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3944A - 벽체용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식 벽체 - Google Patents

벽체용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식 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3944A
KR20100073944A KR1020090003637A KR20090003637A KR20100073944A KR 20100073944 A KR20100073944 A KR 20100073944A KR 1020090003637 A KR1020090003637 A KR 1020090003637A KR 20090003637 A KR20090003637 A KR 20090003637A KR 20100073944 A KR20100073944 A KR 201000739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panel
wall
coupling
fixed
gas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3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윤진
Original Assignee
신일공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일공영(주) filed Critical 신일공영(주)
Priority to KR10200900036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73944A/ko
Publication of KR20100073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39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2Non-load-bearing walls of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2Non-load-bearing walls of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 E04B2/721Non-load-bearing walls of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2Non-load-bearing walls of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 E04B2/723Non-load-bearing walls of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constituted of gypsum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61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53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panels and support posts, extending from floor to cei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82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edges are connected to the building; Means therefor; Special details of easily-removable partitions as far as related to the connection with other parts of the building
    • E04B2/825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edges are connected to the building; Means therefor; Special details of easily-removable partitions as far as related to the connection with other parts of the build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floor and the ceiling being achieved without any restraining forces acting in the plane of the part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2Non-load-bearing walls of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 E04B2/723Non-load-bearing walls of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constituted of gypsum elements
    • E04B2002/728Butt-joining plasterboards in the space between two stu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체용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식 벽체에 관한 것으로, 제1 몸체 및 제2 몸체, 상기 제1 몸체 및 상기 제2 몸체 각각의 한쪽 끝에 형성되어 있으며 결합홈을 가지는 결합부, 그리고 상기 제1 몸체 및 상기 제2 몸체 각각의 다른 쪽 끝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몸체의 결합홈에 상기 제2 몸체의 결합 부재가 결합되어 있다.
조립, 칸막이, 결합홈, 돌기부

Description

벽체용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식 벽체{Wall panel and assembly wall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벽체용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식 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립식 벽체는 건물 내부의 공간을 여러 공간으로 나누어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주로 오피스텔, 사무실 등에서 많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조립식 벽체는 길게 형성된 복수의 패널이 천정과 바닥에 양쪽 끝이 고정되어 설치된다. 이러한 패널은 천정에서 바닥까지 닿기 때문에 생산 공장에서 길게 형성되어 시공 현장으로 옮겨 지고(이하, 운반; 생산 공장에서 생산된 자재를 설치 현장으로 옮기는 것) 이를 다시 시공 현장에서 설치장소로 옮기(이하, 양중; 현장으로 운반된 자재를 다시 설치 장소로 옮기는 것)게 된다.
패널의 길이가 길게 형성되면서 양중 및 설치가 다소 불편한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길이가 긴 만큼 중량 또한 커지게 되어 별도의 운반 장치를 이용하여 운반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벽체를 형성하는 패널의 부피를 축소하여 운반 및 양중이 용이하도록 하고, 패널을 이용하여 벽체를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벽체용 패널은 제1 몸체 및 제2 몸체, 상기 제1 몸체 및 상기 제2 몸체 각각의 한쪽 끝에 형성되어 있으며 결합홈을 가지는 결합부, 그리고 상기 제1 몸체 및 상기 제2 몸체 각각의 다른 쪽 끝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몸체의 결합홈에 상기 제2 몸체의 결합 부재가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벽체용 패널은 상기 몸체 일측에 부착되어 있는 석고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의 면적은 0.3㎡ 내지 1.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벽체는 바닥면에 고정될 수 있는 제1 부재, 상기 제1 부재와 떨어져 있으며 천정에 고정될 수 있는 제2 부재,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 사이에 위치하며, 층층이 시공되는 복수의 벽체 패널, 그리고 한쪽 끝이 상기 벽체 패널에 밀착되어 있고, 다른 쪽 끝은 상기 벽체 패널을 관통하여 체결 고정되어 있는 고정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벽체 패널은 제1 몸체 및 제2 몸체, 상기 제1 몸체 및 상기 제2 몸체 각각의 한쪽 끝에 형성되어 있으며 결합홈을 가지는 결합부, 그리고 상기 제1 몸체 및 상기 제2 몸체 각각의 다른 쪽 끝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몸체의 결합홈에 상기 제2 몸체의 결합 부재가 결합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벽체는 상기 벽체 패널과 상기 벽체 패널 사이에 위치한 개스킷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벽체는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고정 장치가 체결 고정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개스킷의 한쪽 끝이 고정되는 끼움홈이 형성되어 있는 지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몸체의 결합홈에 제2 몸체의 돌기부가 삽입되면서 몸체들을 순차적으로 시공할 수 있어 조립이 간편하다. 따라서 실내 공간에 칸막이 설치 시 작업이 간편하고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벽체 패널의 면적이 0.3㎡ 내지 1.0㎡ 이 되어 운반 및 양중이 간편하다. 따라서 물류 비용 절감과 보관이 용이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벽체 패널이 좌/우측으로 연결 시 그 사이에 지주에 고정된 개스킷이 위치하여 좌/우측으로 연결되는 벽체 패널의 밀착성과 차음성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벽체 패널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벽체 패널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벽체패널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벽체 패널이 시공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1 내지 도 3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벽체 패널(10)은 몸체(110), 결합부(120), 그리고 돌기부(130)를 포함한다. 몸체(110)는 제1 몸체(110a) 및 제2 몸체(110b)를 갖는다.
몸체(110)의 단면 모양은 직사각형이며, 금속 재질로 만들어 질 수 있다. 그러나 몸체(110)의 재질은 변경될 수 있다.
몸체(110)의 일측은 개방되어 있으며, 개방된 일측에는 내열성/내구성이 우수한 석고보드(140)가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석고보드(140)는 생략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단열/보온이나 불연/난연성의 충전제가 배치될 수 있다.
몸체(110)의 타측에는 다양한 색상이 채색되거나 여러 문양이 형성되어 있는 시트지(도시하지 않음)가 점착될 수 있다.
몸체(110)의 면적은 0.3㎡ 내지 1.0㎡ 일 수 있다. 몸체(110)의 면적은 설치 장소 및 환경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몸체(110)의 한쪽 끝에는 결합부(120)가 형성되어 있으며, 다른 쪽 끝에는 돌기부(130)가 형성되어 있다.
결합부(120)는 몸체(110)의 한쪽 끝이 구부러져 형성될 수 있으며, 구부러진 부분에 결합홈(121)이 형성된다. 결합부(120)의 적어도 일부분은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지주(230)에 밀착될 수 있다. 밀착된 부분에는 고정 장치(240)가 배치되며 고정 장치(240)의 일 부분은 결합부(120)를 관통하여 지주(230)에 체결 고정될 수 있다.
돌기부(130)는 몸체(110)의 다른 쪽 끝이 구부러져 형성될 수 있으며, 돌기부(130)의 형상은 결합홈(121)과 상응한다.
도 3을 참조하여 결합부(120)와 돌기부(130)의 결합 상태를 살펴보면, 먼저 제1 몸체(110a)를 기설정된 장소에 위치시킨 시킨다. 이때 결합부(120)가 제1 몸체(110a) 위쪽에 위치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제2 몸체(110b)를 그 위에 위치시키며 이때 돌기부(130)를 결합홈(121)에 삽입시켜 제1 몸체(110a)와 제2 몸체(110b)를 연결하여 시공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벽체(20)에 대하여 도 4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벽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설치 상태도 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한 Ⅴ-Ⅴ선을 따라 패널을 자른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한 A 부분 확대도 이고, 도 7은 도 5에 도시한 Ⅶ-Ⅶ선을 따라 패널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벽체(20)는 제1 부재(210), 제2 부재(220), 지주(230), 그리고 벽체 패널(10)을 포함한다. 개스킷(2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재(210)는 기설정된 길이로 형성되어 있으며 실내 공간의 바닥면에 놓일 수 있다. 제1 부재(210)의 일측은 개방되어 있으며, 개방된 일측 내부 둘레에는 제1 몸체(110a)의 돌기부(130)가 삽입되는 안착홈(211)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부재(210)는 금속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러나 재질은 설치 장소 및 환경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제1 부재(210)의 표면에는 실내 분위기에 따라 다양한 색상이 채색될 수 있다. 또한 제1 부재(210)의 표면은 방수 코팅되어 부식을 예방할 수 있다.
제2 부재(220)는 기설정된 길이로 형성되어 천정에 설치될 수 있으며 제1 부재(210)와 마주할 수 있다. 제1 부재(210)와 마주하는 일측은 개방되어 있고, 개방된 일측에는 삽입홈(221)이 형성되어 있다. 제2 부재(220)는 금속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러나 재질은 설치 장소 및 환경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제2 부재(220)의 표면에는 실내 분위기에 따라 다양한 색상이 채색될 수 있다.
지주(230)는 기설정된 길이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1 부재(210)와 제2 부재(220)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지주(230)는 생략될 수 도 있다. 지주(230)의 하단부가 제1 부재(210)에 고정되어 있고 상단부가 제2 부재(220)에 고정되어 있다. 지주(230)의 재질은 알루미늄일 수 있으며, 압출 방법으로 만들어 질 수 있다. 지주(230)의 외측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끼움홈(231)이 형성되어 있다.
벽체 패널(1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실시예와 대체로 동일하다.
벽체 패널(10)은 몸체(110), 결합부(120), 그리고 돌기부(130)를 포함한다. 몸체(110)는 제1 몸체(110a) 및 제2 몸체(110b)를 포함한다.
벽체 패널(10)은 제1 부재(210)와 제2 부재(220) 사이에 위치하며, 고정 장치(240)로 지주(230)에 고정되어 있다. 고정 장치(240)의 한쪽 끝은 벽체 패널(10)을 관통하여 지주(230)에 체결 고정되며, 다른 쪽 끝은 벽체 패널(10)의 결합부(120)에 밀착되어 있다. 한편, 지주(230) 생략된 경우 고정 장치(240)의 한쪽 끝은 벽면 따위에 고정될 수 있다.
벽체 패널(10)의 결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제1 부재(210) 위에 제1 몸체(110a)를 위치시켜 안착홈(211)에 돌기부(130)를 삽입시킨다. 제1 몸체(110a) 옆으로 제1 몸체(110a)가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제1 몸체(110a)와 제1 몸체(110a) 사이에는 개스킷(232)이 위치하며, 개스킷(232)의 한쪽 끝은 지주(230)의 끼움홈(231)에 연결되어 있다. 개스킷(232)의 옆으로 놓이는 벽체 패널(10)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고 차음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결합부(120)를 지주(230)에 밀착시켜 고정 장치(240)로 고정시킨다. 다음으로 제2 몸체(110b)의 돌기부(130)를 제1 몸체(110a)의 결합홈(121)에 삽입시켜 시공하며 이때 제2 몸체(110b)의 결합부(120)를 지주(230)에 밀착시켜 고정 장치(240)로 고정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지주(230)의 하단부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상단부측으로 시공한다.
실내 공간의 바닥면과 천정 사이의 간격에 따라 제2 부재(220)와 연결된 벽체 패널(10)은 제1 부재(210)와 연결된 벽체 패널(10) 보다 면적이 작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조립식 벽체는 규격화된 벽체 패널(10)로 시공되어 조립 방법이 간편하고, 벽체 패널의 중량이 적어 운반 및 양중이 편리하며, 시공 후 남은 일부 벽체 패널(10)을 다시 사용할 수 있어 자재의 낭비를 예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벽체 패널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벽체패널을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벽체 패널이 시공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벽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설치 상태도.
도 5는 도 4에 도시한 Ⅴ-Ⅴ선을 따라 패널을 자른 단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한 A 부분 확대도.
도 7은 도 5에 도시한 Ⅶ-Ⅶ선을 따라 패널을 따라 자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벽체 패널 110: 몸체
110a: 제1 몸체 110b: 제2 몸체
120: 결합부 121: 결합홈
130: 돌기부 140: 석고보드
20: 조립식 벽체 210: 제1 부재
211: 안착홈 220: 제2 부재
221: 삽입홈 230: 지주
231: 끼움홈 232: 개스킷
240: 고정 장치

Claims (6)

  1. 제1 몸체 및 제2 몸체,
    상기 제1 몸체 및 상기 제2 몸체 각각의 한쪽 끝에 형성되어 있으며 결합홈을 가지는 결합부, 그리고
    상기 제1 몸체 및 상기 제2 몸체 각각의 다른 쪽 끝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몸체의 결합홈에 상기 제2 몸체의 결합 부재가 결합되는
    벽체용 패널.
  2. 제1항에서,
    상기 몸체 일측에 부착되어 있는 석고보드를 더 포함하는 벽체용 패널.
  3. 제2항에서,
    상기 몸체의 면적은 0.3㎡ 내지 1.0㎡인 벽체용 패널.
  4. 바닥면에 고정될 수 있는 제1 부재,
    상기 제1 부재와 떨어져 있으며 천정에 고정될 수 있는 제2 부재,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 사이에 위치하며, 층층이 시공되는 복수의 벽체 패널, 그리고
    한쪽 끝이 상기 벽체 패널에 밀착되어 있고, 다른 쪽 끝은 상기 벽체 패널을 관통하여 체결 고정되어 있는 고정 장치
    를 포함하며,
    상기 벽체 패널은 제1 몸체 및 제2 몸체,
    상기 제1 몸체 및 상기 제2 몸체 각각의 한쪽 끝에 형성되어 있으며 결합홈을 가지는 결합부, 그리고
    상기 제1 몸체 및 상기 제2 몸체 각각의 다른 쪽 끝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몸체의 결합홈에 상기 제2 몸체의 결합 부재가 결합되는
    조립식 벽체.
  5. 제4항에서,
    상기 벽체 패널과 상기 벽체 패널 사이에 위치한 개스킷을 더 포함하는 조립식 벽체.
  6. 제5항에서,
    상기 제1 부재와 상기 제2 부재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고정 장치가 체결 고정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개스킷의 한쪽 끝이 고정되는 끼움홈이 형성되어 있는 지주를 더 포함하는 조립식 벽체.
KR1020090003637A 2009-01-16 2009-01-16 벽체용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식 벽체 KR201000739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3637A KR20100073944A (ko) 2009-01-16 2009-01-16 벽체용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식 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3637A KR20100073944A (ko) 2009-01-16 2009-01-16 벽체용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식 벽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7001 Division 2008-12-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3944A true KR20100073944A (ko) 2010-07-01

Family

ID=42636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3637A KR20100073944A (ko) 2009-01-16 2009-01-16 벽체용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식 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7394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0182A (ko) * 2018-11-01 2020-05-11 (주)에이치에스패널 조립식 내화 칸막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0182A (ko) * 2018-11-01 2020-05-11 (주)에이치에스패널 조립식 내화 칸막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86085B2 (ja) プレハブ式の間仕切り壁および端部壁
US8001731B2 (en) Self-suporting spatial unit having non-supporting advanced outer walls
US20090282759A1 (en) Relocatable building wall construction
FI12013U1 (fi) Kehystetty rakenne-elementti
RU2640834C1 (ru) Многослойный реставрационный строительный элемент
CA2815721C (en) Method for providing a fire safe penetration in building element
KR20100073944A (ko) 벽체용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식 벽체
KR101835071B1 (ko) 내화성을 갖는 조립식 경량 칸막이
JP2006161406A (ja) 天井または床の耐火構造
US2281371A (en) Metallic building structure
CN211080641U (zh) 穿墙套管防火封堵机构及其穿墙套管
KR101057766B1 (ko) 건축물용 패널
KR200332029Y1 (ko) 경량 칸막이용 고정핀 일체형 스터드
JP2020165211A (ja) 天井構造
JP2015137455A (ja) 配管収納ユニットの設置構造
CN105650361A (zh) 玻镁风管排烟系统
JP2015113675A (ja) 軒裏天井構造
CN104963414B (zh) 一种立柱节点的连接结构及其安装方法
JP6958224B2 (ja) 壁体通気構造
JP5266147B2 (ja) 集合住宅の玄関の袖壁
ITMI20130137U1 (it) Cassero per getto in opera di solai o muri in calcestruzzo
US20050109127A1 (en) Structural beam member
ITPD20070090A1 (it) Pannello radiante per la climatizzazione estiva e invernale, prefabbricato, autoportante, autobilanciante, composito, multistrato, multicircuito, componibile con alimentazione flessibile, caratterizzato dal fatto di essere dotato di proprio collettore interno di alimentazione circuiti
IT8982611A1 (it) Metodo per la realizzazione di canalizzazione particolarmente nei pavi menti
JP4986482B2 (ja) 積層体パネルとその取付構造および建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