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9363A - 컨텐츠 재생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 Google Patents

컨텐츠 재생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9363A
KR20100069363A KR1020080128029A KR20080128029A KR20100069363A KR 20100069363 A KR20100069363 A KR 20100069363A KR 1020080128029 A KR1020080128029 A KR 1020080128029A KR 20080128029 A KR20080128029 A KR 20080128029A KR 20100069363 A KR20100069363 A KR 201000693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reproduction control
control information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8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39370B1 (ko
Inventor
최지희
Original Assignee
(주) 엘지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엘지텔레콤 filed Critical (주) 엘지텔레콤
Priority to KR10200801280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9370B1/ko
Publication of KR20100069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93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9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93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텐츠 재생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재생 제어를 위한 이동통신단말기는 기지국 신호 또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를 통해 현재 지역을 판단하는 위치 판단부 및 컨텐츠에 대한 재생 명령이 입력될 경우, 컨텐츠에 매칭된 컨텐츠 재생 제어정보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여 존재하면, 현재 지역이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지역인지를 판단하여 컨텐츠를 재생하는 컨텐츠 재생모듈을 포함한다.
Figure P1020080128029
컨텐츠 재생 제어

Description

컨텐츠 재생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단말기{CONTENTS REPRODUCTION CONTROL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THE SAME}
본 발명은 컨텐츠 재생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컨텐츠를 특정지역에서만 재생하도록 하거나 또는 특정지역에서는 재생하지 못하도록 하는 컨텐츠 재생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통신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이동통신기술도 발전하여 이동통신단말기에는 개개인의 취향에 맞도록 각종 부가서비스가 탑재되게 되었고, 무선 인터넷을 통해 게임 또는 음악과 같은 컨텐츠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사용자들은 언제 어디서든 이동통신단말기로 컨텐츠를 다운로드 받고,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다운로드 받은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언제 어디서든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게 되면서 다른 사람들 또는 자기 자신에게 피해를 주게 되는 문제점이 생겼 다.
예를들어, 나이가 어린 미성년자들의 경우, 학교 또는 도서실과 같은 곳에서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컨텐츠를 재생하여 수업 또는 공부에 지장이 생겼다.
한편, 컨텐츠 사용료는 모든 지역에서 서비스를 이용한다는 것을 전제로 정해진 비용이기 때문에 컨텐츠를 특정 지역에서만 사용하는 사용자의 경우, 비싼 컨텐츠 사용료를 물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컨텐츠를 특정지역 또는 특정지역을 제외한 지역에서만 재생할 수 있도록 컨텐츠 재생을 사용자 또는 관리자(보호자)가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컨텐츠 재생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재생 제어를 위한 이동통신단말기는, 기지국 신호 또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를 통해 현재 지역을 판단하는 위치 판단부; 및 컨텐츠에 대한 재생 명령이 입력될 경우, 상기 현재 지역이 상기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지역인지를 판단하여 재생할 수 있는 지역이면 상기 컨텐츠를 재생하는 컨텐츠 재생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컨텐츠 재생모듈은 상기 컨텐츠에 매칭된 컨텐츠 재생 제어정보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여 존재할 경우, 상기 현재 지역이 상기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지역인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무선 통신을 통해 문자메시지를 수신할 경우, 상기 문자메시지가 일반 문자메시지인지 또는 상기 컨텐츠 재생 제어정보가 포함된 제어 문자메시지인지를 판단하는 메시지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컨텐츠 재생모듈은 상기 메시지 처리부에서 상기 문자메시지를 상기 제어 문자메시지로 판단할 경우, 상기 컨텐츠 재생 제어정보를 기 저장된 컨텐츠 중 상기 컨텐츠 재생 제어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와 매칭하여 저장하는 컨텐츠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컨텐츠 재생모듈은 컨텐츠 서버로부터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컨텐츠와 상기 컨텐츠에 대응되는 상기 컨텐츠 재생 제어정보 중 하나 이상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컨텐츠 재생 제어정보는 컨텐츠 재생제어 구분코드, 컨텐츠명, 기지국명 및 기지국 개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컨텐츠 재생 제어모듈은 상기 현재 지역이 상기 컨텐츠를 재생할 수 없는 지역으로 판단되면, 현재 지역이 상기 컨텐츠를 재생할 수 없는 지역임을 알리는 메시지가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재생 제어 방법은, 컨텐츠에 대해 재생 명령이 입력될 경우, 이동통신단말기가 현재 지역이 상기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지역인지를 판단하는 제1단계; 및 상기 제1단계의 판단결과, 현재 지역이 상기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지역이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컨텐츠를 재생하는 제2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기지국 또는 GPS 위성으로부터 기지국 신호 또는 GPS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현재 지역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컨텐츠에 대해 재생 명령이 입력된 후에,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컨텐츠에 매칭된 컨텐츠 재생 제어정보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무선 통신을 통해 문자메시지를 메시지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상기 문자메시지가 일반 문자메시지인지 또는 상기 컨텐츠 재생 제어정보가 포함된 제어 문자메시지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문자메시지를 상기 제어 문자메시지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컨텐츠 재생 제어정보를 상기 컨텐츠 재생 제어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컨텐츠와 매칭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데이터 제어 서버가 사용자 또는 관리자의 컨텐츠 재생제어 요청에 따라 상기 컨텐츠를 지역에 따라 재생 또는 재생제한할 수 있는 상기 컨텐츠 재생 제어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메시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리자는 보호자 또는 법정 대리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단계 전에, 상기 컨텐츠 서버로부터 상기 컨텐츠와 상기 컨텐츠의 컨텐츠 재생 제어정보 중 하나 이상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데이터 제어 서버가 사용자 또는 관리자의 컨텐츠 재생제어 요청에 따라 상기 컨텐츠를 지역에 따라 재생 또는 재생제한할 수 있는 상기 컨텐츠 재생 제어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컨텐츠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단계의 판단결과, 현재 지역이 상기 컨텐츠를 재생할 수 없는 지역이면, 현재 지역이 상기 컨텐츠를 재생할 수 없는 지역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컨텐츠를 특정지역에서만 재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므로 컨텐츠 사용료를 지역별로 부과할 수 있게 된다.
컨텐츠를 특정지역 또는 특정지역 이외의 지역에서만 재생하도록 할 수 있으므로 미성년자가 학교, 학원과 같은 곳에서 컨텐츠를 마음대로 재생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재생제어를 위한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통신단말기는, 무선통신부(110)와, 아날로그 음성처리부(120)와, 메시지 처리부(130)와, OSD 생성부(140)와, 위치 판단부(150)와, 컨텐츠 재생모듈(16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한다.
무선 통신부(110)는 안테나(111)를 통해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하는 부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듀플렉서와 송신부 및 수신부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듀플렉서는 안테나를 통해 무선으로 송수신되는 신호를 분리하고, 송신부는 소정의 중간주파수 신호를 무선주파수로 변환하여 상기 듀플렉서로 출력하며, 수신부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신호를 상기 듀플렉서를 통해 입력받아 소정의 중간주파수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아날로그 음성처리부(120)는 디지털 음성신호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고 증폭하여 스피커(SPK)(123)로 출력하거나, 마이크(MIC)(121)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디지털 음성신호로 변환한다.
메시지 처리부(130)는 상기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문자메시지가 수신될 경우, 상기 문자메시지의 종류를 판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대방과 주고 받는 일반 문자메시지인지 또는 컨텐츠 재생 제어정보가 포함된 제어 문자메시지인지를 판단하는데, 문자메시지는 종류별로 TID(Teleservice IDentifier)가 부여되어 수신되므로 문자메시지와 함께 수신된 TID를 통해 문자메시지의 종류를 판단한다.
제어 문자메시지에 포함된 컨텐츠 재생 제어정보 포맷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명(Contents ID)(10), 컨텐츠 재생제어 구분코드(Category ID)(20), 기지국 개수(BSC_개수)(30), 기지국명(BSC_ID)(4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 문자메시지의 크기는 80byte 를 넘지 않으므로 단문 문자메시지(SMS:Short Message Service)로 전송 가능하다.
OSD(On Screen Display) 생성부(140)는 이동통신단말기의 각종 기능과 관련된 메뉴와 상기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되는 일반 문자메시지를 OSD 신호로 생성한다.
위치 판단부(150)는 기지국으로부터 기지국 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기지국 신호 또는 GPS 신호를 통해 현재 위치와 지역을 판단한다.
컨텐츠 재생모듈(160)은 하나 이상의 컨텐츠 또는 컨텐츠와 상기 컨텐츠에 매칭되는 컨텐츠 재생 제어정보를 저장하는 컨텐츠 저장부(161)를 더 포함한다.
이에 따라, 컨텐츠 재생모듈(160)은 상기 메시지 처리부(130)에서 문자메시지를 제어 문자메시지로 판단할 경우, 제어 문자메시지에 포함된 컨텐츠 재생 제어정보를 기 저장된 컨텐츠 중 상기 컨텐츠 재생 제어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와 매칭하여 컨텐츠 저장부(161)에 저장한다.
만약, 컨텐츠 재생제어 구분 코드(10)가 '1111'일 경우에 지정된 지역에서는 컨텐츠를 재생하지 못하고, 컨텐츠 재생제어 구분코드(10)가 '1110'일 경우에 지정된 지역에서만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한다고 가정하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명(20)이 '1123'인 컨텐츠는 컨텐츠 재생제어 구분코드(10)가 '1111'이므로 기지국명(40)이 '1234', '1245', '1135'에서 커버하는 지역에서는 재생할 수 없다. 그리고, 컨텐츠명(20)이 '1234'인 컨텐츠는 컨텐츠 재생제어 구분코드(10)가 '1111'이므로 기지국명(40)이 '1256', '1125'에서 커버하는 지역에서는 재생할 수 없다. 또한, 컨텐츠명(20)이 '1355'인 컨텐츠는 컨텐츠 재생제어 구분코드(10)가 '1110'이므로 기지국명(40)이 '1535', '1245', '1556', '0012'에서 커버하는 지역에서만 재생할 수 있다.
한편, 컨텐츠 재생모듈(160)은 소정 컨텐츠에 대한 재생 명령이 입력될 경우, 컨텐츠에 매칭된 컨텐츠 재생 제어정보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 컨텐츠 재생 제어정보가 존재하면, 컨텐츠 재생모듈(160)은 컨텐츠 재생 제어정보를 통해 상기 위치 판단부(150)에서 판단한 현재 지역이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지역인지를 판단하여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지역으로 판단하면, 상기 컨텐츠 저장부(161)에 저장된 컨텐츠를 불러와 재생한다.
한편, 컨텐츠 재생모듈(160)은 현재 지역이 컨텐츠를 재생할 수 없는 지역일 경우, 현재 지역이 컨텐츠를 재생할 수 없는 지역임을 알리는 메시지가 화면에 표시되도록 한다.
제어부(170)는 상기 각 부를 제어한다.
이하에서는, 도 1과 같이 구성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가 적용된 컨텐츠 재생제어를 위한 시스템을 일 예를 들어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컨텐츠 재생제어를 위한 시스템은, 데이터 제어 서버(310)와, 컨텐츠 서버(320) 및 이동통신단말기(340)를 포함한다. 컨텐츠 서버(320)와 데이터 제어 서버(310)는 이동통신망(300)에 포함된 구성으로 이동통신단말기(340)는 기지국(325)을 통해 컨텐츠 서버(320)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데이터 제어 서버(310)는 사용자 또는 관리자의 컨텐츠 재생제어 요청에 따라 소정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재생 제어정보를 생성하는데, 컨텐츠 재생 제어정보는 지역에 따라 컨텐츠를 재생 또한 제한할 수 있는 정보이다. 상기 관리자는 보호자 또는 법정대리인을 포함한다.
데이터 제어 서버(310)는 생성된 컨텐츠 재생 제어정보를 컨텐츠 서버(320)로 전송한다.
컨텐츠 서버(320)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데이터 제어 서버(320)로부터 컨텐츠 재생 제어정보를 수신할 경우, 수신된 컨텐츠 재생 제어정보를 해당 컨텐츠와 매칭시킨다.
컨텐츠 서버(32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340)가 해당 컨텐츠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하는데, 상기 컨텐츠에 컨텐츠 재생 제어 정보가 매칭되어 있을 경우, 이동통신단말기(340)가 컨텐츠와 상기 컨텐츠에 대응되는 컨텐츠 재생 제어정보를 같이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이동통신단말기(340)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컨텐츠 서버(320)로 소정 컨텐츠를 요청하고, 컨텐츠 서버(320)로부터 해당 컨텐츠를 다운로드 받는다.
이때, 이동통신단말기(340)는 컨텐츠 서버(320)로부터 컨텐츠만 다운로드 받거나 또는 컨텐츠와 상기 컨텐츠에 대응되는 컨텐츠 재생 제어정보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한편, 이동통신단말기(340)는 소정 컨텐츠에 대해 재생 명령이 입력될 경우, 상기 컨텐츠에 매칭된 컨텐츠 재생 제어정보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여 존재하면, 상기 컨텐츠 재생 제어정보를 통해 현재 지역이 상기 소정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지역인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이동통신단말기(340)는 상기 판단결과, 현재 지역이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지역이면 컨텐츠를 재생하고, 현재 지역이 컨텐츠를 재생할 수 없는 지역이면 현재 지역이 소정 컨텐츠를 재생할 수 없는 지역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가 적용된 콘텐츠 재생제어를 위한 시스템을 다른 예를 들어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콘텐츠 재생제어를 위한 시스템은, 데이터 제어 서버(410)와, 컨텐츠 서버(420)와, 메시지 서버(430) 및 이동통신단말기(440)를 포함한다. 데이터 제어 서버(410)와, 컨텐츠 서버(420) 및 메시지 서버(430)는 이동통신망(400)에 포함된 구성으로 이동통신단말기(440)는 기지국(425)을 통해 컨텐츠 서버(420) 또는 메시지 서버(430)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데이터 제어 서버(410)는 사용자 또는 관리자의 컨텐츠 재생제어 요청에 따라 소정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재생 제어정보를 생성하는데, 컨텐츠 재생 제어정보는 지역에 따라 컨텐츠를 재생 또한 재생제한할 수 있는 제어정보이다.
데이터 제어 서버(410)는 생성된 컨텐츠 재생 제어정보를 메시지 서버(430)로 전송한다.
컨텐츠 서버(420)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으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440)가 해당 컨텐츠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한다.
메시지 서버(430)는 문자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하는데, 상기 데이터 제어 서버(410)로부터 컨텐츠 재생 제어정보를 수신할 경우, 수신된 컨텐츠 재생 제어정보를 제어 문자메시지로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 문자메시지는 이동통신단말기(440)로 전송한다.
이동통신단말기(440)는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메시지 서버(430)로부터 문자메시지를 수신할 경우, 수신된 문자메시지가 일반 문자메시지인지 또는 컨텐츠 재생 제어정보가 포함된 제어 문자메시지인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 제어 문자메시지이면, 이동통신단말기(440)는 제어 문자메시지에 포함된 컨텐츠 재생 제어정보를 해당 컨텐츠에 매칭시켜 저장한다.
그후, 이동통신단말기(440)는 컨텐츠에 대해 재생 명령이 입력될 경우, 상기 컨텐츠에 매칭된 컨텐츠 재생 제어정보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여 존재하면, 현재 지역이 상기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지역인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이동통신단말기(440)는 상기 판단결과, 현재 지역이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지역이면 상기 컨텐츠를 재생하고, 현재 지역이 컨텐츠를 재생할 수 없는 지역이면 현재 지역이 컨텐츠를 재생할 수 없는 지역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재생 제어를 위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방법을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여기서, 이동통신단말기는 위치 판단부(150)를 구비하여 기지국 신호 또는 GPS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기지국 신호 또는 GPS 신호를 이용하여 일정 주기마다 현재 지역을 판단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재생 제어 방법을 일 예를 들어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데이터 제어 서버(310)는 사용자 또는 관리자의 컨텐츠 재생제어 요청에 따라 소정 컨텐츠를 지역에 따라 재생 또는 재생제한할 수 있는 컨텐츠 재생 제어정보를 생성하고(S501), 생성된 컨텐츠 재생 제어정보를 컨텐츠 서버(320)로 전송한다(S503).
컨텐츠 서버(320)는 데이터 제어 서버(310)로부터 컨텐츠 재생 제어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컨텐츠 재생 제어정보와 기 저장된 컨텐츠 중 상기 컨텐츠 재생 제어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함께 이동통신단말기(340)로 전송한다(S505).
이동통신단말기(340)는 컨텐츠 서버(320)로부터 상기 컨텐츠와 상기 컨텐츠의 컨텐츠 재생 제어정보를 수신한다.
그 후, 이동통신단말기(340)는 컨텐츠 재생 명령이 입력될 경우(S507), 상기 컨텐츠에 매칭된 컨텐츠 재생 제어정보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여 존재하면(S509), 상기 컨텐츠 재생 제어정보를 통해 현재 지역이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지역인지를 판단한다(S511).
상기 S511단계의 판단결과, 현재 지역이 컨텐츠 재생 가능한 지역이면, 이동통신단말기(340)는 상기 컨텐츠를 재생한다(S513).
한편, 상기 S511단계의 판단결과, 현재 지역이 컨텐츠를 재생할 수 없는 지역이면, 이동통신단말기(340)는 현재 지역이 컨텐츠를 재생할 수 없는 지역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한다(S515).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재생 제어 방법을 다른 예를 들어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이동통신단말기(440)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컨텐츠 서버(420)로 컨텐츠를 요청한다(S601).
컨텐츠 서버(420)는 이동통신단말기(440)로부터 컨텐츠를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이동통신단말기(440)로 컨텐츠를 다운로드한다(S603).
데이터 제어 서버(410)는 사용자 또는 관리자의 컨텐츠 재생제어 요청에 따 라 소정 컨텐츠를 지역에 따라 재생 또는 재생제한할 수 있는 컨텐츠 재생 제어정보를 생성하고(S605), 생성된 컨텐츠 재생 제어정보를 메시지 서버(430)로 전송한다(S607).
메시지 서버(430)는 데이터 제어 서버(410)로부터 컨텐츠 재생 제어정보를 수신할 경우, 상기 컨텐츠 재생 제어정보가 포함된 문자메시지를 생성하고(S609), 생성된 문자메시지를 이동통신단말기(440)로 전송한다(S611).
그리고, 이동통신단말기(440)는 메시지 서버(430)로부터 문자메시지를 수신할 경우, 수신된 문자메시지가 일반 문자메시지인지 또는 컨텐츠 재생 제어정보가 포함된 제어 문자메시지인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 문자메시지가 제어 문자메시지인 경우(S613), 이동통신단말기(440)는 제어 문자메시지에 포함된 컨텐츠 재생 제어정보를 해당 컨텐츠와 매칭하여 저장한다(S615).
그 후, 이동통신단말기(440)는 컨텐츠에 대한 재생명령이 입력될 경우(S617), 상기 컨텐츠에 매칭된 컨텐츠 재생 제어정보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여 존재하면(S619), 상기 컨텐츠 재생 제어정보를 통해 현재 지역이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지역인지를 판단한다(S621).
상기 S621단계의 판단결과, 현재 지역이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지역이면, 이동통신단말기(440)는 상기 컨텐츠를 재생한다(S623).
한편, 상기 S621단계의 판단결과, 현재 지역이 컨텐츠를 재생할 수 없는 지역이면, 이동통신단말기(440)는 현재 지역은 상기 컨텐츠를 재생할 수 없는 지역임 을 알리는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한다(S625).
상기에서의 설명을 요약하면, 도 5는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컨텐츠를 다운로드 할 시에 컨텐츠의 재생제어를 함께 요청한 경우이거나 또는 미리 이전에 요청한 경우로, 컨텐츠 서버(320)로부터 컨텐츠와 상기 컨텐츠에 대응되는 컨텐츠 재생 제어정보를 수신하게 된다. 도 6은 컨텐츠 서버(420)로부터 컨텐츠를 다운로드 받고, 메시지 서버(430)로부터 컨텐츠 재생 제어정보가 포함된 문자메시지를 수신하는데, 이는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컨텐츠를 다운로드 할 시에 컨텐츠의 재생제어를 함께 요청할 경우에도 해당되지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사용자가 컨텐츠를 이동통신단말기(440)로 다운로드 받은 후에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별도로 컨텐츠의 재생제어를 요청한 경우에 해당됨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용이하게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재생제어를 위한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재생정보가 포함된 문자메시지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가 적용된 컨텐츠 재생제어를 위한 시스템을 일 예를 들어 보여주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가 적용된 컨텐츠 재생제어를 위한 시스템을 다른 예를 들어 보여주는 구성도,
도 5는 도 3에 따른 컨텐츠 재생제어 방법을 일 예를 들어 보여주는 흐름도, 및
도 6은 도 4에 따른 컨텐츠 재생제어 방법을 다른 예를 들어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30 : 메시지 처리부 150 : 컨텐츠 재생모듈
151 : 컨텐츠 저장부
200, 300 : 데이터 제어 서버
210 : 컨텐츠 서버 310 : 메시지 서버
220, 320 : 이동통신단말기

Claims (18)

  1. 기지국 신호 또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를 통해 현재 지역을 판단하는 위치 판단부; 및
    컨텐츠에 대한 재생 명령이 입력될 경우, 상기 현재 지역이 상기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지역인지를 판단하여 재생할 수 있는 지역이면 상기 컨텐츠를 재생하는 컨텐츠 재생모듈;을 포함하는 컨텐츠 재생 제어를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재생모듈은
    상기 컨텐츠에 매칭된 컨텐츠 재생 제어정보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여 존재할 경우, 상기 현재 지역이 상기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지역인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재생 제어를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3. 제 2항에 있어서,
    무선 통신을 통해 문자메시지를 수신할 경우, 상기 문자메시지가 일반 문자메시지인지 또는 상기 컨텐츠 재생 제어정보가 포함된 제어 문자메시지인지를 판단하는 메시지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재생 제어를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재생모듈은
    상기 메시지 처리부에서 상기 문자메시지를 상기 제어 문자메시지로 판단할 경우, 상기 컨텐츠 재생 제어정보를 기 저장된 컨텐츠 중 상기 컨텐츠 재생 제어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와 매칭하여 저장하는 컨텐츠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재생 제어를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재생모듈은
    컨텐츠 서버로부터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컨텐츠와 상기 컨텐츠에 대응되는 상기 컨텐츠 재생 제어정보 중 하나 이상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재생 제어를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6. 제 2항 내지 제 5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재생 제어정보는
    컨텐츠 재생제어 구분코드, 컨텐츠명, 기지국명 및 기지국 개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재생 제어를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재생 제어모듈은
    상기 현재 지역이 상기 컨텐츠를 재생할 수 없는 지역으로 판단되면, 현재 지역이 상기 컨텐츠를 재생할 수 없는 지역임을 알리는 메시지가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재생 제어를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8. 컨텐츠에 대해 재생 명령이 입력될 경우, 이동통신단말기가 현재 지역이 상기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지역인지를 판단하는 제1단계; 및
    상기 제1단계의 판단결과, 현재 지역이 상기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지역이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컨텐츠를 재생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재생 제어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기지국 또는 GPS 위성으로부터 기지국 신호 또는 GPS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현재 지역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재생 제어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에 대해 재생 명령이 입력된 후에,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컨텐츠에 매칭된 컨텐츠 재생 제어정보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재생 제어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무선 통신을 통해 문자메시지를 메시지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상기 문자메시지가 일반 문자메시지인지 또는 상기 컨텐츠 재생 제어정보가 포함된 제어 문자메시지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재생 제어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메시지를 상기 제어 문자메시지로 판단하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컨텐츠 재생 제어정보를 상기 컨텐츠 재생 제어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컨텐츠와 매칭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재생 제어 방법.
  13. 제 10항에 있어서,
    데이터 제어 서버가 사용자 또는 관리자의 컨텐츠 재생제어 요청에 따라 상기 컨텐츠를 지역에 따라 재생 또는 재생제한할 수 있는 상기 컨텐츠 재생 제어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메시지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재생 제어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는
    보호자 또는 법정 대리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재생 제어 방법.
  15.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 전에,
    상기 컨텐츠 서버로부터 상기 컨텐츠와 상기 컨텐츠의 컨텐츠 재생 제어정보 중 하나 이상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재생 제어 방법.
  16. 제 10항에 있어서,
    데이터 제어 서버가 사용자 또는 관리자의 컨텐츠 재생제어 요청에 따라 상기 컨텐츠를 지역에 따라 재생 또는 재생제한할 수 있는 상기 컨텐츠 재생 제어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컨텐츠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재생 제어 방법.
  17.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재생 제어정보는
    컨텐츠 재생제어 구분코드, 컨텐츠명, 기지국명 및 기지국 개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재생 제어 방법.
  18.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의 판단결과, 현재 지역이 상기 컨텐츠를 재생할 수 없는 지역이면, 현재 지역이 상기 컨텐츠를 재생할 수 없는 지역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재생 제어 방법.
KR1020080128029A 2008-12-16 2008-12-16 컨텐츠 재생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KR1014393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8029A KR101439370B1 (ko) 2008-12-16 2008-12-16 컨텐츠 재생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8029A KR101439370B1 (ko) 2008-12-16 2008-12-16 컨텐츠 재생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9363A true KR20100069363A (ko) 2010-06-24
KR101439370B1 KR101439370B1 (ko) 2014-09-11

Family

ID=42367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8029A KR101439370B1 (ko) 2008-12-16 2008-12-16 컨텐츠 재생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93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36446A (zh) * 2019-10-17 2019-12-31 众虎物联网(广州)有限公司 一种基于室内定位的信号录制与回放方法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0041B1 (ko) * 2004-05-12 2007-02-07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이동 단말기에서 컨텐츠를 재생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60027635A (ko) * 2004-09-23 2006-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데이터의 촬영을 제어하는 무선 단말기, 시스템 및그 방법
KR100989036B1 (ko) * 2008-01-28 2010-10-20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무선 단말기에서의 위치정보 운용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36446A (zh) * 2019-10-17 2019-12-31 众虎物联网(广州)有限公司 一种基于室内定位的信号录制与回放方法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9370B1 (ko) 2014-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12425B2 (en) Apparatus, method and medium for transmission and/or reception of digital content based on time or location information
KR101700811B1 (ko) 이동형 사용자 단말 위치에 기반한 콘텐츠 연속 이용 제공 방법 및 서버
KR100426297B1 (ko) 배신 시스템 및 휴대 전화기
US20100092017A1 (en) Hearing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GB2421103A (en) Controlling speech synthesis on a mobile device by detecting content information
JP2008282295A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050101336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content delivery method
US20070282750A1 (en) Distributing quasi-unique codes through a broadcast medium
KR101874099B1 (ko)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20050075816A (ko) 휴대단말기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미리보기 장치 및 방법
KR100744286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광고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시스템
US8588582B2 (en) System and method for on-demand storage of randomly selected data
JP3949648B2 (ja) 移動通信端末装置
KR101439370B1 (ko) 컨텐츠 재생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JP2002237813A (ja) 情報配信システム及びデータ通信端末
KR100703368B1 (ko) 파일 다운로드 시간을 이용한 무선 이동 단말기에서의광고 표시 방법
KR20110047390A (ko) Drm 컨텐츠 처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JP2009062105A (ja) エレベータの情報配信システム
JP4661467B2 (ja) 音声通信端末及びプログラム
KR100731666B1 (ko) Cbs 메시지를 이용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컨텐츠제공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100582175B1 (ko) 통신 시스템 및 재생 제한 해제 방법
JP2006253894A (ja) 通訳システム、通訳方法、移動通信端末およびサーバ装置
KR100680041B1 (ko) 이동 단말기에서 컨텐츠를 재생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273935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네비게이션 정보 출력 시스템 및 방법
US20090029730A1 (en) Video image delivering apparatus, video image delivering system, and video image delivering method for delivering video image depending on pos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