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6879A - 패턴이 형성된 투명 전극층을 포함하는 반도체 발광 소자 - Google Patents

패턴이 형성된 투명 전극층을 포함하는 반도체 발광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6879A
KR20100066879A KR1020080125376A KR20080125376A KR20100066879A KR 20100066879 A KR20100066879 A KR 20100066879A KR 1020080125376 A KR1020080125376 A KR 1020080125376A KR 20080125376 A KR20080125376 A KR 20080125376A KR 20100066879 A KR20100066879 A KR 201000668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light emitting
emitting device
transparent electrode
semiconducto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5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동민
박성주
김용천
윤상호
박현주
Original Assignee
삼성엘이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엘이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엘이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5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66879A/ko
Publication of KR20100066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6879A/ko

Links

Images

Landscapes

  • Led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판;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제 1 도전형 반도체층; 상기 제 1 도전형 반도체층 상에 형성된 활성층; 상기 활성층 상에 형성된 제 2 도전형 반도체층; 상기 제 2 도전형 반도체층 상에 형성되며 양각 또는 음각 구조로 이루어진 다수의 광 추출용 패턴이 형성된 투명 전극층; 상기 제 2 도전형 반도체층과 상기 활성층의 일영역을 제거하여 형성된 상기 제 1 도전형 반도체층의 노출 영역 상에 형성된 제 1 전극; 및 상기 투명 전극층 상에 형성된 제 2 전극을 포함하는 반도체 발광 소자에 관한 것으로, 소자 내부로 반사되는 광의 비율을 줄이고, 전류의 흐름을 분산하여 발광 효율이 우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반도체 발광소자, 투명 전극층, 광 추출용 패턴, 전반사, 전류 분산

Description

패턴이 형성된 투명 전극층을 포함하는 반도체 발광 소자{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a patterned transparent electrode layer}
본 발명은 반도체 발광 소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반사에 의해 소자 내부로 반사되는 광의 비율을 줄여 외부 양자효율이 높고, 전류의 흐름이 분산될 수 있는 반도체 발광 소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반도체 발광 소자의 경우 내부양자 효율은 거의 100%에 이르지만, 실제 소자 밖으로 나오는 외부양자 효율은 매우 낮다. 이는 다중양자우물 구조에서 생성된 빛이 소자 밖으로 나올 때 소자와 공기 사이의 계면에서 굴절률 차이에 의해 일어나는 전반사에 기인한다. 소자 내부에서 발생된 빛이 소자의 표면에 이르렀을 때 입사각이 임계각보다 큰 경우 빛이 밖으로 추출되지 못하고 반사되어 소자 내부로 다시 진행한다. 따라서 반도체 발광소자의 광 추출 효율은 매우 낮아 진다. 또한 계면을 빠져나가지 못한 빛은 소자 내부를 이동하다가 열로 붕괴되고, 소자의 열 발생량을 늘려 소자의 수명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절연성 기판을 이용한 수평구조의 발광 소자는 2개의 전극이 발광 구조물 상하 면에 각각 배치된 수직(vertical)구조의 발광 소자에 비해 전류가 전체 발 광영역에 균일하게 분산되지 않아 발광에 가담하는 유효면적이 크지 않고, 발광 면적당 발광 효율이 낮은 문제가 있다. 특히, 조명용과 같은 고출력이 요구되는 비교적 큰 면적을 갖는 발광 소자에서 이러한 전류분산 문제는 보다 심각해진다. 이로 인해 면적증가에 따른 발광효율의 향상효과를 충분히 기대하기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패턴이 형성된 투명 전극을 포함하여 광 추출 효율을 향상시키고 전류 집중을 완화하여 발광 효율이 우수한 반도체 발광 소자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기판;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제 1 도전형 반도체층; 상기 제 1 도전형 반도체층 상에 형성된 활성층; 상기 활성층 상에 형성된 제 2 도전형 반도체층; 상기 제 2 도전형 반도체층 상에 형성되며 양각 또는 음각 구조로 이루어진 다수의 광 추출용 패턴이 형성된 투명 전극층; 상기 제 2 도전형 반도체층과 상기 활성층의 일영역을 제거하여 형성된 상기 제 1 도전형 반도체층의 노출 영역 상에 형성된 제 1 전극; 및 상기 투명 전극층 상에 형성된 제 2 전극을 포함하는 반도체 발광 소자를 제공한다.
상기 다수의 광 추출용 패턴은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 사이의 최단거리에 위치한 영역이 다른 영역의 전기적 저항보다 큰 전기적 저항을 갖도록 서로 다른 폭 및 간격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 추출용 패턴은 양각 패턴이며,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 사이의 최단거리 상에 위치한 양각 패턴은 다른 영역 상에 위치한 양각 패턴의 폭 보다 작은 폭을 갖거나 다른 영역 상에 위치한 양각 패턴의 간격보다 큰 간격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양각 패턴은 상기 제 1 및 제2 전극 사이의 최단거리 상에 위치한 영역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큰 폭을 갖거나 작은 간격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광 추출용 패턴은 음각 패턴이며,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 사이의 최단거리 상에 위치한 음각 패턴은 다른 영역 상에 위치한 음각패턴의 폭보다 큰 폭을 갖거나 다른 영역 상에 위치한 음각 패턴의 간격보다 작은 간격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광 추출용 패턴은 음각 패턴이며, 상기 제 2 도전형 반도체층이 노출되도록 형성된 홀 패턴일 수 있다.
상기 음각 패턴은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 사이의 최단거리 상에 위치한 영역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작은 폭을 갖거나 큰 간격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도전형 반도체층 및 상기 활성층은, 질화갈륨계, 산화아연계, 비소갈륨계 및 인화갈륨계 반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반도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투명 전극층은 In, Sn, Zn, Ga, Mg, Cu, Ni, Al, 및 Ag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원소를 포함하는 전도성 산화물 또는 전도성 질화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투명 전극층은 ITO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발광 소자는 양각 또는 음각 구조로 이루어진 다수의 광 추출용 패턴이 형성된 투명 전극층을 포함하여 전반사되어 소자 내부로 반사되는 광의 비율을 줄이고, 광 추출용 패턴의 폭 간격을 조절하여 전류 집중을 완화시 킨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반도체 발광 소자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반도체 발광소자는 기판(21);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제 1 도전형 반도체층(22); 제 1 도전형 반도체층에 상에 형성된 활성층(23); 상기 활성층 상에 형성된 제 2 도전형 반도체층(24) 및 상기 제 2 도전형 반도체층(24)에 형성된 투명 전극층(25)을 포함한다.
상기 반도체 발광소자 상면에서, 상기 제 2 도전형 반도체층 및 활성층의 일영역에 메사에칭을 적용하여, 제 1 도전형 반도체층(22) 상면을 노출시킨 후, 노출된 제 1 도전형 반도체층 상에 형성된 제 1 전극(26) 및 상기 투명 전극층(25) 상에 형성된 제 2 전극(27)을 포함한다.
상기 투명 전극층(25)은 양각 또는 음각 구조로 이루어진 다수의 광 추출용 패턴이 형성되어 있다. 도 2a 및 2b는 양각 구조의 광추출용 패턴(25a)이 형성된 것으로, 각각 상부 평면도 및 측단면도이다. 또한 도 2c 및 2d는 음각 구조의 광 추출용 패턴(25b)이 형성된 것으로, 각각 상부 평면도 및 측단면도이다. 양각 또는 음각 구조의 광 추출용 패턴의 폭(x) 또는 간격(y)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 추출용 패턴(25a, 25b)의 폭(x)는 0.001 내지 10㎛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 추출용 패턴에 의하여 광경로가 변경되고, 대체적으로 입사각이 임계각 이하가 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소자 내부에서 발생된 광이 반사되어 내부에 갇히는 비율이 줄어 들게 된다.
또한 투명 전극층에 형성되는 광 추출용 패턴은 식각되는 깊이가 투명 전극층의 일정 두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3a 및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반도체 발광소자의 상부평면도이다. 광 추출용 패턴의 폭 또는 간격은 차별화된 형태를 보일 수 있다. 광 추출용 패턴의 폭 또는 간격은 조립시의 와이어와 접착 연결되는 본딩 메탈의 기본적인 디자인에 따라 다를 수 있으나, 기본적으로 두 전극 간의 최단 거리 영역(l)이 기준이 된다.
도 3a 및 3b를 참조하면, 다수의 광 추출용 패턴(25a, 25b)은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26, 27) 사이의 최단거리에 위치한 영역(l)이 다른 영역의 전기적 저항보다 큰 전기적 저항을 갖도록 서로 다른 폭 및 간격을 가질 수 있다.
도 3a는 광 추출용 패턴(25a)이 양각 패턴인 것으로, 제 1 및 제 2 전극(26, 27) 사이의 최단거리(l) 상에 위치한 양각 패턴은 다른 영역 상에 위치한 양각 패턴의 폭 보다 작은 폭을 갖거나 다른 영역 상에 위치한 양각 패턴의 간격보다 큰 간격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양각 패턴(25a)은 상기 제 1 및 제2 전극(26, 27) 사이의 최단거리(l) 상에 위치한 영역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큰 폭을 갖거나 작은 간격을 가질 수 있다.
광 추출용 패턴이 양각 패턴인 경우 광 추출용 패턴 영역 부근에 저항이 감소하여 전극간 최단 거리(l)에 상대적으로 높은 저항이 형성되므로, 전류의 흐름이 분산될 수 있다.
도 3b는 광 추출용 패턴(25b)이 음각 패턴인 것으로, 제 1 및 제 2 전극(26, 27) 사이의 최단거리(l) 상에 위치한 음각 패턴은 다른 영역 상에 위치한 음각 패턴의 폭 보다 큰 폭을 갖거나 다른 영역 상에 위치한 음각 패턴의 간격보다 작은 간격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음각 패턴(25b)은 상기 제 1 및 제2 전극(26, 27) 사이의 최단거리(l) 상에 위치한 영역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작은 폭을 갖거나 큰 간격을 가질 수 있다.
광 추출용 패턴이 음각 패턴인 경우에는 패턴 영역 부근에 저항이 증가하여 전극간 최단 거리(l)에 상대적으로 높은 저항이 형성되므로, 전류의 흐름이 분산된다. 또한 광 추출용 패턴이 음각 패턴이 경우 제 2 도전형 반도체층이 노출되도록 형성된 홀 패턴일 수 있다. 양각 패턴인 경우 전기적 흐름을 유지할 수 있도록 일정 두께를 잔류시켜야 하지만, 음각 패턴인 경우 전기적 흐름이 끊기지 않기 때문에 투명 전극층 잔류 여부는 문제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러한 광 추출용 패턴의 폭 또는 간격 차이는 표면 전류 흐름을 제어 할 수 있기 때문에 국부 영역별 전류 흐름의 차이로 인해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전류가 전체 발광영역에 균일하게 분산되어 발광에 가담하는 유효면적이 증가하고, 발광 면적당 발광효율이 증가하게 된다.
상기 제 1 도전형, 제 2 도전형 반도체 층 및 활성층은 질화갈륨계, 산화아연계, 비소갈륨계 및 인화갈륨계 반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반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명 전극층(25)은 In, Sn, Zn, Ga, Mg, Cu, Ni, Al, 및 Ag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원소를 포함하는 전도성 산화물 또는 질화물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ITO(Indium-Tin Oxide)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하고자 한다. 따라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반도체 발광 소자의 사시도이다.
도 2a 및 2c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반도체 발광 소자의 상부 평면도이며, 도 2b 및 도 2d는 투명 전극층의 측단면도이다.
도 3a 및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반도체 발광소자의 상부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반도체 발광소자 21: 기판
22: 제 1 도전형 반도체층 23: 제 2 도전형 반도체층
24: 활성층 25: 투명 전극층
25a: 양각 패턴 25b: 음각 패턴
26: 제 1 전극 27: 제 2 전극

Claims (10)

  1. 기판;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제 1 도전형 반도체층;
    상기 제 1 도전형 반도체층 상에 형성된 활성층;
    상기 활성층 상에 형성된 제 2 도전형 반도체층;
    상기 제 2 도전형 반도체층 상에 형성되며 양각 또는 음각 구조로 이루어진 다수의 광 추출용 패턴이 형성된 투명 전극층;
    상기 제 2 도전형 반도체층과 상기 활성층의 일영역을 제거하여 형성된 상기 제 1 도전형 반도체층의 노출 영역 상에 형성된 제 1 전극; 및
    상기 투명 전극층 상에 형성된 제 2 전극을 포함하는 반도체 발광 소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광 추출용 패턴은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 사이의 최단거리에 위치한 영역이 다른 영역의 전기적 저항보다 큰 전기적 저항을 갖도록 서로 다른 폭 및 간격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발광소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 추출용 패턴은 양각 패턴이며,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 사이의 최단거리 상에 위치한 양각 패턴은 다른 영 역 상에 위치한 양각 패턴의 폭 보다 작은 폭을 갖거나 다른 영역 상에 위치한 양각 패턴의 간격보다 큰 간격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발광소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양각 패턴은 상기 제 1 및 제2 전극 사이의 최단거리 상에 위치한 영역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큰 폭을 갖거나 작은 간격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발광소자.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 추출용 패턴은 음각 패턴이며,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 사이의 최단거리 상에 위치한 음각 패턴은 다른 영역 상에 위치한 음각패턴의 폭보다 큰 폭을 갖거나 다른 영역 상에 위치한 음각 패턴의 간격보다 작은 간격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발광소자.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 추출용 패턴은 음각 패턴이며,
    상기 제 2 도전형 반도체층이 노출되도록 형성된 홀 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발광소자.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음각 패턴은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 사이의 최단거리 상에 위치한 영역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작은 폭을 갖거나 큰 간격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발광소자.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도전형 반도체층 및 상기 활성층은, 질화갈륨계, 산화아연계, 비소갈륨계 및 인화갈륨계 반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반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발광 소자.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전극층은 In, Sn, Zn, Ga, Mg, Cu, Ni, Al, 및 Ag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원소를 포함하는 전도성 산화물 또는 전도성 질화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발광 소자.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전극층은 ITO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발광 소자.
KR1020080125376A 2008-12-10 2008-12-10 패턴이 형성된 투명 전극층을 포함하는 반도체 발광 소자 KR201000668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5376A KR20100066879A (ko) 2008-12-10 2008-12-10 패턴이 형성된 투명 전극층을 포함하는 반도체 발광 소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5376A KR20100066879A (ko) 2008-12-10 2008-12-10 패턴이 형성된 투명 전극층을 포함하는 반도체 발광 소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6879A true KR20100066879A (ko) 2010-06-18

Family

ID=42365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5376A KR20100066879A (ko) 2008-12-10 2008-12-10 패턴이 형성된 투명 전극층을 포함하는 반도체 발광 소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6687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41012B2 (en) 2011-05-17 2015-05-2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Galium-nitride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a microarray-type structure
WO2017010701A1 (ko) * 2015-07-15 2017-01-19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ZnO 투명 전극을 포함하는 발광 소자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41012B2 (en) 2011-05-17 2015-05-2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Galium-nitride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a microarray-type structure
WO2017010701A1 (ko) * 2015-07-15 2017-01-19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ZnO 투명 전극을 포함하는 발광 소자
KR20170008968A (ko) * 2015-07-15 2017-01-25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ZnO 투명 전극을 포함하는 발광 소자
US10396250B2 (en) 2015-07-15 2019-08-27 Seoul Viosys Co., Ltd. Light emitting element including ZnO transparent electrod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47039B2 (ja) 均一な電流拡がりを有するled
KR101136441B1 (ko) 개량된 전극 구조를 구비한 발광 소자
EP2418699A2 (en) Electrode configuration for a light emitting diode
US20140001510A1 (en) Light emitting element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KR100701975B1 (ko) 발광 소자
US20170263818A1 (en) Light-emitting device
CN110212069B (zh) 发光二极管芯片及其制作方法
TW201220536A (en)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JP5077224B2 (ja) Iii族窒化物半導体発光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40118654A (ko) 발광 다이오드 칩
JP5336202B2 (ja) 半導体発光素子
JP2011187616A (ja) 半導体発光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00066879A (ko) 패턴이 형성된 투명 전극층을 포함하는 반도체 발광 소자
TWI453968B (zh) 半導體發光結構
KR101054112B1 (ko)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992728B1 (ko) 발광 소자 및 그 제조방법
CN106992235B (zh) 一种发光二极管芯片
CN210805813U (zh) 一种高可靠度的led芯片
KR101539430B1 (ko) 발광 다이오드 및 그 제조 방법
CN210607305U (zh) 优化电流分布的嵌入式电极结构led芯片
JP6994663B2 (ja) 発光素子
WO2016152397A1 (ja) 窒化物半導体発光素子
CN217740552U (zh) 一种半导体发光元件
CN105355732B (zh) 一种倒装蓝绿发光二极管芯片的制备方法
KR20120122802A (ko) 발광다이오드 및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