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6181A - 배전선로 감시 장치 - Google Patents

배전선로 감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6181A
KR20100066181A KR1020080124860A KR20080124860A KR20100066181A KR 20100066181 A KR20100066181 A KR 20100066181A KR 1020080124860 A KR1020080124860 A KR 1020080124860A KR 20080124860 A KR20080124860 A KR 20080124860A KR 20100066181 A KR20100066181 A KR 201000661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
distribution line
mobile phone
power
contact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4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28062B1 (ko
Inventor
선정규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080124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8062B1/ko
Publication of KR201000661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61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8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80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4Arrangements for tes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8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 G01R31/081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 G01R31/085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in power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lines, e.g. overhea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04M1/05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head, throat or bre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용가에 적합한 전력을 공급하는데 사용되는 배전선로 감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전선로를 통해 공급되는 상기 전력으로부터 이동전화에 적합한 직류 전원으로 충전시키기 위한 이동전화 충전장치; 상기 이동전화 충전장치의 직류 전원에 연결된 것으로 전원인가시 오픈 상태가 되는 B 접점을 갖는 릴레이; 상기 릴레이의 B접점에 연결된 이동전화를 위한 핸즈프리용 이어폰 플러그; 상기 핸즈프리용 이어폰 플러그에 결합된 이동전화를 포함하고, 상기 배전선로 정전시 상기 릴레이의 B접점이 클로즈됨으로써 상기 이동전화는 내장된 전화번호를 통화를 개시하는, 배전선로 감시장치가 제공됨으로서, 배전선로의 도난 또는 정전이 실시간으로 저렴하게 감시될 수 있다.
배전선로, 릴레이, 이동전화.

Description

배전선로 감시 장치{Apparatus for monitoring power line}
본 발명은 배전선로 감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전화를 활용한 배전선로 도난 또는 정전을 실시간으로 감시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변전소에서 수용가로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배전선로가 필요하다. 이러한 배전선로는 야외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도난범들에 의한 도난이 자주 발생한다. 이러한 도난은 경기침체나 원자재 가격상승 등의 경제적 여건에 영향으로 급증하는 경향이 있고 이러한 배전선로 도난을 예방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예방 시스템은 전무한 실정이고, 도난 발생 개소가 대부분 인적이 드문 야외지역과 취약 시간대에 발생하고 있어 인력에 의한 도난 예방에는 한계가 있다.
더구나, 배전선로의 절취가 발생할 경우 수용가로 급전이 불가능해지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는 해소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저렴하고 감시성능이 우수한 제품에 제공된다면, 이러한 문제점 해결에 매우 잇점이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발명의 목적은 저렴하고 감시성능이 우수하고 실시간으로 감시가 가능한 배전선로 절취 감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에 따라서, 수용가에 적합한 전력을 공급하는데 사용되는 배전선로 감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전선로를 통해 공급되는 상기 전력으로부터 이동전화에 적합한 직류 전원으로 충전시키기 위한 이동전화 충전장치; 상기 이동전화 충전장치의 직류 전원에 연결된 제 1 접점, 및 제 2 접점을 구비한 릴레이; 상기 릴레이의 B접점(제 2 접점)에 연결된 이동전화를 위한 핸즈프리용 이어폰 플러그; 상기 핸즈프리용 이어폰 플러그에 결합된 이동전화를 포함하고, 상기 배전선로 정전시 상기 릴레이의 B접점이 클로즈됨으로써 상기 이동전화는 내장된 전화번호를 통화를 개시하는, 배전선로 감시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릴레이는 직류 5V용 릴레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배전선로 이상시는 배전선로 절취 또는 정전에 따른 전력상실에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간단한 구성과 저렴한 부품들의 사용으로 설치가 용이하고, 중고 휴대폰을 활용할 경우, 본 발명 시점에서 개소당 5만원 정도의 저렴한 비용만이 소요되고, 확실한 도난 및 정전감지가 행해질 수 있어 효과적인 잇점이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사용하여 이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 절취 감시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절치 감시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 충전기(1), DC 5V 릴레이(2), 휴대폰(3)을 포함하고, 상기 릴레이(2)에 핸즈프리용 이어폰 플러그(4)를 통해 상기 휴대폰(3)에 연결되고, 또한 휴대폰(3)은 휴대폰 충전기(1)에 연결된다.
전원으로서 이를테면 저압으로 낮추어진 예를 들면 220V의 전원이 수용가에 전력량계(도시되지 않음)를 거쳐 공급된다. 이러한 전력량계로부터 220V의 전원은,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 충전기(1)에 공급된다. 휴대폰 충전기(1)는, 본 장치가 무인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휴대폰(3)에 연결되어 통상시에는 항시 휴대폰(3)에 동작에 대비하여 전원을 공급하여 휴대폰(3)이 동작상태에 있게 한다.
휴대폰 충전기(1)에는 또한, 이를테면 DC 5V용의 릴레이(2)가 결합된다. 이러한 릴레이(2)는 휴대폰 충전기(1)의 내부 전압변환회로에 연결될 수 있다. 릴레이(2)는 전원인가시 클로즈(close) 상태의 A 접점과, 오픈(open) 상태의 B 접점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B 접점을 핸즈프리용 이어폰 잭에 결합시켜 두고 이어폰 잭은 핸드폰(3)에 연결시킨다.
이와 같이 연결해 둔 상태에서, 절취가 없을 때는 휴대폰 충전기(1)는 충분히 휴대폰(3)에 전원을 공급하여 휴대폰이 동작할 상태에 있게 하고, 릴레이(2)의 B 접점은 노멀 오픈되어 있는 상태에 있다.
이때, 전선도난 또는 정전이 발생하였을 때 휴대폰을 통해 감시 담당자에게 곧바로 연락이 되어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전선도난 또는 정전이 발생하게 되면 220V의 상용 전원이 상실된다. 그러면 휴대폰 충전기 전원 상실에 따라 릴레이 전원이 오프 되어 릴레이의 A 접점은 오픈되고 B 접점은 클로즈 상태가 된다. 그러면 B 접점이 클로즈됨으로써, 이어폰 잭은 2개의 선이 연결된 상태가 된다. 그러면 휴대폰의 이어폰 잭에서는 통화버튼 접점이 ON(SEND)되는 결과가 되어, 이동통신사의 기지국을 통하여 최근 통화번호로 발신하게 된다. 물론 여기서 최근 통화번호는 본 장치를 설치할 때 사전에 배전선로 절취 담장자의 전화번호 통화기록을 남겨둔다.
이러한 것은 이를테면 예를 들면 최근의 LG 사이언(등록상표) 모델번호 'LG-LP8700'와 같은 핸드폰 기종에 의해 구현하였으나, 최근의 모든 휴대폰은 다 적용될 수 있다. 즉, 이러한 특정 휴대폰으로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는 이러한 유사 휴대폰을 사용하여 구현할 수도 있고, 휴대폰에 따라서는 또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휴대폰을 일부 개조할 수도 있음을 잘 알 것이다.
요약하여, 상시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는 DC 릴레이 전원이 B접점을 온 (즉, 접점 오픈)상태로 유지되지만 정전 및 전선절취 발생시에는 DC 릴레이 전원이 상실되면서 접점이 클로즈되어 이어폰 잭을 통해 휴대폰의 통화버튼 접점을 온 하게 되어 접점동작 1회에 의해 최근 발신번호로 재발신하게 되는 원리이며 발신번호의 지 정에 따라 관리자를 변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DC 릴레이 B 접점에 의해 휴대폰 핸즈프리가 동작하고 통화버튼이 눌려짐에 따라 단말기를 통해 예를 들면 가장 최근 발신번호, 즉 전선도난 담당자나 정전관리자 휴대폰으로 자동으로 발신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간단한 구성과 저렴한 부품들의 사용으로 설치가 용이하고, 중고 휴대폰을 활용할 경우, 본 발명 시점에서 개소당 5만원 정도의 저렴한 비용만이 소요되고, 확실한 도난 감지가 행해질 수 있어 효과적인 잇점이 얻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이상 감시장치의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참조부호의 설명-
1; 휴대폰 충전기
2; DC5V릴레이
3; 휴대폰
4; 핸즈프리용 이어폰 플러그

Claims (3)

  1. 수용가에 적합한 전력을 공급하는데 사용되는 배전선로 감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전선로를 통해 공급되는 상기 전력으로부터 이동전화에 적합한 직류 전원으로 충전시키기 위한 이동전화 충전장치;
    상기 이동전화 충전장치의 직류 전원에 연결된 제 1 접점, 및 제 2 접점을 구비한 릴레이;
    상기 릴레이의 제 2 접점에 연결된 이동전화를 위한 핸즈프리용 이어폰 플러그;
    상기 핸즈프리용 이어폰 플러그에 결합된 이동전화를 포함하고,
    상기 배전선로 이상시 상기 릴레이의 제 2 접점이 클로즈됨으로써 상기 이동전화는 내장된 전화번호를 통화를 개시하는, 배전선로 감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는 직류 5V용 릴레이인, 배전선로 감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전선로 이상시는 배전선로 절취 또는 정전에 따른전력상실에 대응하는, 배전선로 감시장치.
KR1020080124860A 2008-12-09 2008-12-09 배전선로 감시 장치 KR1010280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4860A KR101028062B1 (ko) 2008-12-09 2008-12-09 배전선로 감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4860A KR101028062B1 (ko) 2008-12-09 2008-12-09 배전선로 감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6181A true KR20100066181A (ko) 2010-06-17
KR101028062B1 KR101028062B1 (ko) 2011-04-08

Family

ID=42365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4860A KR101028062B1 (ko) 2008-12-09 2008-12-09 배전선로 감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80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9477B1 (ko) 2016-09-01 2016-09-23 (주)다솔엔지니어링 Ble기반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배전선로 도난감시 시스템
KR101659480B1 (ko) 2016-09-01 2016-09-23 (주)다솔엔지니어링 Ble기반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배전선로 도난감시 및 추적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0261B1 (ko) * 2002-05-08 2005-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어폰 마이크 접속부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의 전원공급장치
KR200303586Y1 (ko) * 2002-10-23 2003-02-11 치-훙 린 이동 전화를 이용한 이동식 도난방지 경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8062B1 (ko) 2011-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23465A1 (en) System, method and article for VOIP and PSTN communication
CN105788036A (zh) 一种基于3g/4g通信的无线门口机/围墙机
US6940956B1 (en) Electric outlet based power status notifica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KR101028062B1 (ko) 배전선로 감시 장치
CN106410622B (zh) 一种手机遥控智能开关柜
CA2628483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to provide fault monitoring for a network interface device
US7233660B2 (en) Method and system for extending backup battery life in primary line customer premises-equipment
CN201319628Y (zh) 具有剩余时间显示功能的手机
CN107733029A (zh) 一种智能化充电器断电控制方法
CN210428532U (zh) 一种用电客户服务终端
US6757369B1 (en) Line sharing for POTS and DSL services
CN102074945B (zh) 一种通信机柜用电涌保护装置
CN201018563Y (zh) 一种从电话线取电的装置
US7512228B2 (en)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telephone to bypass a wireline telephone service
CN201868737U (zh) 母线安装熔断器式隔离开关
CN214428572U (zh) 一种可对接线端头防护的智能重合闸漏电断路器
CN101373195B (zh) 台区停电通知器
JP2000078305A (ja) 通信システム
CN216353835U (zh) 一种自动跳闸装置
CN202196467U (zh) 水资源测控终端机的防盗水装置
KR20080005834U (ko) 정전시 자동으로 문제메시지를 송신하는 유선전화기
CN208399926U (zh) 一种消防电气控制装置
CN2325932Y (zh) 一种能无条件终止通话服务的电话线监控装置
KR20120092239A (ko) 저전력 이동통신기지국의 원격 리부팅 장치
CN2750597Y (zh) 电话热线传呼报警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