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0792A - 극세사 함유 편물지 - Google Patents

극세사 함유 편물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0792A
KR20100070792A KR1020080129494A KR20080129494A KR20100070792A KR 20100070792 A KR20100070792 A KR 20100070792A KR 1020080129494 A KR1020080129494 A KR 1020080129494A KR 20080129494 A KR20080129494 A KR 20080129494A KR 20100070792 A KR20100070792 A KR 201000707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fiber
yarn
region
knitted fabric
containing kn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9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형
Original Assignee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94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70792A/ko
Priority to PCT/KR2008/007551 priority patent/WO2009082136A1/en
Priority to CN200880122535.9A priority patent/CN101903578B/zh
Publication of KR20100070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07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16Cloths; Pads; Spon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4Frames for mops; Mop heads
    • A47L13/254Plate frames
    • A47L13/255Plate frames for mops of textile fringes or the 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7/00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 C11D17/04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combined with or containing other objects
    • C11D17/049Cleaning or scouring pads; Wip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02Pile fabrics or articles having similar surface features
    • D04B1/04Pile fabrics or articles having similar surface features characterised by thread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9/12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with provision for incorporating pile thread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9/00Medical; Hygie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극세사 함유 편물지에 있어서, 형태안정을 위한 바닥사 및 단위영역 형태를 이루는 파일사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단위영역은 식정성, 닦임성, 흡수성이 제공되는 극세사가 포함된 제1영역 62~75 중량%, 패드가 잘 밀리도록 하는 제2영역 25~38 중량% 이 포함되며, 상기 단위영역이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극세사 함유 편물지를 제공한다.
극세사, 편물지, 패드,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식정성

Description

극세사 함유 편물지{A CLOTH FOR KNITTING HAVING MICROFIBER}
본 발명은 청소용 패드 등에 사용되는 극세사 함유 편물지에 관한 것으로 청소시 큰힘을 들이지 않더라도 쉽게 밀리면서도 안정적으로 먼지 및 이물질을 닦아낸 후 재탈락되지 않는 식정성이 우수한 극세사 함유 편물지에 관한 것이다.
가정, 사무실의 방이나 마루, 유리 등을 청소하기 위해 섬유재질의 청소용 패드를 사용하거나 청소용 밀대에 청소용 패드를 부착하여 적정량의 물을 함습하여 사용하고, 청소가 끝난 후에서는 청소용 패드를 부리하여 세척하고 건조하여 보관하였다. 근래에 들어서는 사용하기 편리한 청소용 도구가 속속 개발되어 출시되고 있으며, 특히 벨크로(velcro)를 이용하여 청소용 패드를 청소용 밀대에 부착하여 청소용 패드의 탈부착을 쉽게 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켰다.
상기 청소용 패드는 극세사를 사용한 제품이 많이 출시되고 있으며, 청소용 패드에 극세사를 사용하면 청소면의 접촉면적이 높아져 먼지 및 오물을 픽업(Pick up) 하는 능력이 뛰어나고 재탈락 하지 않아 청소 효율이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극세사로 나일론(Nylon)과 폴리에스테르(Polyester)로 구성된 NP 분할형 복합사가 사용되었다.
이에 대한민국 특허발명 제257806호에 있어서, 0.06~0.5데니어의 다양한 섬도의 극세사가 공존하는 폴리에스테르 용출형 극세사와 건열수축율이 25 내지 35%인 폴리에스테르 고수축사를 공기 혼섬 교락하여 제편후 용출형 극세사를 극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포지의 제조방법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제조된 청소용 포지가 청소에 적용될 경우, 먼지 또는 오물의 제거는 우수하지만, 청소 시 포지를 밀고 당겨 사용하게 되는데, 상기 포지는 강도가 부족하여 상기 극세사가 쉽게 닳게 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힘도 더 들게 된다.
상기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3-94342호에서는 피케 편성 패턴을 포함하는 일정 패턴으로 편성된 마이크로섬유 청소용 천이 제안된 바 있다. 상기 패턴의 천은 밀고 당기는 회수를 줄여도 식정성이 양호한 효과가 있으나, 극세사만으로는 천의 내구성이 낮고, 약한 힘으로 찌든 때의 제거가 부족한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적은 힘을 사용하여 하면서도 청소효율이 뛰어난 식정성이 우수한 극세사 함유 편물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극세사 함유 편물지는 다른 특성을 가지는 두개의 영역이 직선 또는 파형의 형태로 제직되어 문질러 닦을 시 밀고 당기는 회수를 적게 해도 먼지 또는 오물이 말끔히 제거되고, 힘이 덜들며, 내구성이 탁월한 효과가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극세사 함유 편물지에 있어서, 형태안정을 위한 바닥사 및 단위영역 형태를 이루는 파일사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단위영역은 식정성, 닦임성, 흡수성이 제공되는 극세사가 포함된 제1영역 62~75 중량%, 패드가 잘 밀리도록 하는 제2영역 25~38 중량% 이 포함되며, 상기 단위영역이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극세사 함유 편물지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극세사는 NP 분할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세사 함유 편물지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단위영역이 직선 또는 파형을 그리며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극세사 함유 편물지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파형은 물결파형, 사각파형 또는 지그재그형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극세사 함유 편물지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단위영역에서, 각 영역의 파일의 길이가 제1영역>제2영역이 되도록 제직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극세사 함유 편물지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바닥사는 총섬도가 100 내지 200D인 고신축사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극세사 함유 편물지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고신축사는 스판덱스, 탄성사, 잠재권축사, 기계적 크림프사로 이루어진 군에서 1 이상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극세사 함유 편물지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바닥사는 폴리우레탄계, 폴리에스테르계 및 아크릴계 섬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1 이상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극세사 함유 편물지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영역은 총섬도가 100 내지 400D인 합연사임을 특징으로 하는 극세사 함유 편물지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2영역은 총섬도가 100 내지 200D인 폴리에스테르계 가공사가 포함된 합연사임을 특징으로 하는 극세사 함유 편물지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극세사 함유 편물지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편물지층; 상기 편물지층의 이면에 수분 또는 유분의 흡수를 위해 발포형 중합체, 스펀지 또는 부직포웨브(Web)로 구성되는 흡수층; 및 상기 흡수층의 이면에 벨크로, 단추, 지퍼 또는 끈을 달아 세척이 편리하게 하기 위해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탈부착층이 포함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패드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극세사 함유 편물지는 청소용 패드에 관련하여 설명하되, 용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극세사 함유 편물지의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극세사 함유 편물지는 단위영역 100이 반복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위영역 100은 각기 다른 재질의 파일로 구성된 제1영역 110, 제2영역 120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극세사 함유 편물지는 모양이 유지되도록 형태안정성을 제공해주는 바닥사 및 단위영역 형태를 이루는 파일사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단위영역 100에 있어서, 제1영역 110은 62~75 중량%, 제2영역 120은 25~38 중량%가 포함되며, 각 영역의 파일 길이가 제1영역 110>제2영역 120으로 루프파일 또는 커트루프 파일 형태로 제직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극세사는 통상적으로 0.5 데니어(Denier;D)이하의 섬유로 해도사, 나일론(Nylon)과 폴리에스테르(Polyester)로 구성된 NP 분할사, 폴리에스테르(Polyester)와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로 구성된 PP 분할사 등의 분할형 분할사 등 0.5 데니어이하의 극세사는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으나 나일론(Nylon)과 폴리에스테르(Polyester)로 구성된 분할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극세사 함유 편물지의 상기 단위영역 100은 제1영역 110, 제2영역 120이 반복적으로 직선형 또는 파형을 그리며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바닥사는 총섬도가 100 내지 200 데니어인 고신축사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고신축사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계, 폴리폴리에스테르(Polyester)계 및 아크릴(Acryl)계 섬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1 이상 선택되어 스판덱스, 잠재권축사, 기계적 크림프사로 이루어진 군에서 1 이상 선택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hylene terephthalate;PET) 고신축사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영역 110은 0.5데니아 이하의 극세사를 합연사로 제조하여 총섬도가 100 내지 400 데니어 (Denier;D)로 제조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는 나일론(Nylon)과 폴리에스테르(Polyester)로 구성된 분할형 복합사의 분할사가 포함된 연신가공사(Draw Textured Yarn;DTY)가 포함된 합연사로서, 특히 150D/72F인 나일론(Nylon)과 폴리에스테르(Polyester) 분할사의 연신가공 사 2~3가닥으로 이루어진 합연사가 바람직하고, 극세사로 흡수성, 촉감성, 닦임성이 우수하다.
상기 제1영역 110은 62 중량%미만으로 구성될 경우, 닦임성 또는 흡수성이 낮아질 우려가 있으며, 75 중량%를 초과하면, 닦을 때 누르는 힘이 더 들어갈 수가 있으며, 내구성이 부족하다.
또한, 상기 제2영역 120은 총섬도가 100 내지 200D인 폴리에스테르계 가공사가 포함된 합연사로서, 특히 150D/48F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PET) 연신가공사 2~3가닥으로 이루어진 합연사가 바람직하고, 청소 시 편물지가 잘 밀리도록 하고, 머금어진 먼지 또는 오물이 탈착되지 않도록 하며, 파일로 형성된 줄의 배열형태가 흐트러지지 않도록 보호해 주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제2영역 120이 25 중량%미만인 경우, 상기 제1영역 110의 파일의 배열 형태가 유지되지 않아 닦을 때 밀고 당기는 횟수가 더 늘게 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영역 120이 38 중량%를 초과하면, 닦임성 및 흡수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도 2의 (a) 내지 (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극세사 함유 편물지 파일의 형태이다. 상기 도2(a)의 직선형은 각 영역이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닦임성이 우수하게 제공된다. 또한, 도2의 (c) 내지 (d)의 상기 파형은 물결파형, 사각파형 또는 지그재그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파형으로 파일이 형성되면 접촉 면적이 높아져 문질러 닦을 시 밀고 당기는 회수 및 강도가 줄어들게 되며, 닦임성 및 식정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영역 110, 제2영역 120의 파일 길이는 제1영역 110을 제2영역보다 길게 하여 제1영역의 사이의 공기층을 형성하여 편물지가 잘 밀리도록 하고 이무질을 제1영역 110에서 상기 쓸어내려져서 밀린 이물질을 흡수하거나 떨어지지 않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청소용 패드의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극세사 함유 편물지가 사용되어 이루어진 물품 중의 하나인 청소용 패드 10은 지지체 20에 탈부착되어 사용되며, 패드층 11, 흡수층 13 및 탈부착층 15가 포함될 수 있다. 우선, 상기 패드층 11은 바닥 또는 청소부위와 직접적으로 맞닿는 부분으로 본 발명의 극세사 함유 편물지가 적용될 수 있으며, 최적의 식정성을 제공하기 위해 루프파일(Loop Pile) 또는 커트루프파일(Cut Loop Pile) 형태로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파일 형태는 식정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파일의 반발 탄성이 높아 기모가 잘 서고 쿠션력이 우수하며, 촉감이 좋은 이점이 있다.
상기 탈부착층의 일면에 흡수층 13이 포함될 수 있는데, 상기 흡수층 13은 수분 또는 유분의 흡수를 위해 발포형 중합체, 스펀지 또는 부직포웨브(Web)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흡수층의 일면에 탈부착층 15가 포함될 수 있는데, 상기 탈부착층 15는 벨크로, 단추, 지퍼 또는 끈을 달아 세척이 편리하게 하기 위해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청소용 패드 10은 패드층, 흡수층, 탈부착층 순서대로 겹쳐 한꺼번에 박음질하여 가장자리 부분을 마감하여 완성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극세사 함유 편물지는 다른 성질의 기능이 다른 두개의 영역이 직선 또는 파형의 형태로 제직되어 문질러 닦을 시 밀고 당기는 회수를 적게 해도 먼지 또는 오물이 말끔히 제거되고, 힘이 덜들며, 내구성이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세탁에도 용이하며, 수세 시에도 편물지가 머금은 오물이 쉽게 제거되는 효과가 있다.
하기의 실시예를 통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실시예 1
극세사 함유 편물지로 패드층을 형성하고, 상기 패드층의 이면에 저밀도 3차원 입체 부직포 웹을 사용하여 흡수층을, 상기 흡수층의 이면에 벨크로 시트로 탈부착층을 순서대로 적층하여 한꺼번에 박음질하고, 가장자리를 마감하여 직사각형 청소용 패드를 완성시키되, 상기 극세사 함유 편물지의 패드층은 150D/48F인 PET 고신축 연신가공사가 포함된 바닥사 및 단위영역을 이루는 파일사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단위영역은 극세사인 150D/72F 나일론(Nylon)과 폴리에스테르(Polyester) 분할사의 연신가공사 2가닥의 합연사를 72 중량%로 제1영역을 구성 시키고, 150D/48F인 PET 연신가공사로 구성된 3합연사 28 중량%로 제2영역을 구성시키고, 파일루프로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지그재그 형태로 각 파일의 길이가 제1영역>제2영역이 되도록 제직하여 반복단위로 완성하여 중량이 570 g/sm인 원단으로 구성시켰다.
비교예 1
실시예 1과 동일하되, PP 분할사로 패드층을 형성하고 및 폴리에스테르를 바닥사로 구성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과 동일하되, 80D/20F 나일론/PET 분할형 극세사로 패드층을 형성하고 폴리에스테르를 바닥사로 구성하였다.
비교예 3
3M MicroFiber Pads를 사용하였다.
비교예 4
Johnson Diversity MicroFiber Pads를 사용하였다.
비교예 5
Tuway MicroFiber Pads를 사용하였다.
* 시험방법
1. Drag Test(끌기 시험)
우선, 건조시편의 무게를 측정하고, 비닐바닥에 염소계 세척제 혼합용 액(Quat,3M 2 oz./1 gallon water)을 도포시켜 놓고, 와이퍼(Tuff mate wiper)로 세척액을 닦은 후, 다시 극세사 패드로 남은 물기 및 먼지를 닦아낸다. 청소용 지지체에 청소용 패드 건조시편을 부착하여 30 °기울어진 상태로 상기 바닥면을 2 발자국 범위 만큼 밀고 당기며 청소한다. 이 때 최대 게이지 압력 및 장력을 기록한다. 이후, 청소용 지지체에 3.5 lbs. 무게를 추가시켜 60 °기울여 상기 방법으로 시험한다. 또한, 염소계 세척제 용액에 건조 시편의 2.00~2.50배 정도가 되도록 청소용 패드 시편을 적셔 습윤시편을 준비하여 무게를 측정한다. 이후, 상기 무게가 추가된 60 °기울어진 상태로 시험한다. 상기 시험은 각 시편 3개씩 3번 시험하여 평균 수치를 기록한다.
Drag Test (Pull/Push)
구분 Dry Weight(g) Wet Weight
(g)
30°Dry Average
(lb.)
60°Dry Weighted
(lb.)
60°Wet Weight
(lb.)
실시예 1 85.79 270.16 0.52/0.71 2.40/4.97 2.43/5.01
비교예 1 78.67 259.67 0.60/0.84 2.56/5.39 3.38/6.98
비교예 2 84.33 265.33 0.57/0.97 3.01/7.51 3.49/7.31
비교예 3 103.33 336.87 0.59/1.26 3.22/9.42 3.40/6.60
비교예 4 87.67 285.79 0.62/0.79 2.54/5.24 2.54/5.24
비교예 5 55.00 179.30 0.58/0.86 2.78/5.54 2.88/5.19
2. Dust Test (먼지 시험)
우선, 건조시편의 무게를 측정하고, 바닥 상에 시험 영역을 구획하여 표시해둔다. 염소계 세척제 혼합용액(Quat,3M 2 oz./1 gallon water)을 도포시켜 놓고, 와이퍼(Tuff mate wiper)로 세척액을 닦은 후, 다시 극세사 패드로 남은 물기 및 먼지를 닦아낸다. 상기 표시된 시험영역의 중심부에 1 oz.의 먼지를 놓고, 상기 시험영역 바깥쪽에 먼지분산상자(Dust spread box)에 압축공기 라인 및 노즐을 연결하여 먼지파일 상에 아래로 직접 공기를 분무하여 먼지가 고르게 분산되도록 한다.
이후, 먼지가 비닐바닥에 가라앉도록 약 5분정도 가만히 둔다. 시험 표면의 바닥먼지 기준을 측정한다. 이후, 표준시료로서 뒷면에 접착제가 있는 시험편을 먼지감지기(Dust Detector)에서 떼어내어 바닥에 놓는다. 상기 시험편에 골고루 먼지가 잘 붙도록 롤러를 사용하여 표면 위를 반드럽게 한다. 시험편을 떼어내고 먼지감지기에 넣고 %차를 측정한다. 한편, 염소계 세척제 용액에 건조 시편의 2.00~2.50배 정도가 되도록 청소용 패드 시편을 적셔 습윤시편을 준비하여 무게를 측정한다. 이후, 3.5 lbs. 의 무게가 추가된 지지체에 상기 시편을 장착시켜 수직의 하중이 더해지지 않도록 수평으로 당겨 닦아낸다. 상기 바닥먼지 기준을 다시 만든 후, 상기 시험을 반복하여 수치를 기록한다.
Dust Test
구분 Dry
Weight(g)
Dust
Floor Strip
Clean
Floor Strip
Difference Floor Clean
(%)
실시예 1 85 16.7 0.0 16.7 99.84
비교예 1 79 18.5 2.7 15.8 85.41
비교예 2 85 16.9 0.0 16.9 99.88
비교예 3 103 19.9 4.3 15.6 78.39
비교예 4 89 21.1 1.1 20.0 94.79
비교예 5 58 20.6 4.0 16.6 80.58
3. Stain Test(얼룩 시험)
우선, 건조시편의 무게를 측정하고, 비닐바닥에 염소계 세척제 혼합용액(Quat,3M 2 oz./1 gallon water)을 도포시켜 놓고, 와이퍼(Tuff mate wiper)로 세척액을 닦은 후, 다시 극세사 패드로 남은 물기 및 먼지를 닦아낸다. 얼룩 영역은 하기와 같이 준비한다. 바닥에 우유 한 방울씩 3 방울을 떨어뜨리되, 18 인치(inch)인 청소용 패드가 한 발자국을 이루도록 3 방울이 6 인치 간격으로 한 방울씩 평행선으로 떨어뜨린다. 상기 콜라 및 케첩도 우유 옆 1 인치 간격으로 떨어뜨린다. 상기 얼룩을 4시간 동안 건조시킨다. 한편, 염소계 세척제 용액에 건조 시편의 2.00~2.50배 정도가 되도록 청소용 패드 시편을 적셔 습윤시편을 준비하여 무게를 측정한다. 이후, 3.5 lbs. 의 무게가 추가된 지지체에 상기 시편을 장착시켜 수직의 하중이 더해지지 않도록 수평으로 한 발자국만큼 얼룩 앞뒤로 당겨서 닦아낸다. 얼룩이 없어지는 동안의 당기는 교차회수를 센다.
Stain Test
구분 Dry Weight(g) Wet Weight
(g)
Milk Cleaned Coke Cleaned Ketchup Cleaned
실시예 1 85 271 5 3 7
비교예 1 79 260 9 5 13
비교예 2 84 265 9 5 11
비교예 3 103 337 9 8 10
비교예 4 88 286 6 4 8
비교예 5 55 179 10 4 15
4. Absorbency Test (흡수 시험)
우선, 건조시편의 무게를 측정하고, 물이 들어있는 용기에 시편을 담그고, 시편이 편평하게 펴지면 시편을 건져낸 후, 시편에서 물이 똑똑 떨어지지 않을 때까지 물 바로 위에서 편평하게 들고 있는데, 이 때 시편의 무게를 측정한다. 또한, 물이 담긴 용기 바로 위에서 짧은 날로 물이 떨어지지 않을 때까지 시편을 들고 있으며, 이 때 시편의 무게도 측정한다.
Absorbency Test
구분 Dry Weight
(g)
Flat/Edge
Wet Weight
(g)
Weight Dif.
(g)
%Dif.
실시예 1 85 453.2/320.4 368.2/235.4 4.33/2.76
비교예 1 76 323.0/250.0 247.0/174.0 3.3/2.3
비교예 2 84 440.0/294.0 356.0/210.0 4.2/2.5
비교예 3 104 510.0/362.0 406.0/258.0 3.9/2.5
비교예 4 88 354.0/226.0 266.0/138.0 3.0/1.6
비교예 5 53 274.0/197.0 221.0/144.0 4.2/2.7
상기 표 1 내지 4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극세사 함유 패드는 기존의 제품에 비해 청소를 하는데 있어서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었으며, 상기의 특성이 요구되는 곳이면 어디든 적용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극세사 함유 편물지의 평면도.
도 2의 (a) 내지 (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극세사 함유 편물지 파일의 형태.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청소용 패드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 청소용 패드 11: 패드층
13: 흡수층 15: 탈부착층
20: 지지체 100: 단위영역
110: 제1영역 120: 제2영역

Claims (11)

  1. 극세사 함유 편물지에 있어서,
    형태안정을 위한 바닥사 및 단위영역 형태를 이루는 파일사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단위영역은 식정성, 닦임성, 흡수성이 제공되는 극세사가 포함된 제1영역 62~75 중량%, 패드가 잘 밀리도록 하는 제2영역 25~38 중량% 이 포함되며, 상기 단위영역이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극세사 함유 편물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극세사는 NP 분할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세사 함유 편물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영역이 직선 또는 파형을 그리며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극세사 함유 편물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은 물결파형, 사각파형 또는 지그재그형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극세사 함유 편물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영역에서, 각 영역의 파일의 길이가 제1영역>제2영역이 되도록 제직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극세사 함유 편물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사는 총섬도가 100 내지 200D인 고신축사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극세사 함유 편물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신축사는 스판덱스, 탄성사, 잠재권축사, 기계적 크림프사로 이루어진 군에서 1 이상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극세사 함유 편물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사는 폴리우레탄계, 폴리에스테르계 및 아크릴계 섬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1 이상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극세사 함유 편물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은 총섬도가 100 내지 400D인 합연사임을 특징으로 하는 극세사 함유 편물지.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영역은 총섬도가 100 내지 200D인 폴리에스테르계 가공사가 포함된 합연사임을 특징으로 하는 극세사 함유 편물지.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극세사 함유 편물지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패드층;
    상기 패드층의 이면에 수분 또는 유분의 흡수를 위해 발포형 중합체, 스펀지 또는 부직포웨브(Web)로 구성되는 흡수층; 및
    상기 흡수층의 이면에 벨크로, 단추, 지퍼 또는 끈을 달아 세척이 편리하게 하기 위해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탈부착층이 포함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 패드.
KR1020080129494A 2007-12-21 2008-12-18 극세사 함유 편물지 KR20100070792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9494A KR20100070792A (ko) 2008-12-18 2008-12-18 극세사 함유 편물지
PCT/KR2008/007551 WO2009082136A1 (en) 2007-12-21 2008-12-19 A cloth for knitting having microfiber
CN200880122535.9A CN101903578B (zh) 2007-12-21 2008-12-19 具有微细纤维的针织布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9494A KR20100070792A (ko) 2008-12-18 2008-12-18 극세사 함유 편물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0792A true KR20100070792A (ko) 2010-06-28

Family

ID=42368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9494A KR20100070792A (ko) 2007-12-21 2008-12-18 극세사 함유 편물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7079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147329A1 (en) Upkeep article
US7917985B2 (en) Wipes with hair and large particle pick-up capabilities
EP1250413B1 (en) Floor cleaning sheet
US20120060312A1 (en) Cleaning tool
EP3316757B1 (en) Cleaning article having multi-layer gather strip element
WO2009082136A1 (en) A cloth for knitting having microfiber
US7861358B2 (en) Hand towel with attached scrubber
US20140020199A1 (en) Multipurpose Cleaning Pad
US20110314625A1 (en) Cleaning glove with agitating feature
MX2007013322A (es) Miembro de limpieza y articulo de lavado.
EP2359732B1 (en) Mop head cover for use with a flat mop device
EP3322324B1 (en) Cleaning pad
KR101051789B1 (ko) 용출사 함유 패드
AU2001248672B2 (en) Knitted microfiber cleaning cloth
KR20100070792A (ko) 극세사 함유 편물지
KR20100070793A (ko) 극세사 함유 편물지
KR100980114B1 (ko) 용출사 함유 패드를 포함하는 물품
AU2001248672A1 (en) Knitted microfiber cleaning cloth
EP2398370B1 (en) Long-lasting mop
JP2017086317A (ja) 洗浄具
JP2009249794A (ja) クリーナー
US11771790B2 (en) Pre-saturated disinfecting disposable microfiber wipes
CA2413780A1 (en) Universal cleaning and polishing pad
KR20150007663A (ko) 청소걸레용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3147393A1 (en) Floor cleaning pa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10922

Effective date: 20120418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122 Written withdrawal of action (patent cou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