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4551A - 냉장고의 도어조립체 - Google Patents

냉장고의 도어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4551A
KR20100064551A KR1020080123043A KR20080123043A KR20100064551A KR 20100064551 A KR20100064551 A KR 20100064551A KR 1020080123043 A KR1020080123043 A KR 1020080123043A KR 20080123043 A KR20080123043 A KR 20080123043A KR 20100064551 A KR20100064551 A KR 201000645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door
drawer
assembly
refrig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3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3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64551A/ko
Publication of KR20100064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45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23Fastening devices for slides or guides
    • A47B88/427Fastening devices for slides or guides at drawer 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40Refriger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electrical wi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Lighting arrangements
    • F25D27/005Lighting arrangements combined with 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2Sensors detecting door op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의 도어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본체(10)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본체(10)에 형성된 저장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서랍식도어(30)와; 상기 서랍식도어(30)와 상기 저장공간의 양측에 서로 대응되게 구비되어 상기 서랍식도어(30)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레일어셈블리(60)와; 상기 서랍식도어(30)의 슬라이딩에 연동하여 상기 본체(10)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되고 검출가능한 물리량을 갖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부(70)와; 상기 신호발생부(70)와의 이격거리에 따라 상기 서랍식도어(30)의 개방여부를 감지하는 센서(8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도어의 조명등을 작동시키는 신호발생부와 센서가 저장공간의 후방에 구비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신호발생부와 센서가 서로 접촉되지 않으므로 서랍식 도어의 반복적인 개폐에도 마찰에 의한 마모가 발생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신호발생부, 자성체, 센서, 레일어셈블리

Description

냉장고의 도어조립체{Door assembly of refrigerator}
본 발명은 음식물이 그 내부에 저장된 상태로 냉장고의 전후방향으로 이동하여 개폐되는 도어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냉매(작동유체)의 상변화를 통해 발생하는 냉기를 이용하여 냉장고 내부에 저장되는 음식물들을 저온으로 냉동 또는 냉장저장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와 같은 냉장고는 내부에 음식물을 저온 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냉동실 및 냉장실이 구비된 본체와, 냉동실 및 냉장실의 전면 개구를 회동에 의하여 개폐할 수 있도록 본체에 힌지결합되는 냉동실도어 및 냉장실도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을 구성하는 다수의 전장부품들과 냉매의 순환에 의해 냉장고 내부의 냉동실과 냉장실을 냉각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냉장고는 저온/저압의 가스 냉매를 고온/고압의 가스 냉매로 승온/승압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로부터 유입된 냉매를 외기에 의해 응축시키는 응축기와, 다른 부분의 직경에 비해 협소한 직경으로 이루어져 상기 응축기로부터 유입된 냉매를 감압팽창시키는 팽창밸브와, 상기 팽창밸브를 통과 한 냉매가 저압상태에서 증발됨에 따라 고내(庫內)의 열을 흡수하는 증발기를 기본 부품으로 하여 냉동사이클을 구성한다.
냉장고의 도어에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도어를 개방하지 아니하고 도어의 배면에 수납된 음식물을 도어의 외측에서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는 홈바 또는 디스펜서 등 각종 편의장치들이 구비된다.
냉장고는 냉동실 및 냉장실이 상하로 형성되고 냉동실도어 및 냉장실도어가 각각 냉동실 및 냉장실에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소위 탑 마운트 타입(Top mount type)과, 냉장실 및 냉동실이 상하로 형성되고 냉장실도어가 냉장실의 좌우측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서랍식 냉동실도어가 냉동실의 전후로 슬라이딩되어 개폐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소위 바텀프리저타입(Bottom freezer type)과, 냉장고가 대형화됨에 따라 냉동실 및 냉장실이 좌우로 상호 나란하게 형성되고 냉동실도어와 냉장실도어가 양측단부를 회동 중심으로 하여 개폐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소위 사이드 바이 사이드타입(Side by side type)으로 구분된다.
한편, 냉장고의 저장공간에는 도어의 개폐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작동하는 조명등이 설치되는데, 일반적으로 조명등은 본체의 전면 가장자리에 구비되어 도어의 개폐여부를 감지하는 스위치에 의해 작동된다.
그러나, 냉장고의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개폐되는 서랍식 도어의 경우 조명등을 작동시키는 스위치가 본체의 전면에 구비되면 도어가 개방되었을 스위치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이 불가피하여 냉장고의 내부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서랍식 도어에 구비되는 스위치는 일반적으로 도어와의 물리적인 접촉에 의해 작동하므로 반복적인 접촉에 의하여 손상 가능성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의 개방시 조명등에 연결된 스위치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냉장고의 도어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명등에 연결된 스위치가 도어와 물리적인 접촉 없이 작동하는 냉장고의 도어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본체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본체에 형성된 저장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서랍식도어와; 상기 서랍식도어와 상기 저장공간의 양측에 서로 대응되게 구비되어 상기 서랍식도어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레일어셈블리와; 상기 서랍식도어의 슬라이딩에 연동하여 상기 본체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되고 검출가능한 물리량을 갖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부와; 상기 신호발생부와의 이격거리에 따라 상기 서랍식도어의 개방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랍식도어의 후방에는 상기 레일어셈블리에 연결되는 레일프레임이 길 게 구비되고, 상기 신호발생부는 상기 레일어셈블리 또는 상기 레일프레임의 후단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신호발생부는, 상기 레일어셈블리 또는 상기 레일프레임에 결합되는 결합부재와; 상기 결합부재의 선단에 구비되고 자성을 지닌 자성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서는 상기 자성체의 자력의 세기를 감지하고, 상기 센서에 연결된 제어부는 상기 서랍식도어의 개방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저장공간에 설치된 조명등을 선택적으로 작동시킴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서와 상기 신호발생부는 서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서는 상기 저장공간의 후방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스페이서의 선단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레일어셈블리는, 상기 냉동실의 양측에 고정설치되고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레일지지부와; 상기 레일지지부를 따라 상기 본체의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무빙레일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레일지지부에는 그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고정레일이 고정되게 설치되고, 상기 고정레일과 상기 무빙레일 사이에는 상기 고정레일의 이동범위를 확장시켜 주는 가이드레일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본체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본체에 형성된 저장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고, 후방에는 레일프레임이 길게 형성되는 서랍식도어와; 상기 저장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서랍식도어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레일어셈블리와; 상기 레일프레임 또는 상기 레일어셈블리의 후단에 설치되고 검출가능한 물리량을 갖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부와; 상기 신호발생부와의 이격거리에 따라 상기 신호발생부에서 발생하는 신호의 세기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신호발생부는, 상기 레일어셈블리 또는 상기 레일프레임에 결합되는 결합부재와; 상기 결합부재의 선단에서 상기 센서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비되고 자성을 지닌 자성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서는 상기 저장공간의 후방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스페이서의 선단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도어의 조명등을 작동시키는 신호발생부와 센서가 저장공간의 후방에 구비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서랍식 도어가 열렸을 때 외부로 노출되는 저장공간이 미려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신호발생부와 센서가 서로 접촉되지 않으므로 서랍식 도어의 반복적인 개폐에도 마찰에 의한 마모가 발생되지 않아 저장실을 밝히는 조명등의 작동이 원할하게 오랜시간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도어조립체 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조립체가 채용된 냉장고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부분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 및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구성을 각각 보인 평면도 및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도어의 개방에 따른 조명등의 작동을 위한 제어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냉장고의 외관 및 골격을 형성하는 본체(1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본체(10)의 내부에는 음식물이 저장되는 저장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본체(10)의 저장공간에는 냉장실(도시되지 않음) 및 냉동실(12)이 상하로 구획되어 형성된다. 상기 냉장실의 내부에는 다양한 종류의 음식물을 저장하기 위해서 다수의 선반과 서랍 바스켓 등이 구비된다. 상기 본체(10)는 냉동사이클을 구성하는 다수의 전장부품들과 냉매의 순환에 의해 냉장고 내부의 냉동실과 냉장실을 냉각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본체(10)의 배면 하부 영역에는 기계실(도시되지 않음)이 마련된다. 상기 기계실의 내부에는 저온 저압의 가스 상태인 냉매를 압축시켜 고온 고압의 가스 상태로 냉매를 출력하는 압축기(도시되지 않음)와, 상기 압축기로부터 전달된 고온 고압의 냉매를 외부 공기에 의해 냉각 및 응축시키는 응축기(도시되지 않음)와, 상기 응축기를 지난 냉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밸브(도시되지 않음)와, 상기 응축기와 상기 밸브를 차례로 통과한 고압 액체 상태의 냉매를 감압시켜 출력하는 모세관(도 시되지 않음)과; 상기 압축기와 응축기의 발열로 인해 온도가 높아진 기계실 내부를 냉각시키는 냉각팬 등이 각각 설치된다.
또한, 상기 본체(10)에서 상기 저장공간에 인접한 냉기발생실(도시되지 않음)에는 상기 모세관으로부터 유입된 냉매가 저압 상태에서 낮은 온도로 증발하여 열을 흡수하는 증발기(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된다.
상기 본체(10)의 개구된 전면에는 각각 도어(20)가 장착된다. 상기 도어(20)는 상기 본체(10)의 냉장실을 선택적으로 차폐하기 위한 것으로 각각 좌측과 우측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한편, 상기 냉동실(12)의 양측에는 측벽(14)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측벽(14)은 상기 본체(10)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이므로 상기 본체(10)와 명확히 구별되는 것은 아니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구분한 것이다. 상기 측벽(14)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고정레일(64)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12)에는 서랍식도어(30)가 구비된다. 상기 서랍식도어(30)는 아래에서 설명될 레일(60)에 의해 상기 본체(10)의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어 상기 저장공간, 즉 상기 냉동실(12)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서랍식도어(30)는 설계조건에 따라 상기 냉동실(12)이 아닌 냉장실을 개폐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으며, 상기 서랍식도어(30)에 의해 개폐되는 저장공간이 상기 냉동실(12)이 아닌 냉장실이 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서랍식도어(30)의 전면에는 핸들(32)이 구비된다. 상기 핸들(32)은 상기 서랍식도어(30)의 개폐를 위해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서랍 식도어(30)에는 레일프레임(34)이 구비된다. 상기 레일프레임(34)은 상기 서랍식도어(30)의 후방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레일프레임(34)은 상기 서랍식도어(30)의 양측면에 동일한 높이로 각각 설치된다. 상기 레일프레임(34)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저장박스(50)가 안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레일프레임(34)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무빙레일(66) 및 가이드레일(68) 등이 설치된다.
상기 냉동실(12)에는 인출서랍(40) 및 저장박스(50)가 구비된다. 상기 인출서랍(40) 및 저장박스(50)는 주로 육류나 생선 또는 장기간의 보관을 필요로 하는 음식물이 보관되며, 크기가 큰 음식물부터 작은 음식물까지 다양하게 보관할 수 있다. 즉, 상기 인출서랍(40)은 비교적 작은 음식물을 보관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박스(50)는 상기 인출서랍(40)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음식물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저장박스(50)는 상기 레일프레임(34)에 안착된 상태로 상기 냉동실(12)의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인출 또는 수납된다.
한편, 상기 본체(10)와 상기 서랍식도어(30)에는 레일어셈블리(60)가 설치된다. 상기 레일어셈블리(60)는 상기 서랍식도어(30)와 상기 저장공간의 양측에 서로 대응되게 구비되어 상기 서랍식도어(30)가 상기 냉동실(12)의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레일어셈블리(60)는 상기 냉동실(12)의 측벽(14)에 고정설치되는 레일지지부(62)와 상기 레일지지부(62)를 따라 상기 본체(10)의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무빙레일(6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레일지지부(62)는 상기 냉동실(12)의 측벽(14)에 나사로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레일지지부(62)는 상기 냉동실(12)의 양측면의 동일한 높이에 전 후방으로 길게 구비된다.
또한, 상기 레일지지부(62)에는 그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고정레일(64)이 고정설치되고, 상기 고정레일(64)에는 상기 무빙레일(66)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고정레일(64)과 상기 무빙레일(66) 사이에는 상기 고정레일(64)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무빙레일(66)의 이동범위를 확장시켜 주는 가이드레일(68)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레일지지부(62)는 일반적으로 합성수지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레일(64), 무빙레일(66) 및 가이드레일(68)은 강성이 큰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빙레일(66)은 상기 레일프레임(34)에 결합된다.
상기 가이드레일(68)은 상기 고정레일(64)을 따라 소정 범위에서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무빙레일(66)은 상기 가이드레일(68) 상에서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고정레일(64), 무빙레일(66) 및 가이드레일(68)은 전체적으로 그 종단면이 'ㄷ'자 모양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각각의 레일이 서로 이동되는 것을 안내하면서도 강성을 확보하여 지지력을 높일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일어셈블리(60)에는 신호발생부(70)가 구비된다. 상기 신호발생부(70)는 상기 서랍식도어(30)의 슬라이딩에 연동하여 상기 본체(10)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된다. 상기 신호발생부(70)는 아래에서 설명될 센서(84)가 검출가능한 물리량을 갖는 신호를 발생시킨다. 상기 신호발생부(70)는 센서(84)에 대응되게 구비된다. 상기 신호발생부(70)는 센서(84)가 감지할 수 있는 전기력 또는 자기력 등의 신호를 발생시킨다. 상기 신호 발생부(70)는 상기 레일프레임(34)의 후단에 구비되어 상기 서랍실도어(30)를 인출시켜 상기 냉동실(12)이 개방되더라도 외부에 거의 노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신호발생부(70)는 결합부재(72)와 자성체(7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결합부재(72)는 상기 자성체(74)를 상기 레일프레임(34)에 결합시키기 위한 매개체가 된다. 그리고, 상기 자성체(74)는 쇳조각을 끌어당기거나 전류에 작용을 미치는 자성을 지닌 물체를 말하며 구체적으로는 자석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자성체(74)는 상기 결합부재(72)에 의해 상기 레일프레임(34)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다만, 상기 자성체(74)는 설계조건에 따라 상기 결합부재(72)에 결합되지 않고 직접 상기 레일프레임(34)에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자성체(74)는 상기 레일프레임(34)에 구비되지 않고, 센서(84)에 대응되는 상기 무빙레일(66) 또는 가이드레일(68)에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12)의 후방에는 후방패널(80)이 형성된다. 상기 후방패널(80)은 상기 측벽(14)과 함께 상기 냉동실(12)을 구획하는 구성이다. 상기 후방패널(80)은 설계조건에 따라 상기 기계실 또는 냉기가 유동하는 냉기덕트와 상기 냉동실(12)을 구획하기 위하여 사용되기도 한다.
상기 후방패널(80)에는 스페이서(82)가 구비된다. 상기 스페이서(82)는 상기 신호발생부(70)에 대응되게 구비된다. 상기 스페이서(82)는 상기 후방패널(80)에서 상기 레일프레임(34)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스페이서(82)가 돌출되게 형성됨에 의하여 아래에서 설명될 센서(84)가 상기 레일어셈블리(60)에 상대적으로 가깝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센서(84)와 상기 신호발생부(70)는 서로 이격된 상태 를 유지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스페이서(82)의 선단에는 센서(84)가 구비된다. 상기 센서(84)는 소리, 빛, 온도, 압력, 자성 등의 여러 가지 물리량을 검출하는 소자(素子)를 말한다. 상기 센서(84)는 상기 신호발생부(70)와의 이격거리에 따라 상기 저장공간, 즉 상기 냉동실(12)에 설치된 조명등(90)을 작동시킨다. 상기 센서(84)는 상기 신호발생부(70)에서 발생되는 신호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84)는 상기 자성체(74)의 자성의 세기를 감지할 수 있는 소자가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센서(84)는 설계조건에 따라 상기 신호발생부(70)가 접근함에 따라 변화하는 빛의 강약 등을 감지하는 소자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신호발생부(70)에는 상기 자성체(74)가 아닌 빛을 조사하는 구성이 사용된다.
상기 센서(84)는 상기 신호발생부(70)의 접근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서랍식도어(30)의 개방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센서(84)에서 발생된 전기적 신호에 의해 상기 냉동실(12)의 내부에 구비된 조명등(90)이 선택적으로 켜지거나 꺼지게 된다. 즉, 상기 신호발생부(70)와 상기 센서(84)의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서랍식도어(30)의 개방여부가 감지되고, 상기 서랍식도어(30)의 개폐에 연동하여 상기 조명등(90)이 켜지거나 꺼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조명등(90)은 상기 서랍식도어(30)가 개방되었을 때, 사용자가 상기 서랍식도어(30)의 내부에 저장된 음식물 등을 식별할 수 있도록 빛을 발산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의 모든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00)가 구비되는데, 상기 제어부(100)는 냉장고 내부의 작동환경 의 변화를 감지하여 각 구성요소들의 작동상태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어부(100)의 입력단에는 냉장고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10)와, 상기 서랍식도어(30)의 개방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84)가 연결된다. 상기 센서(84)는 상기 신호발생부(70)에서 발생하는 신호의 세기를 감지하여 상기 서랍식도어(30)의 개방여부를 감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0)의 출력단에는 상기 저장공간, 즉 상기 냉동실(12) 내부에 빛을 발산하는 조명등(90)이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명령에 따라서 동작을 실행한다. 즉,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센서(84)에 의해 상기 서랍식도어(30)의 개방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서랍식도어(30)가 열리면 상기 조명등(90)을 작동시켜 상기 냉동실(12)의 내부에 빛을 발산하고, 상기 서랍식도어(30)가 닫히면 상기 조명등(90)을 끄게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도어조립체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에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서랍식 도어가 열린 상태와 닫힌 상태를 보인 설명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서랍식도어(30)는 상기 레일어셈블리(60)에 의하여 상기 본체(10)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냉동실(12)을 개폐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신호발생부(70)는 상기 센서(84)에 대응되는 상기 레일프레임(34) 또는 상기 레일어셈블리(60)의 후단에 구비되어 상기 레일프레임(34)의 슬라이딩에 의하여 상기 센서(84)에 가까워지거나 멀어지게 된다.
도 6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랍식도어(30)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 상기 신호발생부(70)는 상기 센서(84)에 가장 근접하게 된다. 이때, 상기 신호발생부(70)는 상기 센서(84)에 접촉되지 않고, 상기 센서(84)는 상기 신호발생부(70)에서 발생되는 자기력의 세기를 감지하여 상기 서랍식도어(30)의 닫혀있다고 판단한다. 즉, 상기 신호발생부(70)가 상기 센서(84)에 일정거리 내로 근접하면 상기 센서(84)가 상기 서랍식도어(30)가 닫혀있다고 판단하고 상기 냉동실(12)에 설치된 조명등(90)이 꺼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7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랍식도어(30)가 열리면, 상기 신호발생부(70)가 상기 센서(84)에서 멀어지게 된다. 상기 신호발생부(70)가 상기 센서(84)에서 일정거리 이상으로 이격되면 자기력이 약해지고 상기 센서(84)는 이를 감지하여 상기 서랍식도어(30)가 열려있다고 판단한다. 즉, 상기 신호발생부(70)가 상기 레일프레임(34) 또는 상기 레일어셈블리(60)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센서(84)에서 멀어지면, 상기 센서(84)가 상기 서랍식도어(30)가 열렸다고 판단하고 상기 냉동실(12)에 설치된 조명등(90)이 빛을 발산하여 상기 냉동실(12)을 밝히게 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조명등(90)을 작동시키기 위한 스위치는 상기 냉동실(12)의 전면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상기 서랍식도어(30)를 열었을 경우 외부로 노출되어 냉장고의 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조명등(90)을 작동시키기 위한 상기 신호발생부(70)가 상기 후방패널(80)을 마주보는 상기 레일프레임(34) 또는 상기 레일어셈블리(60)의 후단에 구비되어 상기 서랍식도어(30)가 열리더라도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상기 서랍식도어(30)가 열린 상태에서도 상기 냉동실(12)을 깔끔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상기 서랍식도어(30)와 접촉하는 스위치와 달리 상기 신호발생부(70)가 상기 센서(84)에 접촉되지 않으므로 마찰에 의한 손상이 없어 유지보수의 필요성이 낮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조립체가 채용된 냉장고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부분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구성을 각각 보인 평면도 및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도어의 개폐에 따른 조명등의 작동을 위한 제어블록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에서 서랍식 도어가 열린 상태와 닫힌 상태를 보인 설명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본체 12: 냉동실
14: 측벽 20: 도어
30: 서랍식도어 32: 핸들
34: 레일프레임 40:인출서랍
50: 저장박스 60: 레일어셈블리
62: 레일지지부 64: 고정레일
66: 무빙레일 68: 가이드레일
70: 신호발생부 72: 결합부재
74: 자성체 80: 후방패널
82: 스페이서 84: 센서
90: 조명등

Claims (11)

  1. 본체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본체에 형성된 저장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서랍식도어와;
    상기 서랍식도어와 상기 저장공간의 양측에 서로 대응되게 구비되어 상기 서랍식도어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레일어셈블리와;
    상기 서랍식도어의 슬라이딩에 연동하여 상기 본체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되고 검출가능한 물리량을 갖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부와;
    상기 신호발생부와의 이격거리에 따라 상기 서랍식도어의 개방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도어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랍식도어의 후방에는 상기 레일어셈블리에 연결되는 레일프레임이 길게 구비되고, 상기 신호발생부는 상기 레일어셈블리 또는 상기 레일프레임의 후단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도어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발생부는,
    상기 레일어셈블리 또는 상기 레일프레임에 결합되는 결합부재와;
    상기 결합부재의 선단에 구비되고 자성을 지닌 자성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도어조립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자성체의 자력의 세기를 감지하고, 상기 센서에 연결된 제어부는 상기 서랍식도어의 개방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저장공간에 설치된 조명등을 선택적으로 작동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도어조립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와 상기 신호발생부는 서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도어조립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저장공간의 후방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스페이서의 선단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도어조립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어셈블리는,
    상기 냉동실의 양측에 고정설치되고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레일지지부와;
    상기 레일지지부를 따라 상기 본체의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무빙레일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도어 조립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지지부에는 그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고정레일이 고정되게 설치되고, 상기 고정레일과 상기 무빙레일 사이에는 상기 고정레일의 이동범위를 확장시켜 주는 가이드레일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도어조립체.
  9. 본체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본체에 형성된 저장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고, 후방에는 레일프레임이 길게 형성되는 서랍식도어와;
    상기 저장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서랍식도어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레일어셈블리와;
    상기 레일프레임 또는 상기 레일어셈블리의 후단에 설치되고 검출가능한 물리량을 갖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부와;
    상기 신호발생부와의 이격거리에 따라 상기 신호발생부에서 발생하는 신호의 세기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도어조립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발생부는,
    상기 레일어셈블리 또는 상기 레일프레임에 결합되는 결합부재와;
    상기 결합부재의 선단에서 상기 센서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비되고 자성을 지닌 자성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도어조립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저장공간의 후방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스페이서의 선단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도어조립체.
KR1020080123043A 2008-12-05 2008-12-05 냉장고의 도어조립체 KR201000645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3043A KR20100064551A (ko) 2008-12-05 2008-12-05 냉장고의 도어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3043A KR20100064551A (ko) 2008-12-05 2008-12-05 냉장고의 도어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4551A true KR20100064551A (ko) 2010-06-15

Family

ID=42364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3043A KR20100064551A (ko) 2008-12-05 2008-12-05 냉장고의 도어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64551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56133A (zh) * 2017-09-25 2017-12-12 佛山市品柏智能科技有限公司 具有感应灯的浴室柜
CN109751829A (zh) * 2019-01-09 2019-05-14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抽屉组件及冰箱
KR20200066875A (ko) * 2018-12-03 2020-06-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JP2020130504A (ja) * 2019-02-18 2020-08-31 Toto株式会社 キャビネット
KR20210058217A (ko) 2019-11-13 2021-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56133A (zh) * 2017-09-25 2017-12-12 佛山市品柏智能科技有限公司 具有感应灯的浴室柜
KR20200066875A (ko) * 2018-12-03 2020-06-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N109751829A (zh) * 2019-01-09 2019-05-14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抽屉组件及冰箱
CN109751829B (zh) * 2019-01-09 2024-05-14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抽屉组件及冰箱
JP2020130504A (ja) * 2019-02-18 2020-08-31 Toto株式会社 キャビネット
KR20210058217A (ko) 2019-11-13 2021-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69504A1 (en) Damper assembly
KR20100064551A (ko) 냉장고의 도어조립체
RU2011154153A (ru) Холодильник
KR20090096210A (ko) 냉장고의 수평조절장치
KR101592575B1 (ko) 냉장고
US20130327073A1 (en) Refrigerator
JP2009543017A (ja) 温度制御室を有する冷蔵庫
JP4189428B1 (ja) 貯蔵庫
CN106288615B (zh) 具有包括把手槽的门页的家用器具
KR20140088371A (ko) 냉장고
JP4364128B2 (ja) 冷蔵庫
US20170292778A1 (en) Refrigerator and drawer assembly thereof
CN107076501B (zh) 具有低压发生单元的用于食物的保鲜容器以及具有这种保鲜容器的家用制冷器具
CN114646169B (zh) 冷藏冷冻装置
US20100175417A1 (en) Refrigerator
JP2009121742A (ja) 冷蔵庫
CN111351294B (zh) 冰箱
JP2011242002A (ja) 冷蔵庫
KR20210058215A (ko) 냉장고
JP4489057B2 (ja) 冷蔵庫
JP3308987B2 (ja) 冷蔵庫
JP7120446B2 (ja) 冷蔵庫
KR20140124115A (ko) 냉장고
JP6021348B2 (ja) 冷蔵庫
KR20080005808U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