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4579A - 쇽업소버 - Google Patents

쇽업소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4579A
KR20100064579A KR1020080123080A KR20080123080A KR20100064579A KR 20100064579 A KR20100064579 A KR 20100064579A KR 1020080123080 A KR1020080123080 A KR 1020080123080A KR 20080123080 A KR20080123080 A KR 20080123080A KR 20100064579 A KR20100064579 A KR 201000645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piston valve
shock absorber
coil spring
elastic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3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백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0801230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64579A/ko
Publication of KR20100064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45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4Special valve constructions; Shape or construction of throttling passages
    • F16F9/348Throttling passages in the form of annular discs or other plate-like elements which may or may not have a spring action, operating in opposite directions or singly, e.g. annular discs positioned on top of the valve or piston bod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06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both gas and liquid
    • F16F9/061Mono-tubula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06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both gas and liquid
    • F16F9/066Units characterised by the partition, baffle or like element
    • F16F9/067Partitions of the piston type, e.g. sliding pist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50Special means providing automatic damping adjustment, i.e. self-adjustment of damping by particular sliding movements of a valve element, other than flexions or displacement of valve discs; Special means providing self-adjustment of spring characteristics
    • F16F9/512Means responsive to load action, i.e. static load on the damper or dynamic fluid pressure changes in the damper, e.g. due to changes in velocity
    • F16F9/5126Piston, or piston-like valv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여기에서는 모노튜브형 구조에 특히 잘 부합되며, 피스톤밸브가 위치하는 튜브 내에 프리피스톤 및 그 프리피스톤과 상호작용 하여 추가적으로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수단이 더 마련된 쇽업소버가 개시된다. 개시된 쇽업소버는, 피스톤밸브와, 상기 피스톤밸브가 왕복운동가능하게 수용되는 튜브와, 상기 피스톤밸브의 왕복운동에 의해 상하 이동되며, 상기 튜브 내부를 오일챔버와 가스챔버로 구획하는 프리피스톤과, 상기 피스톤밸브와 상기 프리피스톤 사이에 위치하며, 임의의 구간에서, 상기 피스톤밸브와 상기 프리피스톤에 의해 양단이 눌려 탄성적으로 압축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쇽업소버, 모노튜브형, 튜브, 프리피스톤, 피스톤밸브, 탄성부재, 코일스프링

Description

쇽업소버{SHOCK ABSORBER}
본 발명은 쇽업소버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모노튜브형 구조에 특히 잘 부합되며, 피스톤밸브가 위치하는 튜브 내에 프리피스톤 및 그 프리피스톤과 상호 작용하여 추가적으로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수단이 더 마련된 쇽업소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쇽업소버는 차축과 차체 사이에 설치되어 차량 주행시 노면으로부터 받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장치로서, 그 내부에는 감쇠력을 발생시키도록 오일 및 가스 등의 유체가 채워진다.
일반적으로, 모노튜브형 쇽업소버는 하나의 튜브 내에 오일챔버와 가스챔버가 함께 제공되어 오일챔버 내의 압력 변화를 가스챔버 내의 용적 또는 압력을 통해 보상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가스챔버와 오일챔버의 분리를 위해 프리피스톤이 튜브 내부에 습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프리피스톤을 이용하는 종래의 쇽업소버, 특히, 모노튜브형 쇽업소버는, 피스톤밸브만으로 감쇠력을 발생시키므로, 바디밸브를 추가로 이용하는 쇽업소버, 특히, 트윈튜브형 쇽업소버에 비해, 감쇠력 특성이 극히 제한되고 좁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해, 피스톤 밸브 또는 그와 관련된 부품의 구조를 바꾸는 안들이 제안되었지만, 그러한 안들은 복잡한 구조를 요하며, 복잡성에 비해 성능이 크게 떨어진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피스톤밸브와 프리피스톤 사이에 탄성(또는 스프링상수)을 갖는 부재를 마련하여, 그 부재를 통해, 추가의 감쇠력을 더 발생시킬 수 있는 쇽업소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라, 피스톤밸브와, 상기 피스톤밸브가 왕복운동가능하게 수용되는 튜브와, 상기 피스톤밸브의 왕복운동에 의해 상하 이동되며, 상기 튜브 내부를 오일챔버와 가스챔버로 구획하는 프리피스톤과, 상기 피스톤밸브와 상기 프리피스톤 사이에 위치하며, 임의의 구간에서, 상기 피스톤밸브와 상기 프리피스톤에 의해 양단이 눌려 탄성적으로 압축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쇽업소버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부재는 일단이 상기 프리피스톤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피스톤밸브와 분리된 상태로 접촉하는 코일스프링일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코일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프리피스톤 상부에 형성된 안착홈에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코일스프링의 타단은 상기 피스톤밸브 의 하부에 있는 디스크 고정용 와셔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피스톤밸브와 프리피스톤 사이에서 탄성적으로 압축 및 복원되는 탄성부재를 배치하여, 그 탄성부재가 임의의 구간에서 추가의 감쇠력을 더 발생시킬 수 있으며, 이는 간단한 탄성부재의 추가 설치만으로 감쇠력 특성의 개선 및 다양화를 구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에 의한 추가의 감쇠력 발생 구조에 의해, 차량의 코너링시 자세 제어에 특히 적합한 감쇠력 특성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로 간단한 구조의 코일스프링을 이용하면, 코일스프링을 프리피스톤 상부의 깊은 안착홈에 끼워 고정하는 방식으로 본 발명이 쉽고 간단하게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코일스프링 일단이 프리스톤 상부의 안착함에 끼워지고 코일스프링 상단을 피스톤밸브의 디스크 고정용 와셔에 접촉시키도록 배치시킬 수 있는데, 디스크 고정용 와셔는 기존 쇽업소버에서 피스톤밸브의 설치에 이용되던 것으로 새로운 부품을 추가하지 않게 해주며, 또한, 코일스프링에 대한 넓은 접촉면적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매우 유리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이하 실시예의 설명에서, 단일 튜브를 갖는 모노튜브형 쇽업소버에 대해 주로 설명이 이루어지지만, 프리피스톤에 대하여 일측에는 피스톤밸브가 있고 프리피스톤에 대하여 타측에는 가스 등의 유체가 압축되는 공간을 갖는 쇽업소버라면, 튜브의 개수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노튜브형 쇽업소버를 도시한 종단면도들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모노튜브형 쇽업소버(1)는, 하나의 원통형 튜브(10)와, 상기 튜브(10) 내부에 상하 왕복가능하게 수용되는 피스톤밸브(20)와, 일단이 상기 피스톤밸브(20)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튜브(10)의 외측으로 연장된 피스톤로드(22)와, 상기 튜브(10) 내부를 오일챔버(12)와 가스챔버(14)로 구획 분리하는 프리피스톤(30)을 포함한다.
상기 피스톤밸브(20)는 오일챔버(12)에 위치하며, 피스톤로드(22)와 튜브(10)의 상대 운동에 따라, 상기 튜브(10) 내에서 왕복 운동한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밸브(20)에 의해 상기 오일챔버(12)는 피스톤밸브(20) 바로 위쪽의 신장실(12a)과 프리피스톤(30) 바로 위쪽의 압축실(12b)로 구획된다. 상기 피스톤밸브(20)가 리바운드 행정에 의해 상승하면, 상기 압축실(12b) 내 압력은 저하되고, 상기 피스톤밸브(20)가 콤프레션 행정에 의해 하강하면, 상기 압축실(12b) 내 압력 은 증가한다. 그러한, 압축실(12b) 내 압력 감소에 따라, 상기 프리피스톤(30)도 상승 및 하강을 반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모노튜브형 쇽업소버(1)는, 도 1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밸브(20)와 프리피스톤(30) 사이에서 그들에 의해 눌려 압축될 수 있는 탄성부재로서의 코일스프링(4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코일스프링(40)은 프리피스톤(30) 중앙에 깊게 형성된 안착홈(31)에 끼워져 고정된다. 또한, 상기 코일스프링(40)은 하강하는 피스톤밸브(20)와 최초 접하는 시점으로부터 압축되기 시작한다. 이에 따르면, 코일스프링(40)이 작용하지 않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구간에서는, 통상의 쇽업소버와 마찬가지로, 피스톤밸브(20)에 의해서만 감쇠력이 발생되며, 피스톤밸브(20)와 프리피스톤(30) 사이에서 코일스프링(40)이 압축되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구간에서는 피스톤밸브(20)에 의한 감쇠력과 코일스프링(40)에 의한 감쇠력이 함께 발생한다.
본 실시예의 쇽업소버(1)는, 상기 코일스프링(40)에 의한 추가적인 감쇠력 발생 구조를 가짐으로써, 복잡한 별도의 추가 감쇠력 발생구조를 가지지 않고도, 다양한 감쇠력 특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위와 같은 감쇠력 특성은 특히 차량 코너링 시 차량의 자세 제어에 적합하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코일스프링(40)의 일단은 상기 프리피스톤(30)의 안착홈(31)에 끼워져 고정되는데, 상기 코일스프링(40)의 타단은 피스톤밸브(20)의 밸브 디스크(21)에 어떠한 영향을 주지 않는 디스크 고정용 와셔(22)와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디스크 고정용 와셔(22)는, 상기 피스톤밸브(20)의 유로 개 폐용 밸브 디스크(21)들을 피스톤로드(22) 말단에 체결되는 너트(23)와 함께 고정하는 부분으로, 기존 피스톤밸브(20)의 변형을 요구하지 않으며, 코일스프링(40)과 평활하게 접촉할 수 있는 충분한 면적 및 평탄도를 갖고 있다.
도 1 및 도 2에는 스프링 직경이 일정한 일자형 코일스프링이 도시되어 있지만, 다양한 스프링 상수 구현을 위해, 다양한 형상의 코일스프링이 이용될 수 있으며, 그 대표적인 형태가 중간의 스프링 직경이 양단의 스프링 직경보다 작은 장구형 코일스프링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이 특정 실시예를 중심으로 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취지 및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변경 또는 수정이 당해 기술분야에서 있을 수 있으며, 따라서, 전술한 설명 및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닌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쇽업소버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피스톤밸브와 프리피스톤 사이에서 코일스프링이 압축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쇽업소버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 1에 도시된 압축상태로부터 코일스프링이 복원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Claims (3)

  1. 피스톤밸브;
    상기 피스톤밸브가 왕복운동가능하게 수용되는 튜브;
    상기 피스톤밸브의 왕복운동에 의해 상하 이동되며, 상기 튜브 내부를 오일챔버와 가스챔버로 구획하는 프리피스톤; 및
    상기 피스톤밸브와 상기 프리피스톤 사이에 위치하며, 임의의 구간에서, 상기 피스톤밸브와 상기 프리피스톤에 의해 양단이 눌려 탄성적으로 압축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쇽업소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일단이 상기 프리피스톤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피스톤밸브와 분리된 상태로 접촉하는 코일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코일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프리피스톤 상부에 형성된 안착홈에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코일스프링의 타단은 상기 피스톤밸브의 하부에 있는 디스크 고정용 와셔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
KR1020080123080A 2008-12-05 2008-12-05 쇽업소버 KR201000645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3080A KR20100064579A (ko) 2008-12-05 2008-12-05 쇽업소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3080A KR20100064579A (ko) 2008-12-05 2008-12-05 쇽업소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4579A true KR20100064579A (ko) 2010-06-15

Family

ID=42364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3080A KR20100064579A (ko) 2008-12-05 2008-12-05 쇽업소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6457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30670A (zh) * 2018-06-25 2019-12-31 保时捷股份公司 主动式底盘减振系统的阀块和安装主动式底盘减振系统的减振器的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30670A (zh) * 2018-06-25 2019-12-31 保时捷股份公司 主动式底盘减振系统的阀块和安装主动式底盘减振系统的减振器的方法
CN110630670B (zh) * 2018-06-25 2021-07-13 保时捷股份公司 主动式底盘减振系统的阀块和安装主动式底盘减振系统的减振器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78845B2 (en) Frequency/pressure sensitive shock absorber
US9541153B2 (en) Valve structure of shock absorber
KR101254233B1 (ko) 쇽업소버의 밸브 구조
US9086111B2 (en) Valve assembly of shock absorber
CN105782326B (zh) 阻尼力可变型减震器
US8418820B2 (en) Shock absorber and its hydraulic stopper
US20140353097A1 (en) Frequency sensitive type shock absorber
US9611915B2 (en) Valve structure of shock absorber
US20150047934A1 (en) Low pressure high compression damping monotube shock absorber having a baffle
KR101389284B1 (ko) 쇽 업소버 이물 실드
US20090236194A1 (en) Valve apparatus of shock absorber
KR20100093775A (ko) 쇽업소버
US8146721B2 (en) Self leveling shock absorber
KR20100064579A (ko) 쇽업소버
KR20120030747A (ko) 쇽업소버의 피스톤 밸브 조립체
KR101419735B1 (ko) 중공의 아이 부재를 갖는 모노 튜브식 쇽업소버
CN107642575A (zh) 一种高可靠性的汽车双筒式减振器
KR101337582B1 (ko) 주파수 감응형 쇽업소버
KR101218832B1 (ko) 래그가 억제되는 단일 튜브형 쇽업소버
KR101194805B1 (ko) 컴프레션 스프링을 갖는 쇽업소버
KR101194809B1 (ko) 모노 튜브식 쇽업소버
KR100781658B1 (ko) 쇽업소버
JPH07229534A (ja) 油圧緩衝器
KR20060005113A (ko) 차량용 현가장치의 쇽업소버
KR20030050607A (ko) 자동차의 쇽업소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