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7378A - 키오스크 시스템의 서비스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키오스크 시스템의 서비스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7378A
KR20100067378A KR1020080125917A KR20080125917A KR20100067378A KR 20100067378 A KR20100067378 A KR 20100067378A KR 1020080125917 A KR1020080125917 A KR 1020080125917A KR 20080125917 A KR20080125917 A KR 20080125917A KR 20100067378 A KR20100067378 A KR 201000673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ssing
processing device
service
service even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5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7353B1 (ko
Inventor
안순신
김태원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1259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7353B1/ko
Publication of KR20100067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73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73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73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1Discovery or management thereof, e.g. service location protocol [SLP] or web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ultimedia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bugging And Monito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키오스크를 통해 발생된 서비스 이벤트를 처리하고 그 처리 결과를 키오스크에 제공하는 다수의 서비스 이벤트 처리 서버의 개별 부하에 따라, 상기 발생된 서비스 이벤트를 각 처리 서버에 적응적으로 분배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키오스크 시스템의 서비스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키오스크 시스템의 서비스 처리 장치는 다수의 키오스크로부터 발생된 서비스 이벤트의 처리에 필요한 부하량(서비스 부하량)을 참조하여, 상기 서비스 이벤트를 처리하는 다수의 서비스 이벤트 처리 디바이스 중에서 상기 서비스 이벤트의 발생 시점 현재 최소 부하량을 갖는 처리 디바이스를 탐색하는 처리 디바이스 탐색부; 및 상기 탐색된 처리 디바이스를 상기 서비스 이벤트를 발생시킨 다수의 키오스크에 연계시켜 상기 서비스 이벤트를 처리하게 하는 서비스 이벤트 처리 지시부를 포함하여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한다.

Description

키오스크 시스템의 서비스 처리 장치{Apparatus for processing service which is provided by kiosk system}
본 발명은 키오스크 시스템의 서비스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키오스크를 통해 발생된 서비스 이벤트를 처리하고 그 처리 결과를 키오스크에 제공하는 다수의 서비스 이벤트 처리 서버의 개별 부하에 따라, 상기 발생된 서비스 이벤트를 각 처리 서버에 적응적으로 분배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키오스크 시스템의 서비스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서비스 이벤트'는 서비스의 개별 종류(예를 들어 발권, 공적 증명서류의 발급 등)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동일 종류의 서비스가 여러 번 발생하는 각 경우를 의미하는 것이다.
키오스크(kiosk)는 정보 서비스와 제반 업무의 무인자동화를 위하여 사용자들이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공공장소에 설치된 무인 단말기를 가리킨다. 멀티미디어 스테이션(multimedia station) 또는 셀프서비스 스테이션(self service station)이라고도 하며, 입력 방식(서비스 요청 방식)으로는 대개 터치스크린 방식을 채용한다.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을 통해 본인이 원하는 서비스를 요청하게 되며, 서비스 요청이 발생하면 키오스크와 연계된 서비스 처리 디바이스가 요청 서비스에 대해 처리하고 그 결과를 키오스크에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키오스크와 서비스 처리 디바이스를 통칭하여 '키오스크 시스템'이라고 칭하기로 한다.
키오스크는 멀티미디어 컴퓨터에 터치스크린과 카드 판독기, 프린터, 네트워크, 스피커, 비디오카메라, 인터폰, 감지기 등 다양한 주변기기를 장착하며,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이용한 사용자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한다. 또한 네트워크를 통해 각 기기의 동작 상태를 감시하고 이상 유무를 진단ㅇ복구하는 시스템에 연결된다.
한편 서비스 이벤트 처리 디바이스는 통상 하나가 아니고 다수로 구비되는데, 기존의 키오스크 시스템에서의 개별 서비스 이벤트 처리 디바이스는 다른 처리 디바이스 및 키오스크의 운영 상태에 대해 전혀 알지 못하므로 자신에게 서비스 요청이 집중되어 서비스 처리 시간의 지연 내지는 처리 오류 등 여러 문제를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키오스크 시스템에서의 다수의 서비스 이벤트 처리 디바이스의 제반 상태를 지속적으로 감시하여, 다수의 서비스 이벤트 처리 디바이스의 개별 부하(load)에 따라 각 처리 디바이스에 서비스 이벤트의 처리를 적응적으로 분배하여 이루어지도록 하는 키오스크 시스템의 서비스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키오스크 시스템의 서비스 처리 장치는
다수의 키오스크로부터 발생된 서비스 이벤트의 처리에 필요한 부하량(서비스 부하량)을 참조하여, 상기 서비스 이벤트를 처리하는 다수의 서비스 이벤트 처리 디바이스 중에서 상기 서비스 이벤트의 발생 시점 현재 최소 부하량을 갖는 처리 디바이스를 탐색하는 처리 디바이스 탐색부; 및 상기 탐색된 처리 디바이스를 상기 서비스 이벤트를 발생시킨 다수의 키오스크에 연계시켜 상기 서비스 이벤트를 처리하게 하는 서비스 이벤트 처리 지시부를 포함하여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또 다른 키오스크 시스템의 서비스 처리 장치는
다수의 키오스크로부터 발생된 서비스 이벤트의 처리에 필요한 부하량(서비스 부하량)을 참조하여, 상기 서비스 이벤트를 처리하는 다수의 서비스 이벤트 처리 디바이스 중에서 상기 서비스 이벤트의 발생 시점 현재 최소 부하량을 갖는 처리 디바이스를 탐색하여 상기 서비스 이벤트의 처리를 지시하는 처리 디바이스 탐색부; 상기 탐색된 처리 디바이스가 상기 서비스 이벤트를 처리하는 소요 시간이 상기 서비스 이벤트의 평균 처리 소요 시간보다 소정 시간 이상인지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처리 소요 시간이 상기 소정 시간 이상인 경우, 상기 탐색된 처리 디바이스를 제외한 잔여 처리 디바이스 중에서 상기 서비스 이벤트를 처리할 디바이스를 재탐색하여 상기 서비스 이벤트의 처리를 지시하는 재탐색부를 포함하여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또 다른 키오스크 시스템의 서비스 처리 장치는
다수의 키오스크로부터 발생된 서비스 이벤트의 처리에 필요한 부하량(서비스 부하량)을 참조하여, 상기 서비스 이벤트를 처리하는 다수의 서비스 이벤트 처리 디바이스 중에서 상기 서비스 부하량보다 큰 최대 처리 가용 부하량을 갖는 처리 디바이스들을 분류하는 분류부; 상기 분류된 처리 디바이스들 중에서 상기 서비스 이벤트의 발생 시점 현재 최소 부하량을 갖는 처리 디바이스를 탐색하는 처리 디바이스 탐색부; 및 상기 탐색된 처리 디바이스를 상기 서비스 이벤트를 발생시킨 다수의 키오스크에 연계시켜 상기 서비스 이벤트를 처리하게 하는 서비스 이벤트 처리 지시부를 포함하여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또 다른 키오스크 시스템의 서비스 처리 장치는
다수의 키오스크로부터 발생된 서비스 이벤트의 처리에 필요한 부하량(서비스 부하량)을 참조하여, 상기 서비스 이벤트를 처리하는 다수의 서비스 이벤트 처리 디바이스 중에서 상기 서비스 부하량보다 큰 최대 처리 가용 부하량을 갖는 처리 디바이스들을 분류하는 분류부; 상기 분류된 처리 디바이스들 중에서 상기 서비스 이벤트의 발생 시점 현재 최소 부하량을 갖는 처리 디바이스를 탐색하여 상기 서비스 이벤트의 처리를 지시하는 처리 디바이스 탐색부; 상기 탐색된 처리 디바이스가 상기 서비스 이벤트를 처리하는 소요 시간이 상기 서비스 이벤트의 평균 처리 소요 시간보다 소정 시간 이상인지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처리 소요 시간이 상 기 소정 시간 이상인 경우, 상기 탐색된 처리 디바이스를 제외한 잔여 처리 디바이스 중에서 상기 서비스 이벤트를 처리할 디바이스를 재탐색하여 상기 서비스 이벤트의 처리를 지시하는 재탐색부를 포함하여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키오스크 시스템의 각 처리 디바이스의 부하를 균등화시켜 서비스 이벤트를 처리하기 때문에 서비스 처리 시간의 획기적인 단축이 가능하며 아울러 키오스크 시스템을 통한 서비스 처리의 신뢰성 제고를 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의 설명에 앞서 이해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해결 방안의 요지를 우선 제시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해결 방안의 요지는 키오스크 시스템의 다수의 서비스 이벤트 처리 디바이스의 개별 부하 즉, 키오스크를 통해 요청된 서비스를 각 서비스 이벤트 처리 디바이스의 부하에 따라 각 처리 디바이스에 적응적으로 분배하여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각 처리 디바이스의 부하 균등화(load balancing)를 통해 다수의 서비스 이벤트 처리 디바이스간의 협력적 서비스 처리가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해결 방안을 명확하게 하기 위한 발명의 구성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근거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여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있더라도 동일 참조번호를 부여하였으며 당해 도면에 대한 설명시 필요한 경우 다른 도면의 구성요소를 인용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아울러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그리고 그 이외의 제반 사항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는 환경을 네트워크 관점에서 제시한 도면이다.
제어 서버는 키오스크 시스템의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는 부분으로, 본 발명은 바로 이 제어 서버에 구현된다. 제어 서버의 본 발명과 관련된 사항은 이후에 상술하기로 한다.
키오스크 1 내지 키오스크 m으로부터 서비스 이벤트 처리 요청이 발생하면, 제어 서버에 의해 키오스크 1 내지 키오스크 m이 부하 균등화(load balancing)되고 부하 균등화된 결과에 의해 처리 디바이스 1 내지 처리 디바이스 n 중에서 선택되어 상기 이벤트에 대한 처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아울러 네트워크(도 1의 굵은 선)를 통해 상호 연계된 처리 디바이스 1 내지 n, 키오스크 1 내지 m 및 제어 서버는 하나의 클러스터(cluster)를 구성한다.
도 2a 내지 도 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구성을 제시한 도면이다.
처리 디바이스 탐색부(21)는 키오스크 1 내지 키오스크 m으로부터 발생된 서비스 이벤트의 처리에 필요한 부하량(서비스 부하량)을 참조하여, 상기 서비스 이벤트를 처리하는 처리 디바이스 1 내지 처리 디바이스 n중에서 상기 서비스 이벤트 의 발생 시점 현재 최소 부하량을 갖는 즉, 현재 시점에서 서비스 이벤트의 처리가 가장 적게 수행되는 처리 디바이스를 탐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서비스 부하량은 소정의 데이터베이스(DB, DB는 별도의 서버로 구축할 수도 있고, 제어 서버에 구축할 수 있다. 이는 선택 사항에 불과하다)에 처리 디바이스 1 내지 n의 각종 부하량과 관련된 정보 테이블(부하량 테이블)의 형태로 구축될 수 있다. 그 테이블의 일례가 도 2b에 제시되어 있다. 아울러 처리 디바이스 1 내지 n은 상기 클러스터에 포함되기 위해 상기 클러스터에 사전 등록이 되어야 하는데, 그 등록에 관련된 정보 테이블(클러스터 구성 테이블)도 DB에 구축되며 테이블의 일례가 도 2b에 제시되어 있다.
도 2b에 제시된 부하량 테이블의 일례에서 SN은 현재 처리중인 서비스 이벤트에 할당된 넘버를 나타낸다. 처리 디바이스 IP는 서비스 이벤트를 처리하고 있는 처리 디바이스의 IP 주소를 나타낸다. 키오스크 IP는 서비스 이벤트 처리를 요청한 키오스크의 IP 주소를 나타낸다. 최대 처리 가용 부하량은 처리 디바이스가 처리할 수 있는 최대 가용 부하량을 나타낸다. 서비스 부하량은 요청된 서비스 이벤트의 처리에 필요한 부하량을 나타낸다. 서비스 이벤트 평균 처리 시간은 요청된 서비스 이벤트가 처리되는데 통상적으로 소요되는 시간을 나타낸다. 경과 시간은 요청된 서비스 이벤트를 처리하면서 경과된 시간을 나타낸다. 다음 서비스 이벤트 대기 시간은 요청된 서비스 이벤트를 처리함으로 인해서 다음 서비스가 대기하는 시간의 총 누적 대기 시간을 나타낸다. 대기 서비스 수는 다음에 처리해야할 누적된 서비스 이벤트 수를 나타낸다.
아울러 도 2b에 제시된 클러스터 구성 테이블에서 NO는 클러스터 내에 등록된 처리 디바이스의 고유 번호를 나타낸다. KIND는 등록된 디바이스의 종류를 나타낸다. REG IP는 등록된 디바이스의 IP 주소를 나타낸다. 등록 및 해제는 디바이스가 등록 상태인지 해제 상태인지를 나타낸다. 등록 시간은 디바이스의 등록 시간을, 해제 시간은 디바이스의 해제 시간을 나타낸다.
Fault 상태와 Fault 처리 상태: 등록된 디바이스에 대해서 제어 서버는 임의의 시간마다 각 처리 디바이스의 상태 체크(비정상 여부 체크)를 실시한다. 이에 따라서 디바이스에 비정상(Fault) 상태가 발생하면 Fault 상태를 비정상 상태로 업데이트하고, Fault 처리 상태를 보고로 변경한다.
처리 디바이스 탐색부(21)의 서비스 부하량 참조는 바로 부하량 테이블을 참조하여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며, 상기 두 테이블의 각종 정보는 부하량의 변화 및 처리 디바이스들의 각종 상태 변화를 반영하여 최신의 정보로 지속적으로 그리고 실시간으로 업데이트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들 테이블에 관한 상기한 사항들은 후술될 또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서비스 이벤트 처리 지시부(22)는 탐색된 처리 디바이스를 서비스 이벤트를 발생시킨 다수의 키오스크에 연계시켜 상기 서비스 이벤트를 처리하게 한다.
한편 본 실시예는 다수의 서비스 이벤트 처리 디바이스의 비정상 상태(fault) 여부를 실시간 감시하는 감시부(23)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감시부(23)는 다수의 서비스 이벤트 처리 디바이스에 상태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하고, 상태 데이터의 전송 요청에 대해 소정 회수 이상의 응답이 없는 처리 디바이스를 비정상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거나, 부하량 테이블을 참조하여 탐색된 처리 디바이스가 서비스 이벤트를 처리하는 소요 시간이 상기 서비스 이벤트의 평균 처리 소요 시간보다 소정 시간 이상인 경우에 탐색된 처리 디바이스가 비정상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이때 처리 디바이스 탐색부(21)는, 상기와 같은 탐색 기능을 수행하되, 감시부(23)에 의해 비정상 상태로 판단된 처리 디바이스를 제외하고 탐색을 수행함으로써 처리 디바이스의 탐색에 소요되는 시간 또는 부하를 줄일 수 있어 효율적인 탐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처리 디바이스 탐색부(21)에 탐색된 처리 디바이스는 현재 처리 중인 서비스 이벤트 이외에도 이후의 서비스 이벤트(대기 서비스 이벤트)를 갖고 있을 수 있다. 처리 디바이스 탐색부(21)는 이 경우 부하량 테이블의 대기 서비스 이벤트의 대기 시간을 참조하여, 대기 서비스 이벤트의 대기 시간이 소정 시간 이상이면 상기 대기 서비스 이벤트를 상기 탐색된 처리 디바이스와 다른 처리 디바이스가 처리하도록 다른 처리 디바이스를 탐색하게 된다. 다른 처리 디바이스의 탐색도 감시부(23)에 의해 비정상 상태로 판단된 처리 디바이스를 제외하고 다른 처리 디바이스를 탐색하게 된다.
등록부(24)는 키오스크 또는 서비스 처리 디바이스가 상기 클러스터에 신규 등록되는 경우가 발생하는지 판단하기 위해 네트워크를 실시간 스캐닝하면서(상기 네트워크에 새로이 연결됨을 감지하여), 그 등록 절차를 수행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으로, 등록은 키오스크 시스템의 관리자(administrator)에 의해 수동적으로 이 루어지게 하는 것이 아니라, 플러그 앤 플레이(Plug & Play) 형태로 이루어지게 하여 상기 클러스터의 확장성을 용이하게 한다. 등록부(24)에 의한 등록이 이루어지면 클러스터 구성 테이블에 신규 등록된 키오스크 또는 서비스 처리 디바이스의 관련 정보가 즉시 반영된다. 등록부(24)의 이러한 기능은 이하에서 후술될 여러 실시예에서도 동일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 구성을 제시한 도면이다.
처리 디바이스 탐색부(31)는 키오스크 1 내지 m으로부터 발생된 서비스 이벤트의 처리에 필요한 부하량(서비스 부하량)을 부하량 테이블을 참조하여, 서비스 이벤트를 처리하는 서비스 이벤트 처리 디바이스 1 내지 n중에서 서비스 이벤트의 발생 시점 현재 최소 부하량을 갖는 처리 디바이스를 탐색하여 서비스 이벤트의 처리를 지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판단부(32)는 부하량 테이블을 참조하여 탐색된 처리 디바이스가 서비스 이벤트를 처리하는 소요 시간이 서비스 이벤트의 평균 처리 소요 시간보다 소정 시간 이상인지 판단하고, 재탐색부(33)는 처리 소요 시간이 소정 시간 이상인 경우, 탐색된 처리 디바이스를 제외한 잔여 처리 디바이스 중에서 서비스 이벤트를 처리할 디바이스를 재탐색하여 서비스 이벤트의 처리를 지시한다. 즉, 도 3의 실시예에서는 부하 균등화의 팩터로 서비스 이벤트의 평균 처리 소요 시간이 더 부가되는 것이다.
재탐색부(33)에 의한 재탐색은 재탐색의 시점에서 가장 적은 부하량을 가지며 상기 서비스 부하량보다 큰 최대 처리 가용 부하량을 갖는 처리 디바이스를 부 하량 테이블을 참조하여 재탐색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도 3의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도 감시부(34)를 더 구비할 수 있는데, 감시부(34)의 기능 그리고 감시부(34)와 연계되어 처리 디바이스 탐색부(31)가 하는 탐색은 도 2a의 실시예에 의한 감시부(23)와 처리 디바이스 탐색부(2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진행될 수 있다. 한편, 재탐색부(33)에 의한 재탐색도 감시부(34)와 연계되어 처리 디바이스 탐색부(31)가 하는 탐색과 동일하게 진행될 수 있다.
그리고 처리 디바이스 탐색부(31) 또는 재탐색부(33)는 각각 탐색되거나 재탐색된 처리 디바이스가 서비스 이벤트 이후의 대기 서비스 이벤트를 갖는 경우, 도 2a의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대기 서비스 이벤트의 대기 시간이 소정 시간 이상이면 다른 처리 디바이스를 탐색 또는 재탐색하게 된다.
도 3에 의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도 도 2a 내지 도 2b에 의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등록부(35)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관한 상세한 내용은 상기와 동일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 구성을 제시한 도면이다.
분류부(41)는 부하량 테이블에서 키오스크 1 내지 m으로부터 발생된 서비스 이벤트의 처리에 필요한 부하량(서비스 부하량)을 참조하여, 서비스 이벤트를 처리하는 서비스 이벤트 처리 디바이스 1 내지 n중에서 서비스 부하량보다 큰 최대 처리 가용 부하량을 갖는 처리 디바이스들을 분류한다.
처리 디바이스 탐색부(42)는 이렇게 분류된 처리 디바이스들 중에서 서비스 이벤트의 발생 시점 현재 최소 부하량을 갖는 처리 디바이스를 탐색하고, 서비스 이벤트 처리 지시부(43)는 이렇게 탐색된 처리 디바이스를 서비스 이벤트를 발생시킨 키오스크 1 내지 m 키오스크에 연계시켜 서비스 이벤트를 처리하게 한다.
즉, 도 4의 실시예에서는 부하 균등화의 팩터로 각 처리 디바이스의 최대 처리 가용 부하량을 우선적으로 고려하고, 처리 디바이스의 탐색은 서비스 부하량보다 큰 최대 처리 가용 부하량을 갖는 처리 디바이스만을 탐색하여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도 4의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도 감시부(44)를 더 구비할 수 있는데, 감시부(44)의 기능 그리고 감시부(44)와 연계되어 처리 디바이스 탐색부(42)가 하는 탐색은 도 2a의 실시예에 의한 감시부(23)와 처리 디바이스 탐색부(2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진행될 수 있다.
그리고 처리 디바이스 탐색부(42)에 탐색된 처리 디바이스가 서비스 이벤트 이후의 대기 서비스 이벤트를 갖는 경우, 도 2a의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대기 서비스 이벤트의 대기 시간이 소정 시간 이상이면 다른 처리 디바이스를 탐색하게 된다.
도 4에 의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도 도 2a 내지 도 3에 의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등록부(45)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관한 상세한 내용은 상기와 동일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 구성을 제시한 도면이다.
분류부(51)는 부하량 테이블에서 키오스크 1 내지 m으로부터 발생된 서비스 이벤트의 처리에 필요한 부하량(서비스 부하량)을 참조하여, 서비스 이벤트를 처리 하는 서비스 이벤트 처리 디바이스 1 내지 n중에서 서비스 부하량보다 큰 최대 처리 가용 부하량을 갖는 처리 디바이스들을 분류한다.
처리 디바이스 탐색부(52)는 이렇게 분류된 처리 디바이스들 중에서 서비스 이벤트의 발생 시점 현재 최소 부하량을 갖는 처리 디바이스를 탐색하고, 탐색된 처리 디바이스를 서비스 이벤트를 발생시킨 키오스크 1 내지 m 키오스크에 연계시켜 서비스 이벤트를 처리하게 한다.
판단부(53)는 탐색된 처리 디바이스가 서비스 이벤트를 처리하는 소요 시간이 서비스 이벤트의 평균 처리 소요 시간보다 소정 시간 이상인지 판단하고, 재탐색부(54)는 처리 소요 시간이 소정 시간 이상인 경우, 탐색된 처리 디바이스를 제외한 잔여 처리 디바이스 중에서 서비스 이벤트를 처리할 디바이스를 재탐색하여 서비스 이벤트의 처리를 지시한다.
도 5의 실시예는 부하 균등화의 팩터로 상기한 세 실시예에서 제시된 모든 팩터를 총망라하는 것이다.
도 5의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도 감시부(55)를 더 구비할 수 있는데, 감시부(55)의 기능 그리고 처리 디바이스 탐색부(52)가 감시부(55)와 연계되어 하는 탐색은 도 2a의 실시예에 의한 감시부(23)와 처리 디바이스 탐색부(2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진행될 수 있다. 한편, 재탐색부(54)에 의한 재탐색도 처리 디바이스 탐색부(52)가 감시부(55)와 연계되어 하는 탐색과 동일하게 진행될 수 있다.
그리고 처리 디바이스 탐색부(52) 또는 재탐색부(54)에 각각 탐색되거나 재탐색된 처리 디바이스가 서비스 이벤트 이후의 대기 서비스 이벤트를 갖는 경우, 도 2a의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대기 서비스 이벤트의 대기 시간이 소정 시간 이상이면 다른 처리 디바이스를 탐색 또는 재탐색하게 된다.
도 5에 의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도 도 2a 내지 도 4에 의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등록부(56)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관한 상세한 내용은 상기와 동일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키오스크 시스템을 여러 부하 균등화 팩터를 고려하여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으므로, 키오스크 시스템의 구축시에 여러 고려해야 할 요소(비용, 사용자수 등)에 따라 상기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키오스크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장점을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은 구축 환경에 따른 키오스크 시스템의 최적화 구축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는 환경을 네트워크 관점에서 제시한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구성을 제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 구성을 제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 구성을 제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 구성을 제시한 도면이다.

Claims (34)

  1. 다수의 키오스크로부터 발생된 서비스 이벤트의 처리에 필요한 부하량(서비스 부하량)을 참조하여, 상기 서비스 이벤트를 처리하는 다수의 서비스 이벤트 처리 디바이스 중에서 상기 서비스 이벤트의 발생 시점 현재 최소 부하량을 갖는 처리 디바이스를 탐색하는 처리 디바이스 탐색부; 및
    상기 탐색된 처리 디바이스를 상기 다수의 키오스크에 연계시켜 상기 서비스 이벤트를 처리하게 하는 서비스 이벤트 처리 지시부를 포함하는 키오스크 시스템의 서비스 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서비스 이벤트 처리 디바이스의 비정상 상태(fault) 여부를 실시간 감시하는 감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 시스템의 서비스 처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부는
    상기 다수의 서비스 이벤트 처리 디바이스에 상태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하고, 상기 상태 데이터의 전송 요청에 대해 소정 회수 이상의 응답이 없는 처리 디바이스를 비정상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 시스템의 서비스 처리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부는
    상기 탐색된 처리 디바이스가 상기 서비스 이벤트를 처리하는 소요 시간이 상기 서비스 이벤트의 평균 처리 소요 시간보다 소정 시간 이상이면, 상기 탐색된 처리 디바이스가 비정상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 시스템의 서비스 처리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디바이스 탐색부는
    상기 감시부에 의해 비정상 상태로 판단된 처리 디바이스를 제외하고 상기 탐색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 시스템의 서비스 처리 장치.
  6.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디바이스 탐색부는
    상기 탐색된 처리 디바이스가 상기 서비스 이벤트 이후의 대기 서비스 이벤트를 갖는 경우, 상기 대기 서비스 이벤트의 대기 시간이 소정 시간 이상이면 상기 대기 서비스 이벤트를 상기 탐색된 처리 디바이스와 다른 처리 디바이스가 처리하도록 상기 다른 처리 디바이스를 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 시스템의 서비스 처리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디바이스 탐색부는
    상기 감시부에 의해 비정상 상태로 판단된 처리 디바이스를 제외하고 상기 다른 처리 디바이스를 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 시스템의 서비스 처리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키오스크와 상기 다수의 서비스 이벤트 처리 디바이스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며,
    신규의 키오스크 또는 신규의 서비스 처리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신규 키오스크 또는 상기 신규 서비스 처리 디바이스의 신규 등록을 수행하는 등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등록부는 플러그 앤 플레이(Plug & Play) 형태로 상기 등록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 시스템의 서비스 처리 장치.
  9. 다수의 키오스크로부터 발생된 서비스 이벤트의 처리에 필요한 부하량(서비스 부하량)을 참조하여, 상기 서비스 이벤트를 처리하는 다수의 서비스 이벤트 처리 디바이스 중에서 상기 서비스 이벤트의 발생 시점 현재 최소 부하량을 갖는 처리 디바이스를 탐색하여 상기 서비스 이벤트의 처리를 지시하는 처리 디바이스 탐색부;
    상기 탐색된 처리 디바이스가 상기 서비스 이벤트를 처리하는 소요 시간이 상기 서비스 이벤트의 평균 처리 소요 시간보다 소정 시간 이상인지 판단하는 판단 부; 및
    상기 처리 소요 시간이 상기 소정 시간 이상인 경우, 상기 탐색된 처리 디바이스를 제외한 잔여 처리 디바이스 중에서 상기 서비스 이벤트를 처리할 디바이스를 재탐색하여 상기 서비스 이벤트의 처리를 지시하는 재탐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 시스템의 서비스 처리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재탐색부는
    상기 재탐색의 시점에서 가장 적은 부하량을 가지며 상기 서비스 부하량보다 큰 최대 처리 가용 부하량을 갖는 처리 디바이스를 재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 시스템의 서비스 처리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서비스 이벤트 처리 디바이스의 비정상 상태(fault) 여부를 실시간 감시하는 감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 시스템의 서비스 처리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부는
    상기 다수의 서비스 이벤트 처리 디바이스에 상태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하고, 상기 상태 데이터의 전송 요청에 대해 소정 회수 이상의 응답이 없는 처리 디바이스를 비정상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 시스템의 서비스 처리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부는
    상기 탐색된 또는 재탐색된 처리 디바이스가 상기 서비스 이벤트를 처리하는 소요 시간이 상기 서비스 이벤트의 평균 처리 소요 시간보다 소정 시간 이상이면, 상기 탐색된 또는 재탐색된 처리 디바이스가 비정상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 시스템의 서비스 처리 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디바이스 탐색부는 상기 감시부에 의해 비정상 상태로 판단된 처리 디바이스를 제외하고 상기 탐색을 수행하고,
    상기 재탐색부는 상기 감시부에 의해 비정상 상태로 판단된 처리 디바이스를 제외하고 상기 재탐색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 시스템의 서비스 처리 장치.
  15. 제 1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디바이스 탐색부는 상기 탐색된 처리 디바이스가 상기 서비스 이벤트 이후의 대기 서비스 이벤트를 갖는 경우, 상기 대기 서비스 이벤트의 대기 시간이 소정 시간 이상이면 상기 대기 서비스 이벤트를 상기 탐색된 처리 디바이스와 다른 처리 디바이스가 처리하도록 상기 다른 처리 디바이스를 탐색하고,
    상기 재탐색부는 상기 재탐색된 처리 디바이스가 상기 서비스 이벤트 이후의 대기 서비스 이벤트를 갖는 경우, 상기 대기 서비스 이벤트의 대기 시간이 소정 시간 이상이면 상기 대기 서비스 이벤트를 상기 재탐색된 처리 디바이스와 다른 처리 디바이스를 재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 시스템의 서비스 처리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디바이스 탐색부는 상기 감시부에 의해 비정상 상태로 판단된 처리 디바이스를 제외하고 상기 탐색을 하며,
    상기 재탐색부는 상기 감시부에 의해 비정상 상태로 판단된 처리 디바이스를 제외하고 상기 재탐색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 시스템의 서비스 처리 장치.
  17. 제 9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키오스크와 상기 다수의 서비스 이벤트 처리 디바이스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며,
    신규의 키오스크 또는 신규의 서비스 처리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신규 키오스크 또는 상기 신규 서비스 처리 디바이스의 신규 등록을 수행하는 등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등록부는 플러그 앤 플레이(Plug & Play) 형태로 상기 등록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 시스템의 서비스 처리 장치.
  18. 다수의 키오스크로부터 발생된 서비스 이벤트의 처리에 필요한 부하량(서비스 부하량)을 참조하여, 상기 서비스 이벤트를 처리하는 다수의 서비스 이벤트 처리 디바이스 중에서 상기 서비스 부하량보다 큰 최대 처리 가용 부하량을 갖는 처리 디바이스들을 분류하는 분류부;
    상기 분류된 처리 디바이스들 중에서 상기 서비스 이벤트의 발생 시점 현재 최소 부하량을 갖는 처리 디바이스를 탐색하는 처리 디바이스 탐색부; 및
    상기 탐색된 처리 디바이스를 상기 서비스 이벤트를 발생시킨 다수의 키오스크에 연계시켜 상기 서비스 이벤트를 처리하게 하는 서비스 이벤트 처리 지시부를 포함하는 키오스크 시스템의 서비스 처리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서비스 이벤트 처리 디바이스의 비정상 상태(fault) 여부를 실시간 감시하는 감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 시스템의 서비스 처리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부는
    상기 다수의 서비스 이벤트 처리 디바이스에 상태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하고, 상기 상태 데이터의 전송 요청에 대해 소정 회수 이상의 응답이 없는 처리 디바이스를 비정상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 시스템의 서비스 처리 장치.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부는
    상기 탐색된 처리 디바이스가 상기 서비스 이벤트를 처리하는 소요 시간이 상기 서비스 이벤트의 평균 처리 소요 시간보다 소정 시간 이상이면, 상기 탐색된 처리 디바이스가 비정상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 시스템의 서비스 처리 장치.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디바이스 탐색부는
    상기 감시부에 의해 비정상 상태로 판단된 처리 디바이스를 제외하고 상기 탐색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 시스템의 서비스 처리 장치.
  23. 제 19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디바이스 탐색부는
    상기 탐색된 처리 디바이스가 상기 서비스 이벤트 이후의 대기 서비스 이벤트를 갖는 경우, 상기 대기 서비스 이벤트의 대기 시간이 소정 시간 이상이면 상기 대기 서비스 이벤트를 상기 탐색된 처리 디바이스와 다른 처리 디바이스가 처리하도록 상기 다른 처리 디바이스를 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 시스템의 서비스 처리 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디바이스 탐색부는
    상기 감시부에 의해 비정상 상태로 판단된 처리 디바이스를 제외하고 상기 다른 처리 디바이스를 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 시스템의 서비스 처리 장치.
  25. 제 18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키오스크와 상기 다수의 서비스 이벤트 처리 디바이스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며,
    신규의 키오스크 또는 신규의 서비스 처리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신규 키오스크 또는 상기 신규 서비스 처리 디바이스의 신규 등록을 수행하는 등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등록부는 플러그 앤 플레이(Plug & Play) 형태로 상기 등록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 시스템의 서비스 처리 장치.
  26. 다수의 키오스크로부터 발생된 서비스 이벤트의 처리에 필요한 부하량(서비스 부하량)을 참조하여, 상기 서비스 이벤트를 처리하는 다수의 서비스 이벤트 처리 디바이스 중에서 상기 서비스 부하량보다 큰 최대 처리 가용 부하량을 갖는 처리 디바이스들을 분류하는 분류부;
    상기 분류된 처리 디바이스들 중에서 상기 서비스 이벤트의 발생 시점 현재 최소 부하량을 갖는 처리 디바이스를 탐색하여 상기 서비스 이벤트의 처리를 지시 하는 처리 디바이스 탐색부;
    상기 탐색된 처리 디바이스가 상기 서비스 이벤트를 처리하는 소요 시간이 상기 서비스 이벤트의 평균 처리 소요 시간보다 소정 시간 이상인지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처리 소요 시간이 상기 소정 시간 이상인 경우, 상기 탐색된 처리 디바이스를 제외한 잔여 처리 디바이스 중에서 상기 서비스 이벤트를 처리할 디바이스를 재탐색하여 상기 서비스 이벤트의 처리를 지시하는 재탐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 시스템의 서비스 처리 장치.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재탐색부는
    상기 재탐색의 시점에서 가장 적은 부하량을 가지며 상기 서비스 부하량보다 큰 최대 처리 가용 부하량을 갖는 처리 디바이스를 재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 시스템의 서비스 처리 장치.
  28.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서비스 이벤트 처리 디바이스의 비정상 상태(fault) 여부를 실시간 감시하는 감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 시스템의 서비스 처리 장치.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부는
    상기 다수의 서비스 이벤트 처리 디바이스에 상태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하고, 상기 상태 데이터의 전송 요청에 대해 소정 회수 이상의 응답이 없는 처리 디바이스를 비정상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 시스템의 서비스 처리 장치.
  30.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부는
    상기 탐색된 또는 재탐색된 처리 디바이스가 상기 서비스 이벤트를 처리하는 소요 시간이 상기 서비스 이벤트의 평균 처리 소요 시간보다 소정 시간 이상이면, 상기 탐색된 또는 재탐색된 처리 디바이스를 비정상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 시스템의 서비스 처리 장치.
  31.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디바이스 탐색부는 상기 감시부에 의해 비정상 상태로 판단된 처리 디바이스를 제외하고 상기 탐색을 수행하고,
    상기 재탐색부는 상기 감시부에 의해 비정상 상태로 판단된 처리 디바이스를 제외하고 상기 재탐색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 시스템의 서비스 처리 장치.
  32. 제 28 항 내지 제 3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디바이스 탐색부는 상기 탐색된 처리 디바이스가 상기 서비스 이 벤트 이후의 대기 서비스 이벤트를 갖는 경우, 상기 대기 서비스 이벤트의 대기 시간이 소정 시간 이상이면 상기 대기 서비스 이벤트를 상기 탐색된 처리 디바이스와 다른 처리 디바이스가 처리하도록 상기 다른 처리 디바이스를 탐색하고,
    상기 재탐색부는 상기 재탐색된 처리 디바이스가 상기 서비스 이벤트 이후의 대기 서비스 이벤트를 갖는 경우, 상기 대기 서비스 이벤트의 대기 시간이 소정 시간 이상이면 상기 대기 서비스 이벤트를 상기 재탐색된 처리 디바이스와 다른 처리 디바이스를 재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 시스템의 서비스 처리 장치.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디바이스 탐색부는 상기 감시부에 의해 비정상 상태로 판단된 처리 디바이스를 제외하고 상기 탐색을 하며,
    상기 재탐색부는 상기 감시부에 의해 비정상 상태로 판단된 처리 디바이스를 제외하고 상기 재탐색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 시스템의 서비스 처리 장치.
  34. 제 26 항 내지 제 3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키오스크와 상기 다수의 서비스 이벤트 처리 디바이스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며,
    신규의 키오스크 또는 신규의 서비스 처리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 되는 경우, 상기 신규 키오스크 또는 상기 신규 서비스 처리 디바이스의 신규 등록을 수행하는 등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등록부는 플러그 앤 플레이(Plug & Play) 형태로 상기 등록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오스크 시스템의 서비스 처리 장치.
KR1020080125917A 2008-12-11 2008-12-11 키오스크 시스템의 서비스 처리 장치 KR1010573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5917A KR101057353B1 (ko) 2008-12-11 2008-12-11 키오스크 시스템의 서비스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5917A KR101057353B1 (ko) 2008-12-11 2008-12-11 키오스크 시스템의 서비스 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7378A true KR20100067378A (ko) 2010-06-21
KR101057353B1 KR101057353B1 (ko) 2011-08-18

Family

ID=42366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5917A KR101057353B1 (ko) 2008-12-11 2008-12-11 키오스크 시스템의 서비스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73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4710B1 (ko) 2018-10-18 2020-11-05 윤완식 주문 자동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2189579B1 (ko) 2018-11-20 2020-12-11 주식회사 씨큐프라임 웹 기반 키오스크를 이용한 주문 시스템
KR102249053B1 (ko) 2019-04-10 2021-05-07 주식회사 씨큐프라임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비대면 주문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544064B1 (ko) 2021-02-18 2023-06-14 김태진 인공지능 기반 건강 이상 여부 판단을 위한 키오스크 장치 및 방법
KR20230018879A (ko) 2021-07-30 2023-02-07 주식회사 링크온유 자율주행 키오스크를 이용한 주문 자동 관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54940A1 (en) * 2003-01-31 2004-12-16 Brush Hector Cesar Digital media distribution method and system
KR100654464B1 (ko) * 2005-08-24 2006-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호스트들 간의 정보를 공유하는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7353B1 (ko) 2011-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92936B2 (en) Cluster wide consistent detection of interconnect failures
US7225356B2 (en) System for managing operational failure occurrences in processing devices
US10547693B2 (en) Security device capability discovery and device selection
US20030126260A1 (en) Distributed resource manager
US8892737B2 (en) Network sniffer for performing service level management
US8447757B1 (en) Latency reduction techniques for partitioned processing
US20130318221A1 (en) Variable configurations for workload distribution across multiple sites
US20130159487A1 (en) Migration of Virtual IP Addresses in a Failover Cluster
US20080301489A1 (en) Multi-agent hot-standby system and failover method for the same
US7937481B1 (en) System and methods for enterprise path management
KR101057353B1 (ko) 키오스크 시스템의 서비스 처리 장치
US10581697B2 (en) SDN controlled PoE management system
US20110099273A1 (en) Monitoring apparatus, monitoring method,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a monitoring program
CN111683139B (zh) 用于均衡负载的方法和装置
US9438471B1 (en) Multi-blade network traffic management apparatus with improved failure handling and methods thereof
US20160337263A1 (en) Request distribution system,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8589534B2 (en) Device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device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and storage medium which operates during a failure
CN108156024B (zh) 一种基于分布式网站可用性探测方法、系统及存储介质
US10659320B2 (en) Device management system
US7386584B2 (en) Intelligent computer switch
US9648111B2 (e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010074733A (ko) 작업집단 서버 어레이를 실현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113254245A (zh) 一种存储集群的故障检测方法和系统
JP2003256390A (ja) 分散オブジェクトシステム
JP2006115260A (ja) 通信制御方法、通信中継装置および通信制御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