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3443A - 조직 점착층과 윤활층으로 구성된 조직유착 방지막 - Google Patents

조직 점착층과 윤활층으로 구성된 조직유착 방지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3443A
KR20100073443A KR1020080132116A KR20080132116A KR20100073443A KR 20100073443 A KR20100073443 A KR 20100073443A KR 1020080132116 A KR1020080132116 A KR 1020080132116A KR 20080132116 A KR20080132116 A KR 20080132116A KR 20100073443 A KR20100073443 A KR 201000734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tissue
tissue adhesion
acid
adhe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2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호
오세행
김인걸
Original Assignee
이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호 filed Critical 이진호
Priority to KR1020080132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73443A/ko
Publication of KR20100073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34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7/18Macromolecular material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7/20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58Materials at least partially resorbable by the body

Abstract

본 발명은 다층구조 조직유착 방지막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봉합과정 없이도 상처면에 안정하게 위치하여 상처를 보호할 수 있는 조직 점착층과 체 내에서 짧은 시간 내에 점성 물질로 변하여 주변 조직 및 장기로부터 상처면을 원천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는 윤활층으로 구성되어 있는 조직유착 방지막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 비해 우수한 조직유착 방지성능과 시술 용이성을 동시에 지녀서, 인체 내 적용 시 봉합과정 없이 매우 손쉽게 적용이 가능하고, 우수한 조직유착 억제 성능을 갖는다.
생분해성 고분자, 조직유착, 조직유착 방지막

Description

조직 점착층과 윤활층으로 구성된 조직유착 방지막{Tissue adhesion barrier membrane with tissue adhesion layer and lubrication layer}
본 발명은 다층구조 조직유착 방지막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봉합과정 없이도 상처면에 안정하게 위치하여 상처를 보호할 수 있는 조직 점착층과 체 내에서 짧은 시간 내에 점성 물질로 변하여 주변 조직 및 장기로부터 상처면을 원천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는 윤활층으로 구성되어 있는 조직유착 방지막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 비해 우수한 조직유착 방지성능과 시술 용이성을 동시에 지녀서, 인체 내 적용 시 봉합과정 없이 매우 손쉽게 적용이 가능하고, 우수한 조직유착 억제 성능을 가지는 특징이 있다.
오늘날 외과에서 개복수술은 일상적인 수술 중의 하나이다. 외과 수술 후 흔히 발생하는 장기 및 조직의 유착은 손상된 조직의 세포가 증식하고 재생하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자연현상 중의 하나이지만, 환자에게 계속되는 불편감이나 기능장애를 초래하고 유착 박리를 위한 재수술이 필요하기도 하며 생명을 위협하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특히 여성의 경우에는, 골반수술시 자궁의 조직유착에 의해 불임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D. B. John, et al., "Reduction of adhesion formation by postoperative administeration of ionically cross-linked hyaluronic acid", Fertil . Steril ., 68, 37-42 (1997)). 이 합병증은 체 내의 생체방어기구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그 과정이 복잡하여서 임상에서 이를 예방하는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복부 외과수술이 실시된 이후 많은 연구노력을 기울여 왔음에도 불구하고 오늘날에 와서도 아직 완전하게 해결하지 못한 외과학상 중요한 문제 중의 하나로 남아있다. 개복수술 후 유착 발생율은 55 ~ 93%로 상당히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D. Menzies, "Postoperative adhesions: their treatment and relevance in clinical practice", Ann. Royal Coll . Surg . Engl ., 75, 147-153 (1993)). 이러한 유착은 근육, 공막, 결막, 테논낭, 근간막 등 인체의 거의 모든 부분에서 일어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지만, 임상적으로 가장 큰 문제가 되는 것은 복부수술 후에 발생하는 복막 유착이나 장 유착으로 반복적인 수술, 거친 수술, 과도한 출혈, 봉합물질의 조직 반응, 수술 중의 이물질, 수술 후 염증 등에 의해 발생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L. Holmdahl, et al., "Experimental models for quantitative studies on adhesion formation in rats and rabbits", Eur . Surg . Res., 26, 248-256 (1994)). 또한 수술 자체에 의한 창상 치유과정의 일부로도 유착이 일어나므로 완전 예방은 어렵고 수술시 정확한 조직의 박리, 출혈방지, 무균적 수술, 수술시간 단축과 봉합사의 적절한 선택으로 그 정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수술 후 조직유착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그동안 다양한 형태의 유착방지제를 이용하여 수술 후 조직간의 유착을 억제하려는 시도들이 있어 왔다. 이러한 물질로는 필름 형태로서, 비분해성 고분 자인 테프론으로 제조된 Preclude? (W. L. Gore)와 분해성 고분자인 셀룰로우스를 산화시켜 제조한 InterceedTM (Johnson & Johnson Medical), 하이알룬산 (hyaluronic acid)과 카르복시메틸셀룰로우스 (carboxymethyl cellulose)를 가교시켜 제조한 Seprafilm? (Genzyme), 고분자량의 폴리에틸렌옥사이드 (polyethylene oxide)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우스를 가교시켜 제조한 Oxiplex? (FzioMed) 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비분해성 고분자의 경우에는 상처와 상처를 원천적으로 분리하므로 유착방지 성능은 양호하나 시술 후 이물질로 체 내에 계속 존재하므로 주변조직에 염증반응을 일으키거나 조직 재생에 장애요인이 되어, 경우에 따라서는 일정기간 후 제거를 위해 재수술이 필요하기도 하다. 생분해성 고분자의 경우는 체 내에서 일정기간 후 분해되어 소멸되므로 이물질로 남지 않는다는 장점은 있으나 아직까지는 비분해성 고분자에 비해 유착방지 성능이 다소 낮은 편이다. 필름형태의 유착방지막을 이용할 경우 가장 큰 단점은 적용 부위에서 유착방지막의 이동을 막기 위해 봉합사를 이용해 주변조직과 봉합을 해 주어야 하는데 봉합부위에서 조직유착이 빈번하게 일어난다는 점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겔 형태의 카르복시메틸셀룰로우스, 덱스트란 70 (dextran 70),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공중합체 (polyethylene oxide-polypropylene oxide 공중합체; Pluronic F127)로 제조한 Flowgel? (Mediventures), 폴리락틱산을 기본으로 한 Adcon?-L (Gliatech), 하이알룬산을 기본으로 한 Intergel? (Lifecore Biomedical), 천연고분자를 원료로 한 AdbA? (Amitie)와 스프레이 형태의 폴리에틸렌옥사이드를 기본으로 한 Spraygel? (Confluent Surgical) 등이 연구되거나 일부 시판되고 있지만, 겔 형태의 유착방지제의 경우에 상처가 치유되기 전에 체 내 (수용액상)에서 쉽게 분해?흡수되어 유착방지제로서의 효능이 낮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기존의 유착방지제를 사용시 유착방지 효능이 50 ~ 70% 정도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J. M. Becker, et al., presented at Clinical Congress of Am. College of Surgeon, New Orleans, October 22 (1995)). 참고로 일반적으로 수술 부위의 상처 치유는 7일 정도 걸리는 것으로 되어 있다. 고분자를 이용한 유착방지제 사용 이외에도 약리적인 방법에 의해 조직유착을 방지하고자 하는 시도가 되어져 왔는데, 조직유착의 한 원인으로 알려진 염증반응을 억제하게 위해 수술부위에 소염제를 주입해 주는 방법이 그 한 예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 적용 부위에 소염제가 장시간 머물지 못해 유착방지 성능이 그다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와 같이, 수술 후 발생하는 조직유착 방지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지 못한 종래의 재료를 사용할 경우 고가의 치료비를 지불하고도 그에 상응하는 효과를 나타내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기존 필름형태의 조직유착 방지제의 문제점인 적용부위로부터의 이동, 이를 방지하기 위한 봉합, 낮은 체내 안정성에서 기인되는 낮은 유착방지 효과 등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 노력한 결과, 조직 점착층을 적용하여 상처면의 봉합과정을 생략하고, 상처 주변 조직 및 상처 주변 장기로부터 상처면을 원천적으로 분리시키는 윤활층을 적층시킨 필름형태의 조직유착 방지막을 고안하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층구조 조직유착 방지막에 관한 것으로서, 폴리락틱산(poly(lactic acid)), 폴리글리콜산(poly(glycolic acid)), 폴리락틱산-글리콜산 공중합체(poly(lactic acid-co-glycolic acid)), 폴리다이옥산온(polydioxanone),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폴리락틱산-카프로락톤 공중합체(poly(lactic acid-co-ε-caprolactone)), 폴리다이옥산온-카프로락톤 공중합체(poly(dioxanone-ε-caprolactone)), 폴리하이드록시부티릭산-하이드록시발러릭산 공중합체(polyhydroxybutyric acid-co-hydroxyvaleric acid) 및 폴리포스포에스터 poly(phosphoester))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생분해성 고분자를 이용하여 제조한 미세섬유형태의 조직 점착층; 및 알긴산 (alginic acid), 펙틴 (pectin), 카라기난 (carrageenan), 겔란 검 (gelan gum), 카르복시메틸셀룰로우스 (carboxymethyl cellulose), 히알루론산 (hyaluronic acid) 및 덱스트란 (dextran) 중에서 선택된 단종 또는 2 종 이상의 폴리사카라이드(polysaccharide)계 고분자를 함유하는 윤활층;이 교대로 적층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조직 점착층의 미세섬유가 구조적 특징 (인체를 구성하는 세포외 기질과 유사한 형태)에 의해 조직과의 점착성을 지니기 때문에, 본 발명을 인체 내에 적용 시, 봉합과정 없이 매우 손쉽게 상처면에 도입이 가능하고, 상처면의 보호와 치유의 효과를 가지는, 조직 유착 방지성능이 아주 우수한 새로운 개념의 조직유착 방지제로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다층구조 조직유착 방지막은
생분해성 고분자인 폴리락틱산(poly(lactic acid)), 폴리글리콜산(poly(glycolic acid)), 폴리락틱산-글리콜산 공중합체(poly(lactic acid-co-glycolic acid)), 폴리다이옥산온(polydioxanone),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폴리락틱산-카프로락톤 공중합체(poly(lactic acid-co-ε-caprolactone)), 폴리다이옥산온-카프로락톤 공중합체(poly(dioxanone-ε-caprolactone)), 폴리하이드록시부티릭산-하이드록시발러릭산 공중합체(polyhydroxybutyric acid-co-hydroxyvaleric acid) 및 폴리포스포에스터 poly(phosphoester)) 중에서 선택된 단종 또는 2 종 이상의 생분해성 고분자를 이용하여 제조한 미세섬유형태의 조직 점착층; 및 알긴산 (alginic acid), 펙틴 (pectin), 카라기난 (carrageenan), 겔란 검 (gelan gum), 카르복시메틸셀룰로우스 (carboxymethyl cellulose), 히알루론산 (hyaluronic acid) 및 덱스트란 (dextran) 중에서 선택된 단종 또는 2 종 이상의 폴리사카라이드계 고분자를 함유하는 윤활층;이 교대로 적층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조직 점착층과 윤활층이 적층된 2중층 구조; 또는
조직 점착층, 윤활층 및 조직 점착층의 순서대로 적층된 3중층 구조;로 제조될 수 있다. 이를 자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조직 점착층과 윤활층이 교대로 각각 1 층 이상으로 적층된 것을 사용할 수 있는데, 조직 점착층과 윤활층이 각각 1 층씩 적층된 형태의 조직유착 방지막에 대하여 설명을 하면 아래와 같다.
상처난 조직면에 조직 점착층 방향으로 본 발명의 조직유착 방지막을 도입시키면, 미세섬유 형태의 조직 점착층이 상처난 조직면에 피복(coating) 되어, 상처난 조직면을 감싸게 된다. 그 후, 피복된 조직 점착층 상부에 있는 윤활층의 폴리사카라이드계 고분자가 체액에 의해 점성 물질로 변하게 되고, 점성 물질로 변한 윤활층의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상처난 조직면을 피복시킨 조직 점착층을 다시 커버링(covering)하게 되어 조직 점착층의 피복성을 증대시킴은 물론, 주변조직이 점착하기에 용이치 못한 미끈미끈한 표면을 제공하여 상처주변 조직 및 장기로부터 상처면을 원천적으로 분리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조직유착 방지막은 그 적용환경에 따라서, 조직 점착층-윤활층-조직 점착층이 교대로 적층된 3층으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조직 점착층과 윤활층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상처난 조직면에서 작용을 한다. 이렇게 조직 점착층과 윤활층이 적층된 구 조의 본 발명의 조직유착 방지막은 그 적용환경에 따라 더 많은 다수의 층의 형태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상기 조직 점착층은 본 발명에 있어서, 조직 및 세포와의 우수한 점착특성을 지녀, 상처면과 빠르고 안정하게 점착되는 역할을 하는데, 이러한 역할로 인하여 별도의 봉합과정 없이 본 발명의 조직유착 방지막을 상처부위에 적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초기 상처면에 도입 시 손쉽게 떼었다 붙였다 하는 반복시술이 가능하여 시술자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을 지닌 조직 점착층은 인체 적용이 가능한 생분해성 고분자를 사용하는데, 상기 조직 점착성 생분해성 고분자는 평균분자량 1,000 ~ 1,500,000 g/mol, 바람직하게는 10,000 ~ 200,000 g/mol인 생분해성 고분자를 사용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데, 여기서, 상기 조직 점착성 고분자의 평균분자량이 1,000 g/mol 미만 시 물성이 취약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1,500,000 g/mol 초과 시 높은 점성으로 인해 조직 점착성을 가지는 미세섬유의 제조가 용이치 못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직 점착층은 두께가 0.1 ~ 1,000 ㎛, 바람직하기로는 1 ~ 500 ㎛인 것이 좋다. 여기서, 조직 점착층의 두께가 0.1 ㎛ 미만이면 조직과의 점착력이 낮고 물성이 취약한 문제가 있고, 조직 점착층의 두께가 1,000 ㎛ 이상이면 필름이 유연하지 못하거나 불필요하게 고분자를 낭비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윤활층은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체 내에서 짧은 시간 내에 점성 물질로 변하여 주변 조직 및 장기로부터 상처면을 원천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는 역할을 한다. 상기 윤활층은 알긴산 (alginic acid), 펙틴 (pectin), 카라기난 (carrageenan), 겔란 검 (gelan gum), 카르복시메틸셀룰로우스 (carboxymethyl cellulose), 히알루론산 (hyaluronic acid) 및 덱스트란 (dextran) 중에서 선택된 단종 또는 2 종 이상의 폴리사카라이드계 고분자를 함유할 수 있는데, 상기 폴리사카라이드계 고분자는 평균분자량 1,000 ~ 1,500,000 g/mol,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 ~ 800,000 g/mol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알긴산과 히알루론산은 평균분자량 5,000 ~ 500,000 g/mol 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은데, 상기 알긴산과 히알루론산의 평균분자량이 5,000 g/mol 미만이면 점성이 낮아 윤활층으로의 역할을 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500,000 g/mol 초과시 점성이 너무 높아 취급이 용이치 못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윤활층은 두께는 1 ~ 1,000 ㎛, 바람직하기로는 10 ~ 500 ㎛인 것이 좋다. 여기서, 윤활층의 두께가 1 ㎛ 미만이면 효과적인 윤활작용을 못하는 문제가 있고, 윤활층의 두께가 1,000 ㎛ 이상이면 필름이 유연하지 못하거나 불필요하게 고분자를 낭비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조직유착 방지막은 전체 두께가 1.1 ~ 3,000 ㎛인 것이 좋은데, 여기서, 조직유착 방지막의 전체 두께가 1.1 ㎛ 미만이면, 물성이 너무 약해 사용이 용이치 못하거나 유착방지효과가 낮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3,000 ㎛ 초과시 막이 유연하지 못하거나 불필요하게 고분자를 낭비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의 두께를 갖는 것이 좋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조직유착 방지막은 당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필름캐스팅 방법 (film casting method) 및 전기방사기법 (electrospinning technique) 등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조직 점착층을 기준으로 윤활층과 조직 점착층의 순으로 교대로 적층된 다층구조를 유착방지제로 사용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유착 방지막을 상처면에 적용시 별도의 조직 봉합수술이 요구되지 않는 것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겠는바, 본 발명이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천연고분자이며, 생체적합성이 우수한 알긴산 (Medium viscosity, Sigma, USA)을 초순수에 대해 2 중량%로 녹인 알긴산 수용액을 제조하고, 일정크기 (5 cm x 5 cm x 2 cm, 가로 x 세로 x 높이)에 캐스팅 (casting)하고, 이를 37 ℃ 건조기에서 완전히 건조하여 가교되지 않은 알긴산 필름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필름은 체 내에서 짧은 시간 내에 점성을 나타내는 물질로 변하여 주변 조직 및 장기로부터 상처면을 원천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는 윤활층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다층 구조막을 제조하기 위해 휘발성 용매인 1,1,1,3,3,3-헥사플로오로이소프로페놀 (1,1,1,3,3,3-hexafluoroisopropanol, HFIP) 20 ml에 PLGA (LA:GA, 50/50; Lakeshore Biomaterials, high IV)을 약 2.22 g 녹여 10% (w/v)의 PLGA 용액을 제조하고, 이를 전압 15 kV, 방사거리 8 cm, 용액 속도 0.04 ml/min의 조건으로, 위에서 제조된 알긴산 필름의 한 쪽면에 전기 방사하여 PLGA 전기방사 시트/알긴산 필름 (조직 점착층/윤활층)의 조직유착 방지막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조직유착 방지막의 총 두께는 약 60 ㎛ 정도이고, 전기방사 시트의 두께는 약 40 μm 정도이며, 알긴산 필름의 두께는 약 20 ㎛ 정도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같은 조건으로 제조된 알긴산 필름의 양 쪽면에 PLGA를 전기방사하여 세 층의 PLGA 전기방사 시트/알긴산 필름/PLGA 전기방사 시트 (조직 점착층/윤활층/조직 점착층)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조직유착 방지막의 총 두께는 약 100 ㎛ 정도이고, 전기방사 시트의 두께는 약 40 μm 정도이며, 알긴산 필름의 두께는 약 20 ㎛ 정도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과 같은 조건으로 단층의 PLGA 전기방사 시트를 제조하고, 이를 실시예와 동일한 동물모델로 실험하되, 상처부위에 제조된 PLGA 전기방사 시트 (2cm x 2cm x 100μm, 가로 x 세로 x 높이)를 상처면에 도입하였다.
비교예 2
상품화되어 임상에서 사용되고 있는 유착 방지제 중 분해성 고분자인 셀룰로우스를 산화시켜 제조한 InterceedTM (Johnson & Johnson Medical)를 실시예 1과 동일한 동물모델로 실험하되, InterceedTM (2cm x 2cm, 가로 x 세로)를 상처면에 도입하였다.
실험예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 2의 조직유착 방지막의 조직유착 방지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동물모델 (SD rat)을 이용하였다. 먼저 틸타민/졸라제팜 (10 mg/kg)과 2% 염산질라진 (2 mg/kg)을 혼합 후, 쥐의 하복부에 주사하여 마취를 시행하였다. 마취된 쥐의 복부를 절개하고, 복벽 (peritoneum)의 표피부분에 1 x 1 cm2의 상처를 수술용 칼을 이용하여 형성시키고, 이 상처와 맞닿아 있는 맹장에 표피가 살짝 벗겨질 정도의 상처를 사포를 이용하여 형성시켰다. 상처와 상처 사이에 어떠한 재료도 넣지 않고 봉합한 대조군과 PLGA 전기방사 시트/알긴산 필름 (2 cm x 2 cm x 60 μm, 가로 x 세로 x 높이)을 도입한 실험군으로 나누어 조직유착정도를 확인하였다. 체 내의 상처는 7일 이내에 치유된다고 알려져 있으므로, 수술 7일 경과 후에 조직유착 정도를 확인하였다. 조직유착 정도에 따라 4단계 (0, 1, 2, 3, 숫자가 클수록 유착이 심함)의 유착평가 시스템 (grading system)을 이용하여 그 성적을 합산하고 평균내었으며(A. A. Luciano, et al., "Evaluation of commonly used adjuvants in the prevention of postoperative adhesions", Am. J. Obstet . Gynecol., 146, 88-92, 1983), 그 결과는 도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은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조군 (복벽과 맹장에 상처를 낸 후, 어떠한 처리도 하지 않은 군) 및 비교예 1, 2에 비해 조직 유착이 현저히 감소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도 2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시술 후 7일 경과 후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조직유착방지막이 적용부위에 안정하게 존재하여 조직 유착을 억제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과 비교예 1, 2의 동물실험을 통해 얻은 조직유착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조직 유착방지막을 이용하여 수행된 동물 실험 7일 후 조직 유착방지막의 사진이다.

Claims (5)

  1. 폴리락틱산(poly(lactic acid)), 폴리글리콜산(poly(glycolic acid)), 폴리락틱산-글리콜산 공중합체(poly(lactic acid-co-glycolic acid)), 폴리다이옥산온(polydioxanone),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폴리락틱산-카프로락톤 공중합체(poly(lactic acid-co-ε-caprolactone)), 폴리다이옥산온-카프로락톤 공중합체(poly(dioxanone-ε-caprolactone)), 폴리하이드록시부티릭산-하이드록시발러릭산 공중합체(polyhydroxybutyric acid-co-hydroxyvaleric acid) 및 폴리포스포에스터 poly(phosphoester)) 중에서 선택된 단종 또는 2 종 이상의 생분해성 고분자를 이용하여 제조한 미세섬유형태의 조직 점착층; 및
    알긴산 (alginic acid), 펙틴 (pectin), 카라기난 (carrageenan), 겔란 검 (gelan gum), 카르복시메틸셀룰로우스 (carboxymethyl cellulose), 히알루론산 (hyaluronic acid) 및 덱스트란 (dextran) 중에서 선택된 단종 또는 2 종 이상의 폴리사카라이드계 고분자를 함유하는 윤활층;이 교대로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 조직유착 방지막.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 및 상기 폴리사카라이드계 고분자는 평균분자량 1,000 ~ 1,500,000 g/mo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 조직유착 방지막.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직 점착층은 두께가 0.1 ~ 1,0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 조직유착 방지막.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층은 두께가 1 ~ 1,0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 조직유착 방지막.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구조는
    조직 점착층과 윤활층이 적층된 2층 구조; 또는
    조직 점착층, 윤활층 및 조직 점착층의 순서대로 적층된 3층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 조직유착 방지막.
KR1020080132116A 2008-12-23 2008-12-23 조직 점착층과 윤활층으로 구성된 조직유착 방지막 KR201000734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2116A KR20100073443A (ko) 2008-12-23 2008-12-23 조직 점착층과 윤활층으로 구성된 조직유착 방지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2116A KR20100073443A (ko) 2008-12-23 2008-12-23 조직 점착층과 윤활층으로 구성된 조직유착 방지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3443A true KR20100073443A (ko) 2010-07-01

Family

ID=42636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2116A KR20100073443A (ko) 2008-12-23 2008-12-23 조직 점착층과 윤활층으로 구성된 조직유착 방지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7344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89493A1 (ko) * 2011-12-16 2013-06-20 주식회사 삼양바이오팜 유착방지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유착방지기능을 갖는 수술용 메쉬 복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80015415A (ko) * 2016-08-03 2018-02-13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착 방지 필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89493A1 (ko) * 2011-12-16 2013-06-20 주식회사 삼양바이오팜 유착방지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유착방지기능을 갖는 수술용 메쉬 복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
US10022477B2 (en) 2011-12-16 2018-07-17 Samyang Biopharmaceuticals Corporation Composition for anti-adhesion, surgical mesh composite with anti-adhesion property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reof
KR20180015415A (ko) * 2016-08-03 2018-02-13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착 방지 필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340402A1 (en) Method for the improvement of mesh implant biocompatibility
Konerding et al. Biomechanical and histological evaluation of abdominal wall compliance with intraperitoneal onlay mesh implants in rabbits: a comparison of six different state-of-the-art meshes
WO2006102457A2 (en) Use of fibrous tissue inducing proteins for hernia repair
US20130226313A1 (en) Bioactive Scaffold for Therapeutic and Adhesion Prevention Applications
Vogels et al. A new poly (1, 3-trimethylene carbonate) film provides effective adhesion reduction after major abdominal surgery in a rat model
KR100565881B1 (ko) 생체적합성 공중합체를 이용한 조직유착 방지제
Shi et al. Drug-incorporated electrospun fibers efficiently prevent postoperative adhesion
KR20100073443A (ko) 조직 점착층과 윤활층으로 구성된 조직유착 방지막
KR101163415B1 (ko) 조직유착 방지제 및 이의 제조방법
US20130084324A1 (en) Adhesion prevention fabric
EP3934706B1 (en) Biodegradable two-layered matrix for preventing post-surgical adhesions, in particular in hernia repair
KR20100013658A (ko) 다층구조 조직유착 방지막
Townsend et al. A novel hydrogel-coated polyester mesh prevents postsurgical adhesions in a rat model
KR101016365B1 (ko) 미세분말형 조직 유착 방지제
Gruber-Blum et al. Liquid antiadhesive agents for intraperitoneal hernia repair procedures: Artiss® compared to CoSeal® and Adept® in an IPOM rat model
KR20100013837A (ko) 다층구조 조직유착 방지막
JPH11276572A (ja) ポリ(γ−グルタミン酸)塩複合体からなる医療材料
EP3522945B1 (en) Laminary material for preventing post-surgical adhesions
EP2446905B1 (en) Medical device having anti-scarring properties
dos Santos Application of Anti-Adhesive Barriers in Abdominal Cavity (Mini-Review of Clinical and Experimental Observations)
Hejazi et al. Efficacy of Polypropylene Mesh Coated with Bioresorbable Membrane (Sepramesh) for the Repair of Abdominal Wall Defects in Horses
Carbonell et al. Prosthetic Biomaterials
EP3946150A1 (en) Method of treating or preventing hernia formation
Yasojima et al. Andiroba oil (Carapa guianensis) on ventral hernia repair
Rashid Investigation of effectiveness polypropylene mesh coated bovine amniotic membrane with adhesion barrier (polyethylene glycol) in repair of abdominal wall hernias in ra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