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4968A - 멀티레이어 동영상 강의 콘텐츠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멀티레이어 동영상 강의 콘텐츠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4968A
KR20100074968A KR1020080133538A KR20080133538A KR20100074968A KR 20100074968 A KR20100074968 A KR 20100074968A KR 1020080133538 A KR1020080133538 A KR 1020080133538A KR 20080133538 A KR20080133538 A KR 20080133538A KR 20100074968 A KR20100074968 A KR 201000749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video
idea
condition information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3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원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치온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치온라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치온라인
Priority to KR1020080133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74968A/ko
Publication of KR20100074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49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rketing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영상 강의 콘텐츠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어지는 문제에 포함된 조건 정보, 질의 정보, 문제 해결을 위한 발상 요소 정보 및 풀이법을 하나의 동영상 화면에서 각 정보가 특정된 위치 및 시간정보를 가지면서 다이어그램과 함께 시계열적으로 제공하는 동영상 강의 콘텐츠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실시하면, 강사의 문제 풀이 과정을 체계적으로 분해하여, 강사의 강의와는 유기적으로 연결된 독립된 여러 개의 레이어에 문제 해결을 위한 각종 요소를 다이나믹하게 제공하여 강사가 문제해결을 위해 전개하는 사고의 흐름 자체를 실시간, 직관적, 설계도화하여 보여주는 실감형 동영상 강의를 제공할 수 있다.
동영상, 강의, 레이어, 발상법, 발상 요소, 발상 실행, 조건 정보, 요소 분해

Description

멀티레이어 동영상 강의 콘텐츠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Multi-layer Learning Contents Providing Method and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e러닝 또는 온라인/오프라인 동영상 콘텐츠를 제공하는 기술 분야에 속한다. 본 발명은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으로 문제 풀이 동영상 강의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어지는 문제에 포함된 조건 정보, 질의 정보, 문제 해결을 위한 발상 요소 정보 및 풀이법을 하나의 동영상 화면에서 각 정보가 특정된 위치 및 시간정보를 가지면서 다이어그램과 함께 시계열적으로 제공하는 동영상 강의 콘텐츠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대역폭의 증가로 www.megastudy.net 등과 같은 고용량의 동영상 강의 콘텐츠에 대한 서비스가 증가하고 있다. 동영상 강의 콘텐츠에는 문제 풀이를 중심으로 하는 것과 문제 풀이와는 독립적이거나, 문제 풀이를 중심으로 하지 않는 것들이 있다. 본 발명은 문제 풀이를 중심으로 하는 동영상 강의 콘텐츠에 관한 것이 다.
기존의 문제 풀이를 중심으로 하는 동영상 강의 콘텐츠는 강사의 문제 풀이 과정을 단순히 녹화하여 재생하여 주는 콘텐츠여서 학습자들이 지루해하거나 집중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투입된 시간이나 노력에 비하여 문제 풀이 능력의 향상 속도가 느린 학습자의 상당 부분은 주어진 문제에서 문제 해결을 위한 힌트를 찾아 내지 못하거나, 문제에서 주어진 조건과 문제 해결 과정을 연결시키는 능력이 부족한 경우가 많다. 즉, 주어진 문제를 분해하고, 힌트나 조건을 찾아 내고, 찾아낸 힌트나 조건을 문제의 질의 내용과 링크시켜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를 발상해 내는 발상 능력이 부족한 경우, 문제 해결 능력이 떨어지게 된다. 이러한 발상 능력을 길러주기 위한 기존의 학습 방법은 비슷비슷한 문제를 많이 풀게 하여 학생들이 스스로 문제 해결 능력을 기르게 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반복을 통해서 문제 해결의 패턴이나 생각하는 방법을 스스로 찾아내게 하는 것이 목적이지만, 1) 학생들에게 과도한 학습량을 요구한다는 점, 2) 학생들을 따분하고 지루하게 한다는 점, 3) 반복 과정에서도 패턴을 찾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는 등과 같은 문제가 있다. 특히, 문제 해결 과정을 통한 창의력 고양은 전혀 기대할 수 없게 된다. 그리고, 문제 풀이를 위한 체계적이면서도 공통되거나 통일되는 방법론과 절차가 없어, 문제마다 제각각인 풀이 방법을 제공하였기 때문에, 학생들의 머리 속에 체계적이면서도, 절차적이면서도 공통되거나 통일된 문제 풀이 메커니즘이 형성되게 할 수 없었다.
나아가, 하나의 문제가 주어질 때,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주어진 문제에서 문제 해결에 필요한 요소를 추출하는 능력을 길러주지 못했으며, 나아가 문제 해결을 위한 체계적인 발상 메카니즘을 제공해 주지 못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강사의 문제 풀이 과정을 촬영하여 단순히 동영상의 형식으로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강사의 문제 풀이 과정을 체계적으로 분해하여, 강사의 강의와는 유기적으로 연결된 독립된 여러 개의 레이어에 문제 해결을 위한 각종 요소를 다이나믹하게 제공하여 강사가 문제해결을 위해 전개하는 사고의 흐름 자체를 실시간, 직관적, 설계도화하여 보여주는 실감형 동영상 강의를 제공하는 동영상 강의 콘텐츠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시하는 것이다.
둘째, 문제 해결을 위한 조건 정보 콘텐츠, 질의 요소 컨텐츠, 발상 요소 콘텐츠 및 풀이법(발상의 실행) 콘텐츠를 시계열적으로 강사의 강의에 연동하여 제공하고, 이들 콘텐츠 상에 시각적인 다이어그램을 부가하는 동영상 강의 콘텐츠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동영상 강의 콘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a)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제를 포함하는 문제 콘텐츠가 동영상 강의 화면의 기설정된 문제 콘텐츠 제공 영역에 제공되는 단계; (b) 상기 문제에 내재하거나 주어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건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조건 정보 콘텐츠가 상기 동영상 강의 화면의 기설정된 조건 정보 콘텐츠 제공 영역에 제 공되는 단계;
(c)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상 요소가 포함되어 있는 발상 요소 콘텐츠에 대응되는 발상 요소 정보가 상기 동영상 강의 화면의 기설정된 발상 요소 콘텐츠 제공 영역에 제공되는 단계; (d) 상기 발상 요소 콘텐츠에 포함된 발상 요소와 상기 조건 정보 콘텐츠에 포함된 조건 정보를 활용하여 상기 문제에 대한 적어도 1단계 이상의 풀이로 구성되는 풀이법 콘텐츠가 제공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강의 콘텐츠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a) 단계가 실행된 이후에, (e) 상기 문제의 해결 과제로서 질의 요소 콘텐츠가 상기 동영상 강의 화면에 제공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문제 콘텐츠, 상기 조건 정보 콘텐츠, 상기 발상 요소 콘텐츠 및 상기 풀이법 콘텐츠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상기 동영상 강의를 진행하는 강사가 표시되는 레이어와 독립적인 레이어로 제공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a) 단계 내지 상기 (e) 단계 중 어느 하나의 단계 이상에서 상기 문제 콘텐츠, 상기 조건 정보 콘텐츠, 상기 발상 요소 콘텐츠 및 상기 풀이법 콘텐츠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콘텐츠 상에 시각적으로 표현되는 다이어그램을 포함하는 다이어그램 콘텐츠가 제공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이어그램은 기설정된 필기 입력 도구로 드로잉 된 다이어그램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이어그램 콘텐츠는 상기 동영상 강의를 진행하는 강사가 표시되는 레 이어와 독립적인 레이어로 제공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이어그램 콘텐츠는 상기 문제 콘텐츠, 상기 조건 정보 콘텐츠, 상기 발상 요소 콘텐츠 및 상기 풀이법 콘텐츠 중 어느 2개 이상에 걸쳐서 표시되는 다이어그램을 포함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이어그램 콘텐츠를 구성하는 다이어그램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모양이 변화하는 동적인 다이어그램인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문제 콘텐츠 제공 영역과 상기 조건 정보 콘텐츠 제공 영역과 상기 질의 요소 콘텐츠 제공 영역과 상기 발상 요소 콘텐츠 제공 영역 별개의 독립적인 영역에 배치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동영상 강의를 진행하는 강사가 표시되는 강사 표시 영역은 상기 동영상 강의 화면에서 시간의 경과에 따라 기설정된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강사 표시 영역은 상기 문제 콘텐츠 제공 영역, 상기 질의 요소 콘텐츠 제공 영역, 상기 조건 정보 콘텐츠 제공 영역, 및 상기 발상 요소 콘텐츠 제공 영역 중 어느 하나 이상과는 시각적으로 겹쳐지지 않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문제 콘텐츠가 제공되는 레이어, 상기 조건 정보 콘텐츠가 제공되는 레이어, 상기 질의 요소 콘텐츠가 제공되는 레이어,상기 발상 요소 콘텐츠가 제공되는 레이어 및 상기 풀이법 콘텐츠가 제공되는 레이어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상기 동영상 강의를 진행하는 강사가 표시되는 레이어보다 시각적으로 상위에 표시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이어그램 콘텐츠가 제공되는 레이어는 상기 문제 콘텐츠가 제공되는 레이어, 상기 조건 정보 콘텐츠가 제공되는 레이어, 상기 발상 요소 콘텐츠가 제공되는 레이어, 상기 풀이법 콘텐츠가 제공되는 레이어보다 시각적으로 상위에 표시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상 요소 콘텐츠를 구성하는 발상 요소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발상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2개 이상의 발상 요소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순차적으로 제공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강의는 수학 문제 및 과학 문제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제에 대하여 동영상 강의를 진행하는 강사의 강의 동영상 파일이 포함되는 강사 동영상 파일 데이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제를 포함하는 문제 콘텐츠가 포함되는 문제 콘텐츠 데이터; 문제에 내재하거나 주어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건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조건 정보 콘텐츠가 포함되는 조건 정보 콘텐츠 데이터; 문제에 내재하거나 주어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질의 요소가 포함되어 있는 질의 요소 콘텐츠 데이터,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상 요소가 포함되어 있는 발상 요소 콘텐츠가 포함되는 발상 요소 콘텐츠 데이터; 상기 발상 요소 콘텐츠에 포함된 발상 요소와 상기 조건 정보 콘텐츠에 포함된 조건 정보를 활용하여 상기 문제에 대한 적어도 1단계 이상의 풀이로 구성되는 풀이법 콘텐츠가 포함 되는 풀이법 콘텐츠 데이터; 상기 강사 동영상 파일에 대응되어 시간의 경과에 따라 상기 문제 콘텐츠, 상기 문제 콘텐츠에 대응되는 상기 조건 정보 콘텐츠, 상기 문제 콘텐츠에 대응되는 상기 질의 요소 콘텐츠,상기 문제 콘텐츠에 대응되는 상기 발상 요소 콘텐츠, 상기 문제 콘텐츠에 대응되는 상기 풀이법 콘텐츠가 나타나야 될 위치와 나타나야 될 시간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 데이터; 상기 제어 정보 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강사 동영상 파일에 대응되어 시간의 경과에 따라 상기 동영상 파일의 기설정된 위치에 표시되어야 할 상기 문제 콘텐츠, 상기 문제 콘텐츠에 대응되는 상기 조건 정보 콘텐츠, 상기 문제 콘텐츠에 대응되는 상기 질의 요소 콘텐츠, 상기 문제 콘텐츠에 대응되는 상기 발상 요소 콘텐츠, 상기 문제 콘텐츠에 대응되는 상기 풀이법 콘텐츠가 배치되게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강의 콘텐츠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문제 콘텐츠, 상기 조건 정보 콘텐츠, 상기 질의 요소 콘텐츠, 상기 발상 요소 콘텐츠 및 상기 풀이법 콘텐츠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콘텐츠 상에 시각적으로 표현되는 하나 이상의 다이어그램을 포함하는 다이어그램 콘텐츠를 포함하는 다이어그램 콘텐츠 데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이어그램이 상기 문제 콘텐츠가 제공되는 레이어, 상기 조건 정보 콘텐츠가 제공되는 레이어, 상기 질의 요소 콘텐츠가 제공되는 레이어, 상기 발상 요소 콘텐츠가 제공되는 레이어 및 상기 풀이법 콘텐츠가 제공되는 레이어 중 어느 하나 이상에서, 기설정된 시간대에서 표시되게 제어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이어그램 콘텐츠는 2개 이상이며, 상기 2개 이상의 다이어그램 콘텐츠는 별개의 레이어에 표시되며, 상기 별개의 레이어마다에는 상기 레이어가 나타나야할 시간대 정보가 대응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레이어가 나타나야 할 시간대에 상기 레이어를 나타나게 제어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강사의 강의 동영상 파일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부분 동영상부가 포함되어 하나의 전체 동영상 파일을 구성하는 것이며, 상기 부분 동영상부는 1개의 문제에 대응되며, 상기 제어 정보 데이터에 포함되는 제어 정보는 상기 1개의 문제를 기준으로 한 것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1개의 문제를 기준으로 상기 문제 콘텐츠, 상기 문제 콘텐츠에 대응되는 상기 조건 정보 콘텐츠, 상기 문제 콘텐츠에 대응되는 상기 질의 요소 콘텐츠, 상기 문제 콘텐츠에 대응되는 상기 발상 요소 콘텐츠, 상기 문제 콘텐츠에 대응되는 상기 풀이법 콘텐츠가 배치되게 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을 실시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주어진 문제를 분해하고, 힌트나 조건을 찾아 내고, 찾아낸 힌트나 조건을 문제의 질의 내용과 링크시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길러 줄 수 있다.
둘째, 문제 풀이를 위한 체계적이면서도 공통되거나 통일되는 방법론과 절차를 제공하여 학생들의 머리 속에 체계적이면서도, 절차적이면서도 공통되거나 통일 된 문제 풀이 메커니즘이 형성되도록 도울 수 있다.
셋째, 하나의 문제가 주어질 때,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주어진 문제에서 문제 해결에 필요한 요소를 추출하는 능력을 길러주어 문제 해결을 위한 체계적인 발상 메카니즘이 훈련 될 수 있도록 한다.
넷째, 강사의 문제 풀이 과정을 체계적으로 분해하여, 강사의 강의와는 유기적으로 연결된 독립된 여러 개의 레이어에 문제 해결을 위한 각종 요소를 다이나믹하게 제공하여 강사가 문제해결을 위해 전개하는 사고의 흐름 자체를 실시간, 직관적, 설계도화하여 보여주는 실감형 동영상 강의를 제공할 수 있다.
다섯째, 다이어그램 콘텐츠를 도입하여 주어진 문제에서 추출한 조건 정보들과 발상 요소 정보들이 문제 해결의 어느 단계에서 어떻게 활용되는지에 대한 연결/활용을 다이나믹하게 시각적으로 제공되어, 문제에 대한 조직적 해결 능력을 길러줄 수 있게 된다.
여섯째, 다이나믹한 콘텐츠가 시계열적으로 제공되어 문제 풀이 동영상 강의 시 학습자가 느끼는 지루함을 극복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동영상 강의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은 2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첫번째 형태는 사용자 단말기(10) 상에서 설치형 프로그램으로 설치되고 실행되는 형태이다. 즉, 사용자 단말기(10)에는 사용자 단말기측 동영상 강의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이 설치되고, 동영상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30)로부터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입수한(파일 다운로드, 프로그레시브 다운로드 방식 등) 동영상 파일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측 동영상 강의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이 재생하면서, 본 발명 사상을 실시하는 형태이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기측 동영상 강의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은 전용으로 동영상을 재생하는 동영상 플레이어 모듈(110)을 탑재하거나, 범용 동영상 재생 플레이어 모듈을 호출하여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을 탑재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1은 이러한 형태에 관한 일실시예적 도면이다. 도1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10)에는 사용자 단말기측 동영상 강의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이 제공되고, 상기 동영상 강의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은 상기 동영상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30) 또는 기타의 동영상 강의 콘텐츠를 제공해 주는 서버나 제3자의 컴퓨터로부터 입수하는 동영상 파일을 동영상 DB에 저장하고 있다.
두번째 형태는 서버측 동영상 강의 콘텐츠 제공 시스템(300)이 기설정된 서버에 탑재되고, 사용자 단말기(10)가 상기 서버에 접속하여 동영상 정보를 스트리밍 등과 같은 방식 등으로 전송 받으면서 본 발명 사상을 실시하는 형태이다. 도 2는 이러한 형태에 대한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도 2에 포함된 서버측 동영상 강의 콘텐츠 제공 시스템(300)은 사용자 단말기(10)에 동영상을 스트리밍하거나 다운로딩할 수 있으며, 자체에 다수의 동영상 파일을 저장하고 있는 동영상 파일 DB(320)를 가지고 있다. 한편, 도1에서는 표시를 생략했지만 상기 동영상 강의 콘텐츠 제공 서버에는 동영상 강의 콘텐츠 제작 모듈(500)과 콘텐츠 DB(140)이 더 포함되어 있 을 수 있다. 상기 동영상 강의 콘텐츠 제작 모듈(500)은 상기 콘텐츠 DB(140)에 포함된 문제 콘텐츠 데이터(141), 조건 정보 콘텐츠 데이터(142), 질의 요소 콘텐츠 데이터(143), 발상 요소 콘텐츠 데이터(144), 풀이법 콘텐츠 데이터(145), 다이어그램 콘텐츠(660) 데이터(146)로 본 발명의 동영상 강의 콘텐츠를 생성해 낸다.
첫번째 형태를 중심으로 설명하면, 첫번째 형태의 설명과 중복되는 것은 두번째 형태에서는 설명을 생략하나, 생략된 설명은 중복된 것이므로 설명의 편의상 생략함을 분명히 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측 동영상 강의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체 강의 파일이 존재하며, 상기 서버측 동영상 강의 콘텐츠 제공 시스템(3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체 강의 파일을 제공한다. 상기 전체 강의 파일에는 동영상의 형태로 사용자에게 제공되어야 할 전체 학습 콘텐츠가 포함되어 있다. 상기 전체 학습 콘텐츠는 강사의 강의 내용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독창적인 각종 콘텐츠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 사상의 본 발명의 발명자의 문제 해결 방법론을 구현한 것이다. 대부분의 학습자들은 다음과 같은 문제를 안고 있다.
첫째는 문제에서 힌트나 조건, 그리고 질의 요소(해결 과제, 문제에서 구하라는 것)을 찾는 능력의 부족이다. 즉, 문제에 대한 요소 분해의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문제에서 어떤 것들이 문제 풀이에 활용될 수 있는 조건이 되며, 무엇을 구해야 하는지에 대한 인식의 강도가 약하게 된다. 그러므로, 후술하는 본 발명의 다이어그램 중의 하나는 주어지는 문제 콘텐츠에 대해서 문제를 분해하는 다이어그램 을 예시하고 있다. 도3과 도4를 비교해 보면 도 4에서는 문제 콘텐츠에서 조건 2개를 분해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한편, 도 4와 도 5에서는 문제에서 주어진 조건 정보를 요약하는 것을 보여 주고 있다. 문제 해결 능력이 떨어지는 학습자들은 문제를 하나의 덩어리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러한 분해와 요약은 학습자들에게 문제를 하나의 덩어리가 아니라, 개별적인 요소로 분해해서 접근하도록 하는 훈련을 시켜 주는 효과가 있다. 그러므로, 상기 첫째 문제의 해결은 본 발명의 조건 정보 콘텐츠와 다이어그램을 통해서 해결할 수 있다.
둘째는 힌트나 조건 정보로 문제를 해결하는 방향을 잡는 발상을 해 내는 능력의 부족이다. 특히, 수학 문제의 경우에는 본 발명의 발상법에서는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필요한 미지수 개수를 확정하는 것이 콘텐츠의 내용으로 포함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구하라는 것(문제 해결 과제)에서 문제 해결 과제의 해결을 위한 미지수의 개수가 2개라는 것을 확정한 다음, 식의 개수가 1개라는 것을 확정하고(미지수의 개수가 식의 개수와 같을 때는 조건 식을 정리하면 연립 방정식 구조가 되나, 미지수의 개수가 많을 경우에는 특정 미지수에 대한 항등식의 구조가 되므로, 답의 집합의 원소가 무한대인 해집합이 나오게 된다.) 한 개의 문자에 대해서 정리해서 풀리는 문제 구조라는 것을 설명하는 방식으로 발상법 또는 발상 요소가 정리된다. 이는 도 8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17에서는 연립 방정식의 해의 개수의 문제를 각 연립 방정식을 그래프로 나타내고, 그 그래프의 교점의 개수 문제로 재해석하는 발상 요소 콘텐츠를 도입하고 있다. 즉, 상기 발상 요소 콘텐츠는 문제마다가 아닌, 여러 문제의 해결에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문제 해결 요소(미지수 개수 vs 조건 개수 등과 같은 문제 구조적 해결 방법, 문제의 재해석이나, 동치 명제나 동치 개념으로의 주어진 문제 해결 과제의 변환/치환 등)를 제공한다. 아울러,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발상 콘텐츠에는 특정한 다이어그램을 통하여 문제 콘텐츠나 조건 정보 콘텐츠의 어떤 정보가 어떻게 활용되는 지에 대한 내용도 포함된다. 상기 발상 콘텐츠는 상기 조건 정보 콘텐츠보다 시간적으로 뒤에 나오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발상 콘텐츠를 구성하는 내용은 주어진 조건 정보 콘텐츠의 한계 내에서 주어진 조건을 활용하는 것이어야 하기 때문이다.
셋째는 문제 풀이에서 주어진 조건을 어디서 어떻게 활용하는지에 대한 적용 능력의 부족이다. 즉, 문제의 풀이는 다단계로 진행이 되는데, 각 풀이 단계에서 어느 조건이 어떻게 활용되는지에 대한 풀이 단계와 조건(힌트 등)의 맵핑(mapping) 능력이 부족하면, 이 문제를 풀기 위해서 왜 이러한 조건이 문제에 포함되어야 하는지, 특정 조건이 언제 어느 때 어느 단계의 풀이에 활용되는지, 첫단계의 풀이를 어떻게 시작해야 하는지와 그 다음 단계에는 어떤 조건을 어떻게 활용해야 하는지와 조건으로부터 최종 문제 해결까지의 로드맵(roadmap)을 구상해 내고 실행해 내는 능력이 부족하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문제 풀이 콘텐츠의 각 단계에서 상기 조건 정보 콘텐츠, 발상 요소 콘텐츠의 어느 요소/정보/힌트가 어디에서 어떻게 활용/사용되는지에 대해서 다이어그램으로 표시해 놓고 있다. 도 11내지 도 14에서는 이러한 맵핑의 예시를 잘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다이어그램은 상기 맵핑이 시각적으로 드러나기 때문에, 사용자의 상기 맵핑 능력을 극대화 하는데 크게 도움이 된다.
본 발명 사상이 시행되는 상기 전체 강의 파일에는 하나의 문제에 대하여 동영상 강의를 진행하는 강사의 강의 동영상 파일 및 각종 콘텐츠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상기 전체 강의 파일에는 강사 동영상 파일 데이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제를 포함하는 문제 콘텐츠가 포함되는 문제 콘텐츠 데이터; 문제에 내재하거나 주어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건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조건 정보 콘텐츠가 포함되는 조건 정보 콘텐츠 데이터; 문제에 내재하거나 주어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질의 요소가 포함되어 있는 질의 요소 콘텐츠가 포함되는 질의 요소 콘텐츠 데이터;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상 요소가 포함되어 있는 발상 요소 콘텐츠가 포함되는 발상 요소 콘텐츠 데이터; 상기 발상 요소 콘텐츠에 포함된 발상 요소와 상기 조건 정보 콘텐츠에 포함된 조건 정보를 활용하여 상기 문제에 대한 적어도 1단계 이상의 풀이로 구성되는 풀이법 콘텐츠가 포함되는 풀이법 콘텐츠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 상기 각 데이터는 하나의 전체 동영상 파일에서 각각 독립된 레이어에 나타나게 될 수도 있지만, 전체 동영상의 인코딩 시 전체적으로 통합된 하나의 동영상 파일로 존재할 수 있다. 전체적으로 통합되어 인코딩 되더라도 상기 사용자에게 나타날 때에는 특정 시간대에 특정 위치에 특정 콘텐츠가 동영상으로 제공되게 된다. 즉, 이 경우,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하나의 전체 동영상 파일에 각 문제 콘텐츠, 조건 정보 콘텐츠, 발상 요소 콘텐츠, 풀이법 콘텐츠가 구분되어 질 수 있고, 각 콘텐츠는 상기 전체 동영상 파일에 기설정된 형식의 데이터로 존재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전체 동영상 파일이 재생될 때, 상기 사 용자에게는 각 콘텐츠가 기설정된 영역에서 기설정된 시간 동안 시청각되게 된다.
한편, 상기 전체 동영상 강의 파일 또는 상기 전체 강의 파일을 제작하는 시스템은 상기 전체 동영상 강의 파일의 제작을 위한 제어 정보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각종 콘텐츠가 어떤 시점과 시점 사이에 어떤 위치에서 제시되어야 하며, 어떤 콘텐츠가 다이어그램이 함께 나올 때의 배치 및 표시 상의 상위/하위 우선 순위가 중요하므로, 상기 제어 정보 데이터는 본 발명의 핵심 내용이 된다. 하기 표 1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제어 정보 데이터는 구체적으로 상기 강사 동영상 파일에 대응되어 시간의 경과에 따라 상기 문제 콘텐츠, 상기 문제 콘텐츠에 대응되는 상기 조건 정보 콘텐츠, 상기 문제 콘텐츠에 대응되는 상기 발상 요소 콘텐츠, 상기 문제 콘텐츠에 대응되는 상기 풀이법 콘텐츠가 나타나야 될 위치와 나타나야 될 시간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제어 정보 데이터를 활용하여 실제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본 발명의 제어부(130)는 상기 제어 정보 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강사 동영상 파일에 대응되어 시간의 경과에 따라 특정한 시간대에서 상기 동영상 파일의 기설정된 위치(상위/하위를 포함한다.)에 표시되어야 할 상기 문제 콘텐츠, 상기 문제 콘텐츠에 대응되는 상기 조건 정보 콘텐츠, 상기 문제 콘텐츠에 대응되는 상기 질의 요소 콘텐츠, 상기 문제 콘텐츠에 대응되는 상기 발상 요소 콘텐츠, 상기 문제 콘텐츠에 대응되는 상기 풀이법 콘텐츠가 나타나고, 배치되게 제어한다. 예를 들면, 문제 ID 1에서 화면의 우측 상단 기설정 영역에 기설정된 크기로, 00:00초부터 00:14초(실제는 초보다 훨씬 더 섬세한 단위로 조절되나, 기술의 편의상 초로 한다.)사이에는 도3의 상기 문제 콘텐츠가 나오게 하고, 00:14초부터 01:36초까지에는 도 4 내지 도6의 상기 조건 정보 콘텐츠가 우측 상단의 기설정된 영역에 기설정된 크기로 나타나게 하는 제어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 상기 동영상 강의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이 내장하는 또는 이용하는 플레이어는 각 레이어에 대한 제어 정보를 입수하여, 제어 정보의 내용대로 각 화면의 각 레이어를 제어한다. 하기 표는 상기 제어 정보가 표현되는 일실시예적 구성을 나타낸다. 본 문단에서의 상기 제어부(130)은 상기 각 레이어가 독립적으로 상기 동영상 학습 콘텐츠 시스템으로 제공되고, 상기 제어부(130)의 제어에 의해서 제어되면서 화면 표시 장치에 나타날 수도 있다는 것이다. 한편, 사용자 단말기에 1개의 전체 동영상 파일로 인코딩된 동영상이 제공되는 경우, 상기 인코딩된 동영상을 제작하는 것은 동영상 학습 콘텐츠 제작 시스템(500)이 담당한다. 이 경우 상기 동영상 학습 콘텐츠 제작 시스템(500)이 동영상을 제작할 때는 상기 도 20 내지 도 2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문단에서 설명하는 상기 제어부(130)가 수행하는 모든 역할이 상기 동영상 학습 콘텐츠 제작 시스템(500)의 운영자에 의해 셋팅될 수 있다. 상기 동영상 학습 콘텐츠 제작 시스템(500)의 운영자는 도 20 내지 도 2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수의 개별 레이어(510)을 구별 짓고, 각 레이어가 어디서부터 어디까지가 할당되는 지에 대한 구간 정보(520)가 맵핑되게 설정한다. 도 21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동영상 학습 콘텐츠 제작 시스템(500)에는 상기 사용자에게 제시될 동영상 화면부(550)을 보면서, 각 레이어의 이미지, 음향 등에 대한 정보부(530)와 각 레이어를 구성하는 각종 디지털 요소에 대한 제어 정보부(540) 및 음향, 칼라 등의 각종 조절부(560)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각종 셋팅이 되는 경우, 그 셋팅 값에 의해 전제 동영상 파일이 인코딩 되어 생성될 수 있다. 이때,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동영상 학습 콘텐츠 제작 시스템(500)은 상기 콘텐츠 DB(140)에 있는 각종 콘텐츠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 사상을 실시하는 구성의 일례로 도 2의 상기 동영상 강의 콘텐츠 제공 시스템(300)에 상기 본 문단의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130)가 존재하고,상기 콘텐츠 DB(140)의 데이터를 입수하고, 상기 동영상 학습 콘텐츠 제작 시스템(500)의 기능을 호출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될 수 있는 동영상 강의 콘텐츠를 제작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 사상은 핵심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본 발명만의 콘텐츠가 본 발명만의 방식으로 제공되는 것에 있으며, 상기 사용자에게 제시되는 동영상은 다양한 루트와 각 시스템의 역할 분담에 의해 다양한 방식으로 제작되고 제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할 것이다.
문제ID LayerID layer속성 재생 위치값
(시:분:초)
정지위치값 layer 이름 콘텐츠 종류

111
L_111 강사 강의 00:00:00 00:05:24 지수로그강의 강사강의 콘텐츠

111
Q_111 문제콘텐츠 00:00:15 00:02:05 문제칠판 문제콘텐츠

111
C_111 조건요소콘텐츠 00:00:37 00:05:24 주어진것칠판 조건정보콘텐츠

111
P_111 질의요소콘텐츠 00:00:58 00:05:24 구하라는것칠판 질의요소콘텐츠

111
S_111 발상법콘텐츠 00:02:09 00:05:24 발상법칠판 발상요소콘텐츠

111
D_111 발상실행콘텐츠 00:03:42 00:05:24 발상실행 풀이법콘텐츠

111
G_111 다이어그램콘텐츠 00:03:51 00:05:10 다이어그램 다이어그램콘텐츠
도 22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상기 동영상 강의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이 사용자의 화면 표시 장치(200)에 제공하는 동영상 강의 콘텐츠 제공은 다음과 같은 4단계를 포함하는 순서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4 단계는 (a)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제를 포함하는 문제 콘텐츠가 동영상 강의 화면의 기설정된 문제 콘텐츠 제공 영역(610)에 제공되는 단계(S11); (b) 상기 문제에 내재하거나 주어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건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조건 정보 콘텐츠가 상기 동영상 강의 화면의 기설정된 조건 정보 콘텐츠 제공 영역(620)에 제공되는 단계(S12); (c)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상 요소가 포함되어 있는 발상 요소 콘텐츠에 대응되는 발상 요소 정보가 상기 동영상 강의 화면의 기설정된 발상 요소 콘텐츠 제공 영역(640)에 제공되는 단계(S13); (d) 상기 발상 요소 콘텐츠에 포함된 발상 요소와 상기 조건 정보 콘텐츠에 포함된 조건 정보를 활용하여 상기 문제에 대한 적어도 1단계 이상의 풀이로 구성되는 풀이법 콘텐츠가 기설정된 풀이법 콘텐츠 제공 영역(650)에 제공되는 단계(S14);를 말한다.
도 23에서와 같이 상기 (a) 단계가 실행된 이후에, 선택적으로 (e) 상기 문제의 해결 과제로서 질의 요소 콘텐츠가 상기 동영상 강의 화면 상의 기설정된 질의 요소 콘텐츠 제공 영역(630)에 제공되는 단계(S11-1);를 더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문제의 해결 과제(질의 요소, 질의하는 바, 문제에서 구하라고 하는 바, 풀거나 구해야 할 답)는 문제에 포함되어 있지만, 다시한번 더 강조하여 표시하는 것이 사용자의 주의를 집중시키고, 풀어야 할 문제의 핵심에서 사용자의 관심이 분산되는 것을 막는 효과가 있다.
이어, 레이어의 구성과 제어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문제 콘텐츠, 상기 조건 정보 콘텐츠, 상기 발상 요소 콘텐츠 및 상기 풀이법 콘텐츠는 상기 동영상의 제작 시 및/또는 상기 동영상이 상기 사용자의 화면 표시 장치(200)에 제공될 때 각기 독립적인 레이어로 존재하고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각 콘텐츠와 강사가 표시되는 동영상은 개념적으로 및/또는 논리적으로 구분되어 각각이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독립적 제어가 되어야 되어야, 각 콘텐츠에 대한 수정과 업그레이드가 더욱 더 자유로울 수 있고, 일부분의 변경 때문에 전체 동영상 파일을 모두 변경해야 하는 수고를 덜 수 있다. 물론, 모든 콘텐츠와 강사의 강의가 하나의 레이어에 나타나게 하거나, 레이어 개념 없이 전체 콘텐츠가 하나의 촬영된 영상으로 되는 것도 허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어, 본 발명의 다이어그램 콘텐츠(660)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a) 단계 내지 상기 (e) 단계 중 어느 하나의 단계 이상에서 상기 문제 콘텐츠, 상기 조건 정보 콘텐츠, 상기 질의 요소 콘텐츠, 상기 발상 요소 콘텐츠 및 상기 풀이법 콘텐츠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콘텐츠 상에 시각적으로 표현되는 다이어그램을 포함하는 다이어그램 콘텐츠(660)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이어그램 콘텐츠(660)는 주로 상기 맵핑 능력의 향상과 관계하여, 2개 이상의 다른 콘텐츠에 걸쳐서 표현되는 것들은 주로 맵핑 목적 다이어그램인데, 이러한 다이어그램은 맵핑 능력 향상과 관계되어 있다. 한편, 상기 도 4에서와 같이 문제에서 조건과 해결 과제를 구분/분해하는 다이어그램도 중요한데, 이러한 구분 목적 다이어그램은 큰 덩어리의 문제를 다수 개의 요소로 구분/분해하는 능력을 길러 준다.
상기 다이어그램은 기설정된 필기 입력 도구로 드로잉 된 다이어그램인 것인 좋으며, 화살표 모양 등과 같이 마치 사람이 손으로 그리는 것처럼 시간의 흐름에 따라 모양이 변화하는 동적인 다이어그램인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문제 콘텐츠 제공 영역(610)과 상기 조건 정보 콘텐츠 제공 영역(620)과 상기 발상 요소 콘텐츠 제공 영역(640), 풀이법 콘텐츠 제공 영역(650)의 배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각 콘텐츠가 제공되는 영역은 상기 동영상의 제작 시 및/또는 상기 동영상이 상기 사용자의 화면 표시 장치(200)에 제공될 때 서로 겹쳐지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도 7 등에서와 같이 특정 시간대에서 문제 콘텐츠 제공 영역(610)의 제공이 불필요하다면, 보이지 않게 할 필요가 있다. 이는 문제분석이 완료된 이후에는 조건정보 콘텐츠, 질의요소 콘텐츠만으로 풀이가 이루어지므로 향후 과정에서 불필요한 문제콘텐츠는 퇴장하는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동영상 강의를 진행하는 강사가 표시되는 강사 표시 영역은 상기 동영상 강의 화면에서 시간의 경과에 따라 기설정된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되어야만, 다른 콘텐츠 제공 영역이 특정 위치를 고수할 수 있게 되어 학습자의 혼란을 막아 주고 학습 내용에 대한 공간적인 기억을 촉진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강사 표시 영역은 상기 문제 콘텐츠 제공 영역(610), 상기 질의 요소 콘텐츠 제공 영역(630), 상기 조건 정보 콘텐츠 제공 영역(620), 및 상기 발상 요소 콘텐츠 제공 영역(640) 중 어느 하나 이상과는 시각적으로 겹쳐지지 않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문제 콘텐츠 제공 영역(610)과 상기 조건 정보 콘텐츠 제공 영역(620)과 상기 질의 요소 콘텐츠 제공 영역(630)과 상기 발상 요소 콘텐츠 제공 영역(640), 풀이법 콘텐츠 제공 영역(650)도 서로 겹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문제 콘텐츠 제공 영역(610)과 상기 조건 정보 콘텐츠 제공 영역(620)과 상기 발상 요소 콘텐츠 제공 영역(640), 풀이법 콘텐츠 제공 영역(650)가 표시되는 영역들 사이에서는 시각적으로 상위 하위의 구분이 없게 레이어의 표시 순서를 설정하거나, 시간적으로 뒤에 나오는 콘텐츠가 상위에 표시되게 레이어의 표시 순서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다이어그램 콘텐츠(660)는 다른 콘텐츠보다는 상위에 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이어그램 콘텐츠(660)간에는 동일한 1개의 다이어그램용 레이어에 표시될 수도 있지만, 시간대를 구분하여 별개의 레이어에 다이어그램 콘텐츠(660)가 표시되게 할 수도 있을 것이다. 강사의 강의 모습은 다른 콘텐츠보다 최하위 레이어에 오는 것이 좋을 것이다.
상기 발상 요소 콘텐츠를 구성하는 발상 요소는 도 7내지 도9와 같이 적어도 2개 이상의 발상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2개 이상의 발상 요소는 강사의 강의의 흐름과 시간의 경과에 따라 순차적으로 제공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 사상을 설명한다. 도3 내지 도19는 본 발명의 상기 멀티레이어 동영상 강의 콘텐츠 시스템이 구현되는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편의상 강사의 화면은 매스킹(masking) 처리를 하였다.
도 3은 동영상 강의 화면의 기설정된 문제 콘텐츠 제공 영역(610)에 문제 콘텐츠가 제공되는 모습을 구현한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상기 문제 콘텐츠가 표시되는 레이어는 상기 동영상의 제작 시 및/또는 상기 동영상이 상기 사용자의 화면 표시 장치(200)에 제공될 때 상기 강사의 동영상 강의가 표시되는 레이어와 독립적인 것이며, 상기 강사의 동영상 강의가 표시되는 레이어는 상기 동영상의 제작 시 및/또는 상기 동영상이 상기 사용자의 화면 표시 장치(200)에 제공될 때 여러 레이어들 중에서 가장 밑에서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4 내지 도6은 상기 문제 콘텐츠가 강의될 때 상기 문제에 내재하거나 주어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건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조건 정보 콘텐츠가 상기 동영상 강의 화면의 기설정된 조건 정보 콘텐츠 제공 영역(620)에 제공되는 것에 대한 일 실시예에 대한 것이다. 도4 내지 도5는 주어진 조건 정보를 순차적으로 보여 주는 것을 설명하는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이때, 도 4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문제 콘텐츠와 상기 조건 정보 콘텐츠 위에는 붉은색으로 표시되는 사람이 필기 도구로 그린 것과 같은 박스나, 화살표, 밑줄 등과 같은 다이어그램이 표시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특정 다이어그램은 문제 콘텐츠와 조건 정보 콘텐츠를 가로질러 존재하기도 한다. 즉, 특정한 다이어그램은 문제의 설명을 위하여 2개 이상의 콘텐츠 영역에 걸쳐서 표시될 수 있으며, 특정 시점 t1부터 특정 시점 t2까지 나타나게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다이어그램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모양이 변화하는 동적인 다이어그램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화살표도 시간의 흐름에 따라 시작점에서 종점으로 사람이 손으로 화살표를 그리는 것처럼 다이나믹하게 보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이어그램이 표시되는 레이어는 상기 동영상의 제작 시 및/또는 상기 동영상이 상기 사용자의 화면 표시 장치(200)에 제공될 때 다른 레이어들과 독립적인 레이어인 것이 바람직하며, 콘텐츠 레이어보다 위에서 표시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상기 다이어그램은 상기 각종 콘텐츠를 구성하는 색깔보다 시각적으로 두드러지는 색깔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색깔의 예로는 붉은색이 있다. 상기 다이어그램은 사람이 디지털 필기 도구 등을 이용하여 손으로 그린 듯한 느낌을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문제를 해결하는데 활용될 조건이 2개 있으며, 첫번째 조건이 도시된 도 4에서 시간이 경과하면 두번째 조건이 나타남을 보여주고 있다.
도 6은 문제의 해결 과제가 상기 동영상 강의 화면에 제공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구하라는 것이라는 것을 강조하고 있으며, 상기 문제의 해결 과제를 보여 주는 레이어도 상기 동영상의 제작 시 및/또는 상기 동영상이 상기 사용자의 화면 표시 장치(200)에 제공될 때 다른 레이어와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 내지 도 9는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상 요소가 포함되어 있는 발상 요소 콘텐츠에 대응되는 발상 요소 정보가 상기 동영상 강의 화면의 기설정된 발상 요소 콘텐츠 제공 영역(640)에 제공되는 것을 보여주는 실시예적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살펴보면 본 발명은 상기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4가지의 발상 요소가 필요할 수 있으며, 상기 발상 요소를 순차적으로 번호 등으로 구분 지어서 시간의 경과에 따라 제공해 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9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도 9에도 상기 다이어그램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9의 다이어그램과 도 4의 다이어그램은 동일한 레이어에 시간을 달리하여 존재할 수도 있지만, 독립적인 다른 레이어로 구성된 것일 수도 있다.
도 10 내지는 도14는 상기 발상 요소 콘텐츠에 포함된 발상 요소와 상기 조건 정보 콘텐츠에 포함된 조건 정보를 활용하여 상기 문제에 대한 적어도 1단계 이상의 풀이로 구성되는 풀이법 콘텐츠가 제공되는 단계의 일구현예에 관한 도면이다. 도 10에서 상기 풀이법 콘텐츠는 상기 동영상의 제작 시 및/또는 상기 동영상이 상기 사용자의 화면 표시 장치(200)에 제공될 때 상기 강의 동영상 레이어와 독립적인 레이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풀이법 콘텐츠는 상기 발상 요소 콘텐츠에서 제시되는 발상 요소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주어진 문제 콘텐츠를 해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풀이 단계로 구성되는 구체적인 풀이법으로 구성된다. 특히, 도 18 이나 도 19에서와 같이 상기 풀이법 콘텐츠는 발상 요소 콘텐츠들 중 실제로 계산과정에서 실행되어야 할 과정이 풀이법 콘텐츠 제공 영역(650)으로 이동하는 과정에 대한 것이 상기 다이어그램 콘텐츠(660)로 표시되거나, 도 24에서와 같이 상기 발상 요소 콘텐츠들 중 실제로 계산과정에서 실행되어야 할 콘텐츠가 풀이법 콘텐츠 제공 영역(650)으로 직접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도 12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풀이법 콘텐츠와 상기 요소 정보 콘텐츠에 걸쳐서 보이는 다이어그램이 존재함을 알 수 있다.
도 12를 중심으로 본 발명 사상이 종래의 문제 풀이법 제공 방법과는 어떻게 다른지 다시 한번 설명한다. 첫째, 상기 문제 콘텐츠, 상기 조건 정보 콘텐츠, 상기 발상 요소 콘텐츠 및 상기 풀이법 콘텐츠가 기설정된 영역에 배치된다. 둘째, 상기 문제 콘텐츠, 상기 조건 정보 콘텐츠, 상기 질의 요소 콘텐츠, 상기 발상 요소 콘텐츠 및 상기 풀이법 콘텐츠 중 어느 2 이상에 걸치는 다이어그램이 존재한다. 셋째, 상기 둘째 특징의 다이어그램은 자신의 콘텐츠의 내용 중의 어느 것이 자신이 아닌 다른 콘텐츠의 어느 내용과 연결되는 지를 보여 주는 다이어그램을 포함하고 있다. 도 12에서 상기 풀이법 콘텐츠에서는 상기 조건 정보 콘텐츠의 조건 중의 하나가 풀이법 콘텐츠의 내용에 활용되고 있음을 보여 주고 있다. 상기 셋째 특징은 하나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풀이법을 구성하는 내용이 주어진 문제의 힌트(주어진 조건 등)과 어떤 연관 관계를 가지며, 문제에서 주어진 조건이 풀이에서 어떻게 구체적으로 활용되는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어, 풀이 능력이 부족한 학생들의 문제 풀이 능력(주어진 조건을 활용하는 능력)을 극대화시켜 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14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풀이법 콘텐츠 제공 영역(650)이 상기 강사의 얼굴을 영상을 덮고 있는 것과 같이 강사가 강의하는 레이어는 가장 최하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15는 문제 풀이가 끝났을 때, 상기 각 화면이 동적으로 사라지는 것을 보여 주고 있다. 상기 각 콘텐츠 제공 영역을 구성하는 레이어에 기설정된 액선(action)이 할당되면, 이러한 다이나믹한 효과를 줄 수 있게 된다.
도 16은 다른 문제 콘텐츠에 대한 것으로 도 7에 대응되며, 도 17은 도8, 도18은 도10, 도 19는 도14에 각각 대응된다.
본 발명은 교육 사업, 교육 콘텐츠 사업, 동영상 교육 사업 등 IT를 활용한 교육 사업 전반에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사용자 단말기 상에서 본 발명이 실시되는 일실시예적 구성에 관한 것이다.
도 2는 네트워크 상의 서버 상에서 본 발명이 실시되는 일실시예적 구성에 관한 것이다.
도 3은 동영상 강의 화면의 기설정된 문제 콘텐츠 제공 영역에 문제 콘텐츠가 제공되는 모습을 구현한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6은 상기 문제 콘텐츠가 강의될 때 상기 문제에 내재하거나 주어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건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조건 정보 콘텐츠가 상기 동영상 강의 화면의 기설정된 조건 정보 콘텐츠 제공 영역에 제공되는 것에 대한 일 실시예에 대한 것이다.
도 6은 문제의 해결 과제로서 질의 요소 콘텐츠가 상기 동영상 강의 화면에 제공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는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상 요소가 포함되어 있는 발상 요소 콘텐츠에 대응되는 발상 요소 정보가 상기 동영상 강의 화면의 기설정된 발상 요소 콘텐츠 제공 영역에 제공되는 것을 보여주는 실시예적 도면이다.
도 10 내지는 도14는 상기 발상 요소 콘텐츠에 포함된 발상 요소와 상기 조건 정보 콘텐츠에 포함된 조건 정보를 활용하여 상기 문제에 대한 적어도 1단계 이상의 풀이로 구성되는 풀이법 콘텐츠가 제공되는 단계의 일구현예에 관한 도면이다.
도 15는 문제 풀이가 끝났을 때, 상기 각 화면이 동적으로 사라지는 것을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16 내지 도 19 및 도 24는 다른 문제 콘텐츠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적 도면으로 도 3내지 도 14 중에서 중요한 화면을 선별한 것으로, 도 16은 도 7에 대응되며, 도 17은 도8, 도18은 도10, 도 19 및 도24는 도14에 각각 대응된다.
도 20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동영상 강의 콘텐츠 제작 시스템의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기설정된 콘텐츠가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 표시 장치에 제공되는 순서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한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기설정된 콘텐츠가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 표시 장치에 제공되는 순서에 대한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들에 관한 도면이다.

Claims (20)

  1. 동영상 강의 콘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a)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제를 포함하는 문제 콘텐츠가 동영상 강의 화면의 기설정된 문제 콘텐츠 제공 영역에 제공되는 단계;
    (b) 상기 문제에 내재하거나 주어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건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조건 정보 콘텐츠가 상기 동영상 강의 화면의 기설정된 조건 정보 콘텐츠 제공 영역에 제공되는 단계;
    (c)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상 요소가 포함되어 있는 발상 요소 콘텐츠에 대응되는 발상 요소 정보가 상기 동영상 강의 화면의 기설정된 발상 요소 콘텐츠 제공 영역에 제공되는 단계;
    (d) 상기 발상 요소 콘텐츠에 포함된 발상 요소와 상기 조건 정보 콘텐츠에 포함된 조건 정보를 활용하여 상기 문제에 대한 적어도 1단계 이상의 풀이로 구성되는 풀이법 콘텐츠가 상기 동영상 강의 화면의 기설정된 풀이법 콘텐츠 제공 영역에 제공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강의 콘텐츠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가 실행된 이후에,
    (e) 상기 문제에 대한 질의 요소 콘텐츠가 상기 동영상 강의 화면의 기설정 된 질의 요소 콘텐츠 제공 영역에 제공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강의 콘텐츠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제 콘텐츠, 상기 조건 정보 콘텐츠, 상기 발상 요소 콘텐츠 및 상기 풀이법 콘텐츠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상기 동영상 강의를 진행하는 강사가 표시되는 레이어와 독립적인 레이어로 제공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강의 콘텐츠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내지 상기 (d) 단계 중 어느 하나의 단계 이상에서 상기 문제 콘텐츠, 상기 조건 정보 콘텐츠, 상기 발상 요소 콘텐츠 및 상기 풀이법 콘텐츠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콘텐츠 상에 시각적으로 표현되는 다이어그램을 포함하는 다이어그램 콘텐츠가 제공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강의 콘텐츠 제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그램은 기설정된 필기 입력 도구로 드로잉 된 다이어그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강의 콘텐츠 제공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그램 콘텐츠는 상기 동영상 강의를 진행하는 강사가 표시되는 레이어와 독립적인 레이어로 제공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강의 콘텐츠 제공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그램 콘텐츠는 상기 문제 콘텐츠, 상기 조건 정보 콘텐츠, 상기 발상 요소 콘텐츠 및 상기 풀이법 콘텐츠 중 어느 2개 이상에 걸쳐서 표시되는 다이어그램을 포함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강의 콘텐츠 제공 방법.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그램 콘텐츠를 구성하는 다이어그램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모양이 변화하는 동적인 다이어그램인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강의 콘텐츠 제공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제 콘텐츠 제공 영역과 상기 조건 정보 콘텐츠 제공 영역과 상기 발상 요소 콘텐츠 제공 영역 별개의 독립적인 영역에 배치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강의 콘텐츠 제공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강의를 진행하는 강사가 표시되는 강사 표시 영역은 상기 동영상 강의 화면에서 시간의 경과에 따라 기설정된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강의 콘텐츠 제공 방법.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강사 표시 영역은 상기 문제 콘텐츠 제공 영역, 상기 조건 정보 콘텐츠 제공 영역, 상기 질의 요소 콘텐츠 및 상기 발상 요소 콘텐츠 제공 영역 중 어느 하나 이상과는 시각적으로 겹쳐지지 않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강의 콘텐츠 제공 방법.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문제 콘텐츠가 제공되는 레이어, 상기 조건 정보 콘텐츠가 제공되는 레이어, 상기 질의 요소 콘텐츠가 제공되는 레이어, 상기 발상 요소 콘텐츠가 제공되는 레이어 및 상기 풀이법 콘텐츠가 제공되는 레이어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상기 동영상 강의를 진행하는 강사가 표시되는 레이어보다 시각적으로 상위에 표시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강의 콘텐츠 제공 방법.
  13.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그램 콘텐츠가 제공되는 레이어는 상기 문제 콘텐츠가 제공되는 레이어, 상기 조건 정보 콘텐츠가 제공되는 레이어, 상기 발상 요소 콘텐츠가 제공되는 레이어, 상기 풀이법 콘텐츠가 제공되는 레이어보다 시각적으로 상위에 표시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강의 콘텐츠 제공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상 요소 콘텐츠를 구성하는 발상 요소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발상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2개 이상의 발상 요소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순차적으로 제공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강의 콘텐츠 제공 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의는 수학 문제 및 과학 문제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강의 콘텐츠 제공 방법.
  16.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제에 대하여 동영상 강의를 진행하는 강사의 강의 동영상 파일이 포함되는 강사 동영상 파일 데이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제를 포함하는 문제 콘텐츠가 포함되는 문제 콘텐츠 데이터;
    문제에 내재하거나 주어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건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조건 정보 콘텐츠가 포함되는 조건 정보 콘텐츠 데이터;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상 요소가 포함되어 있는 발상 요소 콘텐츠가 포함되는 발상 요소 콘텐츠 데이터;
    상기 발상 요소 콘텐츠에 포함된 발상 요소와 상기 조건 정보 콘텐츠에 포함된 조건 정보를 활용하여 상기 문제에 대한 적어도 1단계 이상의 풀이로 구성되는 풀이법 콘텐츠가 포함되는 풀이법 콘텐츠 데이터;
    상기 강사 동영상 파일에 대응되어 시간의 경과에 따라 상기 문제 콘텐츠, 상기 문제 콘텐츠에 대응되는 상기 조건 정보 콘텐츠, 상기 문제 콘텐츠에 대응되는 상기 발상 요소 콘텐츠, 상기 문제 콘텐츠에 대응되는 상기 풀이법 콘텐츠가 나타나야 될 위치와 나타나야 될 시간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 데이터;
    상기 제어 정보 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강사 동영상 파일에 대응되어 시간의 경과에 따라 상기 동영상 파일의 기설정된 위치에 표시되어야 할 상기 문제 콘텐츠, 상기 문제 콘텐츠에 대응되는 상기 조건 정보 콘텐츠, 상기 문제 콘텐츠에 대응되는 상기 질의 요소 콘텐츠, 상기 문제 콘텐츠에 대응되는 상기 발상 요소 콘텐츠, 상기 문제 콘텐츠에 대응되는 상기 풀이법 콘텐츠가 배치되게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강의 콘텐츠 제공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문제 콘텐츠, 상기 조건 정보 콘텐츠, 상기 질의 요소 콘텐츠, 상기 발상 요소 콘텐츠 및 상기 풀이법 콘텐츠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콘텐츠 상에 시각적으로 표현되는 하나 이상의 다이어그램을 포함하는 다이어그램 콘텐츠를 포함하는 다이어그램 콘텐츠 데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강의 콘텐츠 제공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이어그램이 상기 문제 콘텐츠가 제공되는 레이어, 상기 조건 정보 콘텐츠가 제공되는 레이어, 상기 질의 요소 콘텐츠가 제공되는 레이어, 상기 발상 요소 콘텐츠가 제공되는 레이어 및 상기 풀이법 콘텐츠가 제공되는 레이어 중 어느 하나 이상에서, 기설정된 시간대에서 표시되게 제어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강의 콘텐츠 제공 시스템.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그램 콘텐츠는 2개 이상이며, 상기 2개 이상의 다이어그램 콘텐츠는 별개의 레이어에 표시되며, 상기 별개의 레이어마다에는 상기 레이어가 나타나야할 시간대 정보가 대응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레이어가 나타나야 할 시간대에 상기 레이어를 나타나게 제어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강의 콘텐츠 제공 시스템.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강사의 강의 동영상 파일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부분 동영상부가 포함되어 하나의 전체 동영상 파일을 구성하는 것이며, 상기 부분 동영상부는 1개의 문제에 대응되며, 상기 제어 정보 데이터에 포함되는 제어 정보는 상기 1개의 문제를 기준으로 한 것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1개의 문제를 기준으로 상기 문제 콘텐츠, 상기 문제 콘텐츠에 대응되는 상기 조건 정보 콘텐츠, 상기 문제 콘텐츠에 대응되는 상기 질의 요소 콘텐츠, 상기 문제 콘텐츠에 대응되는 상기 발상 요소 콘텐츠, 상기 문제 콘텐츠에 대응되는 상기 풀이법 콘텐츠가 배치되게 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강의 콘텐츠 제공 시스템.
KR1020080133538A 2008-12-24 2008-12-24 멀티레이어 동영상 강의 콘텐츠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000749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3538A KR20100074968A (ko) 2008-12-24 2008-12-24 멀티레이어 동영상 강의 콘텐츠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3538A KR20100074968A (ko) 2008-12-24 2008-12-24 멀티레이어 동영상 강의 콘텐츠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4968A true KR20100074968A (ko) 2010-07-02

Family

ID=42637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3538A KR20100074968A (ko) 2008-12-24 2008-12-24 멀티레이어 동영상 강의 콘텐츠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7496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42518A1 (en) * 2012-03-19 2013-09-26 Jan Stelovsky Apparatus and methods for multimedia games
KR20160133282A (ko) 2015-05-12 2016-11-22 (주)에어사운드 강의 콘텐츠 운용 시스템 및 방법
KR20190108467A (ko) * 2018-10-19 2019-09-24 주식회사 산타 전자문서의 이미지 자동변환을 통한 강의영상 컨텐츠 제작시스템
US11169695B2 (en) 2018-08-08 2021-11-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rocessing dynamic imag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42518A1 (en) * 2012-03-19 2013-09-26 Jan Stelovsky Apparatus and methods for multimedia games
US9861895B2 (en) 2012-03-19 2018-01-09 Jan Stelovsky Apparatus and methods for multimedia games
KR20160133282A (ko) 2015-05-12 2016-11-22 (주)에어사운드 강의 콘텐츠 운용 시스템 및 방법
US11169695B2 (en) 2018-08-08 2021-11-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processing dynamic imag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20190108467A (ko) * 2018-10-19 2019-09-24 주식회사 산타 전자문서의 이미지 자동변환을 통한 강의영상 컨텐츠 제작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Vossoughi et al. Embodied pathways and ethical trails: Studying learning in and through relational histories
Beetlestone et al. The Science Center Movement: contexts, practice, next challenges
Willett The discursive construction of ‘good parenting’and digital media–the case of children’s virtual world games
de Koning et al. Attention guidance strategies for supporting learning from dynamic visualizations
Cannon et al. Dynamic, playful and productive literacies
Cohen et al. Hacking the academy: New approaches to scholarship and teaching from digital humanities
EP2972734A2 (de) Neue verwendungen von smartphones und vergleichbaren mobilen, digitalen endgeräten
Bruun Genre and interpretation in production: a theoretical approach
KR20100074968A (ko) 멀티레이어 동영상 강의 콘텐츠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Ciciliani Virtual 3D environments as composition and performance spaces
Allen et al. The integrated spectator: theatre audiences and pedagogy
Litts et al. Examining the materiality and spatiality of design scaffolds in computational making
Erenli Generation I (mmersion)-How to Meet Learner Expectations of Tomorrow.
MacDonald What is culture?
Dalton et al. The whole person: embodying teaching and learning through Lectio and Visio Divina
Kuksa et al. But a walking shadow: designing, performing and learning on the virtual stage
Nelson The historian is present: live interactive documentary as collaborative history
Geuens The space of production
Wakefield Theatricality and Absorption: Politics of representation in Michael Fried, The Wooster Group and Robert Wilson
Yiting et al. Modern technology-enabled approaches in preschool music education
Morash Teaching Writing For Performance Online: Dynamic Approaches to the Online Workshop
Reilly The negotiations of group authorship among second graders using multimedia composing software
Alnajjar et al. Exploring the resisting factor of ICT in education among teachers: A case study in UAE
Shaw Film in the Composition Classroom: Moving away from the Film Supplement
KR20110111741A (ko) 학습 이력의 관리가 가능한 웹기반 학습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