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0502A - 편광판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편광판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0502A
KR20100070502A KR1020080129074A KR20080129074A KR20100070502A KR 20100070502 A KR20100070502 A KR 20100070502A KR 1020080129074 A KR1020080129074 A KR 1020080129074A KR 20080129074 A KR20080129074 A KR 20080129074A KR 20100070502 A KR20100070502 A KR 201000705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compensation layer
liquid crystal
thickness
compens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9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2259B1 (ko
Inventor
황성한
김진호
박미경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9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2259B1/ko
Publication of KR20100070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05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2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22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7/00Auxiliary devices
    • B02B7/02Feeding or discharg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2Polarizing, birefringent, filter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편광판 및 이의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편광판의 제조방법은 베이스 기판 상에 네거티브 C특성을 가지는 보상층 형성물질을 코팅하여 보상층을 형성하는 단계; 보상층 상에 편광층을 형성하는 단계; 편광층 상에 보호필름을 형성하는 단계; 및 베이스 기판을 상기 보상층으로부터 이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보상층은 코팅에 의해서 형성되기 때문에,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고, 편광층은 보상층에 의해서, 향상된 광학적 특성 뿐만 아니라, 얇은 두께를 가진다.
-C, 편광, 액정, 위상차, 보상, TN

Description

편광판 및 이의 제조방법{POLARIZATION PLATE AND METHDO OF FABRICATING THE SAME}
실시예는 편광판 및 편광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장치용 편광판에 사용되는 보호 필름은 종래부터 셀룰로오스트리아세테이트(triacetyl cellulose;TAC) 필름이 이용되어 왔다.
TAC 필름은 투과율이 높고, 편광자의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에 용이하게 접착시킬 수 있으며 복굴절 이방성이 작고, 편광판에 불필요한 위상차 성분을 부여하지 않기 때문에 편광자 보호 필름으로서 바람직하게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반대로 TAC 필름은 어느 정도 음(negative)의 복굴절 이방성을 갖지만, 이방성이 너무 작기 때문에 연신되더라도 충분한 위상차는 발현할 수 없다.
종래의 편광판은 충분한 위상차를 구현하기 위하여, 두꺼운 TAC 필름을 포함하고, 이에 따라서,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의 두께가 증가된다.
실시예는 얇은 두께를 가지고, 향상된 광학적 특성을 가지는 편광판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의 제조방법은 베이스 기판 상에 네거티브 C특성을 가지는 보상층 형성물질을 코팅하여 보상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보상층 상에 편광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편광층 상에 보호필름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베이스 기판을 상기 보상층으로부터 이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은 편광층; 상기 편광층 상에 배치되는 보호필름; 상기 편광층 아래에 배치되며, 네거티브 C특성을 가지며, -10㎚ 내지 -200㎚의 두께 방향의 위상차값을 가지고, 0.1㎛ 내지 10㎛의 두께를 가지는 보상층; 및 상기 보상층 아래에 배치되는 접착층을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의 제조방법은 코팅에 의해서, 네거티브 C특성을 가지는 보상층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은 얇은 두께를 가지는 보상층을 포함한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은 얇은 두께를 가지며, 액정패널에 의한 위상차를 보상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은 슬림하며, 향상된 광학적 특성을 가진다.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 패널, 필름 또는 판 등이 각 층, 패널, 필름 또는 판 등의 "상(on)"에 또는 "아래(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on)"과 "아래(under)"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개재하여 (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부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면에서의 각 구성요소들의 크기는 설명을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적용되는 크기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 내지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을 제조하는 방법을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베이스 기판(10) 상에 수지 조성물층(211)이 형성된다. 상기 수지 조성물층(211)은 상기 베이스 기판(10) 상에 수지 조성물이 분사되어 형성된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수지 조성물은 스핀 코팅 등에 의해서, 상기 베이스 기판(10) 상에 코팅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기판(10)은 플라스틱 기판이다. 상기 베이스 기판(10)으로 사용되는 물질의 예로서는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PMMA)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hthylene terephthalate;PET)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수지 조성물은 한 종류 이상의 단량체 및 광 경화 개시제를 포함한다.
상기 단량체는 약 20wt% 내지 90wt%의 비율로 상기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며, 상기 단량체의 예로서는 이미드(imide)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광 경화 개시제는 자외선 등의 광의 조사에 의해 라디칼로 분해되어 광경화형 수지조성물의 가교, 경화 반응을 개시하는 물질이다. 광경화 개시제는 수지 조성물의 경화반응 속도와 황변 특성 및 기재에 대한 부착성 등을 고려하여, 그 종류와 함량을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한다. 필요에 따라 두 종류 이상의 광경화 개시제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광경화 개시제의 예로는 α-히드록시케톤(α-hydroxyketone), 페닐글리옥시레이트(phenylglyoxylate), 벤질디메틸 케탈(benzildimethyl ketal), α-아미노케톤(α-aminoketone), 모노 아실 포스핀(mono acyl phosphine), 비스 아실 포스핀(bis acyl phosphine),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1,2-dimethoxy-2-phenylacetophenone) 및 이들의 혼합물 등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수지 조성물층(211)에 자외선이 조사되고, 상기 수지 조성물층(211)은 경화되어, 상기 베이스 기판(10) 상에 보상층(210)이 형성된다.
상기 보상층(210)은 네가티브 C특성을 가진다. 즉, 상기 보상층(210)은 네가티브 C 플레이트의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보상층(210)의 두께는 약 0.1㎛ 내지 약 10㎛이며, 상기 보상층(210)의 두께 방향의 위상차값은 약 -10㎚ 내지 약 -100㎚이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보상층(210)의 두께 방향의 위상차값은 약 -50㎚ 내지 약 -100㎚이다.
여기서, 네가티브 C특성은 아래와 같은 식으로 표현된다.
nx ≒ ny > nz
여기서, nx는 상기 보상층(210)의 면 내에서 최대의 굴절률을 나타내는 X축 방향의 굴절률이고, ny는 상기 면 내에서, 상기 X축에 대하여 수직인 Y축 방향의 굴절률이다. nz는 상기 보상층(210)의 두께 방향의 굴절률이다.
또한, 상기 보상층(210)의 두께 방향의 위상차값(Rth)은 아래와 같은 식으로 표현된다.
Rth = { ( nx+ny )/2 - nz }×d
여기서, d는 상기 보상층(210)의 두께이다.
도 1 및 도 2와는 다르게, 상기 보상층(210)은 네거티브 C특성을 가지는 물질이 상기 보상층(210)에 직접 코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네거티브 C특성을 가지는 물질은 용매 등에 용해되어 용액을 형성한다. 이후, 상기 용액은 스핀 코팅 및 스프레이 코팅 등에 의해서, 상기 베이스 기판(10) 상에 코팅되고, 상기 용매가 증발되어, 상기 베이스 기판(10) 상에 상기 보상층(21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용매의 예로서는 시클로헥산, 시클로헵탄, 시클로옥탄 등의 환식포화탄화수소류, 벤젠, 톨루엔, 크실렌, 에틸벤젠, 쿠멘(cumene)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 클로로부탄, 브롬헥산, 염화메틸렌, 디클로로에탄, 클로로벤젠, 클로로포름, 사염화에틸 등의 할로겐화 알칸 또는 할로겐화 아릴, 초산에틸, 초산 n-부틸, 프로피온산 메틸 등의 포화 카르본산 에스테르류, 디부틸에테르,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등의 에테르류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펜탄, 헥산, 옥탄, 노난, 데칸 등의 알칸류는 상기 용매에 추가 혼합할 수 있다.
상기 네거티브 C특성을 가지는 물질의 예로서는 폴리이미드계 수지 또는 판상형(discotic) 액정 등을 들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아래의 화학식을 가질 수 있다.
Figure 112008086953104-PAT00001
Figure 112008086953104-PAT00002
Figure 112008086953104-PAT00003
Figure 112008086953104-PAT00004
Figure 112008086953104-PAT00005
여기서, R1은 수소, 알킬기 및 아릴기로 형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R2는 수소, 알킬기 및 아릴기로 형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보상층(210)이 형성된 후, 상기 보상층(210) 상에 편광층(220)이 형성된다. 상기 편광층(220)은 필름 형태로, 상기 보상층(210) 상에 라미네이팅되어 형성된다.
상기 편광층(220)은 통과하는 광을 편광시킨다. 즉, 상기 편광층(220)은 통과하는 광을 필터링하여, 특정한 광축으로 편광된 광 만을 통과시킬 수 있다.
상기 편광층(220)으로 사용되는 물질의 예로서는 폴리비닐알콜(polyvinyl alchol;PVA)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편광층(220)은 약 20㎛ 내지 30㎛의 두께로 형성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편광층(220) 상에 보호필름(230)이 형성된다. 상기 보호필름(230)은 상기 편광층(220) 상에 필름 형태로 라미네이팅되어 형성된다.
상기 보호필름(230)은 상기 편광층(220)을 보호하며, 상기 보호필름(230)으로 사용되는 물질의 예로서는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triacetyl cellulose;TAC)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보호필름(230)의 두께는 약 40㎛ 내지 약 80㎛이다.
이후, 상기 보상층(210)은 상기 베이스 기판(10)으로부터 이탈된다. 즉, 상기 보상층(210), 상기 편광층(220) 및 상기 보호필름(230)이 서로 부착된 채로, 상기 베이스 기판(10)으로부터 이탈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보상층(210) 아래에 점착층(240)이 형성된다. 상기 점착층(240)은 점착성을 가지고, 상기 보상층(210)에 접착된다. 또한, 상기 점착층(240)은 액정 패널 등에 접착된다.
상기 점착층(240)의 두께는 약 20㎛ 내지 약 30㎛이다.
이로써, 상기 보호필름(230), 상기 편광층(220), 상기 보상층(210) 및 상기 점착층(240)을 포함하는 편광판이 형성된다.
상기 보상층(210)은 필름 형태로 라미네이팅되지 않고, 코팅되어 형성되므로, 자유롭게 두께가 조절될 수 있다. 즉, 상기 보상층(210)은 매우 얇은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상층(210)은 네거티브 C특성을 가지며, 굴절률의 조절이 용이하고, 매우 낮은 두께로 형성되어도, 높은 위상차를 가질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보상층(210)은 약 0.1㎛ 내지 약 10㎛의 두께를 가지고, 약 -50㎚ 내지 약 -100㎚의 두께 방향의 위상차값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은 약 80㎛ 내지 약 1210㎛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상기 보상층(210) 대신에 TAC필름이 사용된 종래의 편광판은 약 130㎛ 내지 210㎛의 두께로 형성될 때, 본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과 유사한 광학적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의 제조방법은 얇은 두께를 가지며, 넓은 시야각을 구현하는 등의 향상된 광학적 특성을 가지는 편광판을 제공한다.
즉,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은 상기 보상층(210) 대신에 TAC필름이 사용된 종래의 편광판보다 더 얇은 두께를 가지며, 더 향상된 광학적 특성을 가진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를 참조하고, 액정패널(100)에 대해서 추가적으로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패널(100), 제 1 편광판(200) 및 제 2 편광판(300)을 포함한다.
상기 액정패널(100)은 픽셀 단위로 통과하는 광의 경로를 변경시킨다. 상기 액정패널(100)은 TFT기판, 컬러필터기판 및 액정층을 포함한다.
상기 TFT기판은 다수 개의 게이트 배선들, 다수 개의 데이터 배선들, 다수 개의 박막트랜지스터들 및 다수 개의 화소전극들을 포함한다.
상기 게이트 배선들은 서로 나란히 배치된다. 상기 게이트 배선들은 상기 데이터 배선들과 교차한다. 상기 게이트 배선들 및 상기 데이터 배선들에 의해서, 다수 개의 픽셀들이 정의된다.
상기 박막트랜지스터들은 상기 게이트 배선들 및 상기 데이터 배선들이 교차하는 영역에 배치된다. 상기 박막트랜지스터는 상기 게이트 배선으로부터 인가되는 게이트 신호에 의해서, 상기 데이터 배선 및 상기 화소전극을 선택적으로 연결한다.
상기 화소전극들은 상기 픽셀들에 각각 하나 씩 배치된다. 상기 화소전극들은 상기 데이터 배선들 및 상기 박막트랜지스터들을 통하여, 데이터 신호를 인가받는다.
상기 컬러필터기판은 상기 TFT기판에 대향된다. 상기 컬러필터기판은 상기 픽셀들에 대응하는 컬러필터들 및 상기 화소전극에 대향하는 공통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액정층은 상기 TFT기판 및 상기 컬러필터기판 사이에 개재된다. 상기 액정층은 TN(twisted nematic)형 액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정층에 포함된 액정은 상기 TFT기판 및 상기 컬러필터기판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배향될 수 있다. 즉, 상기 액정패널(100)은 VA형 액정패널(100)일 수 있다.
상기 액정층에 포함된 액정은 상기 화소전극에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 및 상기 공통전극에 인가되는 공통신호에 의해서 형성되는 전계에 의해서 정렬한다.
이에 따라서, 상기 액정층은 통과하는 광의 경로를 픽셀 단위로 조절한다. 더 자세하게, 상기 액정층은 통과하는 광의 광축의 방향을 픽셀 단위로 조절한다.
상기 제 1 편광판(200)은 상기 액정패널(100) 상에 배치된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제 1 편광판(200)은 상기 액정패널(100)의 상면에 접착된다.
상기 제 1 편광판(200)은 제 1 편광층(220), 제 1 보상층(210), 제 1 점착층(240) 및 제 1 보호필름(230)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편광층(220)은 통과하는 광을 제 1 방향의 광축으로 편광시킨다. 상기 편광층(220)은 통과하는 광을 필터링하여, 상기 제 1 방향의 광축으로 편광된 광 만을 통과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보상층(210)은 상기 제 1 편광층(220) 및 상기 액정패널(100) 사이에 개재된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제 1 보상층(210)은 상기 제 1 편광층(220)에 접촉한다.
상기 제 1 보상층(210)은 네가티브 C특성을 가진다. 즉, 상기 제 1 보상층(210)은 네가티브 C 플레이트의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 1 보상층(210)의 두께는 약 0.1㎛ 내지 약 10㎛이며, 상기 제 1 보상층(210)의 두께 방향의 위상차값은 약 -10㎚ 내지 약 -200㎚이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제 1 보상층(210)의 두께 방향의 위상차값은 약 -50㎚ 내지 약 -100㎚일 수 있다.
상기 제 1 보상층(210)으로 사용되는 물질의 예로서는 앞서 설명한 폴리 이미드계 수지 또는 판상형 액정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제 1 점착층(240)은 상기 액정패널(100) 및 상기 제 1 보상층(210) 사이에 개재된다. 상기 제 1 점착층(240)은 상기 액정패널(100)의 상면에 접착되고, 상기 제 1 보상층(210)에 접착된다.
상기 제 1 보호필름(230)은 상기 제 1 편광층(220) 상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보호필름(230)은 상기 제 1 편광층(220)을 보호한다. 상기 제 1 보호필름(230)으로 사용되는 물질의 예로서는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제 2 편광판(300)은 상기 액정패널(100) 아래에 배치된다. 상기 제 2 편광판(300)은 상기 액정패널(100)의 하면에 접착된다.
상기 제 2 편광판(300)은 제 2 편광층(320), 제 2 보상층(310), 제 2 점착층(340) 및 제 2 보호필름(330)을 포함한다.
상기 제 2 편광층(320)은 상기 액정패널(100) 아래에 배치된다. 상기 제 2 편광층(320)은 통과하는 광을 상기 제 1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제 2 방향의 광축으로 편광시킨다.
상기 제 2 보상층(310)은 상기 제 2 편광층(320) 및 상기 액정패널(100) 사이에 개재된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제 2 보상층(310)은 상기 제 2 편광층(320)에 접촉한다.
상기 제 2 보상층(310)은 네가티브 C특성을 가진다. 즉, 상기 제 2 보상층(310)은 네가티브 C 플레이트의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 2 보상층(310)의 두께는 약 0.1㎛ 내지 약 10㎛이며, 상기 제 2 보상층(310)의 두께 방향의 위상차값은 약 -10㎚ 내지 약 -200㎚이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제 2 보상층(310)의 두께 방향의 위상차값은 약 -50㎚ 내지 약 -100㎚일 수 있다.
상기 제 2 점착층(340)은 상기 제 2 보상층(310) 및 상기 액정패널(100) 사이에 개재된다. 상기 제 2 점착층(340)은 상기 액정패널(100)의 하면에 접착되며, 상기 제 2 보상층(310)에 접착된다.
상기 제 2 보호필름(330)은 상기 제 2 편광층(320) 아래에 배치된다. 상기 제 2 보호필름(330)은 상기 제 2 편광층(320)을 보호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백라이트 등에서 출사되는 광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더 자세하게, 백라이트 등에서 출사되는 광은 제 2 편광층(320)을 통과하여, 제 2 방향의 광축으로 편광된다.
이후, 상기 액정층에 전계가 인가되며, 상기 액정층에 포함된 액정은 정렬하고, 상기 편광된 광의 광축의 방향을 제 1 방향으로 변경한다.
또한, 광축이 변경된 광은 상기 제 1 편광층(220)을 통과하고,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영상을 표시한다.
이때, 상기 제 1 보상층(210) 및 상기 제 2 보상층(310)은 통과하는 광의 특성을 향상시킨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보상층(210) 및 상기 제 2 보상층(310)은 네거티브 C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통과하는 광의 위상을 지연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향상된 시야각을 가질 수 있다.
특히, 상기 액정패널(100)이 TN 모드 및 VA모드의 액정패널일 때, 상기 제 1 보상층(210) 및 상기 제 2 보상층(310)의 시야각 향상 효과는 더욱 향상된다.
또한, 상기 제 1 보상층(210) 및 상기 제 2 보상층(310)은 매우 얇은 두께를 가지기 때문에, 이에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얇은 두께를 가진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을 참조하고, 제 1 보호필름 및 제 2 보호필름에 대해서 추가적으로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제 1 편광판(400)은 제 1 보호필름(430)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보호필름(430)은 약 30㎛ 내지 40㎛의 두께를 가진다. 상기 제 1 보호필름(430)으로 사용되는 물질의 예로서는 폴리 아크릴계 수지 또는 폴리 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보호필름(430)으로 사용되는 물질의 예로서는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제 2 편광판(500)은 제 2 보호필름(530)을 포함한다. 상기 제 2 보호필름(530)은 약 30㎛ 내지 40㎛의 두께를 가진다. 상기 제 2 보호필름(530)으로 사용되는 물질의 예로서는 폴리 아크릴계 수지 또는 폴리 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제 1 보상층(410) 및 제 2 보상층(510)은 네가티브 C특성을 가지므로, 통과하는 광의 특성을 충분히 보상한다. 따라서, 상기 제 1 보호필름(430) 및 상기 제 2 보호필름(530)은 광학적 보상기능이 없는 대신에, 더 향상된 강도를 가지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보호필름(430) 및 상기 제 2 보호필름(530)은 더 얇은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더 얇은 두께를 가지며, 더 향상된 강도를 가진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 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실험예
PMMA기판 상에 -C 특성을 가지는 물질인 폴리 이미드를 약 10㎛의 두께로 코팅하여 보상층을 형성하였다. 이후, 상기 보상층 상에 약 25㎛의 두께의 PVA필름을 라미네이팅하여 편광층을 형성하였다. 이후, 상기 편광층 상에 약 40㎛의 두께의 TAC필름을 라미네이팅하였다. 이후, 상기 PMMA기판을 상기 보상층으로부터 이격시킨 후, 상기 보상층에 약 25㎛의 두께의 점착층이 형성되어 편광판#1이 형성되었다. 상기 보상층의 Rth는 약 50㎚였다.
비교예
상기 보상층 대신에 약 40㎛의 두께의 TAC필름이 사용되었고, 나머지 층들은 실험예와 동일한 특성을 가지도록 편광판#2가 형성되었다.
이후, 동일한 TN모드의 액정패널들에 각각 편광판#1 및 편광판#2를 부착하고, 각각에 대하여, 광학적 특성을 측정하여, 표1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비교예 실험예
정면 CR 1981 1982

CR 10:1
좌/우 43.5/43.5 44/44
상/하 29/56 29.5/57

최대 휘도
white 0.31113 0.311575
black 0.186474 0.182582

컬러 쉬프트
white 0.278568 0.280357
dark 0.53768 0.51517
표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 얇은 두께를 가지는 실험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가 비슷하거나 향상된 광학적 특성을 가짐을 알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을 제조하는 방법을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Claims (8)

  1. 베이스 기판 상에 네거티브 C특성을 가지는 보상층 형성물질을 코팅하여 보상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보상층 상에 편광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편광층 상에 보호필름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베이스 기판을 상기 보상층으로부터 이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편광판을 제조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베이스 기판 상에 수지 조성물을 분사하여 수지 조성물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지 조성물층을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편광판을 제조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은 단량체 및 광 경화 개시제를 포함하며,
    상기 수지 조성물층을 경화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수지 조성물층에 광을 조사하는 편광판을 제조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층은 -10㎚ 내지 -200㎚의 두께 방향의 위상차 값을 가지는 편광판을 제조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층은 -50㎚ 내지 -100㎚의 두께 방향의 위상차값을 가지는 편광판을 제조하는 방법.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층은 0.1㎛ 내지 10㎛의 두께를 가지는 편광판을 제조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필름은 폴리 아크릴계 수지 또는 폴리 프탈레이트계 수지를 포함하며, 10㎛ 내지 80㎛의 두께를 가지는 편광판을 제조하는 방법
  8. 편광층;
    상기 편광층 상에 배치되는 보호필름;
    상기 편광층 아래에 배치되며, 네거티브 C특성을 가지며, -50㎚ 내지 -100㎚의 두께 방향의 위상차값을 가지고, 0.1㎛ 내지 10㎛의 두께를 가지는 보상층; 및
    상기 보상층 아래에 배치되는 접착층을 포함하는 편광판.
KR1020080129074A 2008-12-18 2008-12-18 편광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622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9074A KR101662259B1 (ko) 2008-12-18 2008-12-18 편광판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9074A KR101662259B1 (ko) 2008-12-18 2008-12-18 편광판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0502A true KR20100070502A (ko) 2010-06-28
KR101662259B1 KR101662259B1 (ko) 2016-10-05

Family

ID=42368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9074A KR101662259B1 (ko) 2008-12-18 2008-12-18 편광판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225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7894B1 (ko) * 1994-05-31 2000-10-16 무네유키 가코우 광학 보상 시이트 및 액정 디스플레이
KR20070119759A (ko) * 2006-02-09 2007-12-20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의 제조 방법 및 광학 보상층 부착편광판을 사용한 화상 표시 장치
KR20080086058A (ko) * 2007-03-21 2008-09-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배향막 형성방법
KR20080090680A (ko) * 2007-04-05 2008-10-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배향막 형성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7894B1 (ko) * 1994-05-31 2000-10-16 무네유키 가코우 광학 보상 시이트 및 액정 디스플레이
KR20070119759A (ko) * 2006-02-09 2007-12-20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의 제조 방법 및 광학 보상층 부착편광판을 사용한 화상 표시 장치
KR20080086058A (ko) * 2007-03-21 2008-09-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배향막 형성방법
KR20080090680A (ko) * 2007-04-05 2008-10-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배향막 형성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2259B1 (ko) 2016-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7005B1 (ko) 편광판용 보호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US9358768B2 (en) Polarizing plate,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6952779B2 (ja) 液晶表示装置
KR100631752B1 (ko) 광학 필름
KR20160027500A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JPWO2018207798A1 (ja) 液晶表示装置
KR20150007518A (ko) 액정 패널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 표시 장치
JP2013160802A (ja) 液晶表示装置
KR20190131575A (ko) 액정 표시 장치
US11686967B2 (en) Viewing angle compensation film, polarizing plate comprising same,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KR20150010042A (ko) 액정 표시 장치
US10330839B2 (en) Polarizing plat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JP7343093B2 (ja) 視野角補償フィルム、これを含む偏光板及びこれを含むディスプレイ装置
US10754183B2 (en) Display device
KR20150069705A (ko) 액정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662259B1 (ko) 편광판 및 이의 제조방법
US20190285924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2111484B1 (ko) 터치패널 및 그 제조 방법
JP2015045695A (ja) 光学フィルム及び液晶表示装置
KR102530187B1 (ko) 편광판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40098310A (ko) 액정표시장치
KR102530188B1 (ko) 편광판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2022533588A (ja) 偏光板積層体及びこれを含むディスプレイ装置
KR20010019832A (ko) 박막트랜지스터 액정표시장치의 편광층 형성방법
US20180313989A1 (en) Polarizing plate with optical compensation fu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