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0269A - 표시장치, 표시장치용 구동장치 및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표시장치용 구동장치 및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0269A
KR20100070269A KR1020080132900A KR20080132900A KR20100070269A KR 20100070269 A KR20100070269 A KR 20100070269A KR 1020080132900 A KR1020080132900 A KR 1020080132900A KR 20080132900 A KR20080132900 A KR 20080132900A KR 20100070269 A KR20100070269 A KR 201000702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ffer
data
image data
overshooting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2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5153B1 (ko
Inventor
박상진
이주형
맹호석
차영옥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000702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02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5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51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09G5/39Control of the bit-mapped memory
    • G09G5/393Arrangements for updating the contents of the bit-mapped memor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48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colour is displayed
    • G09G5/0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colour is displayed using colour palettes, e.g. look-up tab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09G5/39Control of the bit-mapped memor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52Improving the response spe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71Adjustment of the gradation levels within the range of the gradation scale, e.g. by redistribution or clipp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71Adjustment of the gradation levels within the range of the gradation scale, e.g. by redistribution or clipping
    • G09G2320/0276Adjustment of the gradation levels within the range of the gradation scale, e.g. by redistribution or clipping for the purpose of adaptation to the characteristics of a display device, i.e. gamma correc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10Special adaptations of display systems for operation with variable images
    • G09G2320/103Detection of image changes, e.g. determination of an index representative of the image cha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Abstract

표시패널용 구동장치는 제1 프레임의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 메모리, 오버슈팅 정보를 저장하는 제2 메모리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장치는 CPU 인터페이스 처리를 통해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이미지 신호를 받는다. 상기 제2 메모리는 상기 프레임 이미지 데이터와 오버슈팅 데이터 사이의 차이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오버슈팅 정보는 상기 차이 데이터와 상기 프레임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계산된다. 또한, 상기 구동장치는 하나의 라인 유닛에 n번째 프레임의 이미지 신호를 저장하고 다른 라인에 n-1번째 프레임의 이미지 신호를 저장하는 2-라인 메모리를 포함한다. 상기 2-라인 메모리는 상기 연속되는 두 개의 프레임 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구동장치는 룩업 테이블로부터 오버슈팅 정보를 추출한다.

Description

표시장치, 표시장치용 구동장치 및 구동방법{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DISPLAY}
본 발명은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용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중앙처리장치(CPU) 인터페이스 모드 또는 다른 인터페이스 모드들을 갖는 표시장치, 표시장치용 구동장치 및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콤팩트 액정표시장치(LCD)가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어 오면서, 액정표시장치의 다양한 조건 및 기능들 또한 필요하게 되었다. 예를 들어,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장치 등과 같은 콤팩트 액정표시장치는 고해상도 및 우수한 표시 품질을 요구한다.
그러나, 콤팩트 액정표시장치는 주로 정지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제조되므로, 액정의 응답 속도가 느리고, 계조의 응답 속도는 더욱 느리다. 비디오 이미지를 쉽게 표시할 수 있도록 전체 계조 영역에서 응답 속도를 개선하기 위하여 오버드라이빙 기술이 적용된다. 오버드라이빙 기술에서, 현재 입력된 프레임 이미지 신호가 보상되어 액정 분자들의 응답 속도가 빨라진다. 예를 들어, n-1번째 프레임의 이미지 신호는 n-1번째 프레임 다음인 n-번째 프레임의 이미지 신호와 비교되어, n- 번째 프레임의 보상된 신호가 출력된다. 현재의 컴팩트 액정표시장치는 중앙처리장치(CPU)를 통해 액정표시장치의 프레임 메모리에서 이미지 신호를 저장한다. 이 과정은 액정표시장치의 외부 클럭 신호에 동기화된다. 상기 이미지 신호는 출력되어, 액정표시장치의 내부 클럭 신호에 동기화된 콘트롤 신호에 의해 액정표시패널로 제공된다.
따라서, 이미지 신호는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실시간으로 표시패널에 전달되는 것이 아니므로,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보내지 이미지 신호는 표시패널의 이미지 신호에 동기화되지 않는다. 이는 중앙처리장치 인터페이스 모드가 프레임 메모리를 필요로 하는 원인이 된다. 프레임 메모리는 상기 이미지 신호를 저장하는 장치이다. RGB 인터페이스 모드와 같은 다른 인터페이스 모드들은 이미지 신호를 저장할 필요가 없으며, 이미지 신호를 저장하기 위한 프레임 메모리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중앙처리장치 인터페이스 모드에서 동영상의 표시 품질이 개선할 수 있는 표시장치, 표시장치용 구동장치 및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구동장치는 현재 프레임의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 버퍼, 상기 현재 프레임의 이미지 데이터와 현재 오버슈팅 데이터의 차이값을 저장하는 제2 버퍼 및 제1 및 제2 버퍼의 데이터로부터 상기 현재 오버슈팅 데이터를 계산하는 산술-논리 연산자를 포함한다. 상기 제2 버퍼의 크기는 제1 버퍼의 크기의 약 30 내지 70%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구동장치는 현재 프레임의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 버퍼, 상기 현재 프레임의 이미지 데이터와 현재 오버슈팅 데이터의 차이값을 저장하는 제2 버퍼, 제1 및 제2 버퍼의 데이터로부터 상기 현재 오버슈팅 데이터를 계산하는 산술-논리 연산자 및 표시장치의 두 개의 연속하는 프레임들의 이미지 데이터를 비교하는 비교 버퍼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구동장치는 현재 프레임의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 버퍼, 상기 현재 프레임의 이미지 데이터와 현재 오버슈팅 데이터의 차이값을 저장하는 제2 버퍼, 제1 및 제2 버퍼의 데이터로부터 상기 현재 오버슈팅 데이터를 계산하는 산술-논리 연산자 및 두 개의 연속된 프레임의 이미지 데이터를 비교하여 나중 프레임의 오버슈팅 이미지 데이터 정보를 갖는 룩업 테이블을 포함한다. 상기 룩업 테이블은 상기 오버슈팅 데이터와 원래의 이미지 데이터의 차이 또는 풀 그레이 오버슈팅 데이터를 저장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은 제1 버퍼에 원래의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원래의 이미지 데이터 및 오버슈팅 이미지 데이터의 차이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제2 버퍼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버퍼 및 제2 버퍼에 저장된 데이터로 상기 오버슈팅 이미지 데이터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은 제1 버퍼에 원래의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원래의 이미지 데이터 및 오버슈팅 이미지 데이터의 차이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제2 버퍼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원래의 이미지 데이터와 오버슈팅 이미지 데이터의 차이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및 룩업 테이블로부터 상기 오버슈팅 이미지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은 제1 버퍼에 원래의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원래의 이미지 데이터 및 오버슈팅 이미지 데이터의 차이값을 제2 버퍼에 저장하는 단계 및 두 개의 연속하는 프레임들의 이미지 데이터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현재 프레임의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 버퍼, 상기 현재 프레임의 이미지 데이터와 현재 오버슈팅 데이터의 차이값을 저장하는 제2 버퍼 및 제1 및 제2 버퍼의 데이터로부터 상기 현재 오버슈팅 데이터를 계산하는 산술-논리 연산자를 포함한다. 상기 제2 버퍼의 크기는 제1 버퍼의 크기의 약 30 내지 70%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현재 프레임의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 버퍼, 상기 현재 프레임의 이미지 데이터와 현재 오버슈팅 데이터의 차이값을 저장하는 제2 버퍼, 제1 및 제2 버퍼의 데이터로부터 상기 현재 오버슈팅 데이터를 계산하는 산술-논리 연산자 및 표시장치의 두 개의 연속하는 프레임들의 이미지 데이터를 비교하는 비교 버퍼를 포함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중앙처리장치 인터페이스 프로세스를 이용하는 콤팩트 표시장치가 n-번째 프레임의 보상된 이미지 신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구성 요소 또는 층이 다른 구성요소 또는 층과의 관계에서 "위에 위치한다", "연결된다" 또는 "결합된다"로 기재되는 경우, 이는 직접적으로, 위에 위치하거나, 연결되거나 또는 결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들 또는 층들이 존재할 수 있다는 의미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표시장치는 표시패널(100), 표시패널용 구동장치(200) 및 연성회로기판(FPC, 300)을 포함한다.
FPC는 외부 시스템(미도시)과 상기 구동장치(2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상기 외부 시스템은 중앙처리장치(CPU) 인터페이스 프로세스를 통해 상기 구동장치(200)와 연결되어, 이미지 신호 및 콘트롤 신호를 전달한다.
상기 표시패널(100)은 복수의 화소부를 갖는 표시 영역(DA) 및 상기 표시 영역(DA)을 둘러싸는 주변 영역(PA)을 포함한다. 각 화소부(P)는 게이트 라인(GL) 및 소스 라인(DL)에 연결된 스위칭 소자(TFT), 상기 스위칭 소자(TFT)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액정 커패시터(CLC) 및 상기 액정 커패시터(CLC)에 연결된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장치(200) 및 게이트 구동부(110)는 주변 영역(PA)에 위치한다. 상기 구동장치(200)는 상기 소스 라인(DL)의 단부에 대응하여 상기 주변 영역(PA)에 실장된다. 상기 구동장치(200)는 칩일 수 있다. 상기 구동장치(200)는 포토리소그라피 공정을 통해 글래스 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구동부(110)는 포토리소그라피 공정을 통해 상기 게이트 라인(GL)의 단부에 해당하는 주변 영역(PA)에 형성되거나, 집적 회로(IC) 칩과 함께 주변 영역(PA)에 실장될 수 있다.
상기 구동장치(200)는 중앙처리장치 인터페이스 프로세스를 통해 전달된 n번째 프레임의 이미지 신호와 n-1번째 프레임의 저장된 이미지 신호를 비교하여 n번째 프레임의 보상된 이미지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n번째 프레임의 보상된 이미지 신호를 상기 소스 라인에 출력한다. 여기서 n은 자연수이다.
상기 게이트 구동부(110)는 상기 구동장치(200)으로부터 제공된 게이트 콘트롤 신호에 기초하여, 각 게이트 라인에 게이트 신호를 출력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용 구동장치를 도시하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장치(200)는 인 터페이스 블록(210), 2-라인 버퍼(215), 프레임 버퍼(프레임 메모리)(220), 타이밍 콘트롤부(230), 클럭 생성부(235), 룩업 테이블(look-up table, LUT, 240), 하프 프레임 버퍼(하프 프레임 메모리)(250), 산술-논리(arithmetic logic) 연산자(260), 라인 래치(270),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DAC, 271), 소스 증폭기(272) 및 감마 레퍼런스(280)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장치(200)는 소스 구동 집적 회로(IC)로 호칭될 수 있다. 상기 소스 구동 IC(200)는 게이트 신호 콘트롤 블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스 구동 IC(200)는 도 2에 도시된 블록, 예를 들어, 클럭 생성부(235), 타이밍 콘트롤러(235), 감마 레퍼런스(280) 등을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것들이 소스 구동 IC(200)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이들은 외부 시스템(미도시) 내에 또는 표시패널(200)에 위치할 수 있다.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으로는 동적 커패시턴스 보상(dynamic capacitance compensation, DCC)이 있다. DCC는 동영상에 적용되며, 액정 표시장치의 동영상의 응답 속도를 빠르게 한다. DCC 구동의 화소 전압은 액정표시장치의 화소의 동적 커패시턴스를 보상하기 위하여 정지 화상의 전압보다 높거나 낮다. 화소의 동적 커패시턴스를 보상하기 위해서는, 그레이(계조) 레벨의 정밀한 보상이 행해져야 한다. 완전히 보상된 그레이 레벨의 수가 256일때, 상기 그레이 레벨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하여 화소당 8 비트 메모리가 요구된다. 표시장치가 더 많은 메모리가 필요할수록, 비용이 증가한다. 따라서, 표시장치의 응용에 따라서 비용과 표시 품질 사이에서 적절한 균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DCC 적용시 사용되는 메모리를 감소시키기 위한 일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메모리를 감소시키기 위한 일 방법은 도 3에 개시된다. 256 그레이 레벨 데이터 신호를 저장하기 위해서는 8비트 메모리가 필요하다. 네 개의 최상위 비트(most significant bits, MSB)가 저장되고, 네 개의 최하위 비트(least significant bits, LSB)가 삭제되는 경우, 보상된 데이터는 정밀하지 않다. 상기 보상된 데이터가 정밀하지 않은 경우라 할지라도, 보상되지 않은 데이터보다 이미지가 대체로 우수하다. 상기 실시예는 개략적인 보상으로 8비트에서 4비트로 메모리를 절약하는 것을 보여준다.
도 3은 보상되어 저장된 데이터가 풀(full) 그레이 데이터인 경우를 보여준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보상된 그레이 데이터와 현재의 이미지 그레이 데이터 사이의 차이가 저장된다. 도 4는 그 차이들을 보여준다. 오버슈팅 데이터는 언더슈팅 데이터보다 유효하기 때문에, 도 4는 오버슈팅 데이터만을 나타낸다. 이 경우, 상기 차이는 128이하이다. 이는, 7비트가 256 그레이 레벨 이미지 시스템의 모든 그레이 차이를 나타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네 개의 최하위 비트가 삭제되면, 3비트의 메모리가, 도 3에서 4비트의 메모리가 저장할 수 있는 것과 동일한 양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4비트 메모리는 종래 기술의 4비트 메모리보다 더 많은 양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더 많은 정보는 더 정확하고 우수한 이미지 품질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것이 도 5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5는 세자리의 최하위 비트가 더 나은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도록 계조의 중간 값에 세팅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이진법에서, 100은 000과 111의 중간값에 해당할 것이다.
도 4의 값들 중 일부는 다른 장치들에서 128보다 클 수도 있다. 상기 128보다 큰 값들은 전체 값에서 작은 비중을 차지하기 때문에, 128로 대체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신호의 흐름을 설명하기로 한다.
인터페이스 블록(210)은 콘트롤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외부 시스템(미도시)로부터 전달받아, 상기 데이터 신호를 상기 2-라인 버퍼(215)로 전달한다. 상기 2-라인 버퍼(215)는 상기 인터페이스 블록(210)으로부터 1라인 현재 데이터 신호를 받고, 프레임 버퍼(220)으로부터 이전 프레임의 1라인 데이터 신호를 받는다. 대응하는 데이터를 의미하는, 서로 대응되는 각 데이터 신호들은 동일한 화소 순서에 따라 인가된다.
상기 2-라인 버퍼(215)는 대응하는 데이터 각각을 비교하여 룩업 테이블(240)의 적절한 값이 하프 프레임 버퍼(250)의 대응되는 위치로 저장된다. 상기 하프 프레임 버퍼(250)는 대응되는 화소의 오버슈팅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룩업 테이블(240)은 모든 오버슈팅 정보를 갖는다. 도 4는 오버슈팅 정보의 일례를 보여준다. 오버슈팅의 다른 예는 1 그레이 레벨에서 256 그레이 레벨까지의 풀 그레이 레벨이 될 수 있다. 도 4는 후자보다 더 적은 메모리를 필요로 한다. 프레임 버퍼의 신호 데이터가 2-라인 버퍼로 추출된 후, 현재의 데이터 신호들은 프레임 버퍼(220)의 해당 위치에 저장된다. 이 과정에서, 프레임 버퍼의 모든 이전 프레임 데이터가 현재 프레임 데이터로 대체된다.
상기 하프 프레임 버퍼(250)는 상기 프레임 버퍼(220)의 메모리보다 작은 메모리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하프 프레임 버퍼(250)의 메모리 크 기는 상기 프레임 버퍼(220)의 메모리의 약 30 내지 70%일 수 있다.
여기까지, 프레임 버퍼(220) 및 하프 프레임 버퍼(250)에의 저장 과정이 설명된다. 이후로는 프레임 버퍼(220) 및 하프 프레임 버퍼(250)로부터의 송출 과정과 이미지 데이터를 액정 커패시턴스(CLC)에 전달하는 과정이 설명된다.
산술-논리 연산자(260)는 상기 프레임 버퍼(220)에 저장된 데이터 및 상기 하프 프레임 버퍼(250)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고, 대응하는 데이터를 매치시켜 적절한 데이터를 추출하고, 이를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DAC) 어레이(271)로 보낸다. 라인 래치(270)는 추출된 데이터를 유지하고, 데이터 묶음을 동시에 보낸다. 상기 데이터 묶음은, 예를 들어, 표시장치의 하나의 수평 라인에 대한 동일한 수의 데이터이거나, 하나의 수평 라인의 절반에 대한 동일한 수의 데이터이거나, 하나의 수직 라인에 대한 동일한 수의 데이터이거나, 또는 다른 타입의 데이터일 수 있다. 상기 DAC 어레이(271)는 그레이 데이터를 표시장치의 화소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들로 전환한다. 상기 DAC 어레이(271)는 감마 레퍼런스 블록(280)으로부터 상기 전압들을 추출한다. 소스 증폭기(272)는 상기 전압들을 안정화하여, 신뢰도가 높은 전압들이 화소 전극에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라인 래치(270)가 산술-논리 연산자(260)와 DAC 어레이(271)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예로 보여주고 있으나, 라인 래치(270)는 DAC 어레이(271)와 소스 증폭기(272) 사이에 위치할 수도 있다.
클럭 생성기(oscillator, OSC, 235)는 클럭 신호를 생성한다. 타이밍 콘트롤러(230)는 상기 클럭 신호를 상기 클럭 생성기(235)로부터 전달 받아, 인터페이스 블록(210), 2-라인 버퍼(215), 프레임 버퍼(220), 하프 프레임 버퍼(250) 및 도 2 에 도시된 다른 유닛들로 제공되는 콘트롤 신호들을 생성한다. 상기 2-라인 버퍼(215)는 다른 크기의 버퍼로 대체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작동 과정을 보여준다. 현재 프레임의 이미지 데이터가 업데이트되지 않는 경우(S 610), 풀 프레임 버퍼(FFB)내의 n-1번째 프레임(fn-1)의 데이터가 표시장치 상에 표시된다(S 650, S 660). 상기 현재 프레임의 이미지 데이터가 업데이트되는 경우(S 610), 상기 n-1번째 프레임의 데이터와 n-번째 프레임의 데이터를 비교하여, n-번째 프레임의 오버슈팅 데이터(??O(fn))가 룩업 테이블로부터 추출된다(S 620). 상기 풀 프레임 버퍼(FFB) 내의 n-1번째 프레임의 데이터(D(fn-1))는 n번째 프레임 데이터(D(fn))로 라인 마다 대체된다(S 620). 상기 n-번째 프레임의 오버슈팅 데이터(??O(fn))는 하프 프레임 버퍼(HFB)에 저장된다(S 630). 상기 산술-논리 연산자(260)는 풀 프레임 버퍼(FFB)에 저장된 데이터 및 하프 프레임 버퍼(HFB)에 저장된 데이터로부터 n-번째 프레임의 보상 데이터(D(fn))를 추출한다(S 640). 상기 보상 데이터(D(fn))는 표시장치에 표시된다(S 660).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및 구동장치에 따르면, 동영상의 표시 품질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패널용 구동장치를 도시하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3은 8비트 데이터를 4비트 데이터로 감소시키는 데이터 처리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 결과를 나타내는 테이블이다.
도 5는 8비트 데이터를 4비트 데이터로 감소시키는 데이터 처리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Claims (20)

  1. 현재 프레임의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 버퍼;
    상기 현재 프레임의 이미지 데이터와 현재 오버슈팅 데이터의 차이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2 버퍼; 및
    제1 및 제2 버퍼의 데이터로부터 상기 현재 오버슈팅 데이터를 계산하는 산술-논리 연산자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용 구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버퍼의 메모리는 제1 버퍼의 메모리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용 구동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버퍼의 크기는 제1 버퍼의 크기의 30 내지 7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용 구동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두 개의 연속하는 프레임의 이미지 데이터를 비교하는 비교 버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용 구동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버퍼는 상기 표시장치의 두 개의 수평 표시 라인을 저장하는 2-라인 버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용 구동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두 개의 연속된 프레임의 이미지 데이터를 비교하여 나중 프레임의 오버슈팅 이미지 데이터 정보를 갖는 룩업 테이블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용 구동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룩업 테이블은 상기 오버슈팅 데이터와 원래의 이미지 데이터의 차이 또는 풀 그레이 오버슈팅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용 구동장치.
  8. 제1 버퍼에 원래의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원래의 이미지 데이터 및 오버슈팅 이미지 데이터의 차이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제2 버퍼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퍼 및 제2 버퍼에 저장된 데이터로 상기 오버슈팅 이미지 데이터를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원래의 이미지 데이터와 오버슈팅 이미지 데이터의 차이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룩업 테이블로부터 상기 오버슈팅 이미지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두 개의 연속된 프레임의 이미지 데이터를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연속된 프레임의 이미지 데이터가 동일한 경우, 나중의 이미지 데이터가 표시에 적용되고, 상기 두 개의 연속된 프레임의 이미지 데이터가 다른 경우, 상기 나중의 이미지 데이터는 상기 제1 버퍼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13. 현재 프레임의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 버퍼;
    상기 현재 프레임의 이미지 데이터와 현재 오버슈팅 데이터의 차이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2 버퍼; 및
    제1 및 제2 버퍼의 데이터로부터 상기 현재 오버슈팅 데이터를 계산하는 산술-논리 연산자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버퍼의 메모리는 제1 버퍼의 메모리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버퍼의 크기는 제1 버퍼의 크기의 30 내지 7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두 개의 연속하는 프레임의 이미지 데이터를 비교하는 비교 버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버퍼는 상기 표시장치의 두 개의 수평 표시 라인을 저장하는 2-라인 버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8. 제13항에 있어서, 두 개의 연속된 프레임의 이미지 데이터를 비교하여 나중 프레임의 오버슈팅 이미지 데이터 정보를 갖는 룩업 테이블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룩업 테이블은 상기 오버슈팅 데이터와 원래의 이미지 데이터의 차이 또는 풀 그레이 오버슈팅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20. 제13항에 있어서, 데이터 전달 인터페이스는 중앙처리장치 인터페이스 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KR1020080132900A 2008-12-17 2008-12-24 표시장치, 표시장치용 구동장치 및 구동방법 KR1016051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337,333 2008-12-17
US12/337,333 US8994630B2 (en) 2008-12-17 2008-12-17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displa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0269A true KR20100070269A (ko) 2010-06-25
KR101605153B1 KR101605153B1 (ko) 2016-03-22

Family

ID=42239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2900A KR101605153B1 (ko) 2008-12-17 2008-12-24 표시장치, 표시장치용 구동장치 및 구동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994630B2 (ko)
KR (1) KR1016051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9975A (ko) * 2015-01-21 2016-07-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소스 드라이버 및 이를 구비한 표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92850B2 (en) * 2012-02-27 2017-10-17 Slim Hmi Technology Data transmission system
WO2014067045A1 (zh) * 2012-10-29 2014-05-08 Tsai Hsiung-Kuang 数据传输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6743A (ja) * 2000-08-03 2002-04-19 Sharp Corp 液晶表示装置の駆動方法
US6762739B2 (en) * 2002-02-14 2004-07-13 Aurora 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the intensity output rise time in a liquid crystal display
JP2004133159A (ja) 2002-10-10 2004-04-30 Sanyo Electric Co Ltd 液晶パネル駆動装置
TWI259992B (en) * 2003-05-22 2006-08-11 Au Optronics Corp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driver and method thereof
JP2006047993A (ja) 2004-07-08 2006-02-16 Sharp Corp データ変換装置
KR100660852B1 (ko) 2005-01-15 2006-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소형 액정표시장치의 구동 장치 및 방법
KR101197222B1 (ko) * 2005-10-19 2012-11-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용 구동회로 및 그 구동방법
US8111271B2 (en) * 2006-04-27 2012-02-07 Jasper Display Corporation Gray scale drive sequences for pulse width modulated displays
US7797364B2 (en) * 2006-06-27 2010-09-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Booth decoder apparatus and method
JP2008070561A (ja) 2006-09-13 2008-03-27 Canon Inc 表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RU2446485C2 (ru) * 2007-03-28 2012-03-27 Шарп Кабушики Каиша Жидкокристаллический дисплей и способы управления этим дисплеем
JP4381434B2 (ja) * 2007-06-28 2009-12-09 株式会社東芝 携帯電話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9975A (ko) * 2015-01-21 2016-07-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소스 드라이버 및 이를 구비한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994630B2 (en) 2015-03-31
US20100149200A1 (en) 2010-06-17
KR101605153B1 (ko) 2016-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80021B2 (en) Display driver converting ki bits gray-scale data to converted gray-scale data of J bits, electro-optical device and gamma correction method
KR101361083B1 (ko) 데이터 구동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및 액정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US6552705B1 (en) Method of driving flat-panel display device
US7518600B2 (en) Connector and apparatus of driving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the same
US20080001897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EP187087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1472063B1 (ko) 표시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데이터 생성 방법과, 이를수행하기 위한 데이터 구동회로 및 이 데이터 구동회로를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1503064B1 (ko) 액정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KR20090038701A (ko)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 및 구동 방법
KR20170077937A (ko) 타이밍 컨트롤러, 데이터 드라이버,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080034573A (ko) 액정표시장치의 구동회로 및 이의 구동방법
KR101605153B1 (ko) 표시장치, 표시장치용 구동장치 및 구동방법
KR100362475B1 (ko) 액정 표시 장치와 이의 구동 장치 및 방법
KR100920341B1 (ko) 액정 표시 장치
KR101363652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고속구동 방법
KR100964566B1 (ko) 액정 표시 장치와 이의 구동 장치 및 방법
US20090046112A1 (en) Liquid Crystal Panel Driving Device, Liquid Crystal Panel driving Metho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20090040214A1 (en) Signal process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driv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0951909B1 (ko) 액정 표시 장치와 이의 구동 방법
KR20080012419A (ko) 소스 구동 칩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JP2007219091A (ja) 駆動回路、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KR100864975B1 (ko) 액정표시장치의 구동장치 및 구동방법
JPH10186325A (ja) 液晶パネル
KR20080011854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KR20110035421A (ko) 액정 표시장치의 구동장치와 그 구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