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9474A - 모바일 단말과 연계된 iptv 개인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모바일 단말과 연계된 iptv 개인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9474A
KR20100069474A KR1020080128165A KR20080128165A KR20100069474A KR 20100069474 A KR20100069474 A KR 20100069474A KR 1020080128165 A KR1020080128165 A KR 1020080128165A KR 20080128165 A KR20080128165 A KR 20080128165A KR 20100069474 A KR20100069474 A KR 201000694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iptv
information
epg
mob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8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91578B1 (ko
Inventor
이승탁
최영우
정상국
박한춘
진영민
강민정
강대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20080128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1578B1/ko
Publication of KR20100069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94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15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15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68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ing specific information, e.g. geographical or meteorological information
    • H04H60/72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ing specific information, e.g. geographical or meteorological information using electronic programme guides [EP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08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characterised by an identification number or address, e.g. local network addr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2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by placing content in organized collections, e.g. local EPG data reposito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IPTV를 모바일 단말과 연동하여 그 연동된 모바일 단말을 통해 IPTV 시청 중인 프로그램을 방해하지 않고도 다양한 IPTV 프로그램 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과 연계된 IPTV 개인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한다.
모바일 단말과 연계된 IPTV 개인화 서비스 제공 방법은 (a) 상기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 ID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과의 세션을 유지하는 단계, (b) 상기 모바일 단말에 해당하는 개인화 플랫폼을 제공하는 단계, (c)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EPG 정보의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EPG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및 (d)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선택된 컨텐츠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는 상기 개인화 플랫폼과 상기 EPG 정보가 결합된 모바일용 EPG 정보에 의해 선택된다.

Description

모바일 단말과 연계된 IPTV 개인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E MANAGING PERSONAL IPTV SERVICE}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과 연계된 IPTV 개인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IPTV를 모바일 단말과 연동하여 그 연동된 모바일 단말을 통해 IPTV 시청 중인 프로그램을 방해하지 않고도 다양한 IPTV 프로그램 정보를 검색할 수 있고, 더 나아가 모바일 단말로 전송된 IPTV 프로그램 정보에 해당하는 콘텐츠도 IPTV로 재생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과 연계된 IPTV 개인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유선과 무선이 융합하는 새로운 서비스가 등장하고 있다. 이 서비스는 집 안팎을 구분하여 서비스의 연속성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특히 가정 내에서는 유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보다 저렴하게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현재는 전화 통화를 이용한 유선 네트워크 서비스에 한정되어 진행 중이나 조만간 미디어 영역으로 확산되리라 여겨지고 있다.
한편, 가정 내에서의 유선 미디어 서비스는 실제 다양한 형태로 전개 중이 다. 예를 들면, PC 혹은 다른 디바이스가 미디어 서버로서의 역할을 하고, 미디어 서버 내에 있는 콘텐츠를 TV를 통해서 볼 수 있는 형태가 이에 해당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전제 사항으로서는 홈 네트워킹에 관한 기술이 필요하므로, 이러한 홈 네트워킹 기술이 다시 이슈되고 있다. 하지만, IPTV 사업 자체가 통신 사업자 위주로 전개되어서인지 몰라도 IPTV와 모바일간의 홈 네트워킹을 아우르는 서비스 및 그 시스템이 현재 개발되어 있지는 않고 있다.
현재 일반적으로 댁내에 있는 TV를 제어하는 방법에는 단순히 적외선 리모콘 등을 이용하는 방법만이 일반화되어 있지만, 이러한 적외선 리모콘을 이용하는 경우, IPTV 서비스에 제공되는 다수의 채널 및 콘텐츠를 검색하는데 있어 매우 불편하고, 리모콘 동작의 느림과 콘텐츠의 HD화 및 디지털화로 인해 디스플레이되기까지 얼마 정도의 시간이 소요된다고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PC 등의 콘텐츠 제공자에 TV 등의 방송출력장치를 접속하여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제공된 콘텐츠를 TV로 시청하는 형태도 사용되고 있지만, 컨텐츠를 검색한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만을 단순히 TV로 디스플레이할 뿐, TV에 재생 중인 프로그램을 방하지 않으면서, 개개인이 다수의 채널 및 컨텐츠를 검색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렇듯, 모바일을 IPTV와 연동하여 홈 네트워킹에 대한 각종 서비스를 제공한다면, 모바일의 특성상 보다 편리한 형태의 IPTV 개인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지만, 모바일과 IPTV를 연동하기 위해서는 홈 네트워킹 기술이 필요하며, 또한 모바일과 IPTV와의 상호 인증을 통해 정보를 교류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모바일 단말과 IPTV를 연계하여 시청 중인 프로그램을 방해하지 않고도 모바일 단말을 통해 개인화된 IPTV 서비스 정보를 개별적으로 검색할 수 있고, 그 검색된 프로그램 정보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IPTV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과 연계된 IPTV 개인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모바일이 기본적으로 갖고 있는 개인화 특성을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과 셋톱 박스가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세션 연결 상태에서만 개인화 플랫폼과 EPG 정보가 결합된 모바일용 개인화 프로그램 가이드를 구성하고, 그 구성된 모바일용 개인화 프로그램 가이드 중 모바일 단말로부터 선택된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과 연계된 IPTV 개인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은 모바일 단말과 연계된 IPTV 개인화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 ID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과의 세션을 유지하는 단계, (b) 상기 모바일 단말에 해당하는 개인화 플랫폼을 제공하는 단계, (c)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EPG 정보의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EPG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선택된 컨 텐츠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는 상기 개인화 플랫폼과 상기 EPG 정보가 결합된 모바일용 EPG 정보에 의해 선택되는 모바일 단말과 연계된 IPTV 개인화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측면은 모바일 단말과 연계되어 IPTV 개인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셋톱 박스에 있어서, 미리 등록된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의 인증을 수행하는 사용자 인증부, 상기 모바일 단말과의 세션을 관리하는 세션 관리부, 등록된 사용자별로 개인화된 플랫폼과 방송 서버로부터 수신한 EPG 정보를 저장 및 갱신하는 모바일용 EPG 저장부, 상기 개인화된 플랫폼과 상기 EPG 정보가 결합된 모바일용 EPG 정보를 생성하는 EPG 변환부, 세션이 유지된 모바일 단말로 상기 개인화된 플랫폼과 상기 모바일용 EPG 정보를 제공하는 데이터 송신부 및 세션이 유지된 모바일 단말로부터 디스플레이될 컨텐츠 ID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를 포함하는 셋톱 박스를 제공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하나에 의하면, 시청 중인 프로그램을 방해하지 않고도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프로그램 정보를 별도로 검색할 수 있고, 이 검색된 프로그램 정보를 IPTV의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셋톱 박스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과제 해결 수단 중 하나에 의하면, 모바일이 기본적으로 갖고 있는 개인화 특성을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과 셋톱 박스가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세션 연결 상태에서만 개인화 플랫폼과 EPG 정보가 결합된 모바일용 개인화 프로그램 가이드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IPTV 방송 서비스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IPTV 방송 시스템은 방송 사업자(1000), 헤드엔드 시스템(2000), 네트워크망(3000) 및 사용자 단말기(4000)를 포함한다.
또한, 헤드엔드 시스템(2000)은 베이스 밴드 시스템(2010), 압축 다중화 시스템(2020), 수신 제한 시스템(CAS: Conditional Access System)(2030), 백 오피스 시스템(2040), 모니터링 시스템(2050), 미디어 관리 시스템(Media Operation Core: MOC)(2060), 가입자 관리 시스템(2070), 데이터 방송 시스템(2080), EPG(Electronic Program Guide) 시스템(2090) 및 리턴 패스 서버 시스템(2100)을 포함한다.
방송 사업자(1000)는 방송 컨텐츠를 제작, 편집 및 변경하여 헤드엔드 시스템(2000)으로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방송 사업자(1000)는 프로그램 공급자(PP), 지상파 또는 컨텐츠 제공자(CP)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방송 사업자(1000)의 의하여 제공되는 방송 컨텐츠는 기존 방송 컨텐츠와 인터넷 상의 풍부한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엔드 시스템(2000)은 방송 사업자(1000)로부터 방송 컨텐츠를 수신하여 관리하며, 사용자 단말기(4000)로 컨텐츠를 분배하여 방송/녹화/재생 서비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수신한 방송 컨텐츠에는 관련 부가 정보 및 이러한 부가 정보에 대한 EPG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헤드엔드 시스템(2000)은 멀티캐스트 라우팅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라우터를 경유하여 가입자 집선 장치, 가입자 스위치를 통해 방송 영상 및 음성 신호, 데이터 방송용 데이터 및 프로그램 추천 서비스 메뉴를 포함하는 EPG 정보(PSIP/PSI/SI 정보)를 멀티캐스팅으로 다수의 가입자의 IP 셋톱 박스로 전송할 수 있다.
베이스 밴드 시스템(2010)은 외부 프로그램 공급자(PP)로부터 MPEG2 방송 신호, 또는 지상파로부터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소스(source) 방송 신호를 SDI(Serial Digital Interface) 신호로 변환하고, 프레임(Frame)을 동기화 하며, 루틴 스위처(Routine Switcher)를 통해 여러 방송 채널(예를 들어, 100 채널)의 방송 영상 및 음성 신호들을 분배하며, 자막 생성기(CG) 및 자동 프로그램 제어기(Automatic Program Controller: APC)에 의해 상기 방송 영상 및 음성 신호에 광고, 로고, 또는 자막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삽입하여(신호 편집 및 가공) 상기 압축 다중화 시스템(2020)으로 전송한다.
상기 SDI(Serial Digital Interface) 신호는, 예를 들어, 270Mbps의 전송률을 가진 디지털 신호 표준안으로서, 복합 디지털 영상과 4채널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가 혼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밴드 시스템(2010)은 기본적으로 프로그램 공급자(PP), 지상파 등의 방송 신호를 각각 수신하는 수신 장치(예: DS-3 단국, 야기(Yagi) 안테나, IRD로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튜너(Tuner)), 수신 장치에서 수신된 소스(Source) 신호를 SDI 신호로 변환 및 보정하고 프레임을 동기화하기 위한 프레임 동기화기(Frame Synchronizer), 운용 관리를 위해 모든 방송 신호 채널을 연결/집중화하는 A/V 라우터 등의 신호 분배기, 상기 SDI 신호에 광고, 로고, 자막을 삽입하여 신호를 편집하고 가공하는 자막 생성기(character generator)를 포함할 수 있다.
압축 다중화 시스템(2020)은 상기 베이스 밴드 시스템(2010)으로부터 수신된 방송 영상 및 음성 신호(Video, Audio)를 방송 채널 별(예를 들어, 100 채널)로 각각 A/V 인코더(A/V Encoder)로 입력하여 SDI(Serial Digital Interface) 영상 신호를 H.264로 압축하고, 음성 신호를 MPEG-2 AAC로 압축하여 MPEG-2 TS(Transport Stream)을 생성하고, 압축된 방송 영상 및 음성인 MPEG-2 TS 신호와 함께 데이터 인코더(data encoder) 및 PSI/SI 발생기(PSI/SI Generator)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 방송용 데이터 및 EPG 정보(PSIP/PSI/SI 정보)를 다중화(Multiplexing)한 후, 다중화된 MPEG-2 TS 신호를 수신 제한 기술을 사용하는 경우 스크램블러(Scrambler)에 입력하여 암호화하고 최종적으로 IP 패킷화하여 IP 패킷화한 TS(Transport Stream) 방송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프로그램 추천 컨텐츠에 대한 불법 시청과 불법 복제를 방지하기 위해 수신 제한 시스템(2030)을 사용할 수 있다.
수신 제한 시스템(2030)은 실시간 채널에 대한 암호화 및 VOD 컨텐츠의 사전 암호화를 수행하며 시청 권한을 제어함으로써 인증된 사용자에 한해 채널 및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IPTV 컨텐츠의 불법 복제를 방지하기 위해 수신 제한 시스템(2030) 대신에 디지털 저작권 관리(DRM: Digital Rights Management)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다.
백 오피스 시스템(2040)은 프로비저닝(Provisioning) 시스템으로서 가입자 별로 IPTV 프로그램 서비스 사용에 대한 과금 처리 기능을 제공한다.
모니터링 시스템(2050)은 관제 시스템으로, IPTV 방송을 위한 A/V 방송 신호의 송출 장애, IPTV 헤드엔드 시스템의 다운 링크를 모니터링하여 수신 장애, 및 자막 확인 등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미디어 관리 시스템(2060)은 방송 업무를 운영하기 위한 각종 비즈니스 프로세스 정보(프로그램 편성 정보, 소재 정보, 계약 정보, 상품 정보 등)를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미디어 관리 시스템(2060)은 방송 센터의 중앙에서 각 시스템들과 유기적인 결합을 통해 정보 흐름을 통합 관리한다.
상기 미디어 관리 시스템(2060)은 방송 프로그램 편성 정보, 컨텐츠 및 미디어 관리 정보, 프로그램 제공자(PP)와 컨텐츠 제공자(CP)의 계약 정보, 상품 정보를 관리하고, 방송 센터의 중앙에서 각 시스템들과의 유기적인 결합을 통해 정보 흐름을 통합 관리하는 중재자(Coordinator)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디어 관리 시스템(2060)은 획득(Acquisition) 측면에서 계약 관리, 미디어 및 컨텐츠 메타데이터(meta data) 관리, 방송 스케줄 정보인 EPG 정보 획득/관리, 운영(operation) 측면에서 실시간 방송 및 VOD 채널편성 관리, 각 서브시스템과 연동을 에이전트(Agent) 관리, VOD 카탈로그 생성 관리 및 각종 상품 관리를 제공하며, 분석 측면에서 CP/CA와의 정산, 가입자 시청 성향 등의 마케팅 분석 리포팅, 송출(Delivery) 측면에서 방송 송출 모니터링, 비디오 서버 송출 관리 및 VOD 가입자 인증, CP/CA와의 정산을 위한 송출 결과 기록/관리, 연동된 각 서브시스템과의 데이터 동기화를 제공할 수 있다.
가입자 관리 시스템(2070)은 IPTV 서비스를 위한 회원 가입 및 해지, 회원 정보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데이터 방송 시스템(2080)은 상기 데이터 방송용 데이터의 저작 및 검증, 편성 및 송출한다.
상기 데이터 방송 시스템(2080)은 데이터 인코딩을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 에이전트 관리자(Data Agent Manager), 프로그램 관련 정보(Program Specific Information)/서비스 정보(SI: Service Information)를 발생하기 위한 PSI/SI 생성기(PSI/SI Generator), 방송 영상 및 음성 신호에 데이터 방송용 데이터를 인코딩하기 위한 데이터 서버/데이터 인코더(Data Server/Data Encoder), 상기 방송 영상 및 음성 신호에 데이터의 멀티플렉싱 기능을 관리하기 위한 멀티플렉서 관리자(Multiplexer Manager), 및 스케줄러 사용자 인터페이스(Scheduler UI)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방송 시스템(2080)은 지상파 ACAP(Application Configuration Access Protocol) 데이터 방송 표준에 따라 A/V 서버(A/V Server)로부터 제공된 A/V 데이터를 A/V 인코더(A/V Encoder)에 의해 방송 영상 및 음성 신호로 압축하고, 압축된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저작 도구(Authoring Tool)에 의해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으로부터 제공된 데이터를 데이터 서버/데이터 인코더 및 PSI/SI(Program Specific Information/Service Information) 발생기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 방송용 데이터 및 EPG 정보(PSIP/SI 정보)와 함께 멀티플렉서(Multiplexer)에 의해 멀티플렉싱되어 데이터 방송 프로그램의 수집, 저장에서부터 방송 프로그램 데이터 및 관련 정보의 부호화 및 송출을 할 수 있다.
EPG 시스템(2090)은 EPG 서버를 포함하고, 사용자 단말기(4000)로 전자프로그램 가이드(EPG) 서비스를 제공한다.
리턴 패스 서버 시스템(2100)은 데이터 제공자(DP: Data Provider)에 의해 양방향 데이터를 처리하며, 사용자 단말기(4000)로부터 온라인 청구서 전달, 양방향 데이터의 이용 내역/과금 연동 처리를 제공하고, 개인화 인증 처리, 및 프로그 램 추천 서비스를 위한 양방향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에 대응하는 응답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4000)로 유니캐스팅으로 전송할 수 있다.
네트워크망(3000)은 헤드엔드 시스템(2000)으로부터 방송 컨텐츠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기(4000)에게 상기 수신한 방송 컨텐츠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네트워크망(3000)은 백본(Backbone)망 및 액서스(Access)망을 포함하며, 상기 액서스망은 이더넷(Ethernet), xDSL(ADSL, VDSL), HFC(Hybrid Fiber Coaxial Ca), FTTC(Fiber To The Curb), FTTH(Fiber To The Home) 구조 중 어느 하나의 토폴로지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4000)는 인터넷 방송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장치로서, 일반적으로는 IPTV, 셋톱 박스(STB) 및 리모콘을 포함한다. IPTV는 헤드엔드 시스템(2000)으로부터 수신한 방송 컨텐츠를 출력하고, 리모콘을 통하여 입력받은 사용자 응답 신호를 셋톱 박스의 리턴 채널을 통하여 헤드엔드 시스템(2000)으로 전달한다.
사용자 단말기는 IP STB가 내장된 TV, 또는 사용자의 TV와 연결된 IP 셋톱 박스(IP STB), 컴퓨터, 노트북, 또는 개인 휴대용 단말기 중 어느 하나의 단말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IP 셋톱 박스는 CPU, 미디어 프로세서, 플래시 램, 이더넷 모듈 등의 STB 하드웨어로 구성된 하드웨어 계층, 디바이스 드라이버와 운영체제 등의 시스템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시스템 소프트웨어 계층, 자바 가상 머신(Java Virtual Machine: JVM), 수신 제한 시스템(Conditional Access System: CAS) 모듈 및 디지 털 저작권 관리(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인터페이스 모듈, 스트리밍 프로토콜(RTP, RTSP)을 탑재한 미들웨어 계층, MPEG2, MPEG4, MPEG7, H.264, WMV-9 등의 다양한 멀티 코덱(Multi CODEC)을 지원하며 IPTV 서비스 채널을 선택하기 위한 전자프로그램 가이드(Electronic Program Guide: EPG)를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계층의 4계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가입자의 IP 셋톱 박스는 IPv4 주소 또는 IPv6 주소가 할당될 수 있다.
이하에는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와 연계된 IPTV 개인화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과 연계된 IPTV 개인화 서비스 시스템의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과 연계된 IPTV 개인화 서비스 시스템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IPTV 개인화 서비스 시스템은 모바일 단말(10), 셋톱 박스(20), IPTV(30), IPTV 방송 서버(40), 인터넷(1000)을 포함한다.
모바일 단말(10)은 외부에서는 무선 데이터 통신 기능과 디스플레이 기능을 구비한 휴대기기로서 댁내에서 블루투스, UWB, Wi-Fi 등의 근거리 양방향 무선 통신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 및 셋톱박스(20)의 제어가 가능한 기기다. 모바일 단말(10)은 TV 등과 같은 표시장치의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는 프로그램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사용자가 개인화된 EPG(electronic program guide) 정보 등의 모바일용 EPG 정보를 수신하여 원하는 콘텐츠를 검색 및 선택하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모바일 단말(10)이 직접 해당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모바일 단말(10)은 모바일 단말(10)내에 저장된 다양한 정보 예를 들면 동영상 및 사진 등의 컨텐츠를 TV와 같은 표시장치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것도 가능하다.
셋톱 박스(20)는 인터넷(1000)을 통해 IPTV 방송서버(40)로부터 전송되는 방송 컨텐츠 및 Wi-Fi 통신 또는 블루투스 통신과 같은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모바일 단말(10)로부터 전송되는 모바일 콘텐츠를 송수신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 장치로서, 모바일 단말(10)과 셋톱 박스(20)가 세션 유지된 상태인 경우에는, 모바일 단말(10)에 제공되는 개인화 플랫폼뿐만 아니라 모든 프로그램에 관련된 EPG 정보를 수신하여 모바일 단말(10) 또는 IPTV 표시장치(30)에 EPG 정보 또는 콘텐츠 정보 등의 데이터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셋톱 박스(20)는 사용자가 원하는 EPG 정보를 용이하게 검색하여 그 해당 EPG 정보를 IPTV(30)의 화면에 디스플레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증 확인된 모바일 단말에 제공되는 개인화 플랫폼과 IPTV 방송 서버(40)로부터 수신한 EPG 정보가 결합된 모바일용 EPG 정보를 모바일 단말(10)에 듀얼 모드 형태로 제공한다.
여기서, 듀얼 모드란 모바일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명령 컨텐츠에 의해 셋톱 박스를 제어함으로써, 모바일용 EPG 정보 중 모바일 단말(10)로부터 선택된 EPG 정보에 해당하는 콘텐츠 정보를 IPTV(30)의 화면을 통해 재생하는 모드와, 모바일 단말에서 직접 콘텐츠를 재생하는 모드를 말한다. 이러한 듀얼 모드는 모바일 단말(10)의 화면상에 두 개의 모드로 구분하여 버튼 형태로 표시되거나, 별도의 버튼 수단을 구비하여 모드를 선택해도 좋다.
이와 같이, 모바일용 EPG 정보를 듀얼 모드로 구분하여 제공하는 이유는 디스플레이가 다른 면도 있지만, 모바일과 TV의 디스플레이 크기의 차이에 기인한 콘텐츠의 품질 차이로 인해 이들 기기에 재생될 콘텐츠가 서로 상이하기 때문이다.
이 후, 상기 듀얼 모드 중 IPTV(30)의 화면을 통해 재생하는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셋톱 박스(20)는 모바일 단말(10)로부터 선택된 콘텐츠 정보를 인터넷을 통해 IPTV 방송 서버(40)로부터 수신하여 IPTV(30)의 화면상에 수신한 콘텐츠를 출력 표시한다.
그러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단말(10)과 셋톱 박스(20)가 상호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모바일 전용의 무선 인터넷(미도시)을 통해 IPTV 방송 서버(40)로부터 직접 모바일용 EPG를 제공받아, 무선으로 셋톱 박스(20)를 제어하여 IPTV(30)의 화면상에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IPTV(30)는 IPTV 방송 서버(40) 및 모바일 단말(10)로부터 수신한 컨텐츠 정보를 셋톱 박스의 제어에 따라 디스플레이하는 역할을 하는 표시장치이다.
IPTV 방송 서버(40)는 방송 컨텐츠 및 EPG를 관리하는 IPTV 사업자로서, 모바일 단말(10)과 셋톱 박스(20)가 세션 연결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컨텐츠 및 EPG 정보를 셋톱 박스(20)에 제공하며, 모바일 단말(10)과 연동하여 셋톱 박스(20)로부터 요청된 사용자 정보의 등록을 확인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모바일 단말(10)과 셋톱 박스(20)가 상호 연결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셋톱 박스(20)를 경유하지 않고 컨텐츠 및 EPG 정보를 모바일 단말(10)에 제공할 수도 있다.
인터넷(1000)은 IPTV 방송 서버(40)와 셋톱 박스(20) 사이를 연결하는 네트 워크로서, 유니캐스팅 프로토콜 또는 멀티캐스트 라우팅 프로토콜(Multicast Routing Protocol)을 사용하는 IP(Internet Protocol) 망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셋톱 박스의 구성 요소와 모바일 단말 및 IPTV 방송서버 사이에서 행해지는 동작에 대하여 더욱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셋톱 박스(20)는 사용자 인증부(100), 세션 관리부(200), EPG 저장부(300), EPG 변환부(400), 데이터 송신부(500), 데이터 수신부(600)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증부(100)는 셋톱 박스(20)의 인증 및 컨텐츠에 대한 권한을 관리하는 것으로, 모바일 단말(10)의 사용자가 사용자 정보의 인증을 요청하는 경우, IPTV 방송 서버(40)에 등록된 사용자 정보를 확인한 후, 사용자 인증을 허가한다.
또한, 사용자 인증부(100)가 셋톱 박스(20)내에 사용자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하드 디스크 또는 메모리와 같은 데이터 저장소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화 하여 IPTV 방송 서버(40)의 등록확인 절차 없이 사용자 인증을 직접 실행해도 좋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정보는 IPTV 방송 서버에 미리 등록된 전화번호 또는 장치 일련번호를 포함한다.
세션 관리부(200)는 사용자 정보가 인증된 모바일 단말(10)과 셋톱 박스(20)가 Wi-Fi 통신 또는 블루투스 통신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호 세션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관리하는 것으로, 모바일 단말(10)과 셋톱 박스(20) 사이의 세션 연결이 차단되는 경우, 셋톱 박스(20)로 데이터를 전송하지 못하게 된다.
EPG 저장부(300)는 사용자 정보의 인증이 허가(등록)된 모바일 단말에 제공되는 개인화 플랫폼 즉, 이전에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가 시청하던 영화나 드라마 등의 EPG에 정보 또는 모바일 단말 기기내에 존재하는 개인화 서비스 정보 등을 저장하는 동시에, IPTV 방송 서버(40)로부터 수신한 EPG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모바일용 EPG 저장부(300)는 상기 저장된 개인화 플랫폼과 최신의 EPG 정보가 결합된 모바일용 EPG를 생성하도록 EPG 정보를 최신 정보로 갱신한다.
EPG 변환부(400)는 EPG 저장부(300)에 저장된 개인화 플랫폼과 최신의 EPG 정보를 수신한 후, 이들을 결합함으로써, 모바일 단말(10)로 전송 가능한 모바일용 EPG 정보를 생성한다.
그러나, 이러한 개인화 플랫폼은 EPG 저장부(300)에 저장되어 있는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모바일 단말(10)이 개인화 플랫폼에 관한 서비스 정보를 직접 저장하고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개인화 플랫폼이 모바일 단말(10)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모바일 단말(10)이 셋톱 박스(20)의 EPG 변환부(400)로 개인화 플랫폼을 제공하여, 개인화 플랫폼과 EPG 저장부(300)에 저장된 최신의 EPG 정보를 수신한 EPG 변환부(400)는 개인화 플랫폼과 EPG 정보를 결함합으로써, 모바일 단말(10)로 전송 가능한 모바일용 EPG 정보를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데이터 송신부(500)는 세션 연결이 유지된 모바일 단말로 개인화 플랫폼과 모바일용 EPG 정보를 모바일 단말(10)에 전송한다. 또한, 데이터 송신부(500)는 모 바일 단말(10)로부터 EPG 정보의 요청을 이하 설명될 데이터 수신부(600)를 통해 수신한 후, IPTV 방송 서버(40)로 해당 EPG 정보를 요청한다. 이때, 요청되는 EPG 정보는 모바일 단말(10)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모바일 형태의 EPG 정보이다.
데이터 수신부(600)는 세션이 유지된 모바일 단말로부터 IPTV(3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될 컨텐츠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부(600)는 데이터 송신부(500)에서 요청된 모바일 형태의 EPG 정보를 IPTV 방송 서버(40)로부터 수신하고, 이 수신된 EPG 정보를 EPG 저장부(300)로 전송함으로써, EPG 저장부(300)에 저장된 EPG 정보를 최신 정보로 갱신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과 연계된 IPTV 개인화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모바일 단말(10)의 사용자가 IPTV(30)의 시청 프로그램에 상관없이 모바일 단말(10)로 프로그램 정보를 검색하고 싶은 경우, 상기 모바일 단말(10)을 이용하여 사용자 ID와 패스워드를 입력하고 이 사용자 ID 의 인증을 셋톱 박스(20)에 요청한다(S1). 이후, 모바일 단말(10)로부터 사용자 ID의 인증을 요청받은 셋톱 박스(20)는 IPTV 방송 서버(40)에 사용자 ID의 인증을 확인하는 요청을 전송한다(S2). IPTV 방송 서버(40)는 셋톱 박스(20)로부터 전송된 모바일 단말로부터 입력된 사용자 ID와 IPTV 방송 서버(40)에 저장된 사용자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 사용자 ID의 등록이 확인되는 경우, 등록된 사용자 ID를 셋톱 박스(20)에 전송한다(S3). 상기 등록된 사용자 ID를 수신한 셋톱 박스(20)는 모바일 단말(10)의 사용자 ID의 인증을 허가한다(S4).
이렇게 함으로써,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만이 개인화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고, 타인에 의한 모바일 단말로의 IPTV 서비스의 검색 허용 또는 검색 제한할 수 다.
여기서, 사용자 정보는 IPTV 방송 서버(40)에 미리 등록된 모바일 단말(10)의 전화번호 또는 단말 장치의 일련번호 등을 포함한다.
상기 단계(S4)에서 셋톱 박스(20)가 모바일 단말(10)의 사용자 인증을 허가함으로써, 이 두 기기는 서로간에 무선 통신이 행해질 수 있도록 세션 연결 상태를 유지한다(S5).
단계(S5) 이후, 모바일 단말(10)과 셋톱 박스(20)가 세션 연결된 상태에서, 모바일 단말(10)은 셋톱 박스(20)로부터 개인화 플랫폼을 제공받는다(S6). 이 개인화 플랫폼이란 모바일 단말(10)이 이전에 수신했던 개인화 서비스 정보 예를 들면, 모바일 단말에게 제공되는 과거에 시청 중이었던 동영상 또는 사진 등의 이력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사용자가 지정한 선호 채널, 사용자 프로필 또는 시청 행태에 따른 추천 프로그램, 사용자별로 설정한 EPG의 인터페이스등도 개인화 플랫폼에 포함될 수 있다. 프로그램 정보일 수 있다.
그 다음, 모바일 단말(10)은 새로운 EPG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셋톱 박스에 EPG 정보를 요청한다(S7). 모바일 단말(10)로부터 EPG 정보의 요청을 수신한 셋톱 박스(20)는 IPTV 방송 서버(40)에 모바일 형태의 EPG 정보를 요청한다(S8). 이 EPG 요청에 따라 IPTV 방송 서버(40)는 해당 EPG 정보를 셋톱 박스(20)에 제공하 고(S9), 해당 EPG 정보를 수신한 셋톱 박스(20)는 개인화 플랫폼과 EPG 정보를 결합하여 모바일용 EPG 정보 생성한 후, 그 모바일용 EPG 정보를 모바일 단말(10)에 전송한다(S10).
상기와 같이, 모바일 단말(10)에 TV시청에 관한 프로그램 정보 가이드인 모바일용 EPG 정보를 별도로 제공함으로써, 댁내에서 시청 중인 프로그램을 방해하지 않고도 시청하고 싶은 프로그램 정보를 모바일 단말(10)의 화면으로 보면서 원하는 컨텐츠 정보를 검색 및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이렇게 전송된 모바일용 EPG 정보가 모바일 단말(10)의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되고, 이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EPG 정보 중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하여(S11) IPTV(30)의 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경우, 셋톱 박스(20)는 모바일 단말(10)로부터 선택된 콘텐츠를 IPTV 방송 서버(40)로 요청을 행한다(S12). 이 후, IPTV 방송 서버(40)는 해당 콘텐츠를 셋톱 박스(20)에 제공하고(S13), 이 제공된 콘텐츠를 댁내에 설치된 IPTV(30)의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한다.
이로써, 모바일용 EPG 정보 중 하나의 컨텐츠를 모바일 단말로(10)로 이용하여 IPTV(30)의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므로, 모바일 단말(10)을 적외선 리모콘과 같이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과 연계된 IPTV 개인화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댁내에서 시청 중인 프로그램을 방해하지 않고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 여 개인화 서비스된 정보를 검색하고, 이 검색된 복수의 정보 중 사용자가 원하는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IPTV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단계(S100)에서, IPTV 개인화 서비스를 제공받고 싶은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10)을 이용하여 사용자 ID 및 PW를 입력하는 경우, 셋톱 박스(20)내에 포함된 사용자 인증부(100)는 모바일 단말(10)의 사용자 ID를 수신하고, 이 수신된 사용자 ID를 IPTV 방송 서버(40)로 전송하여, 사용자 ID의 등록 확인을 요청한다. 이렇게 등록 확인이 요청된 사용자 ID는 IPTV 방송 서버(40)에 의해 사용자 정보 인증 여부가 판단되고, 이 판단 결과에 따라, 모바일 단말과 셋톱 박스 사이의 인증 허가 여부가 결정된다(S100).
예를 들어, 셋톱 박스(20)를 거쳐 모바일 단말로 전송된 사용자 ID가 IPTV 방송 서버(40)에 미리 등록된 전화번호 또는 장치 일련번호 등의 사용자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이 모바일 단말(10)은 셋톱 박스(20)에 의해 인증 허가를 수신하고, 단계(120)로 진행한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 ID와 사용자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단계(S110)에서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SMS로 알리거나 셋톱 박스를 이용하여 직접 모바일 단말(10)로 사용자 정보 등록을 요구한다.
또한, 셋탑 박스(320)에 설정된 PIN 번호를 이용한 인증 절차를 추가하여 인증 수준을 강화할 수도 있다.
단계(120)에서는, 단계(100)에서 사용자 인증이 허가된 모바일 단말과 셋톱 박스 사이에는 Wi-Fi 또는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통신을 통한 세션 연결 상태가 셋톱 박스(20)내 포함된 세션 관리부(200)를 통해 유지되고, 단계(S130)로 진행된다.
단계(S130)에서 셋톱 박스(20)내에 포함된 EPG 저장부(300)는 세션 연결된 모바일 단말(10)로 개인화 플랫폼을 제공하고(S130), 단계(S140)으로 진행한다.
이러한 개인화 플랫폼을 형성함으로 인해, 모바일 단말(10)을 통해 사용자 자신만의 프로그램 가이드 예를 들면, 채널, VOD, 양방향 서비스의 선호 정보에 대한 동적인 메뉴 구성 및 채널 네비게이션 등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므로, 적외선 리모콘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채널 네비게이션이란 채널 업다운 버튼을 통해 채널 이동시, 개인화 정보에 정의된 선호 채널 범위 내에서만 채널 이동이 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개인화 플랫폼은 셋톱 박스(20)내에 저장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모바일 단말(10)내에 구비된 기록 매체에 직접 저장되어 있어도 좋다.
단계(S140)에서 모바일 단말(10)의 사용자가 새로운 EPG 정보를 원할 경우, 셋톱 박스(20)내에 포함된 데이터 송신부(500) 및 데이터 수신부 (600)에 의해 EPG 정보를 IPTV 방송 서버(40)로부터 요청하고, 이 요청된 모바일 형태의 EPG 정보를 EPG 저장부(300)로 전송한다. 이후, 단계(150)로 진행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EPG 저장부(300)가 IPTV 방송 서버(40)로부터 수신되는 최신의 EPG 정보를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단계(150)에서 상기 EPG 저장부(300)에 저장된 개인화 플랫폼 및 EPG 정보는 EPG 변환부(400)에 의해 결합되고, EPG 변환부(400)는 결합된 정보에 근거하여 모 바일용 EPG 정보를 생성한다. 이후, 모바일용 EPG 정보는 데이터 송신부(500)를 통해 모바일 단말(10)로 전송되어, 모바일 단말(10)에 듀얼 모드 형태로 전송된다.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듀얼 모드는 셋톱 박스를 제어하여 콘텐츠를 재생하는 모드 또는 모바일 단말(10)에서 컨텐츠를 재생하는 모드를 포함하고, 셋톱 박스(20)에 의한 재생 모드는 반드시 세션 유지된 상태에서만 가능하다.
도 5b를 참조하여, 모바일 단말로부터 선택된 컨텐츠를 IPTV 또는 모바일 단말로의 재생 모드 선택에 의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방식에 대하여 설명하면, 단계(S160)에서 모바일 단말(10)에 듀얼 모드로 형태로 제공된 모바일용 EPG 정보에 해당하는 콘텐츠를 IPTV(30)와 모바일 단말(10) 중 어디에서 재생할지를 선택한다.
여기서, 모바일 단말을 통해 듀얼 모드가 선택되는 모습은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 형태로 구분된 버튼으로 표시되거나, 별도의 버튼 수단을 구비하여 모드를 선택해도 좋다
그 다음, 듀얼 모드 형태 중 IPTV(30)로 콘텐츠를 재생하도록 선택되는 경우, 단계(S170)에서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10)을 이용하여 콘텐츠를 선택한다. 단계(180)에서 상기 선택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는 셋탑 박스내 포함된 데이터 송신부(500) 및 데이터 수신부(600)를 통해 IPTV 방송 서버(40)에 요청하고, 단계(S190)으로 진행하여 IPTV 방송 서버(40)로부터 해당 컨텐츠를 제공받는다. 이로써, 리모콘과 같은 기능을 하는 모바일 단말(10)을 이용하여 셋톱 박스(20)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IPTV(30)의 화면상에 디스플레할 수 있다.
또한, 듀얼 모드 형태 중 모바일 단말(10)로 콘텐츠를 재생하도록 선택되는 경우, 단계(S200)에서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10)을 이용하여 콘텐츠를 선택한다. 단계(210)에서 상기 선택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는 셋탑 박스내 포함된 데이터 송신부(500) 및 데이터 수신부(600)를 통해 IPTV 방송 서버(40)에 요청하고, 단계(S220)으로 진행하여 IPTV 방송 서버(40)로부터 해당 컨텐츠를 제공받는다. 다음 단계(230)으로 진행하여, 제공받은 컨텐츠를 데이터 송신부(500)를 통해 모바일 단말(10)로 전송한다. 이로써, 모바일 단말(10)에서 직접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모바일 단말(10)의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술한 경우는 모바일 단말(10)과 셋톱 박스가 세션 유지 상태인 경우를 설명했지만, 이와 다른 예로서, 만약 집이 아닌 외부 장소 등에서 이들 기기간에 상호 세션 연결이 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모바일 단말이 무선 네트워크 등의 인터넷 망을 통하여 IPTV 방송 서버로부터 직접 싱글 모드 형태의 모바일용 EPG만을 제공받는다. 그리고, 제공된 모바일용 EPG 정보를 모바일 단말 또는 IPTV로 재생하기 위해, 모바일 단말내에서 재생하도록 하는 버튼을 누르면, 모바일 기기 자체가 보유한 플레이어로 재생하지만, TV로 재생하는 버튼을 누르면 해당 콘텐츠를 셋톱박스로 스트리밍하고, 셋톱박스는 디코딩하여 TV로 뿌려줌으로써, 외부에서 무선으로 IPTV를 제어하는 기술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은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그것들의 구성 요소 또는 동작의 일부 또는 전부는 범용 하드웨어 아키텍쳐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IPTV 방송 서비스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과 연계된 IPTV 개인화 서비스 시스템의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과 연계된 IPTV 개인화 서비스 시스템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과 연계된 IPTV 개인화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 흐름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과 연계된 IPTV 개인화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모바일 단말 20: 셋톱 박스
30: IPTV 40: IPTV 방송 서버
100: 사용자 인증부 200: 세션 관리부
300: EPG 저장부 400: EPG 변환부
500: 데이터 송신부 600: 데이터 수신부

Claims (8)

  1. 모바일 단말과 연계된 IPTV 개인화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 ID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과의 세션을 유지하는 단계,
    (b) 상기 모바일 단말에 해당하는 개인화 플랫폼을 제공하는 단계,
    (c)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EPG 정보의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EPG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및
    (d) 상기 모바일 단말로부터 선택된 컨텐츠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는 상기 개인화 플랫폼과 상기 EPG 정보가 결합된 모바일용 EPG 정보에 의해 선택되는 것인 IPTV 개인화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용 EPG 정보는 상기 셋톱 박스를 제어하여 컨텐츠를 재생하는 제 1 모드와 상기 모바일 단말에서 컨텐츠를 재생하는 제 2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듀얼 모드 형태로 제공되는 것인 IPTV 개인화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모드는 상기 세션이 유지된 상태에서만 활성화되는 것인 IPTV 개인화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과 상기 셋톱 박스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세션이 유지되는 것인 IPTV 개인화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의 사용자 ID는 방송 버에 미리 등록된 전화번호 또는 장치 일련번호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인 IPTV 개인화 서비스 제공 방법.
  6. 모바일 단말과 연계되어 IPTV 개인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셋톱 박스에 있어서,
    미리 등록된 인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의 인증을 수행하는 사용자 인증부,
    상기 모바일 단말과의 세션을 관리하는 세션 관리부,
    등록된 사용자별로 개인화된 플랫폼과 방송 서버로부터 수신한 EPG 정보를 저장 및 갱신하는 모바일용 EPG 저장부,
    상기 개인화된 플랫폼과 상기 EPG 정보가 결합된 모바일용 EPG 정보를 생성하는 EPG 변환부,
    세션이 유지된 모바일 단말로 상기 개인화된 플랫폼과 상기 모바일용 EPG 정보를 제공하는 데이터 송신부 및
    세션이 유지된 모바일 단말로부터 디스플레이될 컨텐츠 ID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를 포함하는 셋톱 박스.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세션 관리부는 인증된 모바일 단말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세션을 설정하는 것인 셋톱 박스.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용 EPG는 상기 셋톱 박스를 제어하여 컨텐츠를 재생하는 모드와 상기 모바일 단말에서 컨텐츠를 재생하는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듀얼 모드 형태로 제공되는 것인 셋톱 박스.
KR20080128165A 2008-12-16 2008-12-16 모바일 단말과 연계된 iptv 개인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4915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128165A KR101491578B1 (ko) 2008-12-16 2008-12-16 모바일 단말과 연계된 iptv 개인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128165A KR101491578B1 (ko) 2008-12-16 2008-12-16 모바일 단말과 연계된 iptv 개인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9474A true KR20100069474A (ko) 2010-06-24
KR101491578B1 KR101491578B1 (ko) 2015-02-09

Family

ID=42367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128165A KR101491578B1 (ko) 2008-12-16 2008-12-16 모바일 단말과 연계된 iptv 개인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1578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72634A (ko) * 2011-12-22 2013-07-02 주식회사 케이티 모자이크 epg의 소스정보를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소스정보를 제공받는 단말
KR101386504B1 (ko) * 2012-09-04 2014-04-17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클라우드 서버의 미디어 콘텐츠 공유를 위한 홈 네트워크 서비스 장치 및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WO2014069829A1 (ko) * 2012-10-31 2014-05-08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양방향 iptv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1393260B1 (ko) * 2012-10-15 2014-05-27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ip 서비스 지원시스템, pip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pip 서비스 지원방법
KR101410578B1 (ko) * 2012-10-15 2014-06-23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실시간 화면전송 시스템, 이동통신단말기, 셋톱박스 및 그 실시간 화면전송 방법
KR101411787B1 (ko) * 2014-05-22 2014-06-25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실시간 화면전송 시스템, 이동통신단말기, 셋톱박스 및 그 실시간 화면전송 방법
KR101418992B1 (ko) * 2010-11-15 2014-07-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모바일 iptv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41871B1 (ko) * 2012-10-31 2014-09-2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양방향 iptv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1488428B1 (ko) * 2013-04-26 2015-02-06 이노디지털 주식회사 스마트 미디어 기반의 에코 플랫폼에 있어서, 동적 영상 해상도 변환 시스템 및 방법
US9131258B2 (en) 2011-02-16 2015-09-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personalized service in IPTV
KR101875610B1 (ko) * 2011-10-25 2018-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수개의 채널 상태를 가이드 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및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US10097895B2 (en) 2013-10-11 2018-10-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tent providing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recommending content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8588B1 (ko) 2016-05-16 2016-12-21 주식회사 코네트 Iptv 통신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102361009B1 (ko) * 2017-04-19 2022-02-10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단말과 셋탑 박스의 연동을 위한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6503B1 (ko) * 2006-04-19 2007-12-17 주식회사 케이티 소봇을 이용한 검색정보 태깅에 따른 커뮤니티 생성 시스템및 그 컨텐츠 전달 방법
KR100862153B1 (ko) * 2007-08-16 2008-10-0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모바일 iptv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8992B1 (ko) * 2010-11-15 2014-07-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모바일 iptv 시스템 및 그 방법
US9131258B2 (en) 2011-02-16 2015-09-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personalized service in IPTV
KR101875610B1 (ko) * 2011-10-25 2018-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수개의 채널 상태를 가이드 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및 상기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KR20130072634A (ko) * 2011-12-22 2013-07-02 주식회사 케이티 모자이크 epg의 소스정보를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소스정보를 제공받는 단말
KR101386504B1 (ko) * 2012-09-04 2014-04-17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클라우드 서버의 미디어 콘텐츠 공유를 위한 홈 네트워크 서비스 장치 및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1393260B1 (ko) * 2012-10-15 2014-05-27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ip 서비스 지원시스템, pip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pip 서비스 지원방법
KR101410578B1 (ko) * 2012-10-15 2014-06-23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실시간 화면전송 시스템, 이동통신단말기, 셋톱박스 및 그 실시간 화면전송 방법
WO2014069829A1 (ko) * 2012-10-31 2014-05-08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양방향 iptv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1441871B1 (ko) * 2012-10-31 2014-09-2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양방향 iptv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단말기 및 그 방법
US9716911B2 (en) 2012-10-31 2017-07-25 Sk Telecom Co., Ltd. Terminal and method for performing bidirectional IPTV service
KR101488428B1 (ko) * 2013-04-26 2015-02-06 이노디지털 주식회사 스마트 미디어 기반의 에코 플랫폼에 있어서, 동적 영상 해상도 변환 시스템 및 방법
US10097895B2 (en) 2013-10-11 2018-10-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tent providing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recommending contents
KR101411787B1 (ko) * 2014-05-22 2014-06-25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실시간 화면전송 시스템, 이동통신단말기, 셋톱박스 및 그 실시간 화면전송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1578B1 (ko) 2015-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1578B1 (ko) 모바일 단말과 연계된 iptv 개인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US8266249B2 (en) Providing remote access to multimedia content
US8150387B2 (en) Smart phone as remote control device
US20100192183A1 (en) Mobile Device Access to Multimedia Content Recorded at Customer Premises
US2011008315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tilizing dynamic bandwidth allocation for recording content
US20100115575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cording and distributing media content
US20080013555A1 (en) Receiving system or terminal for contents via ip network
KR101175349B1 (ko) 매칭 정보를 제공하는 통합 프로그램 가이드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10237627B2 (en) System for providing audio recordings
KR101439318B1 (ko)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iptv 원격시청제어 시스템 및 그방법
KR101168698B1 (ko) Iptv의 개인 채널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00048141A (ko) 음성 인식 기반의 아이피티브이 컨텐츠 검색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74116B1 (ko) 공지 콘텐츠 제공을 위한 단말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136790B1 (ko) 주문형 비디오 서비스 및 실시간 채널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70643A (ko) 광고를 동적으로 생성하여 멀티 단말기로 전송하는 장치
KR101571725B1 (ko) 맞춤형 방송 신호 녹화 방법 및 방송 수신기
KR20110024897A (ko) 사용자 별 선호 메뉴에 기반한 광고를 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081485B1 (ko) 아이피티브이를 이용하여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470419B1 (ko) 아이피티브이의 사용자 이동성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120663B1 (ko) 브이오아이피 단말기를 이용하여 아이피티브이 단말기를 제어하는 장치
KR20110071574A (ko) 아이피티브이를 이용하여 예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KR101169948B1 (ko) 사용자 기반의 iptv 콘텐츠를 연속하여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028803A (ko) 선호 콘텐츠 사전 배포 시스템 및 방법
KR20100001045A (ko) 아이피 티브이 방송서비스에서 방송 컨텐츠의 불법 이용을방지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86837B1 (ko) 메뉴 선택 속도를 향상시키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