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4736A - Connector for flexible cable and assembling method of this - Google Patents

Connector for flexible cable and assembling method of thi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4736A
KR20100064736A KR1020080123318A KR20080123318A KR20100064736A KR 20100064736 A KR20100064736 A KR 20100064736A KR 1020080123318 A KR1020080123318 A KR 1020080123318A KR 20080123318 A KR20080123318 A KR 20080123318A KR 20100064736 A KR20100064736 A KR 201000647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locking member
driving cam
housing
flexible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33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12613B1 (en
Inventor
마재형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3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2613B1/en
Publication of KR20100064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473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2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261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01R12/774Retai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PURPOSE: A connector for a flexible cable and an assembling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hook the driving cams of an operating member between first terminals and second terminals, thereby preventing the operating member from being separated from a housing. CONSTITUTION: First terminals(20) and second terminals(30) are inserted into a housing(10) facing each other. A locking member(40) operates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If driving cams(47) push one-end of the terminals upward, the other end of the terminals are closely attached to the surface of a flexible cable. Fixed hooking units and supporting units are protruded from one-end of the terminals facing each other.

Description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Connector for flexible cable and assembling method of this}Connector for flexible cabl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Connector for flexible cable and assembling method of this}

본 발명은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플렉시블 케이블의 단부에 구비되어 다른 부품과의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for a flexible cabl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nector for a flexible cable which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flexible cable to perform electrical connection with other components.

본 명세서에서 플렉시블 케이블이라 함은 일반적으로, FPC(Flexible Printed Circuit)와 FFC(Flexible Flat Cable)라고 불리우는 것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정의한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flexible cable is generally defined as a concept including what is called a flexible printed circuit (FPC) and a flexible flat cable (FFC).

도 1에는 종래기술에 의한 엑츄에이터 타입 커넥터에 구비되는 터미널 및 이를 작동시키는 엑츄에이터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터미널은 하우징(도시되지 않음)에 수납되어 플렉시블 케이블과의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게 된다. Figure 1 shows a terminal provided in the actuator typ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the actuator for operating the same. The terminal shown therein is housed in a housing (not shown) to perform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flexible cable.

상기 터미널은 연결부(8)를 중심으로 그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안착부(9a)와 작동부(9b)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작동부(9b)는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엑츄에이터(A)에 의해 그 일단이 들어올려짐에 따라(도 1b의 화살표①방향), 타단이 상기 안착부(9a)방향으로 이동하여(도 1b의 화살표②방향) 플렉시블케이 블의 표면을 누르게 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엑츄에이터(A)의 회전에 따라 엑츄에이터(A)의 구동캠(A')이 터미널을 탄성변형시켜 터미널의 일단과 플렉시블 케이블 사이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The terminal consists of a seating portion 9a and an actuating portion 9b which are respectively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connecting portion 8. At this time, the one end is lifted by the actuator (A) rotatably coupled to the housing (the arrow ① direction of Figure 1b), the other end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seating portion (9a) (The direction of arrow ② in Fig. 1B) presses the surface of the flexible cable. More precisely, the driving cam A 'of the actuator A elastically deforms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actuator A so that the one end of the terminal and the flexible cable are electrically connected.

상기 엑츄에이터(A)는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이러한 엑츄에이터(A)의 회전은 엑츄에이터(A)에 구비된 회전축(도시되지 않음)이 하우징에 끼워져 가능해진다. 물론, 상기 엑츄에이터(A)의 구동캠(A')이 회전축 역할을 할 수도 있다. The actuator (A) is rotatably coupled to the housing, the rotation of the actuator (A) is possible by inserting a rotating shaft (not shown) provided in the actuator (A) in the housing. Of course, the drive cam (A ') of the actuator (A) may serve as a rotation axis.

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Howev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problems.

작업자는 상기 엑츄에이터(A)를 회전시켜 터미널과 플렉시블 케이블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실현하게 되는데, 상기 엑츄에이터(A)는 하우징에 대해 단순히 회전운동만을 하게 되므로, 작업자가 엑츄에이터(A)가 완전히 회전되어 하우징에 고정되었는지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상기 커넥터 및 엑츄에이터(A)가 비교적 소형인 경우에는 엑츄에이터(A)의 완전한 회전을 감지하기가 더 어려워 진다. The operator rotates the actuator A to realize an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flexible cable. Since the actuator A simply rotates with respect to the housing, the operator A rotates the actuator A completely so that the housing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visually check whether it is fixed to. In particular, when the connector and the actuator A are relatively small, it becomes more difficult to detect the complete rotation of the actuator A.

또한, 상기 엑츄에이터(A)에 강한 외력이 작용될 경우 엑츄에이터(A)가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될 염려가 있다. 물론, 상기 엑츄에이터(A)에 구비된 회전축이 하우징 내부에 걸어져 엑츄에이터(A)가 분리되는 것을 어느 정도 방지해 줄 수도 있으나, 이렇게 되면 회전축이라는 별도의 구조가 필요하고, 회전축은 엑츄에이터(A)의 전체 크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작은 돌기형상으로 구성되므로 외력에 의해 자칫 파손될 우려가 있다. In addition, when a strong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actuator A, the actuator A may be separated from the housing. Of course, the rotary shaft provided in the actuator (A) may be prevented to some extent to prevent the actuator (A) is separated from the inside of the housing, but this requires a separate structure called the rotary shaft, the rotary shaft is the actuator (A) Because of the relatively small protrusions compared to the overall size of the may be easily damaged by external forces.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잠금부재가 하우징에 대해 완전히 회전되었는지 여부를 작업자가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enable the operator to easily detect whether the locking member is fully rotated relative to the housing.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잠금부재의 구동캠이 터미널을 작동시키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잠금부재가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ct as a drive cam of the locking member to actuate the terminal and at the same time to prevent the locking member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housing.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에 플렉시블 케이블이 삽입되는 삽입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삽입공간 내부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터미널 및 제2터미널과, 상기 하우징의 삽입공간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고 상기 하우징에 대해 회전되는 과정에서 일측에 구비된 구동캠이 상기 제1 및 제2터미널의 일단을 각각 들어올려 상기 삽입공간의 일측을 향한 상기 제1 및 제2터미널의 타단이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의 표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잠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부재가 삽입되는 삽입공간에 위치되는 상기 제1터미널과 상기 제2터미널의 일단에는 각각 고정걸이부와 지지부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되어 상기 잠금부재의 구동캠의 일측을 걸어 상기 잠금부재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a housing in which the insertion space is formed is inserted into the flexible cable, the flexible cable is inser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inside the insertion space of the housing First and second terminals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 driving cam provided on one side of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in the process of being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of the housing and being rotated with respect to the housing. A locking member configured to lift the other end of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toward each side of the insertion space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flexible cable, and the first terminal positioned in the insertion space into which the locking member is inserted. One end of the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is provided with a protruding hook portion and the support portion protrude in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Walking one side of the drive cam of the locking member thereby preventing the locking member is separated from the housing.

상기 제1터미널과 제2터미널은 각각 상기 하우징의 삽입공간에 안착되는 안 착빔과, 상기 안착빔으로부터 이격되어 평형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잠금부재의 구동캠에 의해 그 일단이 들어올려져 타단이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의 외면을 향해 이동되는 작동빔과, 상기 안착빔과 작동빔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고정걸이부와 상기 지지부는 각각 상기 제1터미널의 작동부와 상기 제2터미널의 안착빔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다.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re respectively mounted in the seating beam seated in the insertion space of the housing, and extends in a balanced direction spaced from the seating beam, the one end is lifted by the drive cam of the locking member, the other end is It comprises a working beam moved toward the outer surface of the flexible cable, and a connecting portion for connecting the seating beam and the working beam, the fixed hook portion and the support portion of the operating portion of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respectively The mounting beams are provid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상기 제1터미널의 안착빔에는 상기 제1터미널의 작동빔을 향해 스토퍼가 돌출되어 상기 고정걸이부와 상기 스토퍼 사이에 형성되는 회전공간에 상기 잠금부재의 구동캠이 위치되고, 상기 제2터미널의 지지부는 상기 하우징의 삽입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공간의 높이를 줄인다. In the mounting beam of the first terminal, a stopper protrudes toward the operation beam of the first terminal, and a driving cam of the locking member is positioned in a rotation space formed between the fixing hanger and the stopper, and the driving cam of the second terminal The support portion is installed in the insertion space of the housing to reduce the height of the rotation space.

상기 제2터미널의 지지부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상기 잠금부재의 구동캠의 회전을 안내한다. A guide groove is formed in the support of the second terminal to guide rotation of the driving cam of the locking member.

상기 가이드홈과 마주보는 상기 제1터미널의 작동빔에는 가이드경사턱이 구비되어, 상기 잠금부재의 구동캠의 회전을 안내하고, 상기 구동캠이 완전히 회전되면 상기 구동캠은 상기 가이드경사턱과 상기 고정걸이부 사이에 안착된다.A guide inclined jaw is provided in the operation beam of the first terminal facing the guide groove to guide rotation of the drive cam of the locking member. When the drive cam is completely rotated, the drive cam is connected to the guide inclined jaw. It is seated between the fixed hangers.

상기 구동캠의 횡단면은 폭과 높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상기 구동캠의 회전과정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터미널의 안착빔과 작동빔 사이에서 차지하는 높이가 변한다. The cross section of the driving cam is formed to have a different width and height, and the height occupied between the mounting beams and the operating beams of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is changed according to the rotation process of the driving cam.

상기 잠금부재가 상기 하우징과 직교를 이루도록 회전되어 상기 제1 및 제2터미널과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의 결합이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캠의 높이(H)는 상기 제1터미널의 고정걸이부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제1터미널의 안착빔 사이의 높이(H1)보다 작고, 상기 제1터미널의 고정걸이부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제2터미널의 지지부 사이의 높이(H3)보다는 크게 형성된다.In a state where the locking member is rotated to be orthogonal to the housing so that the coupling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and the flexible cable is released, the height H of the driving cam is from the tip of the fixed hook portion of the first terminal. It is smaller than the height H1 between the mounting beams of the first terminal, and is formed larger than the height H3 between the supporting portions of the second terminal from the tip of the fixing hook portion of the first terminal.

상기 고정걸이부에는 상기 구동캠을 향해 지지돌기가 구비되어, 상기 구동캠이 회전되면 상기 구동캠의 일측은 상기 지지돌기에 의해 지지된다.The fixing hook portion is provided with a support protrusion toward the drive cam, and when the drive cam is rotated, one side of the drive cam is supported by the support protrusion.

상기 제1 및 제2터미널의 연결부와 연결되는 안착빔의 양측에는 텐션홈이 각각 형성된다.Tension grooves are formed at both sides of the seating beam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respectively.

상기 제1 및 제2터미널에는 각각 안착레그가 구비되어 회로기판의 표면에 안착된다.Mounting legs are provided in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respectively, to be seated on the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상기 잠금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삽입공간의 외부로 노출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의 삽입공간 내부로 삽입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구동캠이 구비되는 삽입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locking member includes a body portion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insertion space of the housing, and an insertion portion provided at one end of the body portion to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of the housing and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rive cam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do.

본 발명에 의한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하우징의 삽입공간에 제1터미널을 삽입하는 단계와, 구동캠이 상기 제1터미널의 안착빔과 작동빔 사이로 삽입되도록 잠금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하우징의 삽입공간에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잠금부재를 들어올려 상기 구동캠과 상기 제1터미널의 안착빔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고 구동캠의 일단은 상기 제1터미널의 고정걸이부에 걸어지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제1터미널의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제2터미널을 하우징의 삽입공간에 삽입하여 제2터미널의 지지부가 상기 구동캠과 상기 제1터미널의 안착빔 사이 간격을 메우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inserting the first terminal into the insertion space of the hous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locking member so that the drive cam is inserted between the seating beam and the operation beam of the first terminal; Inserting into the insertion space of the step of lifting the locking member so that a gap is formed between the driving cam and the seating beam of the first terminal, and one end of the driving cam is hooked to the fixing hanger of the first terminal; And inserting the second terminal into the insertion space of the housing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irst terminal so that the support of the second terminal fills the gap between the driving cam and the seating beam of the first terminal. It is configured by.

상기 제1터미널과 제2터미널은 각각 상기 하우징의 삽입공간에 안착되는 안 착빔과, 상기 안착빔으로부터 이격되어 평형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잠금부재의 구동캠에 의해 그 일단이 들어올려져 타단이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의 외면을 향해 이동되는 작동빔과, 상기 안착빔과 작동빔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고정걸이부와 상기 지지부는 각각 상기 제1터미널의 작동부와 상기 제2터미널의 안착빔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다.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re respectively mounted in the seating beam seated in the insertion space of the housing, and extends in a balanced direction spaced from the seating beam, the one end is lifted by the drive cam of the locking member, the other end is It comprises a working beam moved toward the outer surface of the flexible cable, and a connecting portion for connecting the seating beam and the working beam, the fixed hook portion and the support portion of the operating portion of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respectively The mounting beams are provid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상기 잠금부재가 상기 하우징과 직교를 이루도록 회전되어 상기 제1 및 제2터미널과 플렉시블 케이블의 결합이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캠의 높이(H)는 상기 제1터미널의 고정걸이부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제1터미널의 안착빔 사이의 높이(H1)보다 작고, 상기 제1터미널의 고정걸이부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제2터미널의 지지부 사이의 높이(H3)보다는 크게 형성된다. In a state where the locking member is rotated to be orthogonal to the housing so that the coupling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and the flexible cable is released, the height H of the driving cam is from the tip of the fixed hook portion of the first terminal. It is smaller than the height H1 between the mounting beams of the first terminal, and is formed larger than the height H3 between the supporting portions of the second terminal from the tip of the fixing hook portion of the first terminal.

본 발명에 의한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lexible cabl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expected.

본 발명에서는 커넥터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잠금부재의 구동캠이 회전되는 과정에서 터미널의 가이드경사턱을 타고 넘어, 그 과정에서 발생되는 탄성변형의 느낌과 타격음이 작업자에게 전달될 수 있어 잠금부재의 회전작업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도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cam of the locking member rotatably connected to the connector is over the guide inclined jaw of the terminal in the process of rotation, the feeling of elastic deformation and the impact sound generated in the process can be transmitted to the operator of the locking member There is also an effect that the rotation can be done accurately.

또한, 본 발명에서는 잠금부재의 구동캠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삽입되는 제1터미널과 제2터미널 사이에 걸어져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플렉 시블 케이블용 커넥터의 동작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cam of the locking member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housing by being caught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inserted in different directions, thereby improving the operational reliability of the flexible cable connector.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잠금부재의 회전을 안내하기 위한 회전축이 별도로 구비되지 않아도, 구동캠에 의해 잠금부재의 회전 안내와 터미널의 탄성변형이 모두 이루어지므로, 잠금부재의 구조가 단순해지고 잠금부재를 하우징에 조립하는 과정에서 잠금부재의 회전축과 하우징 사이의 간섭에 의한 탄성변형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잠금부재의 조립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a rotation shaft for guiding the rotation of the locking member is not provided separately, since both the rotation guide of the locking member and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terminal are made by the drive cam, the structure of the locking member is simplified and the locking member is housingd. In the process of assembling in the elastic member due to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rotation shaft and the housing of the locking member does not occur, there is also an effect of improving the assembly workability of the locking member.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a flexible cable connector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4 및 도 5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터미널 및 제2터미널의 구성이 각각 측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 및 제2터미널의 요부구성이 측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connector for a flexible c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4 and 5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constituting is shown in a side view, respectively, Figure 6 is a side view of the main components of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하우징(10)은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대략 납작하고 긴 육면체 형상의 하우징몸체(11)가 그 골격을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몸체(11)의 내부는 양단으로 개구되어 형성되어, 그 내부에 각각 삽입공간(12,13)이 형성된다. 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housing 10 is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the housing body 11 having a substantially flat and long hexahedral shape forms a skeleton thereof. The interior of the housing body 11 is formed to be open at both ends, and the insertion spaces 12 and 13 are formed therein, respectively.

상기 삽입공간(12,13)은 아래에서 설명될 제1터미널(20)과 제2터미널(30)이 삽입되어 수납되는 일종의 빈 공간으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각각 제1 삽입공간(12)과 제2삽입공간(13)으로 칭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삽입공간(12)과 제2삽입공간(13)은 각각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개구되어 형성되고, 다수개가 나란히 연장되어 형성된다. The insertion spaces 12 and 13 are a kind of empty spaces in which the first terminal 20 and the second terminal 30 are inserted and accommodated, and will be described below. ) And the second insertion space 13. As shown in the drawing, the first insertion space 12 and the second insertion space 13 are formed to be opened in different directions, respectively, and a plurality of them are formed to extend side by side.

상기 하우징(10)에는 제1터미널(20)이 수납된다. 상기 제1터미널(20)은 상기 제1삽입공간(12)에 수납되어 플렉시블 케이블(C)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전기전도성이 좋은 금속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제1터미널(20)은 얇은 판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각각의 제1삽입공간(12)에 삽입된다. The first terminal 20 is accommodated in the housing 10. The first terminal 20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insertion space 12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lexible cable C. The first terminal 20 is made of a metal material having good electrical conductivity. The first terminal 20 has a thin plate shape and is inserted into each of the first insertion spaces 12.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터미널(20)은 안착빔과 상기 안착빔과 이격되어 구비되는 작동빔, 그리고 상기 안착빔과 작동빔을 연결하는 연결부로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후술할 제2터미널(30)과의 구별을 위해 상기 구성을 각각 제1안착빔(21)과 제1연결부(25), 그리고 제1작동빔(26)이라 한다. As shown in FIG. 4, the first terminal 20 is composed of a seating beam and a working beam spaced apart from the seating beam, and a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seating beam and the working beam.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will be referred to as a first seating beam 21, a first connecting portion 25, and a first actuating beam 26 to distinguish it from the second terminal 30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제1안착빔(21)은 상기 제1삽입공간(12)의 바닥에 안착되는 부분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그 일측에는 스토퍼(22)가 구비된다. 상기 스토퍼(22)는 상기 제1안착빔(21)으로부터 제1작동빔(26)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잠금부재(40)의 구동캠(47)의 삽입정도를 규제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스토퍼(22)는 후술할 고정걸이부(28)와의 사이에 회전공간(S)을 형성하여 구동캠(47)의 그 내부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The first seating beam 21 is a part seated on the bottom of the first insertion space 12, is formed to extend long as shown, a stopper 22 is provided on one side. The stopper 22 protrudes from the first seating beam 21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actuating beam 26, and regulates the insertion degree of the driving cam 47 of the locking member 40 to be described below. It plays a role. At the same time, the stopper 22 forms a rotation space (S) between the fixed hook portion 28 to be described later so that it can be rotated in the drive cam 47.

상기 제1안착빔(21)에는 안착레그(23)가 구비된다. 상기 안착레그(23)는 상기 하우징(10)이 실장되는 회로기판(도시되지 않음)의 표면에 안착되어 솔더링되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10)의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이다. The first mounting beam 21 is provided with a seating leg 23. The seating leg 23 is soldered by being seated on a surface of a circuit board (not shown) on which the housing 10 is mounted, a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

또한, 상기 안착레그(23)는 상기 제1터미널(20)이 상기 제1삽입공간(12)에 삽입되는 정도를 규제하는 역할도 한다. 즉, 상기 안착레그(23)에 의해 형성되는 걸이홈(23')에 상기 하우징(10)의 가장자리가 걸어져 제1터미널(20)의 삽입정도가 규제된느 것이다.In addition, the seating leg 23 also serves to regulate the degree of insertion of the first terminal 20 into the first insertion space 12. That is, the edge of the housing 10 is hooked to the hook groove 23 ′ formed by the seating leg 23 so that the insertion degree of the first terminal 20 is restricted.

상기 제1안착빔(21)에는 텐션홈(24)이 형성된다. 상기 텐션홈(24)은 상기 제1안착빔(21)과 제1연결부(25)가 연결되는 부분에 요입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연결부(25)가 상기 제1안착빔(21)에 대해 보다 용이하게 탄성변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A tension groove 24 is formed in the first seating beam 21. The tension groove 24 is formed by being recessed in a portion where the first seating beam 21 and the first connector 25 are connected, and the first connector 25 is formed on the first seating beam 21. It is to be able to be elastically deformed more easily.

상기 제1작동빔(26)은 아래에서 설명될 잠금부재(40)에 의해 실제로 작동되는 부분으로, 상기 제1연결부(25)를 중심으로 탄성변형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제1작동빔(26)은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그 일단이 들어올려지면 타단은 상기 제1연결부(25)를 기준으로 상기 제1안착빔(21)을 향해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The first actuating beam 26 is a part which is actually operated by the locking member 40 to be described below, and is configured to be elastically deformable about the first connection part 25. That is, the first actuating beam 26 is lowered toward the first seating beam 21 based on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25 when one end thereof is lifted up using the principle of the lever.

상기 제1작동빔(26)의 일측에는 접촉돌기(27)가 구비된다. 상기 접촉돌기(27)는 상기 제1작동빔(26)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제1안착빔(21)을 향해 돌출되는 것으로,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C)의 표면에 형성된 접점부(C')를 정확하게 가압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부분이다. One side of the first operation beam 26 is provided with a contact projection (27). The contact protrusion 27 protrudes from one side of the first actuating beam 26 toward the first seating beam 21, and accurately contacts the contact portion C ′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flexible cable C. It is a part for pressurizing and electrically connecting.

상기 제1연결부(25)를 기준으로 상기 접촉돌기(27)의 타측에는 고정걸이부(28)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걸이부(28)는 아래에서 설명될 잠금부재(40)의 구동캠(47)이 상기 하우징(1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안착빔(21)을 향해 돌출되어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상기 제1작동빔(26)의 일단이 'ㄱ'자 형상으로 굴곡된 모습이 된다. On the other side of the contact projection 27 on the basis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25 is provided with a fixed hook portion (28). The fixed hook portion 28 is to prevent the driving cam 47 of the locking member 40 to be described below to be separated from the housing 10, toward the first seating beam 21 as shown When viewed as a whole, one end of the first actuating beam 26 is bent in a '-' shape.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고정걸이부(28)는 상기 제1작동빔(26)과 상기 제1안착빔(21) 사이에 위치되는 잠금부재(40)의 구동캠(47)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만일 잠금부재(40)의 구동캠(47)이 하우징(10)으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외력을 받으면 상기 고정걸이부(28)의 내면(28')에 걸어지게 된다. More precisely, the fixing hanger 28 prevents the driving cam 47 of the locking member 40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actuating beam 26 and the first seating beam 21 from escaping. It is to play a role. If the driving cam 47 of the locking member 40 receives an external force in a direction to be separated from the housing 10, the driving cam 47 of the locking member 40 is engaged with the inner surface 28 ′ of the fixing hanger 28.

상기 고정걸이부(28)에는 지지돌기(28'')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돌기(28'')는 상기 잠금부재(40)의 구동캠(47),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제1연결부(25) 방향으로 돌출된 것으로, 상기 잠금부재(40)가 회전되면 구동캠(47)의 일측을 지지하여, 구동캠(47)의 외면이 상기 고정걸이부(28)의 내면(28')에 접하는 면적이 커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는 상기 제1터미널(20)과 구동캠(47)과의 접촉면적을 줄여 하우징(10)이나 잠금부재(40)의 진동 등이 제1터미널(20)에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제1터미널(20)과 구동캠(47)의 마찰을 줄이기 위한 것이다.The fixed hook portion 28 is provided with a support protrusion 28 ″. The support protrusion 28 ″ protrudes toward the driving cam 47 of the locking member 40, more precisely, to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25. When the locking member 40 is rotated, the driving cam ( By supporting one side of 47, the outer surface of the drive cam 47 is prevented from increasing the area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28 ') of the fixed hook portion (28). This reduces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first terminal 20 and the drive cam 47 to minimize the vibration of the housing 10 or the locking member 40 to the first terminal 20, the first terminal 20 To reduce the friction between the 20 and the drive cam 47.

한편, 상기 고정걸이부(28)와 상기 스토퍼(22) 사이에는 회전공간(S)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공간(S)은 상기 제1안착빔(21)과 제1작동빔(26), 그리고 상기 고정걸이부(28)와 스토퍼(22)에 의해 둘러싸인 일종의 공간으로, 엄밀히 말하면 완전히 밀폐된 공간은 아니다. 상기 회전공간(S)에는 잠금부재(40)의 구동캠(47)이 위치하여 그 내부에서 회전된다. On the other hand, a rotation space (S) is formed between the fixing hanger 28 and the stopper 22. The rotation space S is a kind of space surrounded by the first seating beam 21, the first working beam 26, and the fixing hanger 28 and the stopper 22. Is not. The drive cam 47 of the locking member 40 is positioned in the rotation space S and rotated therein.

상기 제1작동빔(26)에는 가이드경사턱(29)이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경사턱(29)은 상기 제1안착빔(21)을 향하는 상기 제1작동빔(26)의 저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걸이부(28)를 향할수록 돌출된 정도가 커지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경사턱(29)은 그 경사를 이용하여 잠금부재(40)의 구동캠(47)의 회전을 안내하고, 상기 구동캠(47)이 완전히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작동빔(26)의 탄성변형을 유도하여 작업자에게 작동감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The first working beam 26 is provided with a guide inclined jaw 29. The guide inclined jaw 29 is formed to protrude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actuating beam 26 facing the first seating beam 21, the greater the degree of protruding toward the fixing hanger 28 Is formed. The guide inclined jaw 29 guides the rotation of the drive cam 47 of the locking member 40 using the inclination thereof, and the first actuating beam 26 in the process of completely rotating the drive cam 47. Induces elastic deformation of the worker to give a sense of operation.

보다 정확하게는 잠금부재(40)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구동캠(47)은 상기 가이드경사턱(29)을 타고 넘어 상기 가이드경사턱(29)과 상기 고정걸이부(28) 사이에 위치하게 되고, 그 과정에서 제1작동빔(26)은 구동캠(47)에 의해 탄성변형되었다가 복원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그리고, 이를 통해 작업자는 잠금부재(40)가 완전히 회전되었음을 감지하게 되는 것이다. More precisely, in the process of rotating the locking member 40, the driving cam 47 is positioned between the guide inclined jaw 29 and the fixing hanger 28 over the guide inclined jaw 29. In the process, the first actuating beam 26 undergoes a process of being elastically deformed and restored by the drive cam 47. And, through this, the operator will detect that the locking member 40 is completely rotated.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제2터미널(30)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제2터미널(30) 역시 제1터미널(20)과 마찬가지로 제2안착빔(31)과 상기 제2안착빔(31)과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2작동빔(36), 그리고 상기 제2안착빔(31)과 제2작동빔(36)을 연결하는 제2연결부(35)로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제1터미널(20)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Next, referring to FIG. 5, the second terminal 30 will be described. Similarly to the first terminal 20, the second terminal 30 also has a second seating beam 31 and the second seating beam 31. ) And a second operation beam 36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second connection portion 35 connecting the second mounting beam 31 and the second operation beam 36 to each other. Hereinafter,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first terminal 20 will be omitted.

상기 제2터미널(30)은 상기 제1터미널(20)이 삽입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하우징(10)의 제2삽입공간(13)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터미널(20)과 제2터미널(30)이 상기 하우징(10)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수납되는 것은 터미널 사이의 간격이 매우 협소한 경우에 쉽게 발생되는 제1 및 제2터미널(20,30) 사이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The second terminal 3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insertion space 13 of the housing 10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terminal 20 is inserted. In this way, the first terminal 20 and the second terminal 30 is accommodated in the housing 10 in different directions,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easily generated when the spacing between the terminals is very narrow It is to prevent the interference between (20,30).

상기 제2터미널(30)의 제2안착빔(31)에는 안착레그(33)가 구비되어 상기 회로기판에 안착됨과 동시에, 상기 제2터미널(30)이 상기 하우징(10)에 삽입되는 정 도를 규제한다. A seating leg 33 is provided on the second mounting beam 31 of the second terminal 30 to be seated on the circuit board and the second terminal 30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10. Regulate it.

상기 제2터미널(30)의 제2안착빔(31)에는 지지부(32)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부(32)는 상기 제2안착빔(31)의 일단이 제2작동빔(36)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제2작동빔(36)과 제2안착빔(31) 사이의 폭(H3)을 줄여주는 역할을 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지지부(32)는 상기 제2안착빔(31)의 전체 높이가 높아지도록 상기 제2안착빔(31)의 상면에 형성된다. The second mounting beam 31 of the second terminal 30 is provided with a support 32. The support part 32 is formed by protruding one end of the second seating beam 31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actuating beam 36, and having a width between the second actuating beam 36 and the second seating beam 31. (H3) to reduce the role. More precisely, the support part 32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mounting beam 31 so that the overall height of the second mounting beam 31 is increased.

상기 지지부(32)에는 가이드홈(32')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32')은 잠금부재(40)의 구동캠(47)의 회전을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그 내부에 구동캠(47)의 일부가 삽입된 상태로 회전된다. Guide grooves 32 ′ are formed in the support part 32. The guide groove 32 ′ is for guiding the rotation of the drive cam 47 of the locking member 40, and rotates with a portion of the drive cam 47 inserted therein.

한편, 상기 제2작동빔(36)에는 플렉시블 케이블(C)의 표면에 밀착되는 접촉돌기(37)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접촉돌기(37)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위치에는 상기 지지부(32)에 형성된 가이드홈(32')에 대응되는 가이드홈(38)이 형성된다. 즉, 상기 두 가이드홈(32',38)에 구동캠(47)의 양단이 각각 삽입된 상태로 회전되어, 구동캠(47)의 안정적인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operation beam 36 is provided with a contact projection 37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flexible cable (C). In addition, a guide groove 38 corresponding to the guide groove 32 ′ formed in the support part 32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opposite side of the contact protrusion 37. That is, both ends of the drive cam 47 are rotated in the two guide grooves 32 ′ and 38, respectively, so that the rotation of the drive cam 47 can be achieved.

다음으로 잠금부재(4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잠금부재(40)는 상기 하우징(10)에 결합되어 회전을 통해 상기 제1 및 제2터미널(20,30)을 변형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잠금부재(40)는 회전을 통해 상기 제1 및 제2터미널(20,30)의 작동빔(26,36))의 일단을 안착빔(21,3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들어올려, 작동빔(26,36)의 타단에 형성된 상기 접촉돌기(27,37)가 플렉시블 케이블(C)의 표면을 누르도록 한다. Next, the locking member 40 will be described. The locking member 40 is coupled to the housing 10 and serves to deform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20 and 30 through rotation. That is, the locking member 40 lifts one end of the operation beams 26 and 36 of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20 and 30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mounting beams 21 and 31 through rotation, The contact protrusions 27 and 37 formed at the other ends of the actuating beams 26 and 36 press the surface of the flexible cable C.

상기 잠금부재(40)의 외관 및 골격은 몸체부(41)가 형성한다. 상기 몸체부(41)는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되고, 상기 하우징(10)의 작동공간 외측으로 노출되는 부분이다. The exterior and skeleton of the locking member 40 is formed by the body portion 41. The body portion 41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s shown, and is a portion exposed outside the operating space of the housing 10.

상기 몸체부(41)의 일단에는 삽입부(42)가 구비된다. 상기 삽입부(42)는 상기 하우징(10))의 삽입공간(12,13) 내부로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제1 및 제2터미널(20,30)을 실질적으로 작동시키는 부분이다. One end of the body portion 41 is provided with an insertion portion 42. The insertion part 42 is a part which is selectively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s 12 and 13 of the housing 10 to substantially operate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20 and 30.

상기 삽입부(42)에는 구동캠(47)이 구비된다. 상기 구동캠(47)은 상기 제1 및 제2터미널(20,30)의 제1 및 제2작동빔(26,36)을 실질적으로 탄성변형시키는 것으로, 도 6에서 보듯이, 타원형상으로 형성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구동캠(47)은 그 횡단면의 폭과 높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회전됨에 따라 구동캠(47)의 횡단면의 상하방향의 높이가 달라지게 된다. 그리고, 이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터미널(20,30)의 작동빔(26,36)을 탄성변형시키게 된다. 도 2에서 보듯이 상기 구동캠(47)은 상기 제1 및 제2터미널(20,30)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된다. The insertion part 42 is provided with a drive cam 47. The driving cam 47 substantially elastically deforms the first and second actuating beams 26 and 36 of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20 and 30, and is formed in an elliptical shape as shown in FIG. 6. do. More precisely, the width and height of the cross section of the drive cam 47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so that the height of the cross section of the cross section of the drive cam 47 varies as it is rotated. As a result, the operation beams 26 and 36 of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20 and 30 are elastically deformed. As shown in FIG. 2, the driving cams 47 are formed in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20 and 30.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의 작용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flexible cabl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먼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가 조립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First,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flexible cabl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작업자는 하우징(10)의 제1삽입공간(12)에 제1터미널(20)을 삽입한다. 즉, 도 7(a)를 기준으로 보았을 때 우측에서 좌측으로 제1터미널(20)을 이동시켜 하우징(10)의 제1삽입공간(12)에 제1터미널(20)을 삽입시키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 터미널(20)의 안착레그(23)에 형성된 걸이홈(23')이 하우징(10)에 걸어져 제1터미널(20)의 삽입정도가 규제된다. The operator inserts the first terminal 20 into the first insertion space 12 of the housing 10. That is, the first terminal 20 is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space 12 of the housing 10 by moving the first terminal 20 from the right side to the left side based on FIG. 7 (a). At this time, the hook groove 23 ′ formed in the seating leg 23 of the first terminal 20 is hooked to the housing 10 to restrict the insertion degree of the first terminal 20.

상기 제1터미널(20)이 삽입되면, 작업자는 잠금부재(40)를 상기 제1터미널(20)이 삽입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삽입시킨다. 이때, 상기 잠금부재(40)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과 직교한 상태로 삽입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잠금부재(40)의 구동캠(47)이 상기 제1터미널(20)의 제1작동빔(26)과 제1안착빔(21) 사이로 삽입되도록 하면서 상기 잠금부재(40)가 이동된다. When the first terminal 20 is inserted, the operator inserts the locking member 40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terminal 20 is inserted. At this time, the locking member 40 is inserted in a state orthogonal to the housing 10, as shown in Figure 7 (b). More precisely, the locking member 40 is inserted while allowing the driving cam 47 of the locking member 40 to be inserted between the first actuating beam 26 and the first seating beam 21 of the first terminal 20. Is moved.

이때,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1작동빔(26)과 제1안착빔(21), 보다 정확하게는 제1작동빔(26)의 고정걸이부(28)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제1안착빔(21) 사이의 간격(H1)은 상기 구동캠(47)의 두께(H)보다 같거나 크므로 상기 구동캠(47)은 제1작동빔(26)과 제1안착빔(21) 사이로 삽입될 수 있다. At this time, referring to Figure 6, the first mounting beam 26 and the first mounting beam 21, more precisely the first mounting beam from the tip of the fixing hanger 28 of the first working beam 26 Since the distance H1 between the 21 is equal to or larger than the thickness H of the drive cam 47, the drive cam 47 is inserted between the first actuating beam 26 and the first seating beam 21. Can be.

상기 구동캠(47)은 상기 제1작동빔(26)과 제1안착빔(21) 사이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터미널(20)의 스토퍼(22)에 접하여 삽입되는 정도가 규제될 수 있다. The driving cam 47 may be controlled to be inserted in contact with the stopper 22 of the first terminal 20 in the process of being inserted between the first operation beam 26 and the first seating beam 21. .

다음으로, 도 7(c)를 참조하여 계속 설명하면, 작업자는 상기 잠금부재(40)를 상방으로 들어올린다. 이렇게 되면, 상기 잠금부재(40)의 구동캠(47)과 상기 제1터미널(20)의 제1안착빔(21) 사이에는 간격이 형성된다. 이러한 간격은 도 6에 정확하게 도시되어 있다(도 6의 'H3' 참조).Next, referring to FIG. 7C, the operator lifts the locking member 40 upward. In this case, a gap is formed between the driving cam 47 of the locking member 40 and the first seating beam 21 of the first terminal 20. This spacing is shown exactly in FIG. 6 (see 'H3' in FIG. 6).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작업자는 제2터미널(30)을 상기 하우징(10)의 제2삽입공간(13)에 삽입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제1터미널(20)이 삽입되었던 방향과 반 대방향으로 제2터미널(30)을 이동시켜 상기 제2삽입공간(13)에 수납시키는 것이다. In this state, the operator inserts the second terminal 30 into the second insertion space 13 of the housing 10. More precisely, the second terminal 30 is moved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terminal 20 has been inserted and accommodated in the second insertion space 13.

상기 제2터미널(30)이 상기 제2삽입공간(13)에 완전히 삽입되면, 상기 제2터미널(30)의 제2안착빔(31)에 형성된 지지부(32)는 상기 잠금부재(40)의 구동캠(47)과 상기 제1터미널(20)의 제1안착빔(21) 사이의 간격을 메우게 된다. 이는 상기 지지부(32)의 높이(H3)가 상기 잠금부재(40)의 구동캠(47)과 상기 제1터미널(20)의 제1안착빔(21) 사이의 간격(H3)에 대응되는 높이를 가지므로 가능한 것이다. When the second terminal 30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second insertion space 13, the support part 32 formed in the second seating beam 31 of the second terminal 30 is formed of the locking member 40. The gap between the driving cam 47 and the first mounting beam 21 of the first terminal 20 is filled. The height H3 of the support part 32 corresponds to the height H3 between the driving cam 47 of the locking member 40 and the first seating beam 21 of the first terminal 20. It is possible to have.

이와 같이 되면, 작업자가 들어올렸던 상기 잠금부재(40)를 놓더라도, 상기 잠금부재(40)의 구동캠(47)이 상기 지지부(32)에 의해 지지되므로 잠금부재(40)가 하강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함께, 상기 구동캠(47)은 상기 제1터미널(20)의 제1작동빔(26)과 제1안착빔(21) 사이에서 빠져나가는 것이 방지된다. In this case, even when the operator releases the locking member 40, the driving cam 47 of the locking member 40 is supported by the support part 32, thereby preventing the locking member 40 from falling. do. In addition, the driving cam 47 is prevented from escaping between the first actuating beam 26 and the first seating beam 21 of the first terminal 20.

다음으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잠금부재의 회전에 따른 제1터미널과 제2터미널의 작동을 살펴보기로 한다. Next, the operation of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locking memb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 and 9.

먼저 제1터미널(20)에 대해 살펴보면, 잠금부재(40)가 도 8(a)를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잠김부재의 구동캠(47)이 상기 제1터미널(20)의 제1작동빔(26)의 일단을 들어올리게 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제1작동빔(26)의 타단이 상대적으로 제1안착빔(21)을 향해 이동되고, 이 과정에서 플렉시블 케이블(C)의 표면을 가압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First, the first terminal 20 will be described. As the locking member 40 is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with reference to FIG. 8 (a), the driving cam 47 of the locking member is formed in the first terminal 20. One end of the operation beam 26 is lifted. In this case, the other end of the first actuating beam 26 is relatively moved toward the first seating beam 21, and in this process, the surface of the flexible cable C is pressed and electrically connected.

그리고, 제2터미널(30) 역시 상기 제1터미널(20)과 마찬가지로 상기 잠금부재(40)의 회전에 따라 구동캠(47)에 의해 작동되어 플렉시블 케이블(C)의 표면을 가압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The second terminal 30 is also operated by the drive cam 47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locking member 40 like the first terminal 20 to press and electrically connect the surface of the flexible cable C. do.

다음으로, 도 10을 참조하여 잠금부재의 회전을 보다 세분화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잠금부재(40)가 회전되면 잠금부재(40)의 구동캠(47)이 제1 및 제2터미널(20,30)을 탄성변형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구동캠(47)은 제1터미널(20)의 가이드경사턱(29)과 제2터미널(30)의 가이드홈(32')에 의해 회전이 안내된다.Next, the rotation of the locking member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0. As described above, when the locking member 40 is rotated, the driving cam 47 of the locking member 40 elastically deforms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20 and 30. In this case, the driving cam 47 is Rotation is guided by the guide inclined jaw 29 of the first terminal 20 and the guide groove 32 'of the second terminal 30.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구동캠(47)은 그 일측이 상기 제2터미널(30)의 ㄱ가이드홈(32')에 삽입되고, 타측은 상기 제1터미널(20)의 가이드경사턱(29)을 타고 넘으면서 회전된다. 이때 상기 구동캠(47)은 상기 제1터미널(20)의 고정걸이부(28)에 접하지는 않고, 상기 가이드홈(32')과 가이드경사턱(29)에 의해서만 회전이 안내된다. More specifically, one side of the driving cam 47 is inserted into the a guide groove 32 ′ of the second terminal 30, and the other side of the driving cam 47 has a guide inclination jaw 29 of the first terminal 20. Rotate while riding. In this case, the driving cam 47 is not in contact with the fixing hanger 28 of the first terminal 20, and the rotation is guided only by the guide groove 32 ′ and the guide inclination jaw 29.

상기 구동캠(47)이 상기 가이드경사턱(29)을 타고 넘게 되면 상기 구동캠(47)은 가이드경사턱(29)과 상기 고정걸이부(28) 사이에 위치됨과 동시에 상기 고정걸이부(28)에 형성된 지지돌기(28'')에 접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작업자는 상기 구동캠(47)이 가이드경사턱(29)을 넘으면서 발생되는 제1터미널(20)의 탄성변형의 느낌과, 구동캠(47)이 지지돌기(28'')를 타격하면서 내는 타격음에 의해 잠금부재(40)가 완전히 회전되었음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When the driving cam 47 passes over the guide inclined jaw 29, the drive cam 47 is positioned between the guide inclined jaw 29 and the fixing hanger 28 and the fixing hanger 28 at the same time. A support protrusion 28 '' formed in the In this process, the operator feels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20 generated while the driving cam 47 exceeds the guide inclination jaw 29, and the driving cam 47 strikes the support protrusion 28 ″. It is possible to detect that the locking member 40 is completely rotated by the blow sound.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is defined by the claims,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It is self evident.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제1터미널(20)에 가이드경사턱(29)이 구비되고 상기 제2터미널(30)에는 가이드홈(32')이 형성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가이드경사턱(29)이나 가이드홈(32')은 생략될 수도 있다.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guide inclined jaw 29 is provided in the first terminal 20 and the guide groove 32 'is formed in the second terminal 30. For example, the guide inclined jaw 29 ) Or the guide groove 32 'may be omitted.

그리고, 상기 제1터미널(20)의 고정걸이부(28)의 선단과 제1안착빔(21) 사이의 간격이 상기 구동캠(47)의 높이보다 같거나 크게 형성되지 않고, 상기 구동캠(47)의 높이보다 작게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구동캠(47)이 상기 고정걸이부(28)를 어느 정도 탄성변형시키면서 상기 제1터미널(20)의 제1안착빔(21)과 제1작동빔(26) 사이로 삽입될 수도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tip of the fixed hook portion 28 of the first terminal 20 and the first mounting beam 21 is not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height of the driving cam 47, and the driving cam ( It may be formed smaller than the height of 47). That is, the driving cam 47 may be inserted between the first seating beam 21 and the first working beam 26 of the first terminal 20 while elastically deforming the fixed hook portion 28 to some extent. will be.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에 실장되는 터미널 및 이를 구동시키기 위한 엑츄에이터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1 is a front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erminal mounted on a connector for a flexible cab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an actuator for driving the same.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flexible cabl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터미널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Figure 4 is a sid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terminal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2터미널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5 is a sid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econd terminal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 및 제2터미널의 요부구성을 보인 측면도.Figure 6 is a side view showing the main components of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의 조립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를 조립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작업상태도.7 is a working state sequentially showing a process of assembling the connector for a flexible cab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ethod for assembling a flexible cabl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잠금부재의 회전에 따라 제1터미널과 제2터미널이 작동되는 모습을 각각 보인 단면사시도.8 and 9 are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locking member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도 10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잠금부재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잠금부재의 구동캠의 상태를 순차적으로 보인 동작상태도.10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showing the state of the drive cam of the locking member in sequence in the process of rotating the locking member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하우징 11: 하우징몸체10: housing 11: housing body

12,13: 삽입공간 20: 제1터미널12,13: Insertion space 20: Terminal 1

21: 제1안착빔 25: 제1연결부21: first seating beam 25: first connection portion

26: 제1작동빔 28: 고정걸이부26: first operation beam 28: fixed hook portion

30: 제2터미널 31: 제2안착빔30: Terminal 2 31: Second Seating Beam

32: 지지부 32': 가이드홈32: support part 32 ': guide groove

35: 제2연결부 36: 제2작동빔35: second connection portion 36: second operation beam

40: 잠금부재 41: 몸체부40: locking member 41: body portion

42: 삽입부 47: 구동캠42: insertion portion 47: drive cam

Claims (14)

내부에 플렉시블 케이블이 삽입되는 삽입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과,A housing in which an insertion space into which the flexible cable is inserted is formed; 상기 하우징의 삽입공간 내부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터미널 및 제2터미널과,A first terminal and a second terminal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of the housing in opposite directions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lexible cable; 상기 하우징의 삽입공간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고 상기 하우징에 대해 회전되는 과정에서 일측에 구비된 구동캠이 상기 제1 및 제2터미널을 탄성변형시켜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의 표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잠금부재를 포함하고,At least a part of the driving cam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of the housing and the drive cam provided on one side includes a locking member to elastically deform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flexible cable and, 상기 잠금부재가 삽입되는 삽입공간에 위치되는 상기 제1터미널과 상기 제2터미널의 일단에는 각각 고정걸이부와 지지부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되어 상기 잠금부재의 구동캠의 일측을 걸어 상기 잠금부재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One end of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positioned in the insertion space into which the locking member is inserted is provided to protrude in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to the fixing hook portion and the support portion to hang one side of the driving cam of the locking member. Flexible connector for preventing the locking member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hous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터미널과 제2터미널은 각각The terminal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re respectively 상기 하우징의 삽입공간에 안착되는 안착빔과,A seating beam seated in an insertion space of the housing; 상기 안착빔으로부터 이격되어 평형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잠금부재의 구동캠에 의해 그 일단이 들어올려져 타단이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의 외면을 향해 이동되는 작동빔과,An actuating beam spaced apart from the seating beam and extending in a balanced direction, the one end of which is lifted by the driving cam of the locking member, and the other end of which moves toward the outer surface of the flexible cable; 상기 안착빔과 작동빔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nnecting portion for connecting the seating beam and the working beam, 상기 고정걸이부와 상기 지지부는 각각 상기 제1터미널의 작동부와 상기 제2터미널의 안착빔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And the fixing hanger part and the support part are provid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between the operation part of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ating beam of the second terminal.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터미널의 안착빔에는 상기 제1터미널의 작동빔을 향해 스토퍼가 돌출되어 상기 고정걸이부와 상기 스토퍼 사이에 형성되는 회전공간에 상기 잠금부재의 구동캠이 위치되고, 상기 제2터미널의 지지부는 상기 제2터미널이 상기 하우징의 삽입공간에 설치되면 상기 회전공간의 높이를 줄임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The driving cam of the locking member of claim 2, wherein a stopper protrudes from the seating beam of the first terminal toward the operation beam of the first terminal, and a driving cam of the locking member is positioned in a rotation space formed between the fixing hanger and the stopper. And a support part of the second terminal, wherein the height of the rotation space is reduced when the second terminal is installed in the insertion space of the housing.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터미널의 지지부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상기 잠금부재의 구동캠의 회전을 안내함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The connector of claim 3, wherein a guide groove is formed in a support of the second terminal to guide rotation of the driving cam of the locking member.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과 마주보는 상기 제1터미널의 작동빔에는 가이드경사턱이 구비되어, 상기 잠금부재의 구동캠의 회전을 안내하고, 상기 구동캠이 완전히 회전되면 상기 구동캠은 상기 가이드경사턱과 상기 고정걸이부 사이에 안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The driving cam of claim 1, wherein the operation beam of the first terminal facing the guide groove is provided with a guide inclined jaw to guide rotation of the driving cam of the locking member. Flexible cable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seated between the guide slope and the fixed hook portion.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캠의 횡단면은 폭과 높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상기 구동캠의 회전과정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터미널의 안착빔과 작동빔 사이에서 차지하는 높이가 변함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The transverse cross section of the driving cam is formed to have a different width and height, and according to the rotation process of the driving cam, the height occupied between the mounting beams and the operating beams of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is changed. Flexible cable connector.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재가 상기 하우징과 직교를 이루도록 회전되어 상기 제1 및 제2터미널과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의 결합이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캠의 높이(H)는 상기 제1터미널의 고정걸이부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제1터미널의 안착빔 사이의 높이(H1)보다 작고, 상기 제1터미널의 고정걸이부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제2터미널의 지지부 사이의 높이(H3)보다는 크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The driving cam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wherein the locking member is rotated to be orthogonal to the housing so that the coupling of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and the flexible cable is released. (H) is less than the height (H1) between the tip of the fixing hook portion of the first terminal from the seating beam of the first terminal, the height between the support of the second terminal from the tip of the fixing hook portion of the first terminal ( Flexible cable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larger than H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걸이부에는 상기 구동캠을 향해 지지돌기가 구비되어, 상기 구동캠이 회전되면 상기 구동캠의 일측은 상기 지지돌기에 의해 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The flexible cabl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fixing hook portion is provided with a supporting protrusion toward the driving cam, and when the driving cam is rotated, one side of the driving cam is supported by the supporting protrusion.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터미널의 연결부와 연결되는 안착빔의 양측에는 텐션홈이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The connector of claim 8, wherein tension grooves are formed at both sides of the seating beam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respectively.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터미널에는 각각 안착레그가 구비되어 회로기판의 표면에 안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10. The connector of claim 9, wherein a seating leg is provided at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to be seated on a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재는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locking member 상기 하우징의 삽입공간의 외부로 노출되는 몸체부와,A body part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insertion space of the housing;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의 삽입공간 내부로 삽입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구동캠이 구비되는 삽입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body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of the housing and a flexible cable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insertion portion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rive cam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하우징의 삽입공간에 제1터미널을 삽입하는 단계와,Inserting the first terminal into the insertion space of the housing; 구동캠이 상기 제1터미널의 안착빔과 작동빔 사이로 삽입되도록 잠금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하우징의 삽입공간에 삽입하는 단계와,Insert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locking member into the insertion space of the housing such that the driving cam is inserted between the seating beam and the actuating beam of the first terminal; 상기 잠금부재를 들어올려 상기 구동캠과 상기 제1터미널의 안착빔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고 구동캠의 일단은 상기 제1터미널의 고정걸이부에 걸어지도록 하는 단계와,Lifting the locking member so that a gap is formed between the driving cam and the seating beam of the first terminal, and one end of the driving cam is hooked to the fixing hanger of the first terminal; 상기 제1터미널의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제2터미널을 하우징의 삽입공간에 삽입하여 제2터미널의 지지부가 상기 구동캠과 상기 제1터미널의 안착빔 사이 간격을 메우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조립방법.And inserting the second terminal into the insertion space of the housing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first terminal so that the support of the second terminal fills the gap between the driving cam and the seating beam of the first terminal. How to assemble connector for flexible cable.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터미널과 제2터미널은 각각The terminal of claim 12, wherei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re respectively 상기 하우징의 삽입공간에 안착되는 안착빔과,A seating beam seated in an insertion space of the housing; 상기 안착빔으로부터 이격되어 평형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잠금부재의 구동캠에 의해 그 일단이 들어올려져 타단이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의 외면을 향해 이동되는 작동빔과,An actuating beam spaced apart from the seating beam and extending in a balanced direction, the one end of which is lifted by the driving cam of the locking member, and the other end of which moves toward the outer surface of the flexible cable; 상기 안착빔과 작동빔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nnecting portion for connecting the seating beam and the working beam, 상기 고정걸이부와 상기 지지부는 각각 상기 제1터미널의 작동부와 상기 제2터미널의 안착빔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조립방법.And the fixing hanger part and the support part are provid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between the operation part of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ating beam of the second terminal.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재가 상기 하우징과 직교를 이루도록 회전되어 상기 제1 및 제2터미널과 플렉시블 케이블의 결합이 해제된 상 태에서, 상기 구동캠의 높이(H)는 상기 제1터미널의 고정걸이부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제1터미널의 안착빔 사이의 높이(H1)보다 작고, 상기 제1터미널의 고정걸이부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제2터미널의 지지부 사이의 높이(H3)보다는 크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조립방법.The driving cam according to claim 12 or 13, wherein the locking member is rotated to be orthogonal to the housing such that the coupling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and the flexible cable is released. It is smaller than the height H1 between the tip of the fixing hanger of the first terminal and the mounting beam of the first terminal, and is larger than the height H3 between the supporting part of the second terminal from the tip of the fixing hanger of the first terminal. Assembly method for a connector for a flexible cabl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KR1020080123318A 2008-12-05 2008-12-05 Connector for flexible cable and assembling method of this KR10151261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3318A KR101512613B1 (en) 2008-12-05 2008-12-05 Connector for flexible cable and assembling method of thi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3318A KR101512613B1 (en) 2008-12-05 2008-12-05 Connector for flexible cable and assembling method of thi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4736A true KR20100064736A (en) 2010-06-15
KR101512613B1 KR101512613B1 (en) 2015-04-16

Family

ID=42364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3318A KR101512613B1 (en) 2008-12-05 2008-12-05 Connector for flexible cable and assembling method of thi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261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031Y1 (en) * 2011-12-23 2014-01-29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Connector for flexible cabl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70884B2 (en) 2007-03-06 2012-11-14 第一精工株式会社 Electrical connec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031Y1 (en) * 2011-12-23 2014-01-29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Connector for flexible cab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2613B1 (en) 2015-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3948B1 (en) Electric connector for parallel circuit board
JP4338738B2 (en) Flat conductor electrical connector
JP5498733B2 (en) connector
KR101442907B1 (en) Board connector
JP4330084B2 (en) Flat conductor electrical connector
JP5029151B2 (en) connector
JP5813411B2 (en) Board connector
US7534130B2 (en) Cable connector
JP2008508663A (en) IC socket
US20160380373A1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the same
EP1835569A1 (en) Connector for flexible substrate
KR20100109482A (en) Electric connector for circuit substrate
KR101041833B1 (en) Connector for flexible cable and assembling method of this
KR101302844B1 (en) Connector
KR101159462B1 (en) Connector
KR101321327B1 (en) Electric connector for circuit substrate
KR100488891B1 (en) Socket for electrical parts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KR20100064736A (en) Connector for flexible cable and assembling method of this
JP4587724B2 (en) FPC connector
KR101529639B1 (en) Connector for flexible cable
KR20100064737A (en) Terminal assembly
US9774119B2 (en) Connector
JP5993755B2 (en) Electrical connector
US9799974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the same
JP4398914B2 (en) Cable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