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5528A - 건물의 탈출시스템 - Google Patents

건물의 탈출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5528A
KR20100065528A KR1020080123897A KR20080123897A KR20100065528A KR 20100065528 A KR20100065528 A KR 20100065528A KR 1020080123897 A KR1020080123897 A KR 1020080123897A KR 20080123897 A KR20080123897 A KR 20080123897A KR 20100065528 A KR20100065528 A KR 201000655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building
rail
revolving door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3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봉수
Original Assignee
차봉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봉수 filed Critical 차봉수
Priority to KR1020080123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65528A/ko
Publication of KR201000655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55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2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escue cages, bag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02Belt- or chain-engaging elements
    • B65G23/04Drums, rollers, or wheels
    • B65G23/06Drums, rollers, or wheels with projections engaging abutments on belts or chains, e.g. sprocket whee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 등 재난 시 고층건물로부터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게 하는 건물의 탈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그의 구성은; 대피자가 다다를 수 있는 위치에 건물 벽체(W)를 관통하도록 마련되는 대피홀(1); 상기 대피홀(1)의 중심에 세로방향으로 설치되는 회동축(3); 상기 회동축(3) 상에 설치되는 리볼빙도어(5, revolving door); 대피자가 상기 리볼빙도어(5)에 매달려 있을 수 있도록 상기 리볼빙도어(5)의 내면에 설치되는 카(7, car); 상기 리볼빙도어(5)를 회전시켜 상기 카(7)가 선택적으로 건물 외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회동축 구동수단; 상기 카(7)를 건물 밖으로 이송시키게 하는 카이송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탈출, 건물, 고층, 안전, 대피, 구명, 화재, 재난

Description

건물의 탈출시스템{Escaping System Of Building}
본 발명은 탈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 등 재난 시 고층건물로부터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게 하는 건물의 탈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호텔, 오피스텔, 아파트 등 고층건물에서 화재, 지진 등의 재난이 발생할 경우 건물로부터 탈출할 수 있게 하는 시스템이 실로 다양한 형태로 제시되고 있다.
저렴한 비용으로 널리 제공되고 있는 것은 로프 등을 이용하여 개별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완강기가 있으나, 노약자는 물론이고 일반 성인에게도 공포심을 유발시키는 등 사용상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완강기는 수십층 이상의 고층건물에 사용하기에는 적당치 않다.
대개의 경우 탈출시스템은 저마다의 위험요소를 가지고 있으며, 사용자가 노약자인 경우까지 배려를 한 시스템의 보급은 미약한 편이다.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이 편리하고 안전하며, 수십층 이상의 고층건물에도 적용이 가능하며, 노약자 등 심신박약자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자동화된 탈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은, 대피자가 다다를 수 있는 위치에 건물 벽체를 관통하도록 마련되는 대피홀; 상기 대피홀의 중심에 세로방향으로 설치되는 회동축; 상기 회동축 상에 설치되는 리볼빙도어(revolving door); 대피자가 상기 리볼빙도어에 매달려 있을 수 있도록 상기 리볼빙도어의 내면에 설치되는 카(car); 상기 리볼빙도어를 회전시켜 상기 카가 선택적으로 건물 외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회동축 구동수단; 상기 리볼빙도어가 회전하여 상기 카가 건물의 외벽에 위치해 있을 때, 상기 카를 건물 밖으로 이송시킴으로써 상기 카에 의지하고 있는 대피자를 건물 밖으로 이동케 하는 카이송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탈출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상기 카이송수단은,
상기 리볼빙도어 내면에 제1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레일; 상기 제1레일의 연장선상에 위치하도록 건물 외벽에 설치되어 제1대피구역까지 연장되는 제2레일; 상기 리볼빙도어 내면에 상기 제1레일과 평행하게 설치되며 자체 구동되는 전동체인 형태의 제1컨베이어; 상기 제1컨베이어의 연장선상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제1대피구역까지 연장되도록 건물 외벽에 설치되며 자체 구동되는 전동체인 형태의 제2컨베 이어; 상기 제1,2레일을 따라 구름운동 될 수 있도록 상기 카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휠; 상기 제1,2컨베이어에 치합되어 상기 제1,2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것으로서 상기 카에 설치되는 랙기어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카로 하여금 상기 리볼빙도어로부터 상기 제1대피구역까지 이송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상기 카이송수단은,
상기 제1대피구역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건물의 외벽과 직각을 이루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원판; 상기 회전원판 표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회전원판의 회전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기 제2레일의 연장선상에 위치하게 되는 제3레일; 상기 회전원판 표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회전원판의 회전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기 제2컨베이어의 연장선상에 위치하게 되는 자체구동 가능한 제3컨베이어;
상기 제1대피구역에서부터 제2대피구역까지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3레일과 선택적으로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제4레일; 제1대피구역에서부터 제2대피구역까지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3컨베이어와 선택적으로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자체구동 가능한 제4컨베이어를 더 포함하되; 상기 휠과 랙기어는 베어링에 의해 상기 카에 대하여 상대적 회전이 가능하게 연결 고정되게 함으로써;
상기 카를 상기 제1대피구역으로부터 이송방향을 바꾸어 상기 제2대피구역으로 이송시킬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안전벨트, 캐빈, 캡슐 등 대피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장비를 상기 카에 탑재함으로써 상기 카의 이송에 의해 건물로부터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게 하는 건물의 탈출시스템이 제공된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건물의 탈출시스템이 구비되는 건물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리볼빙도어와 카의 개략적 사시도이며, 도 3은 리볼빙도어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대피자가 카에 몸을 실은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5는 카의 정면도이다. 도 6은 회전원판의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8은 카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컨베이어와 카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탈출시스템은 건물시공시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추천된다.
성인 1인이 통과할 수 있는 크기의 대피홀(1)이 건물 벽체(W)를 관통하도록 마련된다. 대피홀(1)은 비상시 대피자가 쉽게 다다를 수 있는 위치에 마련되어야 한다. 대피홀(1)은 사각 형태로 하는 것이 무난하다. 회동축(3)이 대피홀(1)의 중심에 세로방향으로 설치된다. 리볼빙도어(5, revolving door)가 회동축(3) 상에 설치되어 회동축(3)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대피자로 하여금 리볼빙도어(5)에 매달려 있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카(7, car)가 리볼빙도어(5)의 내면에 설치된다. 카(7)는 구명조끼처럼 대피자 개인마다 소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카(7)는 리볼빙도어(5)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다급한 상황에서도 대피자로 하여금 카(7)를 리볼빙도어(5)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술적 배려, 안내문구 또는 안전교육이 필요하다. 카(7)는 도 4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아용 안전벨트(9)와 같은 형태일 수 있다. 즉, 카는 어깨띠, 허리띠 및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설명서에서 카(7)는 안전벨트(9)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리볼빙도어(5)를 회전시켜 상기 카(7)가 선택적으로 건물 외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회동축 구동수단이 건물 벽체에 마련된다. 회동축 구동수단은 회동축구동모터(11), 전동장치, 감속장치, 제어장치를 포함하게 될 것이다. 회동축 구동수단에 신호가 인가되면, 회동축구동모터(11)가 작동하여 회동축(3)을 구동시키게 되며 따라서 리볼빙도어(5)는 앞뒷면이 뒤바뀌는 방식으로 내면이 건물 외부를 향하게 될 것이다. 회동축(3)의 1회의 회전각도는 180°가 될 것이다. 이로써 비상시 카에 몸을 의지한 대피자는 건물 외벽에 매달려 있게 될 것이다.
이 상태에서 대피자는 건물 내부의 유해가스, 화염으로부터 대피할 수 있으며, 구조요원은 이 상태에 있는 대피자를 개별적으로 구출해낼 수 있을 것이다. 대피자와 함께 카(7)를 함께 리볼빙도어(5)로부터 분리시켜야 다음 대피자가 마찬가지 방식으로 건물 외부로 탈출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최소의 구성요소에서 더 나아가 본 발명은 건물 외벽에 매달린 상태로 있는 대피자를 제1대피구역(P1)까지 이송시키기 위한 카이송수단을 마련하고 있다.
즉, 리볼빙도어(5)가 회전하여 상기 카(7)가 건물의 외벽에 위치해 있을 때, 카(7)를 건물 밖으로 이송시킴으로써 상기 카(7)에 의지하고 있는 대피자를 건물 밖으로 이동케 하는 카이송수단이 구비된다. 이하, 이 카이송수단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카이송수단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볼빙도어(5)에 매달린 카(7)를 리볼빙도어(5)로부터 횡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 제1대피구역(P1)까지 이송되도록 하며, 나아가 제1대피구역(P1)으로부터 직하방향으로 이격된 지상 위의 제2대피구역(P2)까지 연속적으로 이송되도록 한다. 때에 따라서 제1대피구역(P1)이 최종 대피목적지점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레일(13)이 리볼빙도어(5) 내면에 제1방향(W1)으로 설치된다. 여기서의 제1방향(D1)이라 함은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바닥과 평행한 횡방향일 수 있다. 제1레일(13)은 상하로 평행하게 이격된 2개의 단위레일(13a,13b)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설명되는 2,3,4레일(15,17,19) 또한 마찬가지로 2개의 단위레일로 각각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각 단위레일 간의 간격은 정확히 일치하게 된다. 제1,2,3,4레일은 모두 오메가(Ω) 형태의 단면을 가진다(도 2 참조). 그리고 리볼빙도어(5)의 양면 모두에 제1레일(13)과 제1컨베이어(21)를 설치하여 보다 빠른 시간에 많은 인원이 대피할 수 있도록 해도 좋을 것이다.
제2레일(15)은 제1레일(17)의 연장선상에 위치하도록 건물 외벽에 설치된 상태에서 제1대피구역(P1)까지 연장된다.
전동체인(chain) 형태의 제1컨베이어(21)가 리볼빙도어(5) 내면에 제1레일(13)과 평행하게 설치된다. 제1컨베이어(21)는 자체 구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리볼빙도어(5) 내부에는 제1컨베이어(21)를 구동시키기 위한 컨베이어구동모터(23, 도 3 참조)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제1컨베이어(21)는 리볼빙도어(5)의 양측단까지 연장되도록 최대한 길게 되어 있다. 제1컨베이어(21)는 좌우로 배치된 스프로킷(25)과 이 스프로킷을 타고 무한궤도식으로 회전하는 체인(27)을 포함한다. 체인(27)은 이중체인(double chain)이 사용되어야 한다.
전동체인 형태의 제2컨베이어(29)는 제1컨베이어(21)의 연장선상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제1대피구역(P1)까지 연장되도록 건물 외벽에 설치된다. 제2컨베이어(29) 또한 자체 구동되며, 리볼빙도어(5)로부터 제1대피구역(P1)까지의 거리가 먼 경우 체인(27)의 인장력 내지 처짐을 방지하기 위해 2개 이상의 섹터(sector)로 구분될 수도 있다.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상기 카이송수단은, 카(7)를 제1대피구역(P1)에서 더 나아가 제2대피구역(P2)까지 이송시키기 위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대피구역(P2)은 지상이 될 것이다.
회전원판(31)이 제1대피구역(P1)에 설치된다. 회전원판(31)은 건물의 외벽과 직각을 이루는 회전축(31a, 도 6 참조)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회전 원판(31)의 직경은 카(7)의 좌우폭 이상이 되어야 한다. 회전원판(31)의 상면은 건물의 외벽면과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제3레일(17)이 회전원판(31)의 표면에 설치된다. 제3레일(17)은 회전원판(31)의 회전에 의해 선택적으로 제2레일(15)의 연장선상에 위치하게 된다. 1회의 회전에 회전원판(31)은 90 °씩 회전되도록 제어된다. 제3컨베이어(33)가 회전원판(31) 표면에 설치된다. 제3컨베이어(33)는 회전원판(31)의 회전에 의해 선택적으로 제2컨베이어(29)의 연장선상에 위치하게 되며 자체적으로 구동된다.
회전원판(31)의 회전축(31a)은 건물에 고정 설치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기어(35)가 회전원판(31)에 부착되며, 회전원판 구동모터(39)의 출력축은 링기어(35)에 치합된다. 회전원판 구동모터(39) 역시 건물에 설치된다.
제4레일(19)이 제1대피구역(P1)에서부터 제2대피구역(P2)까지 설치된다. 제4레일(19)은 도시된 바에 의하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며, 제3레일(17)과 선택적으로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건물 외벽에 설치된다.
제4컨베이어(41)는 제1대피구역(P1)에서부터 제2대피구역(P2)까지 설치되는 것으로서 제3컨베이어(33)와 선택적으로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건물 외벽에 설치된다. 제4컨베이어(41) 역시 자체구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회전원판(31)을 포함한 일련의 기구는 카(7)로 하여금 수평방향으로의 이송에 연이어 수직방향으로도 이송되도록 한다.
이하, 특히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제1,2,3,4레일(13,15,17,19) 및 제 1,2,3,4컨베이어(21,29,33,41)를 따라 리볼빙도어(5)로부터 제1대피구역(P1)을 거쳐 제2대피구역(P2)까지 이송되는 카의 동작상태를 설명한다.
먼저 카(7)의 구성을 설명한다. 카의 일부 구성요소(예를 들어, 안전벨트(9))는 위에서 언급하였다. 횡으로 기다란 직사각 형태의 이송판(43) 전면에는 안전벨트(9)와 같은 거치수단이 설치된다. 이송판(43)의 배면에는 각 레일(13 등)을 따라 구름운동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휠(45)이 롤러블레이드와 같은 형태로 설치된다. 각 휠(45)은 자재하게 회전될 수 있다. 휠(45)은 상하 2곳에 평행하게 마련되는데 이는 각 레일(13 등)을 구성하는 단위레일에 동시에 끼워지게 된다. 휠(45)의 상하방향으로의 간격은 단위레일의 간격과 같게 될 것이다.
이송판(43)의 중간 지점에는 랙기어(47)가 횡방향으로 고정 설치된다. 이 랙기어(47)는 각 컨베이어(21 등)와 치합된다. 각 컨베이어(21 등)는 이중체인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랙기어(47)와 스프로킷(25)의 저촉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컨베이어(21,29)의 연결부위에서 랙기어(47)가 제1위치(A1)에 있을 때에는 제1컨베이어(21)만으로부터 구동력을 받아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하며, 제2위치(A2)에서는 제2컨베이어(29)로부터도 구동력을 받기 시작한다. 제1,2컨베이어(21,29)의 선속도는 동일하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카(7)가 좌측으로 이송함에 따라 제2컨베이어(29)로부터의 구동력을 받는 부분이 점차 증가하여 제3위치(A3)에서는 제2컨베이어(29)만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게 된다. 이런 동안 휠(45)은 제1,2레일(13,15)의 경계를 넘어 제2레일(15)을 타고 좌측으로 이송하게 된다.
그리고 체인전동의 특성에 따라 제1,2 컨베이어(13,15)가 멈추게 되면 랙기어(47) 및 이와 일체로 된 카(7)는 슬립(slip)이 거의 없이 제자리에 멈추게 된다.
한편, 카(7)는 이송방향의 전환을 위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즉, 이송판(43)은 제1,2이송판(43a,43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이송판(43a)에는 안전벨트(9)가 설치되고 제2이송판(43b)에는 제1레일(13) 및 랙기어(47)가 설치된다. 그리고 제1이송판(43a)과 제2이송판(43b)은 베어링(49)에 의해 상대적으로 회전될 수 있게끔 연결된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연속되는 작동상태를 설명한다. 회전원판(31) 상의 제3레일(17)이 수평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카(7)는 위에 설명된 방식으로 제2레일(15)로부터 제3레일(17)로 옮겨진다. 그리고 카(7)가 회전원판(31)의 중심에 왔을 때 제3컨베이어(33)는 멈추게 된다. 그리고 즉시 회전원판(31)은 90°회전을 하게 된다. 그렇게 되면 제3레일(17)과 제3컨베이어(33)는 제4레일(19)과 제4컨베이어(41)와 가각 동일 선상에 놓이게 된다. 제3레일(17)과 제3컨베이어(33)가 설치된 제2이송판(43b)은 회전원판(31)과 같이 회전될 것이며, 제2이송판(43b)과 상대적으로 자재하게 회전되는 제1이송판(43a)은 무게중심의 위치 여하에 따라 함께 회전되거나 제자리에 위치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대피자가 카(7)에 올라탄 상태에서는 무게중심이 아래쪽을 향해 위치되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회전원판(31)이 회전을 하는 경우 에도 무게중심에 의해 제1이송판(43a)은 거의 회전되지 않게 된다. 물론 카(7)에 타고 있는 대피자 또한 심하게 흔들리거나 회전되지 않게 된다. 제3,4레일(17,19)이 동일 선상에 위치하게 되면 제3컨베이어(33)가 다시금 회전하게 된다.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은 원리로 카(7)는 제4레일(19)을 따라 지상에 위치한 제2대피구역(P2)까지 직하방향으로 이송된다.
리볼빙도어(5)를 포함한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각 레일과 컨베이어는 평상시에는 외부에서 시각적으로 가려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비상시에만 슬라이드식으로 자동 개방되는 외장커버(미도시됨)가 본 발명의 탈출시스템에 구비될 수 있다.
리볼빙도어(5)는 각건물의 전유부분마다(예를 들어 아파트라면 한가구마다) 하나씩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각 리볼빙도어(5)로부터 제2대피구역(P2)까지 카(7)를 이송시키기 위한 레일과 컨베이어가 마련된다.
그리고 위에 설명된 구성요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층건물 전체에 확장 설치될 수 있다. 각 횡방향으로 이송되는 카(7')와 종방향으로 이송되는 카(7")의 질서정연한 이동을 위한 섬세하고 정확한 제어시스템이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제어시스템은 위의 개시된 구성을 바탕으로 당업자에 의해 큰 어려움 없이 프로그래밍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그의 시작개념으로서 대피경로의 각 구간마다 센서(51, 도 7 내지 도 8 참조)를 설치하여 상하 또는 좌우로 기동하는 대피자 의 동태를 감시하여 서로 저촉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서 컨베이어(21,29,33,41)를 구성하는 전동체인의 스프로킷의 회전축이 지면에 평행인 것으로 도시되었다. 그러나 이는 이해의 편이를 위한 것으로서, 더 바람직한 것은 스프로킷(25)의 회전축이 지면에 대해 수직이 되도록 전동체인(27)을 배치하는 것이다. 이에 따른 효과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로킷(25)의 크기를 크게 할 수 있어 대피자의 하중지지에 더욱 유리하며 상대적으로 지지판의 크기를 더욱 작게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전동체인 사이에는 디귿(ㄷ)자 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형강을 설치함으로써 전동체인의 처짐을 방지토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탈출시스템이 구비되는 건물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리볼빙도어와 카의 개략적 사시도이며, 도 3은 리볼빙도어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대피자가 카에 몸을 실은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5는 카의 측면도이다.
도 6은 회전원판의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8은 카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컨베이어와 카의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대피홀 3 ; 회동축
5 ; 리볼빙도어 7 ; 카(car)
9 ; 안전벨트 13,15,17,19 ; 제1,2,3,4 레일
21,29,33,41 ; 제1,2,3,4 컨베이어
27 ; 전동체인 31 ; 회전원판
43 ; 이송판 45 ; 휠
47 ; 랙기어 49 ; 베어링

Claims (4)

  1. 대피자가 다다를 수 있는 위치에 건물 벽체(W)를 관통하도록 마련되는 대피홀(1); 상기 대피홀(1)의 중심에 세로방향으로 설치되는 회동축(3); 상기 회동축(3) 상에 설치되는 리볼빙도어(5, revolving door); 대피자가 상기 리볼빙도어(5)에 매달려 있을 수 있도록 상기 리볼빙도어(5)의 내면에 설치되는 카(7, car); 상기 리볼빙도어(5)를 회전시켜 상기 카(7)가 선택적으로 건물 외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회동축 구동수단; 상기 리볼빙도어(5)가 회전하여 상기 카(7)가 건물의 외벽에 위치해 있을 때, 상기 카(7)를 건물 밖으로 이송시킴으로써 상기 카(7)에 의지하고 있는 대피자를 건물 밖으로 이동케 하는 카이송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탈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이송수단은,
    상기 리볼빙도어(5) 내면에 제1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레일(13); 상기 제1레일(13)의 연장선상에 위치하도록 건물 외벽에 설치되어 제1대피구역(P1)까지 연장되는 제2레일(15); 상기 리볼빙도어(5) 내면에 상기 제1레일(13)과 평행하게 설치되며 자체 구동되는 전동체인 형태의 제1컨베이어(21); 상기 제1컨베이어(21)의 연장선상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대피구역(P1)까지 연장되도록 건물 외벽에 설치되며 자체 구동되는 전동체인 형태의 제2컨베이어(29); 상기 제1,2레일(13,15)을 따라 구름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카(7)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휠(45); 상기 제1,2컨베이어(21,29)에 치합되어 상기 제1,2컨베이어(21,29)를 따라 이송되는 것으로서 상기 카(7)에 설치되는 랙기어(47)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카(7)로 하여금 상기 리볼빙도어(5)로부터 상기 제1대피구역(P1)까지 이송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탈출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카이송수단은,
    상기 제1대피구역(P1)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건물의 외벽면과 직각을 이루는 회전축(31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원판(31); 상기 회전원판(31) 표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회전원판(31)의 회전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기 제2레일(15)의 연장선상에 위치하게 되는 제3레일(17); 상기 회전원판(31) 표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회전원판(31)의 회전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기 제2컨베이어(29)의 연장선상에 위치하게 되는 자체구동 가능한 제3컨베이어(33);
    상기 제1대피구역(P1)에서부터 제2대피구역(P2)까지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3레일(17)과 선택적으로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제4레일(19); 제1대피구역(P1)에서부터 제2대피구역(P2)까지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3컨베이어(33)와 선택적으로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자체구동 가능한 제4컨베이어(41)를 더 포함하되; 상기 휠(45)과 랙기어(47)는 베어링(49)에 의해 상기 카(7)에 대하여 상대적 회전이 가능하게 연결 고정되게 함으 로써;
    상기 카를 상기 제1대피구역(P1)으로부터 이송방향을 바꾸어 상기 제2대피구역(P2)으로 이송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탈출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컨베이어(21,29)는 전동체인 형태로서 스프로킷(25)의 회전축이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탈출 시스템.
KR1020080123897A 2008-12-08 2008-12-08 건물의 탈출시스템 KR201000655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3897A KR20100065528A (ko) 2008-12-08 2008-12-08 건물의 탈출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3897A KR20100065528A (ko) 2008-12-08 2008-12-08 건물의 탈출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5528A true KR20100065528A (ko) 2010-06-17

Family

ID=42364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3897A KR20100065528A (ko) 2008-12-08 2008-12-08 건물의 탈출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6552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75213A (zh) * 2019-01-26 2019-04-26 嘉兴市齐创环保科技有限公司 智能全方位楼宇救援装置
KR20220034556A (ko) 2020-09-11 2022-03-18 정병태 고층 건축물의 대피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75213A (zh) * 2019-01-26 2019-04-26 嘉兴市齐创环保科技有限公司 智能全方位楼宇救援装置
KR20220034556A (ko) 2020-09-11 2022-03-18 정병태 고층 건축물의 대피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67889A (en) Ladder-guided service elevator
US4865155A (en) High-rise fire fighting and rescue system
KR102005895B1 (ko) 비상탈출 장치를 구비한 안전 대피 건물
KR101173360B1 (ko) 엘리베이터의 카도어 닫힘방지장치
KR101829867B1 (ko) 고층 건물용 화재 대피 장치
KR100841211B1 (ko) 건물용 화재피난장치
KR20100065528A (ko) 건물의 탈출시스템
US4556123A (en) Patient evacuation system from a multistory structure
KR101771711B1 (ko) 소방용 건축물 무인 인명구조장치
CN112744566A (zh) 一种辊道输送机带链条翻转机构
WO2021101414A1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механизированной эвакуации людей из здания
KR102224499B1 (ko) 승강안내부 이동형 자가 구동 비상탈출 장치
KR100596744B1 (ko) 자동 주차 설비
KR101943757B1 (ko) 긴급상황 대피 또는 화재진압용 리프트장치
KR101771712B1 (ko) 소방용 건축물 무인 인명구조장치
Iwano et al. Development of rescue support stretcher system with stair-climbing
KR200326238Y1 (ko) 자동 주차 설비
RU179770U1 (ru) Подъе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20120070821A (ko) 엘리베이터 카도어 개폐용 모터
KR102003333B1 (ko) 터널 내 재난구조 시스템의 동력공급구조
KR20150139023A (ko) 하부 복합방식의 다구간 이송용 엘리베이터 장치
KR200381379Y1 (ko) 건물의 비상탈출장치
CN214494758U (zh) 一种辊道输送机带链条翻转机构
KR101755602B1 (ko) 침상 환자 화재 대피용 이송낭 완강기 및 그 이송낭
CN110589670B (zh) 一种高楼被困人员着地后继续平向同步输送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