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4067A - 알터네이터의 발전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알터네이터의 발전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4067A
KR20100064067A KR1020080122494A KR20080122494A KR20100064067A KR 20100064067 A KR20100064067 A KR 20100064067A KR 1020080122494 A KR1020080122494 A KR 1020080122494A KR 20080122494 A KR20080122494 A KR 20080122494A KR 20100064067 A KR20100064067 A KR 201000640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ternator
battery
vehicle
state
driving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2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승희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24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64067A/ko
Publication of KR20100064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40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6/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 B60K6/2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 B60K6/22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apparatus, components or means specially adapted for HEVs
    • B60K6/28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apparatus, components or means specially adapted for HEVs characterised by the electric energy storing means, e.g. batteries or capaci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2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energy storage means
    • B60W10/2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energy storage means for electrical energy, e.g. batteries or capaci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9/00Controlling engines, such controlling being peculiar to the devices driven thereby, the devices being other than parts or accessories essential to engine operation, e.g. controlling of engines by signals external thereto
    • F02D29/06Controlling engines, such controlling being peculiar to the devices driven thereby, the devices being other than parts or accessories essential to engine operation, e.g. controlling of engines by signals external thereto peculiar to engines driving electric gen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8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electric propulsion units, e.g. motors or gener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9/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electric generators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a desired output
    • H02P9/08Control of generator circuit during starting or stopping of driving means, e.g. for initiating excit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40Engine managemen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Eletrric Gen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각 주행상태마다 배터리 전압을 측정하고, 측정된 배터리 전압과 각 주행상태에서의 적정 배터리 전압을 비교하여 각 주행상태마다 배터리의 충전이 불필요한 상황에서는 알터네이터를 구동하지 않음으로써 연비를 향상시키도록 한 알터네이터의 발전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알터네이터, 배터리, 전압, 가속, 등판, 정속, 감속, 연비

Description

알터네이터의 발전 제어방법{Controlling Method For Generating Of Alternater}
본 발명은 알터네이터의 발전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의 각 주행상태마다 배터리 전압을 측정하고, 측정된 배터리 전압과 각 주행상태에서의 적정 배터리 전압을 비교하여 각 주행상태마다 배터리의 충전이 불필요한 상황에서는 알터네이터를 구동하지 않음으로써 연비를 향상시키도록 한 알터네이터의 발전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는 각종 전기기기가 탑재되며, 이 전기기기의 전원공급장치로 배터리 및 알터네이터가 장착된다. 알터네이터는 자동차의 동력원인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데, 알터네이터는 엔진의 출력 축(크랭크 샤프트)에 벨트를 통해 연결되며, 엔진으로부터의 출력 전압을 임의의 전압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알터네이터에서 발전된 전압은 배터리에 충전된다.
국제 유가의 상승에 따라 자동차 연비가 가장 중요한 화두가 되어 다각적인 방법으로 연비를 개선하려는 노력이 있는데, 이러한 노력 중에 하나로 배터리 온 도, 전압, 전류, 및 배터리 충전상태(State Of Charge 이하, SOC)를 이용하여 알터네이터의 목표 전압을 설정하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표 전압에 따라 감속 및 정속 시에 발전량을 증대시키고, 가속 및 등판 시에는 발전량을 감소시키도록 알터네이터를 제어하는 발전제어 방식이 있다.
하지만, 현재와 같은 알터네이터의 발전제어에 의하여도 충분한 연비 향상 효과를 볼 수 없는 실정이다. 이는, 배터리에 공조장치인 팬, 각종 라이트, 스타터 모터, 와이퍼나 시트 또는 윈드 등을 구동시키는 각종 모터 등의 보조기류가 접속됨으로써 충전 시에 배터리가 전기부하로 작용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각 주행상태마다 배터리 전압을 측정하고, 측정된 배터리 전압과 각 주행상태에서의 적정 배터리 전압을 비교하여 각 주행상태마다 배터리의 충전이 불필요한 상황에서는 알터네이터를 구동하지 않음으로써 연비를 향상시키도록 한 알터네이터의 발전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알터네이터의 발전 제어방법은 차량의 주행상태를 판단하는 제1 단계와;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서 검출한 배터리 충전상태가 상기 제1 단계에서 판단한 차량의 주행상태에서의 적정 배터리 충전상태 이상인가를 판단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2 단계를 만족하면, 알터네이터를 구동하지 않는 제3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단계는, 차량이 가속주행상태인가를 판단하는 제1-1 단계와;
상기 제1-1 단계를 만족하지 않으면, 차량이 등판주행상태인가를 판단하는 제1-2 단계와; 상기 제1-2 단계를 만족하지 않으면, 차량이 감속주행상태인가를 판단하는 제1-3 단계와; 상기 1-3 단계를 만족하지 않으면, 차량이 정속주행상태라고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가속주행상태, 상기 등판주행상태, 상기 감속주행상태, 및 상기 정속주행상태에서의 적정 배터리 충전상태가 설정된 맵을 저장하고 있다.
상기 알터네이터 발전 제어방법은 상기 제2 단계를 만족하지 않으면, 배터리 충전상태와 엔진 rpm에 따라 알터네이터의 F 단자에 입력되는 PWM 신호에 따라 알터네이터를 구동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는 제4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배터리 충전상태와 엔진 rpm에 따라 상기 알터네이터의 F 단자에 입력되는 PWM 신호가 % 값이 설정된 맵을 저장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알터네이터의 발전 제어방법은 차량이 가속, 등판, 감속 또는 정속주행상태인가를 판단하고, 각 주행상태마다 배터리 전압을 측정하고, 측정된 배터리 전압과 각 주행상태에서의 적정 배터리 전압을 비교하여 각 주행상태마다 배터리의 충전이 불필요한 상황에서는 알터네이터를 구동하지 않음으 로써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도 2a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알터네이터 발전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먼저, 도 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알터네이터 발전 제어방법은 엔진으로부터의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이 가속주행상태인가를 판단한다(S10). S10 단계는 액셀 페달 개도가 80% 초과, 엔진 rpm이 1200rpm 초과, 차속 변화량이 0.3㎞/h 초과, 엔진 토크가 50% 초과, 연료 DT1 값이 2㎎ 초과하는 것을 만족하고, 또는 킥 다운 요구가 인에이블인 상태를 만족하면 차량이 가속주행이라고 판단한다.
S10 단계를 만족하면, 배터리 관리 시스템(Battery Management System 이하, BMS)에서 검출한 배터리 SOC가 가속주행상태에서의 적정 배터리 SOC 이상인가를 판단한다(S12). S12 단계를 판단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차량의 알터네이터 발전 제어방법은 각 주행상태에서의 적정 배터리 SOC가 설정된 도 3과 같은 맵을 저장하고 있다. 이때, 도 3은 각 주행상태에서의 적정 배터리 SOC를 예로 든 것을 뿐, 각 주행상태에서의 적정 배터리 SOC는 도 3에 한정되지 않는다.
S12 단계를 만족하면, 배터리의 충전이 불필요한 상황이라고 판단하여 알터 네이터를 구동하지 않음(S14)으로써 연비를 향상시킨다. S14 단계는 목표 배터리 SOC의 전압 변화율의 기울기가 0.2 ~ 0.8V/sec를 유지하는 동안에 유지한다(S16).
하지만, S12 단계를 만족하지 않으면, 배터리 SOC와 엔진 rpm에 따라 알터네이터의 F 단자에 입력되는 PWM 신호가 % 값으로 설정된 맵으로부터의 % 값에 따라 알터네이터를 구동하여 배터리를 충전한다(S18). S18 단계를 수행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차량의 알터네이터 발전 제어방법은 배터리 SOC와 엔진 rpm에 따라 알터네이터의 F 단자에 입력되는 PWM 신호가 설정된 도 4와 같은 맵을 저장하고 있다. 100%에 가까운 값일수록 빠른 발전을 수행한다. 도 4는 예로 든 것을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차량의 알터네이터 발전 제어방법은 S10 단계를 만족하지 않으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으로부터의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이 등판주행상태인가를 판단한다(S20). S20 단계는 액셀 페달 개도가 60% 초과, 차속이 10㎞/h 초과, 엔진 토크가 40% 초과인 상태를 만족하면 차량이 등판주행이라고 판단한다.
S20 단계를 만족하면, BMS에서 검출한 배터리 SOC가 등판주행상태에서의 적정 배터리 SOC 이상인가를 판단한다(S22). S22 단계를 만족하면, 배터리의 충전이 불필요한 상황이라고 판단하여 알터네이터를 구동하지 않음(S24)으로써 연비를 향상시킨다. S24 단계는 목표 배터리 SOC의 전압 변화율의 기울기가 0.2 ~ 0.8V/sec를 유지하는 동안에 유지한다(S26).
하지만, S22 단계를 만족하지 않으면, 배터리 SOC와 엔진 rpm에 따라 알터네 이터의 F 단자에 입력되는 PWM 신호가 % 값으로 설정된 맵으로부터의 % 값에 따라 알터네이터를 구동하여 배터리를 충전한다(S28).
그리고, 본 발명의 차량의 알터네이터 발전 제어방법은 S20 단계를 만족하지 않으면,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으로부터의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이 감속주행상태인가를 판단한다(S30). S30 단계는 액셀 페달 개도가 10% 미만, 차속이 15㎞/h 초과, 엔진 토크가 20% 미만, 연료 DT1 값이 -2㎎ 미만인 것을 만족하거나, 또는 브레이크 스위치가 인에이블이거나 시스템 State가 아이들인 상태를 만족하면 차량이 감속주행이라고 판단한다.
S30 단계를 만족하면, BMS에서 검출한 배터리 SOC가 감속주행상태에서의 적정 배터리 SOC 이상인가를 판단한다(S32). S32 단계를 만족하면, 배터리의 충전이 불필요한 상황이라고 판단하여 알터네이터를 구동하지 않음(S34)으로써 연비를 향상시킨다. S34 단계는 목표 배터리 SOC의 전압 변화율의 기울기가 0.2 ~ 0.8V/sec를 유지하는 동안에 유지한다(S36).
하지만, S32 단계를 만족하지 않으면, 배터리 SOC와 엔진 rpm에 따라 알터네이터의 F 단자에 입력되는 PWM 신호가 % 값으로 설정된 맵으로부터의 % 값에 따라 알터네이터를 구동하여 배터리를 충전한다(S38).
그리고, 본 발명의 차량의 알터네이터 발전 제어방법은 S30 단계를 만족하지 않으면,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이 정속주행상태라고 판단하고(S40), BMS에서 검출한 배터리 SOC가 정속주행상태에서의 적정 배터리 SOC 이상인가를 판단한다(S42). S42 단계를 만족하면, 배터리의 충전이 불필요한 상황이라고 판단하여 알터네이터를 구동하지 않음(S44)으로써 연비를 향상시킨다. S44 단계는 목표 배터리 SOC의 전압 변화율의 기울기가 0.2 ~ 0.8V/sec를 유지하는 동안에 유지한다(S46).
하지만, S42 단계를 만족하지 않으면, 배터리 SOC와 엔진 rpm에 따라 알터네이터의 F 단자에 입력되는 PWM 신호가 % 값으로 설정된 맵으로부터의 % 값에 따라 알터네이터를 구동하여 배터리를 충전한다(S48).
도 1은 종래의 차량의 알터네이터의 발전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알터네이터 발전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3은 각 주행상태에서의 적정 배터리 SOC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알터네이터의 F 단자에 입력되는 PWM 신호와 엔진 rpm에 따른 %값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Claims (5)

  1. 차량의 주행상태를 판단하는 제1 단계와;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서 검출한 배터리 충전상태가 상기 제1 단계에서 판단한 차량의 주행상태에서의 적정 배터리 충전상태 이상인가를 판단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2 단계를 만족하면, 알터네이터를 구동하지 않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터네이터의 발전 제어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차량이 가속주행상태인가를 판단하는 제1-1 단계와;
    상기 제1-1 단계를 만족하지 않으면, 차량이 등판주행상태인가를 판단하는 제1-2 단계와;
    상기 제1-2 단계를 만족하지 않으면, 차량이 감속주행상태인가를 판단하는 제1-3 단계와;
    상기 1-3 단계를 만족하지 않으면, 차량이 정속주행상태라고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터네이터의 발전 제어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속주행상태, 상기 등판주행상태, 상기 감속주행상태, 및 상기 정속주행상태에서의 적정 배터리 충전상태가 설정된 맵을 저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터네이터의 발전 제어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를 만족하지 않으면, 배터리 충전상태와 엔진 rpm에 따라 알터네이터의 F 단자에 입력되는 PWM 신호에 따라 알터네이터를 구동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는 제4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터네이터의 발전 제어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충전상태와 엔진 rpm에 따라 상기 알터네이터의 F 단자에 입력되는 PWM 신호가 % 값이 설정된 맵을 저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터네이터의 발전 제어방법.
KR1020080122494A 2008-12-04 2008-12-04 알터네이터의 발전 제어방법 KR201000640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2494A KR20100064067A (ko) 2008-12-04 2008-12-04 알터네이터의 발전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2494A KR20100064067A (ko) 2008-12-04 2008-12-04 알터네이터의 발전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4067A true KR20100064067A (ko) 2010-06-14

Family

ID=42363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2494A KR20100064067A (ko) 2008-12-04 2008-12-04 알터네이터의 발전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64067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71400B2 (en) 2011-09-01 2013-06-25 Hyundai Motor Company Vehicle generator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saving fuel
US8566003B2 (en) 2011-08-24 2013-10-22 Hyundai Motor Company Vehicle generator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saving fuel
KR101673791B1 (ko) 2015-07-09 2016-11-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알터네이터의 충전 제어 방법
CN111409576A (zh) * 2019-01-08 2020-07-14 郑州宇通客车股份有限公司 一种车辆发电机控制方法及系统
WO2023027355A1 (ko) * 2021-08-27 2023-03-02 아이케이세미콘주식회사 차량용 레귤레이터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66003B2 (en) 2011-08-24 2013-10-22 Hyundai Motor Company Vehicle generator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saving fuel
US8471400B2 (en) 2011-09-01 2013-06-25 Hyundai Motor Company Vehicle generator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saving fuel
KR101673791B1 (ko) 2015-07-09 2016-11-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알터네이터의 충전 제어 방법
CN111409576A (zh) * 2019-01-08 2020-07-14 郑州宇通客车股份有限公司 一种车辆发电机控制方法及系统
WO2023027355A1 (ko) * 2021-08-27 2023-03-02 아이케이세미콘주식회사 차량용 레귤레이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70000B2 (en) Vehicle power-generation control apparatus
JP5489270B2 (ja) ハイブリット車両の可変電圧制御方法
US8418789B2 (en) Cooling system, vehicle equipped with the cool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cooling system
US9227621B2 (en) Hybrid drive
US8200382B2 (en) Method and system for torque control of a hybrid automobile after a start
KR101360051B1 (ko) 친환경 자동차의 토크 중재장치 및 방법
US20070162200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the torque of a hybrid vehicle
US20120191280A1 (en) Control apparatus for series hybrid vehicle
JP2006117234A (ja) ベルト型ハイブリッド車両の回生制動制御方法
KR20140021220A (ko)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의 출발 제어장치 및 방법
US9415766B2 (en) Regenerative control device of vehicle
KR101776761B1 (ko) 마일드 하이브리드 차량용 배터리 성능 판단 방법 및 장치
JP2009504469A (ja) 自動車用ドライブトレイン及びドライブトレインの運転方法
US9260106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13198318A (ja) 発電制御装置
KR102406065B1 (ko) 마일드 하이브리드 차량의 에너지 회생 제어 방법
KR101028019B1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배터리 충전량 밸런싱 방법
JP2008067504A (ja) 車両用発電機の制御装置
KR20100064067A (ko) 알터네이터의 발전 제어방법
US9522674B2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ontrol device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 control method
US7256514B2 (en)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an electrical machine for a motor vehicle
KR101826674B1 (ko) 차량에서의 리저브 토크 확보 방법
KR101448768B1 (ko)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의 진동 제어장치 및 방법
JP4318698B2 (ja) 車両の動力切替制御方法
KR20130017723A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엔진 시동 제어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