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9927A - 노트북 거치대 - Google Patents

노트북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9927A
KR20100069927A KR1020080128483A KR20080128483A KR20100069927A KR 20100069927 A KR20100069927 A KR 20100069927A KR 1020080128483 A KR1020080128483 A KR 1020080128483A KR 20080128483 A KR20080128483 A KR 20080128483A KR 20100069927 A KR20100069927 A KR 201000699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tebook
panel
support
keyboar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8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9572B1 (ko
Inventor
이창원
Original Assignee
이창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원 filed Critical 이창원
Priority to KR1020080128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9572B1/ko
Publication of KR20100069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99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9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95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3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with substantially horizontally extensible or adjustable parts other than drawers, e.g. lea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07Overhead reading-racks or book-res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노트북 거치대는, 중앙부가 관통되어 형성된 키보드 홀(150)을 포함하는 판(板)형의 제 1 패널(100); 상기 제 1 패널(100)의 후면 하부의 일측에 그 측면이 결합되는 제 2 패널(200); 상기 제 1 패널(100)의 후면과 노트북(10)의 본체부(15) 상면을 접촉한 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노트북 고정 수단(300); 및 상기 제 1 패널(100)을 지면에 고정하기 위한 지지 수단(40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노트북(10)은 상기 제 1 패널(100)의 후면 및 상기 제 2 패널(200)의 상면에 놓여지고, 상기 노트북(10)의 키보드(12)는 상기 키보드 홀(150)을 통해 상기 제 1 패널(100)의 전면을 통해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노트북, 거치대, 키보드 홀

Description

노트북 거치대{Notebook Computer Supportor}
본 발명은 노트북(notebook ; 휴대용 컴퓨터인 노트북 컴퓨터를 의미. 이하 동일)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노트북을 90도 이상의 각도로 거치할 수 있음으로써, 사용자가 바닥에 누운 상태에서 편안하게 화면을 쳐다볼 수 있고 키보드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노트북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일반적인 노트북 거치대의 사시도이다.
종래 기술에 의한 노트북 거치대는 노트북이 거치되는 제 1 패널(91) 및 제 1 패널(91)의 전면 하부의 일측에 그 측면이 결합되는 제 2 패널(92) 및 지지수단(9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노트북(10)은 일반적으로 액정화면(12)을 전면에 구비한 디스플레이부(11), 키보드(16) 및 포인터 장치(17)를 상면에 구비한 본체부(15) 및 디스플레이부(11)와 본체부(15)를 연결하는 힌지(hinge)부(19)로 구성된다. 상기 종래 기술에 의한 노트북 거치대는 노트북 본체부(15)의 후면이 제 1 패널(91)의 전면에 접촉하고 노트북 본체부(15)의 측면이 제 2 패널(92)의 상면에 접 촉한 상태로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 기술에 의한 노트북 거치대는 사용자가 앉아 있는 상태에서 노트북(10)을 사용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즉, 사용자(5)가 누운 상태에서 노트북(10)을 사용하기는 상당히 불편하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노트북 거치대를 사용자(5)가 누운 상태에서 사용하는 경우의 사용 상태도이다.
사용자(5)가 바닥에 누운 상태에서 가장 편안하게 노트북(10)의 액정화면을 보기 위해서는 노트북(10)의 액정화면(12)이 바닥과 수평해야 하며, 사용자(5)의 눈의 정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패널(91)과 지면이 이루는 각을 θ1이라고 하면, 노트북(10)의 액정화면(12)이 바닥과 수평하기 위해서는 노트북(10)의 힌지부(19)의 조절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1)와 본체부(15) 사이의 각도 θ2 또한 θ1과 엇각으로서 동일하여야 한다. 그런데, 노트북(10)이 제 1 패널(91) 및 제 2 패널(92) 위에 올려져 있기 위해서는 θ1은 90도를 넘을 수 없다. 따라서, θ2 또한 90도를 넘을 수 없다.
게다가, θ1이 90도에 가까워지면 가까워질수록 디스플레이부(15)의 무게 중심이 바깥쪽으로 쏠리게 되므로, 실질적으로 θ1은 90도보다 훨씬 작은 각도의 예각을 가져야 한다.
액정화면(12)이 사용자(5)의 눈의 정면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 θ2가 예각을 이룰수록 본체부(15) 및 제 2 프레임(92)이 액정화면(12)을 가리는 면적이 넓어지게 되어 사용자(5)에게 불편을 끼치게 된다. 또한, 키보드(16)가 액정화면(12)의 하단보다 더 위에 위치하게 되고 각도 θ2 또한 90도 이하이므로 키보드(16)의 입력에 큰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노트북을 90도 이상의 각도로 거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누운 상태에서 편안한 자세로 노트북의 화면을 볼 수 있고 키보드를 조작할 수 있도록 노트북을 거치할 수 있는 노트북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도 조절 기능 및 높이 조절 기능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누운 상태에서 편안한 자세로 노트북의 화면을 볼 수 있고 키보드를 조작할 수 있도록 노트북을 거치할 수 있는 노트북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벨크로 테이프 또는 고무 밴드에 의한 노트북 고정 수단을 채택함으로써, 노트북의 고정성을 높이며 노트북의 착탈이 용이한 노트북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노트북 거치대는, 중앙부가 관통되어 형성된 키보드 홀(150)을 포함하는 판(板)형의 제 1 패널(100); 상기 제 1 패널(100)의 후면 하부의 일측에 그 측면이 결합되는 제 2 패널(200); 상기 제 1 패널(100)의 후면과 노트북(10)의 본체부(15) 상면을 접촉한 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노트북 고정 수단(300); 및 상기 제 1 패널(100)을 지면에 고정하기 위한 지지 수단(40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노트북(10)은 상기 제 1 패널(100)의 후면 및 상기 제 2 패널(200)의 상면에 놓여지고, 상기 노트북(10)의 키보드(12)는 상기 키보드 홀(150)을 통해 상기 제 1 패널(100)의 전면을 통해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노트북 거치대는, 상기 지지 수단(400)은, 수직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지지대(410); 상기 제 1 패널(100)과 상기 지지대(410)의 상부 일측을 결합하는 상기 지지대 개수만큼의 결합부재(430); 및 상기 지지대(410)의 하부 일측에 결합되는 지면 고정 수단(45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노트북 거치대는, 상기 노트북 고정 수단(300)은, 벨크로 테이프 또는 고무 밴드에 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노트북 거치대는, 상기 결합부재(430)는, 상기 제 1 패널(100)과 상기 지지대(400)의 상부 일측의 결합 각도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노트북 거치대는, 상기 지지대(410)는, 제 1 지지대(415); 및 상기 제 1 지지대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같는 파이프로 이루어진 제 2 지지대(420);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지지대(415)가 상기 제 2 지지대(420)에 삽입되는 길이에 따라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노트북 거치대는, 상기 지면 고정 수단(450)은, 좌우 각각 한 쌍으로 네 개의 다리(foot)를 구비하되, 상기 좌측 의 두개의 다리(455, 460)와 우측의 두 개의 다리(465, 470)는 사용자(5)의 신체가 통과할 수 있도록 이격되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노트북 거치대는, 노트북을 90도 이상의 각도로 거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누운 상태에서 편안한 자세로 노트북의 화면을 볼 수 있고 키보드를 조작할 수 있도록 노트북을 거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노트북 거치대는, 각도 조절 기능 및 높이 조절 기능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누운 상태에서 편안한 자세로 노트북의 화면을 볼 수 있고 키보드를 조작할 수 있도록 노트북을 거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노트북 거치대는, 벨크로 테이프 또는 고무 밴드에 의한 노트북 고정 수단을 채택함으로써, 노트북의 고정성을 높이며 노트북의 착탈이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트북 거치대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트북 거치대는 제 1 패널(100), 제 2 패널(200), 노트북 고정 수단(300) 및 지지 수단(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1 패널(100)은 판(板)형으로 형성되며 중앙부가 관통되어 형성된 키보드 홀(150)을 포함한다. 제 2 패널(200)은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패널(100)의 후면 하부의 일측에 그 측면이 결합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 기술과는 달리 제 1 패널(100)의 후면에 노트북(10)의 본체부(15)의 상면이 접촉한 상태로 놓여진다. 노트북(10)이 본 발명의 노트북 거치대에 거치되는 형태에 대해서는 도 4 및 도 5를 통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노트북 고정 수단(300)은 노트북(10)을 본 발명의 노트북 거치대에 거치시킬 때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도 6을 통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지지 수단(400)은 노트북(10)이 거치된 제 1 패널(100) 및 제 2 패널(200)을 공간상의 특정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도 7 내지 도 9를 통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트북 거치대에 노트북(10)이 거치된 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5는 제 1 패널(100)의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노트북(10)는 본 발명의 노트북 거치대의 제 1 패널(100)의 후면과 노트북(10)의 본체부(15) 상면을 접촉한 상태로 거치된다. 노트북(10)의 디스플레이부(11)는 도 4에서와 같이 그 액정 화면(12)이 지면에 수직 하방(A)으로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바닥에 누운 상태의 사용자(5)가 수직 상방(B)을 주시함으로써 편안하게 액정 화면(12)을 볼 수 있다. 종래 기술인 도 2의 실시예에서 바닥에 누운 상태의 사용자(5)가 수직 상방을 주시할 때 액정 화면(12)이 노트북 본체부(15)에 의해 가려지는 것과 비교할 때,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서 기대할 수 없는 효과를 가진다고 할 것이다.
도 5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노트북(10)의 키보드(16) 및 포인팅 장치(17)은 노트북(10)이 본 발명의 노트북 거치대에 거치된 상태에서도 제 1 패널(100)의 중앙에 형성된 키보드 홀(150)을 통해 외부에 표출된다.
이러한 키보드 홀(150)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여,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사용자(5)는 누운 상태에서도 노트북(10)의 키보드(16) 및 포인팅 장치(17)를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다. 종래 기술인 도 2의 실시예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바닥에 누운 상태의 사용자(5)가 키보드 등을 조작하기 어려운 점과 비교할 때,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서 기대할 수 없는 효과를 가진다고 할 것이다.
도 6은 노트북 고정 수단(3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상기 도 4에는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노트북 거치대는 제 1 패널(100)의 후면과 노트북(10)의 본체부(11) 상면을 접촉한 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노트북 고정 수단(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노트북 고정 수단(300)은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벨크로 테이프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즉, 서로 기계적인 접착성을 갖는 벨크로 테이프 쌍을 일측의 끝부분에 구비하는 두 개의 띠(310, 320)를 제 1 패널(100)의 양 측면에 결합함으로써 노트북 고정 수단(300)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트북 고정 수단(300)은 상기 벨크로 테이프 외에도 고무 밴드(330. 미도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고무 밴드의 양 끝단을 제 1 패널(100)의 양 측면에 충분한 탄성 복원력을 갖는 길이로 결합하고, 노트북의 거치시 제 1 패널(100)과 고무 밴드(330) 사이의 공간에 노트북(10)을 삽입하면, 고무 밴드(330)의 탄성 복원력 때문에 노트북(10)이 고정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 수단(400)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지지 수단(400)은 수직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지지대(410), 제 1 패널(100)과 지지대(410)의 상부 일측을 결합하는 지지대 개수만큼의 결합부재(430) 및 지지대(410)의 하부 일측에 결합되는 지면 고정 수단(4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지면 고정 수단(450)은 좌우 각각 한 쌍으로 네 개의 다리(450, 455, 460,465)를 구비하고, 좌측의 두개의 다리(455, 460)와 우측의 두 개의 다리(465, 470)는 사용자(5)의 신체가 통과 할 수 있도록 이격되어 위치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430)의 구체적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430)는 제 1 패널(100)과 지지대(400)의 상부 일측의 결합 각도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결합부재(430)는 지지대 결합부(431), 각도조절부(433), 패널 결합부(435) 및 결합나사(43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지대(410)의 상부 일측은 지지대 결합부(431)에 결합되고, 제 1 패널(100)은 패널 결합부(435)와 결합나사(436)를 통해 결합되며, 각도조절부(433)의 조절에 의하여 상기 각도의 조절이 가능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410)의 구체적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410)는, 제 1 지지대(415) 및 제 1 지지대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같는 파이프로 이루어진 제 2 지지대(420)를 포함하고, 사용자(5)는 제 1 지지대(415)가 제 2 지지대(420)에 삽입되는 길이에 따라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제 1 지지대(415)의 측면에 형성된 다수 개의 길이 조절 홀(416) 중의 하나를 제 2 지지대(420)의 측면에 형성된 고정 홀(421)과 위치를 일치시킨 후 고정핀(422)을 삽입하여 고정을 시킴으로써 지지대(410)의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일반적인 노트북 거치대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노트북 거치대를 사용자(5)가 누운 상태에서 사용하는 경우의 사용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트북 거치대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트북 거치대에 노트북(10)이 거치된 상태의 측면도.
도 5는 제 1 패널(100)의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6은 노트북 고정 수단(3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 수단(400)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재(430)의 상세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410)의 상세구성도.

Claims (6)

  1. 중앙부가 관통되어 형성된 키보드 홀(150)을 포함하는 판(板)형의 제 1 패널(100);
    상기 제 1 패널(100)의 후면 하부의 일측에 그 측면이 결합되는 제 2 패널(200);
    상기 제 1 패널(100)의 후면과 노트북(10)의 본체부(15) 상면을 접촉한 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노트북 고정 수단(300); 및
    상기 제 1 패널(100)을 지면에 고정하기 위한 지지 수단(40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노트북(10)은 상기 제 1 패널(100)의 후면 및 상기 제 2 패널(200)의 상면에 놓여지고, 상기 노트북(10)의 키보드(12)는 상기 키보드 홀(150)을 통해 상기 제 1 패널(100)의 전면을 통해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북 거치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수단(400)은,
    수직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지지대(410);
    상기 제 1 패널(100)과 상기 지지대(410)의 상부 일측을 결합하는 상기 지지대 개수만큼의 결합부재(430); 및
    상기 지지대(410)의 하부 일측에 결합되는 지면 고정 수단(45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북 거치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노트북 고정 수단(300)은,
    벨크로 테이프 또는 고무 밴드에 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북 거치대.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430)는,
    상기 제 1 패널(100)과 상기 지지대(400)의 상부 일측의 결합 각도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북 거치대.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410)는,
    제 1 지지대(415); 및 상기 제 1 지지대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같는 파이프로 이루어진 제 2 지지대(420);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지지대(415)가 상기 제 2 지지대(420)에 삽입되는 길이에 따라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북 거치대.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면 고정 수단(450)은,
    좌우 각각 한 쌍으로 네 개의 다리(foot)를 구비하되,
    상기 좌측의 두개의 다리(455, 460)와 우측의 두 개의 다리(465, 470)는 사용자(5)의 신체가 통과할 수 있도록 이격되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북 거치대.
KR1020080128483A 2008-12-17 2008-12-17 노트북 거치대 KR1010095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8483A KR101009572B1 (ko) 2008-12-17 2008-12-17 노트북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8483A KR101009572B1 (ko) 2008-12-17 2008-12-17 노트북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9927A true KR20100069927A (ko) 2010-06-25
KR101009572B1 KR101009572B1 (ko) 2011-01-21

Family

ID=42367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8483A KR101009572B1 (ko) 2008-12-17 2008-12-17 노트북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957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864Y1 (ko) * 2012-10-23 2013-11-11 김민성 노트북 거치대
KR20160064409A (ko) 2014-11-28 2016-06-08 박찬미 발열을 막아주는 노트북 받침대
KR20160002899U (ko) 2015-02-11 2016-08-19 김지혜 노트북 거치대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5661B1 (ko) 2007-03-21 2008-01-21 시 홍 박 독서대 및 노트북컴퓨터 재치대 겸용 스탠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864Y1 (ko) * 2012-10-23 2013-11-11 김민성 노트북 거치대
KR20160064409A (ko) 2014-11-28 2016-06-08 박찬미 발열을 막아주는 노트북 받침대
KR20160002899U (ko) 2015-02-11 2016-08-19 김지혜 노트북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9572B1 (ko) 2011-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988143B (zh) 平板电脑和监视器支撑系统
US9562644B2 (en) Hands-free holding device
USD558351S1 (en) Ultrasound display apparatus
US8608119B2 (en) Display stand
US20130087666A1 (en) Supporting device
US7593219B2 (en) Display support system and method
KR20120061425A (ko) 휴대용 단말기의 침대용 거치대
WO2007078170A1 (en) Shelf for display apparatus
US20080265114A1 (en) Modular LCD Display System
US20190246790A1 (en) Office workplace system
KR101009572B1 (ko) 노트북 거치대
KR101949296B1 (ko) 컴퓨터 데스크
US20050263666A1 (en) Device for holding a portable computer for operation in a supine position
US10791854B2 (en) Bracket and display device
KR100944632B1 (ko) 모니터 고정 거치대
TW201411355A (zh) 用來連接觸控裝置之顯示裝置與其電腦系統
CN209012700U (zh) 支撑架结构
US20150144672A1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KR200469864Y1 (ko) 노트북 거치대
CN202220954U (zh) 一种平板电脑支架
KR20090068974A (ko) 노트북 컴퓨터용 거치대
KR20070077847A (ko) 모니터 및 모니터 제어방법
KR200484956Y1 (ko) 마우스 번지
WO2007139263A1 (en) Shelf for display apparatus
KR101106452B1 (ko) 태블릿pc용 거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