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8569A - 규격 인증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규격 인증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8569A
KR20100068569A KR1020080126970A KR20080126970A KR20100068569A KR 20100068569 A KR20100068569 A KR 20100068569A KR 1020080126970 A KR1020080126970 A KR 1020080126970A KR 20080126970 A KR20080126970 A KR 20080126970A KR 20100068569 A KR20100068569 A KR 201000685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pection
data
standard
unit
standard cert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6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태
Original Assignee
김형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태 filed Critical 김형태
Priority to KR1020080126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68569A/ko
Publication of KR201000685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85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5Page layout or assigning input pages onto output media, e.g. im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 H04N23/81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for suppressing or minimising disturbance in the image signal gene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bstract

본 발명은 표준인증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자재, 제조공정 및 완제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하여 표준인증 검사항목에 상응하는 검사를 수행하는 검사장치, 상기 검사장치에 의해 얻어진 검사 데이터 또는 관리자에 의해 입력된 검사 데이터를 입력받아 송출하는 관리자 단말기 및 상기 검사장치 또는 관리자 단말기와 무선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검사장치 또는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검사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표준인증 검사항목별로 저장하고, 상기 표준인증 검사항목별 검사 데이터를 분석하여 표준인증 합격 여부를 기록한 검사성적서 파일을 생성 및 출력하는 표준인증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 등을 이용하여 표준 규격 인증에 필요한 검사 데이터를 규격 인증 관리서버로 전송하면 규격 인증 관리서버에서 규격 합격 여부를 판단하여 검사 성적서 파일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KS, 규격, 인증, 표준, 관리, 무선, 심사.

Description

규격 인증 관리 시스템{Standard certification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KS 등의 표준 규격 인증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 단말기 등을 이용하여 표준 규격 인증에 필요한 검사 데이터를 규격 인증 관리서버로 전송하면 규격 인증 관리서버에서 규격 합격 여부를 판단하여 검사 성적서 파일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KS 인증제도는 산업표준화법 제15조의 규정에 근거하여 한국산업표준이 재정되어 있는 품목 중 생산 공장이 기술적인 면에서 KS수준 이상의 제품을 지속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능력과 조건을 갖추어 품질이 안정되어 있고 객관적인 면에서 항상 시스템적으로 동 기술수준을 유지할 수 있도록 사내표준화 및 품질경영활동을 전사적으로 추진하고 있는지 여부를 해당 표준의 심사기준에 따라 엄격히 심사하고 별도의 제품심사를 실시한 후 합격된 업체에 대하여 KS마크를 제품에 표시토록 하는 인증 제도이다.
KS 인증제도는 사내 표준화 및 품질 경영 방침이 확립되어 있으며 이의 추진 을 위한 실행 계획 등이 적합하게 수립ㆍ관리ㆍ실시되고 있는가를 심사하는 표준화 일반, 자재규격 등 자재의 품질보증에 필요한 사항을 KS규격과 규격별 인증심사기준에서 정한 자재별로 회사 실정에 적합하게 규정하고 있는가 및 적정한 자재를 사용하고 있으며, 자재 운반, 검사 및 보관이 규격별 인증심사기준에서 정한대로 자재별로 회사 실정 및 자재의 특성에 적합하도록 관리하고 있는가를 심사하는 자재 관리 심사, 공정별 관리규정이 규격별 인증심사기준과 회사실정에 적합하도록 설정여 실시하고 있는가와 공정별 작업표준에 따라 작업을 실시하고 있으며 부적합품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는가 등을 검사하는 공정 관리 심사, 제품의 품질 및 검사방법이 KS규격 및 규격별 인증심사기준에서 규정된 내용에 적합한지와 시험검사자가 제품의 품질 및 시험검사 관련 규정을 숙지하고 있으며 KS규격, 사내규격에 따라 시험ㆍ검사할 수 있고 그 결과가 KS규격의 각 항목을 만족하고 있는가 등을 검사하는 제품 관리 심사, 규격별 인증심사기준에 따라 제조설비를 보유하고 있는가와 관리 상태 등을 점검하는 검사설비 관리 심사 등을 통해 모두 적합한 것으로 판정된 경우 KS 인증을 수여하게 된다.
KS 인증제도는 신규 KS제품인증과 정기심사등을 통해 기 인증업체에 대한 사후관리의 2가지 측면에서 관리되고 있다.
이 중 사후관리의 경우 관리자가 각 심사 항목마다 검사 항목이 기재된 검사성적서 시트를 가지고 다니면서 검사 결과를 검사성적서 시트에 기재하면, 인증 기관에서 KS 인증 심사기준에 따라 심사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경우 관리자가 일일히 검사성적서 시트를 가지고 다니면서 검사 결과를 시트지에 작성하여야 하므로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인증 기준 합치 여부를 일일이 확인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 단말기 등을 이용하여 표준 규격 인증에 필요한 검사 데이터를 규격 인증 관리서버로 전송하면 규격 인증 관리서버에서 규격 합격 여부를 판단하여 검사 성적서 파일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재 또는 제품의 외관 검사나 치수 검사를 촬영된 영상정보 분석에 의해 프로그램적으로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검사 공정을 대폭 간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자재, 제조공정 및 완제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하여 표준인증 검사항목에 상응하는 검사를 수행하는 검사장치, 상기 검사장치에 의해 얻어진 검사 데이터 또는 관리자에 의해 입력된 검사 데이터를 입력받아 송출하는 관리자 단말기 및 상기 검사장치 또는 관리자 단말기와 무선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검사장치 또는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검사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표준인증 검사항목별로 저장하고, 상기 표준인증 검사항목별 검사 데이터를 분석하여 표준인증 합격 여부를 기록한 검사성적서 파일을 생성 및 출력하는 표준인증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준인증 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관리자 단말기는 관리자로부터 검사 데이터가 입력되는 검사정보 입력부, 표시부, 공정 중의 자재, 중간제품 및 완제품의 영상을 촬상하는 촬상부, 촬상대상 자재, 중간제품 및 완제품의 촬상거리 및 촬상각도에 상응하는 레이아웃을 촬상시에 상기 표시부 상에 제공하는 레이아웃 제공부 및 상기 입력된 검사 데이터 및 촬상된 영상 데이터를 압축하여 상기 규격인증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규격인증 관리서버는 무선망을 통해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검사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상기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자재, 중간제품 및 완제품의 치수, 가공상태, 외관상태를 분석하여 미리 설정된 인증 기준과 비교하는 영상 분석부, 상기 검사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인증 기준과 비교 분석하는 검사 데이터 분석부, 상기 영상 분석부 및 검사 데이터 분석부에서 분석된 검사 정보를 검사 공정별로 저장 및 관리하는 규격인증 관리부, 상기 규격인증 관리부에 저장된 검사 정보에 기초하여 규격 인증 합격 여부정보를 포함하는 검사성적서 파일을 생성하는 검사성적서 파일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검사성적서 파일을 문서형태로 출력하는 검사성적서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영상 분석부는 기 저장된 자재 상태 데이터들과 자재 촬상 데이터를 비교하여 자재의 현재 상태를 분석하는 자재 상태 분석부, 촬상된 자재, 중간제품 및 완제품의 촬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규격인증과 관련된 치수 정보를 분석하는 치수 정보 분석부 및 촬상된 자재, 중간제품 및 완제품의 촬상 데이터를 분석하 여 규격인증과 관련된 제품 외관 정보를 분석하는 제품 외관 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규격인증 관리부는 자재 관리공정에 관한 검사 데이터로서 자재 외관, 치수, 물리 규격을 포함하는 자재 정보를 저장하는 자재 관리부, 제조공정에 관한 검사 데이터로서 공정 상태, 중간제품의 치수, 외관 상태, 물리 규격을 포함하는 공정 정보를 저장하는 공정 관리부, 완제품에 관한 검사 데이터로서 완제품의 치수, 외관 상태, 물리규격를 포함하는 완제품 품질 정보를 저장하는 품질 관리부 및 제조설비의 상태, 생산실적 정보를 저장하는 제조설비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규격인증 관리부는 각 검사항목의 표준값과 실제 검사 데이터의 오차범위를 작업자별, 제조설비별, 시간대별로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오차범위정보에 기초하여 작업자별, 제조설비별, 시간대별 공정 특성 데이터를 생성 및 관리하는 통계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 등을 이용하여 표준 규격 인증에 필요한 검사 데이터를 규격 인증 관리서버로 전송하면 규격 인증 관리서버에서 규격 합격 여부를 판단하여 검사 성적서 파일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재 또는 제품의 외관 검사나 치수 검사를 촬영된 영상정보 분석에 의해 프로그램적으로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검사 공정을 대폭 간소화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규격 인증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규격 인증 관리 시스템은 검사장치(2), 관리자 단말기(1) 및 규격인증 관리서버(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검사장치(2)는 자재, 제조공정 및 완제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하여 표준인증 검사항목에 상응하는 검사를 수행하는 장치로서, 인장강도 시험기, 치수 측정기, 무게 측정기, 밀도 측정기 등일 수 있으며, 무선 송수신 모듈을 구비하여 관리자 단말기(1) 또는 규격인증 관리서버(3)로 측정된 검사 데이터를 무선으로 전송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관리자 단말기(1)는 검사장치(2)에 의해 얻어진 검사 데이터 또는 관리자에 의해 입력된 검사 데이터를 입력받아 규격인증 관리서버(3)로 송출하는 것으로서, 규격인증 관리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는 PDA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표준인증 관리서버(3)는 검사장치(2) 또는 관리자 단말기(1)와 무선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수신된 검사 데이터를 표준인증 검사항목별로 저장하고, 표준인증 검사항목별 검사 데이터를 분석하여 표준인증 합격 여부를 기록한 검사성적서 파일을 생성 및 출력하는 것이다. 표준인증 관리서버(3)는 수신된 검사 데이터, 생성된 검사성적서 파일 및 후술하는 영상분석을 위한 데이터들이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4)를 구비하고 있다.
도 2는 도 1의 관리자 단말기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자 단말기(1)는 촬상부(11), 검사정보 입력부(13), 레이아웃 제공부(15), 표시부(17) 및 데이터 전송부(19)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2의 구성에서 촬상부(11)와 레이아웃 제공부(15)는 규격 인증에 필요한 외관 검사, 치수 검사 등을 영상처리기법을 이용하여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에 필요한 것으로서 검사장치(2)를 이용하여 치수 검사 등이 이루어지고 측정된 값을 관리자가 검사정보 입력부(13)를 통해서 입력하는 경우에는 생략될 수 있는 구성들이다.
촬상부(11)는 공정 중의 자재, 중간제품 및 완제품의 영상을 촬상하는 것으로서 통상의 CCD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검사정보 입력부(13)는 관리자로부터 검사 데이터가 입력되는 부분으로서, 통상의 키패드나 터치스크린이 이용될 수 있다.
표시부(17)는 통상의 LCD 모듈이 사용될 수 있다.
레이아웃 제공부(15)는 촬상대상 자재, 중간제품 및 완제품의 촬상거리 및 촬상각도에 상응하는 레이아웃을 촬상시에 표시부(15) 상에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촬상부(11)에서 촬상된 영상을 규격인증 관리서버(3)에서 분석하여 외관이나 치수 검사 등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규격화된 영상 정보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데이터 전송부(19)는 입력된 검사 데이터 및 촬상된 영상 데이터를 압축하여 규격인증 관리서버(3)로 전송하는 부분이다.
도 3은 도 1의 규격인증 관리서버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규격인증 관리서버(3)는 데이터 수신부(20), 영상 분석부(30), 검사 데이터 분석부(40), 규격인증 관리부(50), 검사성적서 파일 생성부(60) 및 검사성적서 출력부(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데이터 수신부(20)는 무선망을 통해 관리자 단말기(1)로부터 상기 검사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를 수신한다.
영상 분석부(30)는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자재, 중간제품 및 완제품의 치수, 가공상태, 외관상태를 분석하여 미리 설정된 인증 기준과 비교하는 것으로서, 데이터베이스(4)에 기 저장되어 있는 외관상태 기준 데이터들과 비교하여 자재 또는 제품의 외관상태를 분석하고 미리 저장된 치수 측정 프로그램을 통해 자재 또는 제품의 치수를 측정한다.
검사 데이터 분석부(40)는 관리자 단말기(1)에서 관리자에 의해 입력된 검사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인증 기준과 비교 분석하는 부분이다.
규격인증 관리부(50)는 영상 분석부(30) 및 검사 데이터 분석부(40)에서 분 석된 검사 정보를 검사 공정별로 저장 및 관리하는 부분이다.
검사성적서 파일 생성부(60)는 규격인증 관리부(50)에 저장된 검사 정보에 기초하여 규격 인증 합격 여부정보를 포함하는 검사성적서 파일을 생성하는 부분이다.
검사성적서 출력부(70)는 상기 생성된 검사성적서 파일을 문서형태로 출력하는 부분이다.
도 4는 도 3의 영상 분석부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분석부(30)는 자재상태 분석부(31), 치수정보 분석부(33) 및 제품 외관 분석부(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자재상태 분석부(31)는 기 저장된 자재 상태 데이터들과 자재 촬상 데이터를 비교하여 자재의 현재 상태를 분석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서는 자재의 외관상태를 나타내는 비교대상의 자재 상태 데이터들이 충분히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되어야 한다.
치수정보 분석부(33)는 촬상된 자재, 중간제품 및 완제품의 촬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규격인증과 관련된 치수 정보를 분석하는 것으로서, 촬상된 영상으로부터 측정하고자 하는 부분의 윤곽선을 도출한 후, 윤곽선 중 측정대상 부분 간의 거리를 산출하여 치수정보를 산출하게 된다.
제품 외관 분석부(35)는 촬상된 자재, 중간제품 및 완제품의 촬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규격인증과 관련된 제품 외관 정보를 분석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서는 제품의 외관상태를 나타내는 비교대상의 제품 상태 데이터들이 충분히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되어야 한다.
도 5는 도 3의 규격인증 관리부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규격인증 관리부(50)는 자재 관리부(51), 공정 관리부(53), 품질 관리부(55), 제조설비 관리부(57) 및 통계 관리부(5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자재 관리부(51)는 자재 관리공정에 관한 검사 데이터로서 자재 외관, 치수, 물리 규격을 포함하는 자재 정보를 저장하는 부분이다.
공정 관리부(53)는 제조공정에 관한 검사 데이터로서 공정 상태, 중간제품의 치수, 외관 상태, 물리 규격을 포함하는 공정 정보를 저장하는 부분이다.
품질 관리부(55)는 완제품에 관한 검사 데이터로서 완제품의 치수, 외관 상태, 물리규격를 포함하는 완제품 품질 정보를 저장하는 부분이다.
제조설비 관리부(57)는 제조설비의 상태, 생산실적 정보를 저장하는 부분이다.
통계 관리부(59)는 규격인증 관리부는 각 검사항목의 표준값과 실제 검사 데이터의 오차범위를 작업자별, 제조설비별, 시간대별로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오차범위정보에 기초하여 작업자별, 제조설비별, 시간대별 공정 특성 데이터를 생성 및 관리하는 부분이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규격 인증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관리자 단말기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규격인증 관리서버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의 영상 분석부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3의 규격인증 관리부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주요도면부호에 관한 설명>
1 : 관리자 단말기 2 : 검사장치
3 : 규격인증 관리서버 4 : 데이터베이스
11 : 촬상부 13 : 검사정보 입력부
15 : 레이아웃 제공부 17 : 표시부
19 : 데이터 전송부 20 : 데이터 수신부
30 : 영상 분석부 31 : 자재상태 분석부
33 : 치수 정보 분석부 35 : 제품외관 분석부
40 : 검사 데이터 분석부 50 : 규격인증 관리부
51 : 자재 관리부 53 : 공정 관리부
55 : 품질 관리부 57 : 제조설비 관리부
59 : 통계 관리부 60 : 검사성적서 파일 생성부
70 : 검사성적서 출력부

Claims (6)

  1. 자재, 제조공정 및 완제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하여 표준인증 검사항목에 상응하는 검사를 수행하는 검사장치;
    상기 검사장치에 의해 얻어진 검사 데이터 또는 관리자에 의해 입력된 검사 데이터를 입력받아 송출하는 관리자 단말기; 및
    상기 검사장치 또는 관리자 단말기와 무선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검사장치 또는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검사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표준인증 검사항목별로 저장하고, 상기 표준인증 검사항목별 검사 데이터를 분석하여 표준인증 합격 여부를 기록한 검사성적서 파일을 생성 및 출력하는 표준인증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준인증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단말기는
    관리자로부터 검사 데이터가 입력되는 검사정보 입력부;
    표시부;
    공정 중의 자재, 중간제품 및 완제품의 영상을 촬상하는 촬상부;
    촬상대상 자재, 중간제품 및 완제품의 촬상거리 및 촬상각도에 상응하는 레이아웃을 촬상시에 상기 표시부 상에 제공하는 레이아웃 제공부; 및
    상기 입력된 검사 데이터 및 촬상된 영상 데이터를 압축하여 상기 규격인증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준인증 관리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규격인증 관리서버는
    무선망을 통해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검사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상기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자재, 중간제품 및 완제품의 치수, 가공상태, 외관상태를 분석하여 미리 설정된 인증 기준과 비교하는 영상 분석부;
    상기 검사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인증 기준과 비교 분석하는 검사 데이터 분석부;
    상기 영상 분석부 및 검사 데이터 분석부에서 분석된 검사 정보를 검사 공정별로 저장 및 관리하는 규격인증 관리부;
    상기 규격인증 관리부에 저장된 검사 정보에 기초하여 규격 인증 합격 여부정보를 포함하는 검사성적서 파일을 생성하는 검사성적서 파일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검사성적서 파일을 문서형태로 출력하는 검사성적서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준인증 관리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분석부는
    기 저장된 자재 상태 데이터들과 자재 촬상 데이터를 비교하여 자재의 현재 상태를 분석하는 자재 상태 분석부;
    촬상된 자재, 중간제품 및 완제품의 촬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규격인증과 관련된 치수 정보를 분석하는 치수 정보 분석부; 및
    촬상된 자재, 중간제품 및 완제품의 촬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규격인증과 관련된 제품 외관 정보를 분석하는 제품 외관 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규격인증 관리 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규격인증 관리부는
    자재 관리공정에 관한 검사 데이터로서 자재 외관, 치수, 물리 규격을 포함하는 자재 정보를 저장하는 자재 관리부;
    제조공정에 관한 검사 데이터로서 공정 상태, 중간제품의 치수, 외관 상태, 물리 규격을 포함하는 공정 정보를 저장하는 공정 관리부;
    완제품에 관한 검사 데이터로서 완제품의 치수, 외관 상태, 물리규격를 포함하는 완제품 품질 정보를 저장하는 품질 관리부; 및
    제조설비의 상태, 생산실적 정보를 저장하는 제조설비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규격인증 관리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규격인증 관리부는 각 검사항목의 표준값과 실제 검사 데이터의 오차범위를 작업자별, 제조설비별, 시간대별로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오차범위정보에 기초하여 작업자별, 제조설비별, 시간대별 공정 특성 데이터를 생성 및 관리하는 통계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규격인증 관리 시스템.
KR1020080126970A 2008-12-15 2008-12-15 규격 인증 관리 시스템 KR201000685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6970A KR20100068569A (ko) 2008-12-15 2008-12-15 규격 인증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6970A KR20100068569A (ko) 2008-12-15 2008-12-15 규격 인증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8569A true KR20100068569A (ko) 2010-06-24

Family

ID=42366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6970A KR20100068569A (ko) 2008-12-15 2008-12-15 규격 인증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6856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4419B1 (ko) * 2011-06-08 2013-02-18 정종수 온라인 실명제 웹접근성인증평가관리 방법
WO2014069793A1 (ko) * 2012-11-01 2014-05-08 Suk In Soo 물리적 특징정보를 활용한 원본 인증 시스템 및 방법
JP2018206065A (ja) * 2017-06-05 2018-12-27 横河電機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264351B1 (ko) * 2020-02-21 2021-06-14 주식회사 인사이트온 제조 실행 시스템을 설계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4419B1 (ko) * 2011-06-08 2013-02-18 정종수 온라인 실명제 웹접근성인증평가관리 방법
WO2014069793A1 (ko) * 2012-11-01 2014-05-08 Suk In Soo 물리적 특징정보를 활용한 원본 인증 시스템 및 방법
JP2018206065A (ja) * 2017-06-05 2018-12-27 横河電機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264351B1 (ko) * 2020-02-21 2021-06-14 주식회사 인사이트온 제조 실행 시스템을 설계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690570B (zh) 一种机房管理方法及动环系统
TWI706318B (zh) 錫膏印刷品質檢測方法、數據處理裝置及電腦存儲介質
AU2017245312A1 (en) Detection system
US10330724B2 (en) Measurement arrangement
CN105956987B (zh) 一种公路交通工程试验检测数据采集和评价系统
CN111161445A (zh) 一种电力巡检系统
CN107958326A (zh) 一种基于二维码技术的车间工艺巡检方法
CN108627520A (zh) 一种非均质固体材料外观质量的在线检测系统和方法
CN112990870A (zh) 基于核电设备的巡检文件生成方法、装置和计算机设备
CN109982037A (zh) 智能巡检装置
KR20100068569A (ko) 규격 인증 관리 시스템
CN112525246A (zh) 用于计算机测控仪器的远程校准系统及其操作方法
CN104751532A (zh) 一种通用巡检系统及其巡检方法
CN108269059B (zh) 一种数据管理系统
CN111934906A (zh) 等级保护的人工智能测评方法、客户端及系统
CN113888480A (zh) 一种基于mes的质量追溯方法和系统
US9341537B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certifying a brake pressure calibration for an end-of-train device
CN110009211A (zh) 一种基于三维模型的产品可视化检验系统
KR102594649B1 (ko) 스마트 체크리스트를 이용한 건축물 사전점검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3913150A (zh) 智能电能表电子元器件一致性检测方法
CN112712514A (zh) 产品检测系统及辅助检测方法
CN109032956A (zh) 一种接口测试方法及装置
JP2021043634A (ja) 情報処理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7474303B2 (ja) 管理システム
CN115936540A (zh) 一种建筑工程数字化见证取样及检测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