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2429A - Burner for sintering and sinter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Burner for sintering and sinter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2429A
KR20100072429A KR1020080130839A KR20080130839A KR20100072429A KR 20100072429 A KR20100072429 A KR 20100072429A KR 1020080130839 A KR1020080130839 A KR 1020080130839A KR 20080130839 A KR20080130839 A KR 20080130839A KR 20100072429 A KR20100072429 A KR 201000724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sintering
flame
injection
fu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08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090417B1 (en
Inventor
조동원
김윤상
Original Assignee
(주)옥산아이엠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옥산아이엠티 filed Critical (주)옥산아이엠티
Priority to KR1020080130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0417B1/en
Publication of KR20100072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242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0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041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20Non-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on arrival at the combustion zone
    • F23D14/22Non-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on arrival at the combustion zone with separate air and gas feed ducts, e.g. with ducts running parallel or crossing each 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48Nozzles
    • F23D14/58Nozzl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arrangement of the outlet or outlets from the nozzle, e.g. of annular configu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21/00Open or uncovered sintering apparatus; Other heat-treatment apparatus of like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7D99/0001Heating elements or systems
    • F27D99/0033Heating elements or systems using bur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203/00Gaseous fuel burners
    • F23D2203/10Flame diffus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Abstract

PURPOSE: A burner for sintering which reduces incompletely burned fuel and a sinter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re provided to burn mixed material for sintering by increasing the contact area of a transfer passage. CONSTITUTION: A burner for sintering which reduces incompletely burned fuel comprises a fuel injection unit(100), a unit for jetting air for burning, and a flame jetting air for regulating flame. The fuel injection unit comprises a fuel supply pipe(110) and a pair of nozzle pipes(120). A pair of nozzle pipes sprays the fuel provided from the fuel supply pipe. The fuel injection unit generates flame toward the conveying path of the mixing material for sintering by injecting fuel. The unit for jetting air for burning sprays the combustion air for generating flame. The unit for jetting air for regulating flame sprays the jetting air for regulating flame for controlling the contact area of the conveying path and the flame.

Description

소결용 버너 및 이를 구비하는 소결장치{ BURNER FOR SINTERING AND SINTERING APPARATUS }BURNER FOR SINTERING AND SINTERING APPARATUS}

본 발명은 소결용 버너 및 이를 구비하는 소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염분사 구간을 확대함으로써 화염과 소결용 배합원료를 이송하는 이송로와의 접촉면적을 넓혀 완전한 소결을 할 수 있는 소결용 버너 및 이를 구비하는 소결장치에 대한 발명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ntering burner and a sinter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intering which can be completely sintered by expanding the flame spraying section to widen the contact area of the conveying path for transporting the flame and the raw material for sintering. The invention relates to a burner and a sinter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일반적으로 소결(sintering)공정이란 분말체를 적당한 형상으로 가압 성형한 것을 가열하면서 고결시키는 공정으로, 제철공정에 있어서는 미분의 철광석의 융체 형성을 양호하게 하는 각종 부원료와 연료인 코크스(cokes)를 혼합하여 소성시킴으로써 철광석의 용융 결합을 주체로 하는 소결광을 제조하는 것을 말한다.In general, the sintering process is a process of solidifying a powder compacted under pressure into a suitable shape while heating. In the steelmaking process, various sub-materials for improving the fusion formation of fine iron ore and cokes, which are fine materials, are mixed. By sintering to produce a sintered ore mainly composed of molten bonding of iron ore.

즉, 소결공정이란 철광석을 고로에 넣기 전에 파쇄하고 상기 파쇄한 철광석과 상기 각종부원료 및 코크스로 구성된 소결용 배합원료를 소결용 버너를 이용하여 가열함으로써 소결광을 만드는 공정으로, 상기 소결공정을 통해, 제철공정의 결 과물인 철에 그 성상에 영향을 미치는 각종 광물상 및 기공을 포함토록 한다.That is, the sintering process is a process of sintering ore by sintering the iron ore into the blast furnace and heating the sintering compound consisting of the crushed iron ore and the various auxiliary materials and coke using a sintering burner, through the sintering process, Iron, the result of the iron making process, should contain various mineral phases and pores that affect its properties.

그러나 이러한 소결공정에 있어서 상기 소결용 배합원료가 불완전하게 연소되는 경우에는 상기 소결용 배합원료로부터 소결광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는바, 상기 각종 광물상 및 기공이 포함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은 차후 제철공정의 결과물인 철의 품질을 크게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아울러 발생시킨다.However, when the sintering compounding material is incompletely burned in such a sintering process, since the sintered ore is not properly formed from the sintering compounding material, the various mineral phases and pores are not included. This problem also causes a problem of significantly lowering the quality of iron, which is the result of the steelmaking process.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화염분사 구간을 확대함으로써 화염과 소결용 배합원료를 이송하는 이송로와의 접촉면적을 넓혀 소결용 배합원료를 완전하게 연소시킬 수 있는 소결용 버너 및 이를 구비하는 소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overcom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by expanding the flame spraying section,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flame and the conveying path for transporting the blending raw material for sintering is expanded to completely burn the blending raw material for sintering.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urner for sintering and a sinter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소결용 버너의 일실시예는,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공급관과 상기 연료공급관으로부터 공급받은 연료를 분사하는 1쌍의 노즐관을 구비하고 상기 연료를 분사함으로써 소결용 배합원료의 이송로를 향하여 화염을 발생시키는 연료분사부와, 상기 화염의 발생을 위한 연소용 공기를 분사하는 연소용 공기분사부 및 상기 화염과 상기 이송로의 접촉면적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화염 주변에 화염조절용 공기를 분사하는 화염조절용 공기분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e embodiment of the sintering bur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technical problem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with a fuel supply pipe for supplying fuel and a pair of nozzle pipe for injecting the fuel supplied from the fuel supply pipe and the fuel Adjusting the fuel injection unit for generating a flame toward the conveying path of the raw material for sintering by injection, the combustion air injection unit for injecting combustion air for the generation of the flame and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flame and the conveying path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lame control air injection unit for injecting a flame control air around the flam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소결용 버너의 일실시예는, 소결용 배합원료의 이송로를 향하여 만곡된 헤드와 상기 헤드의 일측 및 타측에 마련되어 연료를 분사하는 노즐열을 구비하며 상기 노즐열에 마련된 분사노즐을 통해 연료를 분사하는 1쌍의 노즐관과, 내부 하측에 상기 노즐관이 배치되고 상측에서 하측으로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는 제1덕트와, 상기 제1덕트의 하측에 마련되어 상기 1쌍의 노즐관 사이로 상기 연소용 공기가 분사되는 중앙분사노즐과, 상기 제1덕트의 하측에 마련되어 상기 1쌍의 노즐관 주변으로 상기 연소용 공기가 분사되는 측면분사노즐과, 상기 제1덕트의 외측에 마련되어 상측에서 하측으로 화염조절용 공기를 공급하는 제2덕트와, 상기 화염조절용 공기가 에어커튼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2덕트의 하측에 마련되어 상기 화염조절용 공기를 분사하는 에어커튼용 분사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중앙분사노즐 및 측면분사노즐에서 분사되는 상기 연소용 공기를 이용하여 상기 1쌍의 노즐관에서 분사되는 연료를 연소시킴으로써 화염을 발생하고 상기 에어커튼용 분사노즐에 의해 형성된 상기 에어커튼을 이용하여 상기 발생된 화염과 상기 이송로와의 접촉면적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n embodiment of the sintering bur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ead curved toward the conveying path of the raw material for sintering and a nozzle row provid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head to inject fuel, and the injection provided in the nozzle row. A pair of nozzle tubes for injecting fuel through the nozzle, a first duct disposed inside the lower side and supplying combustion air from an upper side to a lower side, and provided below the first duct; A central injection nozzle through which the combustion air is injected between the nozzle tubes, a side injection nozzle provided below the first duct, and in which the combustion air is injected around the pair of nozzle tubes, and outside the first duct; A second duct for supplying flame control air from an upper side to a lower side, and provided at a lower side of the second duct so that the flame control air forms an air curtain. And an air curtain injection nozzle for injecting air, wherein the flame is generated by burning fuel injected from the pair of nozzle tubes using the combustion air injected from the central injection nozzle and the side injection nozzle. By using the air curtain formed by the spray nozzle for the curtai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rea of contact between the generated flame and the transfer path.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소결용 버너의 일실시예는, 상기 제1노즐열에 마련된 분사노즐과 상기 제2노즐열에 마련된 분사노즐의 분사각도는 상기 헤드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4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n embodiment of the sintering bur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jection angle of the injection nozzles provided in the first nozzle row and the injection nozzles provided in the second nozzle row is 45 ° based on the center of the head.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소결용 버너의 일실시예는, 상기 중앙분사노즐의 일측에 구비된 측면분사노즐 대 상기 중앙분사노즐 대 상기 중앙분사노즐의 타측에 구비된 측면분사노즐의 크기비는 3 대 4 대 3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sintering bur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ize ratio of the side injection nozzl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entral injection nozzle to the side injection nozzle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central injection nozzle to the central injection nozzle is 3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four to three.

또한,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소결장치의 일실시예는, 소결용 배합원료의 이송로를 가로질러 소결용 버너가 병렬로 다수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때, 상기 소결용 버너는 상기 이송로를 향하여 만곡된 헤드와 상기 헤드의 일측 및 타측에 마련되어 연료를 분사하는 노즐열을 구비하며 상기 노즐열에 마련된 분사노즐을 통해 연료를 분사하여 화염을 발생시키는 1 쌍의 노즐관과, 내부 하측에 상기 노즐관이 배치되고 상측에서 하측으로 상기 화염의 발생을 위한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는 제1덕트와 상기 1쌍의 노즐관 사이로 상기 연소용 공기가 분사되도록 상기 덕트의 하측에 마련되는 중앙분사노즐 및 상기 1쌍의 노즐관 주변으로 상기 연소용 공기가 분사되도록 상기 덕트의 하측에 마련되는 측면분사노즐를 구비하는 연소용 공기분사부 및 상기 제1덕트의 외부에 마련되어 상측에서 하측으로 상기 화염과 상기 이송로의 접촉면적을 조절하기 위한 화염조절용 공기를 공급하는 제2덕트 및 상기 화염조절용 공기가 에어커튼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2덕트의 하측에 마련되어 상기 화염조절용 공기를 분사하는 에어커튼용 분사노즐을 구비하는 화염조절용 공기분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n embodiment of the sinte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characterized in that the sintering burner is provided in parallel across the transfer path of the raw material for sintering compound, wherein, The sintering burner has a head curved toward the transfer path and a nozzle row provid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head for injecting fuel, and a nozzle of 1 kŒ that generates a flame by injecting fuel through an injection nozzle provided in the nozzle row. A lower side of the duct such that the combustion air is injected between the tube and the first duct for supplying combustion air for the generation of the flame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and the nozzle tube disposed inside the tube; Side injection nozzles provided in the lower side of the duct so that the combustion air is injected around the central injection nozzle and the pair of nozzle tubes provided in the The second air duct and the flame control air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combustion air injection unit and the first duct to supply flame control air for adjusting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flame and the transfer path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lame control air injection unit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duct provided with a spray nozzle for the air curtain for injecting the flame control air.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소결용 버너 및 이를 구비하는 장치에 의하면, 화염분사구간이 확대됨으로써 화염과 소결용 배합원료를 이송하는 이송로와의 접촉면적이 넓어져 소결용 배합원료가 완전하게 연소된다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burner for sinte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pparatus having the same as described above, the flame spray section is enlarged, so that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flame and the feed path for conveying the sintering compound material is widened, and thus the sintering compound material Has the advantage of completely burning.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In this process, the size or shap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description. In addition, terms that are specifically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operator.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결용 버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결용 버너의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결용 버너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소결용 버너의 저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소결용 버너의 노즐관에 대한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intering bur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sintering bur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lan view of the sintering bur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nozzle tube of a sintering bur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결용 버너(10)는 크게 연료분사부(100)와, 연소용 공기분사부(200) 및 화염조절용 공기분사부(300)을 포함한다.1 to 5, the sintering burn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uel injection unit 100, a combustion air injection unit 200, and a flame control air injection unit 300. do.

상기 연료분사부(100)는 연료를 분사하여 소결용 배합원료의 이송로(P)를 향하여 화염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공급관(110)과 상기 연료공급관(110)으로부터 공급받은 연료를 분사하는 1쌍의 노즐관(120)을 구비한다.The fuel injection unit 100 injects fuel to generate a flame toward the conveying path P of the sintering compound material, and the fuel supplied from the fuel supply pipe 110 for supplying fuel and the fuel supply pipe 110. It is provided with a pair of nozzle pipe 120 for spraying.

이때, 상기 연료공급관(110)은 후술할 제1덕트(210)를 관통하여 배치되고, 상단에는 연료탱크(미도시)와 연결되는 파이프(미도시)와 결합할 수 있도록 플랜지부가 마련되며, 하단에는 후술할 노즐관(120)이 결합된다.In this case, the fuel supply pipe 110 is disposed through the first duct 210 to be described later, the upper end is provided with a flange portion to be coupled to the pipe (not shown) connected to the fuel tank (not shown), the lower end It is coupled to the nozzle pipe 120 to be described later.

이러한 상기 연료공급관(110)은 후술할 노즐관(120)의 일단에 결합되어 연료를 공급할 수 있으나, 후술할 노즐관(120)에 마련된 분사노즐(125,127)에서 분사되 는 연료의 양이 상기 연료공급관(110)과 가까운 측단일수록 많아져서, 각 분사노즐(125,127)마다 분사되는 연료의 양이 동일하지 못하다. 따라서 상기 분사되는 연료의 양을 동일하게 하기 위해서 상기 연료공급관(110)을 후술할 노즐관(120)에 실질적으로 수직되게 마련하는 한편, 후술할 노즐관(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uel supply pipe 110 may be coupled to one end of the nozzle pipe 120 to be described later to supply fuel, but the amount of fuel injected from the injection nozzles 125 and 127 provided in the nozzle pipe 120 to be described later is the fuel. As the side end closer to the supply pipe 110 increases, the quantity of fuel injected for each injection nozzle 125 and 127 is not the same. Therefore, in order to equalize the amount of fuel injected, the fuel supply pipe 110 is provided to be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nozzle pipe 120 to be described later, an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nozzle pipe 120 to be described later.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 large number.

또한, 상기 연료공급관(110)도 후술할 연소용 공기분사부(200) 또는 화염조절용 공기분사부(300)처럼 일체로 형성된 덕트를 통하여 연료를 공급할 수 있으나, 연료의 과다공급을 방지하고 화염발생시의 안정성 문제를 고려하여 다수의 관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uel supply pipe 110 may also supply fuel through a duct integrally formed as the combustion air injection unit 200 or the flame control air injection unit 3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but prevents excessive supply of fuel and generates a flame. In consideration of the stability problem, it is preferable to form a plurality of tubes.

또한, 상기 노즐관(120)은 상기 이송로(P)를 가로질러 구비되고, 상기 이송로(P)의 폭이 작은 경우에는 상기 이송로(P)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반면, 상기 이송로(P)의 폭이 큰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른 소결용 버너(10)를 병렬로 연결하여 상기 노즐관(120) 길이의 합이 상기 이송로(P)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한다.In addition, the nozzle tube 120 is provided across the transfer path P, and when the width of the transfer path P is small, it may be formed to have a length substantially equal to the width of the transfer path P. have. On the other hand, when the width of the conveying path (P) is large, the sintering burn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in parallel so that the sum of the lengths of the nozzle tubes (120) is substantially the width of the conveying path (P). Do the same.

이러한 상기 노즐관(120)은 후술할 중앙분사노즐(230)을 기준으로 대칭되어 1쌍이 마련된다. 이때, 각각의 상기 노즐관(120)은, 상기 이송로(P)를 향하여 만곡된 헤드(122)와, 상기 헤드(122)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연료를 분사하는 제1노즐열(124) 및 상기 헤드(122)의 타측에 마련되어 상기 연료를 상기 제1노즐열(124)과 다른 방향으로 분사하는 제2노즐열(126)을 구비한다.The nozzle pipe 120 is provided with a pair of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entral injection nozzle 230 to be described later. In this case, each of the nozzle pipes 120 includes a head 122 curved toward the transfer path P, a first nozzle row 124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ead 122 to inject the fuel, and The second nozzle row 126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head 122 to inject the fuel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nozzle row 124.

여기서 상기 헤드(122)는 후술할 연소용 공기분사부(200)에서 분사되는 연소 용 공기와 혼합이 용이하도록 상기 이송로(P)를 향하여 만곡되며, 화염에 의하여 열이 집중되는 부분이므로 열에 강한 내열성 소재로 구성된다.Here, the head 122 is curved toward the transfer path P to be easily mixed with the combustion air injected from the combustion air injection unit 2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is resistant to heat because the heat is concentrated by the flame. It is composed of heat resistant material.

또한, 상기 제1노즐열(124) 및 제2노즐열(126)은 상기 헤드(122)를 기준으로 대칭되어 상기 노즐관(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다수의 분사노즐(125,127)이 마련된다. 이때, 상기 제1노즐열(124)에 마련되는 분사노즐(125)은 후술할 측면분사노즐(240)을 향하여 상기 연료를 분사하며, 상기 제2노즐열(126)에 마련되는 분사노즐(127)은 후술할 중앙분사노즐(230)을 향하여 상기 연료를 분사한다. 또한, 상기 제1노즐열(124)에 마련되는 분사노즐(125)과 상기 제2노즐열(126)에 마련되는 분사노즐(127)은 상기 헤드(122)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노즐관(120)의 길이방향으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되어, 연료가 분산되어 분사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first nozzle row 124 and the second nozzle row 126 ar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head 122 and are provided in paralle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nozzle tube 120. (125, 127) are provided. In this case, the injection nozzle 125 provided in the first nozzle row 124 injects the fuel toward the side injection nozzle 24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the injection nozzle 127 provided in the second nozzle row 126. ) Injects the fuel toward the central injection nozzle 230 to be described later. In addition, the injection nozzle 125 provided in the first nozzle row 124 and the injection nozzle 127 provided in the second nozzle row 126 are the nozzle pipe 120 based on the head 122. ) Is arranged in a zigzag sha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fuel is dispersed and injected.

또한, 상기 제1노즐열(124)에 마련되는 분사노즐(125)과 상기 제2노즐열(126)에 마련되는 분사노즐(127)의 연료 분사각도(α,β)는 상기 헤드(122)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45°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다음과 같은 실험결과를 근거로 한다.In addition, the fuel injection angles α and β of the injection nozzle 125 provided in the first nozzle row 124 and the injection nozzle 127 provided in the second nozzle row 126 are the head 122. It is preferable that it is 4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is is based on the following experimental results.

실험
번호
Experiment
number
분사노즐의 각도(°)Injection nozzle angle (°) 화염의
직진성
Flame
Straightness
화염의
안정성
Flame
stability
αα ββ 1One 3030 3030 보통usually 나쁨Bad 22 3030 4545 보통usually 좋음good 33 4545 3030 좋음good 보통usually 44 4545 4545 매우 좋음Very good 매우 좋음Very good 55 4545 6060 좋음good 보통usually 66 6060 4545 보통usually 좋음good 77 6060 6060 나쁨Bad 보통usually

(이때, 상기 실험결과에 있어서, 화염의 직진성이란 화염이 퍼지지 않고 일 직선상으로 발생되는 정도를 의미하며, 화염의 안정성이란 연료와 연소용 공기가 완전히 연소되는 정도를 의미한다.)(At this time, in the above experimental results, the straightness of the flame means the degree to which the flame does not spread and is generated in one straight line, and the stability of the flame means the degree to which the fuel and combustion air are completely burned.)

즉, 상기 제1노즐열(124)에 마련되는 분사노즐(125)의 분사각도(α)를 크게 하는 경우(실험 1 내지 3의 경우)에 있어서는 화염의 직진성은 좋아지나, 화염의 안전성은 나빠지며, 상기 제2노즐열(126)에 마련되는 분사노즐(127)의 분사각도(β)를 크게 하는 경우(실험 5 내지 7의 경우)에 있어서는 이와 반대로 화염의 안정성은 좋아지나, 화염의 직진성은 나빠진다.That is, when the injection angle α of the injection nozzle 125 provided in the first nozzle row 124 is increased (in the case of Experiments 1 to 3), the straightness of the flame is improved, but the safety of the flame is b. In contrast, when the injection angle β of the injection nozzle 127 provided in the second nozzle row 126 is increased (in the case of Experiments 5 to 7), the flame stability is improved on the contrary, but the straightness of the flame Gets worse

또한, 상기 제1노즐열(124)에 마련되는 분사노즐(125)과 상기 제2노즐열(126)에 마련되는 분사노즐(127)의 직경은 후술할 중앙분사노즐(230) 및 측면분사노즐(240)의 크기에 따라 각각 다를 수 있다. 즉, 후술할 중앙분사노즐(230)의 크기가 후술할 측면분사노즐(240)의 크기보다 많이 큰 경우에 있어서는, 연료비 대 연소용 공기비를 맞추기 위하여 상기 제2노즐열(126)에 마련되는 분사노즐(127)이 상기 제1노즐열(124)에 마련되는 분사노즐(125)보다 커야할 것이다.In addition, the diameters of the injection nozzles 125 provided in the first nozzle row 124 and the injection nozzles 127 provided in the second nozzle row 126 are the central injection nozzles 230 and the side injection nozzles,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Each may vary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240. That is, when the size of the central injection nozzle 230 to be described later is larger than the size of the side injection nozzle 240 to be described later, the injection is provided in the second nozzle row 126 to match the fuel ratio to the combustion air ratio The nozzle 127 should be larger than the injection nozzle 125 provided in the first nozzle row 124.

한편, 상기 연소용 공기분사부(200)는 상기 연료분사부(100)에서 분사되는 연료를 연소시키기 위한 연소용 공기를 분사하는 것으로, 제1덕트(210)와, 제1공기공급관(220)과, 중앙분사노즐(230) 및 측면분사노즐(240)을 구비한다.Meanwhile, the combustion air injection unit 200 injects combustion air for burning the fuel injected from the fuel injection unit 100, and includes a first duct 210 and a first air supply pipe 220. And a central injection nozzle 230 and a side injection nozzle 240.

이때, 상기 제1덕트(210)의 내부 상측에는 상기 연료공급관(110)이 관통하여 배치되고, 내부 하측에는 상기 1쌍의 노즐관(120)이 배치되는 한편, 상측에 상기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는 상기 제1공기공급관(220)이 마련된다. 즉, 상기 제1덕 트(210)는 상기 연료분사부(100)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연료분사부(100)에서 연료가 분사되는 방향으로 상기 연소용 공기가 분사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공기공급관(220)의 상단에는 산소의 함유량이 많은 연소용 공기저장탱크(미도시)와 연결되는 파이프(미도시)와 결합할 수 있도록 플랜지부가 마련되며, 하단에는 상기 제1덕트(210)가 결합된다.In this case, the fuel supply pipe 110 is penetrated through the upper side of the first duct 210, and the pair of nozzle pipes 120 are disposed below the inner side of the first duct 210, and the combustion air is supplied to the upper side of the first duct 210. The first air supply pipe 220 is provided. That is, the first duct 210 is formed to surround the fuel injection unit 100, and the combustion air may be injected in the direction in which fuel is injected from the fuel injection unit 100. Here, a flange portion is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first air supply pipe 220 so as to be coupled to a pipe (not shown) connected to a combustion air storage tank (not shown) having a high oxygen content. Duct 210 is coupled.

또한, 상기 중앙분사노즐(230)은 상기 1쌍의 노즐관(120) 사이로 상기 연소용 공기가 분사되도록, 상기 제1덕트(210)의 하측에 배치된 1쌍의 노즐관(120) 사이에 구비된다. 이때, 상기 중앙분사노즐(230)에서 분사되는 연소용 공기는 상기 연료분사부(100)에서 분사되는 연료를 연소시키는 역할을 하는 동시에 상기 헤드(122)의 과열구역을 냉각함으로써 상기 헤드(122)의 수명을 늘리고 질소산화물(NOx)을 줄이는 역할도 한다.In addition, the central spray nozzle 230 is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nozzle tubes 120 disposed below the first duct 210 such that the combustion air is injected between the pair of nozzle tubes 120. It is provided. At this time, the combustion air injected from the central injection nozzle 230 serves to combust the fuel injected from the fuel injection unit 100 and at the same time cools the overheated zone of the head 122. It also plays a role in prolonging the lifespan and reducing NOx.

또한, 상기 측면분사노즐(240)은 상기 1쌍의 노즐관(120) 주변으로 상기 연소용 공기가 분사되도록, 상기 1쌍의 노즐관(120)과 상기 제1덕트(210)의 내부면 사이에 구비된다.In addition, the side injection nozzles 240 are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nozzle tubes 12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duct 210 so that the combustion air is injected around the pair of nozzle tubes 120. Is provided.

이러한 상기 중앙분사노즐(230) 및 측면분사노즐(240)은 상기 노즐관(120)에 인접하여 설치되기 용이하도록 슬릿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슬릿의 길이는 실질적으로 상기 노즐관(120)의 길이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The central injection nozzle 230 and the side injection nozzle 240 is formed in a slit shape to be easily installed adjacent to the nozzle pipe 120, the length of the slit is substantially the length of the nozzle pipe 120 It is preferred that the same as.

즉, 상기 중앙분사노즐(230) 및 측면분사노즐(240)은 상기 1쌍의 노즐관(120) 사이와 주변에 구비되어, 상기 1쌍의 노즐관(120)에서 분사되는 연료로부터 화염이 잘 발생할 수 있도록 상기 연소용 공기를 분사하는 것이다.That is, the central injection nozzle 230 and the side injection nozzle 240 are provided between and around the pair of nozzle pipes 120, so that the flame is well flamed from the fuel injected from the pair of nozzle pipes 120. To inject the combustion air to occur.

이때, 상기 1쌍의 노즐관(120) 사이와 주변으로 분사되는 상기 연소용 공기의 양은 화염의 직진성 및 안정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서, 상기 중앙분사노즐(230) 및 측면분사노즐(240)의 크기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1쌍의 노즐관(120) 사이와 주변으로 분사되는 상기 연소용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mount of the combustion air injected between and around the pair of nozzle tubes 120 is an important factor for determining the straightness and stability of the flame, the central injection nozzle 230 and the plane spray nozzle 240 By adjusting the size ratio,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amount of combustion air that is injected between and around the pair of nozzle tubes 120.

즉, 상기 중앙분사노즐(230)의 일측에 구비된 측면분사노즐(242)의 크기(a) 대 상기 중앙분사노즐(230)의 크기(b) 대 상기 중앙분사노즐(230)의 타측에 구비된 측면분사노즐(244)의 크기(c)의 비율을 조절하여 직진성 및 안정성을 모두 만족시키는 화염을 얻을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실험결과는 아래와 같다.That is, the size (a) of the side injection nozzle 242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entral injection nozzle 230 versus the size (b) of the central injection nozzle 230 versus the other side of the central injection nozzle 230 By adjusting the ratio of the size (c) of the side injection nozzle 244 can be obtained a flame that satisfies both the straightness and stability, the experimental results are as follows.

실험
번호
Experiment
number
연소용 공기분사부의 노즐 크기비Nozzle Size Ratio of Combustion Air Injection 화염의
직진성
Flame
Straightness
화염의
안정성
Flame
stability
aa bb cc 1One 22 55 22 나쁨Bad 나쁨Bad 22 33 44 33 매우 좋음Very good 매우 좋음Very good 33 33 33 33 보통usually 좋음good 44 44 33 44 나쁨Bad 보통usually 55 55 22 55 나쁨Bad 나쁨Bad

상기 실험결과가 보여주는 바와 같이, 상기 중앙분사노즐(230)의 크기(b)가 상기 측면분사노즐(240)의 크기(a,c)보다 매우 큰 경우(실험 1의 경우)에 있어서는, 상기 노즐열(120) 사이에서 많은 공기가 분사되는바, 상기 화염은 일직선상으로 발생하지 않고 양 옆으로 갈라져서 발생하게 되므로 화염의 직진성이 나쁘며, 상기 중앙분사노즐(230) 주변에 연소용 공기의 양이 많아 화염의 안정성도 떨어진다.As the experimental result shows, when the size (b) of the central injection nozzle 230 is much larger than the sizes (a, c) of the side injection nozzle 240 (in case of Experiment 1), the nozzle Since a lot of air is injected between the columns 120, the flame is not generated in a straight line, but is generated by splitting on both sides, so the straightness of the flame is bad, and the amount of combustion air is around the central spray nozzle 230. Many flame stability is also low.

반면, 상기 중앙분사노즐(230)의 크기(b)가 상기 측면분사노즐(240)의 크기(a,c)보다 매우 작은 경우(실험 3 또는 4의 경우)에 있어서는, 상기 노즐열(120) 주변에서 많은 공기가 분사되고 상기 노즐열(120) 사이에는 적은 공기가 분사되는 바, 상기 화염은 상기 이송로(P)로 내려오지 않고 상기 노즐열(120) 주변에서 맴돌게 되므로 화염의 직진성이 나쁘며, 상기 중앙분사노즐(230) 주변에 연소용 공기의 양이 적어 화염의 안정성도 떨어진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ize (b) of the central injection nozzle 230 is very smaller than the size (a, c) of the side injection nozzle 240 (in the case of experiment 3 or 4), the nozzle row 120 Since a lot of air is injected from the surrounding area and a small amount of air is injected between the nozzle rows 120, the flame does not descend to the conveying path P, so that the flame revolves around the nozzle rows 120. It is bad, and the amount of combustion air is small around the central spray nozzle 230, and the flame stability is also lowered.

따라서, 상기 실험결과에 비추어 볼 때, 상기 중앙분사노즐(230)의 일측에 구비된 측면분사노즐(242)의 크기(a) 대 상기 중앙분사노즐(230)의 크기(b) 대 상기 중앙분사노즐(230)의 타측에 구비된 측면분사노즐(244)의 크기(c)의 비율은 3 대 4 대 3이 바람직하다.Therefore, in view of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size (a) of the side injection nozzle 242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entral injection nozzle 230 versus the size (b) of the central injection nozzle 230 versus the central injection The ratio of the size c of the side injection nozzles 244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nozzle 230 is preferably 3 to 4 to 3.

한편, 화염조절용 공기분사부(300)는 상기 화염 주변에 화염조절용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화염과 상기 이송로(P)와의 접촉면적을 조절하는 것으로, 제2덕트(310)와, 제2공기공급관(320) 및 에어커튼용 분사노즐(330)을 구비한다.On the other hand, the flame control air injection unit 300 is to control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flame and the transfer path (P) by injecting the flame control air around the flame, the second duct 310 and the second air supply pipe 320 and an injection nozzle 330 for an air curtain.

이때, 상기 제2덕트(310)는 상기 제1덕트(210)의 외측에 마련되는 것으로, 상측에 상기 제2공기공급관(320)이 구비되고, 하측에 상기 에어커튼용 분사노즐(330)이 구비된다. 즉, 상기 제2덕트(310)는 상기 제1덕트(210)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화염이 발생하는 방향으로 상기 화염조절용 공기가 분사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In this case, the second duct 310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first duct 210, the second air supply pipe 320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and the injection nozzle 330 for the air curtain at the lower side It is provided. That is, the second duct 310 is formed so as to surround the first duct 210, so that the flame control air can be inject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lame occurs.

또한, 상기 제2공기공급관(320)은 상기 제2덕트(210)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상기 화염조절용 공기를 공급하는 것으로, 상단에는 산소의 함유량이 적은 화염조절용 공기저장탱크(미도시)와 연결되는 파이프(미도시)와 결합할 수 있도록 플랜지부가 마련되며, 하단에는 상기 제2덕트(310)가 결합된다.In addition, the second air supply pipe 320 is to supply the flame control air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duct 210, the upper end is connected to a flame control air storage tank (not shown) with less oxygen content The flange is provided to be coupled to the pipe (not shown), the second duct 310 is coupled to the lower end.

또한, 상기 에어커튼용 분사노즐(330)은 상기 화염조절용 공기를 분사하여 에어커튼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제2덕트(310)의 하측에 구비된다. 이때, 상기 에어커튼용 분사노즐(330)은 상기 노즐관(120)보다 상기 이송로(P)에 더 가깝게 위치하도록, 상기 노즐관(120)보다 하측에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에어커튼용 분사노즐(330)을 통해 형성된 상기 에어커튼을 이용하여 상기 화염이 옆으로 퍼져서 분사되는 것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화염과 상기 이송로(P)의 접촉면적을 조절한다.In addition, the air curtain injection nozzle 330 is to form an air curtain by injecting the flame control air, it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duct (310). At this time, the air curtain injection nozzle 330 is disposed below the nozzle pipe 120 to be located closer to the transfer path (P) than the nozzle pipe (120). By using the air curtain formed through the air curtain injection nozzle 330 by controlling the spread of the flame to the side, thereby controlling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flame and the transfer path (P).

이하에서는, 도 6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소결용 버너 및 이를 구비한 소결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때,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소결용 버너에 의한 화염의 분사 정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ure 6b will be described the operation of the sintering burner and the sinter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this time, Figure 6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degree of injection of the flame by the sintering bur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결용 배합원료를 이송하기 전 본 발명에 따른 소결용 버너(10)를 상기 이송로(P)로부터 소정의 높이(h)만큼 이격시켜 설치하고, 상기 연료와 연소용 공기를 분사한다.As shown in Figure 6b, before transporting the sintering compounding material is installed a sintering burn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paced apart from the conveying path (P) by a predetermined height (h), the fuel and combustion Spray the air.

이때, 상기 소정의 높이(h)는 연료의 종류 또는 화염의 세기를 고려하여 조정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소결용 버너(10)가 열에 의하여 손상되지 않으면서도 소결용 배합원료가 완전히 소결될 수 있는 높이이다. 특히, 상기 제1노즐열(124)에 마련된 분사노즐(125)과 상기 제2노즐열(126)에 마련된 분사노즐(127)의 분사각도가 상기 헤드(122)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45°이고, 상기 중앙분사노즐(230)의 일측에 구비된 측면분사노즐(242)의 크기(a) 대 상기 중앙분사노즐(230) 의 크기(b) 대 상기 중앙분사노즐(230)의 타측에 구비된 측면분사노즐(244)의 크기(c)의 비율은 3 대 4 대 3인 경우에는, 상기 소정의 높이(h)가 350㎜인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predetermined height (h) is adjusted in consideration of the type of fuel or flame intensity, the sintering burn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mpletely sintered blending raw material for sintering without being damaged by heat That's the height. In particular, the injection angle of the injection nozzle 125 provided in the first nozzle row 124 and the injection nozzle 127 provided in the second nozzle row 126 is 45 ° based on the center of the head 122. Size (a) of the side injection nozzle 242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entral injection nozzle 230 versus the size (b) of the central injection nozzle 230 versus the other side of the central injection nozzle 230 When the ratio of the size c of the side injection nozzles 244 is 3 to 4 to 3, the predetermined height h is preferably 350 mm.

이와 같이, 상기 연료와 연소용 공기가 분사됨과 동시에, 도 7b에 도시된 점화장치(20)를 이용하여 상기 연료를 점화시켜 화염을 발생토록 한다. 이때, 한 번 점화된 이후로 계속하여 점화시킬 필요는 없다.As described above, the fuel and the combustion air are injected, and the fuel is ignited using the ignition device 20 shown in FIG. 7B to generate a flame. At this time, it is not necessary to continue to ignite after igniting once.

화염이 발생한 이후에는, 상기 화염조절용 공기분사부(300)에서 분사되는 상기 화염조절용 공기를 이용하여 에어커튼을 형성하고, 상기 에어커튼을 이용하여 상기 화염과 상기 이송로(P)의 접촉면적을 조절한다.After the flame is generated, an air curtain is formed using the flame control air injected from the flame control air injection unit 300, and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flame and the transfer path P is formed using the air curtain. Adjust.

이때, 상기 화염조절용 공기분사부(300)에서 분사되는 상기 화염조절용 공기에도 산소가 일부 포함되어 있으므로, 분사되는 연료 중에서 연소하지 않은 일부 연료가 연소될 수도 있음을 고려하여 상기 에어커튼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since the oxygen for the flame control air injected from the flame control air injection unit 300 includes a part of oxygen, forming the air curtain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some of the unburned fuel may be burned in the injected fuel. desirable.

이와 같이, 화염이 일정한 직진성을 갖고 안정되게 형성되는 후에, 상기 이송로(P)를 구동시켜 소결용 배합원료를 이송하여 소결시킨다.As described above, after the flame is stably formed with constant straightness, the transfer path P is driven to transfer and sinter the compounding material for sintering.

이하에서는, 도 7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소결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때,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소결장치의 작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Hereinafter, the sinte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B. At this time, Figure 7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sinte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결장치는, 소결용 배합원료의 이송로(P)를 가로질러 소결용 버너(10)가 병렬로 다수 마련되며, 상기 소결용 버 너(10)의 측부에는 상기 소결용 버너(10)에서 화염이 발생할 수 있도록 점화시키는 점화유닛(20)이 마련된다.As shown in Figure 7b, the sinte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sintering burner 10 is provided in parallel across the feed path (P) of the sintering blending raw material, the sintering burner (10) At the side of the sintering burner 10 is provided with an ignition unit 20 for ignition so that a flame can occur.

이때, 상기 소결용 버너(10)는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것이고, 상기 점화유닛(20)은 일반적인 연소장치에 구비되는 점화유닛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At this time, the sintering burner 10 has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ignition unit 20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ignition unit provided in the general combustion apparatus,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상기 이송로(P)의 폭이 작은 경우에는 상기 소결용 버너(10)의 상기 노즐관(120) 길이를 상기 이송로(P)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마련함으로써 상기 이송로(P)의 측단에 놓여 있는 상기 소결용 배합원료까지 완전히 소결시킬 수 있으나, 상기 이송로(P)의 폭이 큰 경우에는 상기 노즐관(120)의 길이를 상기 이송로(P)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맞추는 것은 어렵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width of the conveying path (P) is small, the length of the nozzle pipe 120 of the sintering burner 10 is provided to b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width of the conveying path (P) to the conveying path (P). The raw material for sintering can be completely sintered up to the compound material for sintering, but when the width of the conveying path P is large, the length of the nozzle tube 120 is substantially equal to the width of the conveying path P. It is difficult to match the same.

따라서, 상기 이송로(P)의 폭이 큰 경우에는, 상기 소결용 버너(10)를 병렬로 다수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노즐관(120) 길이의 합을 상기 이송로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함으로써, 상기 이송로(P)의 측단에 놓여 있는 상기 소결용 배합원료까지 완전히 소결시킨다.Therefore, when the width | variety of the said conveyance path P is large, it is preferable to provide many said sintering burners 10 in parallel. That is, by making the sum of the lengths of the nozzle tubes 120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width of the transfer path, the sintering compounding material placed on the side end of the transfer path P is completely sintered.

이하에서는, 도 6a 내지 도 7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소결용 버너 및 이를 구비하는 소결장치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때, 도 6a는 가상의 소결용 버너에 의한 화염의 분사 정도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소결용 버너에 의한 화염의 분사 정도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7a는 가상의 소결장치 의 작용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소결장치의 작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Hereinafter, the effects of the sintering burner and the sinter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A to 7B. 6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degree of injection of the flame by the sintering burner virtual, Figure 6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degree of injection of the flame by the sintering bur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a is a sintering of the virtual Figure 7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ction of the device, Figure 7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ction of the sinte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a 또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의 소결용 버너 및 이를 구비하는 소결장치에서, 연료분사부(12)는 하나의 노즐을 통해 연료가 하부를 향하여 일직선상으로 분사될 것이므로, 연소용 공기분사부(24)에서 분사되는 연소용 공기와 혼합될 수 있는 시간이 미흡하여 화염이 일정한 직진성을 갖고 안정되게 형성되지 못하는 동시에, 상기 화염의 분사구간(l₁)은 본 발명의 화염 분사구간(l₂)에 비하여 길지 못할 것이다.As shown in Figure 6a or 7a, in the virtual sintering burner and the sinter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the fuel injection unit 12 will be injected in a straight line toward the lower fuel through one nozzle, for combustion Since the time that can be mixed with the combustion air injected from the air spraying unit 24 is insufficient, the flame cannot be stably formed with a constant straightness, and the spray section of the flame is a flame spray s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It will not be as long as l₂).

그러나, 도 6b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결용 버너 및 이를 구비하는 소결장치에 의하면, 상기 연료분사부(100)는 상기 1쌍의 노즐관(120)에 마련된 다수의 분사노즐(125,127)을 통해 연료가 여러 방향으로 분사되므로, 연소용 공기분사부(200)에서 분사되는 연소용 공기와 혼합될 수 있는 시간이 충분하여 화염이 일정한 직진성을 갖고 안정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화염의 분사구간(l₂)은 상기 가상의 소결용 버너 및 이를 구비하는 소결장치의 화염 분사구간(l₁)에 비해 길다.However, as illustrated in FIGS. 6B and 7B, according to the burner for sinte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inter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the fuel injection unit 1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nozzle tubes 120. Since the fuel is injected in various directions through the injection nozzles 125 and 127, a time sufficient for mixing with the combustion air injected from the combustion air injection unit 200 is sufficient, so that the flame is stably formed with a straightness. In addition, the flame spray section l2 is longer than the flame spray section l1 of the virtual sintering burner and the sinter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이러한 화염 분사구간의 차이는 상기 화염과 상기 이송로(P)와의 접촉면적 및 소결용 배합원료의 소결시간의 차이를 가져오므로, 본 발명에 따른 소결용 버너 및 이를 구비하는 소결장치는 가상의 소결용 버너 및 이를 구비하는 소결장치에 비하여 소결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소결용 버너 및 이를 구비하는 소결장치에 의하면, 가상의 소결용 버너 및 이를 구비하는 소결장치에 비하여 상기 화염과 상기 이송로(P)와의 접촉면적이 넓어지며, 일정량의 상기 소결용 배합원료에 대한 소결시간이 상대적으로 길어지므로 완전한 소결이 이루어진다.Since the difference between the flame spraying zones caus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flame and the transfer path P and the sintering time of the compounding material for sintering, the sintering burner and the sinter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virtual. Compared with the sintering burner and the sinter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maximize the sintering efficiency. That is, according to the sintering burner and the sinter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flame and the transfer path (P) is wider than the virtual sintering burner and the sinter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the predetermined amount of the Complete sintering is achieved because the sintering time for the sintering blend is relatively long.

또한, 가상의 소결용 버너 및 이를 구비하는 소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료분사부(12)에서 분사되는 연료와 상기 연소용 공기분사부(24)에서 분사되는 연소용 공기가 혼합되는 공간이 협소하므로, 연소되지 않은 연료가 많이 발생될 것이다. 이러한 상기 연소되지 않은 연료는 화염조절용 공기분사부(13)에서 분사되는 공기에 의해 연소되므로, 상기 화염조절용 공기분사부(13)를 이용하여 상기 화염과 이송로(P)의 접촉면적을 조절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할 것이다.In addition, in the virtual sintering burner and the sinter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 space in which the fuel injected from the fuel injection unit 12 and the combustion air injected from the combustion air injection unit 24 is narrow is mixed. This will generate a lot of unburned fuel. Since the unburned fuel is burned by the air injected from the flame control air spraying unit 13, the flame control air spraying unit 13 is used to adjust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flame and the transfer path P. Difficulties will arise.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소결용 버너 및 이를 구비하는 소결장치에 의하면, 상기 연소용 공기분사부(200)에서 상기 1쌍의 노즐관(120)의 사이와 주변으로 연소용 공기가 분사되는바, 상기 연료분사부(100)에서 분사되는 연료와 혼합되는 공간이 넓으므로, 연소되지 않은 연료가 적게 발생한다. 이는 상기 화염조절용 공기분사부(300)에서 분사되는 공기를 이용하여 상기 화염과 이송로(P)의 접촉면적을 조절하기 용이하도록 한다.However, according to the sintering burner and the sinter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bustion air is injected into and around the pair of nozzle tubes 120 in the combustion air injection unit 200, Since the space to be mixed with the fuel injected from the fuel injection unit 100 is large, less unburned fuel is generated. This makes it easy to adjust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flame and the transport path (P) by using the air injected from the flame control air injection unit (300).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 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nd illustrated in the drawing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only by the matters set forth in the claim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change and chang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various forms. Therefore, such improvements and modifications will fall withi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결용 버너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urner for sinte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결용 버너의 측단면도이다.Figure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burner for sinte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결용 버너의 평면도이다.3 is a plan view of the burner for sinte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소결용 버너의 저면도이다.4 is a bottom view of the burner for sinte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소결용 버너의 노즐관에 대한 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nozzle tube of the sintering bur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a는 가상의 소결용 버너에 의한 화염의 분사 정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6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degree of spraying of a flame by a virtual sintering burner.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소결용 버너에 의한 화염의 분사 정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Figure 6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degree of injection of the flame by the sintering bur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a는 가상의 소결장치의 작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7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virtual sintering apparatus.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소결장치의 작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Figure 7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sinte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P : 이송로 10 : 소결용 버너  P: transfer path 10: sintering burner

20 : 점화유닛 20: ignition unit

100 : 연료분사부 110 : 연료공급관100: fuel injection unit 110: fuel supply pipe

120 : 노즐관 122 : 헤드120: nozzle tube 122: head

124,126 : 노즐열 125,127 : 분사노즐124,126: Nozzle row 125,127: Injection nozzle

200 : 연소용 공기분사부 210 : 제1덕트200: combustion air injection unit 210: first duct

220 : 제1공기공급관 230 : 중앙분사노즐220: first air supply pipe 230: central injection nozzle

240 : 측면분사노즐240: side injection nozzle

300 : 화염조절용 공기분사부 310 : 제2덕트300: flame control air injection unit 310: second duct

320 : 제2공기공급관 330 : 에어커튼용 분사노즐320: second air supply pipe 330: spray nozzle for air curtain

Claims (16)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공급관과 상기 연료공급관으로부터 공급받은 연료를 분사하는 1쌍의 노즐관을 구비하고, 상기 연료를 분사함으로써 소결용 배합원료의 이송로를 향하여 화염을 발생시키는 연료분사부;A fuel injection unit having a fuel supply pipe for supplying fuel and a pair of nozzle pipes for injecting the fuel supplied from the fuel supply pipe, and injecting the fuel to generate a flame toward a transfer path of the sintering compound material; 상기 화염의 발생을 위한 연소용 공기를 분사하는 연소용 공기분사부; 및Combustion air injection unit for injecting combustion air for the generation of the flame; And 상기 화염과 상기 이송로의 접촉면적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화염 주변에 화염조절용 공기를 분사하는 화염조절용 공기분사부;를 포함하는 소결용 버너.Sintering burner comprising a; flame control air injection unit for injecting flame control air around the flame to adjust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flame and the transfer path.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연료공급관은, 상기 노즐관에 실질적으로 수직되게 마련되고, 상기 노즐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다수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결용 버너.The fuel supply pipe is provided to be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nozzle tube, a plurality of burners for sintering,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nozzle tube.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각각의 노즐관은,Each nozzle tube, 상기 이송로를 향하여 만곡된 헤드와, 상기 헤드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연료를 분사하는 제1노즐열 및 상기 헤드의 타측에 마련되어 상기 연료를 상기 제1노 즐열과 다른 방향으로 분사하는 제2노즐열을 구비하며,A head curved toward the transfer path, a first nozzle row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ead to inject the fuel and a second nozzle row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head to inject the fuel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nozzle row; Equipped with 상기 제1노즐열 및 제2노즐열에는 상기 노즐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분사노즐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결용 버너.Sintering bur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nozzle row and the second nozzle row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injection nozzl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nozzle tube.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제1노즐열에 마련된 분사노즐과 상기 제2노즐열에 마련된 분사노즐은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결용 버너.The injection nozzle provided in the first nozzle row and the injection nozzle provided in the second nozzle row are sintered burners, characterized in that arranged in a zigzag shape.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제1노즐열에 마련된 분사노즐과 상기 제2노즐열에 마련된 분사노즐의 분사각도는 상기 헤드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4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결용 버너.And an injection angle of the injection nozzles provided in the first nozzle row and the injection nozzles provided in the second nozzle row is 45 ° based on the center of the head.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1쌍의 노즐관은, 상기 이송로를 가로질러 구비되고, 상기 이송로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결용 버너.The pair of nozzle tubes are provided across the transfer path, and are formed to have a length substantially equal to the width of the transfer path.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연소용 공기분사부는,The combustion air injection unit, 내부 상측에 상기 연료공급관이 관통하여 배치되고, 내부 하측에 상기 1쌍의 노즐관이 배치되는 제1덕트와,A first duct in which the fuel supply pipe penetrates an upper portion of the inner side, and the pair of nozzle tubes are disposed in the lower side of the inner side; 상기 제1덕트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는 제1공기공급관과,A first air supply pipe for supplying combustion air from an upper side to a lower side of the first duct; 상기 제1덕트의 하측에 마련되어, 상기 1쌍의 노즐관 사이로 상기 연소용 공기가 분사되는 중앙분사노즐과,A central injection nozzle provided below the first duct, in which the combustion air is injected between the pair of nozzle tubes; 상기 제1덕트의 하측에 마련되어, 상기 1쌍의 노즐관 주변으로 상기 연소용 공기가 분사되는 측면분사노즐을 구비하는 소결용 버너.A sintering burner provided below the first duct and having side injection nozzles through which the combustion air is injected around the pair of nozzle tubes.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중앙분사노즐 및 측면분사노즐은 슬릿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결용 버너.The central injection nozzle and the side injection nozzle is a sintered bur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lit shape.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중앙분사노즐의 일측에 구비된 측면분사노즐 대 상기 중앙분사노즐 대 상기 중앙분사노즐의 타측에 구비된 측면분사노즐의 크기비는 3 대 4 대 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결용 버너.Sintering bur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ize ratio of the side injection nozzl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entral injection nozzle to the side injection nozzle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central injection nozzle to the central injection nozzle is 3 to 4 to 3.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화염조절용 공기분사부는,The flame control air injection unit, 상기 제1덕트의 외측에 마련되는 제2덕트와, 상기 제2덕트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화염조절용 공기를 공급하는 제2공기공급관 및 상기 화염조절용 공기가 에어커튼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2덕트의 하측에 마련되는 에어커튼용 분사노즐을 구비하며,The second duct provided outside the first duct, the second air supply pipe for supplying the flame control air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duct and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duct so that the flame control air forms an air curtain Equipped with a spray nozzle for the air curtain provided in, 상기 에어커튼을 이용하여 상기 연로분사부에서 발생된 화염과 상기 이송로의 접촉면적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결용 버너.Sintering burner, characterized in that for using the air curtain to adjust the contact area of the flame and the transfer path generated in the fuel injection portion. 소결용 배합원료의 이송로를 향하여 만곡된 헤드와 상기 헤드의 일측 및 타측에 마련되어 연료를 분사하는 노즐열을 구비하며, 상기 노즐열에 마련된 분사노즐을 통해 연료를 분사하는 1쌍의 노즐관;A pair of nozzle tubes each having a curved head toward the transfer path of the sintering compound raw material and a nozzle row provid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head for injecting fuel, and injecting fuel through the injection nozzles provided in the nozzle row; 내부 하측에 상기 노즐관이 배치되고 상측에서 하측으로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는 제1덕트;A first duct disposed at an inner lower side and supplying combustion air from an upper side to a lower side; 상기 제1덕트의 하측에 마련되어, 상기 1쌍의 노즐관 사이로 상기 연소용 공 기가 분사되는 중앙분사노즐;A central injection nozzle provided below the first duct, in which the combustion air is injected between the pair of nozzle tubes; 상기 제1덕트의 하측에 마련되어, 상기 1쌍의 노즐관 주변으로 상기 연소용 공기가 분사되는 측면분사노즐;A side injection nozzle disposed below the first duct, in which the combustion air is injected around the pair of nozzle tubes; 상기 제1덕트의 외측에 마련되어 상측에서 하측으로 화염조절용 공기를 공급하는 제2덕트;A second duct provided at an outer side of the first duct to supply flame control air from an upper side to a lower side; 상기 화염조절용 공기가 에어커튼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2덕트의 하측에 마련되어 상기 화염조절용 공기를 분사하는 에어커튼용 분사노즐;을 포함하며,And a spray nozzle for air curtain provided at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duct to inject the flame control air to form an air curtain. 상기 중앙분사노즐 및 측면분사노즐에서 분사되는 상기 연소용 공기를 이용하여 상기 1쌍의 노즐관에서 분사되는 연료를 연소시킴으로써 화염을 발생하고, 상기 에어커튼용 분사노즐에 의해 형성된 상기 에어커튼을 이용하여 상기 발생된 화염과 상기 이송로와의 접촉면적을 조절하는 소결용 버너.Flame is generated by burning fuel injected from the pair of nozzle tubes using the combustion air injected from the central injection nozzle and the side injection nozzle, and using the air curtain formed by the injection nozzle for the air curtain. The burner for sintering to adjust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generated flame and the transfer path. 제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분사노즐의 분사각도는 상기 헤드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4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결용 버너.The injection angle of the injection nozzle is a sintering burner, characterized in that 45 ° relative to the center of the head.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1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1 or 12, 상기 중앙분사노즐의 일측에 구비된 측면분사노즐 대 상기 중앙분사노즐 대 상기 중앙분사노즐의 타측에 구비된 측면분사노즐의 크기비는 3 대 4 대 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결용 버너.Sintering bur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ize ratio of the side injection nozzl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entral injection nozzle to the side injection nozzle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central injection nozzle to the central injection nozzle is 3 to 4 to 3. 소결용 배합원료의 이송로를 가로질러 소결용 버너가 병렬로 다수 마련되며,A plurality of sinter burners are provided in parallel across the conveying path of the sintering compound raw material, 상기 소결용 버너는,The burner for sintering, 상기 이송로를 향하여 만곡된 헤드와 상기 헤드의 일측 및 타측에 마련되어 연료를 분사하는 노즐열을 구비하며, 상기 노즐열에 마련된 분사노즐을 통해 연료를 분사하여 화염을 발생시키는 1쌍의 노즐관;A pair of nozzle tubes provided with a head curved toward the transfer path and nozzle rows provid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head and injecting fuel through the injection nozzles provided in the nozzle rows; 내부 하측에 상기 노즐관이 배치되고 상측에서 하측으로 상기 화염의 발생을 위한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는 제1덕트와, 상기 1쌍의 노즐관 사이로 상기 연소용 공기가 분사되도록 상기 덕트의 하측에 마련되는 중앙분사노즐 및 상기 1쌍의 노즐관 주변으로 상기 연소용 공기가 분사되도록 상기 덕트의 하측에 마련되는 측면분사노즐를 구비하는 연소용 공기분사부; 및The nozzle tube is disposed inside the lower side and provided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of the duct to inject the combustion air for the generation of the flame from the upper side, and the combustion air is injected between the pair of nozzle tube Combustion air injection unit having a central injection nozzle and a side injection nozzle provided in the lower side of the duct so that the combustion air is injected around the pair of nozzle tube; And 상기 제1덕트의 외부에 마련되어 상측에서 하측으로 상기 화염과 상기 이송로의 접촉면적을 조절하기 위한 화염조절용 공기를 공급하는 제2덕트 및 상기 화염조절용 공기가 에어커튼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2덕트의 하측에 마련되어 상기 화염조절용 공기를 분사하는 에어커튼용 분사노즐을 구비하는 화염조절용 공기분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결장치.A second duct provided outside the first duct to supply flame control air for adjusting a contact area between the flame and the transfer path from an upper side to a lower side, and the flame control air forms an air curtain; Sintering apparatus comprising a; flame control air injection unit provided on the lower side having a spray nozzle for the air curtain for injecting the air for controlling the flame. 제1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소결용 버너의 노즐관 길이의 합은 상기 이송로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결장치.The sum of the nozzle tube lengths of the sintering burners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width of the conveying path. 제1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소결용 버너의 측부에 구비되어, 상기 소결용 버너에서 화염이 발생할 수 있도록 점화시키는 점화유닛을 더 포함하는 소결장치.Sintering apparatus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burner for sintering, further comprising an ignition unit for ignition so that a flame can occur in the sintering burner.
KR1020080130839A 2008-12-22 2008-12-22 Burner for sintering and sintering apparatus KR10109041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0839A KR101090417B1 (en) 2008-12-22 2008-12-22 Burner for sintering and sinter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0839A KR101090417B1 (en) 2008-12-22 2008-12-22 Burner for sintering and sintering apparatus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3032A Division KR100894039B1 (en) 2008-12-24 2008-12-24 Burner for sinter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2429A true KR20100072429A (en) 2010-07-01
KR101090417B1 KR101090417B1 (en) 2011-12-07

Family

ID=42635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0839A KR101090417B1 (en) 2008-12-22 2008-12-22 Burner for sintering and sinter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0417B1 (en)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8374Y1 (en) * 1996-11-21 2001-04-02 신승근 Slit Burners for Direct Sinter Ignition Furna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0417B1 (en) 2011-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45841A (en) Apparatus or method for carrying out combustion in a furnace
EP1867923B1 (en) Coanda gas burner apparatus and methods
US10240779B2 (en) Low NOx burner for ethylene cracking furnaces and other heating applications
RU2011111723A (en) METHOD FOR GENERATING COMBUSTION BY THE BURNER ASSEMBLY AND THE BURNER ASSEMBLY
US6334770B1 (en) Fluid-fuel furnace burner for iron and steel products
KR100770625B1 (en) Furnace combustion system and method for combusting a fuel in a furnace
KR101959098B1 (en) Radiant wall burner unit
KR100894039B1 (en) Burner for sintering
KR101090417B1 (en) Burner for sintering and sintering apparatus
KR101328255B1 (en) Burner using more than two gases having a different burning speed
CN105209825B (en) Using high temperature FGR and the super low NOx combustion apparatus of Coanda effect
JP2006132826A (en) Igniting multi-burner and ignition system for sintering machine, and method of heating sintered raw material
KR101729201B1 (en) Oxy fuel burner
TW201910275A (en) Method and burner assembly for combusting a fuel gas with an oxidant
JP5202594B2 (en) Regenerative combustion apparatus and heating furnace
KR100657864B1 (en) Oxyfuel Burner With High Speed Injection
KR200218374Y1 (en) Slit Burners for Direct Sinter Ignition Furnaces
WO2022249047A1 (en) Burner,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firing of ceramic articles
KR101471636B1 (en) Pellet Combustion Device and Method for Low-Emission
KR101497450B1 (en) Burner for the heating furnace
KR101236689B1 (en) Low nitrogen oxide burner
KR100920805B1 (en) wide flame combustor
KR100560814B1 (en) Two-staged low NOx burner equipped with single biased primary air nozzle
KR100432161B1 (en) Preheation method of sintering mixture raw material and the system thereof
JPH0230718Y2 (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