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0681A - 반사형 편광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반사형 편광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0681A
KR20100070681A KR1020080129336A KR20080129336A KR20100070681A KR 20100070681 A KR20100070681 A KR 20100070681A KR 1020080129336 A KR1020080129336 A KR 1020080129336A KR 20080129336 A KR20080129336 A KR 20080129336A KR 20100070681 A KR20100070681 A KR 201000706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thin film
metal thin
photosensitive material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9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1101B1 (ko
Inventor
신부건
김태수
김재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080129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1101B1/ko
Publication of KR201000706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06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1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11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7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 H01L21/033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inorganic layers
    • H01L21/0334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inorganic layer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orientation, disposition, behaviour, shape, in horizontal or vertical plane
    • H01L21/0338Process specially adapted to improve the resolution of the mask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7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 H01L21/033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inorganic layers
    • H01L21/0334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inorganic layer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orientation, disposition, behaviour, shape, in horizontal or vertical plane
    • H01L21/0337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inorganic layer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orientation, disposition, behaviour, shape, in horizontal or vertical plan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involved to create the mask, e.g. lift-off masks, sidewalls, or to modify the mask, e.g. pre-treatment, post-treat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사형 편광판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S11) 투명 기재 상부면에, 제1금속재로 이루어진 금속박막층 및 감광재층이 순차로 상향 적층된 적층물에 대해 레이저 빔으로 선택적으로 노광시키고, 이후 현상액으로 현상하여 감광재층을 감광재 패턴층으로 변형시키는 단계; (S12) 상기 감광재 패턴층의 노출된 상부면 및 측벽면을 감싸도록 제2금속재로 이루어진 식각마스크층을 형성하는 단계; (S13) 상기 금속박막층의 상부면이 선택적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감광재 패턴층과 상기 감광재 패턴층과 면하여 접촉되어 있는 식각마스크층을 현상액으로 현상하여 동시에 제거하는 단계; (S14) 상기 금속박막층 상부에 잔존하는 식각마스크층을 마스크로 이용하되, 상기 제1금속재의 식각속도가 상기 제2금속재의 식각속도보다 작게 진행되는 식각제를 이용하여 상기 노출된 금속박막층을 건식 식각하여 금속박막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금속박막의 패턴 형성 과정에 비하여 보다 높은 종횡비를 갖는 패턴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감광재층을 두껍게 형성하지 않아도 되며, 종횡비가 높은 금속박막 패턴이 형성되면, 디스플레이장치의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전력손실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편광판, 리프트오프, 식각마스크, 건식식각, 레이저빔, 디스플레이

Description

반사형 편광판의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of reflective type polarizer}
본 발명은 반사형 편광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레이저간섭 노광으로 감광재 박막을 노광, 현상하여 얻어진 감광재 패턴 상에 식각마스크 층을 형성하고 리프트오프 방법에 의해 식각마스크 패턴을 형성하여 금속 박막을 식각하면 종래에 비해 종횡비가 상대적으로 큰 와이어 그리드(wire grid) 반사형 편광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미세한 선형의 금속 패턴이 일정간격을 가지고 규칙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와이어 그리드(wire gird) 편광판은 자외선 또는 적외선 영역에서의 편광 특성이 요구되거나 내열성이 필요한 응용분야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와이어 그리드 편광판은 요오드 염착된 일반 편광판의 경우, 목표한 편광은 투과하고 나머지 편광은 흡수하는 것과는 달리, 목표한 편광은 투과하고 나머지 편광은 반사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때 반사된 편광을 다시 재사용함으로써 액정 디스플레이의 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각별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한편, 액정 디스플레이에서 이러한 특성을 보이기 위해서는 전체 가시광 영역에서 투명한 와이어 그리드 편광판이 필요하다.
따라서, 가시광 영역에서 편광 특성을 가지는 와이어 그리드 편광판을 만드는 다양한 방법이 연구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종래의 방법은 진공증착된 금속박막 위에 유기물 패턴을 형성한 후, 그 유기물 패턴을 이용하여 금속 박막을 식각하는 것이다. 이때, 기판은 유리 같이 가시광 영역에서 투명한 재료를 사용한다. 진공 증착되는 금속박막으로는 전체 가시광 영역에서 반사율이 높은 알루미늄이 주로 사용되며 패턴 형성용 유기물은 주로 감광재를 이용하여 간섭 노광법으로 노광하고 현상액으로 노광된 부분을 현상하여 패턴을 형성한다. 금속박막은 일반적으로 건식식각을 이용하여 식각되며 식각 후 얻어지는 금속 패턴은 감광재 패턴에 따라 결정된다. 건식식각을 하는 이유는 이방성 식각이 필요하기 때문인데 습식식각 같은 등방성 식각 공정의 경우 깊이 방향으로의 식각 속도와 폭 방향으로의 식각 속도가 같아 선폭이 좁고 깊이가 깊은 금속 패턴을 얻을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5는 종래의 와이어 그리드 편광판을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 흐름에 따른 단면도들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투명기판(101) 상부에 금속박막(102), 반사방지층(103) 및 감광재층(104)을 순차로 적층하였다. 즉 유리와 같은 가시광 영역에서 투명기판(101) 상에 스퍼터를 이용하여 금속 박막(102)을 증착시켰다. 일반적으로 가시광 영역에서의 반사율이 높은 알루미늄이 사용된다. 금속박막(102) 상에는 반사방지층(103)과 감광재층(104)가 차례로 적층되며, 스핀코팅법을 이용하여 적층하였다. 상기 반사방지층(103)은, 감광재층(104)의 노광시, 감광재층(104)에 입사되 는 빔과 금속박막(102)에 의해 반사된 빔 사이의 정상파 발생을 최소화 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입사빔과 반사빔 간의 정상파가 발생하면 감광재층 내부에 두께방향으로 밝기가 밝고 어두운 간섭패턴이 발생하며 이 간섭패턴은 두께 방향으로 감광재를 노광시켜 감광재 패턴 벽멱의 평탄성을 떨어뜨려, 패턴을 손상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방법에서는 반사방지층(103)을 금속박막(102) 상부에 적층시켜, 금속박막(102)으로부터 반사되는 빛을 최소화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적층물의 상부에서, 감광재층(104)에 대해 일정한 패턴을 이루도록 레이저빔을 조사한다. 이러한 레이저빔을 이용한 레이저 간섭 노광 방법은 레이저에서 출사된 빔이 빔스플리터를 이용하여 2개의 빔으로 나뉘어지고, 특정 각도를 유지한 상태로 동일 공간에서 만나게 하면 그 특정 각도에 따라 결정되는 일정 간격의 밝고 어두운 간섭 패턴이 규칙적으로 형성되는 현상을 이용하는 노광방법이다. 이러한 방법을 이용하면 일반적인 노광장치에서는 얻을 수 없는 미세한 패턴을 얻을 수 있다. 레이저 간섭법으로 얻어지는 패턴은 노광에 사용된 레이저의 파장의 1/2에 가까운 피치를 형성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레이저 간섭 패턴을 이용하여 노광된 감광재층(도 1의 104)을 현상액으로 현상하면 밝은 부분에 노광된 감광재가 현상액에 녹아 제거되면서 감광재 패턴(104a)이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감광재 패턴(104a)은 노광에 사용된 간섭패턴과 동일한 피치를 가지게 되며, 예를 들어 400 nm 파장의 레이저를 사용하였을 경우 그 선폭이 최소 200 nm에 가까운 패턴을 얻을 수 있다.
상기 감광재 패턴(104a)을 식각 마스크로 이용하여 건식식각을 진행하면 반사방지층 패턴(도 3의 103a)가 형성되며, 상기 반사방지층패턴(도 3의 103a)을 식각마스크로 이용하여 연속적인 건식 식각이 진행되면, 그 하부의 금속박막(도 3의 102)은 간섭 패턴에 의해 형성된 감광막 패턴(도 2의 104a)과 동일한 형태의 최종적인 금속박막 패턴(도 5의 102b)을 얻을 수 있다. 이때, 금속박막(도 3의 102)을 건식 식각되어 금속박막 패턴(도 4의 102a)이 형성될 때, 반사방지층 패턴(103b)도 함께 식각이 이루어진다.
도 4는 건식 식각이 진행되는 경과에 따라 반사방지층패턴(103b)의 일부가 금속박막패턴(102a)의 상부에 남아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반사방지층패턴(103b)이 금속박막패턴(102a)에서 완전히 제거되는 시점에 금속박막패턴(102b)이 완전하게 형성됨으로써(도 5), 금속박막패턴(102b)의 상부면이 식각의 영향을 받지 않는 것이다. 만일, 금속밤막패턴(도 5의 102b)이 완전히 형성되기 전에 그 상부의 반사방지층패턴(103b)이 식각에 의해 제거되는 경우에는 식각되지 안하야 하는 금속박막패턴(102b)의 상부면에 대한 식각이 진행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반사방지층 패턴의 식각이 상대적으로 느리게 진행되거나 그 두께가 두꺼워야 하지만, 통상 반사방지층은 유기물질로 형성되며, 반사방지층 패턴 역시 감광재층의 패턴에 의해 결정되므로 그 두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없는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금속박막패턴(102b)의 종횡비를 일정 비율 이상 높이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러한 기술적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이 진행되어 왔으나, 구체적인 해결책이 제시되지 못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반사형 편광판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시하게 되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감광재패턴을 제거함과 동시에 식각마스크층을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리프트오프법에 의해 금속식각마스크를 형성함으로써, 종래의 감광재층 및 반사방지층을 식각마스크로 이용한 건식식각에 의한 금속박막패턴 형성 방법에 비하여, 식각 깊이가 더 깊으며, 종횡비가 높은 고정세의 형상을 갖는 미세한 금속박막패턴을 형성하고자 함에 있으며, 이라한 과제를 달성할 수 있는 반사형 편광판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반사형 편광판 제조 방법의 하나는, (S11) 투명 기재 상부면에, 제1금속재로 이루어진 금속박막층 및 감광재층이 순차로 상향 적층된 적층물에 대해 레이저 빔으로 선택적으로 노광시키고, 이후 현상액으로 현상하여 감광재층을 감광재 패턴층으로 변형시키는 단계; (S12) 상기 감광재 패턴층의 노출된 상부면 및 측벽면을 감싸도록 제2금속재로 이루어진 식각마스크층을 형성하는 단계; (S13) 상기 금속박막층의 상부면이 선택적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감광재 패턴층과 상기 감광재 패턴층과 면하여 접촉되어 있는 식각마스크층을 현상액으로 현상하 여 동시에 제거하는 단계; (S14) 상기 금속박막층 상부에 잔존하는 식각마스크층을 마스크로 이용하되, 상기 제1금속재의 식각속도가 상기 제2금속재의 식각속도에 비해 1 내지 10% 정도 작은 식각제를 이용하여 상기 노출된 금속박막층을 건식 식각하여 금속박막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S11)단계의 금속박막층 상에 적층하는 감광재층은, 스핀코팅법, 슬릿코팅법, 및 딥코팅법 중 선택된 하나의 코팅 방법에 의해 형성되면 바람직하다. 상기 (S12)단계의 식각마스크층은, 크롬(Cr), 이산화실리콘(SiO2), 및 질화실리콘(SiN) 중 선택된 하나의 금속물질로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상기 (S12)단계의 식각마스크층은, 스퍼터링 증착법, 전자빔증착법, 및 열진공증착법 중 선택된 하나의 증착 방법에 의해 형성되면 바람직하다. 상기 (S13)단계는, 상기 (S12)단계 이후에 감광재 패턴층을 유기용매에 노출시켜 진행하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반사형 편광판 제조 방법의 다른 하나는, (S21) 투명 기재 상부면에, 제1금속재로 이루어진 금속박막층 및 감광재층이 순차로 상향 적층된 적층물에 대해 레이저 빔으로 선택적으로 1차 노광시키고, 이후 현상액으로 현상하여 감광재층을 감광재 패턴층으로 변형시키는 단계; (S22) 상기 감광재 패턴층을 전면 노광하여 2차 노광시키는 단계; (S23) 상기 감광재 패턴층의 노출된 상부면 및 측벽면을 감싸도록 제2금속재로 이루어진 식각마스크층을 형성하는 단계; (S24) 상기 금속박막층의 상부면이 선택적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노광된 감광재 패턴층과 상기 감광재 패턴층과 면하여 접촉되어 있는 식각마스크층을 현상액으로 현상하여 동시에 제거하는 단계; (S25) 상기 금속박막층 상부에 잔존하는 식각마스크 층을 마스크로 이용하되, 상기 제1금속재의 식각속도가 상기 제2금속재의 식각속도에 비해 1 내지 10 % 정도 작은 식각제를 이용하여 상기 노출된 금속박막층을 건식 식각하여 금속박막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S21)단계의 금속박막층 상에 적층하는 감광재층은, 스핀코팅법, 슬릿코팅법, 및 딥코팅법 중 선택된 하나의 코팅 방법에 의해 형성되면 바람직하다. 상기 (S23)단계의 식각마스크층을 이루는 제2금속재는, 크롬(Cr), 이산화실리콘(SiO2), 및 질화실리콘(SiN) 중 선택된 하나의 금속물질로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상기 (S23)단계의 식각마스크층은, 스퍼터링 증착법, 전자빔증착법, 및 열진공증착법 중 선택된 하나의 증착 방법에 의해 형성되면 바람직하다. 상기 (S24)단계는, 상기 (S23)단계 이후에 감광재 패턴층을 현상하여 진행하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유기물층인 감광재층 및 반사방지층을 순차로 적층한 후, 건식 식각에 의해 그 하부에 노출된 금속박막의 패턴 형성 과정에 비하여 보다 높은 종횡비를 갖는 패턴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감광재층을 두껍게 형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그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간섭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반사방지층을 적층하지 않아도 되므로 공정 단순화를 이룰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또한, 종횡비가 높은 금속박막 패턴이 형성되면, 디스플레이장치의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전력손실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고,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 6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르는 반사형 편광판을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 단면도들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투명기판(201) 상부에 금속박막(202), 및 감광재층(203)을 순차로 적층하였다. 투명기판(201) 상에 스퍼터나 전자빔 또는 열 진공증착을 통하여 금속 박막(102)을 형성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스퍼터를 이용하여 알루미늄 금속박막을 증착하였다. 일반적으로 가시광 영역에서의 반사율이 높은 알루미늄이 많이 사용되지만, 적용 용도에 따라 다른 금속이 사용 가능함은 자명하다. 금속박막(202) 상에는 감광재층(104)이 스핀코팅법에 의해 적층되어 있으나, 슬릿 코팅법 또는 딥 코팅법 등의 다양한 코팅법에 의해 감광재층(104)을 적층할 수도 있다.
도 6에 도시된 적층물의 상부에서, 감광재층(203)에 대해 일정한 패턴을 이루도록 레이저빔을 조사한다. 이러한 레이저빔을 이용한 레이저 간섭 노광 방법은 레이저에서 출사된 빔이 빔스플리터를 이용하여 2개의 빔으로 나뉘어지고, 특정 각도를 유지한 상태로 동일 공간에서 만나게 하면 그 특정 각도에 따라 결정되는 일 정 간격의 밝고 어두운 간섭 패턴이 규칙적으로 형성되는 현상을 이용하는 노광방법이다. 이러한 방법을 이용하면 일반적인 노광장치에서는 얻을 수 없는 미세한 패턴을 얻을 수 있다. 레이저 간섭법으로 얻어지는 패턴은 노광에 사용된 레이저의 파장의 1/2에 가까운 피치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 1 내지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종래의 방법에서와 달리 감광재층(203)을 두껍게 형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그로 인해 발생되는 정상파 간섭에 의한 감광재패턴이 변형되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채택한 반사방지층을 필요로 하지 않아 공정상 간편한 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노광 후, 현상액으로 현상하면, 도 7과 같은 감광재패턴(203a)이 금속박막(202) 상부에 형성된다(도 7). 이후, 도 8에서와 같이, 감광재패턴(203a) 및 노출된 금속박막(202)을 감싸도록 크롬(Cr), 이산화실리콘(SiO2), 또는 질화실리콘(SiN) 등의 물질로 이루어진 식각마스크층(204)을 스퍼터법에 의해 증착시킨다(도 8). 이러한 증착은, 전자빔증착, 열진공증착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진행할 수도 있다. 상기 식각마스크층(204)의 금속재료는 후속되는 금속박막에 대한 식각시 식각 속도가 매우 낮은 재료를 사용하면 종래에 비하여 종횡비가 큰 금속박막패턴을 제조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 식각마스크층(204)을 증착한 후 감광재 패턴(203a)을 유기용매를 이용해 제거하는 방법으로 진행할 수도 있으며, 상기 식각마스크층(204)을 증착하기 전에 미리 노광을 진행한 후 식각마스크층(204)을 증착하고 이후 현상액에 담궈 현상해 내면 감광재패턴(203a)이 제거되면서 감광재패턴(203a) 표면에 증착되어 있던 식각마스크층(204)이 선택적으로 동시에 제거된다. 이러한 방법을 리프트 오프 공 정이라고 하며, 이렇게 식각마스크층(204)의 일부가 제거되면 식각마스크패턴(204a)이 금속박막(202) 상부면에 형성된다(도 9). 이러한 식각마스크패턴(204a)은 감광재패턴(도 8의 203a)이 없었던 곳의 금속박막(202) 상부에 선택적으로 남아있게 된다. 이렇게 형성된 식각마스크패턴(204a)을 마스크로 이용하여 금속박막(202)을 건식식각하면 간섭 패턴에 의해 형성된 패턴과 반대 형태의 금속박막패턴(202b)을 얻을 수 있다(도 11 참조). 한편, 금속박막(202a)에 대한 건식 식각이 진행되면서, 식각마스크패턴(204a)도 동시에 식각이 이루어지지만, 금속박막에 대한 상대적인 식각 속도가 매우 낮은 재료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식각마스크패턴(204a)을 이루는 금속재에 대한 건식 식각 속도는 금속박막(202)을 이루는 금속재에 대한 식각 속도의 1 내지 10 % 정도 작으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식각 속도에 대한 수치 범위를 만족하여야 금속박막(202a)이 원하는 깊이까지 식각될때까지 식각마스크패턴(204a)가 금속박막패턴(202a) 상부에 계속 잔존하여(도 10 참조), 금속박막패턴의 상부면이 식각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금속박막패턴(202b)의 종횡비를 종래의 방법에 비해 높게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종횡비가 높은 금속박막 패턴이 구비된 편광판을 채택한 디스플레이장치는, 그 휘도가 향상되며, 전력손실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최적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 기 위해 사용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내지 도 5는 종래의 와이어 그리드 편광판을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 흐름에 따른 단면도들이다.
도 6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르는 반사형 편광판을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 단면도들이다.

Claims (10)

  1. (S11) 투명 기재 상부면에, 제1금속재로 이루어진 금속박막층 및 감광재층이 순차로 상향 적층된 적층물에 대해 레이저 빔으로 선택적으로 노광시키고, 이후 현상액으로 현상하여 감광재층을 감광재 패턴층으로 변형시키는 단계;
    (S12) 상기 감광재 패턴층의 노출된 상부면 및 측벽면을 감싸도록 제2금속재로 이루어진 식각마스크층을 형성하는 단계;
    (S13) 상기 금속박막층의 상부면이 선택적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감광재 패턴층과 상기 감광재 패턴층과 면하여 접촉되어 있는 식각마스크층을 현상액으로 현상하여 동시에 제거하는 단계;
    (S14) 상기 금속박막층 상부에 잔존하는 식각마스크층을 마스크로 이용하되, 상기 제1금속재의 식각속도가 상기 제2금속재의 식각속도에 비해 1 내지 10 % 정도 작은 식각제를 이용하여 상기 노출된 금속박막층을 건식 식각하여 금속박막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편광판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11)단계의 금속박막층 상에 적층하는 감광재층은, 스핀코팅법, 슬릿코팅법, 및 딥코팅법 중 선택된 하나의 코팅 방법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편광판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12)단계의 식각마스크층을 이루는 제2금속재는, 크롬(Cr), 이산화실리콘(SiO2), 및 질화실리콘(SiN) 중 선택된 하나의 금속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편광판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12)단계의 식각마스크층은, 스퍼터링 증착법, 전자빔증착법, 및 열진공증착법 중 선택된 하나의 증착 방법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편광판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13)단계는, 상기 (S12)단계 이후에 감광재 패턴층을 유기용매에 노출시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편광판 제조방법.
  6. (S21) 투명 기재 상부면에, 제1금속재로 이루어진 금속박막층 및 감광재층이 순차로 상향 적층된 적층물에 대해 레이저 빔으로 선택적으로 1차 노광시키고, 이후 현상액으로 현상하여 감광재층을 감광재 패턴층으로 변형시키는 단계;
    (S22) 상기 감광재 패턴층을 전면 노광하여 2차 노광시키는 단계;
    (S23) 상기 감광재 패턴층의 노출된 상부면 및 측벽면을 감싸도록 제2금속재로 이루어진 식각마스크층을 형성하는 단계;
    (S24) 상기 금속박막층의 상부면이 선택적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노광된 감광재 패턴층과 상기 감광재 패턴층과 면하여 접촉되어 있는 식각마스크층을 현상액으로 현상하여 동시에 제거하는 단계;
    (S25) 상기 금속박막층 상부에 잔존하는 식각마스크층을 마스크로 이용하되, 상기 제1금속재의 식각속도가 상기 제2금속재의 식각속도에 비해 1 내지 10 % 정도 작은 식각제를 이용하여 상기 노출된 금속박막층을 건식 식각하여 금속박막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편광판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21)단계의 금속박막층 상에 적층하는 감광재층은, 스핀코팅법, 슬릿코팅법, 및 딥코팅법 중 선택된 하나의 코팅 방법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편광판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23)단계의 식각마스크층을 이루는 제2금속재는, 크롬(Cr), 이산화실리콘(SiO2), 및 질화실리콘(SiN) 중 선택된 하나의 금속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편광판 제조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23)단계의 식각마스크층은, 스퍼터링 증착법, 전자빔증착법, 및 열진 공증착법 중 선택된 하나의 증착 방법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편광판 제조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24)단계는, 상기 (S23)단계 이후에 감광재 패턴층을 현상하여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형 편광판 제조방법.
KR1020080129336A 2008-12-18 2008-12-18 반사형 편광판의 제조방법 KR1011311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9336A KR101131101B1 (ko) 2008-12-18 2008-12-18 반사형 편광판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9336A KR101131101B1 (ko) 2008-12-18 2008-12-18 반사형 편광판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0681A true KR20100070681A (ko) 2010-06-28
KR101131101B1 KR101131101B1 (ko) 2012-04-03

Family

ID=42368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9336A KR101131101B1 (ko) 2008-12-18 2008-12-18 반사형 편광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110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19723A (zh) * 2017-08-02 2017-09-2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金属光栅的制作方法、金属光栅及显示装置
US10216040B2 (en) 2015-02-04 2019-02-26 Samsung Display Co., Ltd. Cholesteric liquid crystal reflective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1197A (ko) 2017-01-05 2018-07-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편광판 제조방법 및 편광판을 구비하는 표시장치
KR102060551B1 (ko) 2017-08-16 2020-02-11 주식회사 엘지화학 회절 격자 도광판용 몰드 기재의 제조방법 및 회절 격자 도광판의 제조방법
KR102273971B1 (ko) 2017-10-20 2021-07-07 주식회사 엘지화학 파라데이 상자를 이용한 플라즈마 식각 방법
KR102273970B1 (ko) 2017-12-26 2021-07-07 주식회사 엘지화학 파라데이 상자를 이용한 플라즈마 식각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49944A (en) 1973-02-28 1977-09-20 Hughes Aircraft Company Process for fabricating small geometry semiconductive devices including integrated components
US6122103A (en) * 1999-06-22 2000-09-19 Moxtech Broadband wire grid polarizer for the visible spectrum
US7351346B2 (en) * 2004-11-30 2008-04-01 Agoura Technologies, Inc. Non-photolithographic method for forming a wire grid polarizer for optical and infrared wavelength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16040B2 (en) 2015-02-04 2019-02-26 Samsung Display Co., Ltd. Cholesteric liquid crystal reflective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CN107219723A (zh) * 2017-08-02 2017-09-2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金属光栅的制作方法、金属光栅及显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1101B1 (ko) 2012-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1101B1 (ko) 반사형 편광판의 제조방법
US5830624A (en) Method for forming resist patterns comprising two photoresist layers and an intermediate layer
US4013465A (en) Reducing the reflectance of surfaces to radiation
JP5100146B2 (ja) 光学素子及び光学素子の製造方法
JP2000347004A (ja) 炭化水素系のガスを用いた反射防止膜の形成及び適用方法
JP2008508553A (ja) ナノ構造反射防止表面
US5225039A (en) Method for producing a diffraction grating
EP0001030A1 (fr) Procédé de fabrication d'un masque selon une configuration donnée sur un support
WO2021008051A1 (zh) 一种制备高纵宽比二氧化钛的垂直刻蚀工艺
US20090170310A1 (en) Method of forming a metal line of a semiconductor device
KR100947550B1 (ko) 레이저 반사형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US5470681A (en) Phase shift mask using liquid phase oxide deposition
CN115185038B (zh) 一种半导体器件及其制作方法
JP2007328128A (ja) 光学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CN110596811A (zh) 一种光栅耦合结构及其制作方法
KR101034319B1 (ko) 유전체 마스크
Oliver et al. Thin-film design for multilayer diffraction gratings
KR101760180B1 (ko) 후면노광을 이용한 광변조기의 전극형성 방법
JP2014192312A (ja) 反射型位相シフトマスク及び製造方法
US5221429A (en) Method of manufacturing phase-shifted diffraction grating
JP2017181544A (ja) 表示装置製造用位相シフトマスクの製造方法
JPH07198919A (ja) 反射板の製造方法
Chiu et al. Sub-wavelength texturing for solar cells using interferometric lithography
KR101022504B1 (ko) 간섭 리소그래피에서 포토레지스트의 언더컷 라인 패턴 개선장치 및 개선방법
JP6413390B2 (ja) 反射型位相シフトマスク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