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7019A - Redhot a 및 b 무선 송수신 장치용 업링크 상태 플래그(usf) 복원 복잡도를 단순화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Redhot a 및 b 무선 송수신 장치용 업링크 상태 플래그(usf) 복원 복잡도를 단순화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7019A
KR20100077019A KR1020107010447A KR20107010447A KR20100077019A KR 20100077019 A KR20100077019 A KR 20100077019A KR 1020107010447 A KR1020107010447 A KR 1020107010447A KR 20107010447 A KR20107010447 A KR 20107010447A KR 20100077019 A KR20100077019 A KR 201000770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cs
usf
wtru
das
rtt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0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리안 루돌프
스테펀 지 딕
프라바카 알 치트라푸
베로우즈 아길리
Original Assignee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filed Critical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Publication of KR20100077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70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2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 H04L1/000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by switching between different modulation sche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36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 H04L1/0038Blind format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78Avoidance of errors by organising the transmitted data in a format specifically designed to deal with errors, e.g. location
    • H04L1/0086Unequal error pro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 Digital Transmission Methods That Use Modulated Carrier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방법 및 장치는 RTTI 및 BTTI 장비가 동일 타임슬롯(들) 상에서 동작할 때 EGPRS2 통신 버스트의 신뢰성 있고 낮은 복잡도의 복원을 허용한다. 업링크 상태 플래그(USF) 매핑에 관한 다양한 구성이 통신 버스트 내 모든 또는 일부의 USF 채널 부호화 비트의 조정 가능한 비트 교체를 채용한다. 보다 많은 처리량 및/또는 줄어든 복잡도를 허용하기 위해 송신기 및 수신기에서 심볼 매핑 단계의 조정 가능한 사용을 허용하는 구성이 또한 개시된다. 허용될 수 있는 매핑 규칙이 수신기 및 송신기로 공지되며 그러므로 이러한 정보를 복원하는 복잡도가 감소한다. EGPRS2 통신 버스트의 처리량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BTTI 간격 중에 상이한 변조 유형 또는 EGPRS/EGPRS2 변조 및 부호화 방식의 RTTI 송신이 도입되어 신뢰성 있는 USF 복원 및 감소된 디코더 복잡도를 허용한다.

Description

REDHOT A 및 B 무선 송수신 장치용 업링크 상태 플래그(USF) 복원 복잡도를 단순화하는 방법{METHOD TO SIMPLIFY UPLINK STATE FLAG (USF) DECODING COMPLEXITY FOR REDHOT A AND B WIRELESS TRANSMIT/RECEIVE UNITS}
본 출원은 무선 통신에 관한 것이다.
유럽형 이동 통신(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표준 릴리즈 7(R7; release 7)은 업링크(UL; uplink) 및 다운링크(DL; downlink)의 처리량을 높이고 송신의 대기시간을 줄이는 수 개의 특징을 도입한다. 이들 특징 중에서, GSM R7은 DL 및 UL용 처리량을 높이기 위해서 개선된 범용 패킷 무선 서비스 2(EGPRS-2; enhanced general packet radio service 2)를 도입한다. EGPRS-2의 DL 처리량 증가는 REDHOT(RH) 특징으로서 알려져 있고, UL 처리량 증가는 HUGE 특징으로서 알려져 있다. EGPRS-2 DL 및 REDHOT은 같은 뜻이다.
가우스 최소 편이 변조(GMSK; Gaussian minimum shift keying) (MCS-1 내지 MCS-4) 및 8위상 편이 변조(8PSK; 8 phase-shift keying) (MCS-5 내지 MCS-9)에 기초하는 레거시 EGPRS(enhanced general packet radio sevice) 변조 및 부호화 방식(MCS; modulation and coding scheme)에 덧붙여, REDHOT은 직교 위상 편이 변조(QPSK; quadrature PSK), 16 직교 진폭 변조(16QAM; 16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및 32QAM 변조를 사용한다. 처리량을 높이기 위한 다른 기술은 [EGPRS를 이용한 콘볼루션 부호화(Convolutional Coding)에 대립하는 것으로] 터보 부호화(Turbo coding)의 사용이다. 덧붙여, 보다 높은 심볼율(레거시의 1.2배 심볼율)에서의 동작이 다른 개선점이다.
REDHOT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및/또는 무선 송수신 장치(WTRU; wireless transmit/receive unit)는 REDHOT 레벨 A(RH-A; REDHOT Level A) 또는 REDHOT 레벨 B(RH-B; REDHOT Level B) 중 어느 하나를 실시할 수 있다. REDHOT에 대해 정의된 성능-개선 특징의 완전한 세트를 사용함으로써 RH-B를 실시하는 WTRU가 최대 처리량 이득을 달성하는 한편, 개선 기술의 선택된 서브셋(subset)을 실시하는 RH-A WTRU는 또한 레거시 EGPRS에 대해 순 개선을 달성할 것이다. RH-A 솔루션은 또한 완전한 RH-B 실시보다 실시하기에 용이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RH-A는 8PSK, 16QAM 및 32QAM 변조를 사용하여 8개의 신규 MCS를 실시할 것이다. 이들은 다운링크 레벨 A MCS (DAS; downlink Level A MCS)-5 내지 DAS-12로 칭해진다. RH-B는 QPSK, 16QAM 및 32QAM 변조에 기초하여 다른 세트의 8개의 신규 MCS를 실시할 것이다. 이들은 다운링크 레벨 B MCS (DBS; downlink Level B MCS)-5 내지 DBS-12로 칭해진다. 레거시 EGPRS와 달리, RH-A와 RH-B 모두는 무선 블록의 데이터 부분을 위해 터보 부호화(Turbo coding)를 사용한다. 링크 적응의 목적으로, RH-A WTRU와 RH-B WTRU 모두는 레거시 EGPRS MCS-1 내지 MCS-4(모두 GMSK 변조에 기초함)를 재사용할 것이다. 게다가, RH-A는 또한 링크 적응을 위해 레거시 EGPRS MCS-7 및 MCS-8을 재사용할 것이고, RH-B는 링크 적응을 위해 레거시 EGPRS MCS-8 및 RH-A DAS-6, DAS-9 및 DAS-11을 재사용할 것이다. 그러므로, RH-A WTRU는 MCS-1 내지 MCS-4, MCS-7 내지 MCS-8, 및 DAS-5 내지 DAS-12를 지원할 것이고, RH-B WTRU는 MCS-1 내지 MCS-4, MCS-8, DAS-6, DAS-9, DAS-11, 및 DBS-5 내지 DBS-12를 지원할 것이다. 그러나, RH-A WTRU는 배타적으로 레거시(낮은) EGPRS 심볼율(LSR)에서 동작하는 한편, RH-B WTRU는 보다 높은 심볼율(HSR)에서 동작 가능할 것이다. RH-B WTRU는 RH-A 및 RH-B 규격에 따른 기능을 실시하기 위해 요구된다. 그러나, RH-B WTRU가 패킷 데이터를 받도록 구성될 때, 이는 레거시 EGPRS 모드, RH-A 또는 RH-B 모드 중 어느 하나에서 동작할 것이다.
레거시 EGPRS 및 신규 유형의 RH-A 및 RH-B WTRU는 동일한 타임슬롯(timeslot)에서 함께 동작할 수 있고, 레거시 EGPRS 업링크 상태 플래그(USF) 동작 원리 및 GSM R7 대기시간 감소(LATRED; Latency Reduced) 특징과 결부되어 PAN 복원이 (임의의 제한과 함께) 가능하다.
RH-A 및 RH-B WTRU는 할당된 타임슬롯(들)에서 수신된 무선 블록의 USF를 복원하도록 요구된다. 게다가, 상위 호환성(forward-compatibility)의 이유로, RH-B WTRU는 RH-A 및 RH-B 변조된 버스트(DAS-x 변조 및 부호화 방식 대 DBS-x) 사이에서 식별하는 것을 허용하는 기능을 실시해야 한다. 이러한 후자의 요구는 자원들(예컨대, 타임슬롯들)이 RH-A 및 RH-B 이동국에 대해 함께 용이하게 모일 수 있다는 사실로 인해, 무선망 설계 노력을 줄이고 공유 채널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존재한다.
USF는 사용된 부호화 방식(CS; coding scheme)에 기초하여 다양한 개수의 비트로 부호화되는 3개의 정보 비트로 구성된다. GPRS에서, USF를 복원하기 위해서, WTRU는 먼저 GPRS CS-1, CS-2, CS-3 또는 CS-4가 사용되었는지를 표시하는 스틸링 플래그(stealing flag)를 복원한다. 각 버스트의 훈련열(training sequence) 이전에 정확히 한 개의 스틸링 플래그가, 그리고 각 버스트의 훈련열 이후에 한 개의 스틸링 플래그가 존재하며, 소정의 무선 블록에 총 8개의 스틸링 플래그를 만든다.
GPRS는 이들 스틸링 플래그를 다음에 따라 설정한다:
q(0),q(1), ...,q(7)= 모두 1은 부호화 방식 CS-1을 식별한다;
q(0),q(1),...,q(7) = 1,1,0,0,1,0,0,0 은 부호화 방식 CS-2를 식별한다;
q(0),q(1),...,q(7) = 0,0,1,0,0,0,0,1은 부호화 방식 CS-3를 식별한다;
q(0),q(1),...,q(7) = 0,0,0,1,0,1,1,0은 부호화 방식 CS-4를 식별한다.
GPRS CS-1 내지 CS-3의 경우에, USF는 데이터 부분 및 무선 링크 제어(RLC; radio link control)/매체 접속 제어(MAC; medium access control) 헤더의 잔여부와 함께 콘볼루션 코드(convolutional code)에 의해 부호화된다. 그러므로, 전체 무선 블록(4개 버스트)의 복원은 USF를 추출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CS-4의 경우에, 3개의 USF 정보 비트는 12개의 부호화 비트로 블록 부호화되고, 무선 블록의 RLC/MAC 헤더 및 데이터 부분으로부터 독립적으로 매핑된다. USF는 전체 무선 블록의 복원 없이 추출될 수 있다.
GPRS CS-4의 경우에, 12개 부호화된 USF 비트는 버스트의 데이터 부분에 걸쳐 분포되는 다음의 심볼 위치에 포함된다:
(1) 무선 블록의 1차 버스트의 {0, 50, 100};
(2) 2차 버스트의 {34, 84, 98};
(3) 3차 버스트의 {18, 68, 82}; 및
(4) 4차(마지막) 버스트의 {2, 52, 66}.
도 3은 20 ms로 전송된 USF용 버스트 매핑을 보여준다. 부호화된 USF 비트는 무선 블록 내 버스트에 따라 좌우되는, 다양한 심볼 위치에 배치된다. 모든 버스트가 GMSK 변조(심볼 당 1 비트)되기 때문에, 심볼 위치는 비트 위치와 동일하다. 이들 비트 위치가 공지되고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CS-1 내지 CS-3 부호화 방식과 달리) USF를 판독하기 위해 무선 블록의 전체 RLC/MAC 헤더 및 전체 데이터 부분을 복원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데이터 심볼로부터 심볼간 간섭(ISI; inter-symbol interference)이 그 중간에 포함된 USF 심볼을 왜곡하기 때문에, 데이터 부분의 등화(equalization)는 여전히 문제이다.
EGPRS 실행 가능한 WTRU는 EGPRS 무선 블록의 USF를 복원할 필요가 있다. EGPRS 무선 블록은 GMSK 변조(MCS-1 내지 MCS-4)되거나, 8PSK 변조(MCS-5 내지 MCS-9)될 수 있다. 초기의 GPRS WTRU가 8PSK 변조된 블록을 수신할 수 없었던 반면, GMSK 변조된 EGPRS 무선 블록용 솔루션은 USF를 부호화하고, GMSK 변조 EGPRS 무선 블록의 12개 블록 부호화된 USF 비트를 레거시 GPRS 부호화 방식, CS-4에 의해 정의된 바와 정확히 동일한 방식으로 배치한다. 따라서 GPRS WTRU는 CS-4 무선 블록이 GMSK 변조 EGPRS 무선 블록 내에 스틸링 비트를 레거시 GPRS 무선 블록과 정확히 동일한 위치에 놓고 이들 스틸링 플래그를 CS-4용 부호어(codeword)로 설정함으로써 수신된다는 점을 알 수 있도록 이끈다.
GPRS CS-4 및 그에 따라 암시적으로 EGPRS MCS-1 내지 MCS-4는 스틸링 비트를 00010110으로 설정함으로써 표시된다. 결과적으로, GPRS WTRU는 (무선 조건이 너무 열악하지 않다면) 성공적으로 USF를 복원할 것이고, 블록이 CS-4 무선 블록인 것으로 생각할 것이다. 이어서, GPRS WTRU는 CS-4 블록으로서 EGPRS 무선 블록의 잔여부를 복원하려 시도할 것이고 [순환 중복 검사(CRC; cyclic redundancy check) 실패로 인해] 실패하게 된다. EGPRS WTRU는 또한 레거시 스틸링 비트를 판독할 것이지만, EGPRS WTRU의 경우에 CS-4 스틸링 비트 부호어는 EGPRS 무선 블록이 전송되었음을 의미한다(MCS-1 내지 MCS-4). 결과적으로, 이를 가정하여 USF를 복원하고, 이는 USF가 (CS-4에 대해 동일한) 정확한 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성공할 것이다. 이어서, 어느 변조 및 부호화 방식(예컨대, MCS-1 내지 MCS-4)이 사용되었는지 결정하기 위해서, EGPRS WTRU는 RLC/MAC 헤더를 복원하고 부호화 및 천공 방식(CPS; coding and puncturing scheme) 필드를 찾으며, 무선 블록의 잔여부를 복원한다. 무선 블록이 실제로 CS-4 무선 블록이라면, 이 뒷부분은 (RLC/MAC 헤더 복원 중의 CRC 오류로 인해) 실패할 것이다.
EGPRS MCS-5 내지 MCS-9가 사용되는 때(모두 8PSK), 3 비트의 USF는 36개 비트로 블록 부호화되고, CS-4 및 MCS-1 내지 MCS-4의 경우에서와 같이, 무선 블록의 RLC/MAC 헤더 및 데이터 부분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처리된다. 그러나, CS-4 및 MCS-1 내지 MCS-4와 달리, 이들 36개의 블록 부호화된 USF 비트는 무선 블록을 구성하는 4개 버스트 각각의 완전히 동일한 비트 위치 세트, {150, 151, 168-169, 171-172, 177, 178 및 195}로 매핑된다.
도 4는 비트 교체(bit swapping) 이전 및 이후의 MCS-5 및 MCS-6용 버스트 매핑을 보여준다. 도 5는 비트 교체 이전 및 이후의 MCS-7, MCS-8 및 MCS-9용 버스트 매핑을 보여준다.
WTRU는 버스트의 훈련열 상의 정확한 위상 회전을 검출함으로써 GMSK 변조된 무선 블록(CS-4 및 MCS-1 내지 MCS-4) 및 8PSK 변조된 무선 블록(MCS-5 내지 MCS-9)을 구분한다. 이어서, GMSK 버스트(MCS-1 내지 MCS-4)의 USF 비트 매핑은 8PSK 버스트(MCS-5 내지 MCS-9)에 대해 사용된 매핑과 상이하기 때문에, WTRU는 정확한 위치로부터 USF 심볼/비트를 추출하기 위해 적절하게 디코더를 구성할 필요가 있다.
GERAN[GSM Enhanced Data rates for Global Evolution (Edge) 무선 접속 네트워크]에서, USF 부호화는 신규 8PSK 기반 DAS-5 내지 DAS-7 방식에 대해 EGPRS MCS-5 내지 MCS-9과 유사한 방식으로 수행된다. 이는 3개의 USF 비트가 총 36개의 USF 부호화 비트로 블록 부호화되고 레거시 EGPRS MCS-5 내지 MCS-9 경우에 대해 기술한 바와 같은 무선 블록을 구성하는 4개의 버스트 각각에 대한 정확히 동일한 비트 위치 세트 {150, 151, 168-169, 171-172, 177, 178 및 195}로 매핑된다는 점을 의미한다.
신규 16QAM 기반 DAS-8 및 DAS-9 방식에 대해, 3개의 USF 비트는 총 48개의 USF 부호화 비트로 블록 부호화된다. 그 후에, 이는 무선 블록을 구성하는 4개의 버스트 각각에서 비트 위치 232 내지 243으로 매핑된다. 이는 USF가 훈련열에 바로 이어서 3개의 16QAM 심볼로 매핑됨을 의미한다.
신규 32QAM 기반 DAS-10 내지 DAS-12 방식에 대해, 3개의 USF 비트는 총 60개의 USF 채널 부호화 비트로 부호화된다. 그 후에, 이는 무선 블록을 구성하는 4개의 버스트 각각에서 비트 위치 290 내지 304로 매핑된다. 이는 USF가 훈련열에 바로 이어서 3개의 32QAM 심볼로 매핑됨을 의미한다.
신규 RH-A 방식 DAS-5 내지 DAS-12 전부에 대해서, 채널 부호화 USF 비트를 포함하는 비트 위치는 고정되고 무선 블록을 구성하는 4개의 버스트 모두에서 정확하게 동일하다. 그러나, 지원을 위해 상이한 3종류의 USF 부호화 표 및 REDHOT 버스트 내 상이한 2개의 USF 위치 세트가 존재한다. RH-A WTRU에서, USF 부호화는 CS-4/ MCS-1 내지 MCS-4로 기술된 것처럼 수행되고, 따라서 RH-A WTRU는 또한 반드시 REDHOT 타임슬롯에 관하여 레거시 EGPRS MCS-1 내지 MCS-4를 지원해야 한다. 이 때문에, RH-A WTRU는 총 4종류의 USF 부호화 표 및 상이한 3개의 USF 위치 세트를 지원해야 한다. 또한, 주목해야 할 것은, DAS-5 내지 DAS-7에 대한 것과 함께, 레거시 MCS-1 내지 MCS-4용 USF의 추출은, USF 부호화 비트가 버스트의 중앙에 포함되기 때문에 이들 버스트의 데이터 부분의 등화를 여전히 요구한다는 것이다. 이는 훈련열로부터 ISI를 이용한 등화만 요구되는 DAS-8 내지 DAS-12에 대해서는 반드시 필요한 것이 아닌데, 3개의 USF 심볼이 데이터 부분이 시작하기 직전에 미드앰블(midamble)을 뒤따르기 때문이다.
버스트가 임의의 신규 RH-A DAS-5 내지 DAS-12 방식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경우에도 RH-B WTRU가 USF를 추출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USF 부호화 표와 USF 비트 위치 매핑 표의 개수는 이하 기술되는 것처럼, 더 증가한다.
신규 유형의 RH-B 버스트(DBS-5 내지 DBS-12)는 훈련열에 바로 이어 4개의 심볼로 USF를 배치한다. 이는 WTRU가 전체 버스트의 등화를 필요로 하지 않고 RH-B WTRU에 의한 USF 비트의 추출을 허용한다. RH-A와 유사하게, 훈련열에 기초한 변조 유형의 검출 및 채널 추정이 항상 처음에 필요하기 때문에, USF는 훈련열 다음에 배치된다. 따라서, RH-B WTRU는 훈련열 및 인접한 USF 심볼을 검출하기만 하면 된다. USF는 미드앰블 이후에 배치된다. 이 이유는 통상의 채널 임펄스 응답이 단지 상대적으로 적은 프리커서(예컨대, 수 나노 초 단위의)를 갖고, 보다 큰 포스트 커서(예컨대, 수 마이크로 초 단위의)를 갖는다는 점이다. USF가 훈련열을 즉시 뒤따르는 때에, USF 심볼에 관한 대부분의 임계 ISI가 훈련열 및 USF 심볼 그 자체에 의해 직접 생성될 것이다. 그런 까닭에, 페이로드 심볼(payload symbol)을 등화하는 것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GERAN에서, RH-B 버스트 당 4개의 USF 심볼(및 따라서 무선 블록 당 총 4×4=16 심볼)이 사용된다. 이는 RLC/MAC 헤더, 만일 존재한다면, PAN[piggybacked positive acknowledgement/negative acknowledgement; 피기백 긍정 확인응답(ACK)/부정 확인 응답(NACK)], 그리고 QPSK (DBS-5 및 DBS-6), 16QAM (DBS-7 내지 DBS-9) 및 32QAM (DBS-10 내지 DBS-12) 변조 각각에 대한 버스트의 데이터 부분으로부터 떨어진 16×2=32, 16×4=64 및 16×5=80 비트 위치로 환원된다. QPSK가 RH-B의 일부이기 때문에, 이 개념은 버스트 당 4개의 4진 심볼과 함께 실시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USF 채널 부호화 비트의 심볼로의 기본 매핑은 QPSK를 사용하고, 16 또는 32 성상도(constellation) 지점 중에서 4 코너의 성상도 지점만 사용함으로써 그 이후에 16-QAM 및 32-QAM 버스트 포맷으로 확장된다.
모든 신규 RH-B 버스트 포맷 DBS-5 내지 DBS-12에 대해서, 3비트의 USF가 항상 16비트의 긴 부호화 USF로 부호화된다. 각 버스트에 대해서, 4개의 USF 부호화 비트가 훈련열에 바로 뒤따르는 4개의 심볼로 매핑된다. 첫 번째 2개의 USF 부호화 비트는 제 1 심볼 상으로 매핑되고, 제 2 심볼은 제 1 심볼의 위상 회전 복제를 포함한다. 동일한 원리가 제 3 및 제 4 심볼로 매핑된 두 번째 2개의 USF 부호화 비트 그룹으로 적용된다. RH-B 버스트용 4개의 심볼에 대한 매핑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RH-B WTRU는 GMSK, 8PSK, QPSK, 16QAM 및 32QAM에 대한 변조 유형 검출을 수행해야 한다. 이는 채용된 변조 유형에 따라 미드앰블의 위상 회전 버전과 상관을 통해 이루어진다. 게다가, 16QAM 및 32QAM에 대한 상관은 레거시 심볼율(LSR) 및 신규의 높은 심볼율(HSR) 모두에 대해 이루어져야 한다.
이어서, WTRU는 검출된 변조 유형에 따라 그 수신기를 재구성해야 한다. 예를 들어, GMSK(MCS-1 내지 MCS-4)가 검출된다면, WTRU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위치 세트로부터 USF를 추출한다. 8PSK(DAS-5 내지 DAS-7)가 검출된다면, WTRU는 상술한 바와 같은 제 2 위치 세트로부터 USF를 추출하고, 상이한 매핑 표를 채용한다. 양자의 경우에, WTRU는 버스트의 데이터 부분을 등화하여 USF를 처리한다. 16QAM 또는 32QAM이 검출된다면, WTRU는 HSR(RH-B) 또는 LSR(RH-A)이 검출되는지 여부에 따라, 또 다른 제 3 USF 위치 세트에서 3개의 심볼이나 4개의 심볼을 처리한다. 이들 후자의 경우에, WTRU는 버스트의 임의의 데이터 부분을 등화하며, 이는 USF 심볼이 미드앰블을 뒤따르기 때문이다. 버스트의 GMSK 및 8PSK 유형에 관하여, USF는 미드앰블 이전 및 미드앰블 이후의 데이터 부분의 가운데에 존재하고, 그러므로 USF를 추출하기 위해서 전체 버스트가 등화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QPSK/16QAM/32QAM MCS에 관련하여, USF는 미드앰블을 뒤따르고, USF 심볼을 추출하기 이전에 미드앰블과의 간섭만이 제거될 필요가 있다.
RH-B WTRU가 RH-A WTRU의 모든 기능을 실시해야 하기 때문에, 상당한 수준의 복잡도가 요구된다. WTRU가 그 할당된 타임슬롯(들)에 관한 매 무선 블록마다 데이터 또는 제어 블록 송신을 수신하지 않을 수도 있고, 블록이 다른 WTRU에 관한 것으로 결정되면 수신된 블록의 잔여부를 무시할 수도 있지만, 블록이 다른 WTRU로 지정되어 있는 경우라도 WTRU는 여전히 임의의 그러한 수신된 블록 상의 USF 필드를 추출하고 처리해야할 필요가 있다. 다른 단점은, 이러한 접근 방법이 수신기에서 상당한 WTRU 처리 대기시간을 가져온다는 점이다. 또 다른 문제는 RH-A WTRU가 USF 추출에 전용되는 버스트의 데이터 부분의 적어도 상당한 부분 또는 전체를 등화할 필요가 있다는 점인데, EGPRS MCS-1 내지 MCS-4 및 DAS-5 내지 DAS-7 이 USF 심볼을 버스트의 중앙부 어딘가로 매핑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RH WTRU용 USF 복원 복잡도를 줄이는 방법이 크게 바람직하다.
EGPRS2에서 USF 복원의 추가의 곤란함이 GSM 릴리즈 7 LATRED 특징에 의해 제공된 감소된 송신 시간 간격(RTTI; reduced transmission time interval) 송신 포맷과 결부된 동작에서 발생한다. 릴리즈 7 이전에, 레거시 EGPRS는 기본 송신 시간 간격(BTTI; basic transmission time interval)을 사용한 레거시 송신 포맷의 가능성만을 제공한다. 통상의 BTTI 송신은 4개의 연속 프레임에 걸쳐 프레임 당 동일하게 할당된 타임슬롯을 통해 전송된 레거시 EGPRS 무선 블록을 구성하는 4개 버스트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WTRU에 타임슬롯(TS) #3이 할당된다면, WTRU는 GSM 프레임 N의 TS #3으로부터 버스트 #1을, GSM 프레임 N+1의 TS #3으로부터 버스트 #2를, GSM 프레임 N+2의 TS #3으로부터 버스트 #3을, 그리고 마지막으로 GSM 프레임 N+4의 TS #3으로부터 버스트 #4를 추출함으로써 전체 무선 블록을 수신하게 된다. 그러므로 전체 무선 블록의 임의의 송신은 4 프레임 시간 4.615 msecs GSM 프레임 구간, 즉 대략 20 msecs가 걸린다. 데이터 수신에 대해 WTRU에 1 TS보다 많이 할당된다면, 임의의 이들 타임슬롯은 20 msecs의 구간에 걸쳐 수신된 분리된 무선 블록을 포함한다는 점에 유의한다. GSM 표준은 무선 블록이 시작할 때(예컨대, GSM 프레임이 버스트 #1을 포함하는 경우)를 정확하게 지정하는 타이밍 프레임 규칙을 정의한다. GSM 릴리즈 7은 GSM 프레임 N이 무선 블록을 구성하는 총 4개의 버스트 중 첫 번째 2개 버스트 세트를 포함하고, GSM 프레임 N+1이 두 번째 2개 버스트 세트를 포함하는 한 쌍의 타임슬롯인, RTTI 송신 포맷을 사용할 추가의 가능성을 제공한다. 그러므로 RTTI를 사용한 송신은 단지 2 프레임 시간 4.615 msecs, 즉 대략 10 msecs가 걸린다. RTTI 동작은 EGPRS 및 EGPRS2 모두와 함께 가능하다. 임의의 소정의 타임슬롯 상에서, RTTI 무선 블록을 사용하여 BTTI WTRU로 USF를 송신하거나 그 역으로 송신하는 가능성을 또한 허용하면서, BTTI 및 RTTI WTRU는 다중화될 수 있다. GSM 표준은 또한 임의의 타임슬롯을 BTTI 전용 WTRU로 배타적으로 할당하거나, RTTI 전용 WTRU로 배타적으로 할당하는 가능성을 허용한다. 레거시 EGPRS 장비에 대해서, 공유 타임슬롯 상으로 다중화된 대기시간 감소(RL; reduced latency) EGPRS WTRU로의 RTTI 송신은 레거시 USF 포맷 및 대응하는 스틸링 플래그 설정의 레거시 BTTI EGPRS WTRU를 고려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하나의 레거시 BTTI 시간 간격에서 RL-EGPRS WTRU로 전송된 임의의 2개의 RTTI 무선 블록은, 레거시 BTTI EGPRS WTRU에 의한 USF 복원 성능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정확하게 동일한 변조 유형(GMSK/GMSK 또는 8PSK/8PSK)을 선택하여야 한다.
그러나, EGPRS2 RH-A 및/또는 RH-B WTRU의 경우에, 원칙적으로, 정확하게 동일한 변조 유형을 채용해야 하는 그러한 제한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한 제한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이는 EGPRS2 시스템이 보다 높은 데이터 처리량을 달성하도록 허용할 것인데, 동일 BTTI 간격에서 제 1 및 제 2 RTTI WTRU에 대하여 적절한 변조 및 부호화 방식(MCS/DAS/DBS)을 독립적으로 스케줄링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제 1 간격 상의 GMSK MCS는 레거시 EGPRS WTRU을 이용한 RTTI/BTTI 동작의 경우에 요구되는 것처럼 제 2 RTTI 간격 상에서 GMSK MCS를 전송하도록 네트워크를 강제하지 않고, 따라서 처리량을 감소시키는데, EGPRS2 WTRU는 이러한 상황을 적절하게 처리하도록(적당한 복원 방식을 사용함) 설계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결과는 BTTI EGPRS2 WTRU가 첫 번째 2개의 버스트 세트에 관해 제 1 변조 방식을 그리고 두 번째 2개의 버스트 세트에 관해 다른 변조 방식을 사용하여 버스트에 대한 가능한 USF 조합의 넓은 범위를 인식할 수 있고, 따라서 현재의 기술 상태를 넘어서며 복원 복잡도를 크게 증가시킨다는 점이다. 그러므로, EGPRS2 WTRU는 (처리 시간이 증가하여) 불리한데, 제 1 RTTI 간격에 관한 제 1 변조 유형을 검출하고 제 1 USF 위치 세트 및 대응하는 USF 부호화 표를 결정한 다음, 제 2 RTTI 간격에 관한 제 2 변조 유형과 함께 제 2 USF 위치 세트 및 각각의 USF 부호화 표를 결정해야 하기 때문이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USF 위치가 매 변조 방식마다 변하기 때문에(적어도 3개의 상이한 세트), EGPRS2 무선 블록의 송신과 관련된 동작의 추가의 RTTI/BTTI 모드는 바람직하지 않게 USF 복원 시도를 위한 큰 수의 조합으로 나타난다. 일부 경우에(예컨대, GMSK), 제 1 또는 제 2 RTTI 간격 사이에 변조 변화로 인해 더 많은 조합이 존재하기도 하며, 이는 대응하는 USF 부호화 표가 각 변조 및 부호화 방식(예컨대, MCS/DAS/DBS)에 대해 변화하기 때문이다(5개보다 많은 부호화 표).
그러므로, 절차는 WTRU USF 복원과 관련된 프로세싱 복잡도를 단순화하고 EGPRS2 송신과 함께 혼합된 변조 RTTI/BTTI 간격을 사용함으로써 보다 높은 처리량을 달성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RTTI 및 BTTI 장비가 동일 타임슬롯(들) 상에서 동작할 때 EGPRS2 통신 버스트의 신뢰성 있고 낮은 복잡도의 복원을 허용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장치는 RTTI 및 BTTI 장비가 동일 타임슬롯(들) 상에서 동작할 때 EGPRS2 통신 버스트의 신뢰성 있고 낮은 복잡도의 복원을 허용한다. 업링크 상태 플래그(USF) 매핑에 관한 다양한 구성이 통신 버스트 내 모든 또는 일부의 USF 채널 부호화 비트의 조정 가능한 비트 교체를 채용한다. 보다 많은 처리량 및/또는 줄어든 복잡도를 허용하기 위해 송신기 및 수신기에서 심볼 매핑 단계의 조정 가능한 사용을 허용하는 구성이 또한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허용될 수 있는 매핑 규칙이 수신기 및 송신기로 알려지며, 그러므로 이러한 정보를 복원하는 복잡도가 감소한다. EGPRS2 통신 버스트의 처리량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BTTI 간격 중에 RTTI 송신의 다양한 변조 유형 또는 EGPRS/EGPRS2 변조 및 부호화 방식이 도입되어 신뢰성 있는 USF 복원 및 감소된 디코더 복잡도를 허용한다.
예로써 다음의 첨부 도면과 결부되어 제시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더욱 상세한 이해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3GPP 무선 통신 시스템의 예시이다.
도 2는 2개의 송수신기, 예를 들어 예시적인 WTRU 및 노드 B(또는 진화된 노드 B)의 기능적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3은 20 ms로 전송된 USF용 버스트 매핑을 보여준다.
도 4는 MCS-5 및 MCS-6용 버스트 매핑을 보여준다.
도 5는 MCS-7, MCS-8 및 MCS-9용 버스트 매핑을 보여준다.
도 6은 RED HOT B(DBS-5 내지 DBS-12)의 경우에 USF의 버스트 매핑을 보여준다.
도 7a는 종래기술의 단일 변조 복원 기술을 상이한 변조 유형으로부터 처리하고 복원할 수 있는 도 7b에 도시된 실시형태와 비교한다.
도 8은 예시적인 USF 복원 절차의 순서도이다.
도 9는 변조 유형을 결정하는 실시형태를 보여준다.
도 10은 BTTI 모드에서 동작하는 EGPRS WTRU용 복원 절차에 대한 실시형태를 보여준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할 때, 용어 "무선 송수신 장치(WTRU; wireless transmit/receive unit)"는 사용자 장비(UE; user equipment), 이동국, 고정 또는 이동 가입자 장치, 페이저, 셀룰러 전화, 개인 정보화 기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컴퓨터, 또는 무선 환경에서 동작할 수 있는 기타 임의 타입의 사용자 장치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할 때, 용어 "기지국"은, 노드 B(Node-B), 진화된 노드 B(evolved Node-B) 또는 E-UTRAN 노드 B(eNB), 사이트 제어기, 액세스 포인트(AP), 또는 무선 환경에서 동작할 수 있는 기타 임의 형태의 인터페이싱 장치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변수 “x”, “y” 및 “z”은 소정의 변조 및 부호화 방식에 대응하는 임의의 그리고 상호 변경 가능한 번호를 지칭하며, 예컨대 MCS-x에서 x는 1 내지 9의 범위가 될 수 있고, DAS-y에서 y는 5 내지 12의 범위가 될 수 있고, DBS-z에서 z는 5 내지 12의 범위가 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 네트워크(NW)(10)는 WTRU(20), 및 셀(40) 내 하나 이상의 노드 B[NB 또는 진화된 NB(eNB)](30)를 포함한다. WTRU(20)는 패킷 송신을 부호화하는 기술된 방법을 실시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9)를 포함한다. 노드 B(30) 각각은 또한 패킷 송신을 부호화하는 기술된 방법을 실시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13)를 갖는다.
도 2는 송수신기(110, 120)의 기능적 블록도이다. 통상의 송수신기, 예컨대 WTRU 또는 노드 B에 포함된 구성요소에 덧붙여, 송수신기(110, 120)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115, 125); 프로세서(115, 125)와 통신하는 수신기(116, 126); 프로세서(115, 125)와 통신하는 송신기(117, 127); 및 무선 데이터의 송신 및 수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수신기(116, 126) 및 송신기(117, 127)와 통신하는 안테나(118, 128)를 포함한다. 게다가, 수신기(116), 송신기(117) 및 안테나(118)는 단일 수신기, 송신기 및 안테나일 수 있고, 또는 각각 복수의 개개의 수신기들, 송신기들 및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송신기(110)는 WTRU에 위치할 수 있고, 또는 다중 송신기(110)는 기지국에 위치할 수 있다. 수신기(120)는 WTRU, 기지국의 어느 하나, 또는 양측에 위치할 수 있다.
비트 교체가 RLC/MAC 헤더 비트용으로 채용되고, 디코더 측에서 수신기 복잡도를 줄이기 위해 송신기 측에서 채용된 낮은 복잡도 기술로서 인식된다. 비트 교체는 가능한 조합의 전체 개수를 줄이기 위해 EGPRS2 DL (REDHOT) 송신을 위해 정의된 MCS-1 내지 MCS-4, DAS-5 내지 DAS-12, 및 DBS-5 내지 DBS-12 방식 중 하나 이상의 정의된 USF 비트(들)/심볼(들)로 적용될 수 있다.
USF 비트(들)/심볼(들)은 RLC/MAC 헤더 정보(데이터, PAN 등)를 운반하는 버스트 내 임의의 다른 위치[예컨대, 비트(들)/심볼(들)]와 교체될 수 있다. 부호화에 적용된 매핑 규칙이 수신기에 알려져 있기 때문에, RLC/MAC 헤더 정보(데이터, PAN 등)를 재구성하기 위해서 수신기측에서 역으로 비트 교체될 수 있다. 비트 교체 절차는 비트 B_n1을 B_m1과 교환하고, 비트 B_n2를 B_m2와 교환하는 등의 “교환”(교체)과 같이, 버스트 포맷 단계에서 채용된 매핑 규칙으로서 송신기 및 수신기에서 부호화될 수 있다.
다른 REDHOT 버스트 유형의 비트/심볼 위치로의 전체 또는 부분적인 비트 교체가 CS-4형 USF 부호화 및 매핑을 채용한 MCS-1 내지 MCS-4 방식과 같은 EGPRS의 REDHOT 버전으로 적용되고, MCS-5 내지 MCS-9형 USF 부호화 및 매핑을 채용한 신규 REDHOT 레벨 A(RH-A) 방식 DAS-5 내지 DAS-7로 적용된다(예컨대, EGPRS2).
MCS-1 내지 MCS-4, 및/또는 RH-A DAS-5 내지 DAS-7 방식을 사용하여 부호화된 USF 비트의 전체 또는 선택된 서브셋의 어느 하나는 RH-B DBS-5 내지 DBS-12 부호화와 유사하게 훈련열을 뒤따르는 심볼/비트 위치의 전체 또는 서브셋의 어느 하나로 교체될 수 있고, USF 비트 위치 조합의 전체 개수를 줄이고 상응하여 WTRU 실시 복잡도를 줄인다.
하나 이상의 EGPRS 또는 신규 REDHOT 변조 및 부호화 방식의 비트 교체는 부호화된 USF 비트의 현재 정의된 비트 위치로 적용되고, MCS-1 내지 MCS-4, DAS-5 내지 DAS-12 및/또는 DBS-5 내지 DBS-12 방식 중 다른 하나, 또는 다른 선택된 서브셋으로 적용되어, REDHOT 송신용 버스트로의 심볼/비트에 대한 USF 매핑 성상도의 전체 개수를 줄인다.
이하에서 논의를 목적으로, 용어 “N”은 3개 USF 정보 비트로부터 유도되는 결과적인 채널 부호화 비트를 표현하고; NX(X=1,n)은 부호화 규칙 X에 기초하여 3개의 USF 정보 비트로부터 유도된 채널 부호화 비트이고; 그리고 PX(X=1,n)은 NX 비트가 매핑(교체)될 비트 위치이다. 값 n은 부호화 규칙의 개수를 표현한다. 이하의 실시예가 3개 부호화 규칙을 참조하지만, 임의 개수의 부호화 규칙이 존재할 수 있고, 따라서 n은 임의의 정수값으로 나타날 수 있다.
USF 부호화 규칙은 특정 EGPRS 또는 EGPRS2 MCS에 적용될 수 있다. MCS가 BTTI 구성으로 전송될 때, (a) 어떻게 3개 USF 정보 비트로부터 N1 채널 부호화 USF 비트를 유도할지, (b) N 결과의 비트를 무선 블록의 버스트들(B0, B1, B2 및 B3)에 매핑하기 위해 어느 비트 위치 세트 {P1}으로 지정될지 기술하는 제 1 USF 부호화 규칙이 적용된다. 그러나, RTTI 구성으로 MCS가 전송될 때, (a) 어떻게 N2 채널 부호화 USF 비트를 유도할지, (b) 비트 위치 세트 {P2}를 기술하는 제 2 USF 부호화 규칙이 적용된다. N1 및 N2, 그리고 {P1} 또는 {P2}는 부분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제 2 USF 부호화 규칙을 사용하는 RTTI 구성을 사용하여 무선 블록을 전송하도록 의도되는 송신기는 다음의 절차를 실행할 수 있다: 송신기는 무선 블록이 제 1 USF 부호화 규칙을 사용하여 BTTI 모드로 전송된다고 가정하여 무선 블록을 부호화한다. 이어서, N1 = N2가 되는 한, 송신기는 비트 위치 {P1}에 포함된 비트를 비트 위치 {P2}에 포함된 비트와 교체한다. 대안적으로, MCS가 RTTI/BTTI 혼합 구성으로 전송된다면, 제 3 USF 부호화 규칙 N3, {P3}가 적용된다.
수신기(WTRU)는 수신된 무선 블록에서 어떻게 USF를 복원하는지 명백하게 안다. RLC/MAC 설정 시그널링은 수신된 무선 블록이 BTTI 모드인지, RTTI 모드인지 아니면 RTTI/BTTI 모드에서 동작하는지 WTRU에 표시하며, 이는 USF를 복원하기 위해 WTRU에 의해 적용되어야 하는 특정 USF 부호화 규칙을 표시한다. 상술한 경우에, USF 부호화 규칙은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USF 부호화 규칙, 제 2 USF 부호화 규칙 또는 제 3 USF 부호화 규칙이 동일한 규칙일 수 있다.
현재의 USF 비트/심볼 및/또는 그 위치의 서브셋이 다른 REDHOT 또는 EGPRS 방식의 USF 비트/심볼 위치로 교체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전체 세트의 USF 비트/심볼 및/또는 그 위치가 다른 EGPRS 또는 REDHOT 방식의 경우와 교체될 수 있다.
REDHOT 패킷 데이터 채널(PDCH; packet data channel) 상으로 전송될 때, EGPRS MCS-1 내지 MCS-4를 사용한 USF 비트/심볼 위치는, 각 버스트에 대해 EGPRS MCS-5 내지 MCS-9 (및 DAS-5 내지 DAS-7)을 적용함으로써, 무선 블록의 제 1 버스트의 {0, 50, 100}, 제 2 버스트의 {34, 84, 98}, 제 3 버스트의 {18, 68, 82} 및 제 4 버스트의 {2, 52, 66}으로부터 신규 위치 {150, 151, 168-169, 171-172, 177, 178 및 195}의 전체나 서브셋의 어느 하나로 교체될 수 있다. 관련 기술에 숙련된 자에게 명백한 것처럼, MCS-1 내지 MCS-4의 16개의 USF 부호화 비트가 이들 선택된 비트 위치의 서브셋으로, 또는 동일 위치로 직접 매핑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유사한 간단한 매핑 확장 기술이 채용되어 3개의 USF 비트 또는 16개의 USF 부호화 비트(만일 MCS-1 내지 MCS-4 방식이 사용된다면)로부터 MCS-5 내지 MCS-9을 사용하는 36개의 비트를 유도할 수 있다.
EGPRS DAS-5 내지 DAS-7(현재 EGPRS MCS-5 내지 MCS-9와 동일함)에 의해 정의된 USF 비트/심볼 위치 {150, 151, 168-169, 171-172, 177, 178 및 195}는 RH-A DAS-8 내지 DAS-12에 대응하는 USF 비트/심볼 위치로 각 버스트 중에 교체될 수 있다(즉, 3개의 심볼이 훈련열을 바로 뒤따름).
EGPRS MCS-1 내지 MCS-4, 및/또는 DAS-5 내지 DAS-7 또는 이들 방식의 조합의 USF 비트/심볼 위치는 RH-A DAS-8 내지 DAS-12에 대응하는 USF 비트/심볼 위치로 교체될 수 있다(즉, 3개의 심볼이 훈련열을 바로 뒤따름). 예를 들면, MCS-1 내지 MCS-4 및 DAS-5 내지 DAS-7의 USF 비트 위치를 DAS-7 내지 DAS-12 방식으로 정의된 USF 위치로 비트 교체하기 위해 선택할 때, 2개의 상이한 비트 교체 관련 및 USF 부호화 비트 반복/확장 방식이 활용된다.
MCS-x, DAS-y, 또는 DBS-z의 어느 하나 또는 서브셋의 USF 비트/심볼 부호화/매핑 절차는 다른 부호화 방식 또는 부호화 방식의 서브셋의 경우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MCS-x, DAS-y, DBS-z의 USF 부호화 비트의 개수는 N1로부터 N2 비트로 감소하거나 증가할 수 있다. 이는 USF를 적어도 하나의 다른 MCS-x, DAS-y, 또는 DBS-z의 복원 방식에 따라 정렬시키며, 가능성(가능한 조합)의 개수 및 복원 복잡도를 감소시킨다.
대안적으로, MCS-x, DAS-y, 또는 DBS-z의 어느 하나 또는 서브셋의 USF 부호어 생성 절차/부호화 표가 다른 부호화 방식의 것으로 변경되어 복원되기 위해 가능한 조합의 개수를 줄인다.
대안적으로, USF 부호화 비트를 MCS-x, DAS-y, 또는 DBS-z 방식의 하나 또는 서브셋의 심볼로 매핑하기 위해 선택된 접근 방법이, 그 서브셋 부호화 방식 또는 그로부터 유도된 것과 같은 MCS-x, DAS-y, 또는 DBS-z 방식의 다른 하나 또는 다른 서브셋의 것으로 정렬되어 EGPRS / EGPRS2 기준선 포맷에 비교하여 가능한 USF 구성의 전체 개수를 줄인다.
RH-A 방식 중 하나 이상이 RH-B 방식으로 정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QPSK 기반 DBS-5 및 DBS-6의 USF 심볼/부호어는 16/32QAM 기반 DAS-8 내지 DAS-12/DBS-7 내지 DBS-12의 대응하는 USF 심볼/부호어로(또는 그 역으로) 환원되어 RH-A 및 RH-B 방식을 정렬한다. 즉각적인 이점은 혼합 변조 성상도의 개수가 총 4개로 줄어든다는 점이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EGPRS MCS, 및/또는 EGPRS2 DAS-x 또는 DBS-y 변조 및 부호화 방식의 특정한 하나 또는 선택된 서브셋에 대한 USF 비트/심볼 매핑 절차 및/또는 USF 부호어 생성은 BTTI 및 RTTI WTRU가 동일 PDCH 자원 상에서 다중화되는지 여부에 따라 무선 블록을 BTTI 또는 RTTI 송신으로 부호화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MCS-x, DAS-y 및/또는 DBS-z 방식에 대한 USF 비트/심볼 매핑 절차 및/또는 부호어 생성은 무선 블록이 RTTI 모드, 또는 BTTI 모드, 또는 BTTI/RTTI 공존 모드로 전송된다면 동일 무선 블록을 부호화하기 위해 사용될 때 기준선 BTTI 포맷에 따라 변경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하나 이상의 MCS-x, DAS-y, 또는 DBS-z의 USF 비트/심볼 부호화 방식 및/또는 USF 부호어 생성 표는 다른 방식(예컨대, MCS-x, DAS-y, 또는 DBS-z)의 경우에 기초한다. 예를 들면, USF 부호화 표의 버스트별 부분(burst-wise portion)의 전체 또는 부분 반복, 또는 결정적인 매핑 규칙, 등가인 모든 것이 송신기 및 수신기에서 이러한 처리를 실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WTRU는 관련 기술에 숙련된 자에게 명백한 바와 같이, 임시 블록 흐름(TBF; temporary block flow) DL 할당 및 유사 메시지와 같은 네트워크로부터의 수신된 구성 메시지에 따라, 패킷 데이터 채널(PDCH; packet data channel)이 EGPRS 동작에 할당되는지 아니면 또는 REDHOT 동작에 할당되는지에 따라 수신기가 레거시 EGPRS MCS-1 내지 MCS-4를 복원하도록 구성되는 절차를 실시한다. 첫 번째 경우에, EGPRS 버스트는 통상의 방법을 사용하여 수신되고 처리된다. 두 번째 경우에, WTRU는 상술한 것처럼, 비트 교체, USF 비트/심볼의 확장 등과 같은 임의의 USF 복원 기술의 존재를 참조하도록 그 디코더를 구성한다.
관련 기술에 숙련된 자에게 명백한 것처럼, 가능한 조합의 개수를 줄이기 위해서 MCS-1 내지 MCS-4, DAS-5 내지 DAS-12, 및 DBS-5 내지 DBS-12 내의 USF 비트/심볼에 비트 교체를 적용하는 방법은, 릴리즈 7(R7)의 GERAN 대기시간 감소(LATRED)의 가능성을 허용할 때, 즉 RH-A 또는 RH-B와 함께 RTTI 동작을 고려할 때, 개별적으로 확장되거나 적용될 수 있다.
BTTI 모드에서 동작하는 EGPRS2 WTRU는 할당된 타임슬롯(들) 상에서 BTTI 시구간 중에 제 2 RTTI 송신과 비교할 때, 상이한 변조 유형/ 세트의 EGPRS 또는 EGPRS2 변조 및 부호화 방식을 가능하게 사용하는 제 1 RTTI 송신으로부터 USF를 복원할 수 있다. 도 7b는 도 7a의 종래기술과 이 실시형태의 비교를 보여준다. 도 7b는 4개 프레임(N 내지 N+3)을 보여주며, 각 프레임은 무선 블록을 구성하는 4개 버스트 중 2개를 운반하는 2개의 타임슬롯(TS2 및 TS3)을 포함한다. 도 7a에서, 전체 무선 블록을 구성하는 4개의 각 타임슬롯은 동일한 변조 유형을 가져야 하며, 따라서 RTTI 송신의 처음 2개 버스트로 이루어진 제 1 프레임과 마지막 2개 버스트로 이루어진 제 2 프레임은 동일한 변조 유형을 갖는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RTTI 송신의 첫 번째 2개의 버스트를 포함하는 프레임과 두 번째 2개의 버스트를 포함하는 프레임은 상이한 변조 유형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WTRU1은, 첫 번째 2개의 프레임의 변조 유형이 두 번째 2개의 프레임의 변조 유형과 다를 때, 4개의 버스트로부터 USF를 추출한다. 이 실시예에서, 설명을 목적으로, 제 1 프레임(720) 및 제 2 프레임(730)은 8PSK 변조를 이용하여 부호화되고, 제 3 프레임(740) 및 제 4 프레임(750)은 16QAM을 사용하여 부호화된다. 모두 4개의 버스트를 처리함으로써, WTRU1은 적절하게 USF를 복원할 수 있다.
USF 복원 절차의 다른 실시형태가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단계 1000에서, WTRU(또는 기타 수신 장치)는 BTTI 간격의 할당된 타임슬롯 상에서 4개의 버스트를 수신한다. 단계 1010에서, 처음 2개 버스트의 변조 유형(유형 1)이 결정된다. 단계 1020에서, 두 번째 2개 버스트의 변조 유형(유형 2)이 결정된다. 대안적으로, WTRU가 계속하여 제 2 세트의 하나 이상의 버스트를 수신하거나 처리하면서, 제 1 세트의 하나 이상의 수신된 버스트의 변조 유형이 결정될 수 있다.
단계 1030에서, 변조 유형(유형 1 및 유형 2)이 비교되며, 이들 유형들이 동일하다면, 단계 1040에서 USF 및 RLC/MAC 헤더가 복원된다. 단계 1050에서 USF가 할당된 USF라면, 데이터는 업링크 채널을 통해 송신될 수 있다. USF가 할당된 USF가 아니라면, 단계 1000에서 WTRU는 다른 4개의 버스트를 수신하기를 기다린다.
단계 1030에서 변조 유형이 동일하지 않다면, 단계 1080에서 특정 변조 조합(유형 2와 조합된 유형 1)이 허용되는지 여부가 결정된다. 그렇다면, 단계 1110에서 USF는 복원된다. 이후 단계 1050에서, 복원된 USF가 할당된 USF에 대해 비교되고 이들이 동일하다면, 데이터가 업링크 채널을 통해 송신될 수 있다. 복원된 USF가 할당된 USF가 아니라면, 단계 1000에서 WTRU는 다른 4개의 버스트를 수신하기를 기다린다.
단계 1080의 변조 조합이 허용되지 않고 그 후에 복원이 실패한다면, 단계 1000에서 WTRU는 다른 4개 버스트를 수신하기를 기다린다.
대안적으로, 제 1 및 제 2 RTTI 간격에서 허용될 수 있는 변조 유형(또는 동등한 방식으로, MCS-x, DAS-y, DBS-z에서 허용될 수 있는 서브셋)은 제한이 없다. 이러한 경우에, 수신기는 단계 1110에서 USF 복원 단계를 진행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제 1 및 제 2 RTTI 간격에서 허용될 수 있는 변조 유형(또는 동등한 방식으로, MCS-x, DAS-y, DBS-z에서 허용될 수 있는 서브셋)은 제한이 있다. BTTI 간격 중에, USF를 복원하기 위해 수신기에 의해 처리되어야 하는 가능한 조합의 개수를 줄이기 위해서, 제한은 제 1 또는 제 2 RTTI 간격에서 변조 유형(또는 MCS-x, DAS-y, DBS-z의 서브셋)의 선택에 따라 좌우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의 예시적인 순서도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단계 820에서, 제 1 RTTI 간격의 제 1 변조 유형이 검출된다. 단계 860에서, 수신기(Rx)는 제 2 RTTI 간격에서 허용될 수 있는 변조 유형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단계 870에서, USF가 추출된다. 단계 880에서, USF가 복원된다. 그 이후에 단계 882에서, 복원된 USF가 할당된 USF와 비교되고, 이들이 동등(동일)하다면 데이터는 업링크(UL)로 송신될 수 있고(단계 890), 그렇지 않으면 검출(단계 820), 구성(단계 860), 추출(단계 870) 및 복원(단계 880)이 반복된다.
하나 이상의 소정의 변조 유형(GMSK, 8PSK, QPSK, 16QAM, 32QAM)에 대한 제한은 MCS, DAS 및/또는 DBS 변조 및 부호화 방식의 특정하게 선택된 서브셋에 관한 제한과 동등하다. 예를 들면, GMSK 단독에 대한 변조 유형 제한은 CS-1 내지 CS-4 및 MCS-1 내지 MCS-4 단독을 허용하는 것과 동등하다. 변조 유형 8PSK는 MCS-5 내지 MCS-9 및 DAS-5 내지 DAS-7을 포함한다. 변조 유형 32QAM은 DAS-10 내지 DAS- 12 및 DBS-10 내지 DBS-12를 포함한다.
제 1 또는 제 2 RTTI 간격(또는 MCS-x, DAS-y, DBS-z의 선택된 서브셋)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변조 및 부호화 방식의 가능한 변조 유형 또는 서브셋의 제한은 네트워크, WTRU, 또는 양자 모두에서 실시되는 규칙에 의해 주어질 수 있다. 제 2 RTTI 간격의 가능한 조합의 제한은 선행하는(preceding) 제 1 RTTI 간격 중에 발생하는 변조 및 부호화 방식의 변조 유형, 또는 서브셋에 의해 좌우된다. 대안적으로, 제 1 RTTI 간격의 가능한 조합의 제한은 제 2 RTTI 간격(뒤따르는 RTTI 간격) 중에 발생하는 EGPRS 또는 EGPRS2 변조 및 부호화 방식의 변조 유형, 또는 서브셋에 의해 좌우된다. 대안적으로, 제한은 제 1 및 제 2 RTTI 간격에 대한 변조 및 부호화 방식의 허용될 수 있는 변조 유형 또는 서브셋에 관해 부여된다. 바람직하게는, 제한 규칙은 정해져 있고, WTRU 및 네트워크 양자에 알려져 있다. 대안적으로, 제한 규칙은 예컨대, 무선 링크, TBF를 수립하기 위해 사용되거나, 또는 무선 자원을 할당하는 RLC/MAC 메시지와 같은 시그널링을 통해 구성될 수 있다.
덧붙여, 후속의 RTTI 간격에서 서로 뒤따를 수 있는 EGPRS또는 EGPRS2 변조 및 부호화 방식의 가능한 변조 유형, 또는 서브셋의 제한은 특정 WTRU가 지원하는 성능 세트(capability set)에 따라 좌우될 수 있다. RH-A WTRU가 RH-B DBS-z 방식으로부터 USF를 복원할 것을 요구받지 않기 때문에, RH-A WTRU는 RH-B WTRU와 대비하여 (높은 수의 조합에 대해 복원할 필요가 있는) 상이한 제한 세트를 활용할 수 있다. 일반적인 경우에 USF 검출 성능을 개선하기 위하여 어떤 병리학적 경우(예외에 관하여 부호어 조합들 사이의 매우 낮은 해밍 거리)를 제거하거나 배제하기 위해서 2개 상이한 변조 유형의 부분 부호어가 짝지어 질 때, EGPRS 또는 EGPRS2 변조 및 부호화 방식의 허용 가능한 변조 유형 또는 (서브)셋에 관해 부여된 제한은 USF 부호어 및 그 최소 해밍 거리(minimum Hamming distance)의 함수로서 선택될 수 있다.
다음의 표는 EGPRS 또는 EGPRS-2 변조 및 부호화 방식의 허용 가능한 변조 유형 또는 (서브)셋에 관한 그러한 제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특정 실시예는 제 1 RTTI 간격(수직)에 관해 채용된 변조 유형의 함수로서 제 2 RTTI 간격(수평)의 허용된 대 허용되지 않는 변조 유형의 목록을 제공한다. 이러한 설명된 실시예는 단지 하나의 가능한 상충관계를 나타내며, 처리량의 감소 대 일반적 경우(기본적으로 임의의 변조 유형이 임의의 다른 것에 뒤따를 수 있음)에 비교되는 복원의 단순화 사이의 다른 가능한 상충관계로 확장될 수 있다.
제 1 RTTI /
제2 RTTI
간격
GMSK 8PSK QPSK 16QAM 32QAM
GMSK 아니오
8PSK 아니오 아니오
QPSK 아니오
16QAM 아니오
32QAM
도 9는 예시적인 제한 실시형태와 같은 순서도를 보여준다[그리고 도 8의 검출 단계 (820)에서 발생하는 것에 관한 설명을 표현한다]. 단계 824에서 제 1 RTTI 에 관한 변조 유형의 검출(단계 820)이 시작되고, 제 1 RTTI 간격은 그것이 GMSK 변조인지 결정하기 위해 검사된다. 결정이 긍정이라면, 단계 826에서 제 2 RTTI 간격이 다음의 변조 유형들: GMSK, 8PSK, 16QAM 또는 32QAM 중 임의의 하나일 수 있다. 부정이라면, 단계 828에서 제 1 RTTI 간격은 그것이 8PSK인지 결정하기 위해 마찬가지로 검사된다. 결정이 긍정이라면, 단계 830에서 제 2 RTTI 간격이 다음의 변조 유형들: GMSK, 8PSK 또는 QPSK 중 임의의 하나일 수 있다. 그렇지 않다면 프로세스는 단계 832에서 제 1 RTTI 간격이 QPSK인지 결정하기 위해 제 1 RTTI 간격을 계속하여 검사한다. 결정이 긍정이라면, 단계 834에서 제 2 RTTI 간격이 다음의 변조 유형들: 8PSK, QPSK, 16QAM 또는 32QAM 중 임의의 하나일 수 있다. 그렇지 않다면 프로세스는 단계 836에서 제 1 RTTI 간격이 16QAM인지 결정하기 위해 제 1 RTTI 간격을 계속하여 검사한다. 결정이 긍정이라면, 단계 838에서 제 2 RTTI 간격이 다음의 변조 유형들: GMSK, QPSK, 16QAM 또는 32QAM 중 임의의 하나일 수 있다. 그렇지 않다면 프로세스는 단계 840에서 제 1 RTTI 간격이 32QAM인지 결정하기 위해 제 1 RTTI 간격을 계속하여 검사한다. 결정이 긍정이라면, 단계 842에서 제 2 RTTI 간격은 모든 유형이 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844에서 제 2 RTTI 간격에 관한 변조 유형이 검출되고 단계 846에서 그것이 허용된 변조 유형인지 결정하기 위해 검사된다. 결정이 긍정이라면, 단계 848에서 USF가 복원되고 그 이후에 데이터는 업링크를 통해 송신될 수 있다. 그렇지 않다면, 단계 850에서 USF가 복원되지 않고 데이터가 송신되지 않는다. 어느 경우든, 프로세스는 다음 RTTI 간격(데이터 송신) 동안 대기한다.
시스템에 채용된 하나보다 많은 수의 제한 규칙의 세트(제 1 RTTI 간격과 제 2 RTTI 간격 사이에 허용된 변조 유형의 전이와 동등함)가 존재할 수 있다. 제한 규칙은 특정 PDCH 자원에 대해 다중화된 WTRU의 유형 및 성능에 좌우될 수 있다. 단일 제한 규칙의 경우 또는 제한 규칙 세트(다수의 규칙)가 있는 경우에, 그러한 제한 규칙은 TBF / 자원 수립 / 할당 단계 중에 WTRU로 시그널링되거나, 또는 유사하게 EGPRS RLC/MAC 시그널링 메시지의 확장을 통해 전달될 수 있고, 또는 WTRU 및/또는 네트워크에서 실시되는 고정된 규칙에 의해 부여될 수 있다. 이는 패킷 다운링크 할당(PACKET DOWNLINK ASSIGNMENT) 메시지, 다중 TBF 다운링크 할당(MULTIPLE TBF DOWNLINK ASSIGNMENT) 메시지, 패킷 업링크 할당(PACKET UPLINK ASSIGNMENT) 메시지, 다중 TBF 업링크 할당(MULTIPLE TBF UPLINK ASSIGNMENT) 메시지, 패킷 타임슬롯 재구성(PACKET TIMESLOT RECONFIGURE) 메시지, 다중 TBF 타임슬롯 재구성(MULTIPLE TBF TIMESLOT RECONFIGURE) 메시지, 또는 패킷 CS 릴리즈 표시(PACKET CS RELEASE INDICATION) 메시지와 같은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수신기에서 정확한 USF 복원 포맷, RTTI 또는 BTTI 또는 혼합 RTTI/BTTI 간격에서 무선 블록의 순서를 결정하고, 또는 USF 복원 포맷이 BTTI 송신과 같은 기준선 부호화 경우에 비교하여 변경되는지 결정하고, 또는 수신된 버스트(들) 또는 무선 블록이 BTTI 간격에서 제 1 또는 제 2 RTTI 간격에 속하는지 결정하는 것을 지원하기 위해서(결국 몇몇 버스트 부분의 상이한 설정이 적용될 수 있음), 상이한 스틸링 플래그 설정이 EGPRS 또는 EGPRS2 MCS-x, DAS-y 및/또는 DBS-z EGPRS2 송신의 어느 하나 또는 선택된 서브셋에 적용될 수 있다. 이는 (만일 그러한 특징이 지원된다면) BTTI 공존/비공존 RTTI USF 모드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EGPRS2 MCS-x, DAS-y 및/또는 DBS-z 무선 블록에 대한 (또는 시구간 당) 하나 이상의 상이한 스틸링 플래그 설정이 하나 이상의 다음 중 하나 이상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즉 수신기가 수신된 버스트(들), 무선 블록 등을 검사하기 위한 정확한 USF 복원 포맷을 결정하도록 돕고 이를 복원하는 정확한 USF 포맷, BTTI 구성으로 전송된 USF, RTTI 구성으로 전송된 USF, BTTI 공존 모드를 사용한 RTTI 구성으로 전송된 USF 그리고 수신된 무선 블록이 BTTI 간격 내의 1차 대 2차 RTTI 간격에 대응하는지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설명을 위한 목적으로, 그리고 보편성을 잃지 않고, 스틸링 플래그는 1차/2차 연속 RTTI 간격의 DAS-8/DAS-9의 경우에 다음과 같이 설정될 수 있다.
20 ms 블록 구간의 첫 번째 10 ms 20 ms 블록 구간의 두 번째 10 ms
BTTI 공존 모드로 전송된 RTTI USF 0,0,0,0,1,1,1,1 1,1,1,1,0,0,0,0
RTTI 단독 USF 모드로 전송된 RTTI USF 0,0,0,0,0,0,0,0
특정 USF 모드를 표시하기 위해 선택된 소정의 스틸링 플래그 부호어의 특정 값은 그러한 값이 표시된 문맥/모드에 관하여 고유한 한 임의의 특정 값이 될 수 있다.
EGPRS2 MCS-x, DAS-y 및/또는 DBS-z 변조 및 부호화 방식의 상이한 세트에 대해서, 별개의 스틸링 플래그 구성이 채용될 수 있다.
WTRU 실시에서 다양한 버스트 유형을 줄이고 정렬하기 위해서 MCS-1 내지 MCS-4, DAS-5 내지 DAS-12, DBS-5 내지 DBS-12에 USF 비트/심볼의 USF 부호화 및 위치 매핑을 정렬하는 다수의 상이하고 등가의 방법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특징들 및 요소들이 특정한 조합의 양호한 실시예들에서 기술되었지만, 각각의 특징 및 요소는 양호한 실시예의 다른 특징들 및 요소들 없이 단독으로, 또는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 및 요소들과 함께 또는 이들 없이 다양한 조합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된 방법 또는 순서도는, 범용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포함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의 예로는, 판독 전용 메모리(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레지스터, 캐시 메모리, 반도체 메모리 소자, 내부 하드디스크 및 제거 가능한 디스크와 같은 자기 매체, 광자기 매체, 및 CD-ROM 디스크, DVD(digital versatile disk)와 같은 광학 매체가 포함된다.
적절한 프로세서들로는, 예로서, 범용 프로세서, 특수 목적 프로세서, 통상의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 digital signal processor),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 DSP 코어와 연계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컨트롤러, 주문형 반도체(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회로, 및 기타 임의 타입의 집적 회로, 및/또는 상태 머신(state machine)이 포함된다.
무선 송수신 장치(WTRU), 사용자 장비(UE), 단말기, 기지국,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 또는 임의의 호스트 컴퓨터에서 이용하기 위한 무선 주파수 트랜시버를 구현하기 위해 소프트웨어와 연계한 프로세서가 이용될 수 있다. WTRU는, 카메라, 비디오 카메라 모듈, 화상전화, 스피커폰, 진동 장치, 스피커, 마이크로폰, 텔레비전 수상기, 핸즈프리 헤드셋, 키보드, 블루투스(Bluetooth®) 모듈, 주파수 변조된(FM) 무선 유닛, 액정 디스플레이(LCD) 유닛,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유닛, 디지털 뮤직 플레이어, 미디어 플레이어, 비디오 게임 플레이어 모듈, 인터넷 브라우저, 및/또는 임의의 무선 근거리 통신망(WLAN) 또는 초광대역(UWB) 모듈과 같은,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된 모듈들과 연계하여 이용될 수 있다.
구현예들
1. REDHOT 송신용 버스트로의 심볼/비트에 대한 USF 매핑 성상도의 전체 개수를 줄이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개선된 범용 패킷 무선 서비스(EGPRS) 또는 REDHOT 변조 및 부호화 방식(MCS)의, MCS-1 내지 MCS-4, 다운링크 레벨 A MCS(DAS)-5 내지 DAS-12 및/또는 다운링크 레벨 B MCS(DBS)-5 내지 DBS-12 방식 중 다른 하나 또는 다른 선택된 서브셋에 적용된 부호화된 업링크 상태 플래그(USF)의 현재 비트 위치로의 비트 교체를 채용하는 방법.
2. 제 1 구현예의 방법으로서, 현재의 USF 비트/심볼 및/또는 그 위치의 서브셋만 하나 이상의 다른 REDHOT 또는 EGPRS 방식의 USF 비트/심볼 위치로 교체되는 것인 방법.
3. 제 1 구현예의 방법으로서, USF 비트/심볼 및/또는 그 위치의 전체 세트가 적어도 하나의 다른 EGPRS 또는 REDHOT 방식의 것들로 매핑되는 것인 방법.
4. 제 1 내지 제 3 구현예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서, EGPRS MCS-1 내지 MCS-4의 USF 비트/심볼 위치가, REDHOT 패킷 데이터 채널(PDCH) 상의 송신에 사용될 때, 무선 블록의 1차 버스트의 {0, 50, 100}, 2차 버스트의 {34, 84, 98}, 3차 버스트의 {18, 68, 82}, 그리고 4차 버스트의 {2, 52, 66}으로부터 EGPRS MCS-5 내지 MCS-9 (및 DAS-5 내지 DAS-7)에 대해 채용된 버스트 당 USF 위치 {150, 151, 168-169, 171-172, 177, 178 및 195}의 전체 또는 서브셋의 어느 하나로 교체되는 것인 방법.
5. 제 1 내지 제 3 구현예 중 어느 한 방법으로서, EGPRS DAS-5 내지 DAS-7에 대해 채용된 버스트 당 USF 비트/심볼 위치 {150, 151, 168-169, 171-172, 177, 178 및 195}가 REDHOT 레벨 A DAS-8 내지 DAS-12에 대응하는 USF 비트/심볼 위치로 비트 교체되는 것인 방법.
6. 제 1 내지 제 3 구현예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서, EGPRS MCS-1 내지 MCS-4 및/또는 DAS-5 내지 DAS-7 중 어느 하나 또는 조합의 USF 비트/심볼 위치가 REDHOT 레벨 A DAS-8 내지 DAS-12에 대응하는 USF 비트/심볼 위치로 비트 교체되는 것인 방법.
7. 제 1 내지 제 3 구현예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서, EGPRS MCS-1 내지 MCS-4 및/또는 DAS-5 내지 DAS-12 중 어느 하나 또는 서브셋의 USF 비트/심볼 위치가 비트 교체되고, 그리고/또는 3-> 비트로부터의 그 USF 매핑 방식 및/또는 USF 부호화 비트를 심볼로 매핑하기 위해 선택된 기법이 USF 성상도의 전체 개수를 줄이도록 어느 하나 또는 서브셋의 부호화 방식과 정렬되는 것인 방법.
8. 무선 송수신 장치(WTRU)로서,
REDHOT 송신용 버스트로의 심볼/비트에 대한 USF 매핑 성상도의 전체 개수를 줄이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EGPRS 또는 REDHOT 변조 및 부호화 방식(MCS)의, MCS-1 내지 MCS-4, 다운링크 레벨 A MCS(DAS)-5 내지 DAS-12 및/또는 다운링크 레벨 B MCS(DBS)-5 내지 DBS-12 방식 중 다른 하나 또는 다른 선택된 서브셋에 적용된 부호화된 업링크 상태 플래그(USF)의 현재 비트 위치로의 비트 교체를 채용하는 프로세서; 및
수신기를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EGPRS 동작 대 REDHOT 동작에의 패킷 데이터 채널(PDCH) 할당에 따라 레거시 EGPRS MCS-1 내지 MCS-4를 복원하도록 수신기를 구성하는 것인 WTRU.
9. 제 8 구현예의 WTRU로서, EGPRS 버스트는 수신기에 의해 수신되고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되는 것인 WTRU.
10. 제 8 및 제 9 구현예 중 어느 하나의 WTRU로서, 현재의 USF 비트/심볼 및/또는 그 위치의 서브셋만 하나 이상의 다른 REDHOT 또는 EGPRS 방식의 USF 비트/심볼 위치로 교체되는 것인 WTRU.
11. 제 8 및 제 9 구현예 중 어느 하나의 WTRU로서, USF 비트/심볼 및/또는 그 위치의 전체 세트가 적어도 하나의 다른 EGPRS 또는 REDHOT 방식의 것들로 매핑되는 것인 WTRU.
12. 제 8 내지 제 11 구현예 중 어느 하나의 WTRU로서, EGPRS MCS-1 내지 MCS-4의 USF 비트/심볼 위치가, REDHOT 패킷 데이터 채널(PDCH) 상의 송신에 사용될 때, 무선 블록의 1차 버스트의 {0, 50, 100}, 2차 버스트의 {34, 84, 98}, 3차 버스트의 {18, 68, 82}, 그리고 4차 버스트의 {2, 52, 66}으로부터 EGPRS MCS-5 내지 MCS-9 (및 DAS-5 내지 DAS-7)에 대해 채용된 버스트 당 USF 위치 {150, 151, 168-169, 171-172, 177, 178 및 195}의 전체 또는 서브셋의 어느 하나로 교체되는 것인 WTRU.
13. 제 8 내지 제 11 구현예 중 어느 하나의 WTRU로서, EGPRS DAS-5 내지 DAS-7에 대해 채용된 버스트 당 USF 비트/심볼 위치 {150, 151, 168-169, 171-172, 177, 178 및 195}가 REDHOT 레벨 A DAS-8 내지 DAS-12에 대응하는 USF 비트/심볼 위치로 비트 교체되는 것인 WTRU.
14. 제 8 내지 제 11 구현예 중 어느 하나의 WTRU로서, EGPRS MCS-1 내지 MCS-4 및/또는 DAS-5 내지 DAS-7 중 어느 하나 또는 조합의 USF 비트/심볼 위치가 REDHOT 레벨 A DAS-8 내지 DAS-12에 대응하는 USF 비트/심볼 위치로 비트 교체되는 것인 WTRU.
15. 제 8 내지 제 11 구현예 중 어느 하나의 WTRU로서, EGPRS MCS-1 내지 MCS-4 및/또는 DAS-5 내지 DAS-12 중 어느 하나 또는 서브셋의 USF 비트/심볼 위치가 비트 교체되고, 그리고/또는 3-> 비트로부터의 그 USF 매핑 방식 및/또는 USF 부호화 비트를 심볼로 매핑하기 위해 선택된 기법이 USF 성상도의 전체 개수를 줄이도록 어느 하나 또는 서브셋의 부호화 방식과 정렬되는 것인 WTRU.
16. 제 1 내지 제 7 구현예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서, 업링크 상태 플래그(USF)를 복원하기 위해,
USF 정보를 운반하는 USF 심볼이 통신 버스트의 임의의 다른 위치에 대해 비트 교체되도록 USF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버스트를 부호화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방법.
17. 제 16 구현예의 방법으로서, USF 심볼이 매핑 규칙에 따라 교체되는 것인 방법.
18. 제 16 또는 제 17 구현예의 방법으로서, 비트 교체는 하나 이상의 부호화 방식을 교체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19. 제 18 구현예의 방법으로서, 부호화 방식은 EGPRS 또는 REDHOT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20. 제 19 구현예의 방법으로서, 부호화 방식은 MCS-1 내지 MCS-4, DAS-5 내지 DAS-12 및 DBS-5 내지 DBS-12의 서브셋으로부터 선택된 부호화된 USF 비트의 비트 위치를 채용하는 것인 방법.
21. 제 20 구현예의 방법으로서, USF 심볼의 비트 교체는 EGPRS MCS, EGPRS2 DAS-x 또는 DBS-y 중 특정한 하나 또는 서브셋에 적용되는 것인 방법.
22. 제 21 구현예의 방법으로서, 교체는 무선 블록을 기본 송신 시간 간격(BTTI) 대 감소된 송신 시간 간격(RTTI)으로 부호화하는 기능인 것인 방법.
23. 제 19 내지 제 22 구현예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서, EGPRS MCS-1 내지 MCS-4의 USF 심볼 위치가 EGPRS MCS-5 내지 MCS-9에 관한 버스트 당 USF 심볼 위치 전체 또는 서브셋으로 교체되는 것인 방법.
24. 제 23 구현예의 방법으로서, MCS-1 내지 MCS-4의 USF 부호화 비트는 선택된 비트 위치의 서브셋에 대해 직접 반복되는 것인 방법.
25. 제 19 내지 제 24 구현예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서, EGPRS DAS-5 내지 DAS-7의 USF 심볼 위치는 REDHOT 레벨 A DAS-8 내지 DAS-12의 전체 또는 서브셋으로 비트 교체되는 것인 방법.
26. 제 16 내지 제 25 구현예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서, MCS-x, DAS-y 또는 DAS-z 중 하나 또는 서브셋의 매핑 절차를 MCS-x, DAS-y 또는 DAS-z 부호화 방식 중 다른 부호화 방식 또는 다른 서브셋의 매핑 절차로 변경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방법.
27. 제 16 내지 제 26 구현예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서, MCS-x, DAS-y 또는 DAS-z 중 하나 또는 서브셋의 USF 부호어 생성 절차를 MCS-x, DAS-y 또는 DAS-z 부호어 생성 방식 중 다른 부호화 방식 또는 다른 서브셋의 USF 부호어 생성 절차로 변경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방법.
28. 제 16 내지 제 27 구현예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서, 하나 이상의 REDHOT-A 방식을 REDHOT-B 방식으로 정렬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방법.
29. 제 28 구현예의 방법으로서, QPSK 기반 DBS-5 및 DBS-6의 USF 부호어는 16QAM 기반 DAS-8 내지 DAS-12의 대응하는 USF 부호어로 환원되는 것인 방법.
30. 제 28 구현예의 방법으로서, QPSK 기반 DBS-5 및 DBS-6의 USF 부호어는 32QAM 기반 DAS-7 내지 DAS-12의 대응하는 USF 부호어로 환원되는 것인 방법.
31. 제 16 내지 제 30 구현예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서, 수신되는 메시지 구성에 따라, EGPRS MCS-1 내지 MCS-4을 EGPRS 동작 대 REDHOT 동작으로 복원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방법.
32. 제 31 구현예의 방법으로서, 동작은 물리적 전용 채널 할당에 따라 좌우되는 것인 방법.
33. 제 16 내지 제 32 구현예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서,
제 2 RTTI 간격에서 허용 가능한 변조 유형을 제한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방법.
34. 제 33 구현예의 방법으로서, 제한은 제 1 RTTI 간격의 변조 유형에 따라 좌우되는 것인 방법.
35. 제 19 구현예의 방법으로서, 제한은 모든 통신에서 실시되는 규칙에 의해 표시되는 것인 방법.
36. 제 33 내지 제 35 구현예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서, 제한은 무선 송수신 장치(WTRU)의 성능에 따라 좌우되는 것인 방법.
37. 제 33 내지 제 36 구현예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서, 제한은 USF 부호어 및 그 최소 해밍 거리(minimum Hamming Distance)의 함수인 것인 방법.
38. 제 33 내지 제 36 구현예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서, 하나 이상의 규칙이 변조 유형을 제한하기 위해 실시되는 것인 방법.
39. 제 38 구현예의 방법으로서, 어느 규칙이 사용되는지에 관한 표시가 자원 수립 중에 시그널링되는 것인 방법.
40. 제 38 구현예의 방법으로서, 어느 규칙이 사용되는지에 관한 표시가 EGPRS RLC/MAC 시그널링 메시지의 확장을 통해 시그널링되는 것인 방법.
41. 제 16 내지 제 40 구현예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서, EGPRS 2 MCS-x, DAS-y, DBS-z 송신 중 어느 하나 또는 서브셋에 상이한 스틸링 플래그 설정을 채용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방법.
42. 제 41 구현예의 방법으로서, 스틸링 플래그는, 정확한 USF 복원 포맷, RTTI 대 BTTI 간격에서의 무선 블록의 순서, 및 USF 복원 포맷이 변경되는지 여부 중 하나 이상을 결정하는 데 돕는 것인 방법.
43. 제 16 내지 제 42 구현예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실시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인 송신기.
44. 제 16 내지 제 42 구현예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실시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인 수신기.
45. 제 16 내지 제 42 구현예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실시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인 기지국.
46. 제 16 내지 제 42 구현예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실시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인 무선 송수신 장치(WTRU).
9: 프로세서
10: 무선 통신 네트워크
13: 프로세서
20: 무선 송수신 장치(WTRU)
30: 노드 B
40: 셀
110, 120: 송수신기
115, 125: 프로세서
116, 126: 수신기
117, 127: 송신기
118, 128: 안테나
720: 제 1 프레임
730: 제 2 프레임
740: 제 3 프레임
750: 제 4 프레임

Claims (14)

  1. 기지국에서 이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 변조 및 부호화 방식(MCS; modulation and coding scheme)을 사용하여 제 1 블록을 부호화하고;
    부호화된 제 1 블록을 기본 송신 시간 간격(BTTI; Basic Transmission Time Interval) 구간의 제 1 절반부(half)의 감소된 송신 시간 간격(RTTI; Reduced Transmission Time Interval) 타임슬롯 쌍을 통해 무선 송수신 장치(WTRU; wireless transmit/receive unit)에 송신하고;
    상기 제 1 MCS에 기초하여 제 2 블록을 부호화하는데 사용할 제 2 MCS를 결정하고;
    상기 제 2 MCS를 사용하여 제 2 블록을 부호화하고;
    부호화된 제 2 블록을 상기 BTTI 구간의 제 2 절반부의 RTTI 타임슬롯 쌍을 통해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기지국에서 이용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MCS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제 1 MCS의 처리량 특성에 기초하는 것인, 기지국에서 이용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MCS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제 1 MCS의 서비스 품질 특성에 기초하는 것인, 기지국에서 이용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MCS를 결정하는 것은 또한 WTRU의 성능(capability)에 기초하는 것인, 기지국에서 이용하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WTRU의 성능은 WTRU에 의해 지원되는 MCS를 포함하는 것인, 기지국에서 이용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된 제 1 블록을 송신하거나 상기 부호화된 제 2 블록을 송신하는 것은 GERAN[GSM Enhanced Data rates for Global Evolution(Edge) Radio Access Network] 접속 네트워크를 통해 수행되는 것인, 기지국에서 이용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MCS 또는 제 2 MCS와 관련된 변조 유형은 가우스 최소 편이 변조(GMSK; Gaussian Minimum Shift Keying), 8 위상 편이 변조(8PSK; 8 Phase-Shift Keying), 직교 위상 편이 변조(QPSK; Quadrature Phase-Shift Keying), 16직교 진폭 변조(16QAM; 16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또는 32 직교 진폭 변조(32QAM; 32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인 것인, 기지국에서 이용하는 방법.
  8. 기지국에 있어서,
    제 1 변조 및 부호화 방식(MCS)을 사용하여 제 1 블록을 부호화하고, 부호화된 제 1 블록을 기본 송신 시간 간격(BTTI) 구간의 제 1 절반부의 감소된 송신 시간 간격(RTTI) 타임슬롯 쌍을 통해 무선 송수신 장치(WTRU)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수신기; 및
    상기 제 1 MCS에 기초하여 제 2 블록을 부호화하는데 사용할 제 2 MCS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송수신기는 또한, 상기 제 2 MCS를 사용하여 제 2 블록을 부호화하고, 부호화된 제 2 블록을 상기 BTTI 구간의 제 2 절반부의 RTTI 타임슬롯 쌍을 통해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기지국.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MCS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제 1 MCS의 처리량 특성에 기초하는 것인, 기지국.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MCS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제 1 MCS의 서비스 품질 특성에 기초하는 것인, 기지국.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MCS를 결정하는 것은 또한, WTRU의 성능에 기초하는 것인, 기지국.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WTRU의 성능은 WTRU에 의해 지원되는 MCS를 포함하는 것인, 기지국.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기는 GERAN 접속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부호화된 제 1 블록 또는 상기 부호화된 제 2 블록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기지국.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MCS 또는 제 2 MCS와 관련된 변조 유형은 가우스 최소 편이 변조(GMSK), 8 위상 편이 변조(8PSK), 직교 위상 편이 변조(QPSK), 16직교 진폭 변조(16QAM), 또는 32 직교 진폭 변조(32QAM)인 것인, 기지국.
KR1020107010447A 2007-10-01 2008-09-30 Redhot a 및 b 무선 송수신 장치용 업링크 상태 플래그(usf) 복원 복잡도를 단순화하는 방법 KR2010007701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7655307P 2007-10-01 2007-10-01
US60/976,553 2007-10-01
US3325608P 2008-03-03 2008-03-03
US61/033,256 2008-03-03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9148A Division KR101293824B1 (ko) 2007-10-01 2008-09-30 Redhot a 및 b 무선 송수신 장치용 업링크 상태 플래그(usf) 복원 복잡도를 단순화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7019A true KR20100077019A (ko) 2010-07-06

Family

ID=4041905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0447A KR20100077019A (ko) 2007-10-01 2008-09-30 Redhot a 및 b 무선 송수신 장치용 업링크 상태 플래그(usf) 복원 복잡도를 단순화하는 방법
KR1020107009148A KR101293824B1 (ko) 2007-10-01 2008-09-30 Redhot a 및 b 무선 송수신 장치용 업링크 상태 플래그(usf) 복원 복잡도를 단순화하는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9148A KR101293824B1 (ko) 2007-10-01 2008-09-30 Redhot a 및 b 무선 송수신 장치용 업링크 상태 플래그(usf) 복원 복잡도를 단순화하는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090086686A1 (ko)
EP (1) EP2201712A2 (ko)
JP (2) JP5386494B2 (ko)
KR (2) KR20100077019A (ko)
CN (1) CN101933272B (ko)
AR (1) AR068647A1 (ko)
TW (2) TWI427956B (ko)
WO (1) WO200904602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1544B1 (ko) * 2007-03-02 2010-09-10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시스템에서 버스트 생성 방법 및 장치
WO2009082120A2 (en) * 2007-12-20 2009-07-02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S2366995T3 (es) * 2008-02-15 2011-10-27 Research In Motion Limited Aparatos y métodos para la destinación y asignación de combinaciones de tipo mezclado de ranuras.
US8638732B2 (en) * 2009-01-07 2014-01-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allocating resources using codebook in a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A2697209C (en) * 2009-03-23 2015-07-28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s and methods for allocating and transmitting uplink data block transmissions with piggy-backed ack/nack bitmap field
KR101313174B1 (ko) * 2009-03-23 2013-10-01 블랙베리 리미티드 업링크 데이터 블록 송신을 할당 및 송신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9001649B2 (en) 2010-07-22 2015-04-07 Blackberry Limited Methods and apparatus to communicate data between a wireless network and a mobile station
US8745231B2 (en) * 2010-07-22 2014-06-03 Blackberry Limited Methods and apparatus to poll in wireless communications
US8830981B2 (en) 2010-07-22 2014-09-09 Blackberry Limited Methods and apparatus to poll in wireless communications based on assignments
US8837388B2 (en) 2010-07-22 2014-09-16 Blackberry Limited Methods and apparatus to perform assignments in wireless communications
WO2012115617A1 (en) * 2011-02-21 2012-08-30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burst formatting of precoded egprs2 supporting legacy user multiplexing
CN102695214A (zh) * 2011-03-24 2012-09-2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和装置
GB2506658B (en) * 2012-10-05 2015-01-21 Broadcom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signal detection and decoding
CN103906115B (zh) * 2012-12-28 2017-06-27 联芯科技有限公司 多用户下gge系统接收数据处理方法及处理装置
US9520963B2 (en) 2013-03-22 2016-12-1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odulation and coding scheme selection for link adaptation
JP2016072843A (ja) * 2014-09-30 2016-05-09 Kddi株式会社 基地局装置、通信方法、および通信システム
WO2016122371A1 (en) * 2015-01-27 2016-08-0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Transmitting device, receiving device, controlling node, and methods therein, for transmitting a block to the receiving device
CN108141308B (zh) * 2015-10-23 2021-03-16 瑞典爱立信有限公司 基于解码裕度估计确定传输特性
CN108702239B (zh) * 2016-02-15 2021-01-29 华为技术有限公司 使用ue选择的调制编码方案的上行链路发送器和接收器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11686B2 (ja) * 2000-05-26 2010-07-2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US6631277B2 (en) * 2001-03-02 2003-10-0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mpensation for antenna diagram optimization
US7149245B2 (en) * 2002-04-29 2006-12-12 Lucent Technologies Inc. Link adaption in enhanced general packet radio service networks
US6919829B2 (en) * 2003-06-20 2005-07-19 Nokia Corporation Bit swapping for different interleaving depths
CN100452688C (zh) * 2003-06-27 2009-01-14 上海贝尔阿尔卡特股份有限公司 基于信道信息二阶统计的自适应调制和编码的方法及装置
JP2005142923A (ja) * 2003-11-07 2005-06-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無線通信装置及びmcs決定方法
JP4658727B2 (ja) * 2005-07-22 2011-03-23 シャープ株式会社 適応変調制御装置、無線通信装置、および、適応変調制御方法
JP4373410B2 (ja) * 2006-01-18 2009-11-25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送信装置及び送信方法
US7751368B2 (en) * 2006-05-01 2010-07-06 Intel Corporation Providing CQI feedback to a transmitter station in a closed-loop MIMO system
WO2008018761A2 (en) * 2006-08-09 2008-02-14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estimating signal-to-noise ratio, method of adjusting feedback information transmission, 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method using the same, and transceiver thereof
KR100987269B1 (ko) * 2006-08-22 2010-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고차 변조 기반의 버스트 매핑 방법및 장치
GB0702325D0 (en) * 2007-02-07 2007-03-21 Siemens Ag Uplink allocation strategies
KR20080041096A (ko) * 2007-03-13 2008-05-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피드백 정보를 이용한 링크 적응방법
US8238276B2 (en) * 2007-03-16 2012-08-0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Detecting the presence of coding scheme CS-I RLC/MAC control message
CN103354480B (zh) * 2007-03-21 2017-07-21 马维尔以色列(M.I.S.L.)有限公司 在蜂窝网络上使用上行链路状态标志信息的方法
TW200901689A (en) * 2007-06-12 2009-01-01 Interdigital Tech Corp Transmission of radio blocks in reduced transmission time interval (RTTI) mode
US8995422B2 (en) * 2007-06-21 2015-03-31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Signal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30103616A (ko) * 2007-08-24 2013-09-23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피기백된 ack/nack 필드로 무선 블록을 신뢰성있게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3824B1 (ko) 2013-08-07
AR068647A1 (es) 2009-11-25
KR20100075557A (ko) 2010-07-02
US20090086686A1 (en) 2009-04-02
JP5386494B2 (ja) 2014-01-15
TW200917718A (en) 2009-04-16
TWI427956B (zh) 2014-02-21
WO2009046028A3 (en) 2009-09-24
EP2201712A2 (en) 2010-06-30
JP2014003719A (ja) 2014-01-09
TW201014253A (en) 2010-04-01
CN101933272B (zh) 2014-03-19
CN101933272A (zh) 2010-12-29
JP2010541489A (ja) 2010-12-24
WO2009046028A2 (en) 2009-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3824B1 (ko) Redhot a 및 b 무선 송수신 장치용 업링크 상태 플래그(usf) 복원 복잡도를 단순화하는 방법
KR101129823B1 (ko) 피기백된 ack/nack 필드로 무선 블록을 신뢰성있게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664535B1 (ko) Egprs 시간 기반 확인응답의 구성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090135773A1 (en) Measurement reporting for transmissions supporting latency reduction
EP2247060B1 (en) USF coding
WO2010132006A1 (en) Resource selection for transmission of multiple ack/nack on pucch channel
US20110268071A1 (en) Multiple component carrier ofdma communication system
EP2885882A1 (en) Layer swapping in egprs mim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