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6866A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베어러 해제 방법 및 수신기 - Google Patents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베어러 해제 방법 및 수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6866A
KR20100076866A KR1020090095995A KR20090095995A KR20100076866A KR 20100076866 A KR20100076866 A KR 20100076866A KR 1020090095995 A KR1020090095995 A KR 1020090095995A KR 20090095995 A KR20090095995 A KR 20090095995A KR 20100076866 A KR20100076866 A KR 201000768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lc
pdcp
sdu
entity
pd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5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63008B1 (ko
Inventor
이승준
천성덕
박성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0980152519.9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2265700B/zh
Priority to PCT/KR2009/007433 priority patent/WO2010074441A2/en
Priority to US12/646,611 priority patent/US8774108B2/en
Publication of KR20100076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68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3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30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30Connection relea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1Inter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or service data unit [SDU] definitions; Interfaces between lay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27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for a plurality of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s, e.g. multi-call or multi-bearer end-to-end data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04W60/06De-registration or detac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베어러를 해제하는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RLC(Radio Link Control) 개체 및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개체의 해제가 결정된다. 상기기 RLC 개체의 해제 요청에 따라 추출되는 RLC SDU(service data unit)을 상기 PDCP 개체로 전달한 후 상기 RLC 개체가 해제된다. 상기 PDCP 개체는 상기 RLC SDU를 처리하여 얻어지는 제1 PDCP SDU를 수신 버퍼에 저장한다. 상기 수신 버퍼내의 상기 제1 PDCP SDU를 상위 계층으로 전달한 후 상기 PDCP 개체가 해제된다.

Description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베어러 해제 방법 및 수신기{METHOD OF RELEASING RADIO BEAR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RECEIVER}
본 발명은 무선 통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베어러 해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통신 시스템이 음성 서비스이나 패킷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널리 보급되고 있다. 다중 접속 시스템은 가용한 시스템 자원을 공유함으로써 다중 사용자에게 통신을 지원한다. 다중 접속 시스템의 예로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등이 있다.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향상인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는 3GPP 릴리이즈(release) 8로 소개되고 있다. 3GPP LTE는 하향링크에서 OFDMA를 사용하고, 상향링크에서 SC-FDMA(Single Carrier-FDMA)를 사용한다. 최대 4개의 안테나를 갖는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를 채용한다. 최근에는 3GPP LTE의 진화인 3GPP LTE-A(LTE-Advanced)에 대한 논의가 진행 중이다.
무선 베어러는 사용자와 네트워크간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논리적 경로(path)로써, 사용자나 네트워크의 요청으로 언제든지 생성, 재설정(re-establishment) 및 해제가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무선 베어러가 해제될 때, 각 계층의 버퍼에 저장된 모든 데이터는 어떤 처리 과정을 거치지 않고 바로 폐기된다(discard).
하지만, 무선 베어러가 해제될 때, 모든 데이터를 바로 폐기하는 것은 자원의 비효율적 사용을 유발할 수 있다. 무선 베이러의 해제로 성공적으로 전송된 데이터가 폐기된 후, 상기 데이터가 다시 중복하여 전송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버퍼에 저장된 데이터의 손실을 방지하는 무선 베어러 해제 방법 및 수신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일 양태에 있어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베어러를 해제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RLC(Radio Link Control) 개체 및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개체의 해제를 결정하고, 상기 RLC 개체의 해제 요청에 따라 추출되는 RLC SDU(service data unit)을 상기 PDCP 개체로 전달한 후 상기 RLC 개체를 해제하고, 상기 PDCP 개체에서 상기 RLC SDU를 처리하여 얻어지는 제1 PDCP SDU를 수신 버퍼에 저장하고, 및 상기 수신 버퍼내의 상기 제1 PDCP SDU를 상위 계층으로 전달한 후 상기 PDCP 개체를 해제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수신 버퍼내에 이전에 저장된 제2 PDCP SDU를 상기 상위 계층으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수신 버퍼내의 복수의 PDCP SDU는 각 PDCP SDU의 SN(sequence number)의 오름차순으로 상기 상위 계층으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수신 버퍼내의 상기 복수의 PDCP SDU는 상기 수신 버퍼내의 모든 PDCP SDU일 수 있다.
상기 PDCP 개체는 상기 RLC SDU에 대해 해독 및 헤더 복원을 수행하여 상기 제1 PDCP SDU를 얻을 수 있다. 상기 RLC SDU는 송신기로부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RLC PDU(protocol data unit)을 재결합하여 얻어질 수 있다.
상기 PDCP 개체로 전달되는 RLC SDU의 개수는 복수이고, 상기 복수의 RLC SDU는 각 RLC SDU의 SN의 오름차순으로 상기 PDCP 개체로 전달될 수 있다.
다른 양태에 있어서, 수신기는 RF(Radio Frequency)부,및 상기 RF부와 연결되어, 무선 베어러를 해제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RLC(Radio Link Control) 개체 및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개체의 해제를 결정하고, 상기 RLC 개체의 해제 요청에 따라 추출되는 RLC SDU(service data unit)을 상기 PDCP 개체로 전달한 후 상기 RLC 개체를 해제하고, 상기 PDCP 개체에서 상기 RLC SDU를 처리하여 얻어지는 제1 PDCP SDU를 수신 버퍼에 저장하고, 및 상기 수신 버퍼내의 상기 제1 PDCP SDU를 상위 계층으로 전달한 후 상기 PDCP 개체를 해제한다.
중복된 데이터 전송을 방지하여 무선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비연속 수신된 데이터 블록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LTE-A(Advanced)의 네트워크 구조일 수 있다. E-UTRAN(Evolved-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은 단말(10; User Equipment, UE)에게 제어 평면(control plane)과 사용자 평면(user plane)을 제공하는 기지국(20; Base Station, BS)을 포함한다. 단말(10)은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으며, MS(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MT(mobile terminal), 무선기기(Wireless Device)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기지국(20)은 단말(10)과 통신하는 고정된 지점(fixed station)을 말하며, eNB(evolved-Node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하나의 기지국(20)에는 하나 이상의 셀이 존재할 수 있다. 기지국(20) 간에는 사용자 트래픽 혹은 제어 트래픽 전송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사용될 수도 있다. 기지국(20)들은 X2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기지국(20)은 S1 인터페이스를 통해 EPC(Evolved Packet Core), 보다 상세하게는 S1-MME를 통해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와 S1-U를 통해 S-GW(Serving Gateway, 30)와 연결된다. S1 인터페이스는 기지국(20)과 MME/SAE 게이트웨이(30) 간에 다수-대-다수 관계(many-to-many-relation)를 지원한다.
이하에서 하향링크(downlink)는 기지국(20)에서 단말(10)로의 통신을 의미하며, 상향링크(uplink)는 단말(10)에서 기지국(20)으로의 통신을 의미한다. 하향링크에서 송신기는 기지국(20)의 일부이고, 수신기는 단말(10)의 일부일 수 있다. 상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단말(10)의 일부이고, 수신기는 기지국(20)의 일부일 수 있다.
도 2는 E-UTRAN과 EPC 간의 기능 분할(functional split)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빗금친 박스는 무선 프로토콜 계층(radio protocol layer)을 나타내고, 흰 박스는 제어 평면의 기능적 개체(functional entity)를 나타낸다. 기지국은 다음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1) 무선 베어러 제어(Radio Bearer Control), 무선 허락 제어(Radio Admission Control), 연결 이동성 제어(Connection Mobility Control), 단말로의 동적 자원 할당(dynamic resource allocation)와 같은 무선 자원 관 리(Radio Resource Management; RRM) 기능, (2) IP(Internet Protocol) 헤더 압축 및 사용자 데이터 스트림의 해독(encryption), (3) S-GW로의 사용자 평면 데이터의 라우팅(routing), (4) 페이징(paging) 메시지의 스케줄링 및 전송, (5) 브로드캐스트(broadcast) 정보의 스케줄링 및 전송, (6) 이동성과 스케줄링을 위한 측정과 측정 보고 설정. MME는 다음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1) NAS(Non-Access Stratum) 시그널링, (2) NAS 시그널링 보안(security), (3) 아이들 모드 UE 도달성(Idle mode UE Reachability), (4) 트랙킹 영역 리스트 관리(Tracking Area list management), (5) 로밍(Roaming), (6) 인증(Authentication). S-GW는 다음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1) 이동성 앵커링(mobility anchoring), (2) 합법적 감청(lawful interception). P-GW(PDN-Gateway)는 다음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1) 단말 IP(internet protocol) 할당(allocation), (2) 패킷 필터링.
도 3은 사용자 평면(user plane)에 대한 무선 프로토콜 구조(radio protocol architecture)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제어 평면(control plane)에 대한 무선 프로토콜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데이터 평면은 사용자 데이터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 스택(protocol stack)이고, 제어 평면은 제어신호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 스택이다.
도 3 및 4를 참조하면, 물리계층(PHY(physical) layer)은 물리채널(physical channel)을 이용하여 상위 계층에게 정보 전송 서비스(information transfer service)를 제공한다. 물리계층은 상위 계층인 MAC(Medium Access Control) 계층과는 전송채널(transport channel)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전송채널을 통해 MAC 계층 과 물리계층 사이로 데이터가 이동한다. 전송채널은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가 어떻게 어떤 특징으로 전송되는가에 따라 분류된다. 그리고 서로 다른 물리계층 사이, 즉 송신기와 수신기의 물리계층 사이는 물리채널을 통해 데이터가 이동한다.
물리계층에서 사용되는 몇몇 물리 제어채널들이 있다.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는 단말에게 PCH(paging channel)와 DL-SCH(downlink shared channel)의 자원 할당 및 DL-SCH와 관련된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정보를 알려준다. PDCCH는 단말에게 상향링크 전송의 자원 할당을 알려주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를 나를 수 있다.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는 단말에게 PDCCH들에 사용되는 OFDM 심벌의 수를 알려주고, 매 서브프레임마다 전송된다. PHICH(physical Hybrid ARQ Indicator Channel)는 상향링크 전송의 응답으로 HARQ ACK/NAK 신호를 나른다.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은 하향링크 전송에 대한 HARQ ACK/NAK, 스케줄링 요청 및 CQI와 같은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나른다.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은 UL-SCH(uplink shared channel)을 나른다.
MAC 계층의 기능은 논리채널과 전송채널간의 맵핑 및 논리채널에 속하는 MAC SDU(service data unit)의 전송채널 상으로 물리채널로 제공되는 전송블록(transport block)으로의 다중화/역다중화를 포함한다. MAC 계층은 논리채널을 통해 RLC(Radio Link Control) 계층에게 서비스를 제공한다. 논리채널은 제어 영역 정보의 전달을 위한 제어채널과 사용자 영역 정보의 전달을 위한 트래픽 채널로 나 눌 수 있다.
RLC 계층의 기능은 RLC SDU의 연결(concatenation), 분할(segmentation) 및 재결합(reassembly)를 포함한다. 무선베어러(Radio Bearer; RB)가 요구하는 다양한 QoS(Quality of Service)를 보장하기 위해, RLC 계층은 투명모드(Transparent Mode, TM), 비확인 모드(Unacknowledged Mode, UM) 및 확인모드(Acknowledged Mode, AM)의 세 가지의 동작모드를 제공한다. AM RLC는 ARQ(automatic repeat request)를 통해 오류 정정을 제공한다.
사용자 평면에서의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계층의 기능은 사용자 데이터의 전달, 헤더 압축(header compression) 및 암호화(ciphering)를 포함한다. 사용자 평면에서의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계층의 기능은 제어 평면 데이터의 전달 및 암호화/무결정 보호(integrity protection)를 포함한다.
RRC(Radio Resource Control) 계층은 제어 평면에서만 정의된다. RRC 계층은 무선 베어러들의 설정(configuration), 재설정(re-configuration) 및 해제(release)와 관련되어 논리채널, 전송채널 및 물리채널들의 제어를 담당한다. RB는 단말과 네트워크간의 데이터 전달을 위해 제1 계층(PHY 계층) 및 제2 계층(MAC 계층, RLC 계층, PDCP 계층)에 의해 제공되는 논리적 경로를 의미한다. RB가 설정된다는 것은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무선 프로토콜 계층 및 채널의 특성을 규정하고, 각각의 구체적인 파라미터 및 동작 방법을 설정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RB는 다시 SRB (Signaling RB)와 DRB (Data RB) 두가지로 나누어 질 수 있다. SRB 는 제어 평면에서 RRC 메시지를 전송하는 통로로 사용되며, DRB는 사용자 평면에서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로로 사용된다.
RRC 계층 상위에 위치하는 NAS(Non-Access Stratum) 계층은 연결관리(Session Management)와 이동성 관리(Mobility Management)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도 5는 HARQ와 ARQ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송신기(100)의 RLC 개체(entity)(110)는 일련번호(Sequence Number, 이하 SN) 0인 RLC PDU(Protocol Data Unit)를 MAC 개체(120)로 보낸다(S110). 송신기(100)의 MAC 개체(120)는 SN=0인 RLC PDU에 대응하는 MAC PDU1(들)를 수신기(200)의 MAC 개체(220)로 보낸다(S112). MAC PDU를 성공적으로 수신한 MAC 개체(220)는 RLC 개체(210)로 보낸다(S114).
송신기(100)의 RLC 개체(120)는 SN=1인 RLC PDU를 MAC 개체(120)로 보낸다(S120). 송신기(100)의 MAC 개체(120)는 SN=1인 RLC PDU에 대응하는 MAC PDU2(들)를 수신기(200)의 MAC 개체(220)로 보낸다(S122). 무선 채널의 악화로 상기 MAC PDU2에 대해 HARQ가 진행 중이라고 한다.
송신기(100)의 RLC 개체(110)는 SN=2인 RLC PDU를 MAC 개체(120)로 보낸다(S130). 송신기(100)의 MAC 개체(120)는 SN=2인 RLC PDU에 대응하는 MAC PDU3(들)를 수신기(200)의 MAC 개체(220)로 보낸다(S132). MAC PDU3를 성공적으로 수신한 MAC 개체(220)는 RLC 개체(210)로 보낸다(S134).
그리고, SN=1인 RLC PDU에 대응하는 MAC PDU2(들)의 HARQ가 완료되어(S135), SN=1인 RLC PDU를 RLC 개체(210)가 얻는다(S136). HARQ의 수행 과정에 따라 연속적이지 않은 SN을 갖는 RLC PDU가 RLC 개체(210)로 수신될 수 있다. 이를 HARQ 재배열(redordering) 이라 한다.
송신기(100)의 RLC 개체(110)는 SN=3인 RLC PDU를 MAC 개체(120)로 보낸다(S140). 이때, RLC PDU의 헤더에는 폴링(polling) 비트가 셋팅되어, 상태 보고를 요청한다고 한다. 송신기(100)의 MAC 개체(120)는 SN=3인 RLC PDU에 대응하는 MAC PDU4(들)를 수신기(200)의 MAC 개체(220)로 보낸다(S142). MAC PDU4를 성공적으로 수신한 MAC 개체(220)는 RLC 개체(210)로 보낸다(S144). 상태보고를 요청받은 RLC 개체(210)는 상태 PDU를 구성하여(construct) 송신기(100)의 RLC 개체(110)로 보낸다(S150).
PDU는 어떤 계층이 하위 계층으로 보내는 데이터 블록이고, SDU는 어떤 계층이 상위 계층으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 블록이다. 예를 들어, RLC PDU는 RLC가 MAC으로 보내는 데이터 블록이고, RLC SDU는 RLC가 PDCP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 블록이다. PDU에서 SDU로의 변환 또는 SDU에서 PDU로의 변환은 계층의 기능에 따라 다를 수 있다.
ARQ를 지원하는 RLC 개체를 AM(Acknowledged Mode) RLC 개체라 하고, ARQ를 지원하지 않는 RLC 개체를 UM(Unacknowledged Mode) RLC 개체라 한다.
송신기의 UM RLC 개체는 각 PDU의 헤더에 SN(Sequence Number)를 포함시켜, 수신기의 UM RLC 개체가 어떤 PDU가 전송 중 소실되었는가를 알 수 있게 한다. UM RLC는 사용자 평면에서는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 데이터의 전송이나 패킷 서비스 영역(Packet Service domain)의 음성(예: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이나 스트리밍(streaming)과 같은 실시간 패킷 데이터의 전송을 담당하며, 제어 평면에서는 셀 내의 특정 단말 또는 특정 단말 그룹에게 전송하는 RRC 메시지 중 수신확인 응답이 필요 없는 RRC 메시지의 전송을 담당한다.
수신기의 UM RLC 개체는 PDU를 수신한 후 먼저 PDU의 SN을 검사한다. 만약 수신한 PDU가 이전에 수신한 PDU에 대해 순차적인(in-sequence) PDU라면 상기 PDU를 처리(process)하여 얻어지는 SDU를 상위계층(예, PDCP)으로 전달한다. 그런데, 만약 수신한 PDU가 순차적인 PDU가 아니라면 상기 PDU를 버퍼에 저장시켜 놓고 순차적인 PDU가 수신될 때가지 대기한다.
RLC 개체가 비순차적으로 PDU를 수신하게 되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로서, 하나는 PDU가 전송 중에 소실(loss)된 것이고, 다른 하나는 하위 계층에서의 HARQ 재배열로 인한 것이다. 첫번째 이유인 PDU 손실로 인한 비순차 수신이 발생하면, 수신기의 UM RLC 개체는 되도록이면 빨리 비순차적으로 수신한 PDU를 상위계층으로 전달하는 것이 좋다. 두번째 이유인 HARQ 재배열로 인한 비순차 수신이 발생하면, 순차적인 PDU가 일정 시간 이후에 수신될 것이므로, 수신기의 UM RLC 개체는 일정 시간을 기다려서 PDU들을 순차적으로 수신하여 처리하는 것이 좋다.
상기 상반된 PDU의 비순차 수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신기의 UM RLC 개체는 타이머를 정의한다. 어떤 PDU가 비순차 수신이 되면, 상기 PDU를 버퍼에 저장시키고 동시에 상기 타이머를 개시한다. 상기 타이머가 만료할 때까지 순차적인 PDU가 수신되지 않으면, PDU 손실로 인한 비순차 수신으로 판단한다. 어떤 PDU가 비순차적으로 수신되면, 상기 PDU는 타이머가 만료되거나 그 이전의 순차적인 PDU가 수신될 때까지 버퍼에 대기하는 것이다.
AM RLC 개체도 UM RLC 개체와 마찬가지로 PDU 헤더에 SN를 포함시키지만, UM RLC 개체와는 달리 수신한 PDU에 대해 송신기로 응답(Acknowledgement)을 보내는 데 차이가 있다. 상기 응답은 수신기가 수신하지 못한 PDU에 대해 송신기에게 재전송(Retransmission)을 요구하기 위해 사용된다. AM RLC는 재전송을 통해 오류가 없는(error-free) 데이터 전송을 보장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M RLC는 주로 사용자 평면에서 패킷 서비스 영역의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같은 비실시간 패킷 데이터의 전송을 담당하며, 제어 평면에서는 셀 내의 특정 단말에게 전송하는 RRC 메시지 중 수신확인 응답이 필요한 RRC 메시지의 전송을 담당한다.
AM RLC 개체도 UM RLC 개체와 마찬가지로 PDU를 수신하면 먼저 PDU의 SN을 검사한다. 만약 수신한 PDU가 이전에 수신한 PDU에 대해 순차적인(in-sequence) PDU라면 상기 PDU를 처리하여 얻어지는 SDU를 상위계층으로 전달한다. 그런데, 만약 수신한 PDU가 순차적인 PDU가 아니라면 상기 PDU를 버퍼에 저장시켜 놓고 순차적인 PDU가 수신될 때까지 대기한다.
AM RLC가 비순차적으로 PDU를 수신하게 되는 이유는 UM RLC와 같다. 그러나, AM RLC는 재전송을 지원하므로, 타이머가 만료되면 비순차적으로 수신된 PDU를 상위계층으로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송신기의 AM RLC로 상태 보고를 보내 수신하지 못한 PDU의 재전송을 요구한다. 따라서, 수신기의 AM RLC 개체는 어떤 PDU가 비순 차적으로 수신되면, 그 이전의 순차적인 PDU가 수신될 때까지 계속 버퍼에 대기하게 된다.
PDCP 계층은 하위의 RLC 계층으로부터 PDCP PDU를 전달받아, 이를 해독하고(deciphering), 헤더를 복원하여(decompression), 복원된 PDCP SDU를 상위계층으로 전달한다. 일반적으로 PDCP SDU가 PDCP 계층의 버퍼에 대기하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는다. 이는 하위 계층인 UM RLC 또는 AM RLC가 항상 SN의 오름차순으로 PDCP PDU를 전달하기 때문에, PDCP는 전달받은 PDCP PDU를 순서대로 처리하여 상위로 전달하기 때문이다.
무선 베어러(RB)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로로서 단말이나 네트워크의 요청에 의해서 언제든지 생성 및 해제가 가능하다. 그런데,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RLC 버퍼 및/또는 PDCP 버퍼는 HARQ 재배열과 같은 비순차적인 수신으로 인해 PDU 또는 SDU들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는데, 무선 베어러가 해제되면 RLC 버퍼 및/또는 PDCP 버퍼에 저장된 데이터들을 바로 폐기하면 자원 활용이 비효율적일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무선 베어러의 해제 시에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하여 무선베어러 해제 시에도 데이터의 손실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도 6은 무선 베어러 해제의 일 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 방법은 수신기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단계 S610에서, 수신기는 무선 베어러의 해제를 결정한다. RRC는 무선 베어러의 해제를 RLC 및 PDCP로 보내, RLC 및 PDCP의 해제를 요청한다. RLC는 UM RLC 또는 AM RLC 일 수 있다.
단계 S620에서, 수신기의 RLC는 RLC 수신 버퍼(RLC reception buffer)에 저장된 RLC PDU를 재결합(reaasemble)하여 RLC SDU를 얻고, 재결합된 RLC SDU를 PDCP로 전달한다(deliver). 수신기의 RLC는 성공적으로 수신되고 RLC 수신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RLC PDU(UMD PDU, AMD PDU, 및/또는 AMD PDU 세그먼트)에 대해 헤더를 제거하고, 재결합하여 완전한 RLC SDU를 얻는다. 만약 손실된 PDU로 인해 완전하지 않은 RLC SDU가 얻어지면 상기 비완전 RLC SDU는 폐기한다. 재결합된 RLC SDU는 PDCP로 전달되고, 전달되는 RLC SDU는 PDCP PDU에 대응된다. 재결합된 RLC SDU는 SN의 오름차순(ascending order)으로 PDCP로 전달될 수 있디.
단계 S630에서, RLC SDU를 PDCP로 전달한 후 RLC는 해제된다.
단계 S640에서, 수신기의 PDCP는 PDCP 수신 버퍼에 저장된 PDCP PDU 및/또는 RLC로부터 전달받은 PDCP PDU를 처리하여 PDCP SDU를 획득한 후 획득된 PDCP SDU를 상위 계층으로 전달한다. PDCP는 PDCP 수신 버퍼에 저장된 PDCP PDU 및 RLC로부터 전달받은 PDCP PDU에 대해 해독(deciphering) 및 헤더 복원(header decompression)을 수행하여 완전한 PDCP SDU를 획득하여 이를 PDCP 수신 버퍼에 저장한다. PDCP 수신 버퍼내의 모든 완전한 PDCP SDU는 PDCP의 상위 계층으로 전달된다. PDCP의 상위 계층은 애플리케이션 계층(application layer) 등 PDCP SDU를 수신하고 이를 처리할 수 있는 계층을 말한다. PDCP SDU는 SN의 오름차순으로 상위 계층으로 전달될 수 있디.
단계 S650에서, PDCP SDU를 상위 계층으로 전달한 후 PDCP는 해제된다.
무선 베어러의 해제는 비정상적인 상황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과 네트워크간의 채널 상태가 일시적으로 악화되거나, 무선자원이 일시적으로 부족한 경우이다. 무선 베어러의 해제시 기존에 수신된 데이터를 상위 계층으로 전달하도록 함으로써, 무선 베어러가 재설정될 때 기존 데이터를 유지하고 데이터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는, RLC와 PDCP에서의 해제에 대해 기술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적어도 2개의 계층간의 해제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계층이 RLC 계층이고 제2 계층이 PDCP 계층일 때, 이 2개의 계층의 해제에 따른 데이터 블록의 전달이 이루어지는 것을 예시적으로 기술하고 있다. 다른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을 이루는 계층들 간의 해제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도 7은 무선 베어러의 해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RRC는 무선 베어러의 해제를 위해 RLC와 PDCP에게 해제를 요청한다. RLC는 SN=6인 RLC PDU(702), SN=7인 RLC PDU(703), SN=9인 RLC PDU(705)를 RLC 수신 버퍼에 저장하고 있고, SN=5인 RLC PDU(701)와 SN=8인 RLC PDU(704)는 수신 대기 중이다. RLC 해제 요청에 따라, RLC는 SN=6인 RLC PDU(702)와 SN=7인 RLC PDU(703)로부터 제1 RLC SDU(711)를 추출하고하고, SN=9인 RLC PDU(705)로부터 제2 RLC SDU(712)를 추출한다. 추출된 제1 RLC SDU(711)와 제2 RLC SDU(712)를 PDCP로 전달한 후 RLC는 해제된다.
PDCP로 전달된 제1 RLC SDU(711)와 제2 RLC SDU(712)는 각각 제1 PDCP PDU 및 제2 PDCP PDU가 된다. PDCP는 RLC로부터 전달받은 제1 PDCP PDU(711) 및 제2 PDCP PDU(712)에 대해 각각 해독과 헤더 복원을 수행하여 제1 PDCP SDU(721) 및 제3 PDCP SDU(723)를 획득하여 PDCP 수신 버퍼에 저장한다. 또한, PDCP는 PDCP 수신 버퍼에 이전에 저장된 PDCP PDU로부터 제2 PDCP SDU(722)를 획득하여 PDCP 수신 버퍼에 저장한다. 수신 버퍼내의 제1 PDCP SDU(721), 제2 PDCP SU(722) 및 제3 PDCP SDU(723)가 PDCP의 상위 계층으로 전달된 후, PDCP는 해제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구현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송신기(50)와 수신기(60)는 단말, 기지국 또는 중계기의 일부일 수 있다. 송신기(50)은 프로세서(processor, 51), 메모리(memory, 52) 및 RF부(RF(radio frequency) unit, 53)을 포함한다. 프로세서(51)는 제안된 기능, 과정 및/또는 방법을 구현한다.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계층들은 프로세서(51)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52)는 프로세서(51)와 연결되어, 프로세서(51)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RF부(53)는 프로세서(51)와 연결되어,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한다. 수신기(60)는 프로세서(61), 메모리(62) 및 RF부(63)을 포함한다. 프로세서(61)는 제안된 기능, 과정 및/또는 방법을 구현한다.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계층들은 프로세서(61)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62)는 프로세서(61)와 연결되어, 프로세서(61)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RF부(63)는 프로세서(61)와 연결되어,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한다.
프로세서(51, 61)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다른 칩셋, 논리 회로 및/또는 데이터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52,62)는 ROM(read-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쉬 메모리, 메모리 카드, 저장 매체 및/또는 다른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RF부(53,63)은 무선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베이스밴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가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때, 상술한 기법은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과정, 기능 등)로 구현될 수 있다. 모듈은 메모리(52,62)에 저장되고, 프로세서(51,61)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52,62)는 프로세서(51,61) 내부 또는 외부에 있을 수 있고, 잘 알려진 다양한 수단으로 프로세서(51,61)와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예시적인 시스템에서, 방법들은 일련의 단계 또는 블록으로써 순서도를 기초로 설명되고 있지만, 본 발명은 단계들의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떤 단계는 상술한 바와 다른 단계와 다른 순서로 또는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라면 순서도에 나타낸 단계들이 배타적이지 않고, 다른 단계가 포함되거나 순서도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계가 본 발명의 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삭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실시예들은 다양한 양태의 예시들을 포함한다. 다양한 양태들을 나타내기 위한 모든 가능한 조합을 기술할 수는 없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다른 조합이 가능함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모든 다른 교체, 수정 및 변경을 포함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E-UTRAN과 EPC 간의 기능 분할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사용자 평면에 대한 무선 프로토콜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제어 평면에 대한 무선 프로토콜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HARQ와 ARQ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무선 베어러 해제의 일 예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은 무선 베어러의 해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구현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Claims (8)

  1.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베어러를 해제하는 방법에 있어서,
    RLC(Radio Link Control) 개체 및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개체의 해제를 결정하고,
    상기 RLC 개체의 해제 요청에 따라 추출되는 RLC SDU(service data unit)을 상기 PDCP 개체로 전달한 후 상기 RLC 개체를 해제하고,
    상기 PDCP 개체에서 상기 RLC SDU를 처리하여 얻어지는 제1 PDCP SDU를 수신 버퍼에 저장하고, 및
    상기 수신 버퍼내의 상기 제1 PDCP SDU를 상위 계층으로 전달한 후 상기 PDCP 개체를 해제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버퍼내에 이전에 저장된 제2 PDCP SDU를 상기 상위 계층으로 전달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버퍼내의 복수의 PDCP SDU는 각 PDCP SDU의 SN(sequence number)의 오름차순으로 상기 상위 계층으로 전달되는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버퍼내의 상기 복수의 PDCP SDU는 상기 수신 버퍼내의 모든 PDCP SDU인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PDCP 개체는 상기 RLC SDU에 대해 해독 및 헤더 복원을 수행하여 상기 제1 PDCP SDU를 얻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RLC SDU는 송신기로부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RLC PDU(protocol data unit)을 재결합하여 얻어지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PDCP 개체로 전달되는 RLC SDU의 개수는 복수이고, 상기 복수의 RLC SDU는 각 RLC SDU의 SN의 오름차순으로 상기 PDCP 개체로 전달되는 방법.
  8. RF(Radio Frequency)부; 및
    상기 RF부와 연결되어, 무선 베어러를 해제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RLC(Radio Link Control) 개체 및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개체의 해제를 결정하고,
    상기 RLC 개체의 해제 요청에 따라 추출되는 RLC SDU(service data unit)을 상기 PDCP 개체로 전달한 후 상기 RLC 개체를 해제하고,
    상기 PDCP 개체에서 상기 RLC SDU를 처리하여 얻어지는 제1 PDCP SDU를 수신 버퍼에 저장하고, 및
    상기 수신 버퍼내의 상기 제1 PDCP SDU를 상위 계층으로 전달한 후 상기 PDCP 개체를 해제하는 수신기.
KR1020090095995A 2008-12-26 2009-10-09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베어러 해제 방법 및 수신기 KR1015630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0980152519.9A CN102265700B (zh) 2008-12-26 2009-12-11 在无线通信系统中释放无线承载的方法和接收机
PCT/KR2009/007433 WO2010074441A2 (en) 2008-12-26 2009-12-11 Method of releasing radio bear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receiver
US12/646,611 US8774108B2 (en) 2008-12-26 2009-12-23 Method of releasing radio bear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receiv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090408P 2008-12-26 2008-12-26
US61/140,904 2008-12-26
US14225709P 2009-01-02 2009-01-02
US61/142,257 2009-01-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6866A true KR20100076866A (ko) 2010-07-06
KR101563008B1 KR101563008B1 (ko) 2015-11-02

Family

ID=42638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5995A KR101563008B1 (ko) 2008-12-26 2009-10-09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베어러 해제 방법 및 수신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63008B1 (ko)
CN (1) CN102265700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0051A (ko) * 2013-04-30 2014-11-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단말의 데이터 수신 방법
KR20180084288A (ko) * 2017-01-16 2018-07-25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장치
US10944681B2 (en) 2017-07-31 2021-03-09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ethods and devices for data processi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54735B (zh) * 2010-04-30 2016-02-1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lte制式下rrc连接释放时rlc层以及pdcp层的数据处理方法
WO2013102310A1 (zh) * 2012-01-06 2013-07-11 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处理的方法和设备
CN109348508B (zh) 2013-11-11 2022-04-12 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及装置
CN105025593B (zh) * 2014-04-23 2020-07-28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释放实体的方法及设备
CN105323044B (zh) * 2014-07-15 2018-09-25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一种数据调度方法、装置和带内中继
CN107979853B (zh) * 2016-10-25 2022-08-0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数据的传输方法和装置、用户设备及基站
CN108347727B (zh) * 2017-01-24 2023-04-0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及装置
CN110402589B (zh) * 2017-03-16 2022-04-26 三星电子株式会社 网络发起的终端与网络之间的pdu会话连接更新方法
WO2018176480A1 (zh) * 2017-04-01 2018-10-04 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处理方法和设备
US10609589B2 (en) * 2017-06-02 2020-03-31 Motorola Mobility Llc Determining data available for transmission
CN109548194B (zh) 2017-08-17 2021-07-1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数据处理方法、发送端和接收端
CN108112019B (zh) * 2018-01-02 2021-05-18 重庆邮电大学 一种基于蜂窝的窄带物联网与异制式干扰规避方法
US11212720B2 (en) * 2018-10-16 2021-12-28 Mediatek Inc. 5GSM handling on invalid PDU sessio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6484B1 (ko) * 2002-04-08 2009-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 무선통신방법 및 무선통신장치
US7701890B2 (en) * 2004-02-04 2010-04-20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of releasing a point-to-multipoint radio bearer
US20060077993A1 (en) * 2004-10-12 2006-04-13 Eaton Corporation Method of managing communication buffers for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layers and node employing the same
KR100938090B1 (ko) * 2006-10-19 2010-01-2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수행 방법 및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0051A (ko) * 2013-04-30 2014-11-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단말의 데이터 수신 방법
KR20180084288A (ko) * 2017-01-16 2018-07-25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장치
US10944681B2 (en) 2017-07-31 2021-03-09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ethods and devices for data process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265700A (zh) 2011-11-30
KR101563008B1 (ko) 2015-11-02
CN102265700B (zh) 2015-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3008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베어러 해제 방법 및 수신기
US11405832B2 (en) Method for performing a cell change procedur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 device therefor
US8774108B2 (en) Method of releasing radio bear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receiver
US2022026436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 packe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503436B2 (en) Method of triggering status repor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receiver
EP3020155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tocol layer enhancements in data offload over small cells
JP5281700B2 (ja) 無線装置とネットワーク間のデータユニットのシーケンスの送信のための無線通信方法
EP2493239B1 (en) Method for acquiring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 status report and pdcp entity
US10708815B2 (en)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WO2019216807A1 (en) Methods for handling periodic radio access network notification area (rna) update configuration upon reject
JP2015053714A (ja) 中継ノードとのハンドオーバを実施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WO2016021644A1 (ja) 受信端末及び送信端末
KR101637589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흐름 제어 방법 및 장치
WO2014065167A1 (ja) 移動通信システム、ユーザ端末、基地局、プロセッサ及び通信制御方法
KR20100069125A (ko) 통신 시스템 및 그의 rrc 접속 방법
KR101451431B1 (ko) 핸드오버 동안 데이터 블록 관리 방법
US10701610B2 (en) Relay node and radio terminal
KR101514069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arq 수행 방법
CN106165514B (zh) 一种rlc数据包重传方法及基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