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9611A - Coffee dirp device and coffee pod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Coffee dirp device and coffee pod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9611A
KR20100069611A KR1020090124802A KR20090124802A KR20100069611A KR 20100069611 A KR20100069611 A KR 20100069611A KR 1020090124802 A KR1020090124802 A KR 1020090124802A KR 20090124802 A KR20090124802 A KR 20090124802A KR 20100069611 A KR20100069611 A KR 201000696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drip
water
hole
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48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안승대
Original Assignee
안승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승대 filed Critical 안승대
Publication of KR20100069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961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4Coffee-making apparatus with rising pipes
    • A47J31/057Coffee-making apparatus with rising pipes with water container separated from beverage container, the hot water passing the filter only once i.e. classical type of drip coffee mak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2Coffee-making machines with removable extraction cups, to be placed on top of drinking-vessels i.e. coffee-makers with removable brewing vessels, to be placed on top of beverage containers, into which hot water is poured, e.g. caf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47J31/461Valves, e.g. drain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47J31/468Pumping means

Abstract

PURPOSE: A coffee dripping apparatus and a coffeepot used in the same are provided to prevent harmful components from extracted from powdered coffee by dripping coffee several times. CONSTITUTION: A coffee drip apparatus(1) comprises: a water tank unit(10) which accepts water; and a drip plate unit which receives the water from the water tank unit and which includes a direct water hole(13) transferring the water to a receiving part and drip holes(11). A water supplying hole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tank unit. The direct water hold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drip plate unit. The drip holes are formed at the edge of the drip plate unit.

Description

커피드립장치와 이에 사용되는 커피 포드{COFFEE DIRP DEVICE AND COFFEE POD USING THE SAME}COFFEE DIRP DEVICE AND COFFEE P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커피드립장치와 이에 사용되는 커피포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드립 커피를 자동으로 제조하며 유해성분의 추출을 방지하여 맛과 향기가 풍부한 최적 최상의 드립커피 및 차를 제공할 수 있는 커피드립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커피포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ffee drip device and a coffee pod used therein, and more particularly, to automatically prepare drip coffee and prevent extraction of harmful ingredients, thereby providing an optimal best drip coffee and tea rich in taste and aroma.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ffee drip device and a coffee pod used therein.

커피숍이나 가정에서 원두커피 분말을 이용하여 추출되는 원두커피는 일반적으로 커피메이커를 이용하여 제조된다. Coffee beans extracted using coffee bean powder in a coffee shop or home are generally manufactured using coffee makers.

커피메이커를 통해 원두커피를 제조하는 과정을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커피메이커의 호퍼에 종이나 금속/폴리머 메쉬 등으로 제작된 필터를 장착시키고, 필터내에 원두커피 분말을 넣는다. 그리고 물을 끓여 호퍼로 제공하는 탱크에 물을 부으면, 끓여진 물이 필터내의 원두커피 분말에 제공되고, 원두커피가 우러나와 커피메이커 하부의 커피포트에 저장된다. 커피포트 하부에는 커피포트에 열을 가하는 히터가 설치되어 커피포트에 수용된 원두커피가 식지 않도록 보온한다. Briefly look at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coffee beans through the coffee maker. First, a filter made of paper, a metal / polymer mesh, or the like is placed in a hopper of a coffee maker, and then ground coffee powder is put into the filter. When water is poured into a tank that boils water and serves as a hopper, the boiled water is provided to the coffee beans in the filter, and the coffee beans are stored in the coffee pot under the coffee maker. The lower part of the coffee pot is provided with a heater that heats the coffee pot to keep the coffee beans accommodated in the coffee pot cool.

이렇게 커피메이커를 이용할 경우, 원두커피 분말과 물을 커피메이커에 제공하여 원두커피를 간편하게 추출할 수 있으며, 보온기능에 의해 추출된 원두커피를 보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When using the coffee makers, coffee beans powder and water can be provided to the coffee makers to easily extract the coffee beans, and there is an advantage of keeping the coffee beans extracted by the insulating function.

그러나, 원두커피를 대량으로 추출하여 보온할 경우, 시간이 경과할수록 급격하게 원두커피의 맛과 향이 저하되며, 심할 경우 탄 맛이 나기도 한다. 따라서, 원두커피를 최적 최상의 상태로 공급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However, if the coffee beans are extracted and retained in large quantities, the taste and aroma of the coffee beans are rapidly lowered as time passes, and in some cases, they are burnt. Therefor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coffee beans are not optimally supplied in the best condition.

또한, 일반적으로 원두커피를 추출할 때, 원두커피를 우려내기 위한 물의 100%가 커피분말을 통과하게 된다. 즉, 장시간에 걸쳐 물이 커피분말을 통과하면서 원두커피를 추출한다. 이렇게 원두커피를 추출하면, 원두커피의 추출초기에는 커피분말에 포함되어 있는 유효성분들만이 추출되지만, 원두커피를 추출하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커피분말에 포함된 유해성분들, 예를 들면 카페인이나 쓴맛 등이 증가하면서 원두커피의 맛과 향을 오히려 저하시키게 된다. In general, when the coffee beans are extracted, 100% of the water for soaking the coffee beans passes through the coffee powder. In other words, the coffee beans are extracted while the water passes through the coffee powder for a long time. When the coffee beans are extracted, only the active ingredients contained in the coffee powder are extracted at the beginning of the coffee beans extraction, but the longer the coffee beans are extracted, the more harmful ingredients contained in the coffee powder, such as caffeine or bitter taste. This increase reduces the taste and aroma of the coffee beans.

또한, 원두커피 추출시 추출에 사용되는 물이 쉼없이 커피 분말에 투입됨으로써, 커피 분말이 물을 머금으면서 맛과 향을 물에 전달할 시간의 여유도 없이 바로 추출된다는 문제도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ater used for extraction when the coffee beans are extracted into the coffee powder without a break, the coffee powder is extracted immediately without the time to deliver the taste and aroma to the water while holding the water.

이러한 종래의 단점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차를 우리는 시간이 달라, 맛과 향이 달라지는 녹차, 쟈스민차, 허브차 등의 차에서도 나타난다. This conventional drawback is also shown in tea, such as green tea, jasmine tea, herbal tea, etc., the time we make tea according to the user's choice, the taste and aroma are different.

본 발명의 목적은, 커피 드립시 모든 용액이 커피원액과 혼합되지 않도록 하고 수회에 걸쳐 드립이 가능하도록 하여 커피분말로부터 유해성분이 추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커피나 차의 맛과 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커피드립장치와 이에 사용되는 커피포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event all the solutions from being mixed with the coffee stock and to allow drips several times to prevent harmful components from being extracted from the coffee powder, thereby improving the taste and aroma of the coffee or tea. To provide a coffee drip device and a coffee pod used therein.

본 커피드립장치는 물을 수용하는 물탱크부; 및 상기 물탱크부로부터 물을 제공받아서, 커피포트 수용부로 물을 전달하는 직수홀과 드립홀이 형성된 드립플레이트부; 를 포함하는 커피드립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coffee drip device is a water tank unit for receiving water; And a drip plate part having a water supply hole and a drip hole for receiving water from the water tank part and transferring water to the coffee pot receiving part. It relates to a coffee drip apparatus comprising a.

또한, 상기 물탱크부의 하부 바닥면에는 물 공급용홀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water supply hole may be formed in a lower bottom surface of the water tank part.

그리고 상기 드립플레이트부의 중앙에는 직수홀이 형성되고, 가장자리에는 드립홀이 형성될 수 있다.A direct hole may b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drip plate part, and a drip hole may be formed at an edge thereof.

또한, 상기 드립플레이트부 하단에 위치하며, 중앙에는 상기 직수홀과 연결되는 직수관이 형성되고, 가장자리에는 추출홀이 형성된 커피포드 수용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ip plate portion is located at the bottom, the center is formed with a straight pipe connected to the direct hole, the coffee pod accommodating portion formed in the extraction hole; It may further include.

그리고 상기 커피포드 수용부의 하단에 위치하며, 호퍼홀이 형성된 호퍼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coffee pod receiving portion, the hopper hole formed hopper hole; It may further include.

또한, 모터와 구동기어를 포함하는 구동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드립플레이트부의 외경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모터는 상기 나사산과 맞물리는 구동 기어를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드립플레이트부를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a drive unit including a motor and a drive gear; Further comprising a thread is formed on the outer diameter of the drip plate portion, the motor is capable of rotating the drip plate portion by driving a drive gear engaged with the thread.

그리고, 상기 물탱크부에는 버튼과, 상기 버튼과 연결되는 버튼 연장부와 상기 버튼 연장부와 결합되는 물 공급용 홀 마개 및 버튼 연장부를 감싸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버튼의 작동에 의해 물 공급용 홀의 개폐를 유도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The water tank part includes a button, a button extension part connected to the button, a water supply hole stopper coupled to the button extension part, and a spring surrounding the button extension part, and for supplying water by operating the button. It is also possible to induce opening and closing of the hall.

또한, 컴퓨터 단말기 등의 외부장치와 연결될 수 있는 유에스비(USB)포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USB port that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computer terminal.

그리고 상기 물탱크부에는, 레버와 상기 레버와 연결된 물공급관 마개를 구비하고 상기 레버의 작동에 의해 물공급관이 개폐될 수 있으며, 상기 레버는 솔레노이드 밸브에 의해 구동되는 것이 가능하다.The water tank unit may include a lever and a water supply pipe stopper connected to the lever, and the water supply pipe may be opened and closed by operation of the lever, and the lever may be driven by a solenoid valve.

또한, 이에 사용되는 커피포드인 것이 가능하다.It is also possible that this is a coffee pod used therein.

본 커피드립장치는, 커피 드립시 커피분말에 제공되는 물의 양을 감소시키어 일부의 물만으로 커피를 추출하여, 물이 커피나 차를 통과하는 시간과 양을 감소시킬 수 있고 커피 드립시 수회에 걸쳐 드립함으로써 커피분말로부터 유해성분이 추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커피의 향이 풍부해져 사용자의 만족을 도모할 수 있다. The coffee drip device reduces the amount of water provided to the coffee powder when the coffee drips and extracts coffee with only a portion of the water, thereby reducing the time and amount of water passing through the coffee or tea. By drips, harmful ingredients can be prevented from being extracted from the coffee powder, and the aroma of coffee is enriched, so that user satisfaction can be achieved.

본 커피드립장치는, 커피분말에 제공되는 물의 양을 감소시키고 수회에 걸쳐 드립시킴으로써, 커피분말로부터 유해성분이 추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커피의 맛과 향을 제대로 느끼게 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할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커피분말만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의 커피드립장치는 커피뿐만 아니라 차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present coffee drip device can reduce the amount of water provided to the coffee powder and drip it several times, thereby preventing the harmful components from being extracted from the coffee powder and making the coffee taste and aroma.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only the coffee powder is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e coffee drip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qually applied to tea as well as coffee.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드립장치의 사시도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드립장치의 뚜껑과 캡을 분리 했을 때의 사시도를 각 나타낸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ffee drip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hows a perspective view when the cap and the cap of the coffee drip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드립장치(1)는 물탱크부(10), 호퍼부(20) 및 몸체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coffee drip device 1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ter tank 10, a hopper 20, and a body 30.

물탱크부(10)는 커피드립시 뜨거운 물을 저장하고, 호퍼부(20)는 커피분말을 담을 수 있는 필터를 구비하며, 몸체부(30)는 커피드립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는 장치로서 이하에서 설명될 제어부나 구동부 등을 내장할 수 있는 곳이다.The water tank unit 10 stores hot water during the coffee drip, the hopper unit 20 is provided with a filter that can hold the coffee powder, the body portion 30 is a device for forming the appearance of the coffee drip device as follows This is where the controller or driver to be described will be embedded.

물탱크부(10)는 커피드립장치에 있어서 커피와 혼합될 물을 저장하며, 물탱크부(10)는 복수개의 드립홀(11)을 구비한다. 위 복수개의 드립홀(11)을 통해서 물탱크부(10)에 저장된 물이 호퍼부(20)로 전달될 수 있다.The water tank unit 10 stores water to be mixed with coffee in the coffee drip device, and the water tank unit 10 includes a plurality of drip holes 11.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unit 10 may be transferred to the hopper unit 20 through the plurality of drip holes 1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립홀(11)은 물탱크부(10)의 바닥면의 중앙부에서 원주방향으로 일렬로 형성될 수 있다. 드립홀(11)은 적어도 하나 이상은 직수홀(13)을 포함한다. 직수홀(13)을 통과한 물은 호퍼부(20)에 있는 커피필터를 통과하지 아니하고 바로 컵(60)으로 전달될 수 있다.The drip holes 11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in a lin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tank part 10. At least one drip hole 11 includes a straight hole 13. Water passing through the direct hole 13 may be delivered directly to the cup 60 without passing through the coffee filter in the hopper 2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립홀(11)은 복수개 구비되며 드립홀(11)의 직 경이 가장자리로 갈수록 작을 수 있다. 통상 호퍼부(20)에는 깔때기 형상의 커피필터가 구비되고 깔때기 형상의 커피 필터는 중앙부에 많은 양의 커피 분말이 위치할 수 있기 때문이다.A plurality of drip holes 1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and the diameter of the drip hole 11 may be smaller toward the edge. This is because the hopper portion 20 is provided with a funnel-shaped coffee filter and the funnel-shaped coffee filter may have a large amount of coffee powder in the center portion.

직수홀(13)은 물탱크부(10)의 물의 일부를 호퍼부(20)의 커피를 통과하지 아니하고 바로 컵(60)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수홀(13)에는 직수관(15)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직수관(15)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직수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취향에 따라서 커피의 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높이가 다른 복수개의 직수관이 별도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Direct hole 13 is to allow a portion of the water in the water tank portion 10 to be delivered directly to the cup 60 without passing through the coffee of the hopper 20, the direct hole 1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May be provided with a straight pipe (15). The amount of water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water pipe 15. It is possible to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traight pipes having different heights to adjust the concentration of coffee according to taste.

물탱크부(10)의 바닥면은 일정한 경사면을 가지며, 물탱크부(10)의 물이 완전히 누출될 수 있게 드립홀(11)이 형성된 부분을 가장 낮게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tank portion 10 has a constant inclined surface, it is preferable to have the lowest portion of the drip hole 11 is formed so that the water of the water tank portion 10 can be completely leaked.

물탱크부(10)는 커피드립장치의 상면부에 위치되는데 먼저 중앙돌출부(33)의 캡(35)을 개방한 후, 물탱크부(10)를 끼운다음 캡(35)을 고정시키는 방법으로 고정될 수 있다.The water tank unit 10 is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ffee drip device. First, the cap 35 of the central protrusion 33 is opened, and then the water tank unit 10 is inserted into the cap 35. Can be fixe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퍼부의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a hop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호퍼부(20)는 아래로 오목한 형상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오목한 형상에 깔때기 형상의 커피필터를 위치시키고 상기 깔때기 형상의 커피 필터에 커피분말이 위치된다. 호퍼부(20)에는 깔때기 형상의 커피분말 이외에 티백과 같은 커피백에 싸여진 커피분말도 위치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hopper portion 20 has a concave down shape, and the funnel-shaped coffee filter is positioned in the concave shape, and the coffee powder is located in the funnel-shaped coffee filter. In addition to the funnel-shaped coffee powder, the hopper portion 20 may also be a coffee powder wrapped in a coffee bag such as a tea bag.

물탱크부(10)의 뜨거운 물이 호퍼부(20)의 필터를 통과한 후 컵으로 내려가 도록 하기 위해 중앙부에 추출홀(21)이 구비되어 있는데 티백 형상의 커피백을 사용하는 경우 복수개의 추출홀(21)을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In order to allow the hot water of the water tank unit 10 to pass through the filter of the hopper unit 20 and then to the cup, an extraction hole 21 is provided in the center part. It is also possible to include the hole 21.

호퍼부(20)는 몸체부(30)에 결합될 수 있다. 호퍼부(20)가 몸체부(30)에 결합되는 방법은 측면으로 호퍼부(20)를 돌려 결합 또는 분리하거나, 전면의 손잡이(23)를 이용하여 앞으로 빼내서 분리하는 방법 등 통상의 여러가지 결합방법이 가능하다.Hopper portion 20 may be coupled to the body portion (30). How the hopper unit 20 is coupled to the body unit 30 is coupled to or separated by turning the hopper unit 20 to the side, or by using the front handle 23 to remove the front and the other various coupling methods such as This is possible.

호퍼부(20)는 물탱크부(10)의 저면부에 위치되어 물탱크부(10)로부터 물을 입수받는다. 복수개의 드립홀(11) 중 가장자리에 구비된 직수홀(13)을 통해서 입수되는 물은 커피분말이 담긴 커피필터를 거치지 않고 바로 컵으로 들어간다.The hopper 20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water tank 10 and receives water from the water tank 10. The water obtained through the direct hole 13 provided at the edge of the plurality of drip holes 11 enters the cup without passing through the coffee filter containing the coffee powder.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드립장치에서 뚜껑과 물탱크부를 제거한 사시도를,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드립장치의 물탱크부의 저면 사시도를 각 나타낸다.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id and the water tank in the coffee drip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show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water tank portion of the coffee drip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커피드립장치(1)의 몸체부(30)에는 물탱크부를 저면에서 지지하는 물탱크부 지지대(37)가 구비된다. 물탱크부 지지대(37)는 열십자(+)의 형태로 구비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body portion 30 of the coffee drip device 1 is provided with a water tank part supporter 37 supporting the water tank part from the bottom. The water tank support 37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crisscross (+),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물탱크부 지지대(37)는 중앙의 중앙돌출부(33)로부터 방사형으로 뻗어나가는 형태로 구비되되, 상기 물탱크부 지지대(37) 중 하나의 것에는 실리콘 패드(39)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water tank support 37 is provided in the form extending radially from the central projection 33 in the center, one of the water tank support 37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silicon pad (39).

이 실리콘 패드(39)는 물탱크부(10)의 저면에 접하여 있으며, 복수개의 드립 홀(11)을 막는 역할을 하게된다.The silicon pad 39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tank part 10 and serves to block the plurality of drip holes 11.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드립장치의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내부 사시도를 나타낸다.Figure 6 shows an internal perspective view including the driving means of the coffee drip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커피드립장치(1)의 몸체부(30)의 내부에는 전원공급장치(41)와 모터(43)와 구동기어(45)와 종동기어(4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동부(40)가 구비되어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a drive part including a power supply device 41, a motor 43, a drive gear 45, and a driven gear 47 inside the body portion 30 of the coffee drip device 1 ( 40).

전원공급장치(41)는 콘센트를 통해서 받는 전력, 또는 커피드립장치(1) 내부에 구비된 건전지로부터 인가되는 전력에 의해 공급되는 것이 가능하다.The power supply device 41 may be supplied by electric power received through an outlet or electric power applied from a battery provided in the coffee drip device 1.

모터(43)는 전원공급장치(41)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으로 작동되며 구동기어(45)를 구동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모터(43)는 예를들면 DC 3V의 2000 내지 3000 rpm의 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The motor 43 is operated by the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device 41 and serves to drive the drive gear 45. The motor 43 may be a motor of 2000 to 3000 rpm of DC 3V, for example.

구동기어(45)와 종동기어(47)는 웜기어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웜기어를 사용할 경우 구동력이 좋다.The drive gear 45 and the driven gear 47 may be provided with a worm gear. Driving force is good when using worm gear.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물탱크부(10)의 외경면에는 기어산(17)이 형성되어 있는데 종동기어(47)의 회전으로 종동기어(47)와 맞물려 조립되는 물탱크부(10)의 기어산(17)에 의해 물탱크부(10)가 회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a gear mount 17 is formed on the outer diameter surface of the water tank unit 10, and the gear of the water tank unit 10 is assembled with the driven gear 47 by the rotation of the driven gear 47. The water tank unit 10 may be rotated by the mountain 17.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드립장치의 제어부를 나타낸다.Figure 7 shows a control unit of the coffee drip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어부(50)는 스위치(51)와 칩(53)과 마그네틱 센서(5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controller 50 includes a switch 51, a chip 53, and a magnetic sensor 55.

스위치(51)는 사용자가 커피드립장치(1)를 구동시킬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 이스로서 스위치(51)를 On시키면, 전원공급장치(4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은 모터(43)가 구동되어 물탱크부(10)가 회전하게 된다.The switch 51 is a user interface that allows the user to drive the coffee drip device 1, and when the switch 51 is turned on, the motor 43 supplied with the power from the power supply device 41 is driven to the water tank. The part 10 is rotated.

즉, 스위치(51)를 사용자가 On시키게 되면, 전원공급장치(4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은 모터(43)가 구동되게 되고 모터의 구동으로 구동기어(45)가 구동되게 되고 구동기어의 구동으로 종동기어(47)가 회전하게 된다. 종동기어(47)가 회전하면, 물탱크부(10)의 외주면에 형성된 기어산이 맞물리면서 물탱크부(10)가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user turns on the switch 51, the motor 43 supplied with the power from the power supply device 41 is driven and the drive gear 45 is driven by the drive of the motor and the drive gear is driven. The driven gear 47 is rotated. When the driven gear 47 rotates, the gear tank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ater tank unit 10 meshes with the water tank unit 10.

물탱크부(10)의 회전으로 실리콘패드(39)에 의해 막혀있던 드립홀(11)이 개방되고, 개방된 드립홀(11)을 통하여 물이 아래로 떨어진다. 이때, 직수홀(13)을 통과하는 물은 커피분말이 담긴 커피필터를 통과하지 아니하고 바로 호퍼부(20)로 떨어지게 되고 나머지 드립홀(11)을 통과하는 물은 커피필터 방향으로 떨어지게 된다.The drip hole 11, which is blocked by the silicon pad 39, is opened by the rotation of the water tank part 10, and water falls down through the opened drip hole 11. At this time, the water passing through the direct hole 13 does not pass through the coffee filter containing the coffee powder and falls directly to the hopper 20, and the water passing through the remaining drip holes 11 falls in the direction of the coffee filter.

이렇게 물탱크부(10)의 회전이 1회전 이루어지게 되면 물탱크부(10)의 외주면에 구비된 위치결정 마그넷(19)과 제어부(50)에 구비된 마그네틱 센서(55)가 일치하는 시점에서 물탱크부(10)의 회전은 멈추게된다. 마그네틱 센서(55)와 위치결정 마그넷(19)이 일치하는 위치는 바로 실리콘 패드(39)가 물탱크부(10)의 드립홀(11)을 막는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회전이 멈추는 것은 기입력된 프로그램에 따른 것인데 이는 제어부(50)의 구성요소인 칩(53)에 입력시켜놓음으로서 가능하게 된다.When the rotation of the water tank unit 10 is performed in this way, the positioning magnet 19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ater tank unit 10 and the magnetic sensor 55 provided in the controller 50 coincide with each other. The rotation of the water tank unit 10 is stopped. The position where the magnetic sensor 55 and the positioning magnet 19 coincide is preferably provided at the position where the silicon pad 39 blocks the drip hole 11 of the water tank part 10. This rotation is stopped according to a pre-programmed input, which is possible by inputting to the chip 53 which is a component of the controller 50.

이렇게 물탱크부(10)가 1회전 하게되면 물탱크부(10)에 담겨 있던 물이 커피 필터로 낙하하게 되는데 이 커피필터로 낙하된 물은 커피필터에 담긴 커피분말에 의해 머금어지게되어 계속적인 물의 공급으로 인해 바로 뜨거운 물이 커피분말을 통과하여 컵으로 떨어지는 경우보다 커피의 맛과 향을 오랫동안 머금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When the water tank unit 10 is rotated in this way, the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tank unit 10 falls into the coffee filter, and the water dropped by the coffee filter is held by the coffee powder contained in the coffee filter. Due to the supply of water, hot water passes through the coffee powder and drips into the cup.

제어부(50)에 구비된 칩(53)에 의해 소정시간(예를들면 1분정도)이 경과하고 나면 다시 전원공급장치(41)에 전원이 공급되어 전원공급장치(4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은 모터(43)가 구동되게 되고 모터(43)의 구동으로 구동기어(45)가 구동되게 되고 구동기어(45)의 구동으로 종동기어(47)가 회전하게 된다. 종동기어(47)가 회전하면, 물탱크부(10)의 외주면에 형성된 기어산(17)이 맞물리면서 물탱크부(10)가 다시 한번 회전하게 된다.Afte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about 1 minute) has elapsed by the chip 53 provided in the controller 50, power is supplied to the power supply device 41 again to receive power from the power supply device 41. The motor 43 is driven and the drive gear 45 is driven by the driving of the motor 43, and the driven gear 47 is rotated by the driving of the drive gear 45. When the driven gear 47 rotates, the gear mountain 17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ater tank unit 10 meshes with the water tank unit 10 again.

이와 같이 회전 및 정지를 반복하면서 물탱크부(10)의 물이 모두 낙수될 때까지 회전하면 커피의 제조가 완성되는 것이다.Rotating and stopping in this way, while rotating until all of the water in the water tank unit 10 falls, the production of coffee is completed.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피드립장치의 사시도를, 도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피드립장치의 물탱크부와 호퍼부의 사시도를 각 나타낸다.8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ffee drip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ater tank portion and the hopper portion of the coffee drip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커피드립장치(100)의 호퍼부(120)는 깔때기 형상이 아닌 접시형태의 것으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호퍼부는 주로 커피 필터를 위치시키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티백과 같은 커피백(129)을 위치시키도록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hopper portion 120 of the coffee drip device 100 may be provided with a dish shape instead of a funnel shape. The hopper por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rimarily intended to position the coffee filter, but is provided to position the coffee bag 129 such as a tea bag.

호퍼부(120)의 정중앙부에는 추출홀(123)이 구비되어 있는 것은 도3에서의 설명과 같다. 그리고 드립홀로부터 낙수되는 물 중 직수홀을 통과하는 물은 커피백을 통과하지 아니하고 바로 추출홀을 경유하여 컵으로 떨어지는 것 또한 앞의 설명에서와 동일하다. 그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적용 가능한 발명은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에 경우에 있어서도 적용가능하다.The extraction hole 123 is provided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hopper 120 as in FIG. 3. And the water that passes through the direct hole of the drip hole from the drip hole does not pass through the coffee bag directly through the extraction hole is also the same as in the previous description. In addition, the invention applicable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pplicable to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피드립장치의 사시도를, 도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피드립장치의 절개사시도를 각 나타낸다.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ffee drip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 coffee drip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피드립장치(200)의 경우 몸체부(230)의 구성을 간결한 형태의 것으로 구비하는 것이 것 또한 가능하다.As shown in the figure, in the case of the coffee drip device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constitution of the body portion 230 in a concise form.

즉, 몸체부의 커피의 컵받이 부분에 중공부(233)를 형성하고 컵을 놓을 수 있는 위치를 구비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컵받이 부분으로부터 높이 방향으로 형성된 기둥을 가느다란 형태의 것으로 하여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That is, it is possible to form the hollow portion 233 in the cup portion of the body portion of the coffee cup and to have a position where the cup can be placed, and the column formed in the height direction from the cup portion as a slender form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또한, 호퍼부(220)의 형태를 측벽(222)이 구비된 사발의 형태의 것으로 하여 구비하되 바닥면에는 복수개의 추출홀(221)을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hopper 22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bowl having side walls 222, but a plurality of extraction holes 221 may b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thereof.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호퍼부(220)를 다른 형태의 것으로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주로 커피백을 이용하는 경우 복수개의 추출홀을 구비하고, 직수홀로부터 떨어지는 물이 커피백 방향으로 오지 않도록 커피백을 실장시킬 수 있는 측벽(222)을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적용 가능한 발명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경우에 있어서도 적용가능하다.As shown in FIG. 11, the hopper 220 may be provided in another form. When using a coffee bag, it is possible to include a plurality of extraction holes, and to have a side wall 222 to mount the coffee bag so that water falling from the direct hole does not come in the direction of the coffee bag. In addition, the invention applicabl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pplicable in the case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a 및 도1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퍼부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호퍼부의 다른 형태를 "커피드립장치용 캡슐(300)"로 부르기로 한다.11A and 11B illustrate another form of the hoppe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nother form of the hopper portion will be referred to as "capsule 300 for coffee drip device".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커피드립장치용 캡슐(300)은 이중벽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외주벽(310)은 커피드립장치용 캡슐(300)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이고 내주벽(320)은 외주벽(310)의 내부에서 커피팩 또는 커피필터에 담긴 커피분말을 위치시키는 곳이다. 위 그림에서는 커피필터에 담긴 커피분말을 도시하였으나 커피팩을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capsule for coffee drip device 300 is formed as a double wall,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wall 310 forms the appearance of the capsule for coffee drip device 300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wall 320 is an outer circumferential wall ( 310 is a place to place the coffee powder contained in the coffee pack or coffee filter. Although the above figure shows the coffee powder contained in the coffee filter, it is also possible to have a coffee pack.

외주벽(310)의 상면에는 외주벽(310)과 연결되어 형성되는 링형상의 몸체부 결합수단(330)이 구비되는데 상기 몸체부 결합수단(330)은 커피드립장치의 일 측면에서 끼울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주벽이 형성하는 저면의 원에는 캡슐홀(390)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탱크부의 물이 커피 필터(370)의 커피 분말(380) 통과 후 컵으로 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캡슐홀(390)이 필요하기 때문이다.The upper surface of the outer circumference wall 310 is provided with a ring-shaped body portion coupling means 330 is formed in connection with the outer circumference wall 310, the body portion coupling means 330 to be fitted on one side of the coffee drip device It is preferred to be provided.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capsule hole 390 in the bottom of the circle formed by the inner circumferential wall. This is because the capsule hole 390 is required in order to allow the water of the water tank portion to fall into the cup after passing through the coffee powder 380 of the coffee filter 370.

위 몸체부 결합수단(330)의 폭(t1)은 몸체부에 결합시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폭을 구비하여야 한다. 위 몸체부 결합수단(330)은 내주벽(320)의 상면부와 연결부(340)로 연결되어 있다. Width t1 of the upper body portion coupling means 330 should have a width enough to support when coupled to the body portion. The upper body portion coupling means 330 is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portion and the connecting portion 340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wall (320).

본 커피드립장치용 캡슐(300)은 일회용 사용자를 위해 판매용으로 제작되는 것이 가능하며 그러기 위해서는 외주벽(310)의 상면과 저면에 포장용 덮개(350,36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몸체부 결합수단(330)의 상면을 덮 을 수 있도록 몸체부 결합수단(330)의 상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포장용 덮개(350)를 덮어 커피분말에 이물질이 들어가지 못하도록 하고, 또한, 외주벽(310)의 저면에도 접착제를 도포하여 포장용 덮개(360)를 덮어 이물질이 들어가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apsule 300 for the coffee drip device may be manufactured for sale for a disposable user, and in order to do so, it is preferable to install packaging covers 350 and 360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wall 310. That is, by applying an adhesiv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coupling means 330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coupling means 330 to cover the packaging cover 350 so that foreign matter does not enter the coffee powder, and also, the outer periphery Adhesive is also applied to the bottom of the wall 310 to cover the packaging cover 360 to prevent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위 커피드립장치용 캡슐(300)의 포장용 덮개(350,360)는 도 11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커피드립장치를 이용하여 커피를 드립하고자 하는 경우 포장용 덮개(350,360)를 개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packaging covers 350 and 360 of the capsule 300 for the coffee drip device may be used by opening the packaging covers 350 and 360 when the user wants to drip coffee using the coffee drip device as shown in FIG. 11B.

도 1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드립장치의 호퍼부의 다른 형태의 것이 커피드립장치에서 드립되는 것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호퍼부의 다른 형태를 "커피드립장치용 캡슐(300)"로 부르기로 하는 것은 앞과 동일하다.11C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at another type of hopper portion of the coffee drip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rip in the coffee drip apparatu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other form of the hopper portion is referred to as "capsule 300 for coffee drip device" is the same as before.

먼저 포장용 덮개(350,360)를 개방한 커피드립장치용 캡슐(300)을 커피드립장치에 고정시킨다. 이 커피드립장치용 캡슐을 고정하는 방법은 링 형상의 몸체부 결합수단(330)을 몸체부에 결합하는 방법이 가능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3에서 설명한 여러가지 방법, 즉 커피드립용 캡슐을 돌려 결합 또는 분리하거나, 전면의 손잡이를 이용하여 앞으로 빼내서 분리하는 방법 등 통상의 여러가지 결합방법이 가능하다.First, the capsule for the coffee drip device 300, which has opened the packaging covers 350 and 360, is fixed to the coffee drip device. The method of fixing the capsule for the coffee drip device may be a method of coupling the ring-shaped body portion coupling means 330 to the body portion,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the method described in FIG. Various combinations of conventional methods are possible, such as rotating or separating by turning, or removing by pulling forward using the front handle.

위의 커피드립장치용 캡슐을 이용하여 커피를 드립하는 방법을 간단히 살펴보면 먼저 몸체부의 스위치를 온(On)시키면 구동기어와 종동기어 그리고 나사산의 결합에 의한 물탱크부가 회전하게 된다. 이에 의한 구동은 도 7에서의 설명과 동일 하다. 즉, 물탱크부(210)의 회전으로 물탱크부에 저면을 막고 있던 실리콘 패드가 더이상 물탱크부(210)의 드립홀(211)을 막지 못하고 물탱크부(210)의 물은 아래로 떨어지게 된다. 이 때, 드립홀(211)의 물 중 가장 가장자리에 구비된 직수홀(213)을 통과한 물은 외주벽(310)과 내주벽(320) 사이를 통과하게 되고, 그이외의 드립홀(211)을 통과하는 물은 내주벽(320) 안쪽으로 떨어지게 된다. 즉, 직수홀(213)을 통과한 물탱크부(210)의 물은 바로 컵(260)으로 떨어지지만, 그이외의 드립홀(211)을 통과하는 물탱크부(210)의 물은 내주벽(320) 안쪽에 구비된 커피필터(370)에 구비된 커피분말(380) 방향으로 떨어지게 된다. 커피분말(380)을 통과한 물은 캡슐홀을 통과하여 컵(260)으로 떨어지게 된다. 이 때 직수홀(213)을 통과하는 물이 내주벽 안으로 들어가지 않고 외주벽 바깥으로도 나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그 폭(t2)은 일정 길이 이상을 유지하여야 한다. 위 물탱크부(210)의 1회 회전 후 다시 회전 하는 것과 직수관을 이용하여 커피의 농도를 조절하는 것은 앞에서의 설명과 동일하다.Looking briefly how to drip coffee using the capsule for the coffee drip device above, when the switch of the body part is first turned on, the water tank unit is rotated by the combination of the drive gear, the driven gear and the screw thread. The driving by this is the same as that described in FIG. That is, the silicon pad which was block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tank unit by the rotation of the water tank unit 210 can no longer block the drip hole 211 of the water tank unit 210 and the water of the water tank unit 210 falls down. do. At this time, the water passing through the direct hole 213 provided at the edge of the drip hole 211 passes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wall 310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wall 320, other drip holes 211 Water passing through) is dropped into the inner circumferential wall 320. That is, the water of the water tank 210 passing through the direct hole 213 immediately falls into the cup 260, but the water of the water tank 210 passing through the other drip holes 211 is the inner circumferential wall. It is dropped in the direction of the coffee powder 380 provided in the coffee filter 370 provided inside (320). The water passing through the coffee powder 380 passes through the capsule hole to fall into the cup 260. At this time, in order to prevent the water passing through the direct hole 213 from entering the inner circumferential wall and ou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wall, the width t2 must be maintained at a predetermined length or more. Rotating again after the first rotation of the water tank unit 210 and adjusting the concentration of coffee using a straight pipe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도 12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커피드립장치의 사용상태도를 각 나타낸다.12 to 15 are diagrams showing the state of use of the coffee drip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2의 경우 먼저 물탱크부(10)의 드립홀(11)을 물탱크부 지지대(37)에 구비된 실리콘 패드(39)에 위치시켜 드립홀(11)을 막은 상태로 하여 위치시킨다. First, in the case of FIG. 12, the drip hole 11 of the water tank part 10 is first positioned on the silicon pad 39 provided in the water tank part supporter 37 so as to block the drip hole 11.

다음 몸체부에 구비된 뚜껑을 개방하고 물탱크부(10)에 물을 사용자가 원하 는 만큼 담아 놓는다. 이때, 뜨거운 물을 넣을수도 있고, 찬 물을 넣을 수도 있다. 다만 찬물을 넣은 경우 도시되지 않은 가열장치에 의해 가열 후에 커피드립장치를 구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탱크부(10)에 뜨거운 물을 붓더라도 물탱크부(10)의 물이 실리콘 패드(39)에 의해 아래방향으로 흐르지 않게 된다.Then open the lid provided in the body portion and put the water in the water tank unit 10 as the user wants. At this time, hot water may be added or cold water may be added. However, when cold water is added, it is preferable to drive the coffee drip device after heating by a heating device (not shown). Even if hot water is poured into the water tank unit 10, the water of the water tank unit 10 does not flow downward by the silicon pad 39.

도 12 내지 도 15의 도면상 좌측 상단은 물탱크부의 평면도를, 좌측 하단은 물탱크부 지지대(37)의 평면도를 나타내고 우측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커피드립장치의 부분 단면도를 각 나타낸다.12 to 15, the upper left side shows a plan view of the water tank unit, the lower left side shows a plan view of the water tank unit support 37, and the right side show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ffee drip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사용자가 스위치를 작동 시키면 전원공급장치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어 모터가 구동되고 모터의 구동으로 인해 구동기어 및 종동기어가 회전하게 된다. 종동기어의 기어산와 맞물려 있는 물탱크부의 기어산(17)에 의해 물탱크부(10) 회전하게 된다.When the user operates the switch, power is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to drive the motor, and the drive gear and the driven gear rotate due to the driving of the motor. The water tank part 10 is rotated by the gear mountain 17 of the water tank part engaged with the gear mountain of the driven gear.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드립장치의 물탱크부가 회전중에 있는 경우의 도면을 나타낸다.13 is a view showing a case in which the water tank portion of the coffee drip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rotation.

동 도면에서는 편의상 물탱크부(10)가 180°회전한 경우를 도시하였다. 물탱크부(10)가 회전함과 동시에 물탱크부(10)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구비된 드립홀(11)이 실리콘 패드(39)로부터 개방되면서 물탱크부(10)에 담겨있던 물이 드립홀(11)을 통과하여 호퍼부(20)를 통과하게 된다.The same figure shows a case in which the water tank 10 is rotated 180 degrees for convenience. As the water tank part 10 rotates and the drip hole 11 provided through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tank part 10 is opened from the silicon pad 39, the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tank part 10 The hopper 20 passes through the drip hole 11.

이때, 드립홀(11)을 통과한 물은 일부의 물만이 커피필터내부로 떨어질 뿐, 가장 가장자리에 구비된 드립홀(11)인 직수홀(13)을 통과하는 물은 커피필터(2)의 내부를 통과하지 아니하고 바로 추출홀(21)을 통과하여 컵으로 떨어지게 된다.At this time, the water passing through the drip hole 11 only a portion of the water falls into the coffee filter, the water passing through the direct hole 13, the drip hole 11 provided at the edge of the coffee filter (2) Instead of passing through the inside, it passes through the extraction hole 21 and falls into the cup.

이와같이 직수홀(13)을 구비하여 물탱크부(10)에 있는 모든 물이 커피필터(2)를 통과하지 않도록 하는 이유는 모든 물이 커피필터(2)를 통과하는 경우보다 약간의 물이 직접 섞어지는 것이 커피 본래의 맛과 향을 더욱 더 잘 느낄 수 있도록 해주기 때문이다.The reason why the direct hole 13 is provided so that all the water in the water tank unit 10 does not pass through the coffee filter 2 is that a little water is directly applied than when all the water passes through the coffee filter 2. Mixing makes the coffee taste and aroma better.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드립장치의 물탱크부가 1바퀴 회전한 경우의 상태도이다.14 is a state diagram when the water tank portion of the coffee drip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otated one turn.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물탱크부(10)가 1바퀴 회전하게 되면 제어부(50)에 구비된 마그네틱 센서(55)와 물탱크부(10)의 외주면에 구비된 위치결정 마그넷(55)이 서로 마주보는 형태가 되고, 제어부(50)의 칩(53)에 기 입력된 프로그램에 의해 모터(43)로의 전원공급을 끊도록 하여 더이상 물탱크부(10)가 회전하지 않도록 한다.As shown in the drawing, when the water tank unit 10 rotates one turn, the magnetic sensor 55 provided in the controller 50 and the positioning magnet 55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ater tank unit 10 are mutually different. The water tank unit 10 is no longer rotated by turning off the power supply to the motor 43 by a program previously inputted to the chip 53 of the controller 50.

이렇게 되면 물탱크부(10)의 드립홀(11)은 다시 실리콘 패드(39)에 의해 막혀 물탱크부(10)의 물은 일정시간 동안 호퍼부(20) 방향으로 흐르지 않는 상태가 된다.In this case, the drip hole 11 of the water tank unit 10 is again blocked by the silicon pad 39 so that the water in the water tank unit 10 does not flow toward the hopper unit 20 for a predetermined time.

이렇듯, 물탱크부(10)를 계속적으로 회전시키지 아니하고 한바퀴 회전후 일정시간의 공백을 두는 이유는 한바퀴 회전으로 일정량의 물이 호퍼부(20)에 구비된 커피필터(2) 내부의 커피분말(3) 내부로 들어가는 경우 일정시간 커피분말(3)이 물을 머금고 있으면 있을수록 커피의 향과 맛을 오랫동안 머금을 수 있어 커피의 향을 더욱 많이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As such, the reason for leaving the water tank part 10 continuously without turning the water tank 10 after one revolution is that the coffee powder inside the coffee filter 2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in the hopper part 20 by one rotation ( 3) If you enter the inside of the coffee powder (3)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so that the longer you can have the aroma and taste of the coffee, so you can feel the aroma of the coffee more.

즉, 일정량의 물이 커피필터(2)내부로 들어가더라도 커피필터(2) 내부로 들 어간 물의 대부분은 커피필터(2) 내부를 통과하여 추출홀을 통과한 후 컵(60)으로 떨어지지 않고 커피분말(3)이 머금고 있는 상태가 된다.That is, even if a certain amount of water enters the coffee filter 2, most of the water entering the coffee filter 2 passes through the coffee filter 2, passes through the extraction hole, and does not fall into the cup 60. The powder 3 is in a state containing it.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드립장치의 물탱크부가 다시 회전하고 있는 상태도이다.15 is a state diagram in which the water tank portion of the coffee drip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ed again.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물탱크부(10)가 다시 회전하게 되면 물탱크부(10)의 바닥면에 구비된 드립홀(11)을 막고 있던 실리콘 패드(39)는 물탱크부(10)의 회전으로 더이상 드립홀(11)을 막지 못하고 물탱크부(10) 내부에 있던 물은 드립홀(11)을 통과해서 호퍼부(20) 방향으로 떨어지게 된다. 물탱크부(10) 내부의 물은 물탱크부(10)의 회전으로 커피필터(2)에 담겨진 커피분말(3) 방향으로 골고루 떨어지게 된다. 이렇게 되면 이미 커피분말(3)이 머금고 있던 물이 포화상태를 초과하게 되어 일정량의 물이 컵(60) 방향으로 흐르게 되고 다시 일정량의 물을 머금고 있는 상태가 된다.As shown in the figure, when the water tank part 10 is rotated again, the silicon pad 39 blocking the drip hole 11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tank part 10 is formed of the water tank part 10. Rotation can no longer block the drip hole 11 and the water inside the water tank part 10 passes through the drip hole 11 and falls in the hopper part 20 direction. The water in the water tank unit 10 is evenly dropped in the direction of the coffee powder 3 contained in the coffee filter 2 by the rotation of the water tank unit 10. In this case, the water already contained in the coffee powder 3 exceeds the saturation state, and a certain amount of water flows in the direction of the cup 60, and a state of holding a certain amount of water again.

여기서, 드립홀(11) 가장 가장자리 부분에 위치한 직수홀(13)에 일정한 높이의 직수관(15)을 꽂아 놓으면 일정량 이상의 물이 직수 된 이후에는 직수관(15)을 통해 커피필터(2)를 통과하지 않고 빠져나가는 물은 더이상 생기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Here, when the straight pipe 15 of a certain height is inserted into the straight hole 13 located at the edge of the drip hole 11, after the water of the predetermined amount or more is directed to the coffee filter 2 through the straight pipe 15. Water that passes through without passing through has the effect that it no longer occurs.

사람들 취향에 따라서 커피의 농도를 조절하고 싶을 경우 위 직수관(15)을 사용할 수 있는데 진한 커피를 원하는 사람은 높은 직수관(15)을, 연한 커피를 원하는 사람은 직수관이 없거나 낮은 직수관(15)을 이용하여 커피드립장치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게된다.If you want to adjust the concentration of coffee according to people's taste, you can use the above water pipe (15), but if you want dark coffee, high water pipe (15), if you want light coffee, you don't have water pipe or low water pipe ( 15), it is possible to use the coffee drip device.

상술한 실시예에서 커피를 추출할 때, 사용되는 방법, 시간, 물과 커피원액의 비율은 본 커피드립장치의 설계자에 의해서 얼마든지 변경가능함은 물론이다. In extracting coffe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method used, the time, the ratio of water and coffee stock solution can be changed by the designer of the present coffee drip device.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피 드립장치의 단면도를,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피 드립장치의 분해사시도를,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피 드립장치의 사시도를 각 나타낸다.1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ffee drip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ffee drip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8 is a fur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perspective view of the coffee drip apparatus which followed is shown.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피드립장치(400)는 물탱크부(410), 드립플레이트부(420), 커피포드 수용부(430), 호퍼부(440) 및 구동부(460)를 포함한다.Coffee drip apparatus 4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ter tank 410, a drip plate 420, a coffee pod receiving portion 430, a hopper 440 and a driving unit 460 do.

물탱크부(410)는 커피드립장치(400)에 사용되는 물을 수용하는 곳으로 물탱크부(410)의 저면부에는 물 공급용 홀(415)이 형성되어 있다.The water tank unit 410 accommodates water used in the coffee drip device 400, and a water supply hole 415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water tank unit 410.

또한, 물탱크부(410)에는 물 공급용 홀(415)을 개폐시킬 수 있는 버튼(411)과 버튼연장부(412)와 스프링(417)과 스프링 고정턱(418)과 스프링 보호관(419)과 물 공급용 홀 마개(413)가 구비되어 있다.In addition, the water tank unit 410 has a button 411 and a button extension 412, a spring 417, a spring fixing jaw 418 and a spring protection tube 419 for opening and closing the water supply hole 415. And a hole stopper 413 for water supply.

버튼(411)은 물탱크부(410) 중앙부에 버튼연장부(412)의 일단과 연결되어 있으며 버튼 연장부(412)의 타단은 물 공급용 홀 마개(413)와 연결되어 있다. 물공급용 홀 마개(413)는 물 공급용 홀(415)의 크기와 같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utton 411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button extension part 412 at the center of the water tank part 410, and the other end of the button extension part 412 is connected to the hole stopper 413 for water supply. The water supply hole stopper 413 is preferably configured to have the same size as the water supply hole 415.

버튼연장부(412)의 외부에는 스프링(417)이 감싸고 있으며 상기 스프링(417)은 스프링 고정턱(418)에 의해 하부로 내려가지 못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스프링(417)을 외부에서 감싸는 스프링보호관(419)이 구비되어 있다. 스프링 보호관(419)은 스프링(417)을 물과 접촉하지 못하도록 하는 부재이다.A spring 417 is wrapped around the outside of the button extension 412 and the spring 417 is configured to prevent the spring from being lowered by the spring fixing jaw 418. And the spring protection tube 419 surrounding the spring 417 from the outside is provided. The spring protection tube 419 is a member which prevents the spring 417 from contacting with water.

사용자가 버튼(411)을 하방으로 누르면 버튼(411)에 연결된 버튼 연장 부(412)와 물공급용 홀 마개(413)를 하방으로 이동시키게 되어 물 공급용 홀(415)을 개방하게 된다. 따라서 물탱크부(410)에 구비된 물을 물 공급관(414)과 물 공급홀(415)을 통해 하방으로 흘려보내게 되는 효과가 있다.When the user presses the button 411 downward, the button extension part 412 connected to the button 411 and the water supply hole stopper 413 are moved downward to open the water supply hole 415. Therefor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water provided in the water tank 410 flows downward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414 and the water supply hole 415.

사용자가 버튼(411)으로부터 압력을 제거하게 되면 스프링(417)의 탄성력에 의해 버튼연장부(412)와 물공급용 홀 마개(413)를 상방으로 이동시키게 되어 물 공급용 홀(415)을 폐쇄시키게 된다. 따라서 물탱크부(410)로부터 하방으로 흐르던 물을 더이상 흘려보내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When the user removes the pressure from the button 411, the button extension portion 412 and the water supply hole stopper 413 are moved upwar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417 to close the water supply hole 415. Let's go. Therefor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water that flows downward from the water tank unit 410 no longer flows.

사용자의 버튼(411) 조작으로 물탱크부(410)의 물이 하방으로 흐르면 물은 드립플레이프부(420)로 흘러 들어가게 된다.When the water in the water tank unit 410 flows downward by the user's button 411 operation, the water flows into the drip plate unit 420.

이와 같이 사용자가 버튼(411)을 조작함으로써 물탱크부(410)로부터 하방으로 전달되는 물의 양을 조작할 수 있게 되고 결과적으로 전달된 물이 커피포드(470)에 머무는 불림시간과 추출시간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As such, the user can manipulate the amount of water delivered downward from the water tank unit 410 by operating the button 411, and as a result, adjust the soaking time and extraction time for the delivered water to stay in the coffee pod 470. It becomes possible.

드립플레이트부(420)는 내부의 하단에는 직수홀(423)과 드립홀(425)이 구비되어 있고, 외경에는 나사산(427)이 구비되어 있다.The drip plate part 420 is provided with a straight hole 423 and a drip hole 425 at the lower end thereof, and a thread 427 is provided at an outer diameter thereof.

직수홀(423)은 물탱크부(410)로부터 드립플레이트부(420)로 들어온 물을 커피포드(470)를 통과하지 않고 바로 흘려보내기 위해 구비되고, 드립홀(425)은 물탱크부(410)로부터 드립플레이트부(420)로 들어온 물을 커피포드(470)로 흘려보내기 위해 구비된 홀이다.The direct hole 423 is provided to directly flow water entering the drip plate part 420 from the water tank part 410 without passing through the coffee pod 470, and the drip hole 425 is the water tank part 410. ) Is a hole provided to flow water introduced into the drip plate unit 420 to the coffee pod 470.

직수홀(423)은 드립플레이트부(420)의 중앙부에, 드립홀(425)은 드립플레이트부(420)의 가장자리부분에 위치한다.The direct hole 423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drip plate part 420, and the drip hole 425 is located at the edge of the drip plate part 420.

드립플레이트부(420)의 외경에는 나사산(427)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구동부(460)의 구동에 의해 드립플레이브부(420)를 회전시키기 위함이다.A thread 427 is formed at an outer diameter of the drip plate part 420 to rotate the drip plate part 420 by driving the driving part 460.

구동부(460)는 모터(461)와 구동기어(463)와 도시되지 아니한 전원공급장치를 포함한다.The driving unit 460 includes a motor 461 and a driving gear 463 and a power supply device not shown.

전원공급장치는 콘센트를 통해서 받는 경우, 이후에 설명할 USB포트를 통해 PC등 외부전력으로 받는 전력로부터 받는 경우 및 내부에 구비된 건전지로부터 인가되는 전력에 의해 공급되는 것이 가능하다.When the power supply is received through an outlet, it is possible to be supplied by electric power applied from a battery provided in the inside and when received from an external power source such as a PC through a USB port to be described later.

모터(461)는 전원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으로 작동되며 구동기어(463)를 구동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모터는 예를들면 DC 3V의 2000 내지 3000 rpm의 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The motor 461 is operated by power supplied from a power supply and serves to drive the drive gear 463. For example, the motor of 2000 to 3000 rpm of DC 3V may be used.

모터(461)의 구동으로 구동기어(463)를 회전시키고 구동기어(463)의 회전은 드립플레이트부(420) 외부에 구비된 나사산(427)의 회전을 유도하여 드립플레이트부(420)를 회전시키게 된다.The driving gear 463 is rotated by the driving of the motor 461, and the rotation of the driving gear 463 induces the rotation of the thread 427 provided outside the drip plate portion 420 to rotate the drip plate portion 420. Let's go.

드립플레이트부(420)의 회전은 물탱크부(410)로부터 전달받은 물을 드립홀(425)을 통해 커피포드(470)에 원을 그리면서 뿌려주는 효과가 있다. 동 도면에서는 드립홀(425)을 두개 도시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보다 더 많이 또는 적게 구비될 수 있다.Rotation of the drip plate part 420 has an effect of spraying the water received from the water tank unit 410 while drawing a circle in the coffee pod 470 through the drip hole 425. Although two drip holes 425 are illustrated in the same drawing, the drip holes 425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more or less drip holes 425 may be provided.

그리고 드립플레이트부(420)의 드립홀(425)의 크기를 다르게 함으로써 물의 분배양을 조절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distribution amount of water may be adjusted by changing the size of the drip hole 425 of the drip plate part 420.

또한, 드립플레이트부(420)의 회전속도를 달리함으로써, 커피의 불림시간 및 추출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by vary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drip plate unit 420, the soaking time and extraction time of the coffee can be adjusted.

드립플레이트부(420)의 직수홀(423)을 통과한 물은 커피포드 수용부(430)의 직수관(431)으로, 드립플레이트부(420)의 드립홀(425)을 통과한 물은 커피포드 수용부(430)의 가장자리에 구비된 추출홀(433) 방향으로 각각 통과한다.The water passing through the direct hole 423 of the drip plate part 420 is a straight pipe 431 of the coffee pod accommodating part 430, and the water passing through the drip hole 425 of the drip plate part 420 is coffee. Pass in the direction of the extraction hole 433 provided at the edge of the pod receiving portion 430, respectively.

커피포드 수용부(430)는 중공부가 형성된 커피포드(470)를 수용하는 곳으로 상기 커피포드 수용부(430)에는 직수관(431)과 추출홀(433)이 구비된다.The coffee pod accommodating part 430 accommodates the coffee pod 470 in which the hollow part is formed. The coffee pod accommodating part 430 is provided with a straight pipe 431 and an extraction hole 433.

직수관(431)은 드립플레이트부(420)의 직수홀(423)과 연결되어 직수홀(423)로부터 내려온 물을 커피포드(470)를 통과하지 아니하고 바로 호퍼부(440)로 보내어준다.The direct pipe 431 is connected to the direct hole 423 of the drip plate part 420 to send the water from the direct hole 423 directly to the hopper 440 without passing through the coffee pod 470.

추출홀(433)은 커피포드(470)를 통과한 물을 호퍼부(440)로 보내어 주기위해 구비된다.Extraction hole 433 is provided to send the water passed through the coffee pod 470 to the hopper 440.

커피포드 수용부(430)에 직수관(431)과 추출홀(433)을 구비함으로써 물탱크부(410)로부터 내려온 물의 일부는 커피포드(470)를 통과하지 아니하고 나머지 일부는 커피포드(470)를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By providing the water pipe 431 and the extraction hole 433 in the coffee pod accommodating part 430, a part of the water coming down from the water tank part 410 does not pass through the coffee pod 470 and the other part is the coffee pod 470. To pass through.

호퍼부(440)는 커피포드 수용부(430)로 흘러들어온 물을 컵(450)으로 내려보내는 곳으로 상기 호퍼부(440)에는 호퍼홀(441)이 구비되어 있다.The hopper 440 is a place where the water flowing into the coffee pod accommodating part 430 descends to the cup 450, and the hopper part 440 is provided with a hopper hole 441.

드립플레이트부(420)의 직수홀(423)과 커피포드 수용부(430)의 직수관(431)은 서로 연결되어 물탱크부(410)로부터 전달된 물을 커피포드(470)를 통과하지 않고 바로 호퍼부(440)로 보내는 역할을 한다.The direct hole 423 of the drip plate part 420 and the direct pipe 431 of the coffee pod accommodating part 43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without passing the water transferred from the water tank 410 through the coffee pod 470. It serves to send directly to the hopper 440.

또한 드립플레이트부(420)의 직수홀(423)과 커피포드 수용부(430)의 직수 관(431)은 각각 드립플레이트부(420)와 커피포드 수용부(430)의 중앙부에 구비하여 물탱크부(410)로부터 내려오는 물이 식지않고 바로 호퍼부(440)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water pipe 431 of the drip plate part 420 and the water pipe 431 of the coffee pod accommodating part 430 are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drip plate part 420 and the coffee pod accommodating part 430, respectively. The water coming down from the portion 410 is effective to be delivered directly to the hopper portion 440 without cooling.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탱크부(410), 드립플레이트부(420), 커피포드 수용부(430), 호퍼부(440) 및 구동부(460)는 몸체(465) 내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water tank 410, the drip plate 420, the coffee pod accommodating part 430, the hopper 440 and the driving part 46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the body 465 It is preferable.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피 드립장치가 피씨 등과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개념도를 나타낸다.19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at a coffee drip device is combined with a PC and the lik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피 드립장치(400)는 PC(480) 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거나, PC(480)를 통해서 커피 추출을 위한 불림시간, 회전속도, 및/또는 추출속도 등의 제어를 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피 드립장치)400)는, USB 포트(466)를 구비하고 상기 USB 포트를 이용하여 노트북 또는 데스크탑과 같은 PC(480)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본 도면에서 USB 포트(466)를 통해서 전력이나 제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러한 USB 포트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력 송수신이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서 임의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수단을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Coffee drip apparatus 4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pplied with power from the PC 480, or control the soaking time, rotational speed, and / or extraction speed for coffee extraction through the PC 480 Can be received. To this end, as shown in FIG. 19, the coffee drip device 400 may include a USB port 466 and may be connected to a PC 480 such as a notebook or a desktop using the USB port. On the other hand, although shown in the figure to transmit and receive power or control information through the USB port 466, it is not limited to this USB port, it is to employ any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for power transmission and reception 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It is possible.

도 19를 계속 참조하면, USB포트(466)와 피씨(480) 등에 구비된 USB포트(481)가 연결되며, 드립커피 제조장치는 피씨(48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드립플레이트부(420)를 구동할 수 있다. USB 포트(466)를 통해서 공급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드립플레이트부(420)를 구동하는 수단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 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으므로, 그에 관한 도면이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19, the USB port 466 and the USB port 481 provided with the PC 480 are connected, and the drip coffee manufacturing apparatus uses the power supplied from the PC 480 to form the drip plate unit 420. ) Can be driven. Means for driving the drip plate unit 420 by using the power supplied through the USB port 466 can be easily implemente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 drawings or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PC(480)에 설치된 드립커피 제조장치의 운용 프로그램(483)을 이용하여, 사용자는 드립커피의 제조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불림시간, 회전속도, 추출속도 등을 제어하여 최적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PC(480)에서 제공되는 드립커피 제조장치의 운용 프로그램(이하, 드립커피 프로그램이라 함.)(483)이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불림시간, 회전속도, 및 추출속도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드립커피 프로그램(483)이 제공하는 최적화된 불림시간, 회전속도, 및/또는 추출속도에 따라서 커피드립장치(400)를 제어할 수 있다. 드립 커피를 제조하는 회사마다, 불림시간, 회전속도, 및 추출속도가 다를 수 있으므로, 드립 커피를 제조하는 회사로부터 최적화된 불림시간, 회전속도, 및 추출속도를 드립커피 프로그램(483)이 제공할 수 있다.By using the operation program 483 of the drip coffee manufacturing apparatus installed in the PC 480, the user can optimize by controlling the most important soak time, rotation speed, extraction speed, etc. in the drip coffee manufacturing process. For example, a user can use a soak time, rotation speed, and extraction speed through a user interface provided by an operation program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drip coffee program) 483 of the drip coffee manufacturing apparatus provided in the PC 480. Can be selected. In addition, the coffee drip device 400 may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optimized soak time, rotation speed, and / or extraction speed provided by the drip coffee program 483. Since different manufacturers of drip coffee may have different soak times, rotation speeds, and extraction speeds, the drip coffee program 483 may provide optimized soak times, rotation speeds, and extraction rates from the companies that manufacture drip coffee. Can b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드립커피 프로그램(483), 드립 커피의 회사(또는 제품)별로 최적화된 불림시간, 회전속도, 및 추출속도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가 추출하고자 하는 커피의 제품에 맞는 것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p coffee program 483, the soak time, rotation speed, and extraction speed optimized for each company (or product) of the drip coffee are provided to the user to extract the coffee product to be extracted. You can choose the right one.

이러한 드립커피 프로그램(483)은 커피를 제조하는 회사로부터 제공되는 프로그램일 수 있지만,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커피를 제조하는 회사들의 모든 제품들에 대하여 최적화된 불림시간, 회전속도, 및 추출속도를 제공할 수 있도록 별도로 제작된 것일 수 있다.Such a drip coffee program 483 may be a program provided by a company that manufactures coffe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optimized soak time, rotational speed, and extraction rate for all products of coffee makers. It may be made separately to provide.

도 1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커피 드립장치(400)의 USB 포트(466)와, PC(480) 등에 구비된 USB 포트(481)는 서로 연결되며, PC(480)에 저장된 드립커피 프로그램(483)에 따라 커피 드립장치(400)의 드립방법이 제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USB 포트를 통해서 제어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구성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유선 또는 무선 통신수단(예를 들면 블루투스)을 채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9, the USB port 466 of the coffee drip apparatus 400 and the USB port 481 provided in the PC 48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drip coffee stored in the PC 480 is connected to each other. The drip method of the coffee drip device 400 may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program 483. Although the present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as controlling through a USB por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configuration, and may be configured by employing various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for example, Bluetooth).

한편, USB 포트(466)를 통해서 PC(480)로부터 수신하는 제어 데이터들(불림시간, 회전속도, 및 추출속도의 제어를 위한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드립플레이트(420)를 제어하는 구체적인 구성은 도 19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메모리와 CPU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한 기술적인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쉽게 구현할 수 있을 정도이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Meanwhile, a specific configuration of controlling the drip plate 420 by using control data (data for controlling soaking time, rotation speed, and extraction speed) received from the PC 480 through the USB port 466. Although not shown in FIG. 19, it can be implemented using a memory and a CPU, and a detailed technical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since it can be easily implemented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인터넷 등을 이용하여 원격지에서 드립커피 회사의 인터넷 서버(490)에 접속하여 최신의 커피 정보 및 소모품의 현황 및 주문 그리고 최신의 드립커피 프로그램(483)을 다운로드 할 수 있다.In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can access a drip coffee company's Internet server 490 remotely using the Internet or the like to download and update the latest coffee information and consumables, and download the latest drip coffee program 483. Can be.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피 드립장치의 커피포드 수용부의 단면도와 커피포드의 평면도를 나타낸다.20 is a sectional view of a coffee pod accommodating portion and a plan view of a coffee pod of a coffee drip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커피포드 수용부(430)에는 중공부(475)가 형성된 커피포드(470)가 위치할 수 있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coffee pod 470 in which the hollow portion 475 is formed may be located in the coffee pod accommodating portion 430.

커피포드(470)는 내부에 커피분말이 포함되고 외부는 종이재질의 필터(473)로 감싸진 것을 말하나, 커피분말 대신 차분말 기타 기호에 따른 다른 재료의 분말 이 포함될 수도 있다.The coffee pod 470 includes a coffee powder inside and the outside is wrapped with a paper filter 473, but instead of the coffee powder, a powder of another material according to tea powder or other preferences may be included.

커피포드 수용부(430)의 중앙부에는 직수관(431)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다각형상 또는 원형상 등 일반적인 형상의 커피포드는 커피포드 수용부(430)에 위치될 수 없다.Since a straight pipe 431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coffee pod accommodating part 430, a coffee pod having a general shape such as a polygonal shape or a circular shape cannot be located at the coffee pod accommodating part 43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포드(470)는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475)는 중공부 접합부(477)에 의해 밀폐된다.Coffee pod 47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hollow portion is formed, the hollow portion 475 is sealed by the hollow portion junction 477.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포드의 외부 또한 외부 접합부(471)에 의해 밀폐된다.And the outside of the coffee p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sealed by the outer junction 471.

도 21 내지 도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피 드립장치의 물탱크부의 부분상세도를 각 나타낸다.21 to 23 show partial detailed views of the water tank portion of the coffee drip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물탱크부의 하단에는 물공급관(510)과 물공급관 마개(519)와 물 공급용 홀(515)과 물공급용 홀 마개(513)와 레버(517)와 레버지지부(518)와 솔레노이브밸브(516)가 구비된다.As shown in the figure, a water supply pipe 510, a water supply pipe stopper 519, a water supply hole 515, a water supply hole stopper 513, a lever 517, and a lever support part 518 are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water tank part. ) And a solenoid valve 516 is provided.

물공급관(510)은 물탱크부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물탱크부의 물을 드립플레이트부로 보내어줄 수 있는 관이다.The water supply pipe 510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water tank part to send water to the drip plate part of the water tank part.

도 16에서의 설명과는 달리 물공급관(510)에는 물공급관 마개(519)가 구비되고 물공급관 마개(519)에 물공급용 홀(515)이 구비된다.Unlike the description in FIG. 16, the water supply pipe 510 is provided with a water supply pipe stopper 519 and a water supply hole 515 is provided in the water supply pipe stopper 519.

도 21은 물 공급용 홀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2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ater supply hole is open.

도 21을 참조하면, 버튼에 가해진 압력이 버튼연장부(512)를 하방으로 이동시키고 버튼연장부(512)와 결합된 물공급용 홀 마개(513) 또한 하방으로 이동시킴 으로써 물탱크부의 물을 물공급용 홀(515)을 통해 하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나타낸다.Referring to FIG. 21, the pressure applied to the button moves the button extension part 512 downward, and also moves the water supply hole stopper 513 coupled with the button extension part 512 downward to move the water in the water tank part. It moves downward through the water supply hole 515.

이와 같이 물 공급용 홀(515)만을 개방함으로써, 물탱크부로부터 소량의 물을 하부로 흘려보낼 수 있게 된다. 이와같이 물 공급용 홀(515)을 개방함으로써 커피의 불림에 필요한 소량의 물을 하부로 흘려보낼 수 있다.By opening only the water supply hole 515 in this manner, a small amount of water can flow from the water tank portion downward. By opening the water supply hole 515 in this way, a small amount of water required for soaking of coffee can flow down.

도 22는 물 공급용 홀이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state which the water supply hole closed.

도 22를 참조하면 버튼에 가해졌던 압력이 제거되면 스프링에 의해 버튼 연장부(512)와 물공급용 홀 마개(513)를 상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물탱크부의 물을 더이상 하방으로 이동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을 나타낸다. 물공급용 홀 마개(513)에는 물 공급용 홀(515)의 폐쇄를 위해 탄력성 있는 고무재질의 O링(514)이 구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2, when the pressure applied to the button is removed, the button extension part 512 and the water supply hole stopper 513 are moved upward by a spring so that the water of the water tank part can no longer be moved downward. . The water supply hole stopper 513 may be provided with an elastic rubber O-ring 514 to close the water supply hole 515.

이와 같이 물 공급용 홀(515)을 개방 및 폐쇄함으로써, 커피의 불림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By opening and closing the water supply hole 515 in this way, the soaking time of the coffee can be adjusted.

도 23은 물 공급관 마개가 개방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It is a figure which shows that a water supply pipe stopper was opened.

물 공급관 마개(519)는 물공급관(510)의 개폐를 유도하는 부재이다.The water supply pipe stopper 519 is a member for inducing opening and closing of the water supply pipe 510.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피 드립장치의 물공급관(510)의 측면에 레버(517)와 레버 지지부(518) 그리고 레버(517)와 연결되는 물공급관 마개(519) 및 레버(517)의 이동을 유도하는 솔레노이드 밸브(516)가 구비된다.Water supply pipe stopper 519 and lever 517 connected to the lever 517 and the lever support 518 and the lever 517 on the side of the water supply pipe 510 of the coffee drip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olenoid valve 516 is provided to induce movement of the.

레버(517)는 도면상 좌우(A-B)로 움직일 수 있으며 레버(517)가 좌우로 움직이면 레버지지부(518)에 의해 물공급관 마개(519)의 일측이 상하(A'-B')로 움직일 수 있다.The lever 517 may move left and right AB in the drawing, and when the lever 517 moves left and right, one side of the water supply pipe stopper 519 may move up and down (A'-B ') by the lever support part 518. have.

즉, 레버(517)의 위치가 A의 위치에 이르면 물공급관 마개(519)는 A'위치에 있게 되므로 물공급관(510)은 폐쇄되고, 레버의 위치가 B의 위치에 이르면 물공급관 마개(519)는 B'위치에 있게 되므로 물공급관(510)은 개방된다.That is, when the position of the lever 517 reaches the position of A, the water supply pipe stopper 519 is in the A 'position, so the water supply pipe 510 is closed, and when the position of the lever reaches the position of B, the water supply pipe stopper 519 ) Is in the B 'position, so the water supply pipe 510 is opened.

이는 물공급관 마개(519)가 레버(517)와 연결되어 레버(517)의 이동에 따라 연동되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the water supply pipe stopper 519 is connected to the lever 517 and interlocked with the movement of the lever 517.

레버(517)는 솔레노이드 밸브(516)에 의해 개방 및 폐쇄가 이루어질 수 있다.The lever 517 may be opened and closed by the solenoid valve 516.

이러한 솔레노이드 밸브(516)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은 콘센트에 의한 방법, 내부 건전지에 의한 방법 또는 USB포트를 통한 방법이 있을 수 있다.Providing a driving force to the solenoid valve 516 may be a method by an outlet, a method by an internal battery or a method through a USB port.

이와 같이 물공급관(510)을 개방 및 폐쇄함으로써, 하부로 흘려보내는 다량의 물을 제어하여 커피를 추출할 수 있다.By opening and closing the water supply pipe 510 as described above, coffee can be extracted by controlling a large amount of water flowing downward.

즉, 소량의 물 및 다량의 물을 하부로 흘려보내는 것을 도 21 내지 도 23에 도시된 방법으로 제어함으로써 하부로 흘려보내는 물의 양, 불림 시간 및 추출 시간을 조절하여 사용자의 구미에 맞는 드립커피를 제공할 수 있다.That is, by controlling the flow of a small amount of water and a large amount of water to the bottom shown in Figures 21 to 23 by adjusting the amount of water flowing down, soaking time and extraction time to adjust the drip coffee to the user's taste Can provid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While the above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it is usually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the pro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드립장치의 사시도를,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ffee drip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드립장치커피드립장치 분리 했을 때의 사시도를,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when the coffee drip coffee coffee device is detach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퍼부의 사시도를,3 is a perspective view of a hoppe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드립장치에서 뚜껑과 물탱크부를 제거한 사시도를,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removing the lid and the water tank in the coffee drip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드립장치의 물탱크부의 저면 사시도를,5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water tank unit of the coffee drip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드립장치의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내부 사시도를,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side including the driving means of the coffee drip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드립장치의 제어부를,7 is a control unit of the coffee drip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피드립장치의 사시도를,8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ffee drip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피드립장치의 물탱크부와 호퍼부의 사시도를,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ater tank portion and the hopper portion of the coffee drip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피드립장치의 사시도를,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ffee drip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피드립장치의 절개사시도를,11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 coffee drip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a 및 도1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드립장치의 호퍼부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를,11a and 11b is a view showing another form of the hopper portion of the coffee drip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드립장치의 호퍼부의 다른 형태의 것이 커피드립장치에서 드립되는 것을 나타내는 개략도를,11C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at another type of hopper portion of the coffee drip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rip in the coffee drip apparatus,

도 12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커피드립장치의 사용상태도를,12 to 15 is a state diagram used of the coffee drip apparatus fo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피 드립장치의 단면도를,1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ffee drip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피 드립장치의 분해사시도를,1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ffee drip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피 드립장치의 사시도를,18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ffee drip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피 드립장치가 피씨 등과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개념도를,19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at the coffee drip device is coupled to the PC and the lik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피 드립장치의 커피포드 수용부의 단면도와 커피포드의 평면도를, 그리고2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ffee pod accommodating portion of the coffee drip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lan view of the coffee pod, and

도 21 내지 도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피 드립장치의 부분상세도를 각 나타낸다.21 to 23 show partial detailed views of a coffee drip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커피드립장치 10 : 물탱크부1: coffee drip device 10: water tank part

11 : 드립홀 13 : 직수홀11 drip hole 13 direct hole

13 : 직수관 17 : 기어산13: direct pipe 17: gear mountain

19 : 위치결정 마그넷 20 : 호퍼부19: positioning magnet 20: hopper portion

21 : 추출홀 23 : 손잡이21: extraction hole 23: the handle

30 : 몸체부 33 : 중앙돌출부30 body portion 33 center projection

35 : 캡 37 : 물탱크부 지지대35: cap 37: water tank support

39 : 실리콘 패드 40 : 구동부39: silicon pad 40: drive part

41 : 전원공급장치 43 : 모터41: power supply 43: motor

45 : 구동기어 47 : 종동기어45: drive gear 47: driven gear

50 : 제어부 51 : 스위치50: control unit 51: switch

53 : 칩 55 : 마그네틱 센서53 chip 55 magnetic sensor

60 : 컵 100 : 커피드립장치60: cup 100: coffee drip device

120 : 호퍼부 123 : 추출홀120: hopper portion 123: extraction hole

129 : 커피백 200 : 커피드립장치129: coffee bag 200: coffee drip device

210 : 물탱크부 211 : 드립홀210: water tank portion 211: drip hole

213 : 직수홀 220 : 호퍼부213: direct hole 220: hopper section

221 : 추출홀 222 : 측벽221: extraction hole 222: side wall

260 : 컵 300 : 커피드립장치용 캡슐260: cup 300: capsule for coffee drip device

310 : 외주벽 320 : 내주벽310: outer wall 320: inner wall

330 : 몸체부 결합수단 340 : 연결부330: body portion coupling means 340: connection portion

350, 360 : 포장용 덮개 370 : 커피필터350, 360: packaging cover 370: coffee filter

380 : 커피분말 390 : 캡슐홀380: coffee powder 390: capsule hole

410 : 물탱크부 411 : 버튼410: water tank 411: button

412 : 버튼연장부 413 : 물공급용 홀 마개412: button extension 413: hole plug for water supply

414 : 물공급관 415 : 물공급용 홀414: water supply pipe 415: water supply hole

417 : 스프링 418 : 스프링 고정턱417: spring 418: spring fixing jaw

419 : 스프링 보호관 420 : 드립플레이트부419: spring protection tube 420: drip plate portion

423 : 직수홀 425 : 드립홀423: direct hole 425: drip hole

427 : 나사산 430 : 커피포드 수용부427: thread 430: coffee pod accommodating portion

431 : 직수관 433 : 추출홀431 straight pipe 433 extraction hole

440 : 호퍼부 441 : 호퍼부 홀440: hopper portion 441: hopper portion hole

460 : 구동부 461 : 모터460: drive unit 461: motor

463 : 구동기어 465 : 몸체463: drive gear 465: body

466 : USB 포트 470 : 커피포드466: USB port 470: Coffee Pod

471 : 외부접합부 473 : 필터471: external junction 473: filter

475 : 중공부 477 : 중공부 접합부475: hollow portion 477: hollow portion junction

480 : PC 481 : USB 포트480: PC 481: USB port

483 : 드립커피 프로그램 490 : 인터넷 서버483: Drip Coffee Program 490: Internet Server

510 : 물공급관 512 : 버튼 연결부510: water supply pipe 512: button connection

513 : 물 공급용 홀 마개 514 : 오링513: hole stopper for water supply 514: O-ring

515 : 물 공급용 홀 516 : 솔레노이드 밸브515: hole for water supply 516: solenoid valve

517 : 레버 518 : 레버지지부517: lever 518: lever support portion

519 : 물공급관 마개519: water supply pipe cap

Claims (11)

물을 수용하는 물탱크부; 및A water tank unit for receiving water; And 상기 물탱크부로부터 물을 제공받아서, 커피포트 수용부로 물을 전달하는 직수홀과 드립홀이 형성된 드립플레이트부;A drip plate part having a water supply hole and a drip hole for receiving water from the water tank part and transferring water to the coffee pot receiving part; 를 포함하는 커피드립장치.Coffee drip apparatus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물탱크부의 하부 바닥면에는 물 공급용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드립장치.Coffee drip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 supply hole is formed on the bottom bottom surface of the water tank.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드립플레이트부의 중앙에는 직수홀이 형성되고, 가장자리에는 드립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드립장치.A drip hole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drip plate part, and a drip hole is formed at the edge thereof.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드립플레이트부 하단에 위치하며, 중앙에는 상기 직수홀과 연결되는 직수관이 형성되고, 가장자리에는 추출홀이 형성된 커피포드 수용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커피 드립장치.Located at the bottom of the drip plate portion, the center is formed with a straight pipe connected to the direct hole, the coffee pod accommodating portion formed in the extraction hole; Coffee drip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커피포드 수용부의 하단에 위치하며, 호퍼홀이 형성된 호퍼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드립장치.A hopper positioned at a lower end of the coffee pod accommodating part and having a hopper hole formed therein; Coffee drip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모터와 구동기어를 포함하는 구동부; 를 더 포함하고, A drive unit including a motor and a drive gear; More, 상기 드립플레이트부의 외경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모터는 상기 나사산과 맞물리는 구동기어를 구동시킴으로써 상기 드립플레이트부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드립장치.A screw thread is formed on an outer diameter of the drip plate part, and the motor rotates the drip plate part by driving a drive gear engaged with the screw thread.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물탱크부에는 버튼과, 상기 버튼과 연결되는 버튼 연장부와 상기 버튼 연장부와 결합되는 물 공급용 홀 마개 및 버튼 연장부를 감싸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버튼의 작동에 의해 물 공급용 홀의 개폐를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드립장치.The water tank part includes a button, a button extension part connected to the button, a water supply hole stopper coupled to the button extension part, and a spring surrounding the button extension part, and opening and closing the water supply hole by operation of the button. Coffee drip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o guid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컴퓨터 단말기 등의 외부장치와 연결될 수 있는 유에스비(USB)포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드립장치.Coffee drip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 USB port that can b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computer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물탱크부에는, 레버와 상기 레버와 연결된 물공급관 마개를 구비하고 상기 레버의 작동에 의해 물공급관이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드립장치.The water tank unit has a lever and a water supply pipe stopper connected to the lever,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 supply pipe is opened and closed by the operation of the lever. 제 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레버는 솔레노이드 밸브에 의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드립장치.And the lever is driven by the solenoid valve.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0, 상기 커피드립장치에 사용되는 중공부가 형성된 커피포드.Coffee pod formed with a hollow portion used for the coffee drip device.
KR1020090124802A 2008-12-15 2009-12-15 Coffee dirp device and coffee pod using the same KR20100069611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7302 2008-12-15
KR1020080127302 2008-12-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9611A true KR20100069611A (en) 2010-06-24

Family

ID=4226919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4938A KR20100069615A (en) 2008-12-15 2009-12-15 Coffee dirp device and coffee pod using the same
KR1020090124802A KR20100069611A (en) 2008-12-15 2009-12-15 Coffee dirp device and coffee pod using the same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4938A KR20100069615A (en) 2008-12-15 2009-12-15 Coffee dirp device and coffee pod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20100069615A (en)
WO (1) WO2010071297A2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39132A (en) * 2012-02-05 2013-08-14 周林斌 Multifunctional rotarily-brewing kettle
KR200475904Y1 (en) * 2014-01-23 2015-01-14 강명곤 Improved coffee dripper and water control instrument for the same
KR20160073106A (en) * 2014-12-16 2016-06-24 (주)이즈미디어 Coffee machine
KR102450501B1 (en) * 2022-05-10 2022-10-04 한동희 Hot water discharging apparatus for coffee brewing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24048957A1 (en) * 2022-08-30 2024-03-07 삼성전자 주식회사 Beverage extraction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512Y1 (en) * 2012-01-11 2013-10-16 강명곤 Coffee basket for drip coffee
WO2024048959A1 (en) * 2022-08-30 2024-03-07 삼성전자 주식회사 Beverage extraction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57035A (en) * 1997-10-10 1999-09-28 Richter; Walter M. Swirling oscillation coffee maker
JP2005137543A (en) * 2003-11-06 2005-06-02 Shigeki Kageyama Drip coffee maker
CN2734093Y (en) * 2003-12-09 2005-10-19 王冬雷 Automatic dripping type coffee-maker with coffee bean grinder
JP5004552B2 (en) * 2006-11-07 2012-08-22 キーコーヒー株式会社 Coffee extractor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39132A (en) * 2012-02-05 2013-08-14 周林斌 Multifunctional rotarily-brewing kettle
KR200475904Y1 (en) * 2014-01-23 2015-01-14 강명곤 Improved coffee dripper and water control instrument for the same
KR20160073106A (en) * 2014-12-16 2016-06-24 (주)이즈미디어 Coffee machine
KR102450501B1 (en) * 2022-05-10 2022-10-04 한동희 Hot water discharging apparatus for coffee brewing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24048957A1 (en) * 2022-08-30 2024-03-07 삼성전자 주식회사 Beverage extrac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71297A3 (en) 2010-08-12
WO2010071297A2 (en) 2010-06-24
KR20100069615A (en) 2010-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69611A (en) Coffee dirp device and coffee pod using the same
EP1337171B1 (en) Tea brewing method and apparatus
KR101695856B1 (en) Brewed beverage appliance and method
ES2589807T3 (en) Apparatus for preparing a beverage and related procedure
KR101693261B1 (en) Automatic drip coffie
EP1600086B1 (en) Electric coffee maker for the production of espresso coffee
US20090317526A1 (en) Coffee brewing system
US20090202691A1 (en) Coffee making apparatus and method
KR101597969B1 (en) Extracting apparatus of dutch coffee
JP2009000529A (en) Automatic tea maker
KR20090027292A (en) Automatic machine for drip coffee and tea
KR101382254B1 (en) A duch coffee extracting equipment
KR101570162B1 (en) Coffe dripper for controlling the coffee brewing time
KR101485771B1 (en) Dutch coffee machine with a flow controller
KR20090075650A (en) Automatic maker for drip coffee and tea
JP2008113972A (en) Coffee brewer
KR101018497B1 (en) Coffee dirp device
KR20100117252A (en) Undiluted liquid extraction device and extraction method thereof
KR101894843B1 (en) Hand dripper for coffee
KR101638824B1 (en) Device for beans roasting and management method of the same
KR20220063042A (en) Espresso coffee machine linked with a porta filter device capable of measuring temperature and pressure
KR930004465B1 (en) Percolator
KR101787271B1 (en) Portable coffee drinking tumbler
US20140116257A1 (en) Brewing device with forced circulation
KR200227421Y1 (en) Water injection and influx control device for coffee ma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