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9796A - 농업용 시설구조물의 구조안전진단장치 - Google Patents

농업용 시설구조물의 구조안전진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9796A
KR20100069796A KR1020080128325A KR20080128325A KR20100069796A KR 20100069796 A KR20100069796 A KR 20100069796A KR 1020080128325 A KR1020080128325 A KR 1020080128325A KR 20080128325 A KR20080128325 A KR 20080128325A KR 20100069796 A KR20100069796 A KR 201000697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ce
agricultural
agricultural facility
facility
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8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24118B1 (ko
Inventor
조명환
류희룡
유인호
신영안
엄영철
강남준
이시영
최영하
이한철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to KR10200801283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4118B1/ko
Publication of KR201000697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97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41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41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5/00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7/00Vibration-testing of structures; Shock-testing of struc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8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 G01N3/1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generated by pneumatic or hydraulic pressure
    • G01N3/12Pressure tes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14Type of force applied
    • G01N2203/0016Tensile or compressive
    • G01N2203/0019Compressiv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Testing Of Devices, Machine Parts, Or Other Structur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시설구조물의 구조안전진단장치는 농업시설물의 구조 안정성을 진단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 농업시설물에 외력을 가하기 위한 가력기와, 가력기에서 발생하는 외력을 측정하기 위해 농업시설물에 설치되는 복수의 센서와, 센서들에 의해 측정된 데이터를 저장 및 분석하기 위한 제어장치를 구비하여 농업시설물의 구조안전성을 체계적으로 평가한 후 현재의 성능지표를 제시하고, 설계강도 부족 시설물에 대한 적절한 보강 대책을 마련함으로써 농가의 재산피해 방지, 국가 재해복구비 감축, 농산물 가격 안정 등 경제적, 사회적으로 안정된 농산물 생산 인프라를 구축할 수 있다.

Description

농업용 시설구조물의 구조안전진단장치{A SAFETY DIAGNOSIS APPARATUS OF AGRICULTURAL FACILITY}
본 발명은 농업용 시설구조물의 구조안전진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 또는 신축 농업시설물에 대하여 이동식 가력기 및 공학적 정밀 제어 및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현장에서 농업시설물의 거동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기반으로 구조물의 건전성 및 노후화 등 농업시설물의 성능을 정밀하게 평가할 수 있는 구조안전진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비닐하우스, 축사 등 농업시설물은 농가에 있어서 수천만원에서 최고 수억원에 이르는 매우 고가의 구조물이자 주요 농축산물 생산을 위한 중요한 시설구조물이다. 하지만, 실제 시설구조물의 시공은 설계 강도 등의 체계적인 분석을 거치지 않고 농가 및 시공자의 경험적인 판단에 의존해왔기 때문에, 현재의 농업시설물은 이와 같은 구조물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일단 시공된 후에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또는 풍하중 및 적설하중과 같은 기상하중의 크기변화에 대하여 어느 정도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있는지 파악이 불가능한 실정이다.
최근 이상기후로 인하여 연간 3,000억원 이상(2006, 농림수산식품부)의 대규 모 기상재해가 발생하고 있다. 피해의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겠지만 시설의 노후화로 인한 구조물의 하자 또한 무시할 수 없는 실정이다. 시설물의 손상 및 파괴는 농축산물의 생산 차질로 이어져 소비자 가격 급등의 원인을 제공하기도 한다.
한편, 시설물의 구조안전성 평가는 '안전점검'과 '정밀안전진단'을 통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시설물에 대한 적합한 보강을 함으로써 재해와 재난을 예방하여 시설물의 효용을 증진시킬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의 농업시설물 구조안전성 평가에 관한 기술은 전무한 상태이며 1995년 1월에 제정된 "시설물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에서도 농업시설물에 대한 사항은 제외되어 있다.
즉, 종래에는 설계 당시의 설계기준강도를 기반으로 정성적인 평가에 의한 형식적인 구조 보강대책이 강구되거나 자연재해에 대한 피해원인 구명이 이루어졌다. 따라서 시설물에 대한 정량적인 구조안전성 및 성능 지표가 없는 실정이다. 이처럼 시공 후 내구성 저하에 따른 농업시설물의 구조안전성 평가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으며 태풍, 폭우, 폭설 등 기상이변에 저항할 수 있는 구조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한 안전진단 기술의 부재로 해당 분야에 대한 신규 기술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로부터 착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농업시설물의 구조안전성을 체계적으로 평가한 후 현재의 성능지표를 제시하고, 설계강도 부족 시설물에 대한 적절한 보강 대책을 마련함으로써 농가의 재산피해 방지, 국가 재해복구비 감축, 농산물 가격 안정 등 경제적, 사회적으로 안정된 농산물 생산 인프라를 구축할 수 있도록 하는 농업용 시설구조물의 구조안전진단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시설구조물의 구조안전진단장치는 농업시설물의 구조 안전성을 진단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 농업시설물에 외력을 가하기 위한 가력기와, 가력기에서 발생하는 외력을 측정하기 위해 농업시설물에 설치되는 복수의 센서와, 센서들에 의해 측정된 데이터를 저장 및 분석하기 위한 제어장치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시설구조물의 구조안전진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력기는 이동 가능한 차량에 설치되며, 상기 차량에는 가력기에서 발생되는 외력의 반력 자중을 제공할 수 있는 가력벽이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시설구조물의 구조안전진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변위감지센서와, 진동감지센서와 하중감지센서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시설구조물의 구조안전진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센서에 의해 측정된 데이터를 입력받는 정보기록부와, 입력된 데이터를 근거로 시설물의 성능을 현장에서 검증가능하도록 하는 시뮬레이션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작물재배를 위한 비닐하우스, 가축 사육을 위한 축사를 포함하는 농업시설물에 대하여, 상기 농업시설물에 설치되는 이동가능한 가력장치와, 상기 가력장치에 고정되어 상기 농업시설물에 하중 및 진동을 재하할 수 있는 가력기와, 상기 가력기에서 발생하는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가력벽과, 상기 가력기에 부착되어 재하 하중을 측정하는 하중감지센서와, 상기 가력기 및 농업시설물을 서로 연결하여 하중을 전달하는 가력스트링과, 상기 농업시설물과 상기 가력스트링에 연결되어 농업시설물에 발생하는 변위를 측정하는 변위감지센서와, 상기 농업시설물에 부착되어 상기 가력기에 의하여 발생되는 상기 농업시설물의 진동을 측정하는 진동감지센서와, 상기 하중감지센서, 변위감지센서, 및 진동감지센서와 연결되어 상기 농업시설물에서 발생하는 변위, 진동, 하중을 기록 및 저장할 수 있는 정보기록부와, 상기 정보기록부와 연결되어 상기 농업시설물에 재하하는 하중 및 진동을 단계별로 제어하고, 변위 및 진동을 파악하여 한계 하중을 넘지 않도록 제어하는 제어장치와, 상기 정보기록부 및 제어장치로 전달되는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농업시설물의 구조안전성을 체계적으로 평가 및 검증하는 시뮬레이션부와, 상기 가력벽에 보조적인 반력 자중을 제공하고 상기 가력장치를 설치할 수 있는 차량을 포함하여, 상기 농업시설물이 시공된 현장에서 상기 가력기를 이용하여 하중 및 진동을 가하고 상기 정보기록부 및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농업시설물의 구조안전성을 현장에서 평가하는 농업용 구조안전진단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시설구조물의 구조안전진단장치는 이동 가능한 차량에 제어장치와 가력기를 설치하여 현장에서 농업시설물에 대하여 단계적으로 하중을 가하고 그에 따른 시설물의 변형 정도를 측정하여 농업시설구조물의 구조안전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즉, 시설물의 종류와 형식에 따라서 적정한 가력 하중을 산정하고, 합리적인 시설물의 구조안전성 지표를 정립할 수 있으며, 또한 안전진단을 수행하면서 컴퓨터 시뮬레이션과 연계하여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구조안 전성 평가 및 검증을 할 수 있다. 또한 궁극적으로는 안전진단을 통해 도출된 구조안전성 지표에 따라 적정한 유지관리 및 보강 방법을 제시할 수 있어 내구성 저하 및 자연재해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하여 안정적인 농업 인프라 구축의 기틀을 마련할 수 있다. 특히, 농업 시설물의 경우 대부분이 파이프를 이용한 철골조 구조물의 형태로서, 이는 구조재 및 부구조재의 구별 및 상세 구조를 대부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구조형태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시설구조물의 구조안전진단장치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경우 철근콘크리트 구조물과 같이 시공 후 안전진단 상에서 나타나는 불확실성과 부정확성을 최대한 피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시설구조물의 구조안전진단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구조안전진단장치의 블록도이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구조안전진단장치는 농업시설물에 외력을 가하기 위한 가력기(10)와, 가력기(10)에서 발생되는 외력을 측정하기 위해 농업시설물에 설치되는 복수의 센서(22,24,26)와, 센서(22,24,26)에 의해 측정된 데이터를 저장 및 분석하기 위한 제어장치(30)를 구비한다.
가력기(10)는 가력장치(12)와,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가력벽(14)과, 하중을 전달하는 가력스트링(16)을 포함한다. 가력장치(12)는 유압 펌프 등을 이용하며, 이동이 용이하도록 차량에 설치된다. 가력장치(12)는 약 2000 ~ 10000N의 압축 및 인장력을 가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력벽(14)은 농업시설물에 가해지는 외력에 대한 반력 자중을 제공하여 차량이 외력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차량에는 가력장치(12) 외에 제어장치(30)가 설치된다. 제어장치(30)는 통상의 노트북, 데스크탑 컴퓨터 등을 활용하는 것으로 자세한 것은 후술한다.
센서(22,24,26)는 변위감지센서(22)와 진동감지센서(24)와 하중감지센서(26)를 포함한다. 변위감지센서(22)는 시설물측에 설치되어 시설물의 변형을 측정한다. 변위감지센서(22)의 스트로크 범위는 5 ~ 300mm가 바람직한다. 진동감지센서(24)는 시설물 측에 설치되어 시설물에 가해진 외력을 일시에 제거함으로써 발생하는 진동을 측정한다. 진동감지센서(24)는 0.1 ~ 200Hz의 범위를 측정한다. 하중감지센서(26)는 가력장치(12) 측 구체적으로는 가력스트링(16)과 가력장치(12) 사이에 설치되어 시설물에 가해지는 압축 또는 인장력을 측정한다.
제어장치(30)는 상술한 변위감지센서(22)와 진동감지센서(24)와 하중감지센서(26)로부터 측정된 데이터를 입력받는 정보기록부(32)와, 입력된 데이터를 근거로 시설물의 성능을 현장에서 검증가능하도록 하는 시뮬레이션부(34)를 구비한다. 시뮬레이션부(34)는 유한요소법(Finite element method) 및 매트릭스 구조해석(Matrix analysis)이 가능하고 시설물을 모델링하여 재하시험과 동일한 조건의 물성치, 경계조건, 하중조건 등을 부여한 후 시설물의 거동을 공학적으로 시뮬레이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말한다. 시뮬레이션부(34)는 중앙연산장치나 마이컴을 포함하는 컴퓨터에 설치되어 이용한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농업용 시설구조물의 구조안전진단장치의 동작을 살펴보기로 한다.
일례로 도 2와 같이 농업시설물인 비닐하우스(1)의 구조를 진단하고자 할 경우, 먼저 가력기(10)가 장착된 차량을 비닐하우스에 인접하게 주차한 후, 가력벽(14)을 지면에 견고하게 고정한다. 그리고, 변위감지센서(22)와 진동감지센서(24)를 각각 비닐하우스의 프레임에 장착한다. 비닐하우스(1)에 가하는 하중은 가력장치(12)의 동력 펌프(13)에서 발생하는 유압을 하중감지센서(26)로 측정한다.
비닐하우스(1)에 가하는 하중, 진동 등은 단계별로 강도를 조절하면서 재하하며, 이는 제어장치(30)로 컨트롤한다. 이때, 비닐하우스(1)가 지탱할 수 있는 한계 하중을 넘지않도록 한다.
각 센서(22,24,26)들에 의해 측정된 데이터들은 제어장치(30)의 정보기록부(32)에 저장된다. 그리고, 제어장치(30)는 시뮬레이션부(34)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통해 시설물의 성능 평가를 행한다. 평가 결과를 통해 도출되는 구조안정성 지표(100)는 비닐하우스(1)의 적정한 유지 관리 및 보강 방법을 제공할 수 있어, 내구성 저하 및 자연재해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하는데 활용되며, 안정된 농업 인프라 구축의 기틀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시설구조물의 구조안전진단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시설구조물의 구조안전진단장치의 개략적인 동작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참조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가력기 12..가력장치
14..가력벽 16..가력스트링
22..변위감지센서 24..진동감지센서
26..하중감지센서 30..제어장치
32..정보기록부 34..시뮬레이션부

Claims (5)

  1. 농업시설물의 구조를 진단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
    농업시설물에 외력을 가하기 위한 가력기와, 가력기에서 발생하는 외력을 측정하기 위해 농업시설물에 설치되는 복수의 센서와, 센서들에 의해 측정된 데이터를 저장 및 분석하기 위한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시설구조물의 구조안전진단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력기는 이동 가능한 차량에 설치되며,
    상기 차량에는 가력기에서 발생되는 외력의 반력 자중을 제공할 수 있는 가력벽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시설구조물의 구조안전진단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변위감지센서와, 진동감지센서와 하중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시설구조물의 구조안전진단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센서에 의해 측정된 데이터를 입력받는 정보기록부와, 입력된 데이터를 근거로 시설물의 성능을 현장에서 검증가능하도록 하는 시뮬레이션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시설구조물의 구조안전진단장치.
  5. 작물재배를 위한 비닐하우스, 가축 사육을 위한 축사를 포함하는 농업시설물에 대하여,
    상기 농업시설물에 설치되는 이동가능한 가력장치와, 상기 가력장치에 고정되어 상기 농업시설물에 하중 및 진동을 재하할 수 있는 가력기와, 상기 가력기에서 발생하는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가력벽과, 상기 가력기에 부착되어 재하 하중을 측정하는 하중감지센서와, 상기 가력기 및 농업시설물을 서로 연결하여 하중을 전달하는 가력스트링과, 상기 농업시설물과 상기 가력스트링에 연결되어 농업시설물에 발생하는 변위를 측정하는 변위감지센서와, 상기 농업시설물에 부착되어 상기 가력기에 의하여 발생되는 상기 농업시설물의 진동을 측정하는 진동감지센서와, 상기 하중감지센서, 변위감지센서, 및 진동감지센서와 연결되어 상기 농업시설물에서 발생하는 변위, 진동, 하중을 기록 및 저장할 수 있는 정보기록부와, 상기 정보기록부와 연결되어 상기 농업시설물에 재하하는 하중 및 진동을 단계별로 제어하고, 변위 및 진동을 파악하여 한계 하중을 넘지 않도록 제어하는 제어장치와, 상기 정보기록부 및 제어장치로 전달되는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농업시설물의 구조안전성을 체계적으로 평가 및 검증하는 시뮬레이션부와, 상기 가력벽에 보조적인 반력 자중을 제공하고 상기 가력장치를 설치할 수 있는 차량을 포함하여,
    상기 농업시설물이 시공된 현장에서 상기 가력기를 이용하여 하중 및 진동을 가하고 상기 정보기록부 및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를 근거로 상 기 농업시설물의 구조안전성을 현장에서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시설구조물의 구조안전진단장치.
KR1020080128325A 2008-12-17 2008-12-17 농업용 시설구조물의 구조안전진단장치 KR1010241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8325A KR101024118B1 (ko) 2008-12-17 2008-12-17 농업용 시설구조물의 구조안전진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8325A KR101024118B1 (ko) 2008-12-17 2008-12-17 농업용 시설구조물의 구조안전진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9796A true KR20100069796A (ko) 2010-06-25
KR101024118B1 KR101024118B1 (ko) 2011-03-23

Family

ID=42367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8325A KR101024118B1 (ko) 2008-12-17 2008-12-17 농업용 시설구조물의 구조안전진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41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1563B1 (ko) * 2018-03-08 2019-05-24 영진기술 주식회사 비닐하우스 관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7950B1 (ko) * 2013-10-08 2014-11-04 대한민국 구조안전성 평가를 위한 해석방법
KR101648575B1 (ko) * 2014-08-28 2016-08-16 김정근 비닐하우스 골조 강도 시험장치
KR101624598B1 (ko) 2014-09-04 2016-05-26 대한민국 비닐하우스 위험도 실시간 평가 방법 및 평가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5107B1 (ko) 1999-07-08 2001-09-13 정진문 이동식 재하장치를 이용한 하중 구조물 재하시험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1563B1 (ko) * 2018-03-08 2019-05-24 영진기술 주식회사 비닐하우스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4118B1 (ko) 2011-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artinez-Luengo et al.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of offshore wind turbines: A review through the Statistical Pattern Recognition Paradigm
CN103513018B (zh) 混凝土抗裂性能系统化检测方法
CN103940903B (zh) 一种桁架结构节点损伤检测系统及其方法
Yun et al. Recent R&D activities on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for civil infra-structures in Korea
Rolfes et al. Integral SHM-system for offshore wind turbines using smart wireless sensors
Wang et al. Establishment and application of the wind and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system for the Runyang Yangtze River Bridge
Kaur et al. A cost-effective approach for assessment of pre-stressing force in bridges using piezoelectric transducers
KR101024118B1 (ko) 농업용 시설구조물의 구조안전진단장치
CN104111133A (zh) 大跨度预应力拉索钢结构索力监测系统及监测方法
CN103134701A (zh) 一种焊接钢桁架结构疲劳失效过程的同步监测方法
Helmer-Smith et al. In-situ load testing of a WWII era timber Warren truss in the development of a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program
CN110197015B (zh) 一种坝基预应力锚索有效拉应力测定方法
Valinejadshoubi et al.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of buildings and infrastructure
CN202994352U (zh) 一种支撑轴力校核的实验装置
Miao et al. Modal analysis of a concrete highway bridge: Structural calculations and vibration-based results
Aktan et al. Instrumentation and intelligence issues in bridge health monitoring
Morris et al. The long term instrumentation of a timber building in Nelson NZ—The need for standardisation
CN117057073B (zh) 一种混凝土管桩结构预应力损失识别方法及系统
Maldar et al. Damage Detection of Structures Considering Environmental Variations Based on the Deviation Patterns of Natural Frequencies
Petryna et al. Modeling and monitoring of damage in grouted joints
Nykiel Comparison of methods of monitoring structure deformations based on tests of a flat plate slab
Sakiyama Real-size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of a pre-stressed concrete bridge based on long-gauge fiber Bragg grating sensors
Helmer-Smith et al.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of Legacy WWII Infrastructure within the Department of National Defence, a stage-wise approach
Du et al. Cable Stress Monitoring Technology Based on Fiber Bragg Grating
Cheshmehzangi et al. Reliability Analysis and Online Measuring Method of Fiber Optic Strain Sensors: Case Study on a Real Brid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