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1535B1 - 복합기능과 바이오 피드백 기능을 가지는 전기치료장치 - Google Patents

복합기능과 바이오 피드백 기능을 가지는 전기치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1535B1
KR101241535B1 KR1020110018482A KR20110018482A KR101241535B1 KR 101241535 B1 KR101241535 B1 KR 101241535B1 KR 1020110018482 A KR1020110018482 A KR 1020110018482A KR 20110018482 A KR20110018482 A KR 20110018482A KR 101241535 B1 KR101241535 B1 KR 1012415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ow frequency
ultrasonic
output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8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9941A (ko
Inventor
이일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청우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청우메디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청우메디칼
Priority to KR1020110018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1535B1/ko
Publication of KR20120099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99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1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15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3Measuring electrical impedance or conductance of a portion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3/0245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with ultrasonic transducers, e.g. piezoelectr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21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for treatment of p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30/00Measuring phys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1H2230/65Impedance, e.g. skin conductivity; capacitance, e.g. galvanic skin response [GS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Biophysic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기능과 바이오 피드백 기능을 가지는 전기치료장치를 개시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프로브 핸들 내에 우레탄 접착제로 압전소자를 밀착시킨 후 이에 2극의 전극을 연결 구성함과 동시에, 환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접지봉과 환자의 피부면에 접촉되는 프로브핸들의 캡부분(금속판 부분)에 각각 전극을 연결 구성하면서, 인피던스 바이오 피드백 기능으로 환자의 통증 유발점(TP)을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찾을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며, 이를 통해 통증 유발점에 대한 저주파 치료와 초음파 치료가 동시 또는 선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치료 효과를 극대화시키는 한편, 프로브 핸들내에 구성되는 온도센서를 통해 초음파 진동으로 발생하는 온도 상승을 제한하면서 초음파 치료에 따른 화상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복합기능과 바이오 피드백 기능을 가지는 전기치료장치{Electric probe unit for using ultrasonic waves and low frequency waves}
본 발명은 전기치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피던스 바이오 피드백 기능으로 환자의 통증 유발점(TP)을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찾아 저주파 치료와 초음파 치료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복합기능과 바이오 피드백 기능을 가지는 전기치료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기재하고 있는 "통증 유발점" 이라 함은, 근육이 뭉쳐서 통증을 유발하게 되는 인체의 특정 지점을 말하는 일반적 용어로서, 인체에 전류를 흘려서 통증이 심하면 임피던스가 높게 측정되고, 통증이 약하면 인피던스가 낮게 측정된다. 그러므로 일정 이상의 인피던스가 측정되면 여기가 "통증 유발점" 임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고, 측정 지점의 통증 정도로서 저주파 출력의 강약을 조절하면서 치료를 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우선 통증부위를 확인하기 위해 미약한 전류를 인체에 흘려 돌아오는 Analog to Digital 값으로 임피던스 값을 읽고, 이를 이용하여 측정부위의 통증의 정도를 판단하는데, 이때 통증 정도는 복수의 구간으로 나누어 분류 판단한다. 이는 특정한 공식을 이용한 연산 값이 아니라 여러 시험군의 사람들을 테스트하여 얻은 임상결과의 값을 기준으로 임피던스 값을 규정 분류하는 것으로, 이들 값을 메모리부에 저장하게 되는 것이다.
현대 산업사회에서 생활수준의 향상과 인터넷의 발달로 노동환경이 급격하게 변화되어 신체 활동이 감소하고 운동부족 현상을 심화시키고 있다.
또한, 경제 성장에 힘입어 많은 사람들이 여가시간을 즐길만한 여유를 가지게 되면서, 개인적 취향에 따라 또는 필요에 따라 자신의 안정된 건강유지를 위하여 운동에 투자하는 시간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에 있다.
하지만 건강한 체력을 유지하기 위한 운동에 임하면서 자신의 건강상태를 충분히 고려하지 못함으로 인해 크고 작은 부상을 입게 되고, 이로 인해 심각한 통증을 동반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부상을 통해 발생하는 통증을 치료하기 위해서 사람들은 의료기관 또는 스포츠 재활기관을 통해 치료를 받는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통증 치료하기 위한 방법 중에 가장 주된 것은 운동요법으로서 환자에게 알맞는 운동요법을 처방하는 방식은 대부분 치료자가 환자에게 상태를 진단하여 이에 알맞는 운동처방을 구두 또는 문서로서 전달하는 것에 그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통증 관리와 치료를 위한 다양한 형태의 전기치료기들이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되기에 이르렀으며, 이러한 통증 관리를 위한 전기치료기는 통상 저주파와 초음파를 이용하는 것들이 있다.
이때, 전기치료는 의료용으로 평류전기(平流電氣)·감응전기·교류전기(交流電氣)의 세 가지가 쓰이는데, 종래 전기치료기는 주파수의 파형, 전류, 전류의 강도, 적용부위 등에 따라 그 기능의 차이가 현저하므로 저주파 치료기와 초음파 치료기로 구분되었다.
그러나, 종래 전기치료기가 저주파 치료기와 초음파 치료기로 구분되면서, 그 사용 용도에 따라 각각 별도의 전기치료기를 구입해야 하는 경제적인 부담이 존재하였다.
또한, 종래 전기치료기인 저주파 치료기와 초음파 치료기를 통한 통증 부위를 치료할 때, 종래에는 사용자가 통증부위에 전극도자를 정확하게 부착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느낌으로 통증 유발점을 판단하는 방식이므로, 사용자의 통증 유발점을 정확하게 판단하지 못한 상태에서 전기치료가 이루어지면서 인체에 전극도자가 직접적으로 닿게 하는 전기치료에 있어 오류 발생으로 통증부위가 아닌 곳으로 과도한 전류가 흘러 화상, 근육 파열 및 피부조직 손상 등의 여러 부작용이 있을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인피던스 바이오 피드백 기능으로 환자의 통증 유발점(TP)을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찾은 후, 그 통증 유발점에 대한 저주파 치료와 초음파 치료를 동시 또는 선별적으로 수행함으로서 치료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도록 하는 복합기능과 바이오 피드백 기능을 가지는 전기치료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프로브 핸들내에 온도센서를 구성하여, 초음파 진동으로 발생하는 온도 상승 범위를 체크하여 상승된 온도가 기준온도를 초과시 자동으로 초음파 출력을 제한하면서, 초음파 치료에 따른 화상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 복합기능과 바이오 피드백 기능을 가지는 전기치료장치는, 전원부 및, 저주파 출력부와 초음파 출력부로 이루어지는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와 케이블로 연결되고 상기 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전압)에 따라 저주파와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저주파 발생부와 초음파 발생부를 내장하는 프로브핸들; 상기 프로브핸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피부표면으로 초음파와 저주파 전류를 인가하는 초음파/저주자 겸용의 (+)전극도자; 상기 본체와 케이블로 연결되며, 인체 접촉시 초음파와 저주파 전류가 인체에 통과되도록 하는 (-)저주파/임피던스 접지봉; 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프로브핸들의 내부에는 상기 출력부를 통해 (+)전극도자로 출력되는 전압 임피던스를 본체로 피드백시키는 임피던스 피드백부와, 상기 프로브핸들내의 초음파 발생부로부터 발생하는 초음파 진동에 따라 상승하는 온도를 감지한 후 이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온도감지부를 구성하고, 상기 본체내에는 상기 임피던스 피드백부로부터 피드백되는 전압 임피던스를 감지한 후 상기 제어부로 피드백신호(전압)를 전달하는 임피던스 감지부를 구성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임피던스 감지부로부터 감지되는 피드백신호값을 임상의 경험값을 기준으로 메모리부에 기 설정하여 저장시킨 값과 비교 및 판단하여 상기 (+)전극도자가 부착된 지점에서의 통증유발점을 연산하고, 상기 연산된 통증유발점으로 저주파 및/또는 초음파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감지부로부터 감지되는 초음파 진동에 따른 온도 상승이 메모리부에 기 설정하여 저장시킨 온도기준값과 비교 및 판단하여 상기 출력부에 포함되는 초음파 출력부의 출력레벨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임피던스 감지부는, 상기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초음파 및/또는 저주파 발생을 위한 전압의 일부가 피드백될 때 피드백되는 전압의 노이즈를 필터링하는 필터부; 및, 상기 필터부에 의해 노이즈가 필터링된 전압을 증폭하여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증폭부;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온도 정보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AD변환부; 상기 AD변환부로부터 변환된 디지털신호, 그리고 상기 임피던스 감지부의 증폭부에서 증폭 출력되는 전압을 임상의 경험값을 기준으로 메모리부에 기 설정하여 저장시킨 값과 비교 및 판단하여 상기 (+)전극도자가 부착된 인체의 통증 유발점을 실시간으로 체크하는 한편, 초음파의 적정 출력레벨을 제어하는 신호를 상기 출력부에 출력하는 연산부; 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초음파 발생부는 상기 프로브핸들 내에 우레탄 접착제로 (+)(-)의 압전소자를 밀착시킨 후, 상기 압전소자에 2극(+)(-)의 전극을 연결하여 구성한 것이고, 상기 저주파 발생부는 환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접지봉 및, 환자의 피부면에 접촉되는 상기 프로브핸들의 캡부분(금속판 부분)에 각각 (+)(-)의 전극을 연결하여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프로브핸들에는 상기 초음파 발생에 따른 진동과 저주파 출력레벨에 따라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점등되는 다색(예; 5색)의 LED램프가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프로브핸들 내에 압전소자를 밀착시킨 후 이에 2극의 전극을 연결 구성함과 동시에, 환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접지봉과 환자의 피부면에 접촉되는 프로브핸들의 캡부분(금속판 부분)에 각각 전극을 연결 구성하면서, 인피던스 바이오 피드백 기능으로 환자의 통증 유발점(TP)을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찾을 수 있도록 구성한 것으로, 이로서 통증 유발점에 대한 저주파 치료와 초음파 치료가 동시 또는 선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치료 효과를 극대화시킴은 물론, 프로브 핸들내에 구성되는 온도센서를 통해 초음파 진동으로 발생하는 온도 상승을 제한하면서 초음파 치료에 따른 화상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기능과 바이오 피드백 기능을 가지는 전기치료장치의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복합기능과 바이오 피드백 기능을 가지는 전기치료장치에 적용되는 프로브핸들의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복합기능과 바이오 피드백 기능을 가지는 전기치료장치에 적용되는 프로브핸들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복합기능과 바이오 피드백 기능을 가지는 전기치료장치를 나타내는 블럭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기능과 바이오 피드백 기능을 가지는 전기치료장치의 구조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복합기능과 바이오 피드백 기능을 가지는 전기치료장치에 적용되는 프로브핸들 구조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전기치료장치에 적용되는 프로브핸들 단면도,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복합기능과 바이오 피드백 기능을 가지는 전기치료장치를 나타내는 블럭 구성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복합기능과 바이오 피드백 기능을 가지는 전기치료장치는, 본체(100), 프로브핸들(200), (+)전극도자(300), 그리고 (-)접지봉(400)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100)는 케이블을 통해 상기 프로브핸들(200) 및 인체 접촉시 저주파 및 임피던스 전류가 인체에 통과되도록 하는 접지봉(400)과 연결되는 것으로, 전원부(미도시)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초음파 출력부와 저주파 출력부로 이루어지는 출력부(11) 및, 상기 출력부(11)를 제어하는 제어부(12), 그리고 임피던스 감지부(13)를 포함한다.
상기 임피던스 감지부(13)는 필터부(13a)와 증폭부(13b)가 구성된다.
상기 필터부(13a)는 상기 출력부(11)에서 프로브핸들(200)을 통해 (+)전극도자(300)로 출력되는 초음파 및/또는 저주파 발생을 위한 전압의 일부가 피드백될 때, 상기 피드백되는 전압의 노이즈를 필터링한 후 이를 상기 증폭부(13b)에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증폭부(13b)는 상기 필터부(13a)에 의해 노이즈가 필터링된 전압을 증폭하여 상기 제어부(12)로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본체(100)에 케이블로 연결되는 프로브핸들(200)의 내부에는 초음파 발생부(21)와 저주파 발생부(22)가 구성됨은 물론, 임피던스 피드백부(23)와 온도감지부(24)가 구성되며, 상기 임피던스 피드백부(23)는 상기 출력부(11)를 통해 (+)전극도자(300)로 출력되는 전압 임피던스를 본체(100)로 피드백시키는 것이고, 상기 온도감지부(24)는 상기 프로브핸들(200)내의 초음파 발생부(21)로부터 발생하는 초음파 진동에 따라 상승하는 온도를 감지한 후 이를 상기 제어부(12)로 전달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즉, 상기 온도감지부(24)는 인체와 접촉하지 않고 상기 (+)전극도자(300)에 전도되는 초음파 진동에 따라 발생하는 열을 감지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응답속도가 빠르고, 상기 (+)전극도자(200)의 저주파 노이즈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지 않아, 상기 인체에 전달되는 열의 온도값을 빠르고 신속하게 얻을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초음파 발생부(21)는 상기 프로브핸들(200)내에 우레탄 접착제로 (+)(-)의 압전소자(21a)를 밀착시킨 후, 상기 압전소자(21a)에 2극(+)(-)의 전극을 연결하여 구성한 것이며, 상기 저주파 발생부(22)는 환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접지봉(400) 및 환자의 피부면에 접촉되는 상기 프로브핸들(200)의 캡부분(금속판 부분)(200a)에 각각 (+)(-)의 전극을 연결하여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프로브핸들(200)에는 상기 초음파 발생에 따른 진동과 저주파 출력레벨에 따라 상기 제어부(12)의 제어를 받아 점등되는 다색(예; 5색)의 LED램프(500)를 구성하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 제어부(12)는 상기 온도감지부(24)에 의해 비접촉으로 감지되는 인체 온도, 그리고 상기 임피던스 감지부(13)로부터 체크되는 피드백전압을 임상의 경험값을 기준으로 메모리부(12c)에 기 설정하여 저장시킨 값과 비교 및 판단하여 상기 (+)전극도자(300)가 부착된 지점에서의 통증유발점을 연산하고, 상기 연산된 통증유발점으로 상기 초음파 발생부(21)에서 발생하는 초음파 및 상기 저주파 발생부(22)에서 발생하는 저주파가 (+)전극도자(300)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AD변환부(12a) 및 연산부(12b)를 더 포함한다.
즉, 상기 AD변환부(12a)는 상기 온도감지부(24)에 의해 감지된 온도 정보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것이고, 상기 연산부(12b)는 상기 AD변환부(12a)로부터 변환된 디지털신호, 그리고 상기 임피던스 감지부(13)의 증폭부(13b)에서 증폭 출력되는 전압을 임상의 경험값을 기준으로 메모리부(12c)에 기 설정하여 저장시킨 값과 비교 및 판단하여 상기 (+)전극도자(300)가 부착된 인체의 통증 유발점을 실시간으로 체크하는 한편, 초음파의 적정 출력레벨을 제어하는 신호를 상기 출력부(11)에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은 첨부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제어부(12)에 포함되는 메모리부(12c)에는 상기 (+)전극도자(300)가 인체에 접촉될 때 그 접촉에 따른 인체의 통증 유발점을 체크하기 위한 기준전압 임피던스값 및 피부온도에 적합한 통전의 기준 전류량 값이 각각 저장된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2)에 포함되는 연산부(12b)가 출력부(11)를 통해 통증 유발점에 대한 초음파 및 저주파 치료를 동시 또는 선별적으로 제어하는 방식은, 우선 (+)전극도자(200)를 통증 부위에 접촉시키는 한편, (-)접지봉(400)에 피부에 접촉시킨다.
이때, 본체(100)내에 구성되는 저주파 및 초음파 출력부를 포함하는 출력부(11)를 통해 프로브핸들(200)로 일정전압이 인가되어, 상기 프로브핸들(200)내의 초음파 발생부(21) 및 저주파 발생부(22)에서 초음파 및 저주파를 발생시킬 때, 상기 프로브핸들(200)내에 구성되는 임피던스 피드백부(23)는 상기 초음파 및 저주파 발생부(21)(22)로 인가되는 출력전압을 상기 본체(100)내의 임피던스 감지부(13)로 피드백시키게 된다.
그러면, 상기 인피던스 감지부(13)에 구성되는 필터부(13a)는 상기 출력부(11)에서 프로브핸들(200)을 통해 (+)전극도자(300)로 출력되는 초음파 및/또는 저주파 발생을 위한 전압의 일부가 피드백될 때, 상기 피드백되는 전압의 노이즈를 필터링한 후 이를 상기 증폭부(13b)에 전달하고, 상기 증폭부(13b)는 상기 필터부(13a)에 의해 노이즈가 필터링된 전압을 증폭하여 상기 제어부(12)내에 포함되는 연산부(12b)로 출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연산부(12b)는 상기 임피던스 감지부(13)의 증폭부(13b)에서 증폭 출력되는 전압을 임상의 경험값을 기준으로 메모리부(12c)에 기 설정하여 저장시킨 값과 비교 및 판단하여 상기 (+)전극도자(300)가 부착된 인체의 통증 유발점을 실시간으로 체크하는 한편, 상기 체크된 결과로부터 상기 출력부(11)의 출력레벨을 제어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출력부(11)로부터 출력되는 전압레벨에 따라 상기 프로브핸들(200)내의 초음파 발생부(21)와 저주파 발생부(22)에서는 상기 통증 유발점에 대한 초음파 및 저주파 치료를 위한 초음파와 저주파를 발생시킨 후 이를 (+)전극도자(300)에 전달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상기 초음파 발생부(21)는 상기 프로브핸들(200)내에 우레탄 접착제로 (+)(-)의 압전소자(21a)가 밀착된 상태에서 이에 2극(+)(-)의 전극이 연결된 것이고, 을 연결하여 구성한 것이며, 상기 저주파 발생부(22)는 환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접지봉(400) 및 환자의 피부면에 접촉되는 상기 프로브핸들(200)의 캡부분(금속판 부분)(200a)에 각각 (+)(-)의 전극이 연결된 것이므로, 상기 초음파 발생부(21) 및 저주파 발생부(22)를 통해 통증 유발점에 대한 초음파 및 저주파 치료가 동시에 이루어지거나 또는 선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통증 치료시 상기 본체(100)에 구성되는 LED램프(500)는 상기 제어부(12)의 제어를 받아 점등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LED램프(500)는 초음파 치료와 저주파 치료가 동시에 이루어질 때의 점등색상과, 선별적으로 이루어질 때의 점등 색상을 서로 다르게 설정함으로써, 환자 및 시술자가 현재의 치료상태가 초음파 및/또는 저주파 인지를 외부에서 보다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와 같이 (+)의 전극도자(200)와 (-)의 접지봉(400)을 통해 초음파 및 저주파 치료가 동시 또는 선별적으로 이루어지는 상태에서, 상기 초음파발생부(21)에 의해 발생하는 초음파 진동으로부터 온도 상승이 유발될 경우, 상기 온도 상승의 정보는 상기 프로브핸들(200)내에 구성되는 온도감지부(24)에 의해 감지된 후 본체(100)의 제어부(12)로 전달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2)에 포함되는 연산부(12b)는 상기 감지신호가 AD변환부(12a)를 통해 디지털신호로 변환될 때, 상기 변환되는 디지털신호를 상기 메모리부(12c)에 기 설정하여 저장시킨 고유인자값(기준온도값)과 비교 및 연산하게 되고, 상기 비교 및 연산결과 고유인자값을 초과시 상기 초음파 발생부(21)의 초음파 발생 레벨을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부(11)에 전달하게 되는 바, 상기 출력부(11)에서는 출력전압 레벨을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전기치료장치 프로브가 작동되는 동안, 상기 연산부(12b)는 상기 출력부(11)의 출력전압을 실시간으로 체크되는 전압 임피던스 피드백값과 온도변호에 따라 수시로 제어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인체에는 상기 (+)전극도자(300)와 (-)접지봉(400)을 통해 안전이 보장되는 적절한 전류가 통전됨은 물론, 통증 유발점에 대하여 초음파 및 저주파 치료가 정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1; 출력부 12; 제어부
12a; A/D변환부 12b; 연산부
12c; 메모리부 13; 임피던스 감지부
13a; 필터부 13b; 증폭부
21; 초음파 발생부 21a; 압전소자
22; 저주파 발생부 23; 임피던스 피드백부
24; 온도감지부 100; 본체
200; 프로브핸들 200a; 금속부
300; (+)전극도자 400; (-)접지봉
500; LED램프

Claims (4)

  1. 전원부 및, 저주파 출력부와 초음파 출력부로 이루어지는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와 케이블로 연결되고 상기 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전압)에 따라 저주파와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저주파 발생부와 초음파 발생부를 내장하는 프로브핸들; 상기 프로브핸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피부표면으로 초음파와 저주파 전류를 인가하는 초음파/저주자 겸용의 (+)전극도자; 상기 본체와 케이블로 연결되며, 인체 접촉시 초음파와 저주파 전류가 인체에 통과되도록 하는 (-)저주파/임피던스 접지봉; 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프로브핸들의 내부에는 상기 출력부를 통해 (+)전극도자로 출력되는 전압 임피던스를 본체로 피드백시키는 임피던스 피드백부와, 상기 프로브핸들내의 초음파 발생부로부터 발생하는 초음파 진동에 따라 상승하는 온도를 감지한 후 이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온도감지부를 구성하고,
    상기 본체내에는 상기 임피던스 피드백부로부터 피드백되는 전압 임피던스를 감지한 후 상기 제어부로 피드백신호(전압)를 전달하는 임피던스 감지부를 구성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임피던스 감지부로부터 감지되는 피드백신호값을 임상의 경험값을 기준으로 메모리부에 기 설정하여 저장시킨 값과 비교 및 판단하여 상기 (+)전극도자가 부착된 지점에서의 통증유발점을 연산하고, 상기 연산된 통증유발점으로 저주파 및/또는 초음파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과 바이오 피드백 기능을 가지는 전기치료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임피던스 감지부는,
    상기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초음파 및/또는 저주파 발생을 위한 전압의 일부가 피드백될 때 피드백되는 전압의 노이즈를 필터링하는 필터부; 및,
    상기 필터부에 의해 노이즈가 필터링된 전압을 증폭하여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증폭부; 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과 바이오 피드백 기능을 가지는 전기치료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온도 정보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AD변환부; 및,
    상기 AD변환부로부터 변환된 디지털신호, 그리고 상기 임피던스 감지부의 증폭부에서 증폭 출력되는 전압을 임상의 경험값을 기준으로 메모리부에 기 설정하여 저장시킨 값과 비교 및 판단하여 상기 (+)전극도자가 부착된 인체의 통증 유발점을 실시간으로 체크하는 한편, 초음파의 적정 출력레벨을 제어하는 신호를 상기 출력부에 출력하는 연산부; 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과 바이오 피드백 기능을 가지는 전기치료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발생부는, 상기 프로브핸들 내에 우레탄 접착제로 (+)(-)의 압전소자를 밀착시킨 후 상기 압전소자에 2극(+)(-)의 전극을 연결하여 구성하고,
    상기 저주파 발생부는, 환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접지봉 및, 환자의 피부면에 접촉되는 상기 프로브핸들의 캡부분(금속판 부분)에 각각 (+)(-)의 전극을 연결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과 바이오 피드백 기능을 가지는 전기치료장치.
KR1020110018482A 2011-03-02 2011-03-02 복합기능과 바이오 피드백 기능을 가지는 전기치료장치 KR1012415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8482A KR101241535B1 (ko) 2011-03-02 2011-03-02 복합기능과 바이오 피드백 기능을 가지는 전기치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8482A KR101241535B1 (ko) 2011-03-02 2011-03-02 복합기능과 바이오 피드백 기능을 가지는 전기치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9941A KR20120099941A (ko) 2012-09-12
KR101241535B1 true KR101241535B1 (ko) 2013-03-11

Family

ID=47109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8482A KR101241535B1 (ko) 2011-03-02 2011-03-02 복합기능과 바이오 피드백 기능을 가지는 전기치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15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8670B1 (ko) 2014-05-07 2015-05-11 주식회사 세라젬 저주파 또는 초음파와 온열 상호간의 교차 출력이 가능한 치료기
EP3318195B1 (en) 2015-06-30 2019-12-18 Hyogo College Of Medicine Dysphagia test device, dysphagia test method and dysphagia treatment device
KR101890822B1 (ko) 2018-02-21 2018-08-22 (주)팍스메디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복합 물리 치료 시스템
KR20230105451A (ko) * 2022-01-04 2023-07-11 에코디엠랩 주식회사 다중 주파수 초음파 발진 프로브 및 이를 포함하는 치과용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8505A (ko) * 2003-06-17 2004-12-24 (주)로츠 이온도입기능을 갖는 피부미용기
KR100496189B1 (ko) 2002-09-03 2005-06-20 주식회사 헬스피아 통합된 미용 치료 장치
KR100615073B1 (ko) 2005-01-05 2006-08-25 주식회사 대화메디피아 저주파 및 중주파 전기치료기
KR20100083882A (ko) * 2009-01-15 2010-07-23 주식회사 청우메디칼 인체의 임피던스 측정을 통한 저주파 출력 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6189B1 (ko) 2002-09-03 2005-06-20 주식회사 헬스피아 통합된 미용 치료 장치
KR20040108505A (ko) * 2003-06-17 2004-12-24 (주)로츠 이온도입기능을 갖는 피부미용기
KR100615073B1 (ko) 2005-01-05 2006-08-25 주식회사 대화메디피아 저주파 및 중주파 전기치료기
KR20100083882A (ko) * 2009-01-15 2010-07-23 주식회사 청우메디칼 인체의 임피던스 측정을 통한 저주파 출력 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9941A (ko) 2012-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01002B2 (ja) 非侵襲性神経刺激システム
CN110464347B (zh) 一种盆底肌治疗方法、系统及装置
US9302104B2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optimization of energy delivery
US20070293917A1 (en) Non-invasive neuro stimulation system
EP2510875A3 (en) Treatment apparatus for applying electrical impulses to the body of a patient
JP2021514208A5 (ko)
JP2007508095A (ja) 個体との生体電気相互作用を実施するための装置及びオンデマンドリードオフ検出を行なうための方法
JP2010501253A5 (ko)
JP2010540015A (ja) ゲーム用フィードバック装置
JP2017502722A (ja) 脳波測定及び脳刺激システム
KR101241535B1 (ko) 복합기능과 바이오 피드백 기능을 가지는 전기치료장치
KR101694251B1 (ko) 신체부착형 스트레스 완화시스템
KR100866543B1 (ko) 운동점 측정 및 전자기 자극 치료 장치
KR101009322B1 (ko) 고주파 전기치료기
JP2024023729A (ja) 電気刺激装置
KR101272452B1 (ko) 센서를 이용한 고주파 출력의 전기치료기 및 고주파 출력 제어방법
JP2012176120A (ja) 体内水分計
TWI296103B (ko)
CN109222934A (zh) 用于生物电阻抗一致性测量的系统及方法
KR101092582B1 (ko) 통증유발점 식별이 가능한 시술도자를 갖는 전기치료기
Das et al. Design and development of portable galvanic skin response acquisition and analysis system
CN104096322B (zh) 一种可定位疼痛点的超声治疗设备及方法
JP3127329U (ja) 低周波治療器
TWI599379B (zh) Heat and low frequency treatment device
KR20240065522A (ko) 신체 정보 기반 신체 자극 및 자세 교정 치료를 위한 헬스케어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