젯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해진다.
즉, 동작모드(312)로의 전환을 위해서는 채널 튜닝,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 등의 디코딩 등이 수행되어야 하며 이는 상당한 대기 시간을 요구하는데,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대기 시간 없이 바로 위젯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어 사용자에게 빠른 서비스 제공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동작모드(312)로의 전환 없이 위젯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때문에 방송 수신 단말(304)의 최소 부품에만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젯 전용모드(314)에서는 채널 튜닝 및 디코딩 등이 수행될 필요가 없으므로 튜너(tuner) 또는 디코더와 같은 부품에 전원을 공급할 필요가 없어 방송 수신 단말(304)에서의 전력 소모량이 감소된다.
상기에서는 대기모드(310)에서 위젯 전용모드(314)로 전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르면, 방송 수신 단말(304)이 동작모드(312)에 있는 경우에도 사용자의 소정 키 입력(WIDGET KEY)에 따라 위젯 전용모드(314)로의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모드(312)를 유지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소정 키 입력(위젯 키, 위젯 메뉴 키)이 있는 경우 위젯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위젯 모드(316)가 추가로 정의될 수 있다.
여기서, 위젯 모드(316)는 화면 상에 소정 방송 프로그램이 재생되는 상태에서 소정의 위젯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상태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송 수신 단말(304)에서 위젯 전용모드(314)가 실행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전원 키, 채널 업다운 키 또는 넘버 키 등을 입력하는 경우, 위젯 전용모드(314)에서 동작모드(312)로의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반면, 사용자가 위젯 종료키(WIDGET CLOSE KEY)와 같은 미리 설정된 키를 입력하는 경우에는 동작모드(312)가 아닌 대기모드(310)로의 전환이 수행될 수도 있다.
하기에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위젯 서비스 제공 과 정을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위젯 전용모드의 실행을 위한 방송 수신 단말의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 단말(304)은 키 신호 수신부(400), 타이머부(402), 모드 전환 판단부(404), 전원 공급 제어부(406) 및 위젯 실행부(408)를 포함할 수 있다.
키 신호 수신부(400)는 방송 수신 단말(304)에 구비된 키 입력부 또는 리모콘으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키 신호를 수신한다.
타이머부(402)는 현재 시간 및 날짜를 관리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드 전환 판단부(404)는 키 신호 수신부(400) 및 타이머부(402)와 연동하여 모드 전환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 단말(304)의 상태는 대기모드(310), 동작모드(312), 위젯 전용모드(314) 및 동작모드(312)에서 실행되는 위젯 모드(316)를 포함하며, 본 발명에 따른 모드 전환 판단부(404)는 대기모드, 동작모드, 위젯 전용모드 및 동작모드에서의 위젯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실행을 위한 조건 정보를 미리 저장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모드 전환 판단부(404)는 미리 설정된 키 입력 또는 미리 설정된 시간이 도래와 같은 소정 조건이 만족하는지 여부를 통해 대기모드(310) 또는 동작모드(312)에서 위젯 전용모드(314)로의 전환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대기모드(310)에서 사용자의 채널 업다운 키 또는 넘버 키가 입력된 경우에만 동작모드(312)로 전환되고 그밖에 키가 입력된 경우에는 위젯 전용모드(314)로 전환되는 것으로 설정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됨이 없이 위젯 전용모드(314)로의 전환을 위한 전용 키(핫 키)가 미리 설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드 전환 판단부(404)는 현재 모드가 대기모드(310)이고, 동작모드(312)로의 전환이 아닌 다른 키 입력이 있는 경우, 위젯 전용모드(314)로의 전환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모드가 동작모드(312)인 경우, 모드 전환 판단부(404)는 미리 설정된 전용 키 입력이 있는 경우에만 위젯 전용모드(314)로의 전환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미리 설정된 시간의 도래 여부를 통한 위젯 전용모드(314)로의 전환은 사용자가 방송 수신 단말(304)에 자동 켜짐 기능을 설정하고, 켜질 때의 상태를 위젯 전용모드(314)로 설정한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됨이 없이 방송 수신 단말(304)이 동작모드(312)에 있는 경우에도 미리 설정된 시간의 도래에 따라 위젯 전용모드(314)로의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방송 수신 단말(304)은 현재 상태가 동작모드(312)인 점을 고려하여 사용자에게 위젯 전용모드(314)로의 전환을 원하는지를 문의하기 위한 문의 메시지를 화면 상에 출력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응답이 있는 경우에 위젯 전용모드(314)로의 전환을 수행할 수 있다.
위젯 전용모드(314)로의 전환이 필요한 경우, 전원 공급 제어부(406)는 방송 수신 단말(304)의 일부 부품에만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방송 수신 단말(304)에 튜너, 디코더, CPU, 디스플레이, 서버 통신부 및 외부 입력단자 처리 등을 위한 부품이 포함된 경우, 전원 공급 제어부(406)는 위젯 전용모드(314) 실행 시, CPU, 디스플레이 및 서버 통신부에만 제한적으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이처럼 위젯 전용모드(314)에서는 방송 수신 단말(304)의 일부 부품에만 전원이 공급되기 때문에 불필요한 전력이 소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위젯 전용모드(314)로의 전환이 필요한 경우, 위젯 실행부(408)는 위젯 엔진을 실행한다.
여기서, 위젯 엔진은 위젯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고, 소정 위젯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제어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위젯 실행부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위젯 실행부는 위젯 엔진(500), 위젯 어플리케이션(502), 사용자 프로파일 저장부(504) 및 서버 통신부(506)를 포함할 수 있다.
위젯 엔진(500)은 초기 상태에서 화면 상에 사용자의 복수의 위젯 서비스 중 하나를 선택하고, 또한 배치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출력한다.
사용자는 초기에 위젯 엔진에 의해 출력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을 원하는 위젯 어플리케이션 및 해당 위젯 어플리케이션이 출력하는 위젯 인터페이스의 화면 상 배치를 결정할 수 있다.
위젯 엔진(500)은 상기와 같은 사용자의 설정 정보를 기반으로 위젯 전용모드(314)에서 실행될 위젯 어플리케이션을 결정한다.
상기한 모드 전환 판단부(404)에 의해 미리 설정된 시간이 도래하여 위젯 전용모드(314)로 전환이 이루어지는 경우, 위젯 엔진(500)은 해당 시간에 대해 미리 설정된 위젯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위젯 전용모드(314)의 자동 전환을 위한 시간은 사용자의 라이프 사이클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사용자의 출근 준비 시간에 해당하는 평일(월요일부터 금요일) 7시가 위젯 전용모드(314)로의 전환을 위한 시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평일 7시인 경우 위젯 엔진(500)은 해당 시간과 연계되는 위젯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며, 바람직하게, 출근 준비 시간대인 것을 고려하여 날씨, 교통 정보, 주요 뉴스를 제공하는 위젯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한편, 위젯 전용모드(314)로의 전환을 위한 시간이 평일 오후 2시로 설정되는 경우, 위젯 엔진(500)은 사용자가 가정 주부라는 것으로 가정하여 패션 및 운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위젯 어플리케이션을 우선적으로 실행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미리 설정된 시간의 도래에 의해 위젯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 해당 위젯 어플리케이션은 위젯 어플리케이션 실행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하는 경우(예를 들어, 7시부터 1시간 경과) 또는 소정 시각(예를 들어, 오전 8시)에 종료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위젯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종료된 이후 방송 수신 단말(304)은 위젯 전용모드(314)의 이전 모드로 다시 전환될 수 있다.
위젯 어플리케이션(502)은 위젯 엔진(500)을 통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이며, 화면 상에 소정 정보 또는 서비스 제공을 위한 위젯 인터페이스를 출력한다.
소정 정보를 제공함에 있어 위젯 어플리케이션(502)은 위젯 인터페이스 상에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것으로 예상되는 정보(즉, 개인화된 정보)를 우선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날씨 정보 제공을 위한 위젯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설정 또는 사용자 프로파일 저장부(504)에 저장된 거주 지역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지역에 대한 날씨 정보를 우선적으로 출력할 수 있으며, 교통 정보를 제공하는 위젯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미리 입력한 관심 도로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도로에 대한 교통 정보를 우선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프로파일 저장부(504)는 사용자와 관련된 각종 정보를 저장한다.
사용자 프로파일 저장부(504)는 방송 수신 단말(304)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성별, 나이, 생년월일, 직업, 거주 지역, 사용자 인증을 위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밖에 사용자 프로파일 저장부(504)는 사용자의 선호 채널, 선호 VOD, 관심 서비스, 주요 시청 시간대(주요 시청 시간 및 요일 등), VOD 구매 이력 및 전자 상거래 이력 등을 포함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위젯 어플리케이션(502)은 상기와 같은 사용자 프로파일 및 사용자 설정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빠르게 제공할 수 있다.
위젯 어플리케이션(502)은 갱신된 정보의 제공이 필요한 경우, 서버 통신부(506)를 통해 데이터 서버(304)에 갱신된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서버 통신부(506)는 리턴망을 통해 데이터 서버(302)와 연결될 수 있으며, 리턴망을 통해 위젯 어플리케이션(502)이 사용자에게 최신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위젯 전용모드(314)의 추가적인 정의 및 위젯 전용모드(314)로의 전환과 관련된 동작은 방송 시스템이 방송 수신 단말(304)에 제공한 소정의 제어 프로그램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즉, 방송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된 제어 프로그램에서 사용자의 키 입력 및 소정 시간을 도래 여부를 모니터링하여 상기한 모드 전환의 판단, 전원 공급 제어 및 위젯 엔진의 실행 제어를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위젯 서비스 제공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방송 수신 단말(304)은 사용자의 키 입력 또는 미리 설정된 시간이 도래와 같은 소정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600).
만일 상기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방송 수신 단말(304)은 현재 방송 수신 단말의 상태가 대기모드(310)인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602).
여기서, 단계 602는 사용자의 키 입력이 대기모드(310)에서 동작모드(312)로의 전환을 위한 키를 제외한 키 입력이 있는 경우 또는 미리 설정된 시간의 도래와 같은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
현재 상태가 대기모드(310)인 경우 방송 수신 단말(304)은 바로 각 부품으로의 전원 공급이 최소화되도록 제어하며(단계 604), 이와 더불어 위젯 엔진을 실행시킨다(단계 606).
위젯 엔진은 사용자의 이전 설정 정보 또는 현재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화면 상에 출력할 위젯 어플리케이션을 결정한다(단계 608).
단계 608에서 결정된 하나 이상의 위젯 어플리케이션은 화면 상에 소정 정보를 포함하는 위젯 인터페이스를 출력한다(단계 610).
단계 610에서 위젯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프로파일 또는 사용자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개인화된 정보를 우선적으로 출력한다.
한편, 방송 수신 단말은 사용자의 모드 전환을 위한 키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며(단계 612), 사용자의 키 입력이 있는 경우, 위젯 전용모드(314)에서 대기모드(310) 또는 동작모드(312)로의 전환을 수행한다(단계 614).
한편, 상기한 단계 602에서 방송 수신 단말(304)의 현재 상태가 동작 모드인 경우 방송 수신 단말(304)은 사용자에게 위젯 전용모드(314)로의 전환을 문의하기 위한 메시지를 출력하며(단계 616), 사용자가 위젯 전용모드(314)로의 전환을 위한 키를 입력하는 경우(단계 618), 단계 604로 진행한다.
여기서, 단계 616은 사용자가 위젯 실행을 위한 전용 키를 입력하는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송 수신 단말(304)이 동작모드에 있지 않더라도 위젯을 실행하는 위젯 전용모드를 추가적으로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빠 르게 확인할 수 있고 방송 수신 단말의 전력 소모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방송 수신 단말의 상태 변화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과 같은 모드에서 위젯 실행 상태로의 전환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위젯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위젯 전용모드의 실행을 위한 방송 수신 단말의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위젯 실행부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위젯 서비스 제공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Claims (15)

  1. 방송 수신 단말에서 위젯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a) 대기모드, 동작모드 및 위젯 전용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실행을 위한 조건을 유지하는 단계-상기 위젯 전용모드는 위젯 어플리케이션만이 전용으로 실행되는 상태임-;
    (b) 미리 설정된 사용자의 키 입력 또는 미리 설정된 시간의 도래 중 적어도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c)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위젯 전용모드로의 전환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위젯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젯 전용모드로의 전환 시 상기 방송 수신 단말의 일부 부품에만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위젯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위젯 엔진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위젯 엔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위젯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위젯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모드에서 상기 위젯 전용모드로의 전환을 위한 키는 상기 대기모드에서 상기 동작모드로의 전환을 위한 키와 중복되지 않는 키 중 어느 하나인 위젯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은 상기 방송 수신 단말의 사용자의 라이프 사이클을 고려하여 설정되는 위젯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되는 위젯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사용자의 프로파일 및 상기 사용자의 설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해 개인화된 정보를 포함하는 위젯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위젯 서비스 제공 방법.
  7. 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의 도래에 의해 상기 위젯 전용모드로의 전환이 수행되는 경우, 소정 시간 경과 후 또는 소정 시각에 다시 이전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위젯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키 입력에 따라 상기 위젯 전용모드에서 상기 대기모드 및 상기 동작모드 중 적어도 하나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위젯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조건은 상기 동작모드를 기반으로 위젯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위젯 모드의 실행을 위한 조건을 더 포함하는 위젯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도래 시 상기 (c) 단계는 상기 방송 수신 단말의 현재 상태가 대기모드인 경우에만 상기 위젯 전용모드로 자동 전환을 수행하는 위젯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12. 위젯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송 수신 단말 장치에 있어서,
    대기모드, 동작모드 및 위젯 전용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실행을 위한 조건을 유지하면서, 미리 설정된 사용자의 키 입력 또는 미리 설정된 시간의 도래 중 적어 도 하나를 통해 위젯 전용모드로의 전환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모드 전환 판단부; 및
    상기 위젯 전용모드로의 전환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위젯 어플리케이션만을 전용으로 실행하는 위젯 실행부를 포함하는 방송 수신 단말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위젯 전용모드로의 전환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방송 수신 단말의 일부 부품에만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전원 공급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방송 수신 단말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위젯 실행부는 위젯 엔진의 실행을 제어하며,
    상기 위젯 엔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위젯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며, 상기 위젯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프로파일 또는 사용자의 설정 정보에 따른 개인화된 정보를 포함하는 위젯 인터페이스를 화면상에 출력하는 방송 수신 단말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전환 판단부는 현재 상태가 대기모드인 경우, 상기 대기모드에서 상기 동작모드로의 전환을 위한 키와 중복되지 않는 키 중 어느 하나가 입력된 경우에 위젯 전용모드로의 전환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는 방송 수신 단말 장치.
KR1020080137038A 2008-12-30 2008-12-30 위젯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5626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7038A KR101562675B1 (ko) 2008-12-30 2008-12-30 위젯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7038A KR101562675B1 (ko) 2008-12-30 2008-12-30 위젯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8703A true KR20100078703A (ko) 2010-07-08
KR101562675B1 KR101562675B1 (ko) 2015-10-22

Family

ID=42639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7038A KR101562675B1 (ko) 2008-12-30 2008-12-30 위젯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267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21272A2 (en) 2010-08-16 2012-02-22 Pantech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three-dimensional (3D) object
WO2019132409A1 (ko) * 2017-12-29 2019-07-04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55534B2 (ja) * 2004-08-04 2011-03-23 ソニー株式会社 端末装置およびデータ処理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JP2006113744A (ja) * 2004-10-13 2006-04-27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21272A2 (en) 2010-08-16 2012-02-22 Pantech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three-dimensional (3D) object
WO2019132409A1 (ko) * 2017-12-29 2019-07-04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2675B1 (ko) 2015-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59919B2 (en) Mobile television channel switching system and method
KR101786565B1 (ko) 미디어 컨텐츠를 미러링하고 트랜스코딩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8413207B2 (en) Remote control terminal, information acquiring apparatus,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program
US20150074708A1 (en) Anticipatory video signal reception and processing
US8463104B2 (en) Digital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281813B1 (ko) 전 채널 데이터 어플리케이션의 자동탐색방법 및 이를적용한 영상재생장치
KR101541543B1 (ko) 위젯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WO2018135314A1 (ja) 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制御装置
US20070143799A1 (en) Mobile television gap filler during channel switching
US20110030011A1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electronic program guide
KR20020014554A (ko) 사용자 환경 설정 기능을 갖는 디지털 티브이 및 그제어방법.
KR101562675B1 (ko) 위젯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JPWO2010041628A1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及び受信方法
KR100617842B1 (ko)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 검색 방법 및 장치
CN111327932A (zh) 电视盒子、电视节目处理方法、装置和存储介质
KR102097173B1 (ko) 휴대 단말과 연동되어 화면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US9769415B1 (en) Bandwidth optimized channel surfing and interface thereof
KR100683346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장치의 전자 프로그램 안내정보 처리 방법
US20100293574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searching channel
JP6856715B2 (ja) 放送受信装置
KR20060030739A (ko) 디지털 다채널 텔레비전 수신기에서 간편한 채널 전환 방법
KR20100025693A (ko) 영상표시기기에서 데이터의 출력 방법 및 장치
TWI545959B (zh) 提供記錄服務之方法與記錄媒體
KR20090084049A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060067730A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장치의 전자 프로그램 안내정보 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