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6260A - Tape for identification of unsealing - Google Patents

Tape for identification of unseal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6260A
KR20100066260A KR1020090016369A KR20090016369A KR20100066260A KR 20100066260 A KR20100066260 A KR 20100066260A KR 1020090016369 A KR1020090016369 A KR 1020090016369A KR 20090016369 A KR20090016369 A KR 20090016369A KR 20100066260 A KR20100066260 A KR 201000662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tape
release agent
opening
ident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63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074339B1 (en
Inventor
정진호
Original Assignee
정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진호 filed Critical 정진호
Publication of KR20100066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626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4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433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38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as tamper-evident tape or labe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 Tap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PURPOSE: A tape for unsealing identification is provided to enable a user to see the opening mark of the tape by the change of the shape of an identification layer, and to prevent residues from remaining to the surface of an object when removing the tape. CONSTITUTION: A tape for unsealing identification capable of attaching to an object to check the unsealing state comprises the following: a supporting film(201); a release agent layer(202) partially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ing film; identification layers(203a,203b)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ing film and the release agent layer; and an adhesive layer(204)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identification layers to be separated with the release agent layer along with the identification layers.

Description

개봉 확인용 테이프{Tape for identification of unsealing}Tape for identification of unsealing

본 발명은 개봉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개봉 확인용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개봉 확인용 테이프를 피착면에 부착시키고 떼어내면, 이형제층 하부의 식별층과 점착제층이 다른 영역으로 전이되므로 스티커의 양면에서 개봉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한 번 떼어낸 스티커를 다시 피착물에 부착시키더라도 이미 변화된 식별층의 형상이 유지되므로 보안이 유지되도록 하는 개봉 확인용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ape for confirming the opening that can be opened. Specifically,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ape for confirming the opening is attached and detached on the adhered surface, the identification layer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under the release agent layer are transferred to different areas, so that the seal can be checked on both sides of the stick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ape for confirming opening so that security can be maintained because the shape of the identification layer that has already changed is maintained even when attached to the adherend again.

최근 산업분야에서 기술개발에 의한 경쟁력 확보가 최우선적인 과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개발된 기술의 보안에 대한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강화되고 있다. 따라서, 기업이나 연구소들은 방문자들이 소지한 핸드폰 등에 내장된 카메라에 의해 기술 내용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방문자의 카메라 렌즈에 개봉 확인용 테이프를 부착하여 출입시키는 경우가 잦다. 또한 보안이 요구되는 물건의 포장이나 서류봉투에 부착하여 포장이나 봉투가 개봉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개봉 확인용 테이프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In recent years, securing competitiveness by technology development has become a top priority in the industrial field, and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security of the developed technology is being strengthened. Therefore, companies and research institutes often attach and open the opening confirmation tape to the visitor's camera lens in order to prevent the technical contents from being leaked to the outside by the camera embedded in the mobile phone possessed by the visitor. In addition,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a tear-proof tape that can be attached to a package or a briefcase of a security-required object to check whether the package or envelope has been opened.

개봉 확인용 테이프는 보안이 필요한 대상물에 부착한 후, 스티커를 떼어내 면 흔적이 남도록 한 보안 장치이다. 개봉 확인용 테이프에 대한 선행문헌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1989-9269호는 테이프를 떼어낼 때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서 테이프가 불투명하게 변하는 가압-불투명성 재료를 이용한 기술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선행문헌은 가압-불투명성 재료로 이루어진 필름의 일면에 봉인이 개봉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는 문자를 인쇄하고, 다른 일면에는 개봉되지 않았음을 의미하는 문자를 중첩되게 인쇄함으로써, 밀봉테이프를 떼어낼 때 테이프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하여 개봉되었음을 확인하는 문자가 표시되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테이프는 테이프를 떼어내는 압력 외에도 다른 외부의 힘에 의해서도 문자가 변화될 수 있으므로, 테이프를 롤 형태로 제조하여 작업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The tear-proof tape is a security device that leaves a mark after attaching to an object requiring security and then peeling off the sticker. Korean Patent Utility Model No. 1989-9269, which is a prior art document for confirming the opening of a tape, discloses a technique using a pressure-opaque material in which the tape becomes opaque due to the pressure applied when the tape is peeled off. Specifically, the prior document prints a letter which can confirm that the seal is opened on one side of the film made of a pressure-opaque material, and prints a letter that means that the seal is not opened on the other side, so that the sealing tape is peeled of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ique for displaying a letter confirming that it is opened by the pressure applied to the tape. However, since the tape may be changed by other external forces in addition to the pressure to remove the tape,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be made for the convenience of work by manufacturing the tape in the form of a roll.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선행문헌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344944호 및 등록특허 제0840407호는, 봉인된 테이프를 떼어낼 때 투명한 베이스 필름층의 배면에 부분적으로 인쇄된 부분 이형제층이 분리됨과 아울러 색상 인쇄층(또는 알루미늄 증착층)이 복구 불가능하게 파괴됨으로써 개봉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개봉 확인용 테이프에 관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다만 이러한 기술은 개봉 확인용 테이프를 떼어낼 때 피착면에 이물질이 남아 방문자가 소지한 카메라 렌즈 등의 대상물에 오염물질이 남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Korean Patent Utility Model No. 344944 and Patent No. 0840407, which ar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a partial release agent layer partially printed on the back side of the transparent base film layer when the sealed tape is peeled off, as well as color. Disclosed is a technique for unsealing tape which can easily check whether the printed layer (or aluminum vapor deposition layer) is broken irreparably. However, such a technique has a problem in that foreign materials remain on the adhered surface when the tearing tape is removed, and contaminants remain on objects such as a camera lens carried by the visitor.

본 발명의 과제는 보안의 대상이 되는 물건에 부착하여 개봉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대상물에 오염물질이 남지 않는 개봉 확인용 테이프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ape for confirming the opening can be attached to the object to be secured to confirm whether the opening, and no contaminants remain on the object.

상기 첫 번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지필름, 지지필름의 하부면에 부분적으로 형성된 이형제층, 지지필름과 이형제층의 하부면에 형성된 식별층 및 식별층의 하부면에 형성된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개봉 확인용 테이프를 제공한다. 이때, 개봉 확인용 테이프는 이형체층의 하부면에 형성된 식별층과 점착제층이 이형제층의 하부면으로부터 분리되어 이형제층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으로 전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first problem It provides a tape for confirming opening comprising a support film, a release agent layer partially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film, an identification layer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film and the release agent layer, and an adhesive layer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dentification layer. At this time, the tear-proof tap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dentification layer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release layer is separate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release agent layer is transferred to the region where the release agent layer is not form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은 식별층과 점착제층이 이형제층 및 피착면에서 분리되면서 끊어진 후 탄성에 의하여 상기 이형제층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으로 이동하여 결합함으로써 전이가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dentification layer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separated and separated from the release agent layer and the adhered surface, the transition can be made by moving to bond to the region where the release agent layer is not formed by elasticity.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은 이형제층과 식별층간의 결합력이 점착제층과 피착면간의 결합력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release agent layer and the identification layer is smaller than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adhesive layer and the adhered surface.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은 이형제층과 식별층간의 결합력이 지지필름과 이형제층간의 결합력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has a bonding force between the release agent layer and the identification layer is smaller than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support film and the release agent layer.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은 점착제층과 피착면간의 결합력이 지지필름과 이형제층간의 결합력, 지지필름과 식별층간의 결합력 및 식별층과 점착제층간의 결합력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has a bonding force between the adhesive layer and the adhered surface is smaller than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support film and the release agent layer,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support film and the identification layer and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identification layer and the adhesive layer. .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은 지지필름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 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스타이렌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de of at least one support film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ethylene, polypropylene, polyvinyl chloride, polyethylene naphthalat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carbonate and polystyrene.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은 이형제층이 셀룰로오스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비닐계 수지, 파라핀계 수지 및 수용성 수지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lease agent layer may be made of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ellulose resin, acrylic resin, vinyl resin, paraffin resin and water-soluble resin.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은 점착제층이 엘라스토머와 점착부여제를 포함하고, 점착부여제의 조성비는 엘라스토머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1 내지 25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comprises an adhesive layer and an tackifier, the composition ratio of the tackifier is 1 to 2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elastomer.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은 엘라스토머가 고무, 아크릴계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astomer may be a rubber, an acrylic copolymer or a mixture thereof.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은 엘라스토머가 고무와 아크릴계 공중합체가 10:90 내지 90:10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elastomer is a rubber and acrylic copolymer is mixed in a weight ratio of 10:90 to 90:10.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은 식별층이 안료가 포함된 수지층이거나 금속층일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resin layer or a metal layer containing a pigment.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은 식별층에 포함된 안료가 자외선에 의하여 발광하거나, 온도에 의하여 색이 변화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pigment contained in the identification layer may emit light by ultraviolet rays, or the color may change due to temperature.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은 식별층이 홀로그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of a hologram identification layer.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은 식별층과 점착제층을 별도로 사용하지 아니하고, 안료가 혼합된 점착제층을 사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use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mixed with a pigment, without using the identification layer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separately.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은 점착제층의 하부면에 형성된 이형박리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release releas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본 발명의 개봉 확인용 테이프는, 대상물에 부착한 후 떼어내면 스티커의 이형제층 하부면에 형성된 식별층과 점착제층이 다른 영역으로 전이되어 식별층의 형상이 변화되므로 개봉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이러한 과정에 의하여 물건의 보안상태를 확인하거나 정품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개봉 확인용 테이프는 스티커의 양면에서 개봉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개봉 시에 점착제층이 대상물의 표면에서 완전히 분리되므로 피착물에 오염물질이나 이물질을 남기지 않는 유리한 효과를 가진다.When the tape for confirming open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an object and then peeled off, the identification layer and the adhesive layer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release agent layer of the sticker are transferred to another region, and thus the shape of the identification layer is changed, so that the opening can be checked. By the process, you can check the security status of the product or check whether it is genuine. In addition, the tape for confirming opening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heck whether the seal is opened on both sides of the sticker, and at the time of opening, since the adhesive layer is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surface of the object, it has an advantageous effect of not leaving contaminants or foreign substances on the adherend.

아래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를 기초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제시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ased on embodiments. The examples presented are exemplar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의 개봉 확인용 테이프는 지지필름, 지지필름의 하부면에 부분적으로 형성된 이형제층, 지지필름과 이형제층의 하부면에 형성된 식별층 및 식별층의 하부면에 형성된 점착제층을 포함한다.Opening confirmation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film, a release agent layer partially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film, the identification layer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film and the release agent layer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identification layer.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봉 확인용 테이프의 일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개봉 확인용 테이프는 지지필름(101), 이형제층(102), 식별층(103) 및 점착제층(104)을 포함한다. 지지필름(101)은 대상물 에 부착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으로 하부층을 보호하고 개봉 확인용 테이프의 형상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형제층(102)은 지지필름(101)의 하부면에 부분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개봉 확인용 테이프를 떼어낼 때 식별층(103)에 시각적인 변화가 유발되도록 식별층(103)과 약하게 결합되어 있다. 식별층(103)은 상기 지지필름(101)과 이형제층(102)의 하부면에 전면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스티커가 떼어지면 시각적인 변화가 관찰되도록 일정한 색이나 음영을 띠고 있다. 점착제층(104)은 상기 식별층(103)의 하부면에 전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피착면에 부착이 가능하도록 접착성을 가지고 있다. Figure 1a shows one cross-sectional view of the tear tape for check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A, the opening confirming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film 101, a release agent layer 102, an identification layer 103, and an adhesive layer 104. The supporting film 101 is attached to the object to protect the lower layer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and serves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opening check tape. The release agent layer 102 is partially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film 101, and is weakly coupled with the identification layer 103 so that a visual change is caused to the identification layer 103 when the tearing tape is removed. have. The identification layer 103 is formed entirely on the lower surfaces of the support film 101 and the release agent layer 102 and has a constant color or shade so that a visual change is observed when the sticker is peeled of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04 is formed entirely on the lower surface of the identification layer 103, and has adhesiveness to enable adhesion to the adherend surface.

도 1b는 본 발명의 개봉 확인용 테이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개봉 확인용 테이프는 지지필름(101), 이형제층(102) 및 안료가 포함된 점착제층(105)을 포함한다. 이때, 안료가 포함된 점착제층(105)은 피착면과의 접착성을 부여하는 기능과 스티커의 사용 여부를 관찰할 수 있는 식별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층이다. 안료는 일정한 색을 가지는 고체 안료이거나 액체 잉크일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안료라 부르지 않는 물질이라도 시각적으로 그 존재의 유무를 판단하는 것이 가능한 물질이라면 어떠한 물질이라도 사용이 가능하다.Fig. 1B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tear-proof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B, the opening confirming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film 101, a release agent layer 102, and an adhesive layer 105 including a pigment. At this tim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05 containing the pigment is a layer that simultaneously performs the function of giving adhesion to the adhered surface and the identification function to observe the use of the sticker. The pigment may be a solid pigment or a liquid ink having a constant color, and any material may be used as long as it is a material that is not usually called a pigment and can visually determine the presence or absence thereof.

본 발명의 개봉 확인용 테이프를 이루는 식별층이나 안료가 혼합된 점착제층은 홀로그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홀로그램은 일정한 형상이 인쇄된 복수 개의 층을 적층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시야각에 따라 다른 형상이 관찰되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홀로그램이 포함된 개봉 확인용 테이프는 위변조가 어려워 개봉 확인용 테이프의 보안 기능을 이중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개봉 확인용 테 이프를 이루는 식별층이나 안료가 혼합된 점착제층은 자외선에 발광하거나 온도에 따라 색이 변하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술을 이용하면 개봉 확인용 테이프를 떼었는지 여부를 비밀리에 확인할 수 있다.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mixed with the identification layer or the pigment forming the tear-proof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de of a hologram. The hologram is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layers printed with a certain shape, and the shape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Therefore, the opening confirmation tape containing the hologram is difficult to forgery, it is possible to double the security function of the opening confirmation tape. In additio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mixed with the identification layer or the pigment constituting the opening confirming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de of a material that emits ultraviolet light or changes color depending on temperature. Using this technique, you can secretly check whether the tear-off tape has been removed.

도면에 표시하지는 않았지만, 개봉 확인용 테이프는 점착층의 하부면에 이형박리지가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이형박리지는 점착층의 접착성을 유지하며 보관이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사용 시 점착층과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점착층과의 접착력이 매우 약하도록 구성되어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release check tape may have a release release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adhesive layer. Release release paper serves to maintain the adhesiveness of the adhesive layer and to allow storage, and is configured to have a very weak adhesive force with the adhesive layer to facilitate separation from the adhesive layer when in use.

도 2는 본 발명의 개봉 확인용 테이프를 피착물에서 떼어낸 후의 단면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이형제층(202)이 형성되어 있는 영역은 지지필름(201) 및 이형제층(202)만으로 단면이 이루어져 있고, 이형제층(202)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은 지지필름(201), 제 1식별층(203a), 점착제층(204) 및 제 2식별층(203b)으로 단면이 이루어져 있다. 식별층(203a, 203b)은 일정한 색이나 음영을 이루고 있으므로 피착물에서 한 번 떼어진 개봉 확인용 테이프는 그 흔적을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이형제층(202)이 형성되어 있는 영역은 이형제층(202)의 하부에 식별층이 제거된 상태이므로 개봉 확인용 테이프는 떼어내기 전의 색이나 음영과 다른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변화는 개봉 확인용 테이프의 앞면이나 뒷면 모두에서 관찰이 가능하다. 도면에서는 이형제층(202)의 하부면에서 식별층과 점착제층이 완전히 제거되도록 도시하였지만, 이형제층(202)의 하부면에는 일부의 식별층과 점착제층이 남아 있을 수도 있다. 다만 이렇게 일부 남아 있는 식별층과 점착제층은 개봉 확인용 테이프의 사용여부를 식별하는데 실질적으로 지장을 주지 아니 한다. 이형제층(202)이 형성되어 있지 아니한 영역의 점착제층(204)은 인접한 영역의 점착제층이 전이되어 그 두께 또는 양이 증가되어 있고, 그 하부면에는 인접한 영역에서 전이된 제 2식별층(203b)이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서는 점착제층(204)과 제 2식별층(203b)이 각각 상부와 하부로 층을 이루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점착제층과 제 2식별층은 층을 이루지 아니하고 일정한 형상없이 엉겨 있는 상태로 존재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식별층과 점착제층을 별도로 구비하는 개봉 확인용 테이프에 대한 내용만을 기술하였지만, 별도의 식별층 없이 안료가 혼합된 점착제층을 사용한 경우에도 유사한 단면이 관찰될 것이다. 즉, 이형제층이 형성되어 있는 영역은 지지필름 및 이형제층만으로 단면이 이루어질 것이고, 이형제층이 형성되어 있지 아니한 영역은 지지필름 및 점착제층으로 단면이 이루어질 것이다. 본 발명의 개봉 확인용 테이프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 전의 상태와 피착물에서 한 번 떼어낸 후의 상태가 변화되므로 스티커를 떼어낸 이력을 확인할 수 있다. 2 shows a cross-sectional state after the tearing-off confirmation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moved from the adherend. Referring to FIG. 2, an area in which the release agent layer 202 is formed is formed in a cross section only by the support film 201 and the release agent layer 202, and an area in which the release agent layer 202 is not formed is in the support film 201. ), The first identification layer 203a,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204, and the second identification layer 203b. Since the identification layers 203a and 203b have a constant color or shade, the tear-opening confirmation tape once removed from the adherend has a trace. Specifically, the region in which the release agent layer 202 is formed is in a state in which the identification layer is removed under the release agent layer 202, so that the opening confirming tape maintains a state different from the color or shadow before peeling off. These changes can be observed on either the front or the back of the tear-off tape. In the drawing, the identification layer and the adhesive layer are completely remove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release agent layer 202, but some identification layer and the adhesive layer may remain on the lower surface of the release agent layer 202. However, some of the remaining identification layer a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does not substantially interfere with the use of the tape for checking the opening.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204 of the region where the release agent layer 202 is not formed, the thickness or the amount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f the adjacent region is transferred,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202 is transferred. ) Is formed. Althoug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204 and the second identification layer 203b are shown as forming a layer on the top and bottom, respectively,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the second identification layer may be present in a tangled state without forming a layer. . In the above, only the contents of the tape for confirming the opening separately provided with the identification layer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re described, but similar cross-sections will be observed even whe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mixed with the pigment is used without a separate identification layer. That is, the area in which the release agent layer is formed will be made of the cross section only with the support film and the release agent layer, and the area in which the release agent layer is not formed will be made with the support film and the adhesive layer. As described above, the tear-opening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heck the history of peeling off the sticker since the state before use and the state after peeling off from the adherend are changed.

도 3a 내지 도 3f는 본 발명의 개봉 확인용 테이프가 피착면에서 떼어질 때 일어나는 단면 구조의 변화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지지필름(301), 이형제층(302a, 302b), 식별층(303) 및 점착제층(304)을 포함하는 개봉 확인용 테이프가 피착물(305)에 부착되어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개봉 확인용 테이프의 한쪽 끝단을 떼어내면 이형제층(302a)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에서는 점착제층(304)과 피착물(305)이 분리되다가, 이형제층(302a)이 존재하는 영역에서는 이형제층(302a)과 식별층(303)이 분리되기 시작한다. 이러한 현상은 이형제층(302a)과 식별층(303)의 결합력이 점착제층(304)과 피착물(305)의 결합력보다 약하기 때문이다. 도 3c를 참조하면, 개봉 확인용 테이프의 떼어진 면적이 늘어남에 따라 스티커가 떼어진 부분에서 이형제층(302a)과 식별층(303)이 완전히 분리된다. 이때, 점착제층(304)도 서서히 피착물(305)에서 분리되기 시작하는데, 그 과정에서 식별층(303)과 점착제층(304)은 탄성을 가지고 늘어나며 두께가 얇아진다. 상기에서 이형제층(302a)과 식별층(303)이 완전히 분리된다는 의미는 이형제층(302a)의 하부면에 식별층(303)이 전혀 남아 있지 않은 상태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스티커가 떼어지는 방향으로 이형제층(302a)의 모든 하부면에서 식별층(303)간의 결합이 파괴되는 것을 의미한다. 도 3d를 참조하면, 개봉 확인용 테이프의 떼어진 면적이 더 늘어나면 두께가 얇아진 식별층(303)과 점착제층(304)이 끊어진다. 이때 끊어지는 식별층(303)과 점착제층(304)의 부위는 개봉 확인용 테이프를 떼어내기 시작한 부분에 가까운 부분이 되고, 나머지 부분은 다시 탄성을 지닌 상태로 늘어난다. 도 3e를 참조하면, 개봉 확인용 테이프의 떼어진 면적이 더 늘어나면 끊어진 점착제층(304)이 피착물(305)에서 분리되며 인접한 영역으로 전이된다. 이러한 현상은 점착제층(304)이 탄성을 가지고 늘어난 상태에서 갑자기 피착물(305)에서 분리되므로, 탄성력에 의하여 인접한 영역으로 이동하여 달라붙게 되는 것이다. 도 3f를 참조하면, 피착물에서 완전히 떼어진 개봉 확인용 테이프는 이형제층(302a, 302b, 302c)의 하부에 식별층이나 점착제층이 남아 있지 않고, 이형제층(302a, 302b, 302c)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의 하부에는 인접한 영역에서 식별층(303)과 점착제층(304)이 전이되어 있다. 상기에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 개봉 확인용 테이프의 단면 변화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어느 정도 도식화 시킨 것이다. 즉, 실제로 떼 어진 개봉 확인용 테이프의 이형제층의 하부면에는 일부 식별층이 남아 있을 수 있고, 끊어진 식별층과 이형제층은 인접한 영역으로 전이가 일어나지 않고 늘어진 상태로 붙어 있을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라도 떼어진 개봉 확인용 테이프에서 변화된 식별층을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면 개봉 확인용 테이프의 기능에는 이상이 없다. 별도의 식별층 없이 안료가 혼합된 점착제층을 사용한 경우에도 상기에서 설명한 원리에 의하여 동일하게 점착제층의 전이 현상이 발생하므로 추가적인 설명은 생략한다.3A to 3F show changes in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that occurs when the tear-off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ached from the adhered surface. Referring to FIG. 3A, an opening confirmation tape including a support film 301, release agent layers 302a and 302b, an identification layer 303, and an adhesive layer 304 is attached to the adherend 305. Referring to FIG. 3B, when one end of the tear-opening tape is remove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304 and the adherend 305 are separated in a region where the release agent layer 302a is not formed, whereby the release agent layer 302a is present. In the region, the release agent layer 302a and the identification layer 303 start to separate. This phenomenon is because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release agent layer 302a and the identification layer 303 is weaker than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adhesive layer 304 and the adherend 305. Referring to FIG. 3C, the release agent layer 302a and the identification layer 303 are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peeled off portion of the sticker as the peeling area of the opening confirming tape increases. At this tim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304 also gradually begins to separate from the adherend 305, and in the process, the identification layer 303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304 are stretched with elasticity and become thin. In the above, the fact that the release agent layer 302a and the identification layer 303 are completely separated does not mean that the identification layer 303 does not remain on the lower surface of the release agent layer 302a. This means that the bonding between the identification layers 303 is broken on all lower surfaces of the release agent layer 302a. Referring to FIG. 3D, when the peeled area of the opening confirming tape is further extended, the identification layer 303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304, which have become thin, are broken. At this time, the part of the identification layer 303 and the adhesive layer 304 which are broken become a part close to the part which started peeling off the opening confirmation tape, and the remainder part expands again with elasticity. Referring to FIG. 3E, when the peeled area of the tear-opening tape is further increased, the broken adhesive layer 304 is separated from the adherend 305 and transferred to an adjacent region. This phenomenon is becaus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304 is suddenly separated from the adherend 305 in a stretched state with elasticity, so that the adhesive layer 304 is moved to and adhered to an adjacent region by the elastic force. Referring to FIG. 3F, in the open-confirmation tape completely removed from the adherend, no identification layer or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remains under the release agent layers 302a, 302b, and 302c, and the release agent layers 302a, 302b, and 302c are formed. The identification layer 303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304 are transferr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non-region that is not in the region. The cross-sectional change of the opening confirming tap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s schematically illustrated to some extent for the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at is, some identification layers may remain on the lower surface of the release agent layer of the tear-opening confirming tape that is actually peeled off, and the broken identification layer and the release agent layer may be attached in a stretched state without a transition to an adjacent region. However, even in such a case, if the identification layer that has been changed in the tearing-opening confirmation tape can be visually recognized, there is no problem in the function of the tearing-opening confirmation tape. Even whe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mixed with the pigment is used without a separate identification layer, further description is omitted because the same phenomenon occurs due to the above-described principle.

본 발명의 개봉 확인용 테이프는 각 층간의 결합력의 조절이 중요하다. 이형제층과 식별층간의 결합력은 점착제층과 피착면간의 결합력보다 약해야 한다. 이형제층과 식별층간의 결합력이 점착제층과 피착면간의 결합력보다 크면, 개봉 확인용 테이프를 떼어낼 때 이형제층과 식별층이 분리될 수 없으므로 식별층에 변화가 생길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이형제층과 식별층간의 결합력은 지지필름과 이형제층간의 결합력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형제층과 식별층간의 결합력이 지지필름과 이형제층간의 결합력보다 크면, 개봉 확인용 테이프를 떼어낼 때 지지필름과 이형제층이 먼저 분리되어 식별층과 점착제층이 인접한 영역으로 전이되기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점착제층과 피착면간의 결합력은 지지필름과 이형제층간의 결합력, 지지필름과 식별층간의 결합력 및 식별층과 점착제층간의 결합력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지 않으면 점착제를 포함한 이물질이 피착면에 남을 수 있기 때문이다.In the tape for confirming open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mportant to control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layers.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release agent layer and the identification layer should be weaker than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adhesive layer and the adhered surface. If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release agent layer and the identification layer is greater than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the adhered surface, the release layer and the identification layer cannot be separated when the tearing-opening confirmation tape is peeled off, so that no change can occur in the identification layer. In addition,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release agent layer and the identification layer is preferably smaller than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support film and the release agent layer. If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release agent layer and the identification layer is greater than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support film and the release agent layer, it is because the support film and the release agent layer are separated first and the identification layer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re difficult to transfer to the adjacent area when the tearing-opening confirmation tape is peeled off. . In addition,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adhesive layer and the adhered surface is preferably smaller than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support film and the release agent layer,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support film and the identification layer and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identification layer and the adhesive layer. Otherwise, foreign matters including the adhesive may remain on the adhered surface.

상기에서 설명한 층간의 결합력 관계는 각 층을 이루는 물질의 조성이나 특 별한 표면처리 기술 등으로 만족시킬 수 있다. The bonding force relationship between the layers described above can be satisfied by the composition of the material constituting each layer or by a special surface treatment technique.

이어서, 본 발명의 개봉 확인용 테이프에 포함되는 각 층의 물질에 대하여 설명한다. 개봉 확인용 테이프의 지지필름은 스티커에 일정한 인장강도를 부여하고 하부층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므로 다양한 재질의 고분자 필름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지지필름은 하부의 식별층의 변화를 관찰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개봉 확인용 테이프를 이루는 지지필름은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도록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스타이렌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필름의 하부면은 이형제층 및 식별층과의 결합력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표면처리될 수 있다. 표면처리는 코로나 처리와 같이 플라즈마 방전에 의하여 지지필름 하부면의 거칠기(roughness)를 증가시키거나 친수성 기능기를 도입함으로써 결합력을 강화시키는 방법을 이용하거나, 별도의 프라이머층을 형성하여 결합력을 강화시키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Next, the substance of each layer contained in the opening confirmation tape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Since the support film of the opening check tape provides a constant tensile strength to the sticker and protects the lower layer, polymer films of various materials may be used. In addition, the support film is preferably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change in the identification layer of the lower can be observed. The support film constituting the opening confirming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de of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ethylene, polypropylene, polyvinyl chloride, polyethylene naphthalat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carbonate and polystyrene to satisfy these conditions.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film may be surface treated to enhance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release agent layer and the identification layer. Surface treatment is a method of increasing the cohesion by increasing the roughnes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film or by introducing a hydrophilic functional group, such as corona treatment, or by forming a separate primer layer to enhance the cohesion Can be used.

이형제층은 식별층과 결합력이 높지 않은 재료로 선택되어야 하는데, 셀룰로오스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비닐계 수지, 파라핀계 수지 및 수용성 수지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형제층은 식별층을 이루는 물질의 성질에 따라 아크릴계 에멀전과 같은 수용성 수지를 물에 혼합하여 인쇄하거나, 유기용매에 녹는 수지를 그라비아 인쇄할 수도 있다. 상기 수용성 수지, 유기용매에 녹는 수지, 물 및 유기용매의 조합은 식별층과의 결합력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다. The release agent layer should be selected as a material having high bonding strength with the identification layer, and may be made of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ellulose resins, acrylic resins, vinyl resins, paraffin resins, and water-soluble resins. The release agent layer may be printed by mixing a water-soluble resin such as an acrylic emulsion in water or printing a gravure resin in an organic solvent, depending on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forming the identification layer. The combination of the water-soluble resin, the resin soluble in the organic solvent, water and the organic solvent may be adjusted in various ways in consideration of the bonding strength with the identification layer.

식별층은 금속을 진공증착하여 형성할 수도 있고, 안료가 포함된 수지층을 도포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금속을 진공증착하여 식별층을 형성하는 경우 공정압력이나 증착속도 등을 조절하여 증착되는 면과의 결합력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때 지지필름과의 결합력은 높고 이형제층과의 결합력은 약하게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조절은 지지필름의 하부면이 표면처리된 경우에는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안료가 포함된 수지층으로 식별층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식별층의 재료와 결합력이 작은 수지를 선택하여 식별층과의 결합력을 조절할 수 있다. 수지층에 포함되는 안료는 온도에 따라 색이 변하거나 자외선에 발광하는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식별층이 홀로그램의 기능을 하도록 복수개의 무늬를 가진 복수개의 층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The identification layer may be formed by vacuum depositing a metal, or may be formed by applying a resin layer containing a pigment. When forming the identification layer by vacuum-depositing the metal,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bonding strength with the surface to be deposited by adjusting the process pressure or the deposition rate, etc. At this time, the bonding strength with the supporting film is high and the bonding strength with the release agent layer is important. Do. Such adjustment can be made more easily when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film is surface-treated. When the identification layer is formed of the resin layer containing the pigment, a resin having a small bonding strength with the material of the identification layer may be selected to adjust the bonding strength with the identification layer. The pigment included in the resin layer may be made of a material that changes color with temperature or emits light in ultraviolet rays. It is also possible to form a plurality of layers having a plurality of patterns so that the identification layer functions as a hologram.

점착제층은 피착물의 표면 성질에 따라 다양한 조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점착제층은 피착물과의 적절한 결합력을 가져야 하고, 동시에 보안 테이프가 피착물에서 떨어질 때 일정한 탄성을 가지고 신장되다가 끊어질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물성은 점착제층을 이루는 물질들의 종류나 혼합비에 의하여 결정된다. 본 발명에서 점착제층은 엘라스토머(elastomer)와 점착부여제(tackfier)를 포함한다. 엘라스토머는 천연고무,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styrene butadiene rubber), 폴리이소부틸렌(polyisobutylene)과 같은 고무이거나, 아크릴계 공중합체이거나,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점착부여제는 검 로진(gum rosin), 우드 로진(wood rosin) 또는 톨 로진(tall rosin)와 같은 로진계 점착부여제이거나, 지방족계, 방향족계 또는 공중합체와 같은 석유계 점착부여제일 수 있다. 로진계 점착 부여제는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수소화 반응을 통해 변성시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점착제층은 엘라스토머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 내지 25중량부의 점착부여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부여제가 1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면 보안 테이프와 피착물간의 결합력이 지나치게 약하므로 이형제층과 식별층의 분리가 일어나기 어렵고, 25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점착제층의 점도가 너무 낮아 보안 테이프의 보관이 어렵다. 또한 엘라스토머는 고무와 아크릴계 공중합체가 10:90 내지 90:10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엘라스토머에 고무가 10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면 점착제층의 탄성이 부족하여 보안 테이프를 떼어낼 때 점착제층의 신장이 일어나기 어렵고, 90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점착제층이 끊어져 전이되는 것이 어렵다. 따라서 엘라스토머는 고무와 아크릴계 공중합체가 30:70 내지 70:30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식별층과 점착제층을 별도로 형성하는 대신 안료가 혼합된 점착제층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점착제의 조성에 일정 성분의 안료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안료의 혼합비에 따라 결합력과 탄성도가 변화되는 것을 고려하여 조성비의 조절이 필요할 수 있다.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may be made of various compositions depending on the surface properties of the adhere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should have a proper bonding force with the adherend, and at the same time it should be able to stretch and break with a certain elasticity when the security tape falls off the adherend. Such physical properties are determined by the type or mixing ratio of the materials form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ncludes an elastomer and an tackfier. The elastomer may be a rubber such as natural rubber, styrene butadiene rubber, polyisobutylene, an acrylic copolymer, or a mixture thereof. The tackifier may be a rosin-based tackifier such as gum rosin, wood rosin or tall rosin, or may be a petroleum-based tackifier such as aliphatic, aromatic or copolymer. . The rosin-based tackifier is preferably used after being modified through a hydrogenation reaction in order to increase stabilit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preferably contains 1 to 25 parts by weight of a tackifier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elastomer. If the tackifier is included in less than 1 part by weight,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security tape and the adherend is too weak to separate the release agent layer and the identification layer, and if it exceeds 25 parts by weight, the viscosity of the adhesive layer is too low to store the security tape. This is difficult. In addition, the elastomer is preferably a mixture of a rubber and an acrylic copolymer in a weight ratio of 10:90 to 90:10. When the rubber is contained in the elastomer less than 10% by weight, the elasticity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insufficient, the extension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difficult to occur when peeling off the security tape, if it exceeds 90% by weight,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difficult to be broken and transferred. Therefore, the elastomer is more preferably formed by mixing the rubber and the acrylic copolymer in a weight ratio of 30:70 to 70:30. Instead of separately forming the identification layer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when us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mixed with the pigment, a pigment of a certain component may be mixed and used in the composition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described above. In this case, it may be necessary to adjust the composition ratio in consideration of the change in bonding strength and elasticity according to the mixing ratio of the pigment.

이형박리지는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과 같이 범용적인 고분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이형박리지는 개봉 확인 테이프의 분리가 쉽도록 종이에 상기 고분자 필름을 코팅한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외에도 이 분야에 공지된 다양한 재질과 형태의 것들이 될 수 있다.Release release paper may be made of a general purpose polymer such as polyethylene or polypropylene. In addition, the release release paper may be made of a coating of the polymer film on paper to facilitate the separation of the opening confirmation tape, in addition to those of various materials and forms known in the art.

본 발명의 개봉 확인용 테이프를 제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지지필 름의 하부면에 일정한 패턴을 가진 이형제층을 형성한다. 이때, 선택적으로 지지필름의 하부면에 코로나 처리를 하거나 프라이머 층을 코팅하어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형제층의 형성은 그라비아 인쇄와 같은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어서, 이형제층이 형성된 지지필름의 하부면에 식별층을 형성한다. 식별층의 형성은 금속을 진공증착하거나 안료가 혼합된 수지층을 전면 인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마지막으로 식별층의 하부면에 점착제층을 도포한다. 점착제층의 도포는 아크릴계 모노머와 점착력 조절제를 초산에틸, 톨루엔, 메틸에틸케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에 녹이고, 이를 중합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안료가 혼합된 점착제층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식별층의 형성 단계가 생략될 것이다.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opening confirmation tape of this invention is as follows. First, a release agent layer having a predetermined pattern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film. At this time, optionally the corona treatment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film or by coating a primer layer can improve the adhesion. The release agent layer may be formed by various methods such as gravure printing. Subsequently, an identification layer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ing film on which the release agent layer is formed. The identification layer may be formed by vacuum-depositing a metal or printing the resin layer on which the pigment is mixed. Finally, an adhesive layer is appli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identification layer. Application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may be achieved by dissolving an acrylic monomer and an adhesive force control agent in ethyl acetate, toluene, methyl ethyl ketone or a mixed solvent thereof and polymerizing it. In this case, when us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mixed with the pigment, the step of forming the identification layer will be omitted.

이하에서 실시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using examples.

실시예Example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지지필름의 상부면을 코로나 처리하고, 그 위에 아크릴계 에멀전과 물이 9:1의 중량비로 혼합된 수지용액으로‘VOID'라는 글씨를 연속적으로 인쇄하였다. 이어서, 글씨가 인쇄된 지지필름의 위에 알루미늄을 스퍼터링 증착방법으로 전면 증착하였다. 스퍼터링 증착은 DC 마그네트론 스퍼터링 증착기에서 방전기체로 Ar를 20sccm 주입하고, 기판(지지필름)의 가열 없이 3분간 진행하였다. 이어서, 증착된 알루미늄 층을 다시 코로나 처리하고, 그 위에 점착제를 도포하였다. 점착제는 부틸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 공중합체(몰비=97:3, TOYO Ink manufacturing Co. Ltd)와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를 6:4의 중량비로 포함한 엘라스 토머 90중량%와, 점착부여제(Estergum AAG) 10중량%를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부틸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 공중합체는 에틸아세테이트와 톨루엔의 혼합용액(중량비=2:1)에 85:15의 중량비로 용해시켜 사용하였고, 점착부여제는 에틸아세테이트에 5:5의 중량비로 용해시켜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점착제까지 도포된 지지필름을 5cm×11cm 크기로 절단하여 개봉 확인용 테이프를 제조하였다.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film made of polyethylene was treated with corona, and the letters 'VOID' were continuously printed on the resin solution in which the acrylic emulsion and water were mixed in a weight ratio of 9: 1. Subsequently, aluminum was deposit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supporting film on which letters were printed by a sputtering deposition method. Sputtering deposition was performed by injecting 20 sccm of Ar into the discharge gas in the DC magnetron sputtering deposition machine, and proceeded for 3 minutes without heating the substrate (support film). The deposited aluminum layer was then corona treated again and an adhesive applied thereon.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includes 90% by weight of elastomers containing butyl acrylate / acrylic acid copolymer (molar ratio = 97: 3, TOYO Ink manufacturing Co. Ltd) and styrene butadiene rubber in a weight ratio of 6: 4, and tackifier (Estergum AAG) 10 weight% was used in mixture. The butyl acrylate / acrylic acid copolymer was used by dissolving in a mixed solution of ethyl acetate and toluene (weight ratio = 2: 1) in a weight ratio of 85:15, and the tackifier was dissolved in a weight ratio of 5: 5 in ethyl acetate. It was. Finally, the support film applied to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was cut to a size of 5cm x 11cm to prepare a tape for opening confirmation.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개봉 확인용 테이프를 아크릴 판 위에 부착시키고, 1분이 경과한 뒤에 테이프의 끝단부터 손으로 떼어내었다. 폴리에틸렌 판 위에 부착된 테이프와 떼어낸 테이프의 외관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비교하였다.The opening confirmation tape was affixed on the acrylic plate, and after 1 minute had elapsed, the tape was removed by hand from the end of the tape. The appearance of the tape attached to the polyethylene plate and the peeled off tape was visually observed and compared.

도 4a는 아크릴 판 위에 부착된 개봉 확인용 테이프의 윗면에 대한 사진이고, 도 4b는 개봉 확인용 테이프를 떼어내는 과정에 대한 사진이며, 도 4c 및 도 4d는 각각 떼어진 부분의 앞, 뒷면에 대한 사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아크릴 판 위에 부착된 개봉 확인용 테이프는 전면이 금속색을 띠고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개봉 확인용 테이프를 떼어내는 과정에서 아크릴 판 위에 점착액이 전혀 남아 있지 않는다. 도 4c 및 도 4d를 참조하면, 개봉 확인용 테이프의 떼어진 면은 앞, 뒷면에서 'VOID'라는 글씨가 쓰여진 부분이 투명하게 변하여 주변의 금속색과 차이를 보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개봉 확인용 테이프는 대상물에 부착되었다가 떼어지게 되면 이형제층의 패턴을 따라 육안으로 식별이 가능하도록 테이프의 외관이 변 하므로 보안기능을 할 수 있다.Figure 4a is a photograph of the top of the tear-opening tape attached to the acrylic plate, Figure 4b is a photograph of the process of removing the tear-opening tape, Figures 4c and 4d are respectively the front and back of the peeled portion For the picture. Referring to FIG. 4A, the opening confirming tape attached to the acrylic plate has a metallic color on its front surface. Referring to FIG. 4B, the adhesive liquid does not remain at all on the acrylic plate in the process of removing the opening confirming tape. 4C and 4D, the peeled surface of the opening checking tape showed a difference in the color of the surrounding metal due to the transparent portion of the word 'VOID' written on the front and back. As described above, the tape for confirming open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an object and then detached, so that the tape may be visually identified along the pattern of the release agent layer.

본 발명이 실시예를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modifications to the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도 1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개봉 확인용 테이프의 일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1A and 2B illustrate one cross section of an opening confirming tap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개봉 확인용 테이프를 피착물에서 떼어낸 후의 단면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2 shows a cross-sectional state after the tearing-off confirmation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moved from the adherend.

도 3a 내지 도 3f는 본 발명의 개봉 확인용 테이프가 피착면에서 떼어질 때 일어나는 단면 구조의 변화를 도시한 것이다.3A to 3F show changes in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that occurs when the tear-off ta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ached from the adhered surface.

도 4a는 폴리에틸렌 판 위에 부착된 개봉 확인용 테이프의 윗면에 대한 사진이고, 도 4b는 개봉 확인용 테이프를 떼어내는 과정에 대한 사진이며, 도 4c 및 도 4d는 각각 떼어진 부분의 앞, 뒤면에 대한 사진이다.Figure 4a is a photograph of the top of the tear-opening tape attached to the polyethylene plate, Figure 4b is a photograph of the process of removing the tear-opening tape, Figures 4c and 4d are respectively the front and back of the peeled portion For the picture.

Claims (15)

피착물에 부착하여 개봉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개봉 확인용 테이프에 있어서,In the opening confirmation tape that can be attached to the adherend to confirm the opening, 상기 개봉 확인용 테이프는 지지필름, 상기 지지필름의 하부면에 부분적으로 형성된 이형제층, 상기 지지필름과 이형제층의 하부면에 형성된 식별층 및 상기 식별층의 하부면에 형성된 점착제층을 포함하고, The opening checking tape includes a support film, a release agent layer partially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film, an identification layer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film and the release agent layer, and an adhesive layer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dentification layer, 개봉 확인용 테이프를 피착면에서 떼어낼 때, 이형체층의 하부면에 형성된 식별층과 점착제층이 이형제층의 하부면으로부터 분리되어 이형제층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으로 전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 확인용 테이프.When the tearing-off confirmation tape is peeled off from the adhered surface, the tearing-off layer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old release layer are separate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release agent layer and transferred to a region where no release agent layer is formed. tap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식별층과 점착제층의 전이는,The transition of the identification layer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식별층과 점착제층이 이형제층 및 피착면에서 분리되면서 끊어진 후 탄성에 의하여 상기 이형제층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으로 이동하여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 확인용 테이프.And the identification layer and the adhesive layer are separated from the release agent layer and the adhered surface, and then separated and separated, thereby moving and bonding to an area where the release agent layer is not formed by elasticity.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이형제층과 식별층간의 결합력은, Cohesion between the release agent layer and the identification layer, 점착제층과 피착면간의 결합력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 확인용 테 이프.Tape for opening checking, characterized in that less than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the adhered surfac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이형제층과 식별층간의 결합력은, Cohesion between the release agent layer and the identification layer, 지지필름과 이형제층간의 결합력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 확인용 테이프.Opening check tape, characterized in that less than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support film and the release agent layer.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점착제층과 피착면간의 결합력은,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the adhered surface, 지지필름과 이형제층간의 결합력, 지지필름과 식별층간의 결합력 및 식별층과 점착제층간의 결합력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 확인용 테이프.Opening check tape, characterized in that less than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support film and the release agent layer,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support film and the identification layer and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identification layer and the adhesive layer.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지지필름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스타이렌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 확인용 테이프.The support film is an opening confirmation tape,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ethylene, polypropylene, polyvinyl chloride, polyethylene naphthalat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carbonate and polystyren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이형제층은 셀룰로오스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비닐계 수지, 파라핀계 수지 및 수용성 수지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 확인용 테이프.The release agent layer is a tear tape for opening,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ellulose resin, acrylic resin, vinyl resin, paraffin resin and water-soluble resin.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점착제층은 엘라스토머와 점착부여제를 포함하고, 상기 점착부여제의 조성비는 엘라스토머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1 내지 25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 확인용 테이프.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ncludes an elastomer and a tackifier, and the composition ratio of the tackifier is 1 to 2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elastomer. 제 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엘라스토머는 고무, 아크릴계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 확인용 테이프.The elastomer is an opening confirmation tape, characterized in that the rubber, acrylic copolymer or a mixture thereof. 제 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엘라스토머는 고무와 아크릴계 공중합체가 10:90 내지 90:10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 확인용 테이프.The elastomer is an opening confirmation tape, characterized in that the rubber and the acrylic copolymer is mixed in a weight ratio of 10:90 to 90:10.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식별층은 안료가 포함된 수지층이거나 금속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 확인용 테이프.The identification layer is an opening confirmation tap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sin layer or a metal layer containing a pigment. 제 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안료는 자외선에 의하여 발광하거나, 온도에 의하여 색이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 확인용 테이프.The pigment for opening confirmation tape, characterized in that the pigment emits light by ultraviolet rays, or the color is changed by temperatur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식별층은 홀로그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 확인용 테이프.The identification layer is a tearing check tap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hologram. 피착물에 부착하여 개봉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개봉 확인용 테이프에 있어서,In the opening confirmation tape that can be attached to the adherend to confirm the opening, 상기 개봉 확인용 테이프는 지지필름, 상기 지지필름의 하부면에 부분적으로 형성된 이형제층, 상기 지지필름과 이형제층의 하부면에 형성되고 안료가 혼합된 점착제층을 포함하고, The opening checking tape includes a support film, a release agent layer partially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film, an adhesive layer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film and the release agent layer and mixed with a pigment. 개봉 확인용 테이프를 피착면에서 떼어낼 때, 이형체층의 하부면에 형성된 점착제층이 이형제층의 하부면으로부터 분리되어 이형제층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으로 전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 확인용 테이프.And when the tearing-off confirmation tape is peeled off from the adhered surfac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old release layer is separate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release agent layer and transferred to a region where the release agent layer is not formed. 제 14항에 있어서,15. 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점착제층의 전이는,The transition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점착제층이 이형제층 및 피착면에서 분리되면서 끊어진 후 탄성에 의하여 상 기 이형제층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으로 이동하여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 확인용 테이프.Opening check tape,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separated from the release layer and the adhered surface is broken and then moved to the area where the release layer is not formed by the elastic bond.
KR1020090016369A 2008-12-08 2009-02-26 Tape for identification of unsealing KR101074339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16233 2008-12-08
KR2020080016233 2008-12-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6260A true KR20100066260A (en) 2010-06-17
KR101074339B1 KR101074339B1 (en) 2011-10-18

Family

ID=42365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6369A KR101074339B1 (en) 2008-12-08 2009-02-26 Tape for identification of unseal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4339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7844A (en) 2015-03-05 2016-09-19 (주)태백보안컨설팅 Security Tape
KR102019603B1 (en) * 2018-06-14 2019-09-06 한국전력공사 Locking apparatus and method for electric watt hour meter
KR102142949B1 (en) * 2019-02-19 2020-08-10 성진특수잉크(주) Tamper Evident Tape and Release Layer Composition for the Tamper Evident Tap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4944Y1 (en) 2003-10-08 2004-03-11 권경점 Security tape
JP4565541B2 (en) 2003-10-31 2010-10-20 日本発條株式会社 Identification medium and article to be identified
KR100840407B1 (en) 2007-03-26 2008-06-23 권경점 Security tap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7844A (en) 2015-03-05 2016-09-19 (주)태백보안컨설팅 Security Tape
KR102019603B1 (en) * 2018-06-14 2019-09-06 한국전력공사 Locking apparatus and method for electric watt hour meter
KR102142949B1 (en) * 2019-02-19 2020-08-10 성진특수잉크(주) Tamper Evident Tape and Release Layer Composition for the Tamper Evident Tap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4339B1 (en) 2011-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17438B (en) Surface protection film and optical film with surface protection film
JPH07196995A (en) Tape for opening and revelation
JP2006099051A (en) Laminate for preventing resticking
KR101074339B1 (en) Tape for identification of unsealing
KR20150092919A (en) Tape for protecting reattachment
JP6858680B2 (en) Adhesive film
TWI714879B (en) Brittle acrylic films and forgery prevention labels comprising the same
JP4301800B2 (en) Anti-tamper material
JP5052047B2 (en) Polyester bottle with tack label
KR102055205B1 (en) Security Sticker
JP2002072889A (en) Resticking and illicit use preventive label
JP3907258B2 (en) Double-sided adhesive sheet
JP5396007B2 (en) Tamper-proof adhesive label
JP2002040946A (en) Label which prevents re-sticking and illegal use
JP4137930B2 (en) Method for sticking laminated adhesiv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200344944Y1 (en) Security tape
JP4684441B2 (en) Adhesive label
JPH0713013Y2 (en) Anti-counterfeit seal
JP2019172938A (en) Manufacturing method of pressure sensitive adhesive sheet
JP4155475B2 (en) Non-reusable adhesive label
TWM574611U (en) Anti-counterfeiting tape structure
JP2006301236A (en) Seal label
JP2007055208A (en) Concealing sheet and concealing postcard
JP2007217040A (en) Envelope containing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ve sheet
JP2017155140A (en) Double-sided adhesive she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