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4805A -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컨텐츠 리스트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컨텐츠 리스트 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4805A
KR20100064805A KR1020080123407A KR20080123407A KR20100064805A KR 20100064805 A KR20100064805 A KR 20100064805A KR 1020080123407 A KR1020080123407 A KR 1020080123407A KR 20080123407 A KR20080123407 A KR 20080123407A KR 20100064805 A KR20100064805 A KR 201000648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ing
image
content
thumbnail image
thumbn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3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15859B1 (ko
Inventor
안준모
권용환
김준환
권희진
이창수
이정연
질리아기 빅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3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5859B1/ko
Priority to EP09177899A priority patent/EP2194454A1/en
Priority to US12/631,126 priority patent/US20100146446A1/en
Publication of KR20100064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4805A/ko
Priority to US13/941,068 priority patent/US20130305190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5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58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장치의 컨텐츠 리스트 표시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 디스플레이장치의 컨텐츠 리스트 표시 방법은, 컨텐츠에 대응하는 썸네일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로딩영역에, 각각의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로딩용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와; 로딩영역에 표시되는 로딩용 이미지를 애니메이션 동작하는 단계와; 로딩용 이미지를 대체하여 썸네일 이미지를 로딩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컨텐츠 리스트 표시 방법{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OF CONTENTS LIST THEREOF}
본 발명은 다양한 형식의 컨텐츠를 표시 가능한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컨텐츠 리스트 표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각 컨텐츠의 내용을 인지할 수 있도록 컨텐츠에 대한 리스트를 표시하는 구조의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컨텐츠 리스트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외부로부터 입력되거나 또는 장치 내부에 기 저장되어 있는 다양한 컨텐츠에 대해, 다양한 처리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영상으로 표시한다. 디스플레이장치가 표시할 수 있는 이러한 컨텐츠는 디스플레이장치의 기술 발달에 따라서 그 종류 및 형식이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면, 방송국에서 유무선으로 송출되는 방송 컨텐츠 외에도, 디지털 데이터화된 동영상, 정지 화상, 게임 어플리케이션 등 다양한 컨텐츠가 디스플레이장치에서 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컨텐츠에 관한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컨텐츠 리스트에서 각 컨텐츠에 대응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은 아이콘, 컨텐츠의 파일명, 메타 정보 등 다양하게 지정 될 수 있다. 이러한 리스트 표시에 있어서, 컨텐츠에 대응하는 썸네일 이미지(thumbnail image)를 표시하는 방법은 사용자가 해당 컨텐츠의 내용을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썸네일 이미지의 리스트 표시 방법은, 리스트에 표시되는 썸네일 이미지의 수가 많은 경우에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시스템 부하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복수의 썸네일 이미지를 표시할 동안, 썸네일 이미지의 표시 과정이 진행중인지 아니면 과도한 시스템 부하로 인해 상기한 과정이 정체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곤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컨텐츠 리스트 표시 방법은, 컨텐츠에 대응하는 썸네일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로딩영역에, 각각의 상기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로딩용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로딩영역에 표시되는 상기 로딩용 이미지를 애니메이션 동작하는 단계와; 상기 로딩용 이미지를 대체하여 상기 썸네일 이미지를 상기 로딩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로딩용 이미지를 애니메이션 동작하는 단계는, 상기 로딩용 이미지를 기 설정 각도로 피봇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로딩용 이미지를 기 설정 각도로 피봇팅하는 단계는, 복수의 상기 로딩용 이미지를 동일 각도로 피봇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로딩용 이미지를 기 설정 각도로 피봇팅하는 단계는, 복수의 상 기 로딩용 이미지를 각각 랜덤하게 피봇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딩용 이미지를 기 설정 각도로 피봇팅하는 단계는, 상기 썸네일 이미지가 표시되는 순서에 따라서 복수의 상기 로딩용 이미지 각각에 대한 상기 피봇팅 속도를 차등화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썸네일 이미지를 상기 로딩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는, 기 표시된 상기 로딩용 이미지를 상기 썸네일 이미지로 대체하는 동안 상기 기 표시된 로딩용 이미지 및 상기 썸네일 이미지를 함께 애니메이션 동작하는 단계와; 상기 썸네일 이미지로 상기 기 표시된 로딩용 이미지에 대한 대체가 종료하면 상기 썸네일 이미지의 상기 애니메이션 동작을 정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디스플레이부와; 컨텐츠에 대응하는 썸네일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 가능하게 처리하는 컨텐츠처리부와; 상기 썸네일 이미지가 표시되기 위한 로딩영역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형성하며, 상기 로딩영역에 각각의 상기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로딩용 이미지를 표시하고 상기 표시되는 로딩용 이미지를 애니메이션 동작시키며, 상기 로딩용 이미지를 대체하여 상기 썸네일 이미지를 상기 로딩영역에 표시하게 상기 컨텐츠처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로딩용 이미지가 기 설정 각도로 피봇팅하게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상기 로딩용 이미지가 동일 각도로 피봇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상기 로딩용 이미지가 각각 랜덤하게 피봇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썸네일 이미지가 표시되는 순서에 따라서 복수의 상기 로딩용 이미지 각각에 대한 상기 피봇팅 속도를 차등화하여 표시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기 표시된 상기 로딩용 이미지를 상기 썸네일 이미지로 대체하는 동안 상기 기 표시된 로딩용 이미지 및 상기 썸네일 이미지를 함께 애니메이션 동작시키며, 상기 썸네일 이미지로 상기 기 표시된 로딩용 이미지에 대한 대체가 종료하면 상기 썸네일 이미지의 상기 애니메이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의 구성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는 그 구현 방식이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TV, 컴퓨터 모니터, 전자액자, 포터블 미디어 플레이어(portable media player) 등으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는 일 컨텐츠를 영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00)와, 컨텐츠 또는 상기한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부(100)에 표시될 수 있도록 처리하는 컨텐츠처리부(300)와, 상기와 컨텐츠처리부(300)의 처리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6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장치(1)는 컨텐츠의 리스트를 표시함 에 있어서, 각 컨텐츠에 대응하는 썸네일 이미지(thumbnail image)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디스플레이장치(1)는 썸네일 이미지가 표시되기 위한 로딩(loading)영역에 기 설정된 로딩용 이미지를 표시하고, 로딩용 이미지를 썸네일 이미지로 대체하는 동안에 로딩용 이미지를 애니메이션(animation) 동작시킨다.
이에 의하여, 디스플레이장치(1)가 리스트 표시 과정을 정상적으로 수행하는지 여부와, 현재 시점에서 썸네일 이미지가 표시되지 않은 로딩영역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1)는 외부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는 컨텐츠수신부(200)와, 수신된 컨텐츠가 저장되는 컨텐츠저장부(400)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됨으로써 기 설정된 제어 동작 커맨드를 제어부(600)에 전달 가능한 사용자입력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디스플레이장치(1)의 하위 구성요소들에 관해 설명한다.
디스플레이부(100)는 컨텐츠처리부(300)에 의해 처리된 컨텐츠 등 다양한 형식의 데이터가 영상으로 표시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00)의 구현 방식은 한정되지 않으나,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FED(field emission display), ELD(electro luminescence display)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컨텐츠수신부(200)는 한정되지 않는 컨텐츠공급원(미도시)으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를 수신하여, 이를 컨텐츠처리부(300)에 전달한다.
컨텐츠수신부(200)는 다양한 규격을 가질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장치(1)가 TV로 구현되는 경우, 컨텐츠수신부(200)는 방송국(미도시)으로부터 송출되는 RF(radio frequency)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거나, 또는 컴포지트(composite) 비디오, 컴포넌트(component) 비디오, 슈퍼 비디오(super video), SCART,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규격 등에 의한 입력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컨텐츠수신부(200)는 디스플레이장치(1)가 컴퓨터 모니터인 경우에 VGA방식에 따른 RGB신호를 전달 가능한 D-SUB나, DVI(digital video interactive), HDMI 규격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컨텐츠수신부(200)는 유무선의 로컬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디지털 데이터 패킷화된 컨텐츠를 컴퓨터본체(미도시), 서버(미도시), 또는 USB메모리와 같은 외부저장장치(미도시)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컨텐츠처리부(300)는 컨텐츠수신부(200) 또는 컨텐츠저장부(400)로부터 전달받은 컨텐츠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100)에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컨텐츠처리부(300)가 컨텐츠를 처리하는 구성은 한정되지 않은 바, 예를 들면 다양한 컨텐츠의 포맷에 대응하는 코덱(codec)을 구비하는 디코더(decoder),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 변환 블록,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00)가 표시 가능한 사이즈 및 해상도로 변환하는 스케일러(scaler), 영상 화질 개선을 위한 다양한 인핸스먼트(enhancement) 블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처리부(300)는 이러한 특정 기능을 독자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개별적 구성요소가 군집한 군체로 구현되거나, 또는 여러 기능을 통합시켜 원칩(one-chip) 화된 통합체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컨텐츠처리부(300)는 제어부(600)의 제어에 의해, 참조 가능한 컨텐츠, 예를 들면 컨텐츠저장부(400)에 기 저장되어 있거나 컨텐츠수신부(200)로부터 수신되는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컨텐츠 리스트를 생성하고, 이 생성된 컨텐츠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부(100)에 표시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컨텐츠 리스트는 다양한 방식, 예를 들면 OSD(on-screen display) 또는 팝업(pop-up) 창으로 구현되어 디스플레이부(100)에 표시될 수 있으며, 컨텐츠처리부(300)를 이를 위하여 별도의 OSD 또는 팝업창 생성 기능이 구비될 수 있다.
컨텐츠처리부(300)가 컨텐츠 리스트를 생성함에 있어서, 리스트 내에서 각 컨텐츠를 개체별로 나타내는 방법은 다양하게 지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아이콘(icon), 컨텐츠의 파일명, 메타(meta) 정보, 썸네일 이미지 등으로 리스트 내에서 각 컨텐츠 개체를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썸네일 이미지 방식은 컨텐츠의 내용을 직관적으로 인지 가능한 소형 이미지를 표시하는 방법이다. 썸네일 이미지는 정지화상 또는 기 설정 시간 동안 동작하는 동작화상을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가 동영상인 경우에 이에 대응하는 썸네일 이미지는 소정 시간 동안의 일부 영상 또는 전체 내용 중 소정 시점의 정지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가 정지화상인 경우에 이에 대응하는 썸네일 이미지는 컨텐츠의 일부 또는 전체를 축소한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썸네일 이미지는 리스트에 표시될 때에 시스템 부하를 줄일 수 있도록 사이즈 및 해상도가 다운그레이드(downgrade)되어 생성된다. 컨텐츠에 대응하는 썸네일 이미지는 해당 컨텐츠에 팩키징(packaging)되어, 리스트 표시 시 컨텐츠처리부(300)로부터 호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는 컨텐츠처리부(300)가 리스트를 표시할 때에 기 설정 루틴에 따라서 컨텐츠로부터 생성할 수도 있다.
컨텐츠저장부(400)는 컨텐츠수신부(200)를 통해 외부로부터 수신된 컨텐츠를 저장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00)에서 표시하고자 하는 컨텐츠를 컨텐츠처리부(300)에 제공할 수 있다. 컨텐츠저장부(400)는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기 저장된 컨텐츠를 유지할 수 있도록 비휘발성 메모리, 예를 들면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disc drive, HDD),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 SSD)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500)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며, 이에 따른 기 설정된 커맨드를 제어부(600)에 전달함으로써, 상기한 커맨드에 대응하는 제어 동작을 제어부(600)가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입력부(500)는 이를 위하여 디스플레이장치(1) 외측에 설치된 메뉴 키(미도시), 리모트 컨트롤러(미도시), 터치패드(미도시)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또는 터치스크린(미도시)으로 구현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00)와 통합될 수도 있다.
제어부(600)는 사용자입력부(500)를 통해 썸네일 이미지를 포함하는 컨텐츠 리스트를 생성하도록 하는 커맨드를 수신하면, 컨텐츠처리부(300)를 제어하여 각 컨텐츠에 대응하는 썸네일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부(100)에 표시되도록 한다.
제어부(600)는 이와 같이 썸네일 이미지를 표시하기 전에, 우선 리스트 상에 썸네일 이미지가 표시되기 위한 로딩영역을 형성하고, 기 설정된 로딩용 이미지를 상기한 로딩영역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600)는 표시된 로딩용 이미지를 기 설정된 순서에 따라서 썸네일 이미지로 대체하여 표시한다. 로딩용 이미지는 각 컨텐츠 개체 또는 썸네일 이미지 별로 상이하게 마련될 수 있으나, 시스템 부하를 절감할 수 있도록 동일한 이미지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 개체의 수가 많으면, 디스플레이장치(1)의 시스템 부하에 기인하여 모든 썸네일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해 소정의 시간 지연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썸네일 이미지의 표시 과정이 수행되는 동안, 제어부(600)는 표시중인 로딩용 이미지를 애니메이션 동작시킨다. 반면, 제어부(600)는 표시가 완료된 썸네일 이미지는 애니메이션 동작시키지 않음으로써, 표시된 썸네일 이미지와 로딩용 이미지가 용이하게 구별되도록 한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썸네일 이미지를 포함하는 컨텐츠 리스트를 표시하는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리스트를 표시하는 경우, 각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하는 로딩용 이미지를 표시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입력부(500)로부터 리스트 표시 커맨드를 수신하면, 제어부(600)는 각 컨텐츠에 대응하는 썸네일 이미지가 표시되기 위한 로딩영역을 형성하고, 각 로딩영역에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하는 로딩용 이미지(L)가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600)는 표시된 로딩용 이미지(L)를 애니메이션 동작시킨다. 여기서, 애니메이션 동작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는 한정되지 않으며, 본 실시예에 따르면 로 딩용 이미지(L)는 기 설정된 각도, 예를 들면 5도 내지 10도 정도의 각도로 피봇팅(pevoting)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로딩용 이미지(L)가 피봇팅 동작함에 있어서, 제어부(600)는 복수의 로딩용 이미지(L)가 동일 각도로 피봇팅하거나, 또는 각각의 로딩용 이미지(L)가 랜덤(random)하게 피봇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각각의 로딩용 이미지(L)가 랜덤하게 피봇팅하는 것으로 표현하고 있으나, 이러한 표현 방식이 본 발명의 실시예를 한정하지 않는다.
제어부(600)는 도 2와 같은 상태로부터, 기 설정된 순서에 따라서 로딩용 이미지(L)를 썸네일 이미지로 대체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이러한 과정에 관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컨텐츠 리스트에서 썸네일 이미지를 표시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600)는 기 설정된 순서, 예를 들면 좌측 상단의 로딩용 이미지(L)에서부터 시작하여 오른쪽 방향을 따라서 썸네일 이미지(T)로 대체하도록 컨텐츠처리부(300)를 제어한다. 도 3은 상단의 첫 번째 열에 위치한 로딩영역에 썸네일 이미지(T)가 표시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제어부(600)는 로딩용 이미지(L)에 대한 피봇팅 동작을 유지하면서, 표시가 종료된 썸네일 이미지(T)에 대해서는 피봇팅되지 않도록 한다. 즉, 썸네일 이미지(T)는 정지되어 표시되는 것에 비해, 로딩용 이미지(L)는 피봇팅하여 표시된다. 이에 의하여, 사용자는 썸네일 이미지(T)와 로딩용 이미지(L)를 용이하게 구별할 수 있다.
또한, 썸네일 이미지(T)가 표시되는 동안에 과도한 시스템 부하로 인한 디스플레이장치(1)의 동작 정체 내지는 시스템 다운이 발생하면, 로딩용 이미지(L)의 피봇팅 동작이 수행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를 확인함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1)의 동작 오류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600)는 썸네일 이미지(T)가 표시되는 순서에 따라서 각 로딩용 이미지(L)의 피봇팅 속도를 차등화하여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썸네일 이미지가 표시될 우선순위가 높은 로딩영역의 로딩용 이미지(L)에 대하여, 해당 로딩용 이미지(L)의 피봇팅 속도를 상대적으로 빠르게 조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사용자는 어느 로딩영역에 우선적으로 썸네일 이미지(T)가 표시될 것인지 용이하게 예측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나타난 어느 하나의 로딩영역에 대하여, 기 표시된 로딩용 이미지(L)가 썸네일 이미지(T)로 대체되는 동안에 수행되는 제어 과정의 실시예에 관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3의 일 로딩영역에서 썸네일 이미지(T)가 로딩용 이미지(L)를 대체하여 표시되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로딩영역에 기 표시된 로딩용 이미지(L)가 디스플레이부(100)의 표시면에 평행하게 R 방향으로 피봇팅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어부(600)는 소정 방향, 예를 들면 D 방향을 따라서 썸네일 이미지(T)의 표시가 수행되게 한다.
이와 같이 하나의 로딩영역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T)의 표시가 종료되지 않은 동안에는, 상기한 로딩영역에서 로딩용 이미지(L)와 썸네일 이미지(T)가 혼재되어 표시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제어부(600)는 로딩용 이미지(L)와 썸네일 이미지(T)를 함께 피봇팅 동작시킴으로써, 썸네일 이미지(T)가 표시되는 과정 중임을 나타낼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구성은 일례에 불과한 것으로, 제어부(600)는 일 로딩영역에 대하여 썸네일 이미지(T)의 표시가 개시되면, 상기한 로딩영역에 기 표시된 로딩용 이미지(L)의 피봇팅 동작을 정지시킬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에서 썸네일 이미지를 포함하는 컨텐츠 리스트를 표시하는 방법에 관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이러한 과정을 나타낸 제어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입력부(500)로부터 컨텐츠 리스트를 표시하도록 하는 커맨드를 수신하면, 제어부(600)는 디스플레이부(100)에 컨텐츠 리스트의 표시를 개시한다(S100).
제어부(600)는 컨텐츠처리부(300)를 제어하여, 리스트에 각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하는 로딩영역을 형성하고(S110), 각 로딩영역에 기 설정된 로딩용 이미지가 표시되게 한다(S120). 제어부(600)는 이와 같이 표시된 로딩용 이미지를 피봇팅 동작시킨다(S130).
제어부(600)는 기 설정된 순서대로 각 로딩영역의 기 표시된 로딩용 이미지를 썸네일 이미지로 대체하여 표시한다(S140).
일 로딩영역에 대하여, 제어부(600)는 썸네일 이미지로의 대체가 진행중인지 판단한다(S150).
여기서, 상기 로딩영역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로의 대체가 진행중인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600)는 해당 로딩영역의 로딩용 이미지 및 썸네일 이미지를 함께 피봇팅시킨다(S160).
한편, 상기 로딩영역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로의 대체가 진행중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600)는 썸네일 이미지로의 대체가 종료하였는지 판단한다(S170).
썸네일 이미지로의 대체가 종료한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600)는 해당 로딩영역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의 피봇팅을 정지시킨다(S180).
이와 같은 과정은 리스트에 표시된 모든 로딩용 이미지가 썸네일 이미지로 대체될 때까지 수행된다.
이에 의하여, 컨텐츠 리스트에서 각 컨텐츠 개체에 대응하는 썸네일 이미지가 표시되는 동안, 아직 썸네일 이미지가 표시되지 않은 로딩영역과 이미 표시된 썸네일 이미지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대비하여 인지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컨텐츠 리스트를 표시할 때에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하는 로딩용 이미지가 표시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도 2의 컨텐츠 리스트에서 썸네일 이미지를 표시하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도 3의 컨텐츠 리스트에서 일 로딩용 이미지를 썸네일 이미지로 대체하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도 1의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썸네일 이미지를 포함하는 컨텐츠 리스트를 표시하는 과정을 나타낸 제어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디스플레이장치
100 : 디스플레이부
200 : 컨텐츠수신부
300 : 컨텐츠처리부
400 : 컨텐츠저장부
500 : 사용자입력부
L : 로딩용 이미지
T : 썸네일 이미지

Claims (12)

  1. 디스플레이장치의 컨텐츠 리스트 표시 방법에 있어서,
    컨텐츠에 대응하는 썸네일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로딩영역에, 각각의 상기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로딩용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로딩영역에 표시되는 상기 로딩용 이미지를 애니메이션 동작하는 단계와;
    상기 로딩용 이미지를 대체하여 상기 썸네일 이미지를 상기 로딩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컨텐츠 리스트 표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용 이미지를 애니메이션 동작하는 단계는, 상기 로딩용 이미지를 기 설정 각도로 피봇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컨텐츠 리스트 표시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용 이미지를 기 설정 각도로 피봇팅하는 단계는, 복수의 상기 로딩용 이미지를 동일 각도로 피봇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컨텐츠 리스트 표시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용 이미지를 기 설정 각도로 피봇팅하는 단계는, 복수의 상기 로딩용 이미지를 각각 랜덤하게 피봇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컨텐츠 리스트 표시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용 이미지를 기 설정 각도로 피봇팅하는 단계는, 상기 썸네일 이미지가 표시되는 순서에 따라서 복수의 상기 로딩용 이미지 각각에 대한 상기 피봇팅 속도를 차등화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컨텐츠 리스트 표시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썸네일 이미지를 상기 로딩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는,
    기 표시된 상기 로딩용 이미지를 상기 썸네일 이미지로 대체하는 동안 상기 기 표시된 로딩용 이미지 및 상기 썸네일 이미지를 함께 애니메이션 동작하는 단계와;
    상기 썸네일 이미지로 상기 기 표시된 로딩용 이미지에 대한 대체가 종료하면 상기 썸네일 이미지의 상기 애니메이션 동작을 정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컨텐츠 리스트 표시 방법.
  7.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와;
    컨텐츠에 대응하는 썸네일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 가능하게 처리하는 컨텐츠처리부와;
    상기 썸네일 이미지가 표시되기 위한 로딩영역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형성하며, 상기 로딩영역에 각각의 상기 썸네일 이미지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로딩용 이미지를 표시하고 상기 표시되는 로딩용 이미지를 애니메이션 동작시키며, 상기 로딩용 이미지를 대체하여 상기 썸네일 이미지를 상기 로딩영역에 표시하게 상기 컨텐츠처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로딩용 이미지가 기 설정 각도로 피봇팅하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상기 로딩용 이미지가 동일 각도로 피봇팅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상기 로딩용 이미지가 각각 랜덤하게 피봇팅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썸네일 이미지가 표시되는 순서에 따라서 복수의 상기 로딩용 이미지 각각에 대한 상기 피봇팅 속도를 차등화하여 표시하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2. 제7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 표시된 상기 로딩용 이미지를 상기 썸네일 이미지로 대체하는 동안 상기 기 표시된 로딩용 이미지 및 상기 썸네일 이미지를 함께 애니메이션 동작시키며, 상기 썸네일 이미지로 상기 기 표시된 로딩용 이미지에 대한 대체가 종료하면 상기 썸네일 이미지의 상기 애니메이션 동작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KR1020080123407A 2008-12-05 2008-12-05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컨텐츠 리스트 표시 방법 KR1015158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3407A KR101515859B1 (ko) 2008-12-05 2008-12-05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컨텐츠 리스트 표시 방법
EP09177899A EP2194454A1 (en) 2008-12-05 2009-12-03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isplaying contents list
US12/631,126 US20100146446A1 (en) 2008-12-05 2009-12-04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isplaying contents list
US13/941,068 US20130305190A1 (en) 2008-12-05 2013-07-12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isplaying contents lis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3407A KR101515859B1 (ko) 2008-12-05 2008-12-05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컨텐츠 리스트 표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4805A true KR20100064805A (ko) 2010-06-15
KR101515859B1 KR101515859B1 (ko) 2015-05-06

Family

ID=42111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3407A KR101515859B1 (ko) 2008-12-05 2008-12-05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컨텐츠 리스트 표시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20100146446A1 (ko)
EP (1) EP2194454A1 (ko)
KR (1) KR1015158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91764B2 (en) * 2005-07-22 2011-08-02 Yogesh Chunilal Rathod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on, publishing, searching, sharing and dynamically providing a journal feed
US9762975B2 (en) 2010-04-30 2017-09-12 Thomas Loretan Content navigation guide
JP5488180B2 (ja) * 2010-04-30 2014-05-14 ソニー株式会社 コンテンツ再生装置、制御情報提供サーバ、及びコンテンツ再生システム
WO2013039473A1 (en) 2011-09-12 2013-03-21 Intel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keyword-based, non-linear navigation of video streams and other content
KR101329472B1 (ko) * 2012-03-13 2013-11-13 한국과학기술원 테이블 뷰 컨트롤러 환경에서 사용자의 콘텐츠 소비 특성에 따른 추가 콘텐츠 로딩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952260B1 (ko) 2012-04-03 2019-02-26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수의 동영상 썸네일을 동시에 표시하기 위한 영상 재생 장치 및 방법
KR101956170B1 (ko) * 2012-08-29 2019-03-08 삼성전자 주식회사 카메라의 이미지 저장 장치 및 방법
US9741150B2 (en) 2013-07-25 2017-08-22 Duelight Llc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ying representative images
USD771061S1 (en) * 2013-09-30 2016-11-08 Huawei Device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9563488B2 (en) * 2014-05-29 2017-02-07 Apple Inc. Sharing extension points to allow an application to share content via a sharing extension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46026A (en) * 1989-06-13 1991-09-03 Sun Micro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ecisely varying the display rate of computer generated graphic images
US5120057A (en) * 1990-01-26 1992-06-09 Konami Co., Ltd. Hand held video game with simulated battle against aliens
US5670984A (en) * 1993-10-26 1997-09-23 Xerox Corporation Image lens
US6097390A (en) * 1997-04-04 2000-08-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rogress-indicating mouse pointer
US5983190A (en) * 1997-05-19 1999-11-09 Microsoft Corporation Client server animation system for managing interactive user interface characters
US5953010A (en) * 1997-08-01 1999-09-14 Sun Microsystems, Inc. User-friendly iconic message display indicating progress and status of loading and running system program in electronic digital computer
US6243761B1 (en) * 1998-03-26 2001-06-05 Digital Equipment Corporation Method for dynamically adjusting multimedia content of a web page by a server in accordance to network path characteristics between client and server
US6396518B1 (en) * 1998-08-07 2002-05-28 Hewlett-Packard Company Appliance and method of using same having a send capability for stored data
US6414697B1 (en) * 1999-01-28 2002-07-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n iconic progress indicator
JP3561456B2 (ja) * 2000-01-24 2004-09-02 コナミ株式会社 ビデオゲーム装置、ビデオゲームにおけるキャラクタ動作設定方法及びキャラクタ動作設定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4325075B2 (ja) * 2000-04-21 2009-09-02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オブジェクト管理装置
US7071942B2 (en) * 2000-05-31 2006-07-04 Sharp Kabushiki Kaisha Device for editing animating, method for editin animation, program for editing animation, recorded medium where computer program for editing animation is recorded
US7203952B2 (en) * 2001-03-27 2007-04-10 Digeo, Inc. Passive program completion status indicator for an electronic program guide
US7667705B2 (en) * 2001-05-15 2010-02-23 Nintendo Of America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imation by tagging objects within a game environment
JP3922919B2 (ja) * 2001-12-11 2007-05-30 株式会社リコー 静止画像伸長装置及び静止画像伸長方法
AUPS058602A0 (en) * 2002-02-15 2002-03-14 Canon Kabushiki Kaisha Representing a plurality of independent data items
US7194701B2 (en) * 2002-11-19 2007-03-2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Video thumbnail
US7565625B2 (en) * 2004-05-06 2009-07-21 Pixar Toolbar slot method and apparatus
US9053754B2 (en) * 2004-07-28 2015-06-0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Thumbnail generation and presentation for recorded TV programs
JP4192132B2 (ja) * 2004-09-28 2008-12-03 クラリオン株式会社 車載器及びテレビジョン番組表示方法
US20070162298A1 (en) * 2005-01-18 2007-07-12 Apple Computer,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esenting data items
JP4849301B2 (ja) * 2005-07-27 2012-01-11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20070124666A1 (en) * 2005-11-29 2007-05-31 Microsoft Corporation Custom loading activity or progress animation
US7509588B2 (en) * 2005-12-30 2009-03-24 Apple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interface reconfiguration mode
US20070186182A1 (en) * 2006-02-06 2007-08-09 Yahoo! Inc. Progressive loading
US8196045B2 (en) * 2006-10-05 2012-06-05 Blinkx Uk Limited Various methods and apparatus for moving thumbnails with metadata
US8078969B2 (en) 2007-03-05 2011-12-13 Shutterfly, Inc. User interface for creating image collage
WO2009000331A1 (en) * 2007-06-28 2008-12-3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transfer in a peer-to-peer network
US20100110081A1 (en) * 2008-10-30 2010-05-06 Microsoft Corporation Software-aided creation of animated stori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305190A1 (en) 2013-11-14
KR101515859B1 (ko) 2015-05-06
EP2194454A1 (en) 2010-06-09
US20100146446A1 (en) 2010-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5859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컨텐츠 리스트 표시 방법
US10200738B2 (en) Remote controller and image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US10956008B2 (en) Automatic home screen determination based on display device
KR102262051B1 (ko) 디스플레이장치, 이를 포함하는 다중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20110087992A1 (en) Thumbnail image substitution
US9363570B2 (e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for receiving a shared home screen
KR10251136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US20180165793A1 (en) Display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JP2010177848A (ja) テレビ装置、pc装置、テレビ装置とpc装置とからなる表示システム
US8804043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hav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 plurality of input port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20170019710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CN111557098B (zh) 电子装置及其显示方法
EP3056974B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US20130265236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to a display device via a remote control device
US11886684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60366361A1 (en) Acquiring and displaying information to improve selection and switching to an input interface of an electronic device
US2014018491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20170026677A1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US20190058913A1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CN106415473B (zh) 显示器装置及其控制方法
US8522280B2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and communication system
JP2013257731A (ja) 表示制御装置およびその表示制御方法
KR20210154669A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240045653A (ko) 전자 장치 및 그 ui 제공 방법
JP2020021428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