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8504A - 고주파 전기치료기 - Google Patents

고주파 전기치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8504A
KR20100078504A KR1020080136786A KR20080136786A KR20100078504A KR 20100078504 A KR20100078504 A KR 20100078504A KR 1020080136786 A KR1020080136786 A KR 1020080136786A KR 20080136786 A KR20080136786 A KR 20080136786A KR 20100078504 A KR20100078504 A KR 201000785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gh frequency
unit
current
frequency
huma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6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9322B1 (ko
Inventor
이일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청우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청우메디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청우메디칼
Priority to KR1020080136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9322B1/ko
Publication of KR20100078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85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9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93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6Electrodes for high-frequency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40Applying electric fields by inductive or capacitive coupling ; Applying radio-frequency signals
    • A61N1/403Applying electric fields by inductive or capacitive coupling ; Applying radio-frequency signals for thermotherapy, e.g. hyperthermi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주파 전기치료기를 개시한다. 상기 고주파 전기치료기는 인체에서 발생하는 열이 도자로 전도될 때 그 전도되는 열을 비접촉 방식으로 체크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본체로부터 출력되는 일정한 출력전압에 대한 출력전류량을 체크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를 통해 비접촉방식으로 체크되는 인체의 온도, 그리고 도자의 크기 및 인체의 인피던스에 따른 최적의 출력조건(예; 통전전류의 최적 출력상태)으로 인체에 대한 고주파 치료가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사용상 부주의에 따른 화상과 같은 문제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는 한편, 편리하고 안전하게 고주파 전기치료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더불어 고주파핸들과 전극도자의 결합력을 증대시켜, 고주파 전기치료기의 오작동을 방지한 것이다.
고주파, 치료, 전극 구분, 크기구분, 온도감지, 전류체크

Description

고주파 전기치료기{HIGH FREQUENCY ELECTRICAL TREATMENT EQUIPMENT}
본 발명은 고주파 전기치료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온도감지부를 통해 도자의 온도를 체크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전류감지부를 통해서는 도자에 흐르는 전류량을 체크할 수 있도록 하는 고주파 전기치료기에 관한 것이다.
전기치료는 의료용으로 평류전기(平流電氣)·감응전기·교류전기(交流電氣)의 세 가지가 쓰이며, 전기치료는 주파수의 파형, 전류, 전류의 강도, 적용부위 등에 따라 그 기능의 차이가 현저하다.
특히 고주파 전기요법은 고주파전류가 체내로 통하면 근육은 수축하지 않고 온열감(溫熱感)만을 느끼고, 그 열은 인체내부에서 발생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와 같은 고주파 전기치료기는 신진대사를 촉진하고, 혈관확장으로 혈액순환이 활발하여 노폐물을 제거하는 동시에 산소를 충분히 공급하는 작용이 있으며, 진통과 평활근의 이완 등에 효과가 있어, 좌골신경통, 관절통, 근육통 등의 치료에 응용되고 있다.
이러한 고주파 전기치료기는 첨부된 도 1에서와 같이 전극도자(1), 고주파핸들(2), 그리고 전류를 발생시키는 본체, 또는 사각접지도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는 환자의 각 증상에 따라 자동으로 설정되는 몇 가지 유형의 자극 모드(mode)를 설정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은 고주파 전기치료기는 치료부위의 범위와 굴곡도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전극도자(1)를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직경이 작은 전극도자와 직경이 큰 전극도자에 똑같은 양의 고주파 전류를 통전시키면 직경이 작은 전극도자가 전류밀도가 높기 때문에 화상과 같은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특히, 직경이 작은 전극도자는 안면부나 무릎과 같은 굴곡이 심하거나, 좁은 면적을 가지는 치료부위에 적용하기 때문에 높은 전류밀도로 인해 화상과 같은 위험이 발생할 가능성은 더 많다.
따라서, 전극도자의 크기(직경)에 따라 통전시킬 수 있는 최대 전류량(電流量)을 달리 하여야 하는데, 종래의 장비들은 사용자가 수동조작 장치에 의해 전류의 양을 조절하므로 전극도자의 크기(직경)에 맞는 통전 전류량을 정확히 설정하기 위해 각별히 유의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또한, 고주파 전기치료기는 고전압과 높은 주파수를 가진 고주파 전류를 전극도자를 통하여 인체에 흘려주는 장치로, 동일한 조건의 고주파 전류를 통전하더라도 환자의 신체조건, 건강상태 등에 따라 생체 발열량이 각각 다를 수 있기 때문에 환자의 상태에 따라 통전 전류량을 세심하게 제어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한편, 종래의 고주파 전기치료기는 첨부된 도 1에서와 같이, 전극도자(1)에 고주파 도자핀(3)이 연결됨은 물론, 상기 고주파 도자핀(3)을 고주파핸들(2)이 잡도록 함으로써 상기 전극도자(1)의 움직임을 고정하도록 하였지만, 고주파 전기치 료기를 사용시 상기 전극도자(1)와 고주파 도자핀(3)이 풀릴 가능성이 있고, 상기 고주파 도자핀(3)과 고주파핸들(2)의 접촉면에서의 마모 현상으로 인해 기기의 오작동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통전 전류량을 세심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를 위해 인체에서 발생하는 열이 도자로 전도될 때 그 전도되는 열을 비접촉 방식으로 체크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본체로부터 출력되는 일정한 출력전압에 대한 출력전류량을 체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비접촉방식으로 체크되는 인체의 온도, 그리고 도자의 크기 및 인체의 인피던스에 따른 최적의 출력조건(예; 통전전류의 최적 출력상태)으로 인체에 대한 고주파 치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고주파 전기치료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주파핸들과 전극도자의 결합력을 증대시켜, 고주파 전기치료기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려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 고주파 전기치료기는, 전원부 및, 고주파 전류발생기와 고주파 발생기로 이루어지는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와 케이블로 연결되는 고주파핸들; 상기 고주파핸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피부표면에 전류를 인가하는 치료용 전극도자; 상기 본체와 케이블로 연결되며, 인체 접촉시 고주파 전류가 인체에 통과되도록 하는 사각접지도자; 를 포함하는 고주파 전기치료기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핸들의 내부에는 인체에서 발생하는 열이 상기 전극도자로 전도될 때 상기 전도되는 열을 비접촉 방식으로 체크한 후 이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온도감지부를 구성하고,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출력부를 통해 상기 전극도자로 출력되는 고전압을 피드백받아 이를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전류체크부를 구성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감지부에 의해 비접촉으로 감지되는 인체 온도, 그리고 상기 전류체크부로부터 체크되는 출력전압의 전류량을 메모리부에 기 설정하여 저장시킨 값과 비교 및 판단하여 상기 전극도자의 크기를 구분하고 상기 구분된 크기에 대응하는 적합한 통전 전류량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전류체크부에는, 상기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고전압의 일부가 피드백될 때 피드백되는 출력전압의 노이즈를 필터링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에 의해 노이즈가 필터링된 출력전압을 증폭하는 증폭부; 및, 상기 증폭부를 통해 증폭된 출력전압을 주파수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주파수변환부;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감지부에 의해 비접촉방식으로 감지된 인체 온도의 정보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AD변환부; 상기 AD변환부로부터 변환된 디지털신호, 그리고 상기 전류체크부의 주파수변환부에서 주파수로 변환되는 출력전압을 메모리부에 기 설정하여 저장시킨 값과 비교 및 판단하여 상기 전극도자의 크기를 구분하고 상기 구분된 크기에 대응하는 적합한 통전 전류량을 제어하는 신호를 상기 출력부에 출력하는 연산부; 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전극도자에는 고주파 도자핀을 연결하되, 상기 고주파 도자핀의 일측에는 홈을 형성하고, 상기 고주파핸들에는 상기 고주파 핸들을 통해 상기 전극도자를 고정하도록 상기 홈에 끼움 결합이 이루어지는 돌기를 형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인체에서 발생하는 열이 도자로 전도될 때 그 전도되는 열을 비접촉 방식으로 체크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본체로부터 출력되는 일정한 출력전압에 대한 출력전류량을 체크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를 통해 비접촉방식으로 체크되는 인체의 온도, 그리고 도자의 크기 및 인체의 인피던스에 따른 최적의 출력조건(예; 통전전류의 최적 출력상태)으로 인체에 대한 고주파 치료가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사용상 부주의에 따른 화상과 같은 문제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는 한편, 편리하고 안전하게 고주파 전기치료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더불어 고주파핸들과 전극도자의 결합력을 증대시켜 고주파 전기치료기의 오작동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고주파 전기치료기를 나타내는 블럭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첨부된 도 2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전기치료기는 본체(100), 고주파핸들(200), 전극도자(300), 그리고 사각접지도자(40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0)는 케이블을 통해 상기 고주파핸들(200) 및 인체 접촉시 고주파 전류가 인체에 통과되도록 하는 사각접지도자(400)와 연결되는 것으로, 전원부(미도시)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고주파 전류발생기와 고주파 발생기로 이루어지는 출력부(10) 및, 상기 출력부(10)를 제어하는 제어부(40), 그리고 전류체크 부(30)를 포함한다.
상기 전류체크부(30)는 필터부(31)와 증폭부(32), 그리고 주파수변환부(33)가 구성된다.
상기 필터부(31)는 상기 고주파 전류발생기 및 고주파 발생기로 이루어지는 출력부(10)에서 상기 전극도자(300)로 출력하는 고전압의 일부가 피드백될 때, 상기 피드백되는 출력전압의 노이즈를 필터링한 후 이를 상기 증폭부(32)에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증폭부(32)는 상기 필터부(31)에 의해 노이즈가 필터링된 출력전압을 증폭하여 상기 주파수변환부(33)에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주파수변환부(33)는 상기 증폭부(32)를 통해 증폭된 출력전압을 주파수로 변환한 후 이를 상기 제어부(40)에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본체(100)에 케이블로 연결되는 고주파핸들(200)의 내부에는 비접촉방식의 온도감지부(20)가 구성되며, 상기 온도감지부(20)는 인체에서 발생하는 열이 상기 전극도자(300)로 전도될 때 상기 전도되는 열을 비접촉 방식으로 체크한 후 이를 상기 제어부(40)로 전달하는 것이다.
즉, 상기 온도감지부(20)는 인체와 접촉하지 않고 상기 전극도자(300)에 전도되는 인체의 열을 감지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응답속도가 빠르고, 상기 전극도자(200)의 고주파 노이즈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지 않아, 상기 인체에서 발생하는 열의 온도값을 빠르고 신속하게 얻을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전극도자(300)는 상기 고주파핸들(200)에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고주파핸들(200)내의 온도감지부(20)로 인체의 열을 전도하면 되므로 저렴한 비용으로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그 구성은 상기 고주파핸들(200)에 결합이 용이함은 물론, 상기 고주파핸들(200)를 통해 고주파의 출력전압을 효율적으로 전달받을 수 있으면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온도감지부(20)에 의해 비접촉으로 감지되는 인체 온도, 그리고 상기 전류체크부(30)로부터 체크되는 출력전압의 전류량을 메모리부(43)에 기 설정하여 저장시킨 값과 비교 및 판단하여 상기 전극도자(300)의 크기를 구분하고 상기 구분된 크기에 대응하는 적합한 통전 전류량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AD변환부(42) 및 연산부(41)를 더 포함한다.
즉, 상기 AD변환부(42)는 상기 온도감지부(20)에 의해 비접촉방식으로 감지된 인체 온도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한 후 이를 상기 연산부(41)에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연산부(41)는 상기 AD변환부(41)로부터 변환된 디지털신호와 상기 전류체크부(30)의 주파수변환부(33)에서 주파수로 변환되는 출력전압을 메모리부(43)에 기 설정하여 저장시킨 값과 비교 및 판단하여 상기 전극도자(300)의 크기를 구분하고 상기 구분된 크기에 대응하는 적합한 통전 전류량을 제어하는 신호를 상기 출력부(10)에 출력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첨부된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제어부(40)에 포함되는 메모리부(43)에는 상기 전극도자(300)의 크기(고유인자값)에 해당하는 통전 전류량 및 피부온도에 적합한 통전 전류량 값이 각각 저장된 것이다.
이에따라, 상기 제어부(40)에 포함되는 연산부(41)가 출력부(10)의 출력전압을 제어하는 방식은, 우선 고주파핸들(200)내의 온도감지부(20)가 비접촉방식으로서 상기 전극도자(300)로부터 전달하는 인체의 온도를 감지한 후 이를 상기 연산부(41)에 전달한다.
다음으로, 상기 출력부(10)에서의 출력전압 일부는 필터부(31)와 증폭부(32) 및 주파수변환부(33)를 포함하는 전류체크부(30)로 피드백된 후 가공되어 상기 연산부(41)에 전달되는 바,
상기 연산부(41)는 상기의 감지신호와 체크신호가 AD변환부(42)를 통해 디지털신호로 변환될 때, 상기 변환되는 디지털신호를 상기 메모리부(43)에 기 설정하여 저장시킨 고유인자값(전극의 크기값에 대응되는 값)과 비교 및 연산하고, 상기의 연산결과에 따라 치료전극의 크기(또는 통전해야 할 전류량)를 판단한 후 그 결과값에 따라 고주파 전류발생기 및 고주파 발생기로 이루어지는 상기 출력부(10)의 출력전압을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고주파 전기치료기가 작동되는 동안, 상기 연산부(41)는 상기 출력부(10)의 출력전압을 실시간으로 체크되는 인체의 온도, 그리고 전극의 크기에 맞게 수시로 제어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인체에는 상기 전극도자(300)와 사각접지도자(400)를 통해 안전이 보장되는 적절한 전류가 통전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첨부된 도 3은 본 발명의 기구적인 실시예로서, 이는 고주파핸들(200)을 통해 전극도자(300)를 직접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이를 위해 고주파 도자핀(300a)이 연결되는 상기 전극도자(300)에 홈(301)을 형성하는 한편, 상기 고주 파핸들(200)에는 상기 홈(301)에 끼움되는 돌기(201)를 구성한 것이다.
즉, 상기 돌기(201)가 홈(301)에 끼움되면, 상기 전극도자(300)는 상기 고주파핸들(200)에 결합된 상태로 그 움직임이 최소화되고, 이에따라 상기 전극도자(300)와 고주파핸들(200)의 분리나, 상기 고주파핸들(200)과 고주파 도자핀(300a)의 마모에 의한 기기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고주파 전기치료기의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고주파 전기치료기를 나타내는 블럭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고주파 전기치료기의 구조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출력부 20; 온도감지부
30; 전류체크부 31; 필터부
32; 증폭부 33; 주파수 변환부
40; 제어부 41; 연산부
42; AD변환부 43; 메모리부
100; 본체 200; 고주파핸들
201; 돌기 300; 전극도자
300a; 고주파 도자핀 301; 홈
400; 사각접지도자

Claims (4)

  1. 전원부 및, 고주파 전류발생기와 고주파 발생기로 이루어지는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와 케이블로 연결되는 고주파핸들; 상기 고주파핸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피부표면에 전류를 인가하는 치료용 전극도자; 상기 본체와 케이블로 연결되며, 인체 접촉시 고주파 전류가 인체에 통과되도록 하는 사각접지도자; 를 포함하는 고주파 전기치료기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핸들의 내부에는 인체에서 발생하는 열이 상기 전극도자로 전도될 때 상기 전도되는 열을 비접촉 방식으로 체크한 후 이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온도감지부를 구성하고,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출력부를 통해 상기 전극도자로 출력되는 고전압을 피드백받아 이를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전류체크부를 구성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감지부에 의해 비접촉으로 감지되는 인체 온도, 그리고 상기 전류체크부로부터 체크되는 출력전압의 전류량을 메모리부에 기 설정하여 저장시킨 값과 비교 및 판단하여 상기 전극도자의 크기를 구분하고 상기 구분된 크기에 대응하는 적합한 통전 전류량을 제어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전기치료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체크부에는,
    상기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고전압의 일부가 피드백될 때 피드백되는 출력전 압의 노이즈를 필터링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에 의해 노이즈가 필터링된 출력전압을 증폭하는 증폭부; 및,
    상기 증폭부를 통해 증폭된 출력전압을 주파수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주파수변환부; 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전기치료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온도감지부에 의해 비접촉방식으로 감지된 인체 온도 정보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AD변환부; 및,
    상기 AD변환부로부터 변환된 디지털신호와, 상기 전류체크부의 주파수변환부에서 주파수로 변환되는 출력전압를 메모리부에 기 설정하여 저장시킨 값과 비교 및 판단하여 상기 전극도자의 크기를 구분하고 상기 구분된 크기에 대응하는 적합한 통전 전류량을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부에 출력하는 연산부; 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전기치료기.
  4. 전원부 및, 고주파 전류발생기와 고주파 발생기로 이루어지는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와 케이블로 연결되는 고주파핸들; 상기 고주파핸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피부표면에 전류를 인가하는 치료용 전극도자; 상기 본체와 케이블로 연결되는 고주파 전기치료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전극도자에는 고주파 도자핀을 연결하되, 상기 고주파 도자핀의 일측에 는 홈을 형성하고,
    상기 고주파핸들에는 상기 고주파 핸들을 통해 상기 전극도자를 고정하도록 상기 홈에 끼움 결합이 이루어지는 돌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전기치료기.
KR1020080136786A 2008-12-30 2008-12-30 고주파 전기치료기 KR1010093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6786A KR101009322B1 (ko) 2008-12-30 2008-12-30 고주파 전기치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6786A KR101009322B1 (ko) 2008-12-30 2008-12-30 고주파 전기치료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6330A Division KR101009323B1 (ko) 2010-11-22 2010-11-22 고주파 전기치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8504A true KR20100078504A (ko) 2010-07-08
KR101009322B1 KR101009322B1 (ko) 2011-01-18

Family

ID=42639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6786A KR101009322B1 (ko) 2008-12-30 2008-12-30 고주파 전기치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932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1165B1 (ko) * 2015-09-21 2015-12-29 조대권 전극 핸들
KR20180117362A (ko) * 2017-04-19 2018-10-29 동서메디케어 주식회사 통전전류 피드백을 통한 온열 암 치료 장치 및 방법
KR20190007176A (ko) * 2017-07-12 2019-01-22 대양의료기(주) 고주파 자극 치료 장치의 고주파 출력 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고주파 출력 제어 방법
US10874449B2 (en) 2012-04-19 2020-12-29 Koninklijke Philips N.V. Energy application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3654B1 (ko) * 2018-01-10 2019-09-20 주식회사 나리안 고주파 세기가 자동으로 조절되는 휴대용 고주파 두피 마사지기
KR102110033B1 (ko) 2018-05-15 2020-05-12 최성아 고주파 복합 치료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4535B1 (ko) * 2002-07-26 2004-11-03 고천일 유기 폐기물 처리기의 오토 클리닝 시스템
KR20030055189A (ko) * 2003-04-29 2003-07-02 김은수 홀로그램 워터마크 삽입 및 검출 방법과 그 장치
KR200355189Y1 (ko) 2004-03-23 2004-07-03 김형수 고주파 전기치료기
KR200409913Y1 (ko) 2005-12-20 2006-03-03 이봉구 예열기능을 갖는 고주파치료장치
KR100715343B1 (ko) 2006-06-08 2007-05-04 주식회사 청우메디칼 고주파 전기 전극치료기
KR100839675B1 (ko) 2007-01-17 2008-06-19 유서종 심부와 표피와의 온도차 조절이 가능한 고주파 치료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74449B2 (en) 2012-04-19 2020-12-29 Koninklijke Philips N.V. Energy application apparatus
US11877786B2 (en) 2012-04-19 2024-01-23 Koninklijke Philips N.V. Energy application apparatus
KR101581165B1 (ko) * 2015-09-21 2015-12-29 조대권 전극 핸들
KR20180117362A (ko) * 2017-04-19 2018-10-29 동서메디케어 주식회사 통전전류 피드백을 통한 온열 암 치료 장치 및 방법
KR20190007176A (ko) * 2017-07-12 2019-01-22 대양의료기(주) 고주파 자극 치료 장치의 고주파 출력 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고주파 출력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9322B1 (ko) 2011-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9322B1 (ko) 고주파 전기치료기
US5213097A (en) Apparatus for the treatment of diseases of the walls of opening or cavities of the body
JP6911108B2 (ja) 定量的神経筋系遮断検知システム及び方法
US828538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muscle stimulation
KR200397295Y1 (ko) 전극구분기능과 온도제어기능을 갖춘 고주파 전기치료기
US8630714B1 (en) Bone growth stimulation using a constant current capacitively coupled stimulator
EP0938911A2 (en) Electrical apparatus for medical treatment using EMG envelope signal
JP2009511119A (ja) 局部インピーダンスファクタを推定する方法及び装置
KR101057974B1 (ko) 고주파치료 및 저주파치료 기능을 동시 적용한 전기치료기
US20120239025A1 (en) Isolated Current Sensor
JP2021514208A5 (ko)
EP2510875A3 (en) Treatment apparatus for applying electrical impulses to the body of a patient
JP2014533160A (ja) 刺激装置
KR20160143254A (ko) 다중 안전장치가 구비된 고주파 열 치료 및 저주파 자극 치료 겸용 복합 기능 물리 치료기
KR100866543B1 (ko) 운동점 측정 및 전자기 자극 치료 장치
CN109641127B (zh) 排尿障碍治疗仪
KR101257022B1 (ko) 고주파 치료기용 압력 감지 타입 전극 유닛
JP2011182954A (ja) 排尿障害治療器
KR101241535B1 (ko) 복합기능과 바이오 피드백 기능을 가지는 전기치료장치
KR101009323B1 (ko) 고주파 전기치료기
KR100839673B1 (ko) 출력신호 자동 보상조절이 가능한 고주파 치료기
KR102110033B1 (ko) 고주파 복합 치료기
KR100357436B1 (ko) 보호 회로를 포함한 전기 치료 장치
KR100328483B1 (ko) 근전도신호의포락선을이용한전기치료장치
JP6982191B2 (ja) 皮膚美容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