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5088A - 높이 조절이 가능한 탄성받침 - Google Patents

높이 조절이 가능한 탄성받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5088A
KR20100075088A KR1020080133702A KR20080133702A KR20100075088A KR 20100075088 A KR20100075088 A KR 20100075088A KR 1020080133702 A KR1020080133702 A KR 1020080133702A KR 20080133702 A KR20080133702 A KR 20080133702A KR 20100075088 A KR20100075088 A KR 201000750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as
height
plate
bias plate
moun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3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5787B1 (ko
Inventor
김영권
김건욱
Original Assignee
김영권
김건욱
이희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권, 김건욱, 이희자 filed Critical 김영권
Priority to KR1020080133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5787B1/ko
Publication of KR20100075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50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5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57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E01D19/041Elastomeric 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각과 상부구조물(상판)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구조물의 수직하중 및 충격하중을 흡수하는 탄성받침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한 쌍의 제1, 제2 바이어스판에 형성된 요/철부 간의 맞물림 위치를 가변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탄성받침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시공성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탄성받침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저면에 경사도를 갖는 요/철부가 형성되고 탄성체의 저면에 일체로 부착된 제1 바이어스판과, 상부면에 경사도를 갖는 요/철부가 형성된 제2 바이어스판의 맞물림 위치를 가변하여 조립할 수 있는 조립체의 하부 마운팅판을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탄성받침, 높이, 조절, 요/철부, 바이어스판, 경사면, 탄성체

Description

높이 조절이 가능한 탄성받침{Height-adjustable elastomeric bearing}
본 발명은 교각과 상부구조물(상판)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구조물의 수직하중 및 충격하중을 흡수하는 탄성받침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한 쌍의 제1, 제2 바이어스판에 형성된 요/철부 간의 맞물림 위치를 가변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탄성받침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시공성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탄성받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용 탄성받침은 교각과 상부구조물 사이에 설치됨으로써 상부구조물로부터 전달되는 수직 하중을 받아줌과 동시에 이동 및 회전에 의한 수평력을 정적으로 흡수하여 교량의 내진 기능을 원활하게 하고, 계절의 온도변화, 바람, 지진 등의 충격에 따른 신축작용(수축, 팽창)을 원활하게 받아주어 교량의 안전을 도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한 탄성받침은 교각에 일체로 마운팅되는 하부 마운팅판의 상면에 탄성체가 안착되고, 상기 탄성체의 상부면에는 상부구조물에 마운팅되는 상부 마운팅판이 적층됨으로써 상부구조물을 효율적으로 받쳐주며, 특히 상기 상, 하부 마운팅판의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체는 신축 변형이 발생할 때 내구성을 높이기 위한 목적으 로 다수의 보강판이 내부에 등간격으로 매설된다.
또한, 이와 같은 탄성받침은 상기 상, 하부 마운팅판의 사이에 탄성체를 일체화 성형함으로써 강진의 발생시에도 탄성체의 과도한 수평변위를 억제함은 물론 우수한 면진 성능을 발휘하며, 유효면적의 증대로 좌굴현상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교각을 시방서에 맞추어 정밀하게 시공하더라도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는 다수의 교각은 상호 간에 높이에 따른 오차가 발생하며, 이로 인해 상기 교각에 안착되는 탄성받침의 최종적인 높이는 동일한 수평면을 이룰 수 없게 된다.
즉 종래의 탄성받침은 개별적으로 높이를 조절할 수 없는 일정한 규격으로 미리 제작됨으로써 높이가 각기 다른 교각에 탄성받침을 설치하게 되면 자연적으로 탄성받침의 상부면은 동일한 수평면을 유지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교각의 높이가 낮은 경우에는 탄성받침과 상부구조물 간에 간극(공간)이 발생하며, 상기 교각의 높이가 높은 경우에는 탄성받침에 하중이 집중함으로써 안전성이 저하됨은 물론 탄성받침이 제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일부나마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낮은 높이로 시공된 교각에 탄성받침을 설치할 때에는 상기 교각의 상부면에 얇은 받침패드를 부족한 높이만큼 보충하여 깔고, 그 위에 탄성받침을 설치하는 시공방법을 채택하고 있으나, 이 경우 시공성이 저하됨은 물론 미세한 높이 조절이 어려우며, 장기간이 지나 면 받침패드가 부식하면서 안전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대두된다.
본 발명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탄성받침에서 시공상의 개선이 요구됨을 적극 고려하여 상기 탄성받침에 높이 조절기능을 부가하여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교각의 높이가 다르더라도 탄성받침의 높이 보정을 통해 최종적인 탄성받침의 상부면 높이를 수평으로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함을 발명의 해결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적극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판상의 단일체로 구성된 상부 마운팅판과 달리 저면에 경사도를 갖는 요/철부가 형성되고 탄성체의 저면에 일체로 부착된 제1 바이어스판과, 상부면에 경사도를 갖는 요/철부가 형성된 제2 바이어스판의 맞물림 위치를 가변하여 조립할 수 있는 조립체의 하부 마운팅판을 구성하는 기술을 강구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바이어스판의 전후에 형성된 앙카 고정홀의 사이를 벗어나지 않는 크기를 갖도록 제2 바이어스판을 구성하는 기술을 강구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 바이어스판의 전후면에 각각 제1 바이어스판의 전후면을 밀착 가이드하는 이탈방지턱을 형성하는 기술을 강구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탄성체의 저부에 일체로 형성된 제1 바이어스판 및 제2 바이어스 판의 마주하는 면에 각각 경사도를 갖는 요/철부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 바이어스판의 위치를 좌우로 변경하면서 요/철부의 맞물림 위치를 가변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탄성받침의 전체적인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함은 물론 상기 요/철부는 조립이 완료된 후 견고한 맞물림을 유지함으로써 교각의 상부면에 탄성받침을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2 바이어스판은 제1 바이어스판의 전후에 형성된 앙카 고정홀에 결합되는 앙카와 충돌하거나 간섭받는 현상을 완전하게 차단함으로써 탄성받침의 높이조절 및 앙카작업의 원활성을 제고하여 더욱 우수한 시공성을 확보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더욱이 상기 제2 바이어스판의 전후면에 형성된 이탈방지턱은 제1 바이어스판의 전후면을 밀착 가이드함으로써 제1, 제2 바이어스판을 정확한 위치로 간편하게 조립함은 물론 전후 방향으로 유동 없는 일체성을 유지할 수 있어 시공에 따른 안전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해결수단을 보다 구체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체적인 기술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저면에 다수의 결속홈(11)이 형성된 상부 마운팅판(10)과; 상기 상부 마운팅판(10)과 이격되고 상부면에 다수의 결속홈(21)이 형성되며, 저면에 동일선상으로 정렬된 경사면(25)을 갖는 요/철부(23)(24)가 연속적으로 형성된 제1 바이어스판(20)과; 상기 결속홈(11)(21)에 끼워지는 결속돌기(35)가 상, 하부면에 돌출 형성되고 내부에 다수의 보강판(31)이 다단으로 매설된 탄성체(30)와; 상기 요/철부(23)(24)와 대응하는 상부면에 동일선상으로 정렬된 경사면(25)을 갖는 요/철부(23)(24)가 연속적으로 형성된 제2 바이어스판(40)과; 상기 상부 마운팅판(10) 및 제1 바이어스판(20)의 사방에 형성된 앙카 고정홀(50)의 유기적인 결합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상기 개략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을 실시 용이하도록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상부 마운팅판(10)은 저면에 탄성체(30)의 결속돌기(35)가 끼워지면서 일체화된 결속력을 유지하기 위한 결속홈(1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마운팅판(10)이 단일체의 판상으로 구성됨과 달리 본 발명의 하부 마운팅판(1)은 제1, 제2 바이어스판(20)(40)의 조립구성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탄성받침의 전체적인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이를 위한 제1 바이어스판(20)은 상부 마운팅판(10)의 하측으로 이격되어 탄성체(30)의 저면에 일체로 부착되는 것으로, 상부면에는 다수의 결속홈(21)이 형성되고, 저면에는 전체적으로 일정한 경사도를 갖는 요/철부(23)(24)가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요/철부(23)(24)는 저면에 경사면(25)이 형성되고, 이 경사면(25)은 동일선상으로 정렬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 마운팅판(10)과 제1 바이어스판(20)의 사이에 일체화를 이 루도록 배치되는 탄성체(30)는 신축변형시 내구성을 효과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다수의 보강판(31)이 내부에 상·하 이격상태로 다단으로 매설되고, 압축 가류작업을 통해 탄성체(30)의 고무(32)가 상기 상부 마운팅판(10) 및 제1 바이어스판(20)에 형성된 결속홈(11)(21)에 채워지면서 일체화를 이루는 결속돌기(35)를 형성함으로써 더욱 견고한 결속력을 유지한다.
따라서, 상기 탄성체(30)는 탄성받침 본연의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하면서도 상부 마운팅판(10) 및 제1 바이어스판(20)과 일체화된 단품으로 제작됨으로써 탄성체(30)와 상부 마운팅판(10)의 사이 또는 탄성체(30)와 제1 바이어스판(20)의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거나 분리됨을 원천적으로 봉쇄하여 뛰어난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 바이어스판(20)과 조립되는 제2 바이어스판(40)은 제1 바이어스판(20)의 요/철부(23)(24)와 대응하는 상부면에 동일선상으로 정렬된 경사면(25)을 갖는 요/철부(23)(24)가 연속적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요/철부(23)(24) 간의 맞물림을 통해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바이어스판(20)의 위치를 도면상 우측 이동시킨 후 요/철부(23)(24)의 맞물림 위치를 가변하여 조립하면 탄성받침의 높이가 높아지게 된다.
즉 상기 제1 바이어스판(20)의 위치를 좌우로 변경하면서 제2 바이어스판(40)과의 맞물림 위치를 가변시키면 탄성받침의 자유로운 높이 조절이 가능함으로써 별도의 받침패드를 설치하여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없으며, 맞물림 위치의 가 변 정도에 따라 높이를 미세하고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부 마운팅판(10) 및 제1 바이어스판(20)의 사방에는 앙카볼트를 일체로 결합하기 위한 앙카 고정홀(50)이 추가로 형성됨에 따라 교각 및 상부구조물에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다.
여기에서 상기 앙카 고정홀(50)에 앙카볼트가 결합된 상태에서 원활한 높이조절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제2 바이어스판(40)이 앙카볼트에 충돌하거나 또는 간섭받지 않도록 하여야만 한다.
이를 위한 방안으로 도 5와 같이 제2 바이어스판(40)은 제1 바이어스판(20)의 전후 방향으로 형성된 앙카 고정홀(50)의 사이를 벗어나지 않는 크기(S)를 갖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앙카 고정홀(50)에 결합되는 앙카볼트와 어떠한 충돌이나 간섭현상도 발생하지 않아 좌우로의 위치 변경이 자유로워 높이 조절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은 제2 바이어스판(40)의 전후면에는 각각 제1 바이어스판(20)의 전후면을 밀착상태로 가이드하는 이탈방지턱(60)이 추가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이탈방지턱(60)는 제1 바이어스판(20)의 좌우 이동을 원활하게 가이드함은 물론 요/철부(23)(24)가 조립될 때 정위치를 유지하도록 가이드함으로써 제1, 제2 바이어스판(20)(40)이 항상 정확한 위치로 조립되며,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제1 바이어스판(20)이 전후 방향으로 이탈됨을 방지함으로써 더욱 뛰어난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제1, 제2 바이어스판(20)(40)에 형성된 요/철부(23)(24) 간의 맞물림 위치를 가변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탄성받침의 전체적인 높이를 미세하고 정밀하게 조절함으로써 시공이 매우 간편함은 물론 공기를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탄성받침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제1, 제2 바이어스판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탄성받침의 높이조절상태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탄성받침의 높이가 상승된 상태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 제1, 제2 바이어스판의 조립상태 저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하부 마운팅판 10: 상부 마운팅판
20: 제1 바이어스판 23: 요부
24: 철부 25: 경사면
30: 탄성체 40: 제2 바이어스판
50: 앙카 고정홀 60: 이탈방지턱

Claims (2)

  1. 저면에 다수의 결속홈(11)이 형성된 상부 마운팅판(10)과;
    상기 상부 마운팅판(10)과 이격되고 상부면에 다수의 결속홈(21)이 형성되며, 저면에 동일선상으로 정렬된 경사면(25)을 갖는 요/철부(23)(24)가 연속적으로 형성된 제1 바이어스판(20)과;
    상기 결속홈(11)(21)에 끼워지는 결속돌기(35)가 상, 하부면에 돌출 형성되고 내부에 다수의 보강판(31)이 다단으로 매설된 탄성체(30)와;
    상기 요/철부(23)(24)와 대응하는 상부면에 동일선상으로 정렬된 경사면(25)을 갖는 요/철부(23)(24)가 연속적으로 형성된 제2 바이어스판(40)과;
    상기 상부 마운팅판(10) 및 제1 바이어스판(20)의 사방에 형성된 앙카 고정홀(50)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제2 바이어스판(40)은 제1 바이어스판(20)의 전후 방향으로 형성된 앙카 고정홀(50)의 사이를 벗어나지 않는 크기(S)를 갖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탄성받침.
  2. 제 1항에 있어서,
    제2 바이어스판(40)의 전후면에는 각각 제1 바이어스판(20)의 전후면을 밀착상태로 가이드하는 이탈방지턱(60)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 이 가능한 탄성받침.
KR1020080133702A 2008-12-24 2008-12-24 높이 조절이 가능한 탄성받침 KR1010057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3702A KR101005787B1 (ko) 2008-12-24 2008-12-24 높이 조절이 가능한 탄성받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3702A KR101005787B1 (ko) 2008-12-24 2008-12-24 높이 조절이 가능한 탄성받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5088A true KR20100075088A (ko) 2010-07-02
KR101005787B1 KR101005787B1 (ko) 2011-01-06

Family

ID=42637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3702A KR101005787B1 (ko) 2008-12-24 2008-12-24 높이 조절이 가능한 탄성받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578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95539A (zh) * 2010-11-23 2011-06-15 北京铁科首钢轨道技术有限公司 一种自调高多向智能测力支座
CN107059604A (zh) * 2017-05-13 2017-08-18 林再颐 一种可调桥梁支座
CN107447651A (zh) * 2017-08-01 2017-12-08 中铁二院工程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无级调高球型支座
CN113356040A (zh) * 2021-07-02 2021-09-07 湖南省交通规划勘察设计院有限公司 桥梁坡度、转角可调的球型钢支座
CN114622484A (zh) * 2022-04-25 2022-06-14 中铁大桥局集团有限公司 一种多功能智能支座及使用方法
KR102433658B1 (ko) * 2021-10-06 2022-08-18 (주) 대현이엔씨 힌지형 지점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합성형 라멘교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4080B1 (ko) * 2011-05-17 2013-06-12 한승출 콘크리트 구속부를 갖는 앵커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구조물 지지장치
KR101256559B1 (ko) 2012-07-19 2013-04-19 아이컨 주식회사 프리셋팅 가능한 고무받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97555A (ja) 1986-06-16 1987-12-24 Kazuo Suzuki 免震装置
KR100450427B1 (ko) * 2001-12-31 2004-09-30 대우종합기계 주식회사 절삭가공용 공작기계
KR200358324Y1 (ko) 2004-05-19 2004-08-07 최광철 프리셋팅이 가능한 탄성받침
KR100731788B1 (ko) 2006-09-19 2007-06-28 (주) 국제이엔씨 자석 키를 가진 일체형 탄성받침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95539A (zh) * 2010-11-23 2011-06-15 北京铁科首钢轨道技术有限公司 一种自调高多向智能测力支座
CN107059604A (zh) * 2017-05-13 2017-08-18 林再颐 一种可调桥梁支座
CN107447651A (zh) * 2017-08-01 2017-12-08 中铁二院工程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无级调高球型支座
CN113356040A (zh) * 2021-07-02 2021-09-07 湖南省交通规划勘察设计院有限公司 桥梁坡度、转角可调的球型钢支座
KR102433658B1 (ko) * 2021-10-06 2022-08-18 (주) 대현이엔씨 힌지형 지점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합성형 라멘교 시공방법
CN114622484A (zh) * 2022-04-25 2022-06-14 中铁大桥局集团有限公司 一种多功能智能支座及使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5787B1 (ko) 2011-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5787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탄성받침
JP4641558B2 (ja) 特大変位に耐えられるモジュール式櫛形橋梁ジョイント装置
US8919065B2 (en) Expansion joint system using flexible moment connection and friction springs
CN101611198A (zh) 用于结构构件的盖组件
KR100757212B1 (ko) 면진 핑거 조인트
KR20090127692A (ko) 교량용 면진 신축이음장치
GB1566683A (en) Large motion expansion joint
JP6594761B2 (ja) まくらぎ高さ調整型防振装置
KR100986811B1 (ko) 부유궤도의 방진장치
KR100768521B1 (ko) 교량 신축이음장치
JP2008014057A (ja) 水平支承装置
KR20140103464A (ko) 수평강성이 보강된 마찰형 교좌장치
US20070164492A1 (en) Vibration mounting
CN110552287B (zh) 桥梁用柔性伸缩机构和桥梁伸缩装置
KR100939183B1 (ko) 지진시 수평강성을 갖는 개선된 일체형 탄성받침
KR102302349B1 (ko) 부반력키 내장형 스페리컬 받침
KR101192503B1 (ko) 레일간 등간격 조절 및 제진 기능을 갖는 신축이음장치
KR200386976Y1 (ko) 교량의 부반력 저항 탄성받침
KR100950257B1 (ko) 수평방향 및 회전방향의 복합 거동을 수용할 수 있는 복합 탄성 받침
JP7050553B2 (ja) 構造物用支承装置
KR100948681B1 (ko) 오목 볼록 결합구조를 이용하여 복합 거동을 수용할 수 있는 복합 탄성 받침
KR20070016367A (ko) 수평조절이 가능한 교좌장치
KR20210012699A (ko) 교량받침 및 이를 이용하는 보수공법
KR100501429B1 (ko) 포트베어링
KR200418599Y1 (ko) 시공이 편리한 일체형 내진탄성받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