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4704A - 전구간 온도 감지가 가능한 전열케이블 - Google Patents

전구간 온도 감지가 가능한 전열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4704A
KR20100064704A KR1020080123264A KR20080123264A KR20100064704A KR 20100064704 A KR20100064704 A KR 20100064704A KR 1020080123264 A KR1020080123264 A KR 1020080123264A KR 20080123264 A KR20080123264 A KR 20080123264A KR 20100064704 A KR20100064704 A KR 201000647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temperature
wire
wires
semiconducto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3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보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온스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온스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온스톤
Priority to KR10200801232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64704A/ko
Publication of KR20100064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47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32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with arrangements for indicating defects, e.g. breaks or lea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01B7/29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remes of temperature or by flam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32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with arrangements for indicating defects, e.g. breaks or leaks
    • H01B7/324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with arrangements for indicating defects, e.g. breaks or leaks comprising temperature sensing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54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flexible
    • H05B3/56Heating cables

Landscapes

  • Control Of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발열부의 이상 온도 및 과열 상태를 전구간에 걸쳐 연속적으로 감시 또는 감지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전구간 온도 감지가 가능한 전열케이블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전구간 온도 감지가 가능한 전열케이블은, 도체로 이루어지고 서로간에 간격을 유지하며 길이 방향으로 위치하는 2개의 와이어, 상기 2개의 와이어를 감싸며 설치되며 반 도전성소재로 이루어져 이들 와이어의 온도변화에 따라서 저항값이 변화되는 반도체 소자, 상기 반도체 소자의 표면을 감싸는 절연피복, 상기 어느 하나의 와이어를 따라서 연장되어 그 끝단부가 상기 와이어와 연결되는 발열선, 상기 2개의 와이어 일측 끝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발열선의 발열에 의하여 변하는 반도체 소자의 저항값 변화를 외부에서 확인하여 발열선의 과열여부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Figure P1020080123264
전열케이블, 온도감지, 반도체소자, 표시부

Description

전구간 온도 감지가 가능한 전열케이블{CONTINUOUS TEMPERATURE SENSOR AND CABL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열케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발열부의 이상 온도 및 과열 상태를 전구간에 걸쳐 연속적으로 감시 또는 감지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전구간 온도 감지가 가능한 전열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산업분야에서 전열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이 전열장치는 예를 들어 전기장판, 히팅패드, 전기담요, 전기 찜질기, 발판매트 그리고 건축용 히팅 패널 등이 있다.
이러한 전열장치는 케이블 형태의 전열선이 설치되어 이 전열선에 전기를 인가하면 열이 발생되도록 되어있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전열선의 대부분은 동, 철, 알루미늄 등 특정금속 그 자체 또는 목표로 하는 저항을 맞추기 위해 일부 다른 원소들이 첨가된 합금을 신선(Drawing) 및 집합(Stranding) 공정을 거쳐 와이어 또는 케이블 모양으로 성형하여 제작된다. 그러나 신선 및 집합 공정 중, 금속 재료의 연신에 따른 피로(Fatigue) 또는 함유된 이물질 등의 영향으로 결정 구조의 결함(Dislocation 외 다수) 또는 금속 조직의 결함(Void 외 다수) 등이 발생하여 길이 방향으로 완벽하게 균일한 구조 및 이에 따른 전기적 저항을 갖추기가 어렵다.
이러한 전기적 저항의 불균일성 또는 국부적으로 높은 저항을 가진 고정저항발열체를 사용하여 직렬회로를 구성하고 전압을 인가하였을 경우, 전압의 불균일한 분포를 초래하고 이는 국부 과열 및 화재 또는 인체에 손상을 가하기도 한다.
기존의 모든 전열 제품이 발열부와 온도 감지 및 과열 감지를 하는 센서부로 구성되어 있지만 센서가 감시하는 지역이 한 점 또는 불연속적인 구간으로 제한되므로 감지 범위가 좁고 완전하지 않다.
특히 센서로부터 거리상으로 먼 지역에서 과열이 발생할 경우, 이를 감지 또는 분간하지 못함으로 인해 센서로서의 기능을 발휘할 수 없다.
상기의 모든 온도센서들은 모두 불연속형 온도센서로서 특정 지점의 온도 측정(Point Sensing)은 가능하지만, 일정 지점과 지점 사이의 온도를 감지, 통제할 수 없음으로 인해 통제(Control)의 불완전성 문제를 극복할 수 없다.
또한 종래의 히팅 케이블은 케이블의 어느 한 부분에 상기와 같은 온도센서를 연결하여 히팅 케이블의 온도를 측정 및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발열부의 이상 온도 및 과열 상태를 전구간에 걸쳐 연속적으로 감시 또는 감지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전구간 온도 감지가 가능한 전열케이블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전구간 온도 감지가 가능한 전열케이블은,
도체로 이루어지면서 서로간에 간격을 유지하며 길이 방향으로 위치하는 2개의 와이어, 상기 2개의 와이어를 감싸며 설치되며 반 도전성소재로 이루어져 이들 와이어 사이의 온도변화에 따라서 저항값이 변화되는 반도체 소자, 상기 반도체 소자의 표면을 감싸는 절연피복, 상기 절연피복의 외측으로 위치하면서 상기 어느 하나의 와이어와 나란히 연장되어 그 끝단부가 상기 와이어와 연결되는 발열선, 상기 2개의 와이어 일측 끝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발열선의 발열에 의하여 변하는 반도체 소자의 저항값 변화를 외부에서 확인하여 발열선의 과열여부를 외부에서 확인하 수 있도록 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전구간 온도감지가 가능한 전열케이블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전구간 온도감지가 가능한 전열케이블은 온도 감지 및 과열 감지 센서로 사용하는 케이블 형상의 PTC 또는 NTC로 이루어진 반도체 소자와 주로 발열 기능을 하며 히터로 활용하는 고정 저항 발열체가 근접된 거리에 위치하여 발 열부의 이상 온도 및 과열 상태를 전구간에 걸쳐 연속적으로 감시 또는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의 열선을 사용한 가정용 전열 장치가 국부 과열, 스파크, 화재 등으로 인해 인명 및 신체에 손상을 가할 우려가 현저한 반면, 본 발명은 발열선의 전 구간을 연속적으로 감시함으로써 국부 과열, 스파크 등으로 인한 발열선의 이상을 즉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단점을 해소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구간 온도감지가 가능한 전열케이블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전열케이블의 전기적 회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전구간 온도감지가 가능한 전열케이블은 도체로 이루어지면서 서로간에 간격을 유지하며 길이 방향으로 위치하는 2개의 와이어(10)(20)와, 상기 2개의 와이어(10)(20)를 감싸며 설치되고 반 도전성소재로 이루어진 반도체 소자(30)를 포함한다.
상기 와이어(10)(20)는 다양한 재질과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와이어 이외에도 박막 또는 페이스트 형태의 동, 알미늄 또는 은 등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상기 와이어(10)(20) 및 뒤에서 상세하게 설명되는 발열선(50)은 유연성을 갖추어 자유롭게 휘어짐이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도체 소자(30)는 주위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저항값이 증가하는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소자, 또는 주위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저항값이 감소하는 특성을 갖는 NTC(Negative Temperature Coefficient) 소자를 이용할 수 있다.
반도체 소자(30)는 간격을 유지하며 나란히 위치하는 와이어(10)(20)들 사이를 감싸 연결하는 형태로 형성되며, 이러한 반도체 소자(30)의 외측으로는 절연피복(40)이 소정이 두께로 피복된다.
그리고 절연피복(40)의 외측으로는 상기 와이어(10)(20)중에서 어느 하나의 와이어(20)와 나란히 연장되며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을 하는 발열선(50)이 위치한다. 이 발열선(50)의 외측은 절연피복(60)이 피복되며, 이 절연피복(60)은 반도체소자(30)를 감싸는 절연피복(40)과 연결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열케이블은 와이어(10)(20)의 외측에 형성된 절연피복(40)과 발열선(50)을 감싸는 절연피복(60)이 서로 연결되어 일체로 이루어진다.
발열선(50)은 ZTC(Zero Temperature Coefficient) 특성을 나타내는 고정저항발열체로서 발열 기능을 한다. 발열선(50)을 감싸는 절연피복(60)은 발열선(50)을 전기적 및 열적으로 보호하므로 내열성이 우수한 절연재료로 이루어진다.
발열선(50)과 이와 인접된 하나의 와이어(20) 끝단부는 접속부(70)로 서로 연결되며, 이들 발열선(50)과 와이어(20)의 선단부는 콘센트와 같은 전원공급부와 연결할 수 있도록 전원플러그가 조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와이어(20)와 발열선(50)은 직렬형의 전열회로를 구성하게 되며, 이때 와이어(20)는 주로 전원을 전달하는 리드선의 역할을 행하여 열이 발생하지 않고 발열선(50)이 발열기능을 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10)(20)의 일측단부에는 표시부(80)가 연결되어 반도체 소자(30)가 주위 온도 변화에 따라서 저항값이 변화하면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표시부(80)는 와이어(10)(20) 양단 사이에 미세한 전압을 간헐적으로 흘려주는 방식에 의해 전류값을 감시함으로써 발열선(50)의 발열 기능에 의한 온도 변화를 감지할 수도 있다. 즉, 발열선(50)이 제공된 전열장치의 제어장치 또는 조절기에서 발열선(50)에 공급되는 전원을 중지시켜 발열 기능을 순간적으로 정지시키고 와이어(10)(20) 사이에 약한 전압을 인가하여 전류값을 측정하는 방식으로도 온도 변화를 감시할 수 있다.
상기에서 표시부(80)는 저항값을 표시하는 지시계로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위험을 알리는 가청소리나 가시광선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전구간 온도감지가 가능한 전열케이블은 와이어(10)(20) 사이는 연속적인 병렬회로로 형성되고, 하나의 와이어(20)와 발열선(50)은 직렬전열회로를 이루게 된다.
이때 와이어(20)와 발열선(50)으로 전기를 공급하면 발열선(50)에서 발열하게되며, 발열선(50)의 발열에 따라서 그 열이 반도체 소자(30)로 전달되어 저항이 증가(PTC)하거나 저항이 감소(NTC) 하게되며, 이 저항값은 표시부(80)에 표시된다.
그리고 발열선(50)의 발열 동작 중, 발열선(50)에서 비정상적인 발열, 불완전한 전기 접촉에 의한 스파크, 순간적인 과열이 발생할 경우 반도체 소자(30)의 온도가 변화하게되고 이에 따라 와이어(10)(20) 사이의 저항값은 변화하게 되므로 이를 사용자기 표시부(80)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전열장치의 이상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확인 후 전열 장치의 온도 조절기 또는 기타 제어 장치에서 이에 상응하는 조치를 취하면 된다.
도 3a 내지 도 3g는 본 발명의 전열케이블이 여러 가지 형태로 제조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로서, 와이어(10a~10g)(20a~20g)는 좌우로 나란히 배치될 수도 있고, 상하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또 발열선(50a~50g)도 와이어(10a~10g)(20a~20g)의 일측면이나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설명되지 않은 부호 30a~30g는 반도체 소자, 40a~40g는 반도체소자를 감싸는 절연피복, 60a~60g는 발연선을 감싸는 절연피복을 나타낸다.
도 4a 및 도 4b는 반도체 소자(30) 및 발열선(50)의 전기적 특성곡선을 정성적으로 나타내는 그래프를 도시하고 있다.
도 4a 및 도 4b에서 PTC90, PTC130, ZTC, NTC, Ta는 아래와 같다.
PTC90: 90℃를 스위칭 온도로 갖는 PTC발열체 또는 90℃부근에서 저항이 급상승하는 PTC센서.
PTC130: 130℃부근에서 저항이 급상승하는 PTC센서 또는 130℃부근에서 출력이 급감하는 PTC 발열체.
ZTC: 온도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는 발열체.
NTC: 온도가 증가할 때 저항이 감소하는 NTC센서.
Ta: 실제 사용온도.
그리고 도 4b의 그래프는 PTC90 그리고 PTC130 제품을 센서로 사용할 경우,센서의 저항이 주위 온도에 따라 변화하는 경향을 나타낸 것이다. 즉 PTC90 제품은 90℃ 인근에서 저항이 무한대로 급격하게 상승하고, PTC130 제품은 130℃ 인근에서 급격한 저항 증가를 나타낸다. 도 4a는 PTC90 또는 PTC130 제품을 발열체로 사용하는 경우, 주위 온도의 변화에 대응하여 발열체의 단위 길이당 출력이 변화하는 사례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전열케이블을 이용하여 실험한 예로서 PTC 소자의 온도별 저항 변화를 측정 기록한 그래프이다.
156-01시, 156-02시, 156-03시, 156-04시, 156-05종은 모두 각기 다른 출발 저항을 갖는 PTC100 제품 샘플로서 주위 온도에 따른 저항 변화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PTC100: 100℃를 스위칭 온도로 갖는 PTC발열체 또는 100℃부근에서 저항이 급상승하는 PTC센서.
도 6은 PTC 제품별로 구분되어진 PTC 제품군별 특성(온도 VS 저항)그래프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에서 PTC100, PTC90, PTC130, PTC80은 아래와 같다.
PTC100: 100℃를 스위칭 온도로 갖는 PTC발열체 또는 100℃부근에서 저항이 급상승하는 PTC센서.
PTC90: 90℃를 스위칭 온도로 갖는 PTC발열체 또는 90℃부근에서 저항이 급상승하는 PTC센서.
PTC130: 130℃를 스위칭 온도로 갖는 PTC발열체 또는 130℃부근에서 저항이 급상승하는 PTC센서.
PTC80: 80℃를 스위칭 온도로 갖는 PTC발열체 또는 80℃℃부근에서 저항이 급상승하는 PTC센서.
도 7은 PTC 제품별로 구분되어진 출력 특성(온도 VS 출력)그래프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에서 PTC100, PTC90, PTC130, PTC80은 아래와 같다.
PTC100: 100℃를 스위칭 온도로 갖는 PTC발열체 또는 100℃부근에서 저항이 급상승하는 PTC센서.
PTC90: 90℃를 스위칭 온도로 갖는 PTC발열체 또는 90℃부근에서 저항이 급상승하는 PTC센서.
PTC130: 130℃를 스위칭 온도로 갖는 PTC발열체 또는 130℃부근에서 저항이 급상승하는 PTC센서.
PTC80: 80℃를 스위칭 온도로 갖는 PTC발열체 또는 80℃부근에서 저항이 급상승하는 PTC센서.
도 8은 본 발명의 전열케이블을 이용하여 제작된 제품(M)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상기 제품(M)은 온열매트, 히팅패드, 전기담요, 전기 찜질기, 발판매트, 건축용 히팅 패널 등에서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도면에서는 하나의 예로서 온열매트의 내부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제품(M)에 적용된 고정저항발열부인 발열선(50)의 단위 길이 당 상온(25.5℃)에서의 저항은 234.5(Ω/m) 이였고, 이를 총 4m 배열하였으며, 와이어(10)(20) 그리고 PTC로 이루어진 반도체 소자(30)는 케이블 형상으로 성형된 제품의 상온(25.5℃)에서의 단위 길이 당 병렬 저항은 3225(Ω/m) 이였고 이를 총 4m 배열하였을 때, 총 저항은 799 Ω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PTC 반도체 소자(30)소자의 선정은 다리미를 사용하여 시료의 한쪽 끝에 열을 가한 후, 온도 반응이 가장 우수한 시료를 선택하였다. 즉, 단위 길이당 저항이 큰 제품이 온도 반응 속도 및 반응 폭이 커서 온도 조절에 유리하므로 이를 사용하였다.
이러한 것을 사용한 상기 온열매트 제품(M)은 그 내부에 본 발명의 전열케이블이 코일형상으로 배치되고, 전열케이블은 제품(M) 외부로 연결 또는 연장되어 온도조절기 등과 같은 제어장치(90)와 연결된다.
그리고 제어장치(90)에는 제품(M)을 사용할 때 발열선(50)의 발열로 인하여 반도체 소자(30)의 저항값이 표시부(80)에 표시되어 이를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데, 발열선(50)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면 표시부(80)의 눈금이 정상범위로 표시된다.
그리고 발열선(50)에서 비정상적인 발열, 불완전한 전기 접촉에 의한 스파크, 순간적인 과열이 발생할 경우 반도체 소자(30)의 온도가 변화하게되고 이에 따라 와이어(10)(20) 사이의 저항값은 변하면서 표시부(80)의 눈금이 정상범위 이외의 이상범위로 변하게되며, 이를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하여 전열장치의 이상을 확인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전구간 온도감지가 가능한 전열케이블은 아래와 같은 기술적인 특장점 을 갖는다.
1) 기존 열선을 사용한 가정용 전열 장치가 국부 과열, 스파크, 화재 등으로 인해 인명 및 신체에 손상을 가할 우려가 높은 반면, 본 발명은 열선의 전 구간을 연속적으로 감시함으로써 안전성이 부과된다.
2) 상기 1)과 같은 문제를 극복하고자 케이블 또는 면 형상의 PTC 발열체를 사용하기도 하였으나, 열적 특성이 금속 또는 세라믹에 비해 상대적으로 취약한 플라스틱(또는 고분자) 발열 방식으로서 내부 발열에 의한 과다한 열의 노출 그리고 시간에 따른 노화 등으로 인해 플라스틱 소재의 가소성이 시간에 따라 감소함으로써 발열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였으나, 본원 발명과 같이 열적 특성이 우수한 금속 및 세라믹 소재의 고정 저항 발열체(ZTC)를 발열선(50)으로 사용함으로써 특성 저하 문제를 해결하였다.
3) 대신 PTC 또는 NTC 소자로 이루어진 반도체 소자(30)는 발열선(50) 대신 센서로 사용하게 됨으로써 내부 발열에 의한 과다한 열의 노출을 피할 수 있으므로 사용 연한을 향상시킬 수 있다.
4) 또한 PTC 발열체를 사용할 경우,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제 사용 온도 Ta에서 고정 저항 발열체(ZTC)와 동등한 출력을 내기 위해서는, 상온에서 ZTC 발열체에 비해 더욱 높은 출력을 필요로 하고 필연적으로 상온에서 저항이 상대적으로 아주 낮음으로써 초기 전류 문제를 야기한다. 이는 발열부 내부의 순간적인 과발열 뿐만 아니라 전열 제품의 온도조절기나 제어 장치에 전기적 열적 부하를 가중시킴으로써 비용 상승을 가져왔다. 따라서 고정발열체(ZTC)를 발열부로 사용함으로써 불필요한 초기 전류 문제를 극복하고 더욱 경제적인 제어 장치 제조가 가능하게 되었다.
5) 도 1에서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하나의 와이어(20)와 발열선(50)의 한 끝단을 꼬아 접촉시키고, 반대편에 사용 전압을 인가하여 발열부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고정 저항 발열체의 발열 기능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와이어(10)(20)들 사이에 사용 전압을 인가하여 발열부로 사용할 수도 있으므로 간단한 대응 조치로 전열 장치의 기능을 연장시킬 수 있다.
6) 와이어(10)(20)들 사이의 저항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모니터링 함으로써 온도 변화를 감시할 수 있다.
7) 제어장치(90)에서 발열선(50)의 발열 기능을 순간적으로 정지시키고 와이어(10)(20) 사이에 약한 전압을 인가하여 전류값을 측정하는 방식으로도 온도 변화를 감시할 수 있다.
8) 와이어(10)(20) 사이의 저항 또는 전류 변화를 모니터링하여 이를 전열 장치의 온도조절기 또는 제어장치(90)로부터 발열선(50)으로 인가되는 입력 전원과 연계시킴으로써 보다 효율적이고 연속적인 온도조절이 가능해진다.
9) 기존 전열 장치의 온도조절기 또는 제어 장치가 ON-OFF 방식을 주로 채택하고 있는데 이러한 불연속적인 단락에 의한 제어 방식의 경우, 접촉이 떨어지는 순간 전기적 아크(또는 스파크)를 발생시키고, 온도조절기 또는 제어 장치 내 전기 회로를 손상시키는 데 반해 본 발명에서는 단락 방식이 아닌 연속적인 제어가 가능하여 온도조절기 또는 제어장치의 수명을 향상시키고 불필요한 보호 장치를 제거할 수 있어 비용 절감이 가능하다.
10) 본 발명은 거의 모든 전열 장치에 응용 가능하며 주로 케이블 형상의 열선을 필요로 하는 전열 장치에 활용한다. 즉 유연성이 요구되는 크고 작은 크기의 전기 장판, 히팅 패드, 전기 담요, 전기찜질기 그리고 발판매드 등과 고정형의 건축용 히팅 판넬 등에 적용할 수 있다.
11) 저항값 감지를 위해 사용하는 표시부(80)인 멀티미터의 성능, 즉 입력 전압의 크기에 따라 dc전압의 강하를 고려하여 설치된 발열부 회로의 최대 길이를 설계하여 적용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가 예시를 목적으로 설명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구간 온도감지가 가능한 전열케이블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구간 온도감지가 가능한 전열케이블의 전기적 역할과 회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구간 온도감지가 가능한 전열케이블이 여러 가지 형태로 제조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구간 온도감지가 가능한 전열케이블의 전기적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구간 온도감지가 가능한 전열케이블을 이용하여 실험한 예로서 PTC 반도체 소자의 온도별 저항 변화를 측정 기록한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구간 온도감지가 가능한 전열케이블에 있어서 PTC 반도체 소자의 제품군별 온도 및 저항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구간 온도감지가 가능한 전열케이블에 있어서 PTC 반도체 소자의 제품군별 온도 및 출력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
도 8은 본 발명의 전열케이블을 이용하여 제작된 제품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Claims (8)

  1. 도체로 이루어지고 서로간에 간격을 유지하며 길이 방향으로 위치하는 2개의 와이어;
    상기 2개의 와이어를 감싸며 설치되며 반 도전성소재로 이루어져 이들 와이어의 온도변화에 따라서 저항값이 변화되는 반도체 소자;
    상기 반도체 소자의 표면을 감싸는 절연피복;
    상기 어느 하나의 와이어를 따라서 연장되어 그 끝단부가 상기 와이어와 연결되는 발열선;
    상기 2개의 와이어 일측 끝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발열선의 발열에 의하여 변하는 반도체 소자의 저항값 변화를 외부에서 확인하여 발열선의 과열여부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는 전구간 온도감지가 가능한 전열케이블.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소자는 PTC 소자, 또는 NTC 소자 중에서 어느 하나를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구간 온도감지가 가능한 전열케이블.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열선은 절연피복으로 피복된 상태로 반도체 소자의 표면을 감싸는 절 연피복의 외부 또는 내부에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구간 온도감지가 가능한 전열케이블.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열선은 ZTC 특성을 갖는 고정저항발열체로 이루어진 전구간 온도감지가 가능한 전열케이블.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들 사이는 연속적인 병렬회로로 형성되고, 이들 중 하나의 와이어와 발열선은 직렬전열회로를 이루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전구간 온도감지가 가능한 전열케이블.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와이어 양단 사이에 미세한 전압을 간헐적으로 인가하는 방식에 의해 전류값을 표시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구간 온도감지가 가능한 전열케이블.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가청소리나 또는 가시광선으로 발생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구간 온도감지가 가능한 전열케이블.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및 발열선은 유연성을 갖추어 자유롭게 휘어짐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구간 온도감지가 가능한 전열케이블.
KR1020080123264A 2008-12-05 2008-12-05 전구간 온도 감지가 가능한 전열케이블 KR201000647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3264A KR20100064704A (ko) 2008-12-05 2008-12-05 전구간 온도 감지가 가능한 전열케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3264A KR20100064704A (ko) 2008-12-05 2008-12-05 전구간 온도 감지가 가능한 전열케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4704A true KR20100064704A (ko) 2010-06-15

Family

ID=42364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3264A KR20100064704A (ko) 2008-12-05 2008-12-05 전구간 온도 감지가 가능한 전열케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6470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81144A1 (en) * 2017-11-03 2019-05-08 Pentair Thermal Management LLC Pre-heating dual heater with improved in-rush performance
CN113329533A (zh) * 2021-04-26 2021-08-31 安徽华瑞电气有限公司 一种具有温度检测功能的电加热带
CN115602367A (zh) * 2022-10-25 2023-01-13 扬州市中能电缆有限公司(Cn) 一种舰船用耐腐蚀防盐雾低烟无卤通信电缆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81144A1 (en) * 2017-11-03 2019-05-08 Pentair Thermal Management LLC Pre-heating dual heater with improved in-rush performance
CN113329533A (zh) * 2021-04-26 2021-08-31 安徽华瑞电气有限公司 一种具有温度检测功能的电加热带
CN113329533B (zh) * 2021-04-26 2023-08-25 安徽华瑞电气有限公司 一种具有温度检测功能的电加热带
CN115602367A (zh) * 2022-10-25 2023-01-13 扬州市中能电缆有限公司(Cn) 一种舰船用耐腐蚀防盐雾低烟无卤通信电缆
CN115602367B (zh) * 2022-10-25 2023-09-22 扬州市中能电缆有限公司 一种舰船用耐腐蚀防盐雾低烟无卤通信电缆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38714E1 (en) Electrical safety device
US5861610A (en) Heater wire with integral sensor wire and improved controller for same
EP1829425B1 (en) Control of heating cable
WO2005118202A3 (en) Heater wire and control therefor
CN101098571A (zh) 电热地毯的温控器
US7151241B2 (en) Controller and heating wire capable of preventing gener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US8173938B2 (en) Controller for a heating cable
JP2021521589A (ja) 温度センシング電源ピン及び補助センシングジャンクションを備えた抵抗ヒータ
KR20100064704A (ko) 전구간 온도 감지가 가능한 전열케이블
JP5313597B2 (ja) 凍結防止ヒーターおよびその凍結防止システム
JP5313598B2 (ja) ヒーター用ケーブルとそれを備えた凍結防止ヒーター
JP2007531203A (ja) ヒーティング・ブランケット
KR100871682B1 (ko) 전기장 및 자기장 차단 발열선
KR200414017Y1 (ko) 온도감지형 발열히터
KR200399623Y1 (ko) 침구류용 무자계 발열선
CN108563879B (zh) 一种基于有限元仿真的电缆负载测量装置及测量方法
KR102502765B1 (ko) 전기담요 발열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840601B1 (ko) 온도센서 및 이것을 사용한 난방 시스템
CN220981439U (zh) 一种超温监测控制系统及电地暖
JPH081590Y2 (ja) 暖房用シート体
JP3640699B2 (ja) ヒー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30063787A (ko) 히터 자켓
CN202084133U (zh) 一种带自检加热的可恢复式线型感温探测器
KR200309559Y1 (ko) 발열선
KR200255095Y1 (ko) 온도 감응형 히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